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575B1 -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575B1
KR102368575B1 KR1020210108235A KR20210108235A KR102368575B1 KR 102368575 B1 KR102368575 B1 KR 102368575B1 KR 1020210108235 A KR1020210108235 A KR 1020210108235A KR 20210108235 A KR20210108235 A KR 20210108235A KR 102368575 B1 KR102368575 B1 KR 102368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vessel
mycoplasma
function
layer
nano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관영
정도규
이태영
김은교
고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퀀텀바이오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퀀텀바이오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퀀텀바이오닉스
Priority to KR1020210108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0Material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01N59/20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06Plates; Walls; Drawers; Multilayer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배양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의 일면에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나노합금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막을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은, 반자성체 재료와 강자성체 재료의 합금 또는 반자성체 재료와 상자성체 재료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및 그 제조방법{CULTURE VESSEL PROVIDING ANTI-MYCOPLASMA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포 배양에 관련한 배양 용기에 관련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이코플라즈마는,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적 위치에 있는 미생물로, 세포벽이 없는 몰리큐드 강에 속하며, 인공배지에서 자가증식을 할 수 있는 미생물이다. 예컨대, 마이코플라즈마는 사람, 동물, 곤충, 식물 등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이들에서 여러가지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는 미생물이다. 구체적으로, 최근에는, 마이코플라즈마가 인체의 폐세포내 BMP2라는 중요한 성장 인자 합성을 야기하여 정상 폐 세포에 종양이 발병하게 하는 세포로 전환시킬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돼지에 폐렴을 일으키며 소와 양에도 감염일 일으킨다. 식물에서는 배추, 무, 딸기에 짖무름병을 야기하며, 대추나무, 밤나무, 복숭아나무 등에 빗자루 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20여종의 마이코플라즈마 속와 아콜레플라즈마 속이 세포배양의 주요 오염원이며, 5~35% 이상에 이르는 세포주들이 6종의 마이코플라즈마에 주로 오염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오염의 근원은 초대배양에 사용되는 동물조직, 배양에 사용되는 혈청 또는 실험자에 등에 의해서 유발되며, 실험실 내 세포주의 교차 오염으로 인해 다른 세포주로 오염이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의 확산은, 마이코플라즈마가 다른 감염원 즉, 세포벽이 있는 박테리아나 곰팡이와 같이 배지의 혼탁도가 증가하거나 혹은 바이러스와 같이 세포의 사멸 등과 같은 가시적인 변화가 없으므로 실험자가 그 오염을 인지하지 못하고 오염을 확대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마이코플라즈마는 세포벽이 있는 세균과는 달리 세포벽이 없어 형태가 쉽게 변하며, 직경이 0.2 ~ 2μm로 작아 세포배양용 배지 여과에 사용되는 0.22 ~ 0.45μm의 membrane filter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세포배양용 배지를 통해 오염될 수 있다.
더욱이, 마이코플라즈마는 세포벽이 없기 때문에, 세포배양에 주로 사용하는 페니실린 및 다른 베타-락탐계 항생제가 마이코플라즈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 또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세포배양에 있어서 마이코플라즈마의 오염은 가시적 변화는 거의 없으나 세포배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가장 대표적인 현상은 감염된 세포주의 물질대사를 변화시켜 세포주의 비정상적인 사이토카인 발현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수많은 실험들과 연구가 마이코플라즈마의 오염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마이코플라즈마는 세포의 형태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DNA, RNA 합성에 필요한 대사물을 소모하여 핵산 대사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영향은 세포막 외부의 수용체나 막 단백질의 조성을 변화시켜, 세포의 면역성이나 신호전달체계를 교란시키게 되며 세포성장속도가 변하여 성장실험이나 세포독성 실험 시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핵산대사 및 물질대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세포주를 이용한 바이러스 생산이 감소되게 된다. 특히, 단일클론항체의 생산시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융합 성공률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항체 생산도 크게 저하되어 실험에 실패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백신을 비롯한 생물학적 제제의 생산과정에 매우 치명적인 실패를 가져올 수 있어서, 마이코플라즈마의 오염은 경제적으로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0-001836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갖는 배양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배양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의 일면에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나노합금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막을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은, 반자성체 재료와 강자성체 재료의 합금 또는 반자성체 재료와 상자성체 재료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은, 상기 반자성체 재료와 상기 강자성체 재료의 합금 또는 상기 반자성체 재료와 상기 상자성체 재료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쇄를 통해 획득되는 나노분말, 상기 나노분말이 분산되는 액체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 글리콜릭산, 저급 알코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매 및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반자성체 재료는, 미량동(oligodynamic)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항균막은,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이 증착되어 형성되는 박막층 및 상기 박막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박막층은,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증착(evaporation) 방식으로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광촉매소자를 5 내지 500 중량부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촉매소자는,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의해 광촉매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층에 포함된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은, 전체 용액 대비 용질의 농도가 0.01 내지 2wt%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층은, 습식 코팅을 통해 상기 박막층의 일면에 코팅되며, 미리 정해진 두께 및 표면경도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층의 미리 정해진 두께 및 표면경도 각각은, 1 내지 10㎛ 및 B 내지 5H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점착층은, 액체 상태의 점착제를 지지면에 도포하는 습식코팅 방식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층은, 상기 박막층을 지지 또는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을 가진 소재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배양용기는, 세포가 배양되는 용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리(glass), 알루미늄(aluminum), 스테인리스(stainless) 및 내열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가 개시된다. 