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349A - 공압 펌프와 펌프에 압축가스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펌핑 설비 - Google Patents

공압 펌프와 펌프에 압축가스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펌핑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349A
KR20190058349A KR1020180143662A KR20180143662A KR20190058349A KR 20190058349 A KR20190058349 A KR 20190058349A KR 1020180143662 A KR1020180143662 A KR 1020180143662A KR 20180143662 A KR20180143662 A KR 20180143662A KR 20190058349 A KR20190058349 A KR 20190058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tate
pneumatic pump
actuator
compress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부시프 칼디
Original Assignee
엑셀 인더스트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셀 인더스트리스 filed Critical 엑셀 인더스트리스
Publication of KR20190058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2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 F04B49/03Stopping, starting, unloading or idling control by means of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0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0Other safety measures
    • F04B49/103Responsive to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8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 F04B9/1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1/00Pump parameters
    • F04B2201/06Valve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5/00Fluid parameters
    • F04B2205/09Flow through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01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Nozzl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펌핑 설비(16)는 유체(12)를 펌핑하기 위한 공압 펌프(22)와, 상기 공압 펌프(22)에 압축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24)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 시스템(24)응 압축가스의 공급원(34)과, 상기 공급원(34)을 상기 공압 펌프(22)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유체 연결관(fluidic connection)(3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펌핑 설비(16)는 상기 공압 펌프(22)에 압축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38)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38)은 상기 유체 연결관(36)에 장착되고, 차단 상태(blocking state)와 통과 상태(passing state)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밸브(40)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상태에서 상기 밸브(40)는 상기 공급원(34)과 상기 공압 펌프(22) 사이에서의 압축가스의 흐름을 방지하고, 상기 통과 상태에서 상기 밸브(40)는 상기 공급원(34)과 상기 공압 펌프(22) 사이에서의 압축가스의 순환을 허용한다.

Description

공압 펌프와 펌프에 압축가스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펌핑 설비{Pumping installation comprising a pneumatic pump and a valve for regulating supply of the pump with compressed gas}
본 발명은 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공압 펌프(pneumatic pump)를 포함하는 유형의 펌핑 설비(pumping installation)와 공압 펌프에 압축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급 시스템은 압축가스의 공급원과 상기 공급원을 공압 펌프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유체 연결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비는, 코팅될 표면상에 코팅 제품을 분무하기 위한 도포기(applicator)와, 코팅 제품을 펌핑하며 코팅 제품을 도포기에 공급하기 위한 펌핑 설비를 포함하는 유형의, 코팅될 표면상에 코팅 제품을 분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코팅 제품(coating product) 분무 설비들, 예를 들어 분무 페인팅(spray painting)에 있어서, 전형적으로 분무기들(spray guns)로 구성되는 도포기(applicator)는 일반적으로 펌핑 설비에 의해 압력하에서 코팅 제품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펌핑 설비는 보통 통상적으로 "페인트 키친(paint kitchen)"으로 불리는 건물의 전용 룸에 설치된 공압 펌프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펌프는 코팅 제품을 깨끗한 캔(can) 내에 주입한다.
이러한 펌프들은 압축가스, 일반적으로 공기를 공급받으며, 이는 캔 내부로의 코팅 제품의 흡입과 펌프를 상기 설비의 도포기들 중 하나에 연결하는 유체 연결관을 통한 코팅 제품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움직임에 의해 펌프들을 구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압축가스에 의해 제공된 힘은 펌프 덕트들(ducts) 내에서 코팅 제품의 순환과 원하는 압력에서 도포기를 향한 코팅 제품의 전달에 기인한 압력 손실을 보상하도록 준비된다.
