KR102241634B1 -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634B1
KR102241634B1 KR1020190125311A KR20190125311A KR102241634B1 KR 102241634 B1 KR102241634 B1 KR 102241634B1 KR 1020190125311 A KR1020190125311 A KR 1020190125311A KR 20190125311 A KR20190125311 A KR 20190125311A KR 102241634 B1 KR102241634 B1 KR 102241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deck
electric propulsion
coupled
amphibi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영
이기열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5/00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 B60F5/02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convertible into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14Transmission between propulsion power unit and propuls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7/00Convertible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27
    • B64C2201/1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Abstract

본 발명은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은 전기추진 선박; 전기추진 선박 위에 장착되는 드론데크; 및 드론데크에 정박되는 수륙양용 드론;을 포함하며, 전기추진 선박은 선박몸체; 및 선박몸체의 후단에 결합되어 선박몸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선외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Electric propulsion ship system having drone deck for amphibious drone}
본 발명은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륙양용 드론과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의 연계를 통하여 안전하게 수륙양용 드론이 이착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드론을 통해 해양시설물을 안정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부는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및 재생에너지 3020 실행계획을 발표하며 탈원전과 풍력, 태양광을 중심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정책을 추구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3020 실행계획은 7%인 재생에너지 발전비중(2016년 기준)을 2030년 까지 20%로 확충하는 계획을 실행하고 있다.
전라북도의 새만금 지역은 태양광과 해상풍력의 기술적 잠재력이 42.9GW로 신재생에너지의 잠재력이 높으며, 유휴부지의 풍부한 신재생에너지 잠재력을 바탕으로 개발시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특히, ‘18년 10월 재생에너지 비전 선포식에서 새만금 1171만평 부지에 4GW 규모의 태양광 발전 설치 계획을 발표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건립 계획을 발표하였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설은 설계 수명 20~25년을 목표로 하여 시설 보존을 위한 유지보수가 필수적인 사항이며, 국내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설의 유지보수를 위한 장비 및 시설에 대한 개발이 미흡하여 기술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정부에서 추구하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계획은 해상풍력, 수상 태양광 등 수상에서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을 계획하고 있어, 이를 위한 전문적인 유지보수 기술 및 전용선박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에 있다.
한편, 선박은 유류 연소 시 이산화탄소, 황화합물, 질소화화물 등의 대기 오염물질을 주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는 결과론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지구온난화 현상을 야기하는 주범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에너지 사용을 감소시키는 유도가 필수적으로 수반되며 태양광과 같은 무공해 그린 에너지원을 해상물동량 운반수단인 선박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59081호, 2019년 5월30일)
본 발명의 목적은 수륙양용 드론과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의 연계를 통하여 안전하게 수륙양용 드론이 이착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드론을 통해 해양시설물을 안정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은 전기추진 선박; 전기추진 선박 위에 장착되는 드론데크; 및 드론데크에 정박되는 수륙양용 드론;을 포함하며, 전기추진 선박은 선박몸체; 및 선박몸체의 후단에 결합되어 선박몸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선외기;를 구비한다.
여기서, 선외기는 미드섹션부에 설치되어 BLDC 모터의 동력을 전달해주는 구동축, 구동축의 종단에 결합되는 구동피니언 기어와, 구동축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기어 결합되는 베벨기어와, 일단이 베벨기어에 결합되고 타단이 프로펠러와 연결되는 프로펠러축;을 포함하며, 구동피니언 기어와 베벨기어는 각각 직선형상의 베벨로 형성되어 BLDC 모터를 통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구동피니언 기어와 베벨기어의 엇물림 현상을 방지한다.
