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972A -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972A
KR20190058972A KR1020170156443A KR20170156443A KR20190058972A KR 20190058972 A KR20190058972 A KR 20190058972A KR 1020170156443 A KR1020170156443 A KR 1020170156443A KR 20170156443 A KR20170156443 A KR 20170156443A KR 20190058972 A KR20190058972 A KR 20190058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ntainer
unit
cooking vessel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복상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엠
Priority to KR1020170156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8972A/ko
Publication of KR20190058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레인지에서 상판의 상부에 위치시킨 조리용기가 이동하거나 또는 상판의 상면에 이물질 등이 발생하는 등의 이상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것으로서 화구 동작 키신호에 제어부가, 화구 동작 키신호에 따른 해당 화구 구동부를 제어하여 해당 화구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용기이동 검출부의 검출신호로 상기 해당 화구에 위치된 조리용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이동이 판단될 경우에 경보 발생부를 제어하여 조리용기의 이동을 경보하고 상기 해당 화구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larm in the electric range}
본 발명은 전기레인지에서 상판의 상부에 위치시킨 조리용기가, 조리용기의 가열에 따라 이동하거나 또는 조리하는 음식물이 끓어 넘쳐 상판의 상면에 이물질 등이 발생하는 등의 이상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열 발생기구로서는, 가연성 원료인 가스를 연소시킬 경우에 발생되는 열로 조리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간접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레인지와, 고주파를 발생하고 발생한 고주파가 음식물에 침투되게 하여 가열하는 전자레인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가스레인지는 사용자가 직접 조리용기에 순차적으로 음식물을 넣으면서 조리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매우 편리한 반면에 많은 유해가스가 발생하고, 또한 가스가 공급되는 배관에 미세한 틈새라도 있을 경우에 상기 틈새를 통해 가스가 누출되고, 누출된 가스에 의해 화재사고 또는 폭발 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그러므로 가스레인지를 사용할 경우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고, 또한 소정의 음식물을 조리한 이후에는 가스레인지의 노즐 등을 통해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해야 되는 등의 부단한 관리가 요구된다.
상기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 등과 같은 고주파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고주파가 음식물에 직접 침투되게 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유해가스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빠른 시간 내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상기 전자레인지가 발생하는 고주파가 인체를 통과할 경우에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레인지는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폐쇄된 공간에서 외부로 고주파가 누출되지 않도록 해야 된다.
또한 상기 전자레인지는 상기 폐쇄된 공간에 음식물을 넣어 조리해야 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소정의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에 조리할 음식물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들을 폐쇄된 공간에 한 번에 모두 넣어 조리해야 된다. 즉, 상기 전자레인지는 소정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복수 개의 재료들을 상기 폐쇄된 공간에 순차적으로 넣어 조리하는 것이 어렵다.
한편 전기레인지는 전력을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고, 사용자가 직접 조리용기에 순차적으로 음식물을 넣으면서 조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력소비가 많은 반면에 유해가스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화재의 위험성이 낮아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전기레인지는 하이라이트 방식의 전기레인지, 인덕션 방식의 전기레인지 및 핫플레이트 방식의 전기레인지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하이라이트 방식의 전기레인지는 원형으로 분포된 열선이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상판을 가열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으로서 조리시간은 다소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전력을 차단시켜도 남은 열로 계속 조리할 수 있고, 용기의 제한이 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방식의 전기레인지는 고주파 동작전력이 인가됨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하는 인덕션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인덕션 코일의 상부에는 조리용기를 안치(安置)하기 위한 상판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판은, 상기 조리용기에 의하여 상기 인덕션 코일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또한 열 및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쉽게 손상되지 않는 세라믹 유리 등과 같은 강화유리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상판의 상부에 안치하는 조리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자기장에 대한 저항 성분(예를 들면, 철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야 된다.
화구 즉, 하부에 인덕션 코일이 설치되어 있는, 상판의 상부에 조리용기를 안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인덕션 코일에 고주파 동작전력이 인가될 경우에 상기 인덕션 코일에서 자기장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한 자기장은 상기 상판의 상부에 안치된 조리용기의 바닥면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포함되어 있는 자기장에 대한 저항 성분은 상기 자기장에 의한 와류현상을 발생하게 되고, 상기 와류현상에 따른 유도가열로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은 약 500∼600℃로 가열되어 소정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에는 자기장에 따른 저항 성분이 거의 없다. 그러므로 상기 상판에는 상기 자기장에 따른 와류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가열되지는 않는다.