그러나, 코팅 제품 저장고가 비었을 때, 문제가 발생된다. 사실, 이 단계에서, 압축가스에 의해 제공된 힘이 코팅 제품의 저항과 더 이상 맞지 않기 때문에, 펌프는 말라버린 코팅 제품을 더 이상 흡입할 수 없으며, 펌프는 폭주하게 되고, 이는 펌프의 부품들을 손상시키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성은 펌프들이 특정한 룸 내에 고립되어 있고, 펌프들 중 하나의 폭주(runaway)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조작자가 근처에 없을 때 더 커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반-폭주(anti-runaway) 장치들을 장착한 펌프들이 제안되었으며, 반-폭주 방치는 가압된 가스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 잠그는 멤브레인들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압력하의 가스의 도착을 막는다. 그러나, 이러한 반-폭주 장치들은 신뢰성이 없다.
펌프들과는 관계없는 반-폭주 장치들이 제안되었으며, 이들은 펌프가 폭주하는 경우에 복잡한 공압적 로직을 통해 펌프로의 압축가스 공급을 차단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반-폭주 장치들은 매우 비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팅 제품 펌프의 폭주의 위험을 제한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안된 해법으로 기존 설비들의 개조를 허용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유형의 펌핑 설비(pumping installation)이며, 여기서 상기 펌핑 설비는 상기 공압 펌프로의 압축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유체 연결관에 장착되며 차단 상태(blocking state)와 통과 상태(passing state)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상태에서 상기 밸브는 공급원과 상기 공압 펌프 사이의 압축가스의 흐름을 방지하며, 상기 통과 상태에서 상기 밸브는 상기 공급원과 상기 공압 펌프 사이의 압축가스의 순환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설비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 조합에 따라 아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진다.
- 상기 제어 시스템은 자동 밸브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제어 시스템은 파라미터(parameter)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의해 생성되며 모니터링되고 있는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를 통과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밸브에 작용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 상기 모니터링된 파라미터는 상기 공압 펌프의 상태를 나타낸다.
- 상기 센서는 상기 공압 펌프의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상태를 검출한 때 미리 결정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기 신호가 발생된 때 이 전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이 전기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밸브를 통과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설계된다.
- 상기 미리 결정된 상태는 상기 공압 펌프의 폭주 상태(runaway state)를 포함한다.
- 상기 밸브는, 내부에 압축가스를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몸체(body)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를 닫는 닫힌 위치(closed position)와 상기 통로를 해방시키는 열린 위치(open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몸체에 대해 이동하도록 장착된 밸브, 및 상기 밸브를 닫힌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밸브 복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밸브를 열린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 상기 액추에이터는 활성 상태(active state)와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e)를 가지며, 활성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열린 밸브에 상기 밸브를 열린 위치에 유지시키는 힘을 가하고, 비활성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열린 밸브에 힘을 가하지 않는다.
-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류를 공급받지 않을 때 활성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전류를 공급 받을 때 비활성 상태가 될 수 있다.
-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자기 잠금장치(electromagnetic lock), 특히 영구자석 전자기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가 열릴 때 상기 전자기 잠금장치에 대하여 힘을 받기 위해, 그리고 상기 밸브가 닫힐 때 상기 전자기 잠금장치로부터 떨어져 유지되기 위해, 상기 밸브와 함께 이동 가능한 금속 카운터플레이트(counterplate)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 잠금장치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활성 상태일 때, 상기 카운터플레이트의 편향력(biasing force)을 상기 카운터플레이트의 가압된 위치를 향해 가할 수 있으며, 상기 편향력은, 상기 밸브가 열릴 때에는 복원력(restoring force)보다 크고, 상기 밸브가 닫힐 때에는 복원력보다 작다.
- 상기 밸브는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몸체에 대하여 병진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밸브를 차단 상태로부터 통과 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해, 수동 작동 버튼(manually-operated button), 특히 푸쉬 버튼을 포함한다.
- 상기 펌핑 설비는 내부에 상기 공압 펌프가 설치된 격납실(containment enclosure)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격납실 외부에 배치된다.
- 상기 펌핑 설비는 유체를 담는 저장고(reservoir), 특히 캔(can)을 포함하며, 상기 공압 펌프는 상기 저장고 내에 담겨 있는 유체를 펌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될 표면상에 코팅 제품(coating product)을 분무하기 위한 전술한 유형의 설비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펌핑 설비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펌핑 설비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관하여 예로서 단독으로 주어진 아래의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 설비의 개략도를 보여주며;
도 2는 도 1의 분무 설비의, 통과 상태의, 밸브의 단면도를 보여주며;
도 3은 도 2와 유사한 도면을 보여주며, 여기서 밸브는 차단 상태이다.