여기서, 드론데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며, 일단이 전기추진 선박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주; 및 지주의 종단에 결합되어 수륙양용 드론이 안착되는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플레이트는 내부에 보강용 격자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수륙양용 드론은 메인몸체; 메인몸체의 하측에 대칭으로 결합되는 부유체; 메인몸체의 상측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 프레임의 각 종단에 결합되는 회전날개; 및 메인몸체에 결합되어 해상풍력 발전의 점검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카메라, 일반영상카메라, 레이더 센서, 멀리스팩트럴 카메라 및 초음파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영상센서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은 해안가에 멀리 떨어진 해상풍력 또는 수상 태양광발전과 같은 해상 시설물들의 점검 시, 점검용 수륙양용 드론을 전기추진 선박위에 안착시켜 이동한 후에 점검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시설물 점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추진 선박 선외기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추진 선박 선외기의 기어 연결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데크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드론테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드론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10)은 전기추진 선박(100), 드론데크(200) 및 수륙양용 드론(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기추진 선박(100)은 선박몸체(110)와 선박몸체(110)의 후단에 결합되어 선박몸체(11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선외기(120)를 구비한다. 선박몸체(110)는 선수부에 드론데크(200)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드론데크(200)는 전기추진 선박(110)에 결합되어 수륙양용 드론(300)을 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륙양용 드론(300)은 드론데크(200)에 안착되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해상에 위치하는 다양한 해상 시설물들을 점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추진 선박(100)을 통해 해안가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로 이동한 후에 해상 시설물들의 점검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륙양용 드론(300)이 조작이 손쉽기 때문에 고가의 수륙양용 드론(300)이 수중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구성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추진 선박 선외기의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추진 선박 선외기의 기어 연결 상세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외기(120)는 구동축(121), 구동피니언 기어(122), 베벨기어(123) 및 프로펠러축(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축(121)은 선박몸체(110)의 후단에 결합되는 선외기(120)의 미드섹션부(M)에 설치되어 BLDC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BLDC 모터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모터의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축(121)은 SCM440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축(121)이 SCM440 재질로 형성될 경우, BLDC 모터가 고속으로 회전할 때에도 강인성, 내열성 및 내마모성 등을 확보할 수 있어 회전력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프로펠러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축(121)의 일단에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1211)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구동피니언 기어(122)가 결합된다. 니들 베어링(1212)은 구동피니언 기어(122)와 프로펠러축(124)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피니언 기어(122)는 직선형의 베벨기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동축(121)의 타단에 결합된다.
베벨기어(123)는 구동피니언 기어(122)를 중심으로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각각 메인 베벨기어(1231)와 밸런싱 베벨기어(1232)로 구비된다. 메인 베벨기어(1231)는 프로펠러축(124)과 결합되며, 구동피니언 기어(122)의 구동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진 및 후진하게 된다. 밸런싱 베벨기어(1232)는 구동피니언 기어(122)를 중심으로 메인 베벨기어(1231)에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메인 구동피니언 기어(122)와 메인 베벨기어(1231)의 기어 맞물림의 안정성을 증대시켜 안정적인 회전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기어가 빨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베벨기어(123)는 직선형(straight)으로 형성되어 구동피니어 기어(122)와 기어결합되어 구동피니언 기어(122)의 구동에 따라 구동하게 된다. 각각의 메인 베벨기어(1231)와 밸런싱 베빌기어(1232)에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1211)이 결합된다. 또한, 구동피니언 기어(122)와 베벨기어(123)의 감속비는 (27 ~ 30 ) : (13 ~ 14)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7 : 13으로 기어 이빨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피니언 기어(122) 및 베벨기어(123) 각각이 직선형의 베벨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BLDC 모터를 통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구동피니언 기어와 베벨기어의 엇물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기어의 마찰에 의한 손실을 방지하여 소음을 줄임과 동시에 추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전기추진 선외기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반면, 구동피니언 기어와 베벨기어가 헬리컬과 같은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면, 반시계방향(정회전)으로 회전할 경우 베벨기어의 키홈(Key way) 부분과 키(Key)부분이 맞물려 정상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하지만 시계방향(역회전)으로 회전할 경우 베벨기어와 키가 맞물리지 않고 대각선으로 각이진 키홈을 따라 회전하여 엇물리게 된다. 그 결과,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문제가 없지만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소음과 엇물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프로펠러축(124)은 일단이 베벨기어(123)와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메인 베벨기어(1231)와 결합되며, 타단이 프로펠러(미도시)와 연결된다. 그리고, 프로펠러축(124)의 중심 영역에는 니들 베어링(1212)이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데크의 상세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드론데크를 설명하면, 드론데크(200)는 전기추진 선박(100)에 고정되어 수륙양용 드론(300)을 안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지주(210), 데크(220), 태양광모듈(230) 및 배터리(24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드론데크(200)는 선수부 측에 결합된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선미부 측에도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설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주(210)는 일단이 전기추진 선박의 상면에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서 지주(210)는 4개가 형성된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데크(220)를 안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지주(210)는 중공으로 형성되며, 중공 내부에 배터리(240)가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40)는 태양광모듈(230)을 통해 충전된 전력을 전기추진 선박(100)에 추가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주(210) 중 하나는 수륙양용 드론(300)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커넥터(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수륙양용 드론(300)을 충전시키기 육지로 대기시킬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해상에서도 간편하게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데크(220)는 납작한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지주(210)의 종단에 결합된다. 이때, 데크(220)는 내부에 수륙양용 드론(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보강용 격자플레이트(221)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데크(220)의 전방(222)은 바깥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유입유로(INF)가 형성된다. 후방(223)은 전방(222)과 반대방향으로 토출유로(OUTF)가 형성된다. 이때, 전기추진 선박(100)의 진행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용 격자플레이트(221), 데크의 전방 및 후방은 동일 축방향으로 홀(2211)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전기추진 선박(100)이 전방으로 진행할 때에 공기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르도록 유도하여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전기추진 선박(100)의 주행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유입유로(INF)의 너비(F2)에 비해서 토출유로(OUTF)의 너비(F1)가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공기가 토출될 때에 토출압력을 증대시켜 전기추진 선박(100)의 주행효율 증대시킬 수 있다.
