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314A -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314A
KR20190058314A KR1020180141237A KR20180141237A KR20190058314A KR 20190058314 A KR20190058314 A KR 20190058314A KR 1020180141237 A KR1020180141237 A KR 1020180141237A KR 20180141237 A KR20180141237 A KR 20180141237A KR 20190058314 A KR20190058314 A KR 20190058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ntimicrobial
antibacterial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715B1 (ko
Inventor
김태원
박재철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058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01N59/20C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8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2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2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 C09J2400/226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b) 항균물질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항균용액을 상기 점착필름의 기재필름의 타면 상에 코팅하고 건조시켜 항균물질층/기재필름/점착층을 포함하는 적층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층필름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roll) 상기 항균물질층과 상기 점착층이 서로 접하도록 하여 상기 항균물질층을 상기 점착층 상에 전사함으로써 기재필름/점착층/항균물질층을 포함하는 항균 점착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항균점착필름은 의료용 폐기물을 완전 밀봉하여 악취를 차단하고, 필름탈착 시 소음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항균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NTIBACTERIAL ADHESIVE FILM}
본 발명은 항균점착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용 폐기물을 완전 밀봉하여 악취를 차단하고, 필름 탈착 시 소음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항균성이 우수한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종플루, 메르스, 지카 바이러스, 슈퍼 박테리아와 같은 신종 전염병과 감염성 세균의 발생이 증가되면서 감염환자도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연구실의 연구원을 포함하여 의료인, 일반인의 병원 내 2차 감염 위험도 높아지고 있어서 전염병 치료제 및 백신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병원, 또는 연구실에서의 2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방과 개인위생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의료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여 2차 감염의 우려를 사전에 배제시켜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폐기물 및 생물학적 위험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안전한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에 의한 병원 및 연구실의 환경 개선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 만일, 상기와 같은 의료 폐기물이 안전하고 적절하게 처리되지 않을 경우에는 병원 내 2차 감염, 또는 해당 연구원들의 연구수행 과정에서 감염을 유발시키게 되어 국민보건과 연구결과의 도출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또한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의료 폐기물은 병원, 보건소 및 의료관계 연구소 등에서 배출되는 각종 폐기물을 의미하는데, 탈지면, 가제, 붕대, 기저귀, 인체 적출물, 주사기, 주사침, 체온계 및 시험관 등의 검사기구, 분석장치, 엑스선필름 폐현상액 및 유기용제 등이 있으며, 의료관계 폐기물 또는 병원 폐기물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의료 폐기물은 특성상 병원균이나 중금속, 독극물 또는 특정 환자의 혈흔 등 다양한 유해물질의 오염에 의한 위험성과 주사침, 깨진 유리 등에 의한 부상의 위험성이 크지만, 병원 등에서 이러한 의료 폐기물 발생시 바로 바로 처치가 어려워, 별도의 의료 폐기물 수거용기를 거치시켜놓고, 상기 수거용기에 의료 폐기물이 수용되면 폐기물 처리 업체 등을 통해 소각처리된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법은 오염원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완전히 차단하지 않으며, 이로 인한 병원 내 2차 감염에 의한 확산이 문제시 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 병원성 폐기물 처리법보다 완전 밀봉 기능을 갖추고, 오염원을 억제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름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roll) 항균물질이 점착층으로 전사됨으로써, 점착제와 항균용액과의 반응성이 없어 용매의 제한이 없고, 공정이 용이한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의료용 폐기물을 완전 밀봉하여 악취를 차단하고, 필름 탈착 시 소음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항균성이 우수한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기재필름(110) 및 상기 기재필름(110)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120)을 포함하는 점착필름(100)을 제공하는 단계; (b) 항균물질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항균용액을 상기 점착필름(100)의 기재필름(110)의 타면 상에 코팅하고 건조시켜 항균물질층(200)/기재필름(110)/점착층(120)을 포함하는 적층필름(10)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층필름(10)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roll) 상기 항균물질층(200)과 상기 점착층(120)이 서로 접하도록 하여 상기 항균물질층(200)을 상기 점착층(120) 상에 전사함으로써 기재필름(110)/점착층(120)/항균물질층(200)을 포함하는 항균점착필름(20)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점착필름(20)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계 (c)에서 두루마리 형태로 마는 방법은 항균물질층(200)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 또는 점착층(120)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단계 (c)에서 두루마리 형태로 마는 방법은 항균물질층(200)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단계 (b) 전에, 상기 항균물질이 상기 점착필름(100)의 기재필름(110)의 타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상기 타면의 일부 상에 형성되도록 상기 항균용액의 상기 항균물질의 농도를 조절하는 단계(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의 상기 코팅이 스프레이 분사코팅, 블레이드(blade) 코팅 및 그라비아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b)의 상기 항균물질이 Ag, Cu, Pt, Au, Zn 및 P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의 상기 항균물질이 TiO2, ZnO, CaO 및 Si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산화물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의 상기 항균물질이 피톤치드를 포함하는 항균유기물질일 수 있다.