도 1에 도시된 분무 설비(spraying installation)(10)는 유체 코팅 제품(fluid coating product)(12), 전형적으로 페인트를 코팅될 표면(미도시)상에 분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분무 설비(10)는, 코팅될 표면상에 코팅 제품(12)의 도포를 위한 도포기(applicator)(14)와, 코팅 제품(12)을 펌핑하기 위한 펌핑 설비(pumping installation)(16)와, 상기 펌핑 설비(16)에 의해 펌핑된 코팅 제품을 상기 도포기(14)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펌핑 설비(16)를 상기 도포기(14)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유체 연결관(fluid connection)(18)을 포함한다.
상기 도포기(14)는 일반적으로 분무기(spray gun)를 포함한다. 상기 도포기(14)는 상기 유체 연결관(18)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코팅 제품 공급구(19)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 설비(16)는, 코팅 제품(12)을 담는 저장고(20), 상기 저장고(20) 내에 담겨 있는 코팅 제품(12)을 펌핑하기 위한 공압 펌프(22), 및 상기 공압 펌프(22)에 압축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24)을 포함한다. 상기 펌핑 설비(16)는 또한 상기 저장고(20)와 펌프(22)가 배치된 격납실(containment chamber)(25)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고(20)는 일반적으로 캔(can)의 형태이다.
상기 공압 펌프(22)는, 알려진 방식에서, 상기 저장고(20) 내에 삽입되며 코팅 제품(12)용 흡입구(suction port)(28)를 형성하는 프로브(prove)(26), 상기 유체 연결관(18)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코팅 제품(12)용 배출구(discharge port)(30), 압축가스의 팽창으로부터 파워를 인출하여 펌핑 부재들(미도시)의 운동을 초래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구(28)를 통해 코팅 제품(12)을 흡입할 수 있고 그 다음에 코팅 제품을 상기 배출구(30)를 향해 밀 수 있는 공압 모터(pneumatic motor)(미도시), 및, 일반적으로, 상기 공압 모터의 변위(displacement)의 반전(inversion)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공압 펌프(22)는 또한 상기 펌프(22)에 압축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32)를 포함한다.
상기 공압 모터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반전 시스템은, 예를 들어, 상기 공압 모터의 왕복 운동을 초래하기 위해 상기 모터의 두 개의 캐비티들에 압축가스를 번갈아 공급하기 위한 분배기(distributor), 및 상기 모터가 변위의 종점에 도달한 때를 검출하기 위한 스트로크 센서들(stroke sensors)을 포함하며, 이에 응답하여 압축가스가 공급되는 모터 캐비티를 변경하도록 상기 분배기를 제어한다.
