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373A - 플랫 케이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및 플랫 케이블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및 플랫 케이블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373A
KR20190058373A KR1020187000009A KR20187000009A KR20190058373A KR 20190058373 A KR20190058373 A KR 20190058373A KR 1020187000009 A KR1020187000009 A KR 1020187000009A KR 20187000009 A KR20187000009 A KR 20187000009A KR 20190058373 A KR20190058373 A KR 20190058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mass
conductor
conductors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066B1 (ko
Inventor
료스케 마추오
켄고 미토세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54Flat-harness 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38Parallel wires, sandwiched between two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3Power cables including electrical control or communicatio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6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종래와 비교해 동등한 도전성을 유지하면서, 양호한 접어 구부림성을 가짐과 동시에 좌굴 발생을 억제하고, 굴곡 특성의 가일층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을 제공한다.
플랫 케이블은, 소요 수의 도체와, 상기 소요 수의 도체를 끼워 넣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절연 필름과, 상기 한 쌍의 절연 필름 사이에 설치된 접착제층을 구비한 플랫 케이블로서, 상기 도체는, 굴곡 반경이 4㎜~8㎜인 범위에서, 굴곡 반경을 X(단위: ㎜), 0.2%내력을 Y(단위: ㎫), 두께를 t(단위: ㎜), 영률을 E(단위: ㎫)로 했을 때, Y≥ 1.2×t×E/(2X-t)를 만족하고, 또한 도전율이 50%IACS 이상이다.

Description

플랫 케이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및 플랫 케이블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 장치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및 플랫 케이블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량용 회전 커넥터 장치 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조타용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샤프트의 연결부에, 에어백 장치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 커넥터 장치(SRC)가 장착된다. 회전 커넥터 장치는, 고정자(stator)와, 그 고정자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회전자(rotator)와, 고정자와 회전자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형 내부 공간에 감겨 수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을 구비하며, FFC의 단부에는, 해당 FFC와 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구조체를 구비한다.
FFC는, 병렬 배치된 복수개의 도체와, 그 복수개의 도체를 끼워 넣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절연 필름과, 그 한 쌍의 절연 필름 간에 설치된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도체, 한 쌍의 절연 필름 및 접착제층으로 구성되는 라미네이트 구조를 가진다. 도체는, 예를 들면, 터프 피치 동(touch pitch copper), 무산소 동(oxygen-free copper)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절연 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스티렌계의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을 가지며, 복수의 도체가 끼워 넣어진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절연 필름을, 접착제층을 통해 접착함으로써, 도체끼리, 혹은 도체와 외부가 절연된다.
상기 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B, Sn, In, Mg 중 1종 혹은 복수종이 합계 0.005~0.045% 첨가되고, 결정립이 7㎛ 이하까지 미세화된,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진 플랫 케이블용 도체가 제안된다(특허문헌 1). 또한, 다른 도체로서, 무산소 동(99.999wt%Cu)에, 0.3wt% 이하의 Sn와 0.3wt% 이하의 In 혹은 Mg을 첨가한 구리합금, 또는, 무산소 동(99.999wt%Cu)에, 10wt% 이하의 Ag를 첨가한 구리합금을 모재로 하고, 그 표면에 Sn를 도금한 평판형 도체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인장력 350㎫ 이상, 신장율 5% 이상, 도전율 70%IACS 이상인 평각 도체가 제안된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특허 제3633302호 공보 특허문헌 2: 특허 제4734695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구리합금에 있어서의 첨가 원소종 및 그 함유량의 규정에 의한 결정립직경 제어만으로는, 도체의 굴곡 특성이 불충분하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는, 신장율 5% 이상을 필수로 하고, 신장율이 그 범위 밖 이면 강성이 강하고, 접어 구부림이 어려운 것, 또한, 접어 구부림 시에 도체를 좌굴시킬 우려가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신장율 5% 이상이어도 도체의 굴곡 특성이 불충분하다는 것을 알았다. 특히 최근, 자동차의 고성능화·고기능화가 진행됨과 동시에, 신뢰성, 안전성 등의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자동차에 탑재되는 각종 장치, 기기의 내구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으며, 회전 커넥터 장치 등에 이용되는 플랫 케이블의 굴곡 특성의 가일층의 향상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비교하여 동등한 도전성을 유지하면서, 양호한 접어 구부림성을 가짐과 동시에 좌굴(buckling) 발생을 억제하고, 굴곡 특성의 가일층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및 플랫 케이블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열심히 연구를 거듭한 결과, 플랫 케이블의 굴곡 반경, 도체 두께 및 영률(Young's modulus)과, 소정의 굴곡 수명 횟수를 넘는 경우의 해당 플랫 케이블의 0.2%내력(resistance force)의 관계를 발견함과 동시에, 구리합금에 있어서의 첨가 원소종 및 각 원소의 함유량의 범위를 규정하고, 또한, 집합 조직에 있어서의 결정립이나 석출물의 적절한 조직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양호한 접어 구부림성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좌굴 발생이 억제되고, 또한, 적절한 내력으로 함으로써, 굴곡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이하와 같다.
[1] 소요 수의 도체와, 상기 소요 수의 도체를 끼워 넣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절연 필름과, 상기 한 쌍의 절연 필름 사이에 설치된 접착제층을 구비한 플랫 케이블로,
상기 도체는, 굴곡 반경이 4㎜~8㎜인 범위에서, 굴곡 반경을 X(단위: ㎜), 0.2%내력을 Y(단위: ㎫), 두께를 t(단위: ㎜), 영률을 E(단위: ㎫)로 했을 때, Y≥1.2×t×E/(2X-t)를 만족하고, 또한 도전율이 50~98%IAC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2] 상기 플랫 케이블의 긴 방향의 중간 부분에, 만곡되어 뒤집혀 꺾인 반환부(folding back part)가 설치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반환부에서 굴곡을 유지한 상태로 감거나 또는 되감고,
상기 반환부는, 굴곡 반경 4㎜~8㎜를 유지한 상태로, 반환부를 따라 감거나 또는 되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플랫 케이블.