핫플레이트 방식의 전기레인지는 열선이 들어 있는 금속판을 가열하는 방식으로서 전력소비가 다른 방식의 전기레인지에 비하여 가장 높을 수 있다.
이러한 전기레인지에 대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75043호(2014.10.27. 등록)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전기레인지의 상판에 조리용기를 위치시켜 소정의 음식물을 조리함에 있어서,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물기 등이 있을 경우에 상기 물기가 함께 가열되면서 조리용기가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조리용기가 상판에서 이탈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조리용기에 넣어 가열하는 음식물이 끓어 넘칠 경우에 상판에 이물질이 발생하게 되고, 그 이물질에 의하여 상판이 파손될 수 있음은 물론 조리용기가 이동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레인지들은 조리용기의 이동이나 조리하는 음식물이 끓어 넘쳐 발생되는 이물질 등에 대한 안전대책이 거의 구비되어 있지 않고, 이로 인하여 많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75043호(2014.10.27.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리용기가 위치된 화구를 구동시킬 경우에 조리용기의 이동여부를 판단하고, 조리용기의 이동이 판단될 경우에 경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해당 화구를 정지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리용기에 넣어 조리하는 음식물이 끓어 넘쳐 전기레인지의 상판에 이물질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물질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경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해당 화구를 정지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조리용기의 온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최적의 상태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경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해당 화구를 정지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은, 화구 동작 키신호에 제어부가, 화구 동작 키신호에 따른 해당 화구 구동부를 제어하여 해당 화구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용기이동 검출부의 검출신호로 상기 해당 화구에 위치된 조리용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이동이 판단될 경우에 경보 발생부를 제어하여 조리용기의 이동을 경보하고 상기 해당 화구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이물질 검출부의 검출신호로 상기 해당 화구의 상판에 이물질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물질이 발생하였음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보 발생부를 제어하여 조리용기의 이동을 경보하고 상기 해당 화구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구 동작 키신호에 제어부가, 화구 동작 키신호에 따른 해당 화구 구동부를 제어하여 해당 화구를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키신호 발생부로부터 소정 화구의 화구동작 키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해당 화구에 조리용기의 위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해당 화구에 조리용기가 위치되지 않았을 경우에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해당 화구에 조리용기가 위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해당 화구 구동부를 제어하여 해당 화구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용기이동 검출부의 검출신호로 조리용기가 해당 화구에서 이탈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조리용기가 해당 화구에서 이탈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해당 화구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에 따르면, 조리용기가 위치된 화구를 구동시킬 경우에 조리용기의 이동여부를 판단하고, 조리용기의 이동이 판단될 경우에 경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해당 화구를 정지시키며, 또한 조리용기에 넣어 조리하는 음식물이 끓어 넘쳐 전기레인지의 상판에 이물질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물질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경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해당 화구를 정지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레인지의 제어방법은 조리용기의 가열온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조리용기의 온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적의 온도로 소정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보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전기레인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경보 제어방법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경보 제어방법에서 조리용기의 이동을 검출하는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경보 제어방법에서 이물질을 검출하는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보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전기레인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키신호 발생부(100)와, 경보 발생부(110)와, 용기이동 검출부(120)와, 용기온도 검출부(130)와, 용기온도 표시부(140)와, 이물질 검출부(150)와, 복수 개의 화구 구동부(160; 160-1, 160-2, …, 160-N)와,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키신호 발생부(100)는, 예를 들면, 전원키, 화구 선택키 및 화력 조절키 등을 비롯한 복수 개의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능키들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작함에 따른 해당 동작명령을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70)로 출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경보 발생부(11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사이렌 등의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경보램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 등을 점멸시키는 방법으로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이동 검출부(120)는, 전기레인지의 상판 하부에 설치되어 조리용기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정전용량 센서 등을 용기 검출센서(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로 사용하여, 전기레인지의 상판의 상부에 위치시킨 조리용기가 하부에 묻어 있는 물기 등에 의해 이동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용기이동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용기온도 