상기 공급 시스템(24)은, 압축가스의 공급원(34), 상기 공급원(34)을 상기 펌프(22)의 공급구(32)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유체 연결관(36), 상기 펌프(22)에 압축가스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시스템(38)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원(34)은 압축가스, 예를 들어,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급원(34)은 일반적으로 압축기, 특히 공기 압축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시스템(38)은, 상기 격납실(25) 외부에, 상기 유체 연결관(36)에 장착된 밸브(40)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40)는 차단 상태(blocking state)와 통과 상태(passing state)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차단 상태에서 상기 밸브(40)는 상기 공급원(34)과 상기 공압 펌프(22) 사이에서의 압축가스의 흐름을 방지하고, 상기 통과 상태에서 상기 밸브(40)는 상기 공급원(34)과 상기 공압 펌프(22) 사이에서의 압축가스의 순환을 허용한다. 상기 제어 시스템(38)은 또한 상기 밸브(40)를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42)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 연결관(36)은 상기 공급원(34)과 밸브(40) 사이의 상류 섹션(upstream section)(37)과, 상기 밸브(40)와 펌프(22) 사이의 하류 섹션(39)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40)는, 내부에 압축가스를 위한 통로(46)를 형성하는 몸체(body)(44),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상기 몸체(44)에 대해 이동하도록 장착된 밸브(48)를 포함하며, 상기 닫힌 위치에서 상기 밸브(48)는 상기 통로(46)를 닫고, 상기 열린 위치에서 상기 밸브(48)는 상기 통로(46)를 해방시키며, 상기 밸브(48)의 열린 위치는 상기 밸브(40)의 통과 상태에 대응되고, 상기 밸브(48)의 닫힌 위치는 상기 통로(46)의 차단 상태에 대응된다. 상기 밸브(40)는 상기 밸브(48)를 닫힌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부재(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통로(46)는, 상기 유체 연결관(36)의 상류 섹션(37)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상류 포트(upstream port)(52)를 통해 상기 몸체(44)의 외부로 열리며, 하류 포트(54)를 통해 상기 유체 연결관(36)의 하류 섹션(39)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통로는, 상기 상류 포트(52)를 통해 몸체(44) 외부로 열리는 상류 섹션(56)과, 상기 하류 포트(54)를 통해 몸체(44) 외부로 열리는 하류 섹션(58)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상류 섹션(56)은 횡단 방향(transverse direction)(T)으로 지향된 제1 직선 채널(60)과, 횡단 방향(T)에 대해 직각인 길이 방향(L)으로 지향된 제2 직선 채널(62)을 포함한다. 상기 하류 섹션(58)은 횡단 방향(T)으로 지향된 제3 직선 채널(64)과, 상기 제2 채널(64)의 연장으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채널(62)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진 캐비티(cavity)(66)와, 상기 제3 채널(64)과 상기 캐비티(66) 사이의 유체 연결 통로(6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채널(0)은 상류 포트(52)를 통해 상기 몸체(44) 외부로 열리며, 상기 제3 채널(64)은 하류 포트(54)를 통해 상기 몸체(44) 외부로 열린다.
상기 제2 채널(62)은 상기 캐비티(66) 내부로 그리고 상기 몸체(44) 외부로 열린다.
삼기 몸체(44)는, 상류 섹션(56)과 하류 섹션(58) 사이의 연결부에, 닫힌 위치의 밸브(48)를 위한 시트(seat)(70)를 형성한다. 이 시트(70)는, 도시된 예에서, 상기 제2 채널(62)이 상기 캐비티(66) 내부로 열리는 포트(port)를 둘러싸는 어깨부(shoulder)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48)는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상기 몸체(44)에 대해 길이 방향(L)을 따라서 병진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밸브(48)는, 도시된 예에서, 상기 제2 채널(62) 내에 결합된 샤프트(72)와 통합되며, 상기 샤프트(72)는 상기 제2 채널(62)의 단면의 90%보다 작은 단면을 가진 좁은 섹션(74)과, 상기 제2 채널(62)의 단면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단면을 가진 넓은 섹션(76)을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샤프트(72)는 상기 제2 채널(62)과 함께 상기 몸체(44)에 대한 상기 밸브(48)의 병진 운동의 안내를 위한 가이드(guide)를 형성한다.
상기 좁은 섹션(74)은, 특히, 상기 밸브(48)와 넓은 섹션(76)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넓은 섹션(76)은 상기 밸브(48)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이 거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48)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48)로부터 상기 제1 채널(60)까지의 거리보다 멀다. 따라서, 상기 밸브(48)가 열린 때 상기 제1 채널(60)은 넓은 섹션(76)에 의해 닫히지 않는다.