상기 단계 (b)의 상기 용매가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이온성 액체(ionic liquid),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의 상기 기재필름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의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가 10 내지 100μm일 수 있다.
상기 단계 (a)의 상기 점착층(120)이 고무, 아크릴계 고분자, 아디페이트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및 우레탄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의 상기 점착층(120)의 두께가 0.1 내지 10μm일 수 있다.
상기 단계 (a)가 (a-1) 기재필름(110)을 제공하는 단계; 및(a-2) 상기 기재필름(110)의 일면 상에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12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1) 항균물질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항균용액을 기재필름(110')의 일면 상에 코팅하고 건조시켜 항균물질층(200')/기재필름(110')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항균물질층(200')/기재필름(110')의 기재필름(110')의 타면 상에 점착층(120')을 형성하여 항균물질층(200')/기재필름(110')/점착층(120')을 포함하는 적층필름(10')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적층필름(10')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roll) 상기 항균물질층(200')과 상기 점착층(120')이 서로 접하도록 하여 상기 항균물질층(200')을 상기 점착층(120') 상에 전사함으로써 기재필름(110')/점착층(120')/항균물질층(200')을 포함하는 항균점착필름(20')을 제조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항균점착필름(20')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계 (3)에서 두루마리 형태로 마는 방법은 항균물질층(200')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 또는 점착층(120')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단계 (3)에서 두루마리 형태로 마는 방법은 항균물질층(200')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항균점착필름(20, 20')의 제조방법으로 생산된 항균점착필름(20, 20')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항균점착필름(20, 20')의 점착층(120, 120')의 일부분 상에 폐기물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항균점착필름(20, 20')의 점착층(120, 120')이 서로 접하도록 접고 상기 점착층(120, 120')의 타부분을 점착시켜 상기 폐기물을 밀봉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밀봉 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항균점착필름은 점착제와 항균용액과의 반응성이 없어 용매의 제한이 없고, 공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의료용 폐기물을 완전 밀봉하여 악취를 차단하고, 필름 탈착 시 소음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항균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항균점착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오염원을 항균점착필름으로 밀봉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는 100ul NH4OH 수용액을 투입한 후 필름 종류에 따른 냄새 강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200ul NH4OH 수용액을 투입한 후 필름 종류에 따른 냄새 강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3-1 내지 3-4 및 대조예 3-1에 따른 항균점착필름의 Ag 함량에 따른 SEM 표면 이미지(상: x 1k, 하: x 10k)이다.
도 7은 도 6의 SEM이미지에 대한 EDS 조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3-1 내지 3-4 및 대조예 3-1에 따른 항균점착필름의 AFM 표면 분석 이미지이다.
도 9는 실시예 3-9 내지 3-12에 따른 SEM 표면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형성되어" 있다거나 "적층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표면 상의 전면 또는 일면에 직접 부착되어 형성되어 있거나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항균점착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오염원을 항균점착필름으로 밀봉했을 때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기재필름(110) 및 상기 기재필름(110)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120)을 포함하는 점착필름(100)을 제공한다(단계 a).
상기 단계 (a)의 상기 기재필름(110)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의 상기 기재필름(110)의 두께가 10 내지 100μm일 수 있다.