태양광패널(230)은 데크(220)의 상면에 배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며, 충전되는 전력을 배터리(240)에 저장한다. 이때, 데크(220)는 지주(210)의 종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륙양용 드론(300)인 안착된 상태에서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수륙양용 드론(300)이 해상 풍력발전을 점검중일 때에, 태양의 위치 및 고도에 따라 자동으로 회동하여 태양광발전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드론의 상세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드론(300)은 메인몸체(310), 부유체(320), 프레임(330), 회전날개(340), 영상센서모듈(350), 영상처리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몸체(310)는 대략적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하측 양단에 원통형상의 부유체(3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개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단에는 수륙양용 드론(300)이 착륙할 때에 부유체(320)가 바닥에 직접 맞닿지 않고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311)를 구비할 수 있다.
부유체(320)는 메인몸체(310)의 하측에 대칭으로 오목하게 절개부(312)에 결합되어 메인몸체(310)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지 않도록 메인몸체(310)에 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부유체(320)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그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프레임(330)은 띠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메인몸체(310)의 상측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프레임(330)은 대략적으로 60도 간격으로 6개 배치된 것을 예시로 하였으나, 메인몸체(310)를 안정적으로 띄울 수 있는 배치간격이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회전날개(340)는 각각 프레임(330)의 종단에 결합되어 로터의 구동을 통해 회전한다.
영상센서모듈(350)은 메인몸체(310)의 바닥면 또는 전면에 배치되어 점검대상 구조물의 점검영상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특히, 해상풍력 발전의 점검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카메라, 일반영상카메라, 레이더 센서, 멀티스팩트럴 카메라 및 초음파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영상센서모듈(35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해상풍력 발전 시설물에 손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특히, 적외선카메라를 통해 균열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균열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균열이 있는 위치를 일반영상카메라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영상과 일반영상을 비교하여 시설물의 손상이 심각하여 신속한 보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면, 관계기관 등에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70)는 전기추진 선박(10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센서모듈(35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은 실시간으로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제어부(370)로 송신된다. 그리고, 제어부(370)는 수신된 영상자료를 바탕으로 점검영상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370)를 전기추진 선박(100)에 설치함으로써 수륙양용 드론(300)의 시스템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은 해안가에 멀리 떨어진 해상풍력 또는 수상 태양광발전과 같은 해상 시설물들의 점검 시, 점검용 수륙양용 드론을 전기추진 선박위에 안착시켜 이동한 후에 점검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시설물 점검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전기추진 선박 110 : 선박몸체
120 : 선외기 121 : 구동축
122 : 구동피니언 기어 123 : 베벨기어
124 : 프로펠러축 200 : 드론테크
210 : 지주 220 : 데크
230 : 태양광모듈 240 : 배터리
300 : 수륙양용드론 310 : 메인몸체
320 : 부유체 330 : 프레임
340 : 회전날개 350 : 영상센서모듈
360 : 영상처리모듈 370 : 제어부

Claims (4)

  1.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추진 선박(100);
    상기 전기추진 선박 위에 장착되는 드론데크(200); 및
    상기 드론데크에 정박되는 수륙양용 드론(300);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추진 선박(100)은,
    선박몸체(110); 및
    상기 선박몸체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선박몸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선외기(120);를 구비하고,
    상기 드론데크(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며, 일단이 상기 전기추진 선박 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주(210);
    납작한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의 종단에 결합되어 내부에 보강용 격자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수륙양용 드론이 안착되는 데크(220); 및
    상기 데크(220)의 상면에 배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태양광 모듈(230);을 구비하며,
    상기 데크(220)는,
    전방에 바깥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유입유로가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전방과 반대방향으로 토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전기추진 선박의 진행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용 격자플레이트(221)를 따라 동일 축방향으로 복수의 홀(2211)이 형성되어 상기 전기추진 선박이 전방으로 진행할 때에 공기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르도록 유도하여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상기 전기추진 선박의 주행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외기(120)는,