상기 넓은 섹션(76)의 둘레에, 넓은 섹션(76)과 상기 제2 채널(62)의 벽 사이에 밀봉재(seal)(78)가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제2 채널(62)이 몸체(44) 외부로 열리는 단부를 통해 압축가스가 상기 몸체(44)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밸브(48)는 환형 밀봉재(annular seal)(80)를 포함한다. 이 환형 밀봉재(80)는 상기 밸브(48)가 닫힌 때 상기 시트(70)에 대하여 지탱되는 상기 밸브(48)의 표면(82)을 형성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밸브(48)는 상기 캐비티(66)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복원 부재(restoring member)(50)는, 도시된 예에서, 상기 캐비티(66) 내에, 상기 밸브(48)와 상기 캐비티(66)의 바닥(84) 사이에, 수용된 압축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40)는, 상기 몸체(44)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48)가 닫힌 때 상기 몸체(44)에 가까운 위치를 취하고 상기 밸브(48)가 열린 때 상기 몸체(44)로부터 떨어진 위치를 취하기 위해 상기 밸브(48)와 함께 이동 가능한 금속 카운터플레이트(counterplate)(86)를 포함한다.
상기 카운터플레이트(86)는 상기 밸브(48)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밸브(48)는 상기 시트(70)와 카운터플레이트(86)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카운터플레이트(86)는, 특히, 상기 밸브(48)의 병진 운동과 통합된다. 이를 위해, 도시된 예에서, 카운터플레이트(86)는 상기 샤프트(72)에, 일반적으로 나사 체결되어, 장착되며 상기 캐비티(66)의 바닥(84) 내부로 그리고 상기 몸체(44) 외부로 열린 개구(opening)(88)를 통해 연장된 샤프트(87)와 함께 만들어진다. 특히, 밀봉재(89)가 상기 개구(88) 내에서 상기 샤프트(87)를 둘러싸며 상기 캐비티(66)와 상기 몸체(44)의 외부 사이의 밀봉을 보장한다.
도 1로 돌아가서, 상기 자동 제어 시스템(42)은,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90), 및 상기 센서(90)에 의해 생성되며 모니터링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40)를 통과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자동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밸브(40)에 작용하는 액추에이터(92)(도 2)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90)는 상기 격납실(25) 내에 배치된 제1 부분(94)과, 격납실(25) 외부에 배치된 제2 부분(96)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94)은 정상 작동 중에는 제1 상태를 취하고, 모니터링된 파라미터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확인해 줄 때에는 제2 상태를 취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2 상태는 미리 결정된 조건이 확인된 경우에 따라 다르다.
상기 모니터링된 파라미터는 여기서 상기 펌프(22)의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상기 펌프(22)의 상태가 미리 결정된 상태, 일반적으로 상기 펌프(22)의 폭주(runaway)의 형태로 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모니터링된 파라미터는 아래의 파라미터로 구성될 수 있다.
- 상기 저장고(20) 내에 담겨 있는 코팅 제품(12)의 레벨(level),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이 레벨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작은 것이며,
- 상기 펌프(22)의 모터에서 상기 코팅 제품(12)의 누설의 정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특히, 상기 펌프(22)의 효율의 정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예를 들어, 상기 펌프(22)를 떠나는 코팅 제품(12)의 흐름과 들어오는 코팅 제품(12)의 흐름 사이의 비율,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이 비율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작은 것이고, 또는
- 상기 펌프(22)의 모터에서 공압 누설의 레벨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예를 들어, 상기 펌프(22)에 의해 소비되는 유량, 여기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이 유량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작은 것이다.
상기 제2 부분(96)은, 상기 제1 부분(94)이 제2 상태일 때, 그리고 상기 제1 부분(94)이 제2 상태일 때에만 배타적으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부분(96)은 미리 결정된 조건이 확인된 때, 그리고 미리 결정된 조건이 확인된 때에만 배타적으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92)는 전기 신호가 발생된 때 전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센서(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전기적 연결수단(98)이 상기 액추에이터(90)를 상기 센서(90)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액추에이터(2)는 상기 카운터플레이트(86)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전자기 잠금장치(electromagnetic lock), 특히 영구자석 전자기 잠금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카운터플레이트(86)는 상기 밸브(48)와 상기 잠금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밸브(48)가 열린 위치일 때, 상기 카운터플레이트(86)가 잠금장치에 대하여 가압되고, 상기 밸브(48)가 닫힌 위치일 때, 상기 카운터플레이트(86)가 잠금장치로부터 떨어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92)는, 전류가 없을 때, 카운터플레이트(86)를 액추에이터(92)에 대하여 가압되는 위치 쪽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가 카운터플레이트(86)에 자기력을 가하는 활성 상태를 가지며, 전류가 공급될 때, 액추에이터가 카운터플레이트(86)에 이러한 편향력(biasing force)을 가하지 않는 비활성 상태를 가진다.