상기 단계 (a)의 상기 점착층(120)이 고무, 아크릴계 고분자, 아디페이트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및 우레탄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의 상기 점착층(120)의 두께가 0.1 내지 10μm일 수 있다.
상기 단계 (a)가 (a-1) 기재필름(110)을 제공하는 단계; 및 (a-2) 상기 기재필름(110)의 일면 상에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12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항균물질과 용매를 포함하는 항균용액을 상기 점착필름(100)의 기재필름(110)의 타면 상에 코팅하고 건조시켜 항균물질층 (200)/기재필름(110)/ 점착층(120)을 포함하는 적층필름(10)을 형성한다(단계 b).
상기 단계 (b) 전에, 상기 항균물질이 상기 점착필름(100)의 기재필름(110)의 타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상기 타면의 일부 상에 형성되도록 상기 항균용액의 상기 항균물질의 농도를 조절하는 단계(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의 상기 코팅이 스프레이 분사코팅, 블레이드(blade) 코팅 및 그라비아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b)의 상기 항균물질이 Ag, Cu, Pt, Au, Zn 및 P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Ag일 수 있다.
상기 단계 (b)의 상기 항균물질이 TiO2, ZnO, CaO 및 Si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산화물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의 상기 항균물질이 피톤치드를 포함하는 항균유기물질일 수 있다.
상기 단계 (b)의 상기 용매가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이온성 액체(ionic liquid),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적층필름(10)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roll) 상기 항균물질층(200)과 상기 점착층(120)이 서로 접하도록 하여 상기 항균물질층(200)을 상기 점착층(120) 상에 전사함으로써 기재필름(110)/ 점착층 (120)/ 항균물질층(200)을 포함하는 항균점착필름(20)을 제조한다(단계 c).
상기 단계 (c)에서 두루마리 형태로 마는 방법은 항균물질층(200)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 또는 점착층(120)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두루마리 형태로 마는 방법은 항균물질층(200)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일 수 있다.
종래에는 점착층 위에 항균물질을 직접 분사하였으나, 이는 점착제와 분산용매의 반응성으로 인해 점착력 저하됨에 따라 냄새가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항균입자의 표면에 코팅된 점착제로 인해 항균활성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최적화 공정설계가 매우 복잡하였다. 그러나 점착층이 형성된 기재필름(110)의 타면에 항균물질을 코팅한 후, 전사하는 경우 점착제와 용매 사이의 반응성이 없어 사용할 수 있는 용매의 범위가 넓어지며, 항균점착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설계가 용이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항균물질과 용매를 포함하는 항균용액을 상기 기재필름(110')의 일면 상에 코팅하고 건조시켜 항균물질층(200')/기재필름(110')을 제조한다(단계 1).
다음으로, 상기 항균물질층(200')/기재필름(110')의 기재필름(110')의 타면 상에 점착층(120')을 형성하여 항균물질층(200')/기재필름(110')/점착층(120')을 포함하는 적층필름(10') 제조한다(단계 2).
마지막으로, 상기 적층필름(10')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roll) 상기 항균물질층(200')과 상기 점착층(120')이 서로 접하도록 하여 상기 항균물질층(200')을 상기 점착층(120') 상에 전사함으로써 기재필름(110')/점착층(120')/항균물질층(200')을 포함하는 항균점착필름(20')을 제조한다(단계 3).
상기 단계 (3)에서 두루마리 형태로 마는 방법은 항균물질층(200')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 또는 점착층(120')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항균물질층(200')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점착필름(20, 20')의 제조방법으로 생산된 항균점착필름(20, 20')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항균점착필름(20, 20')의 점착층(120, 120')의 일부분 상에 폐기물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항균점착필름(20, 20')의 점착층(120, 120')이 서로 접하도록 접고 상기 점착층(120, 120')의 타부분을 점착시켜 상기 폐기물을 밀봉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밀봉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균용액의 제조
제조예 1-1
항균점착필름을 제작하기 위한 항균 물질로 40nm 입자크기를 가지는 Ag 파우더 및 분산 용매로 메탄올을 사용하였다. 메탄올 100ml를 기준으로 Ag 파우더를 0.1g을 투입한 후, 초음파(Ultra-sonic) 공정을 통해 메탄올 내에 Ag 파우더를 분산시켜 항균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내지 1-8
아래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항균물질(Ag)의 사용량을 달리하여 제조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항균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1 내지 2-4
아래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분산 용매로 메탄올을 사용하는 대신에 에탄올을 사용하고, 항균물질(Ag)의 사용량을 달리하여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비교예 1
제조예 1-1에서 Ag 파우더를 0.1g을 투입하는 대신에 Ag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는 것(0g)을 제외하고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용액을 제조하였다.