검출부(130)는, 전기레인지의 상판 하부에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조리용기의 가열온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가열온도신호를 상기 제어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용기온도 표시부(14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조리용기의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검출부(150)는, 상기 전기레인지의 상판 하부에 정전용량 센서 등을 이물질 검출센서(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로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검출센서의 검출신호로, 상기 전기레인지의 상판에 이물질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화구 구동부(160; 160-1, 160-2, …, 160-N)는, 상기 제어부(170)가 발생하는 화구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 개의 화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들 각각을 동작시켜 발열시키고, 발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화구 구동부(160)들의 발열 및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화구들은 하이라이트 방식, 인덕션 방식 및 핫플레이트 방식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키신호 발생부(100)에서 발생사는 소정의 기능키들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화구 구동부(160)들 중에서 선택된 화구 구동부(160)를 구동시키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용기이동 검출부(120)가 조리용기의 이동을 검출하거나 또는 상기 이물질 검출부(150)가 이물질의 발생을 검출할 경우에 상기 경보 발생부(110)를 제어하여 경보를 출력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용기온도 검출부(130)가 조리용기의 가열온도를 검출하여 발생하는 가열온도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온도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조리용기의 온도를 표시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레인지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경보 제어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신호 발생부(100)의 전원키를 조작하여 전원키의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제어부(170)는 전기레인지의 전원을 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70)는 키신호 발생부(100)로부터 소정의 화구를 동작시키기 위한 화구동작 키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2).
상기 키신호 발생부(100)로부터 화구동작 키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170)는 용기이동 검출부(120)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화구에 조리용기가 위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4).
판단 결과, 해당 화구에 조리용기가 위치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170)는 경보 발생부(110)를 제어하여 조리용기가 검출되지 않았음을 경보하고(S206), 해당 화구를 정지시키며(S208), 전기레인지의 제어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단계(S204)의 판단 결과 해당 화구에 조리용기가 위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170)는 복수 개의 화구 구동부(160)들 중에서 해당 화구의 화구 구동부(160)를 제어하여 구동시키고(S210), 용기온도 검출부(130)가 검출하는 조리용기의 온도를 판단하며, 판단한 조리용기의 온도에 따라 용기온도 표시부(212)를 제어하여 조리용기의 온도를 표시한다(S212).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용기이동 검출부(120)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조리용기가 하부의 물기 등이 가열되면서 이동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4).
상기 조리용기의 이동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가 용기이동 검출부(120)가 출력하는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조리용기의 초기위치를 판단 및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에 저장하고(S300), 현재 해당 화구가 구동되는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2).
판단 결과 해당 화구가 구동되는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170)는 용기이동 검출부(120)가 출력하는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화구의 구동에 따른 조리용기의 현재위치를 판단한다.(S304).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판단한 조리용기의 초기위치 및 현재위치를 비교하고(S306), 비교 결과 조리용기가 이동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8).
상기 조리용기가 이동되지 않았음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170)는 이물질 검출부(150)의 출력신호로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이 끓어 넘쳐 전기레인지의 상판에 이물질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6).
여기서, 이물질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가 이물질 검출부(150)의 검출신호로 전기레인지의 상판의 초기상태를 판단하고(S400), 현재 해당 화구가 구동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2).
판단 결과 해당 화구가 구동상태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이물질 검출부(150)가 검출하는 이물질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S404), 판단한 이물질의 초기상태 및 현재 상태를 비교한다(S406).
상기 단계(S406)의 판단 결과 이물질의 초기상태 및 현재상태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170)는 전기레인지의 상판에 새로운 이물질이 발생되었음을 판단한다(S408).
상기 단계(S214)의 판단 결과 조리용기가 이동되었음이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단계(S216)에서 전기레인지의 상판에 이물질이 발생하였음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170)는 경보 발생부(110)를 제어하여 조리용기가 이동 또는 이물질이 발생되었음을 경보하고(S218), 해당 화구를 정지시키며(S220), 전기레인지의 제어동작을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214)의 판단 결과 조리용기가 이동되지 않았음이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단계(S216)에서 전기레인지의 상판에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았음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170)는 조리용기가 해당 화구에서 이탈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22).