[3] 상기 도체는, 0.1~0.8질량%의 주석, 0.05~0.8질량%의 마그네슘, 0.01~0.5질량%의 크롬, 0.1~5.0질량%의 아연, 0.02~0.3질량%의 티탄, 0.01~0.2질량%의 지르코늄, 0.01~0.3질량%의 철, 0.001~0.2질량%의 인, 0.01~0.3질량%의 실리콘, 0.01~0.3질량%의 은, 및 0.1~1.0질량%의 니켈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플랫 케이블.
[4] 상기 도체의 신장율이 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랫 케이블.
[5]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으로,
폭방향 단면적이 0.75㎟ 이하인 소요 수의 도체를 준비하고,
상기 소요 수의 도체에 0.3kgf 이상의 장력을 부여하면서, 상기 소요 수의 도체를, 접착제를 통해 한 쌍의 절연 필름 사이에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6]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랫 케이블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 장치로,
상기 플랫 케이블은, 8㎜ 이하의 굴곡 반경을 유지한 상태로 실시한 20만회의 굴곡 운동 후에 있어서의 상기 플랫 케이블의 긴 방향의 0.2%내력이, 상기 굴곡 운동 전에 있어서의 상기 긴 방향의 초기 내력의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본 발명의 플랫 케이블에 따르면, 적절한 강도로 함으로써 휨성이나 내좌굴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적절한 내력으로 함으로써 신장율을 작게 하고, 이것에 의해 우수한 굴곡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조타가 이루어지고,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따라 회전 커넥터 장치 내의 플랫 케이블이 반복해서 굴곡 운동하는 경우에, 플랫 케이블의 굴곡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수십만회의 굴곡 운동을 실시한 후여도 소성변형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내구성, 나아가서는 신뢰성, 안전성을 향상한 플랫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랫 케이블은, 스티어링·롤링·커넥터(SRC)로 칭해지는 회전 커넥터 장치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루프 하니스, 도어 하니스, 플로어 하니스 등의 자동차용 부품, 접이식 휴대 전화의 접어 구부림부, 디지털 카메라나 프린터 헤드 등의 가동부, HDD(Hard Disk Drive),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ray(등록상표) Disc, CD(Compact Disc)의 구동부 등의 배선체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랫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폭방향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플랫 케이블의 구성]
본 실시형태의 플랫 케이블(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복수의 도체(11-1, 11-2, 11-3, 11-4, 11-5, 11-6)(소요 수의 도체)와, 그 복수의 도체를 끼워 넣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절연 필름(12, 13)과, 한 쌍의 절연 필름(12, 13) 사이에 설치된 접착제층(14)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플랫 케이블(1)은,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이다. 도체(11-1~11-6)는, 압연면의 면 내 방향이 거의 동일해지도록 늘어놓아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도체 한쪽의 압연면측에 절연 필름(12)이 설치되고, 다른 쪽 압연면측에 절연 필름(13)이 설치된다. 도체(11-1~11-6)는, 폭 0.1㎜~15㎜, 바람직하게는 폭 0.3㎜~15㎜, 두께 0.02㎜~0.05㎜이다. 도체(11-1~11-6)의 각각의 폭방향 단면적은, 0.7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이다.
접착제층(14)은, 복수의 도체(11-1~11-6)을 매설하는데 충분한 두께를 가지며, 절연 필름(12, 13)에 의해 양쪽에서 끼워져 지지(挾持)된다. 접착제층(14)은, 한 쌍의 절연 필름(12, 13)에 적합한 주지의 접착제로 구성된다.
한 쌍의 절연 필름(12, 13)은, 접착제층(14) 및/또는 복수의 도체(11-1~11-6)와의 양호한 밀착성을 발현할 수 있는 수지로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한 예로서, 한 쌍의 절연 필름(12, 13)이, 접착제층이 융착될 때에 녹지 않는 융점이 200℃ 이상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최외층과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접착제층의 2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절연 필름(12, 13)은, 예를 들면 폭 6㎜~15㎜, 두께 0.01㎜~0.05㎜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플랫 케이블(1)은, 바람직하게는 회전 커넥터 장치에 적용된다. 이 경우, 회전 커넥터 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자와 회전자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형 내부 공간에 감겨 수용된 플랫 케이블(1)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이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1)의 긴 방향의 중간 부분에, 만곡되어 뒤집혀 꺾인 도시하지 않은 반환부가 설치되고, 플랫 케이블(1)은, 반환부에서 굴곡을 유지한 상태로 감거나 또는 되감는다. 그리고, 상기 반환부는, 굴곡 반경 4㎜~8㎜를 유지한 상태로, 반환부를 따라 감거나 또는 되감아진다.
[도체의 화학 조성]
도체는, 0.1~0.8질량%의 주석(Sn), 0.05~0.8질량%의 마그네슘(Mg), 0.01~0.5질량%의 크롬(Cr), 0.1~5.0질량%의 아연(Zn), 0.02~0.3질량%의 티탄(Ti), 0.01~0.2질량%의 지르코늄(Zr), 0.01~0.3질량%의 철(Fe), 0.001~0.2질량%의 인(P), 0.01~0.3질량%의 실리콘(Si), 0.01~0.3질량%의 은(Ag), 0.1~1.0질량%의 니켈(Ni)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Cu)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주석: 0.1~0.8질량%>
주석은, 구리에 첨가함으로써 고용시켜 고강도화하는 작용을 가지는 원소이다. 함유량이 0.1질량% 미만이면, 그 효과는 불충분하고, 0.8질량%를 넘으면, 도전율을 5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석의 함유량을 0.1~0.8질량%로 한다.
<마그네슘: 0.05~0.8질량%>
마그네슘은, 구리에 첨가함으로써 고용시켜 고강도화하는 작용을 가지는 원소이다. 함유량이 0.05질량% 미만이면, 그 효과는 불충분하고, 0.8질량%를 넘으면, 도전율을 5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그네슘의 함유량을 0.05~0.8질량%로 한다.
<크롬: 0.01~0.5질량%>
크롬은, 구리에 첨가, 고용시키고, 미세 석출시킴으로써 고강도화하는 작용을 가지는 원소이다. 크롬의 함유량이 0.01질량% 미만이면, 석출 경화는 기대할 수 없어 내력이 불충분하고, 0.5질량%를 넘으면, 조대 창출물이나 석출물이 나타나 피로 특성 열화의 원인이 되므로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크롬의 함유량을 0.01~0.5질량%로 한다.