상기 복원 부재(50)와 상기 액추에이터(92)의 자화력(magnetizing force)은, 카운터플레이트(86)가 액추에이터(92)에 대하여 가압될 때, 액추에이터(92)에 의해 카운터플레이트(86)에 가해지는 편향력이 상기 복원 부재(50)의 복원력보다 더 크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92)는 상기 밸브(48)를 열린 위치에 유지할 수 있으며, 편향력은, 상기 밸브(48)가 열린 위치일 때, 상기 밸브(48)를 열린 위치에 유지시키는 힘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92)에 전류가 공급될 때, 이러한 유지력이 제거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액추에이터가 상기 센서(90)의 제2 부분(96)에 의해 발생된 전기 신호를 수신한 때, 이러한 유지력의 제거는 오직 상기 밸브(48)에 계속 적용되는 힘, 즉 상기 부재(50)의 복원력만의 영향하에서 자동적으로 상기 밸브(48)의 닫힌 위치로의 이동을 초래하며, 상기 액추에이터(92)는 상기 센서(90)의 제2 부분(96)에 의해 발생된 전기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밸브(48)를 통과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복원 부재(50)와 상기 액추에이터(92)의 자화력은, 상기 밸브(48)가 닫힌 때, 상기 액추에이터(92)에 의해 카운터플레이트(86)에 가해진 편향력이 상기 복원 부재(50)의 복원력보다 작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92)는 상기 밸브(48)를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다.
상기 밸브(48)가 열린 위치로 돌아가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어 시스템(3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40)를 차단 상태로부터 통과 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수동-작동 버튼(manually-actuated button)(100)을 포함한다. 이 버튼(100)은, 특히, 상기 밸브(48)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푸쉬 버튼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70)는 상기 밸브(48)와 버튼(100)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100)을 단순히 누르는 것은 상기 시트(70)로부터 떨어지는 밸브(100)의 이동을 초래하고, 이런 방식으로, 상기 밸브(48)가 열린 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펌프(22)가 폭주하기 시작하자마자 곧 압축가스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펌프(22)가 폭주하는 어떠한 위험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상기 제어 시스템(38)이 간단한 디자인을 가지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경제적으로 달성되며, 또한 상기 밸브(40)의 차단 상태로의 전환이 봉쇄될 위험이 없기 때문에 신뢰성 있게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 시스템(38)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한 전부이기 때문에, 기존 설비의 용이하고 경제적인 개조를 허용한다.