용매 항균물질
제조예 1-1 메탄올(100ml) 은(Ag) 0.1g
제조예 1-2 은(Ag) 0.2g
제조예 1-3 은(Ag) 0.4g
제조예 1-4 은(Ag) 0.8g
제조예 1-5 은(Ag) 0.01g
제조예 1-6 은(Ag) 0.02g
제조예 1-7 은(Ag) 0.04g
제조예 1-8 은(Ag) 0.08g
제조비교예 1 은(Ag) 0g
제조예 2-1 에탄올(100ml) 은(Ag) 0.1g
제조예 2-2 은(Ag) 0.2g
제조예 2-3 은(Ag) 0.4g
제조예 2-4 은(Ag) 0.8g
실시예 1: 항균점착필름의 제조
실시예 1-1
면적 380 x 275 mm2 인 폴리에틸렌(Polyethylene) 고분자 기재필름의 일면에 점착제로서 Poly(t-butyl acrylate)를 블레이드(blade) 코팅하여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조예 1-1에 따라 제조된 항균용액을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필름의 타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건조시켜 항균물질층/기재필름/점착층을 포함하는 적층필름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적층필름의 항균물질층을 가장 바깥으로 위치시키며 두루마리(원통형) 형태로 말아 항균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항균물질층과 점착층이 서로 접하면서 항균물질층이 점착층 상으로 전사되어 기재필름/점착층/항균물질층의 구조를 갖는 항균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내지 4-8 및 대조예 1 내지 4
아래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기재필름, 점착제, 항균용액을 달리하여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항균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구분 명칭 기재필름 점착제 항균용액
실시예 1-1 A01 Polyethylene
(PE)
Poly(t-butyl acrylate) 제조예 1-1
실시예 1-2 제조예 1-2
실시예 1-3 제조예 1-3
실시예 1-4 제조예 1-4
실시예 1-5 제조예 1-5
실시예 1-6 제조예 1-6
실시예 1-7 제조예 1-7
실시예 1-8 제조예 1-8
대조예 1 제조비교예 1
실시예 2-1 A02 Polyethylene
(PE)
Poly(ethyl acrylate) 제조예 1-1
실시예 2-2 제조예 1-2
실시예 2-3 제조예 1-3
실시예 2-4 제조예 1-4
실시예 2-5 제조예 1-5
실시예 2-6 제조예 1-6
실시예 2-7 제조예 1-7
실시예 2-8 제조예 1-8
대조예 2 제조비교예 1
실시예 3-1 A03 Polypropylene
(PP)
Poly(t-butyl acrylate) 제조예 1-1
실시예 3-2 제조예 1-2
실시예 3-3 제조예 1-3
실시예 3-4 제조예 1-4
실시예 3-5 제조예 1-5
실시예 3-6 제조예 1-6
실시예 3-7 제조예 1-7
실시예 3-8 제조예 1-8
실시예 3-9 제조예 2-1
실시예 3-10 제조예 2-2
실시예 3-11 제조예 2-3
실시예 3-12 제조예 2-4
대조예 3 제조비교예 1
실시예 4-1 A04 Polyethylene
(PE)
Scotch brand 898 tape 제조예 1-1
실시예 4-2 제조예 1-2
실시예 4-3 제조예 1-3
실시예 4-4 제조예 1-4
실시예 4-5 제조예 1-5
실시예 4-6 제조예 1-6
실시예 4-7 제조예 1-7
실시예 4-8 제조예 1-8
대조예 4 제조비교예 1
* Scotch brand 898 tape: 3M 社 테이프
[시험예]
시험예 1: 필름 탈착시 소음 강도 측정
실시예 1-1, 2-1, 3-1 및 4-1에 따른 항균점착필름의 탈착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3m 평판 위에 항균점착필름을 일정한 속도로 약 5초간 풀어 센서위치로부터 거리에 따른 소음강도의 최대, 최소, 평균 값을 2회 반복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소음강도(dB)
최소 최대 평균
실시예 1-1 67.3 82.6 76.8
실시예 2-1 67.0 84.2 78.4
실시예 3-1 42.2 64.2 55.9
실시예 4-1 46.2 82.1 66.1
표 3에 따르면, 기준 소음강도(30.5 dB)에서 실시예 1-1, 2-1, 3-1, 4-1에 따른 항균점착필름의 평균 탈착 소음 강도를 확인한 결과 각각 76.8dB, 78.4dB, 55.9dB, 66.1dB 값을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3-1에 따른 항균점착필름의 탈착 소음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항균점착필름의 두께 측정
아래 표 4에 실시예 1-1, 2-1, 3-1, 4-1에 따른 항균점착필름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냈다.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해 총 5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 두께를 확인하였다.