<아연: 0.1~5.0질량%>
아연은, 구리에 첨가함으로써 고용시켜 고강도화하는 작용을 가지는 원소이다. 아연의 함유량이 0.1질량% 미만이면, 고용경화(solid solution hardening)는 기대할 수 없어 내력이 불충분하고, 5.0질량%를 넘으면, 도전율을 5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연의 함유량을 0.1~5.0질량%로 한다.
<티탄: 0.02~0.3질량%>
티탄은, 구리에 첨가, 고용시키고, 미세 석출시킴으로써 고강도화하는 작용을 가지는 원소이다. 티탄의 함유량이 0.02질량% 미만이면, 석출 경화(precipitation hardening)는 기대할 수 없어 내력이 불충분하고, 0.3질량%를 넘으면, 도전율을 5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조대 창출물이나 석출물이 나타나 피로 특성 열화의 원인이 되므로 부적합하고, 제조성도 현저히 나빠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티탄의 함유량을 0.02~0.3질량%로 한다.
<지르코늄: 0.01~0.2질량%>
지르코늄은, 구리에 첨가, 고용시키고, 미세 석출시킴으로써 고강도화하는 작용을 가지는 원소이다. 지르코늄의 함유량이 0.01질량% 미만이면, 석출 경화는 기대할 수 없어 내력이 불충분하고, 0.2질량%를 넘으면, 조대 창출물이나 석출물이 나타나 피로 특성 열화의 원인이 되므로 부적합하고, 제조성도 현저히 나빠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르코늄의 함유량을 0.01~0.2질량%로 한다.
<철: 0.01~3.0질량%>
철은, 구리에 첨가, 고용시키고, 미세 석출시킴으로써 고강도화하는 작용을 가지는 원소이다. 철의 함유량이 0.01질량% 미만이면, 석출 경화는 기대할 수 없어 내력이 불충분하고, 3.0질량%를 넘으면, 도전율을 5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철의 함유량을 0.01~3.0질량%로 한다.
<인: 0.001~0.2질량%>
인은, 탈산하는 작용을 가지는 원소이며, 특성면이 아닌 제조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인의 함유량이 0.001질량% 미만이면, 제조 상 개선 효과가 불충분하고, 0.2질량%를 넘으면, 도전율을 5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의 함유량을 0.001~0.2질량%로 한다.
<실리콘: 0.01~0.3질량%>
실리콘은, 크롬이나 니켈 등의 첨가 원소와 화합물을 형성하고, 석출 강화하는 작용을 가지는 원소이다. 실리콘의 함유량이 0.01질량% 미만이면, 효과가 불충분하고, 0.3질량%를 넘으면, 도전율을 5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리콘의 함유량을 0.01~0.3질량%로 한다.
<은: 0.01~0.3질량%>
은은, 구리에 첨가, 고용시키고, 미세 석출시킴으로써 고강도화하는 작용을 가지는 원소이다. 은의 함유량이 0.01질량% 미만이면, 석출 경화는 기대할 수 없어 내력이 불충분하고, 0.3질량%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할 뿐만 아니라, 비용 증가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은의 함유량을 0.01~0.3질량%로 한다.
<니켈: 0.1~1.0질량%>
니켈은, 구리에 첨가, 고용시키고, 미세 석출시킴으로써 고강도화하는 작용을 가지는 원소이다. 니켈의 함유량이 0.1질량% 미만이면, 석출 경화는 기대할 수 없어 내력이 불충분하고, 1.0질량%를 넘으면, 도전율을 5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니켈의 함유량을 0.1~1.0질량%로 한다.
<잔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
상술한 성분 이외의 잔부는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이다. 여기서 말하는 불가피 불순물은, 제조 공정상, 불가피하게 포함될 수 있는 함유 레벨의 불순물을 의미한다. 불가피 불순물은, 함유량에 따라서는 도전율을 저하시키는 요인도 될 수 있기 때문에, 도전율의 저하를 가미해 불가피 불순물의 함유량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체의 제조 방법]
상술한 도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1] 용해 및 주조, [2] 열간 가공, [3] 냉간 가공, [4] 열처리, [5] 마무리 가공,의 각 공정을 거쳐 도체를 제조한다. 예를 들면, 슬릿 제법에서는, [1-1] 용해 및 주조, [2-1] 열간 압연, [3-1] 냉간 압연, [4-1] 열처리, [5-1] 마무리 압연,의 각 공정을 거쳐 도체를 제조하고, 소망한 폭의 슬릿 절단을 실시하여, 단면적이 0.75㎟ 이하, 히트 스티어링 휠(핸들의 가온 장치)용 대전류용 도체를 제외하면, 바람직하게는 0.010㎟~0.02㎟인 도체를 복수개 준비한다. 더욱이, 후술한 실시예의 프로세스 A 및 프로세스 B에서는, [1-1] 용해 및 주조 및 [2-1] 열간 압연의 2 공정을 공통 조건으로 하고, 그 후의 [3-1] 냉간 압연, [4-1] 열처리 및 [5-1] 마무리 압연의 3 공정을 다른 조건으로 설정한다.
[1-1] 용해 및 주조
용해 및 주조는, 상술한 동일 합금 조성이 되도록 각 성분의 분량을 조정해 용제하여, 두께 150㎜~180㎜의 잉곳을 제조한다.
[2-1] 열간 압연
계속해서, 상기에서 제조된 잉곳을 600~1000℃으로 열간 압연하고, 두께 10㎜~20㎜의 판재를 제작한다.