Claims (15)

  1. 유체(12)를 펌핑하기 위한 공압 펌프(pneumatic pump)(22)와, 상기 공압 펌프(22)에 압축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24)을 포함하는 펌핑 설비(pumping installation)(16)로서,
    상기 공급 시스템(24)은 압축가스의 공급원(source)(34)과, 상기 공급원(34)을 상기 공압 펌프(22)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유체 연결관(fluidic connection)(36)을 포함하며,
    상기 펌핑 설비(16)는 상기 공압 펌프(22)로의 압축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38)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38)은, 상기 유체 연결관(36)에 장착되며 차단 상태(blocking state)와 통과 상태(passing state)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밸브(40)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상태에서 상기 밸브(40)는 상기 공급원(34)과 상기 공압 펌프(22) 사이의 압축가스의 흐름을 방지하며, 상기 통과 상태에서 상기 밸브(40)는 상기 공급원(34)과 상기 공압 펌프(22) 사이의 압축가스의 흐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38)은 상기 밸브(40)의 자동 제어를 위한 자동 제어 시스템(42)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제어 시스템(42)은 파라미터(parameter)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90)와, 상기 센서(90)에 의해 생성되며 모니터링되고 있는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40)를 통과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밸브(40)에 작용하는 액추에이터(2)를 포함하는, 펌핑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된 파라미터는 상기 공압 펌프(22)의 상태인, 펌핑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90)는 상기 공압 펌프(22)의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상태를 검출한 때 미리 결정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되며, 상기 액추에이터(92)는 전기 신호가 발생된 때 이 전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센서(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액추에이터(92)는 이 전기 신호를 수신한 때 상기 밸브(40)를 통과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더 설계되는, 펌핑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상태는 상기 공압 펌프(22)의 폭주 상태(runaway state)를 포함하는, 펌핑 설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40)는, 내부에 압축가스를 위한 통로(46)를 형성하는 몸체(body)(44), 상기 통로(46)를 닫는 닫힌 위치(closed position)와 상기 통로(46)를 해방시키는 열린 위치(open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몸체(44)에 대해 이동하도록 장착된 밸브(48), 및 상기 밸브(48)를 닫힌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부재(50)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92)는 상기 밸브(48)를 열린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설계되는, 펌핑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92)는 활성 상태(active state)와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e)를 가지며, 활성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92)는 열린 밸브(48)에 상기 밸브(48)를 열린 위치에 유지시키는 힘을 가하고, 비활성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92)는 상기 열린 밸브(48)에 유지력(retaining force)을 가하지 않는, 펌핑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92)는 전류를 공급받지 않을 때 활성 상태가 되고, 전류를 공급 받을 때 비활성 상태가 되도록 설계되는, 펌핑 설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92)는 전자기 잠금장치(electromagnetic lock)를 포함하는, 펌핑 설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40)는, 상기 밸브(48)가 열릴 때 상기 전자기 잠금장치에 대하여 가압되기 위해, 그리고 상기 밸브(48)가 닫힐 때 상기 전자기 잠금장치로부터 떨어지기 위해, 상기 밸브(48)와 함께 이동 가능한 금속 카운터플레이트(counterplate)(86)를 포함하며, 전자기 플런저는, 상기 액추에이터(92)가 활성 상태일 때, 상기 카운터플레이트(86)에 상기 카운터플레이트(86)의 편향력(biasing force)을 상기 카운터플레이트(86)의 가압된 위치를 향해 가할 수 있으며, 상기 편향력은, 상기 밸브(48)가 열릴 때에는 복원력(restoring force)보다 크고, 상기 밸브(48)가 닫힐 때에는 복원력보다 작은, 펌핑 설비.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48)는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길이 방향(L)으로 상기 몸체(44)에 대하여 병진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펌핑 설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38)은 상기 밸브(40)를 차단 상태로부터 통과 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수동 작동 버튼(manually operated button)(100)을 포함하는, 펌핑 설비.
  13.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공압 펌프(22)가 설치된 격납실(containment enclosure)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40)는 상기 격납실(25) 외부에 배치되는, 펌핑 설비.
  14. 제1항에 있어서,
    유체(12)를 담는 저장고(reservoir)(20)를 포함하며, 상기 공압 펌프(22)는 상기 저장고(20) 내에 담겨 있는 유체(12)를 펌핑할 수 있는, 펌핑 설비.
  15. 코팅될 표면상에 코팅 제품(coating product)을 분무하기 위한 설비(10)로서,
    코팅될 표면상에 코팅 제품을 분무하기 위한 도포기(applicator)(14), 및 코팅 제품을 펌핑하며 상기 도포기(14)에 코팅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펌핑 설비(16)를 포함하는, 설비.
