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927A -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927A
KR20190058927A KR1020170156357A KR20170156357A KR20190058927A KR 20190058927 A KR20190058927 A KR 20190058927A KR 1020170156357 A KR1020170156357 A KR 1020170156357A KR 20170156357 A KR20170156357 A KR 20170156357A KR 20190058927 A KR20190058927 A KR 20190058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vehicle
auxiliary heat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346B1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56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3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60S1/02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using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71Heat exchangers, burners, igni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 및 전면 유리창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칵핏모듈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칵핏모듈에서 상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부 및 상기 열선부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상기 차량 내부로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Auxiliary Heater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과 전면 유리창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각수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되기 전 상기 칵핏모듈의 상단에서 나오는 공기를 재가열시켜 차량 내부에 온풍을 공급하고 전면 유리창에 발생한 얼음 및 성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히터는 냉각수의 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한 후, 가열된 공기를 에어덕트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히터는 차량의 냉각수의 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므로, 공기가 충분히 가열되기 위해서는 엔진과 냉각수가 충분히 뜨거워져야 한다.
따라서, 온풍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엔진이 충분히 가열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고 그전까지 냉풍이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히터를 주로 사용하는 겨울철에는 공기 역시 차가워져 있으므로, 온풍이 발생될 때까지 비교적 긴 시간(5분 이상)이 걸리게 되며, 운전자가 엔진과 냉각수가 뜨거워질 때까지 예열운전을 하므로, 불필요하게 연료를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히팅 시트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장치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부가장치는 몸이 접촉되는 부분만 따뜻하게 가열할 수 있어서, 운전자나 승객이 빠른 시간 내에 충분한 온기를 느끼기는 불충분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히터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히터 장치를 이용하여 발생한 냉풍을 가열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들은 차량의 히터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설치할 수 없고 탈부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히터 내부에 설치되어 고장 등이 발생되었을 경우 차량을 뜯어 수리할 수 밖에 없어 수리 및 교체가 불편하고 이에 따른 비용 및 시간소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과 전면 유리창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각수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되기 전 상기 칵핏모듈의 상단에서 나오는 공기를 재가열시켜 차량 내부에 온풍을 공급하고 전면 유리창에 발생한 얼음 및 성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는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 및 전면 유리창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칵핏모듈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칵핏모듈에서 상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부 및 상기 열선부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상기 차량 내부로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배면 양측에 형성되는 흡입구 및 정면 중심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정면 및 배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전면 유리창의 기울기와 상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면이 상기 전면 유리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선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열선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정면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열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의 상기 하우징은 배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 유리창의 기울기와 상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배면이 상기 전면 유리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저면 양측에 형성되는 흡입구 및 정면 및 상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2개의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정면 및 상면이 연결되는 모서리측에 형성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모터 및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상기 정면의 배출구 및 상면의 배출구 중 하나로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배면 내측 중심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정면의 배출구로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제1 송풍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저면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의 배출구로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제2 송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는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과 전면 유리창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각수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되기 전 상기 칵핏모듈의 상단에서 나오는 냉풍을 재가열시켜 차량 내부에 바로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엔진과 냉각수가 가열될 때까지 차량을 공회전시키는 예열운전을 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하게 연료를 소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면 유리창에 발생한 얼음 및 성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가 차량내부에 설치된 정면 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가 차량내부에 설치된 측면 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가 차량내부에 설치된 측면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싱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도시한 저면투영도.
도 8은 도 5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의 개폐부에 따라 공기를 배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가 차량내부에 설치된 정면 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가 차량내부에 설치된 측면 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는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CP) 및 전면 유리창(L) 사이에 설치되어 칵핏모듈(CP)의 상단에서 나오는 공기를 흡입하여 재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는 하우징(100), 열선부(200), 송풍부(300), 전원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칵핏모듈(CP)의 상단에 설치되어 칵핏모듈(CP)에서 상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은 칵핏모듈(CP)의 상단에 형성된 에어덕트 위에 설치되어 에어덕트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정면에서 칵핏모듈(CP)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그 길이는 칵핏모듈(CP)의 길이에 상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정면 및 배면이 하단부터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상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전면 유리창(L)의 기울기와 상응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칵핏모듈(CP) 및 전면 유리창(L) 사이에 저면 및 상면이 밀착되고, 양측면이 차량내측 측면에 딱 맞게 설치되어, 칵핏모듈(CP)의 상단 에어덕트에서 나오는 공기가 차량내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하우징(100)의 흡입구(110)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흡입구(110) 및 배출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10)는 하우징(100)의 배면에 형성되어 칵핏모듈(CP)에서 나오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구(110)는 배면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배면 전체에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배출구(120)는 하우징(100)의 정면에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내에서 가열된 공기(온풍)를 차량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120)는 하우징(100)의 정면 중심 상측에 형성되어 전면 유리창(L) 방향으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하우징(100)의 다양한 위치 및 형태로 형성되어 가열된 공기(온풍)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120)는 하우징(100)의 정면 중심에 높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조절이 가능한 조절날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날개(미도시)는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상하방향 조절되어 전면 유리창(L)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거나, 운전자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열선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즉, 열선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공기의 이동 경로에 따라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열선부(200)는 하우징(100)의 배면 내측에 형성된 제1 열선부(210) 및 하우징(100)의 정면 내측에 형성된 제2 열선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0)의 상면 내측에 형성된 것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300)는 열선부(200)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차량 내부로 배출되도록 송풍할 수 있다.