항균점착필름의 두께 (단위: μm)
측정횟수 실시예 1-1 실시예 2-1 실시예 3-1 실시예 4-1
1 40 40 30 40
2 50 40 30 40
3 40 40 30 30
4 40 40 30 30
5 50 30 30 30
평균 44 38 30 34
표 4에 따르면, 실시예 1-1, 2-1, 3-1, 4-1에 따른 항균점착필름은 최소 30 ~ 최대 44um의 두께 분포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냄새 강도 측정
도 5a 및 도 5b는 NH4OH 수용액을 각각 100, 200ul 투입한 후, 필름 종류에 따른 냄새 강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측정을 위한 냄새원으로 NH4OH 수용액 100, 200ul를 D.I water 100ml에 희석한 후 Bemcot(세척용 거즈)에 3ml를 고르게 도포하였다. NH4OH 수용액이 도포된 Bemcot를 Wrapping 장비에 투입하고, 45 x 45 cm2 크기로 양면 밀봉한 후 10분동안 1분 간격으로 냄새 강도(냄새 센서 모델: OMX-ADM, Japan)를 측정하였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NH4OH 수용액 농도가 증가할수록 냄새 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실시예 1-1, 2-1, 3-1, 4-1에 따른 항균점착필름은 효과적으로 악취를 차단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은 함량에 따른 항균성 시험
멸균된 P.P 표준필름(sterilized polypropylene (P.P) film) 위에 항균점착필름(5cm x 5cm)을 위치한 후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 배양액을 0.1ml 도포하였다. 배양액 도포 후 동일한 표준필름으로 압착하였으며, 24시간 후 배양균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항균활성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5 및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대장균 항균활성치(%)
Ag 투입량 A01 A02 A03 A04
0g 0
(대조예 1)
0
(대조예 2)
0
(대조예 3)
0
(대조예 4)
0.1g 99.9
(실시예 1-1)
99.9
(실시예 2-1)
99.9
(실시예 3-1)
99.9
(실시예 4-1)
0.2g 99.9
(실시예 1-2)
99.9
(실시예 2-2)
99.9
(실시예 3-2)
99.9
(실시예 4-2)
0.4g 99.9
(실시예 1-3)
99.9
(실시예 2-3)
99.9
(실시예 3-3)
99.9
(실시예 4-3)
0.8g 99.9
(실시예 1-4)
99.9
(실시예 2-4)
99.9
(실시예 3-4)
99.9
(실시예 4-4)
0.01g 99.9
(실시예 1-5)
99.9
(실시예 2-5)
99.9
(실시예 3-5)
99.9
(실시예 4-5)
0.02g 99.9
(실시예 1-6)
99.9
(실시예 2-6)
99.9
(실시예 3-6)
99.9
(실시예 4-6)
0.04g 99.9
실시예 1-7)
99.9
(실시예 2-7)
99.9
(실시예 3-7)
99.9
(실시예 4-7)
0.08g 99.9
(실시예 1-8)
99.9
(실시예 2-8)
99.9
(실시예 3-8)
99.9
(실시예 4-8)
황색포도상구균 항균활성치(%)
Ag 투입량 A01 A02 A03 A04
0g 0
(대조예 1)
0
(대조예 2)
0
(대조예 3)
0
(대조예 4)
0.1g 99.9
(실시예 1-1)
99.9
(실시예 2-1)
99.7
(실시예 3-1)
95.4
(실시예 4-1)
0.2g 99.9
(실시예 1-2)
99.9
(실시예 2-2)
99.9
(실시예 3-2)
99.9
(실시예 4-2)
0.4g 99.9
(실시예 1-3)
99.9
(실시예 2-3)
99.9
(실시예 3-3)
99.9
(실시예 4-3)
0.8g 99.9
(실시예 1-4)
99.9
(실시예 2-4)
99.9
(실시예 3-4)
99.9
(실시예 4-4)
0.01g 99.9
(실시예 1-5)
99.9
(실시예 2-5)
99.9
(실시예 3-5)
72.6
(실시예 4-5)
0.02g 99.9
(실시예 1-6)
99.9
(실시예 2-6)
99.9
(실시예 3-6)
99.9
(실시예 4-6)
0.04g 99.9
(실시예 1-7)
99.9
(실시예 2-7)
99.9
(실시예 3-7)
93.7
(실시예 4-7)
0.08g 99.9
(실시예 1-8)
99.9
(실시예 2-8)
99.9
(실시예 3-8)
99.6
(실시예 4-8)