[3-1] 냉간 압연
또한, 열간 압연 처리 후의 판재를 냉간 압연하고, 두께 0.02㎜~1.2㎜의 도체를 제작한다. 본 냉간 압연 공정 후, 후술한 열처리 전에, 임의의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4-1] 열처리
이어서, 열처리 조건 200~900℃, 5초~4시간으로, 도체에 열처리를 실시한다. 이 때의 열처리는, 재결정이 목적이면 12㎛ 이하의 결정립직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인 조건은 합금종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3]에서 충분한 냉간 가공이 가해지는 경우, 동석(銅錫)계 합금이면 300~450℃, 30분간 정도 열처리에서 제어 가능하다. 본 열처리가 시효 열처리(aging heat treatment)이면, 시효 열처리는 결정립직경 10㎚ 미만의 미세 석출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도 또한 합금종에 의해 조건이 다르지만, 구리 크롬계 합금이면 400~500℃, 2시간 정도 적당한 온도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구리합금이, 재결정시키는 고용형 합금이면, 열처리 조건을 바꾸어 결정립직경을 확인함으로써 열처리 조건의 적정 범위를 용이하게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시효 열처리를 필요로 하는 석출형 합금이면, 동일하게 열처리 조건을 바꾸어, 석출물 사이즈 확인을 실시하거나, 혹은, 대체로서 기계적 강도가 최고치가 되고, 또한 도전율이 석출에 의해 충분히 높아지는 열처리 조건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석출형 합금의 경우, 본 발명으로 규정하는 범위의 내력에 최종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면, 강도는 저하하지만 고도전성을 꺼낼 수 있는 과시효 열처리를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5-1] 마무리 압연
그 후, 열처리 후의 도체를 마무리 압연하고, 폭 0.1㎜~15㎜, 두께 0.02㎜~0.05㎜의 도체를 제작한다. 마무리 압연의 압하율(두께 감소율)은, 12~98%이다. 상기 [4]에서 재결정시킨 재료는 본 마무리 압연에 의해 그 결정립이 편평하고, 결정립의 긴직경/짧은 직경의 비가 1.5~15 정도가 된다.
[도체의 다른 제조 방법]
상기 슬릿 제법 이외의 다른 제법에서도, 상술한 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선(丸線) 압연 제법이면, 상기 [1-1]~[5-1]의 공정 중 열간 압연이 열간 신선(wire drawing)으로, 냉간 압연이 냉간 신선으로 각각 바뀌어, [1-2] 용해 및 주조, [2-2] 열간 신선, [3-2] 냉간 신선, [4-2] 열처리, [5-2] 마무리 압연, 의 각 공정을 거쳐 도체를 제조하고, 최종 슬릿은 불필요해진다. 또한, 냉간 신선과 열처리 사이에 냉간 압연을 추가하여, [1-3] 용해 및 주조, [2-3] 열간 신선, [3-3] 냉간 신선, 냉간 압연, [4-3] 열처리, [5-3] 마무리 압연의 각 공정을 거쳐 도체를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제법에 있어서, 고용형 합금이면 임의의 여러 차례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체의 특성 등이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면, 도체의 제법에 한정은 없다.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슬릿 제법에 따라 상기 조 공정으로 제조된 경우는 슬릿 절단을 실시하여, 폭방향 단면적이 0.7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인 도체를 소요 수 준비한다. 또한, 환선 압연 제법에서는 슬릿 절단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소망한 형상으로 한 도체(마무리 압연재)를 준비한다. 그리고, 소요 수의 도체의 주면의 양측에 절연 필름을 배치하고, 이들 소요 수의 도체 한 개당 0.3kgf 이상의 장력을 부여하면서, 상기 소요 수의 도체를 접착제를 통해 한 쌍의 절연 필름사이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소요 수의 도체, 접착제 및 한 쌍의 절연 필름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프레스하여 라미네이트 처리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요 수의 도체의 경우, 한 개당 0.3kgf 이상의 장력을 부여하면서 한 쌍의 절연 필름으로 해당 복수의 도체를 사이에 넣어도, 도체의 소성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라미네이트 제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라미네이트 처리 조건이 정해진 소정의 가이드 라인에 따라 플랫 케이블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가이드 라인대로 안전성, 신뢰성이 높은 플랫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플랫 케이블 및 도체의 특성]
본 실시형태의 플랫 케이블에 있어서, 도체는, 부여되는 굴곡 반경이 4㎜~8㎜인 범위에서, 굴곡 반경을 X(단위: ㎜), 0.2%내력을 Y(단위: ㎫), 두께를 t(단위: ㎜), 영률을 E(단위: ㎫)로 했을 때, Y≥ 1.2×t×E/(2X-t)를 만족하고, 또한 도전율이 50%IACS 이상이다. 또한, 상기 부등식은, 도체의 두께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0.02㎜~0.05㎜의 범위 내에서 성립된다. 예를 들면, 굴곡 반경 8㎜, 두께 0.02㎜, 구리 및 구리합금의 일반적인 영률 120000㎫일 때, 도체의 0.2%내력은, 180 ㎫ 이상을 만족한다. 0.2%내력 및 도전율을 각각 상기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종래와 동등한 도전성을 제품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로 유지함과 동시에, 고강도 특성으로 하지 않음으로써, 휨성이나 내좌굴성을 배려하여, 양호한 굴곡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신장율이 5% 미만이다. 신장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굴곡 특성을 개선하여, 보다 소반경에서도 수명을 늘릴 수 있다.
[회전 커넥터 장치의 특성]
상기 플랫 케이블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8㎜ 이하의 굴곡 반경을 유지한 상태로 실시한 20만회의 굴곡 운동 후에 있어서의 해당 플랫 케이블의 긴 방향의 0.2%내력(이하, 잔존 내력이라고도 한다)은, 굴곡 운동 전에 있어서의 상기 긴 방향의 0.2%내력(이하, 초기 내력이라고도 한다)의 80% 이상이다. 상기 굴곡 운동 후에 있어서의 도체의 잔존 내력이 초기 내력의 80% 미만인 경우, 도체의 형상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탄성이 없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굴곡 운동 후의 잔존 내력이 80% 이상인 경우에, 도체가 그 형상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탄성을 유지한다고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주석, 마그네슘, 크롬, 아연, 티탄, 지르코늄, 철, 인, 실리콘, 은 및 니켈을 표 1에 나타낸 함유량이 되도록 조제하고, 주조기를 이용하여, 각 합금 조성을 가지는 구리합금(합금 No.1~No.20)으로 이루어진 두께 150㎜~180㎜의 잉곳을 제작했다. 계속해서, 600~1000℃의 열간 압연에 의해 두께 20㎜의 판재를 제작하고, 그 후 냉간 압연을 실시했다.