    미드섹션부에 설치되어 BLDC 모터의 동력을 전달해주는 구동축(121), 상기 구동축(121)의 종단에 결합되는 구동피니언 기어(122)와, 상기 구동축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기어 결합되는 베벨기어(123)와, 일단이 상기 베벨기어(123)에 결합되고 타단이 프로펠러와 연결되는 프로펠러축(124);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피니언 기어(122)와 상기 베벨기어(123)는,
    각각 직선형상의 베벨로 형성되어 상기 BLDC 모터를 통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구동피니언 기어(122)와 상기 베벨기어(123)의 엇물림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륙양용 드론(300)은,
    메인몸체(310);
    상기 메인몸체(310)의 하측에 대칭으로 결합되는 부유체(320);
    상기 메인몸체(320)의 상측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330);
    상기 프레임(330)의 각 종단에 결합되는 회전날개(340); 및
    상기 메인몸체(320)에 결합되어 해상풍력 발전의 점검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카메라, 일반영상카메라, 레이더 센서, 멀티스팩트럴 카메라 및 초음파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영상센서모듈(3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
KR1020190125311A 2019-10-10 2019-10-10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 KR102241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311A KR102241634B1 (ko) 2019-10-10 2019-10-10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311A KR102241634B1 (ko) 2019-10-10 2019-10-10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634B1 true KR102241634B1 (ko) 2021-04-19

Family

ID=7571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311A KR102241634B1 (ko) 2019-10-10 2019-10-10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872A1 (en) * 2022-09-14 2024-03-21 Snap Inc. Waterproof uav for capturing imag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822U (ko) * 2013-05-08 2014-11-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에 마운팅된 헬리 데크
KR20170043035A (ko) * 2015-10-12 2017-04-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 수면 및 수상 복합 검사 시스템
KR20170116765A (ko) * 2016-04-12 2017-10-20 주식회사 에이치큐테크 수자원 관리용 드론
KR20190002998A (ko) * 2017-06-30 2019-01-09 (주)아주레이져테크 무인 자율 운항이 가능한 이동식 수질정화장치
KR20190059081A (ko) 2017-11-22 2019-05-30 수상에스티(주)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822U (ko) * 2013-05-08 2014-11-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에 마운팅된 헬리 데크
KR20170043035A (ko) * 2015-10-12 2017-04-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 수면 및 수상 복합 검사 시스템
KR20170116765A (ko) * 2016-04-12 2017-10-20 주식회사 에이치큐테크 수자원 관리용 드론
KR20190002998A (ko) * 2017-06-30 2019-01-09 (주)아주레이져테크 무인 자율 운항이 가능한 이동식 수질정화장치
KR20190059081A (ko) 2017-11-22 2019-05-30 수상에스티(주)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872A1 (en) * 2022-09-14 2024-03-21 Snap Inc. Waterproof uav for capturing imag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1911C2 (ru)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генератор и элемент пропеллер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энерг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отока воды
US8152441B2 (en) Submersible waterwheel with hinged rotor blades and spring-loaded water seals
US8664795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converting wind energy at sea
KR100697717B1 (ko) 조류 발전 장치
CN101970854B (zh) 从水流中获取能量的设备
US20030201645A1 (en) Eolic marine electrical generator GEEM
US20070138021A1 (en) Maritime hydrogen generation system
EP2617641A1 (en) Wind turbine assembly moving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unloading wind turbine assembly using same
JP2014508881A (ja) 水力発電機
JP2015532380A (ja) 波力エネルギー変換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4076771A (ja) 船舶の上下推進装置
US20090160188A1 (en) Migler's windmill as a lamppost-windmill, and with sails mounted on a common mast, and with horizontally yoked sails, and as a river-turbine, and as a windmill-sailboat
KR20160150431A (ko) 풍력과 해류 및 조류 발전장치를 내장한 반 잠수식 플렛폼
KR102241634B1 (ko)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
CN105587460B (zh) 适用于洋流的发电装置
CN105143033A (zh) 用于船舶的推进系统
KR20120000325A (ko) 해류, 태양광 그리고 풍력을 동시에 이용한 부유식 복합발전장치
CN103133226A (zh) 集聚风发电和洋流发电于一体的发电系统
JP2013002399A (ja) 風力の一部を風上への推進力に利用することで、海底に係留しなくても風に流されない洋上風力発電用風車。
CN111486050B (zh) 一种可变形发电风帆和搭载该风帆的无人探测船
RU2372518C2 (ru) Гидрогенератор морских течений
KR102507020B1 (ko) 알루미늄 전기추진선박
KR20120028086A (ko) 전동식 풍력발전기 조립체 이동장치
JP2013199257A (ja) 洋上プラットホームによる電力生産システム
WO2017209041A1 (ja) 潮流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