KR1020180143662A 2017-11-20 2018-11-20 공압 펌프와 펌프에 압축가스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펌핑 설비 KR201900583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60919 2017-11-20
FR1760919A FR3073906A1 (fr) 2017-11-20 2017-11-20 Installation de pompage comprenant une pompe pneumatique et une vanne pour reguler l'alimentation de la pompe en gaz compri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349A true KR20190058349A (ko) 2019-05-29

Family

ID=6102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662A KR20190058349A (ko) 2017-11-20 2018-11-20 공압 펌프와 펌프에 압축가스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펌핑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54934B2 (ko)
EP (1) EP3486483B1 (ko)
JP (1) JP7228995B2 (ko)
KR (1) KR20190058349A (ko)
CN (1) CN110030183B (ko)
FR (1) FR3073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8476A (zh) * 2019-11-14 2020-02-04 张云轩 一种空气压缩机气压气流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24528A (fr) * 1955-04-05 1956-10-12 Pompe à liquide fonctionnant au gaz comprimé
JPS5667380U (ko) * 1979-10-29 1981-06-04
JPH067890B2 (ja) * 1987-02-04 1994-02-02 倉敷紡績株式会社 循環▲ろ▼過システムのモニタ装置
EP0350605A3 (de) * 1988-07-12 1990-09-19 Wagner International Ag Zweikomponenten-Sprüheinrichtung
US4981418A (en) * 1989-07-25 1991-01-01 Osmonics, Inc. Internally pressurized bellows pump
US5174722A (en) * 1991-08-09 1992-12-29 Bomar Corporation Safety shutdown circuit for pneumatic pump system
CN1257353C (zh) * 2001-08-31 2006-05-24 工学博士马里奥·科扎尼有限责任公司 对压缩机或类似物的大截面流量进行控制的阀
US6640556B2 (en) * 2001-09-19 2003-11-04 Westport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umping a cryogenic fluid from a storage tank
US9158308B2 (en) * 2011-05-13 2015-10-13 Fluke Corporation Apparatus using electronically-controlled valves
US20120315163A1 (en) * 2011-06-13 2012-12-13 Mi Yan Air-driven hydraulic pump with pressure control
CN102758768A (zh) * 2012-07-23 2012-10-31 王文海 水泵出口气动蝶阀系统
US10480494B2 (en) * 2015-06-29 2019-11-19 Carlisle Fluid Technologies, Inc. Runaway valve system for a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94898A (ja) 2019-06-20
EP3486483B1 (fr) 2020-04-08
CN110030183B (zh) 2022-05-06
FR3073906A1 (fr) 2019-05-24
JP7228995B2 (ja) 2023-02-27
US10954934B2 (en) 2021-03-23
EP3486483A1 (fr) 2019-05-22
CN110030183A (zh) 2019-07-19
US20190154028A1 (en)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4391B2 (en) Powder feeding device, in particular for coating powder
US10480494B2 (en) Runaway valve system for a pump
EP2190588B1 (en) Powder feeding method, powder feeding apparatus and electrostatical powder spray coating apparatus
US20080164287A1 (en) Fluid pump and fuel dispenser
KR20140112459A (ko) 시스템의 유체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KR101118239B1 (ko) 약액 공급용 펌프 유닛
KR20190058349A (ko) 공압 펌프와 펌프에 압축가스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펌핑 설비
US20200122177A1 (en) Installation for spraying a fluid and related methods
US20200122168A1 (en) Method for spraying a fluid
MXPA03006132A (es) Valvula de aire asistida con aire para pistolas rociadoras.
JP2009150422A (ja) 流体機器
US6241491B1 (en) Device for supplying an apportioned minimum amount of fluid
US20200392972A1 (en) Control valve assembly for an indirect pneumatic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orking fluid pressure
KR101544428B1 (ko) 소방차용 양수장치
US11835176B2 (en) Lubricating system
KR102032636B1 (ko) 저장조용 부착광 제거장치
CN105299239A (zh) 一种电磁开关装置
CN116753347A (zh) 电气转换装置
CN109915645A (zh) 一种角阀
JP2004122085A (ja) 塗装装置
IT201800011009A1 (it) Dispositivo alimentatore per una pistola erogatrice
JP2018004120A (ja) リターン式ノズルバーナー装置
JPH09265875A (ja) 電力開閉器の液圧操作装置
JPH01262962A (ja) 混合型の塗剤吹付装置
JPS62193665A (ja) 塗装用スプレ−ガ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