상기 공통 공정을 거친 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A에서는, 처리 온도 400℃, 425℃, 450℃ 중 어느 하나, 처리 시간 30분간 또는 2시간으로 판재에 시효 열처리를 실시한 후, 압하율 19%로 마무리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 0.035㎜의 도체를 얻었다. 또한, 프로세스 B에서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 온도 400℃, 425℃, 450℃ 중 어느 하나, 처리 시간 30분간 또는 2시간으로, 판재에 시효 열처리를 실시한 후, 압하율 90% 혹은 77%로 압연 처리를 실시하여, 두께 0.035㎜의 도체를 얻었다. 프로세스 A 및 B에 있어서, 최종 제품인 도체의 두께는 동일하게 했다. 또한, 비교로서의 프로세스 C에서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간 압연 후의 두께 20㎜의 판재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 0.035㎜의 도체를 얻고, 그 후 처리 온도 350℃, 375℃, 400℃, 450℃, 700℃, 750℃, 800℃, 900℃ 중 어느 하나, 처리 온도 15초간, 30분간, 2시간 중 어느 하나로, 도체에 시효 열처리를 실시했다.
제작된 도체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서, 0.2%내력, 도전율(EC), 신장율 및 굴곡 수명의 각 특성, 및 마무리 압연 전의 결정립직경을 각각 측정했다.
(A) 0.2%내력
시험 조건은, JIS Z 2241에 준거하여, 압연 방향을 긴 방향으로서 인장 시험을 실시했다.
(B) 도전율(EC)
전기 저항(또는 전기 전도도)의 기준으로서, 국제적으로 채택된 20℃에 있어서의 소둔 표준 연동(燒鈍標準軟銅)(체적 저항율: 1.7241×10-2μΩm)의 도전율을, 100%IACS로서 규정한다. 각 재료의 도전율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으로, 순동(터프 피치 동, 무산소 동)은 EC=100%IACS, Cu-0.15 Sn, Cu-0.3 Cr에서는, EC=85%IACS 정도이다. 여기서 EC는, Electrical Conductivity의 약칭이며, IACS는, International Annealed Copper Standard를 나타낸다.
한편, 제조 프로세스에 의해 그 도전성은 변화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A와 프로세스 B에서는, 마무리 압연량이 다르기 때문에, 프로세스 B가 약간 도전성이 열화한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재료의 전기 저항은, 도전율 70%IACS 이상이면 상정되는 환경 혹은 설계의 상당 범위에 있어서 충분한 역할을 했다면 양호 「◎」라고 하고, 50~70%IACS이면 사용 환경, SRC 구조 여하에 따라서는 제품 특성이 충분히 있다고 판단해 양호 「○」, 50%IACS 미만이면 그 도체는 부적합하다고 판단해 불량 「×」라고 했다.
(C) 신장율
시험 조건은, JIS Z 2241에 준거하여, 도체의 긴 방향에서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맞대기 신장율(
Figure pct00001
)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의 신장율이 5% 미만인 경우에는 수명을 늘릴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설계 범위를 넓히는 것도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측정치를 명기했다. 또한, 도전율을 다소 희생하여 종래보다 다소 낮은 값이 되는 경우가 있어도, 신장율의 특성을 보다 양호로 함으로써, 굴곡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 성능 밸런스에 따라서는 회전 커넥터 장치에 이용하는 플랫 케이블에 적절한 도체가 된다.
(D) 영률(Young's modulus)
영률은 상기 항목 (A), (C)의 인장 시험으로 얻은 응력-왜곡선의 0.2%내력에 이르지 않는 탄성역으로 한정하고, 응력 변화량을 왜곡변화량에서 제외한 기울기에 상당하는 수치(㎫)를 이용했다. 이 수치는 프로세스에 의해 변화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조성 의존이 컸기 때문에, 대표치만을 표 2에 나타냈다.
(E) 마무리 압연 전의 결정립직경
결정립직경은, 시험 샘플을 폭과 두께의 2 방향 단면에 대해 수지 메우기 및 연마에서 경면을 만들어, 크롬산 등의 에칭액으로 입계 부식시키고, 광학현미경이나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때에 결정립직경을 충분히 판단할 수 있는 상태로 하고 나서, JIS H 0501의 절단법에 준거하여 측정을 실시했다. 측정수는 30에서 100으로 하고, 1 결정립 당 직경의 평균치를 구했다.
(F) 굴곡 수명
FPC 굴곡 시험기(우에시마제작소사제, 장치명 「FT-2130」)를 이용해, 시료 고정판 및 가동판에, 도체를 100㎜의 길이로 절단한 후, 2개를 통전 가능한 가교를 실시하여, 일단을 가동판측에 붙이고, 타단을 연직 방향으로 소망한 직경으로 굴곡시키고, 또한 그 타단을 고정판측에 고정하고, 양 자유단을 측정기에 연결함으로써 굴곡 수명을 판정했다. 2개 중 1개가 단선한 경우에 전압은 측정 불능이 된다는 점에서, 그 시점을 수명으로 판단했다. 시험 조건은, 시험 온도: 20~85℃, 굴곡 반경 X: 반경 4㎜~8㎜(7.5㎜, 6.3 m, 5.5㎜, 4.7㎜), 스트로크(stroke): ±13㎜, 회전 속도: 180rpm로 했다. 전압이 측정 불능이 되었을 때의 굴곡 횟수가 30만회 이상인 경우를, 회전 커넥터가 요구되는 피로 특성을 만족하면 양호 「○」, 30만회 미만인 경우를 불량 「×」라고 했다. 상기 방법으로 측정, 평가한 결과를 표 2~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표 2~4의 결과로부터, 합금 No.1~No.17에서는 모두, 프로세스 A 혹은 프로세스 B를 거쳐 도체를 제조함으로써(표 2 및 표 3), 소망한 반경에 대한 수명이 충분한 내력을 가지며, 도전율이 50~98%IACS의 범위 내의 값이 되었다. 특히 프로세스 B에 있어서, 신장율이 바람직한 범위인 5% 미만이 되었다. 단, 합금 No.1~No.17에서는, 프로세스 C를 거쳐 도체를 제조하면(표 4), 0.2%내력 및 도전율 중 어느 하나 혹은 쌍방이 본 발명의 범위 밖이 되었다.
한편, 합금 No.18에서는, 프로세스 A를 거쳐 도체를 제조한 경우(표 2), 0.2%내력이 본 발명의 범위 밖이 되었다.