표 5 및 6에 따르면, 항균활성치 값이 증가할수록 대상균의 증식이 억제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장균에 대한 항균활성치는 모든 항균점착필름에 대해 99.9% 이상의 항균성을 보였으며,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활성치는 A04에 따른 항균점착필름을 제외한 모든 필름에서 99.9%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점착필름의 향균성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항균점착필름의 SEM 표면 이미지 및 EDS 조성 분석
도 6은 실시예 3-1 내지 3-4 및 대조예 3-1에 따른 항균점착필름의 Ag 함량에 따른 SEM 표면 이미지(상: x 1k, 하: x 10k)이고, 도 7은 도 6의 SEM이미지에 대한 EDS 조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g 함량이 증가할수록 단위 면적당 차지하는 Ag 성분의 밀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SEM 저배율 이미지(상)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Ag 입자들이 평균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항균필름 표면의 Ag 함량을 weight percent로 표기한 결과(왼) 및 atomic percent로 표기한 결과(오)를 나타낸다. 에탄올 100ml 기준 Ag 투입량이 0, 0.1, 0.2, 0.4, 0.8g으로 증가함으로써, Ag 항균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스프레이 코팅 후 항균필름 표면에 잔류하는 Ag 입자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Ag 항균필름 표면에 존재하는 Ag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항균점착필름의 AFM 표면 분석
도 8은 실시예 3-1 내지 3-4 및 대조예 3-1에 따른 항균점착필름의 AFM 표면 분석 이미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FM 분석을 통해 스캔 면적 (50um x 50um)에서의 Ag 입자 분포도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점착필름의 거칠기는 Ag 함량에 관계없이 약 2 ~ 2.5um 값을 보였다. 하지만 Ag 함량이 증가할수록 입자 간 뭉침 현상이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입자들의 뭉침은 Ag 나노 크기의 Ag 입자가 가지는 항균 특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7: 항균용액 농도에 따른 표면분석
도 9는 실시예 3-9 내지 3-12에 따른 항균 점착필름의 SEM 표면 이미지이다. Ag 투입량에 따른 Ag의 몰수(mol) 및 몰농도(M)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Ag 항균용액의 농도 (@에탄올 100ml)
항균용액 제조예 2-1 제조예 2-2 제조예 2-3 제조예 2-4
Ag 투입량 0.1 0.2 0.4 0.8
Ag 몰수(mol) 0.00093 0.00185 0.00371 0.00742
Ag 몰농도(M) 9.3 18.5 37.1 74.2
도 9 및 표 7을 참조하면, Ag 항균용액의 몰농도가 증가할수록 항균필름 표면에 존재하는 Ag의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고, 도 9의 Ag 항균물질을 필름상에 코팅한 후의 표면(상) 및 항균물질을 점착층에 전사한 후의 표면(하)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라 항균물질이 점착층으로 전사됨으로써, 필름 표면에 코팅된 Ag 항균물질은 전사 후 대부분 점착층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9)

  1. (a)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b) 항균물질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항균용액을 상기 점착필름의 기재필름의 타면 상에 코팅하고 건조시켜 항균물질층/기재필름/점착층을 포함하는 적층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층필름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roll) 상기 항균물질층과 상기 점착층이 서로 접하도록 하여 상기 항균물질층을 상기 점착층 상에 전사함으로써 기재필름/점착층/항균물질층을 포함하는 항균 점착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두루마리 형태로 마는 방법은 항균물질층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 또는 점착층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두루마리 형태로 마는 방법은 항균물질층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점착필름의 제조방법이