즉, 전기레인지에서 조리용기에 소정의 음식물을 넣어 조리하는 상태에서 음식물의 조기가 완료되었을 경우에 사용자는 해당 화구에서 조리용기를 이탈시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조리용기의 이탈은 예를 들면, 상기 용기이동 검출부(120)가 용기를 검출하지 못하는 검출신호를 발생할 경우에 상기 제어부(170)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조리용기가 해당 화구에서 이탈되었음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화구를 정지시켜 음식물의 조리 동작을 종료한다(S224).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키신호 발생부 110 : 경보 발생부
120 : 용기이동 검출부 130 : 용기온도 검출부
140 : 용기온도 표시부 150 : 이물질 검출부
160 : 복수 개의 화구 구동부 170 : 제어부

Claims (4)

  1. 화구 동작 키신호에 제어부가, 화구 동작 키신호에 따른 해당 화구 구동부를 제어하여 해당 화구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용기이동 검출부의 검출신호로 상기 해당 화구에 위치된 조리용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이동이 판단될 경우에 경보 발생부를 제어하여 조리용기의 이동을 경보하고 상기 해당 화구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이물질 검출부의 검출신호로 상기 해당 화구의 상판에 이물질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물질이 발생하였음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보 발생부를 제어하여 조리용기의 이동을 경보하고 상기 해당 화구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구 동작 키신호에 제어부가, 화구 동작 키신호에 따른 해당 화구 구동부를 제어하여 해당 화구를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키신호 발생부로부터 소정 화구의 화구동작 키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해당 화구에 조리용기의 위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해당 화구에 조리용기가 위치되지 않았을 경우에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화구에 조리용기가 위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해당 화구 구동부를 제어하여 해당 화구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용기이동 검출부의 검출신호로 조리용기가 해당 화구에서 이탈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조리용기가 해당 화구에서 이탈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해당 화구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
KR1020170156443A 2017-11-22 2017-11-22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 KR20190058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43A KR20190058972A (ko) 2017-11-22 2017-11-22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443A KR20190058972A (ko) 2017-11-22 2017-11-22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72A true KR20190058972A (ko) 2019-05-30

Family

ID=6667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443A KR20190058972A (ko) 2017-11-22 2017-11-22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89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354A1 (ko) * 2019-11-25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개입 없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WO2021107353A1 (ko) * 2019-11-28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43Y1 (ko) 2012-11-27 2014-11-05 김재민 안전 전기레인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43Y1 (ko) 2012-11-27 2014-11-05 김재민 안전 전기레인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354A1 (ko) * 2019-11-25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개입 없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WO2021107353A1 (ko) * 2019-11-28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476B1 (ko) 가스레인지용 라면조리장치
KR20190058972A (ko) 전기레인지의 경보 제어방법
KR20110076166A (ko) 전기렌지의 조리용기 감지에 따른 버너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KR20130059585A (ko) 가스레인지의 조리기구 감지에 따른 화력 자동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1106729A (ja) ガスコンロ
JP2008215741A (ja) レンジフード
KR200406925Y1 (ko) 전자식 쿡탑
JP2008226750A (ja) 電磁調理器
JP4251231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987872B1 (ko) 전기레인지에서 오동작 방지방법
KR100793926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 및 그 뚜껑 개폐 감지장치
KR960000242B1 (ko) 조리장치
KR20200064797A (ko) 조리기기의 안전에 따른 화력제어 표시방법
KR101633859B1 (ko) 전기레인지의 운전 제어방법
KR101873425B1 (ko) 어린이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기레인지의 제어방법
KR102248633B1 (ko) 하이브리드 렌지후드 제어 시스템
KR100315087B1 (ko) 가스오븐의요리중도어오픈시조리시간보정장치
KR100220729B1 (ko) 전자렌지의 조리방법
KR100210092B1 (ko) 전자렌지의 조리방법
KR0118072Y1 (ko) 전자렌지의 조리제어장치
KR20190070067A (ko) 전기레인지의 습도 조절장치 및 방법
KR940007636B1 (ko) 전자레인지의 요리용기 식별 방법
KR100519289B1 (ko) 전자레인지의 발효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180398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위험경고장치
KR20240030927A (ko) 유도가열장치 및 유도가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