합금 No.19, 20은, 프로세스 A를 거쳐 제조한 경우, 내력은 높고 수명 스펙화에는 충분하지만, 도전율이 본 발명의 범위 밖이 되었다. 또한, 프로세스 B, C를 거쳐 제조한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합금 조성에 있어서의 Sn 혹은 Zn의 함유율이, 본 발명의 범위의 상한을 웃도는 것이 원인이다.
이어서, 표 1의 합금 No.으로 나타낸 각 합금과 프로세스 A, B, C(표 2, 표 3, 표 4)의 각 발명 예의 도체를, 0.35kgf 또는 0.2kgf의 장력을 부여하면서, PET 수지 및 접착제의 복합재(리켄테크노스 사제, 에어백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절연 필름), 수지 두께 25㎛, 접착제 두께 20㎛」) 사이에 넣고, 양면으로부터 프레스하고 라미네이트 처리를 실시하여, 플랫 케이블을 제작했다. 라미네이트 처리 조건은, 프레스 온도 165℃, 프레스 시간 3분 간, 프레스 압력 0.5㎫로 했다.
또한, 표 1의 합금 No.18, 19, 20과 프로세스 A(표 2)를 조합,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플랫 케이블을 제작했다.
계속해서, 합금 No.1~No.17, 및 합금 No.18~No.20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서, 라미네이트 제작 시에 있어서의 도체 간의 피치 어긋남(pitch misalignment), 라미네이트 제작 시의 도체 단면적 변화, 및 굴곡 시험 후의 도체 잔존 내력을 관찰, 측정했다. 더욱이, 굴곡 시험 전의 플랫 케이블(초기 제품)에 있어서 슬릿 형성 전의 광폭조의 도전율을 4단자법으로 측정한 후, 굴곡 시험 후의 플랫 케이블에 대해 완전히 동일한 굴곡 시험 환경 하에서 광폭조(12.75㎜)의 도전율을 측정하여, 굴곡 시험 전후로 도전율의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했다.
(G) 라미네이트 제작 시에 있어서의 도체 간 피치 차이의 판정
라미네이트의 도체 간 피치를 0.2㎜~1㎜로 하고, 라미네이트 처리 전의 도체 간 피치와 라미네이트 처리 후의 도체 간 피치를 비교하여, 도체 간 피치의 차이가 1/10 미만인 경우를 양호 「○」, 1/10 이상인 경우를 불량 「×」라고 했다. 라미네이트 제작 시에 있어서의 도체 간 피치의 차이를 평가 항목으로 한 것은, 도체 간 피치의 1/10 이상의 차이가 일어난 경우, 도체가 라미네이트 제작 시의 장력 부족에 따라 늘어짐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라미네이트의 도체 간의 피치 차이는, 도체와 수지 간의 공극 발생이 원인이 되어 굴곡 수명을 저하하는 것이나, 부여 장력의 변화가 일어난 경우는 라미네이트 제조 중에 있어서의 단선 혹은 단면적 감소의 원인이 된다.
(H) 라미네이트 제작 시의 도체 단면적 변화
라미네이트 제작 시의 도체 단면적 변화는, 회전 커넥터 장치에 이용되는 길이의 케이블 양단의 전기 저항 측정에서 확인하여, 라미네이트 제작의 전후로 소수점 이하 1자리수의 오더(단위는 Ω)로 저항 변화가 없는 경우 단면적을 유지했다고 하여 양호 「○」, 저항 변화가 있는 경우를 불량 「×」이라고 했다. 또한 저항 변화와는 별도로, 두께가 3㎛ 이상 감소한 곳이 존재하는지, 혹은 판폭이 0.05㎜ 이상 감소한 곳이 존재하는 경우는, 불량 「×」라고 했다. 두께 혹은 폭은, 광학 현미경으로 확대한 상에서 측정을 실시했다.
(I) 굴곡 시험 후의 도체 잔존 내력의 측정
FPC 굴곡 시험기(우에시마제작소사제, 장치명 「FT-2130」)를 이용하여, 시료 고정판 및 가동판에, 플랫 케이블을 150㎜의 길이로 절단한 각 공시편을 고정하고, 모터부에 의해 가동판을 이동시켜, 굴곡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 조건은, 시험 온도: 20~85℃, 굴곡 반경 X: 반경 4㎜~8㎜, 스트로크: ±13㎜, 회전 속도: 180 rpm로 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20만회의 시험을 실시했다. 굴곡 시험 후, 시험재를 꺼내고, 라미네이트를 크레졸로 용해하고, 굴곡 반경 X를 상기 범위 내에서 유지한 상태로 실시한 20만회의 굴곡 운동 후에 있어서의 도체의 긴 방향의 0.2%내력(잔존 내력)이, 굴곡 시험 전에 있어서의 긴 방향의 0.2%내력(초기 내력)의 80% 이상인 경우, 형상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탄성을 유지했다고 하여 양호 「○」, 20만회의 굴곡 운동 후에 있어서의 도체의 긴 방향의 0.2%내력이 상기 초기 내력의 80% 미만인 경우, 형상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탄성이 없어졌다고 하여 불량 「×」이라고 했다. 상기의 방법에서 측정, 판정한 결과를 표 2~4에 나타낸다.
표 2의 결과로부터, 합금 No.1~No.17에서는, 합금 성분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며, 또한 프로세스 A를 거침으로써 0.2%내력 및 도전율의 쌍방이 양호했다. 또한, 프로세스 A를 거침으로써, 플랫 케이블의 굴곡 수명, 전기 저항, 라미네이트 제작 시의 도체 간 피치 어긋남, 라미네이트 제작 시의 도체 단면적 변화, 굴곡 시험 후의 도체 잔존 내력이 양호해졌다. 특히, 4㎜~8㎜의 범위 중 적어도 6.3㎜ 및 7.5㎜의 굴곡 반경에서, 회전 커넥터 장치의 플랫 케이블에 요구되는 피로 특성(fatigue property)(굴곡 수명)을 충분히 만족하는 것을 알았다. 또한, 표의 한계 굴곡 반경이란, 하기 (1)식을 이용하여, 0.2%내력, 영률 및 두께 t로부터 산출되는 산출치이다.