    상기 단계 (b) 전에, 상기 항균물질이 상기 점착필름의 기재필름의 타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상기 타면의 일부 상에 형성되도록 상기 항균용액의 상기 항균물질의 농도를 조절하는 단계(b')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상기 코팅이 스프레이 분사코팅, 블레이드(blade) 코팅 및 그라비아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상기 항균물질이 Ag, Cu, Pt, Au, Zn 및 P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상기 항균물질이 TiO2, ZnO, CaO 및 Si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산화물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상기 항균물질이 피톤치드를 포함하는 항균유기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상기 용매가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이온성 액체(ionic liquid), 에탄올, 메탄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상기 기재필름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가 10 내지 1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상기 점착층이 고무, 아크릴계 고분자, 아디페이트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및 우레탄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0.1 내지 1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단계 (a)가
    (a-1) 기재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및
    (a-2)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 상에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15. (1) 항균물질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항균용액을 기재필름의 일면 상에 코팅하고 건조시켜 항균물질층/기재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항균물질층/기재필름의 기재필름의 타면 상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항균물질층/기재필름/점착층을 포함하는 적층필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적층필름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roll) 상기 항균물질층과 상기 점착층이 서로 접하도록 하여 상기 항균물질층을 상기 점착층 상에 전사함으로써 기재필름/점착층/항균물질층을 포함하는 항균점착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두루마리 형태로 마는 방법은 항균물질층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 또는 점착층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두루마리 형태로 마는 방법은 항균물질층을 두루마리 형태의 가장 바깥 쪽으로 위치시키며 마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항균물질이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하되, 상기 일면의 일부 상에 형성되도록 상기 항균용액의 상기 항균물질의 농도가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19. 제1항 및 제15항에 따른 방법으로 생산된 항균점착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항균점착필름의 점착층의 일부분 상에 폐기물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항균점착필름의 점착층이 서로 접하도록 접고 상기 점착층의 타부분을 점착시켜 상기 폐기물을 밀봉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밀봉 처리방법.