즉, 송풍부(300)는 하우징(100)의 배면 내측에 설치되어 가열된 공기를 배출구(120) 방향으로 송풍하여 배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미도시)는 시거잭에 연결되는 것으로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 별도의 전원공사가 필요없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미도시)는 배터리로 형성되어 충전하는 것으로, 별도의 전원연결 없이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를 on 시키면 열선부(200) 및 송풍부(300)를 작동시킬 수 있고, off 시키면 열선부(200) 및 송풍부(300)의 작동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는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미도시)는 흡입구(110)측에 설치되고 흡입구(11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센싱하여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미도시)는 공기측정센서 및 공기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측정센서는 흡입구(110)에서 공기의 유량 또는 풍속을 측정하여 흡입구(110)로 공기가 흡입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공기측정센서는 풍속센서 및 유량센서 중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입구(110)로 공기가 흡입되는지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공기온도센서는 흡입구(110)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온도센서는 온도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입구(110)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미도시)는 공기의 온도와 유량 또는 풍속을 측정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공기의 온도와 유량 또는 풍속의 측정값을 전송받아, 공기의 온도 및 흡입구(110)로 공기흡입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흡입구(110)로 공기가 흡입되고 기설정된 온도보다 공기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낮을 경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측정값을 전송받아 흡입구(110)로 공기가 흡입되고 있더라도 공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이상일 경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는 칵핏모듈(CP)의 상단에서 공기가 나오고 그 공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만 자동으로 작동하여 공기를 재가열하여 차량 내부에 온풍을 배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가 차량내부에 설치된 측면모습을 도시한 설치예시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싱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도시한 저면투영도다.
도 8은 도 5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의 개폐부에 따라 공기를 배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2)는 하우징(10), 열선부(20), 송풍부(30), 전원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 열선부(20) 및 송풍부(30)의 위치, 개폐부(13)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2)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1)와 동일하다.
따라서, 하우징(10), 열선부(20) 및 송풍부(30)의 위치, 개폐부(13)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0)은 배면이 상단부터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의 배면은 전면 유리창(L)의 기울기와 상응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은 칵핏모듈(CP) 및 전면 유리창(L) 사이에 저면 및 배면이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110)가 칵핏모듈(CP)의 상단 에어덕트 위치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배면이 전면 유리창(L)에 밀착되는 것일 가장 바람직하나 차량에 따라 밀착되지 않을 수 있고, 흡입구(11)가 상단 에어덕트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단 에어덕트로부터 나오는 공기가 유출되지 않고 흡입구(11)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흡입구(11) 및 배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1)는 하우징(1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0)의 저면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2)는 하우징(10)의 정면 및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0)의 정면 및 상면 중심에 각각 형성되어 2개가 형성되어, 전면 유리창(L) 또는 운전석 방향으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하우징(10)의 다양한 위치 및 형태로 형성되어 가열된 공기(온풍)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개폐부(13) 및 격벽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3)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출구(12)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부(13)는 고정대(13a), 회전축(미도시), 회전모터(미도시) 및 개폐판(13b)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13a)는 하우징(10)의 정면 및 상면이 연결되는 모서리측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미도시)은 고정대(13a)에 양끝단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회전모터(미도시)는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축(미도시)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개폐판(13b)은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회전하여 배출구(12)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판(13b)은 상단이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되고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회전하여 상측으로 회전하여 상면의 배출구(12)를 닫을 수 있고, 하측으로 회전하여 정면의 배출구(12)를 닫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부(13)에 의해 정면의 배출구(12) 및 상면의 배출구(12) 중 하나를 닫아 닫히지 않은 배출구(12)로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13)를 제어부(미도시)가 사용자가 전면 유리창(L)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설정하면 개폐부(13)의 회전모터(미도시)를 작동시키고 개폐판(13b)이 하측으로 회전하여 정면의 배출구(12)를 닫아 상면의 배출구(12)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운전석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설정하면 개폐부(13)의 회전모터(미도시)를 작동시키고 개폐판(13b)이 상측으로 회전하여 상면의 배출구(12)를 닫아 정면의 배출구(12)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격벽부(14)는 하우징(10)의 배면 내측 중심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여 열선부(20)에 의한 공기의 가열효율이 높고, 가열된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격벽부(14)는 저면측에서 바라봤을 때 단면이 'ㄷ'자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저면 양측에 형성된 흡입구(1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11)로 흡입된 공기가 제1 열선부(21) 및 격벽부(14)의 측면에 형성된 제3 열선부(23)에 의해 가열되며 격벽부(14)에 의해 이동로가 형성되어 정면측으로 공기가 이동되면서 제2 열선부(22) 및 격벽부(14)의 정면에 형성된 제3 열선부(23)에 의해 공기가 가열되며 배출구(12)로 배출될 수 있다.