X=(1.2×E/Y+1)×t/2 ···(1)
여기서, X는 한계 굴곡 반경(단위: ㎜), E는 영률(단위: ㎫), Y는 0.2%내력(단위: ㎫), t는 두께(단위: ㎜)이다. 이 실험 결과와 한계 굴곡 반경의 산출치의 상관관계에 따르면, 상기 (1)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한계 굴곡 반경은, 플랫 케이블의 굴곡 수명이 충분하게 되는 것을 아는 지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굴곡 반경 4㎜~8㎜인 범위에서 보다 엄격한 굴곡 반경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1)식을 이용하여 0.2%내력, 영률 및 두께로부터 한계 굴곡 반경을 산출하고, 산출된 한계 굴곡 반경에 근거해 적절한 합금 및 프로세스를 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1)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산출치 이상의 굴곡 반경이면, 플랫 케이블의 굴곡 수명이 보다 양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1)식을 Y로 정리하여, 이하의 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Y=1.2×t×E/(2X-t) ···(2)
즉, 사양 등에 따른 지정한 굴곡 반경에 근거해 상정되는 최소의 굴곡 반경의 값을 알 수 있으면, 상기 (2)식을 이용하여 해당 최소 굴곡 반경을 한계 굴곡 반경으로 하고, 또한 영률 및 두께를 결정함으로써, 그 한계 굴곡 반경에 있어서 충분한 피로 특성(굴곡 수명)을 얻을 수 있는 0.2%내력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2) 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산출치 이상의 0.2%내력을 가지는 플랫 케이블이면, 보다 양호한 굴곡 수명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표 2의 결과로부터, 합금 No.1~No.17에서는, 프로세스 A를 거침으로써, 라미네이트 제작 시의 도체 간 피치 어긋남, 라미네이트 제작 시의 도체 단면적 변화, 및 굴곡 시험 후의 도체 잔존 내력의 모두 양호하다는 것을 알았다.
한편, 합금 성분이 본 발명의 범위 밖인 합금 No.18에 있어서는, 7.5㎜, 6.3 m, 5.5㎜ 및 4.7㎜의 굴곡 반경에서 굴곡 수명이 불량이 되었다. 또한, 굴곡 시험 후의 도체의 잔존 내력이 초기 내력의 80% 미만이 되어, 재료 강도 부족이 되었다. 이것은, 합금 조성이 본 발명의 범위 밖 이기 때문에 굴곡 시험 중 결정립 조대화를 억제할 수 없고, 도입 왜곡의 경화와 결정립 미세화에 의한 경화 쌍방의 효과를 잃어 버렸기 때문이다. 또한, 합금 성분이 본 발명의 범위 밖인 합금 No.19, 20에서는, 상기와 같이 도전율이 본 발명의 범위 밖이 되었다.
또한, 표 3의 결과로부터, 합금 No.1~No.17에 대해 신장율을 5% 미만으로 하는 프로세스 B를 거침으로써, 프로세스 A를 거쳐 제조한 경우와 비교하여, 동일한 합금으로 보다 심한 굴곡 반경에서도 굴곡 수명이 보다 양호해지고, 특히 바람직한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았다.
표 4의 결과는, 부적합한 프로세스 C를 거친 시작재의 결과이다. 합금 No.1~No.17에 대해 부적합한 프로세스를 거침으로써, 0.2%내력 및 도전율의 한쪽 또는 쌍방이 본 발명의 범위 밖이 되었다. 또한, 예를 들면 내력 부족이 초래하는 단면적 감소를 막기 위해, 합금 No.13, No.14와 같이 장력을 0.35kgf에서 0.20kgf로 내려도, 라미네이트 제작 시의 도체 간 피치 차이를 일으켜 버리기 때문에, 평가 항목의 전부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등식에 있어서, 0.2%내력이 가장 낮아지는 조건인 굴곡 반경 8㎜과, 두께 0.035㎜와, 일반적인 영률 120000㎫를 이용해 계산한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의 0.2%내력의 범위는 315.7㎫ 이상이 되지만, 연동의 경우, 본 발명의 부등식의 범위 밖에 있는 내력을 가지는 경우가 많아, 본 부등식에 준하지 않는다고 추측된다.
1: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11-1, 11-2, 11-3: 도체
11-4, 11-5, 11-6: 도체
12, 13: 한 쌍의 절연 필름
14: 접착제층

Claims (6)

  1. 소요 수의 도체와, 상기 소요 수의 도체를 끼워 넣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절연 필름과, 상기 한 쌍의 절연 필름 사이에 설치된 접착제층을 구비한 플랫 케이블로,
    상기 도체는, 굴곡 반경이 4㎜~8㎜인 범위에서, 굴곡 반경을 X(㎜), 0.2%내력을 Y(㎫), 두께를 t(㎜), 영률(Young's modulus)을 E(㎫)로 했을 때, Y≥1.2×t×E/(2X-t)를 만족하고, 또한 도전율이 50%IAC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긴 방향의 중간 부분에, 만곡되어 뒤집혀 꺾인 반환부(folding back part)가 설치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반환부에서 굴곡을 유지한 상태로 감거나 또는 되감고,
    상기 반환부는, 굴곡 반경 4㎜~8㎜를 유지한 상태로, 반환부를 따라 감거나 또는 되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0.1~0.8질량%의 주석, 0.05~0.8질량%의 마그네슘, 0.01~0.5질량%의 크롬, 0.1~5.0질량%의 아연, 0.02~0.3질량%의 티탄, 0.01~0.2질량%의 지르코늄, 0.01~3.0질량%의 철, 0.001~0.2질량%의 인, 0.01~0.3질량%의 실리콘, 0.01~0.3질량%의 은, 및 0.1~1.0질량%의 니켈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잔부가 구리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의 신장율이 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으로,
    폭방향 단면적이 0.75㎟ 이하인 소요 수의 도체를 준비하고,
    상기 소요 수의 도체에 0.3kgf 이상의 장력을 부여하면서, 상기 소요 수의 도체를, 접착제를 통해 한 쌍의 절연 필름 사이에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랫 케이블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 장치로,
    8㎜ 이하의 굴곡 반경을 유지한 상태로 실시한 20만회의 굴곡 운동 후에 있어서의 상기 플랫 케이블의 긴 방향의 0.2%내력이, 상기 굴곡 운동 전에 있어서의 상기 긴 방향의 0.2%내력의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KR1020187000009A 2016-09-20 2017-07-18 플랫 케이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및 플랫 케이블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 장치 KR102367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82882 2016-09-20
JP2016182882 2016-09-20
PCT/JP2017/025928 WO2018055884A1 (ja) 2016-09-20 2017-07-18 フラットケー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を備える回転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373A true KR20190058373A (ko) 2019-05-29
KR102367066B1 KR102367066B1 (ko) 2022-02-24

Family

ID=6168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009A KR102367066B1 (ko) 2016-09-20 2017-07-18 플랫 케이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및 플랫 케이블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88427B2 (ko)
EP (1) EP3518254B1 (ko)
JP (1) JP6762325B2 (ko)
KR (1) KR102367066B1 (ko)
CN (1) CN108496228B (ko)
WO (1) WO20180558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3735B2 (en) 2018-09-06 2023-09-12 Proterial, Ltd. Nickel-coated copper foi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1009357B (zh) * 2020-01-16 2021-04-27 广东田津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抗氧化防锡须的ffc线材制作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3302A (en) 1970-02-27 1972-01-11 Karl R Lewis Cylinder mechanism for revolver-type firearms