KR1020180141237A 2017-11-20 2018-11-16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KR102164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761 2017-11-20
KR20170154761 2017-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314A true KR20190058314A (ko) 2019-05-29
KR102164715B1 KR102164715B1 (ko) 2020-10-12

Family

ID=6653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237A KR102164715B1 (ko) 2017-11-20 2018-11-16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37302A1 (ko)
KR (1) KR102164715B1 (ko)
WO (1) WO201909875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225B1 (ko) * 2020-05-22 2021-01-11 엔트리움 주식회사 항균 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102272951B1 (ko) 2020-10-30 2021-07-05 서동현 향균성 필름 코팅장치 및 향균성 필름이 코팅된 판재
WO2021246569A1 (ko) * 2020-06-05 2021-12-09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항균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필름
KR102368575B1 (ko) * 2021-08-17 2022-02-28 주식회사 퀀텀바이오닉스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216B1 (ko) * 2018-11-23 2021-04-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천연 항균 점착필름의 제조방법
CN111732906A (zh) * 2020-05-19 2020-10-02 太湖金张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病毒抗菌功能薄膜及其制备方法
KR102457035B1 (ko) 2020-10-26 2022-10-24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인간 친화적인 천연소재를 이용한 유해 미생물과 유해가스 제거 기술이 적용된 표면마감재
KR20220125399A (ko) 2021-03-05 2022-09-14 주식회사 스포컴 항균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5939B1 (ko) 2021-03-05 2022-02-08 주식회사 스포컴 항균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9028A (ja) * 2001-10-24 2003-05-08 Tadashi Inoue 抗菌剤を含有した接着剤、および抗菌剤を含有した抗菌組成物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抗菌方法
JP2009520076A (ja) * 2005-12-14 2009-05-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抗菌接着フィルム
KR20140093558A (ko) *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한국감염관리본부 항균 테이프
KR101716276B1 (ko) * 2016-04-14 2017-03-14 주식회사 엠알온 지정폐기물 회수용 테이프 및 그 테이프를 이용한 폐기물 회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43774C (en) * 2008-11-24 2017-11-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timicrobial laminate constructs
JP5804206B2 (ja) * 2012-08-09 2015-11-0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抗菌性透明フィルム、および抗菌性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9028A (ja) * 2001-10-24 2003-05-08 Tadashi Inoue 抗菌剤を含有した接着剤、および抗菌剤を含有した抗菌組成物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抗菌方法
JP2009520076A (ja) * 2005-12-14 2009-05-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抗菌接着フィルム
KR20140093558A (ko) * 2013-01-18 2014-07-28 주식회사 한국감염관리본부 항균 테이프
KR101716276B1 (ko) * 2016-04-14 2017-03-14 주식회사 엠알온 지정폐기물 회수용 테이프 및 그 테이프를 이용한 폐기물 회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225B1 (ko) * 2020-05-22 2021-01-11 엔트리움 주식회사 항균 필름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WO2021246569A1 (ko) * 2020-06-05 2021-12-09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항균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필름
KR102272951B1 (ko) 2020-10-30 2021-07-05 서동현 향균성 필름 코팅장치 및 향균성 필름이 코팅된 판재
KR102368575B1 (ko) * 2021-08-17 2022-02-28 주식회사 퀀텀바이오닉스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8754A1 (ko) 2019-05-23
KR102164715B1 (ko) 2020-10-12
US20200337302A1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8314A (ko)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EP3672655B1 (en) Bio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id biomaterial
KR950003697B1 (ko) 항미생물성 드레싱 및 그의 제조방법
EP2582404B1 (en) Antimicrobial silicone-based wound dressings
EP3226921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comprising bioglass
EP1979007B1 (en) Silver-containing antimicrobial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6388648B2 (ja) 機器、保護シート及び抗菌膜
EP2110018A1 (en) Antibacterial sheet and absorbent article
CN110072563A (zh) 包含单质银颗粒的含水水凝胶组合物
US8609128B2 (en) Cyanoacrylate-based liquid microbial sealant drape
KR102236216B1 (ko) 천연 항균 점착필름의 제조방법
EP1993622B1 (en) A wound dressing comprising an anti-inflammatory pain-killing agent and a complex of silver ion and a transitional element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f elements
Thomas et al. Testing dressings and wound management materials
EP2180905B1 (en) A medical dressing comprising an antimicrobial agent
EP2658372B1 (en) Antimicrobial medical kit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6032628A (ja) 保育器用フード、これを備える保育器、保育器用親水加工シート、及び保育器用親水加工抗菌膜
JP6872494B2 (ja) 抗菌物品及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JP6290184B2 (ja) 創傷ドレッシング
Jung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betafoam, a new polyurethane foam dressing
Lee et al. Superior absorption and retention properties of foam-film silver dressing versus other commercially available silver dressing
Takayama et al. Bioshell calcium oxide (BiSCaO) for cleansing and healing Pseudomonas aeruginosa–infected wounds in hairless rats
EP1689338B1 (en) Antimicrobial adhesive system
SK7882002A3 (en) Use of a buffer to prevent candida albicans infections on the skin
Vaz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hydrogel containing silver sulfadiazine for antimicrobial topical applications. Part II: Stability, cytotoxicity and silver release patterns
US20240157017A1 (en) A medical dressing comprising a bacteriostatic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