격벽부(14)가 하우징(10)에 형성되지 않을 경우 하우징(10)의 내부에 빈공간 면적이 넓어지면서 열선부(20)의 영향이 저하될 수 있고, 저면측에서 공기가 흡입되어 정면측 또는 상면측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하우징(10)의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열선부(20)는 제1 열선부(21), 제2 열선부(22) 및 제3 열선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열선부(23)는 격벽부(14)에 형성될 수 있고, 격벽부(14)의 양측면 및 정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송풍부(30)는 제1 송풍부(31) 및 제2 송풍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풍부(31)는 하우징(10)의 배면 내측에 형성되어 정면의 배출구(12)로 가열된 공기를 송풍할 수 있고, 격벽부(14)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격벽부(14)의 정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송풍부(32)는 하우징(10)의 저면 내측에 형성되어 상면의 배출구(12)로 가열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이러한 송풍부(30)를 제어부(미도시)가 사용자가 전면 유리창(L)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설정하면 제2 송풍부(32)를 작동시킬 수 있고, 운전석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설정하면 제1 송풍부(31)를 작동시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는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과 전면 유리창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냉각수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되기 전 상기 칵핏모듈의 상단에서 나오는 냉풍을 재가열시켜 차량 내부에 바로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엔진과 냉각수가 가열될 때까지 차량을 공회전시키는 예열운전을 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하게 연료를 소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면 유리창에 발생한 얼음 및 성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P: 칵핏모듈
L: 전면 유리창
1: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100: 하우징
110: 흡입구
120: 배출구
200: 열선부
210: 제1 열선부
220: 제2 열선부
300: 송풍부
2: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10: 하우징
11: 흡입구
12: 배출구
13: 개폐부
13a: 고정대
13b: 개폐판
14: 격벽부
20: 열선부
21: 제1 열선부
22: 제2 열선부
23: 제3 열선부
30: 송풍부
31: 제1 송푸부
32: 제2 송풍부

Claims (10)

  1. 차량 내부의 칵핏모듈 및 전면 유리창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칵핏모듈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칵핏모듈에서 상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부 및
    상기 열선부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상기 차량 내부로 배출되도록 송풍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배면 양측에 형성되는 흡입구 및
    정면 중심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정면 및 배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전면 유리창의 기울기와 상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면이 상기 전면 유리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열선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정면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열선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배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 유리창의 기울기와 상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배면이 상기 전면 유리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저면 양측에 형성되는 흡입구 및
    정면 및 상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2개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정면 및 상면이 연결되는 모서리측에 형성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모터 및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상기 정면의 배출구 및 상면의 배출구 중 하나로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배면 내측 중심에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정면의 배출구로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제1 송풍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저면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의 배출구로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제2 송풍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KR1020170156357A 2017-11-22 2017-11-22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KR102060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357A KR102060346B1 (ko) 2017-11-22 2017-11-22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357A KR102060346B1 (ko) 2017-11-22 2017-11-22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27A true KR20190058927A (ko) 2019-05-30
KR102060346B1 KR102060346B1 (ko) 2019-12-30

Family

ID=6667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357A KR102060346B1 (ko) 2017-11-22 2017-11-22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3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732A (ko) 2021-02-22 2022-08-31 제이비퀘스트 주식회사 무선 통신 기반의 차량용 보조기기 작동 통합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024A (ja) 1999-01-29 2000-08-08 Zexel Corp 自動車用補助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346B1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83712A (zh) 汽车自适应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900174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 방법
CN104723836A (zh) 抽气机车载传感器模块、其安装结构和有安装结构的车辆
KR20190058927A (ko) 차량용 보조히터 장치
CN109649118A (zh) 车用出风装置及其控制方法、大巴车
KR1015542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9090867A (ja) 車両用掃気システム
KR2012013174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07431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시트 냉난방장치
KR1016191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방법
KR10148470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03203B1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544869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어스피레이터
CN220483250U (zh) 一种纯电动客车多功能导流装置
KR1017482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20594599U (zh) 除霜风口总成、仪表板总成和车辆
KR20130043495A (ko) 에어벤트 장치
KR20090036370A (ko) 자동차용 시트의 공기조화장치
KR101340475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ITTO20010781A1 (it) Gruppo di riscaldamento, ventilazione e condizionamento d'aria per l'abitacolo di un autoveicolo.
KR101230790B1 (ko) 전기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55800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의 송풍 제어방법
JPS6127772Y2 (ko)
KR101702111B1 (ko) 팝업형 에어벤트
KR20140139317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