US4734695A (en) 1984-10-04 1988-03-29 Light Signatures, Inc. Secure card and sensing system
JPH07141922A (ja) * 1993-11-19 1995-06-02 Nitto Denko Corp フラットケ−ブル
JPH11111070A (ja) * 1997-10-02 1999-04-23 Sumitomo Electric Ind Ltd 高屈曲フラット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9558A (en) * 1978-06-30 1981-09-15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fiber lightguides into a planar array
JPS6086545A (ja) 1983-10-17 1985-05-16 Fujitsu Ltd マスク保護膜
US6688898B2 (en) * 1997-11-28 2004-02-10 Furukawa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JP4734695B2 (ja) 2000-07-07 2011-07-27 日立電線株式会社 耐屈曲フラットケーブル
JP4193381B2 (ja) * 2001-07-16 2008-12-10 日立電線株式会社 耐屈曲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044805B2 (ja) * 2002-07-30 2008-02-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フラットシールドケーブル
JP2004119036A (ja) * 2002-09-24 2004-04-1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絶縁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JP2008021555A (ja) * 2006-07-13 2008-01-31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KR101158113B1 (ko) * 2006-10-02 2012-06-19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전기 전자 부품용 동 합금판
KR101521408B1 (ko) * 2009-01-26 2015-05-18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배선용 전선 도체, 배선용 전선 도체의 제조방법, 배선용 전선 및 구리합금 소선
KR20120104553A (ko) * 2009-12-02 2012-09-21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저영율을 갖는 구리합금판재 및 그 제조법
JP5589756B2 (ja) * 2010-10-20 2014-09-17 日立金属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664525B2 (ja) * 2011-04-07 2015-02-04 日立金属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KR101467655B1 (ko) * 2011-06-16 2014-12-01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랫 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
WO2014017649A1 (ja) * 2012-07-26 2014-01-3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DE112012001747T5 (de) * 2012-09-28 2014-02-06 Hayashi Industry Co., Ltd. Stromanschlussschiene für die Verwendung in einem Elektromotor
JP6039999B2 (ja) * 2012-10-31 2016-12-07 Dowaメタルテック株式会社 Cu−Ni−Co−Si系銅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法
CN108281214B (zh) * 2016-06-09 2019-06-07 江苏亚威变压器有限公司 一种电力损耗低的干式变压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3302A (en) 1970-02-27 1972-01-11 Karl R Lewis Cylinder mechanism for revolver-type firearms
US4734695A (en) 1984-10-04 1988-03-29 Light Signatures, Inc. Secure card and sensing system
JPH07141922A (ja) * 1993-11-19 1995-06-02 Nitto Denko Corp フラットケ−ブル
JPH11111070A (ja) * 1997-10-02 1999-04-23 Sumitomo Electric Ind Ltd 高屈曲フラット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47734A1 (en) 2018-08-30
EP3518254B1 (en) 2023-02-15
JPWO2018055884A1 (ja) 2019-07-04
KR102367066B1 (ko) 2022-02-24
US10388427B2 (en) 2019-08-20
EP3518254A1 (en) 2019-07-31
CN108496228B (zh) 2020-11-03
EP3518254A4 (en) 2020-05-20
CN108496228A (zh) 2018-09-04
WO2018055884A1 (ja) 2018-03-29
JP6762325B2 (ja) 202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790B1 (ko) 회전 커넥터 장치
TWI441197B (zh) Conductive wire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wiring for wiring using it
EP2381001B1 (en) Aluminum alloy wire
JP4948678B2 (ja) 銅合金板材、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並びにこれを製造する銅合金板材の製造方法
CN106460099B (zh) 铜合金板材、由铜合金板材构成的连接器和铜合金板材的制造方法
WO2007066697A1 (ja) 配線用電線導体、配線用電線、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60070089A (ko) 구리 합금선, 구리 합금 연선, 피복 전선, 와이어 하니스 및 구리 합금선의 제조 방법
JP6696895B2 (ja) 圧延銅箔、圧延銅箔の製造方法、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WO2012133634A1 (ja) アルミニウム合金導体
WO2008032784A1 (en) Copper-based deposited alloy board for contact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2013161351A1 (ja) Cu-Ni-Si系銅合金
KR20120011309A (ko) 동합금 판재 및 그 제조 방법
JP5132467B2 (ja) 導電率および強度に優れる電気・電子部品用銅合金およびSnめっき銅合金材
EP2267172A1 (en) Copper alloy material for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
KR101599653B1 (ko) 버스바용 판상 도전체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버스바
KR20190058373A (ko) 플랫 케이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및 플랫 케이블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 장치
JP6283048B2 (ja) 電気電子部品用銅合金条
JP2007169764A (ja) 銅合金
JP4887868B2 (ja) Cu−Ni−Sn−P系銅合金およびその製造法
JP6809957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該フラットケーブルを備える回転コネクタ装置、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19029082A (ja) 回転コネクタ装置及び該回転コネクタ装置のフラットケーブルを構成する導体の製造方法
WO2013121620A1 (ja) コルソン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7145683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619389B2 (ja) Cu−Ni−Si系銅合金
CN113891949B (zh) 铜合金板材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