상기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는, 배양용기 및 상기 배양용기의 일면에 마련되며,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나노합금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항균막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은, 반자성체 재료와 강자성체 재료의 합금 또는 반자성체 재료와 상자성체 재료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은, 상기 반자성체 재료와 상기 강자성체 재료의 합금 또는 상기 반자성체 재료와 상기 상자성체 재료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쇄를 통해 획득되는 나노분말, 상기 나노분말이 분산되는 액체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 글리콜릭산, 저급 알코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매 및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반자성체 재료는, 미량동(oligodynamic)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항균막은,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이 증착되어 형성되는 박막층 및 상기 박막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박막층은,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증착(evaporation) 방식으로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광촉매소자를 5 내지 500 중량부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촉매소자는,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의해 광촉매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층에 포함된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은, 전체 용액 대비 용질의 농도가 0.01 내지 2wt%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층은, 습식 코팅을 통해 상기 박막층의 일면에 코팅되며, 미리 정해진 두께 및 표면경도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층의 미리 정해진 두께 및 표면경도 각각은, 1 내지 10㎛ 및 B 내지 5H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점착층은, 액체 상태의 점착제를 지지면에 도포하는 습식코팅 방식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기재층은, 상기 박막층을 지지 또는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을 가진 소재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배양용기는, 세포가 배양되는 용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리(glass), 알루미늄(aluminum), 스테인리스(stainless) 및 내열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갖는 배양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세포배양 시 마이코플라즈마의 오염을 방지하여 실험의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실험실 내에 마이코플라즈마의 확산을 방지하여 타 세포주들로 오염이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배양용기의 다양한 구현 양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배양용기에 부착되는 항균막의 단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제조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구리를 통해 수행되는 항균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항균막에서 발생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에 관한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광촉매소자를 통해 발생하는 다양한 효과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항균막에서 야기되는 다양한 효과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항 마이코플라즈마 효과에 관한 테스트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수행된 항마이코플라즈마 효과에 관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항 마이코플라즈마 효과에 관한 테스트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수행된 항마이코플라즈마 효과에 관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10)는, 적어도 일면에 접착되어 구비되는 항균막(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항균막(100)은 나노합금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나노합금 조성물은 항균, 항바이러스 및 탈취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배양용기(10)는 학균막(100)에 통해 수행되는 항균, 항바이러스 작용에 의해 항 마이코플라즈마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배양용기에 일면에 항균막(100)이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양용기(10)는, 다세포 생물에서 세포를 분리하여 체외에서 증식시키고 유지하는 배양을 수행하기 위한 용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배양용기는 세포가 배용되는 용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리(glass), 알루미늄(aluminum), 스테인리스(stainless) 및 내열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배양용기의 재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인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배양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양용기는 일정 이상의 높이 측면 벽을 갖도록 구비되어 세포를 내측에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양용기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기둥의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양용기는, 세포 배양 시, 개방된 상부면에 씌어지는 덮개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양용기는 세포의 크기, 배양 기간, 배양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깊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배양용기는 다양한 배양 상황에 따라 다양한 높이의 측면 벽을 갖도록 구비되며, 측면 벽의 내측에 세포가 위치되도록 하여 배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배양용기가 원기둥의 형상을 통해 구비됨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세포를 배양시킬 수 있는 보다 다양한 형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양용기(10)의 일면에는 항균막(100)이 형성됨에 따라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항균막(100)이 형성되는 배양용기(10)의 적어도 일면은, 배양용기(10)의 밑면(예컨대, 배양되는 세포와 직접적으로 닿는면) 또는 측면 벽(예컨대, 밑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의 내측 각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항균막(100)은 배양용기(10)의 개방된 상부면을 폐쇄시키는 덮개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박막층(110)은 배양용기(10)의 다양한 영역에 구비되어 항 마이코플라즈마를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이코플라즈마는,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적 위치에 있는 미생물로, 세포벽이 없는 몰리큐드 강에 속하며, 인공배지에서 자가증식을 할 수 있는 미생물이다. 예컨대, 마이코플라즈마는 사람, 동물, 곤충, 식물 등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이들에서 여러가지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는 미생물이다. 마이코플라즈마는 초대배양에 사용되는 동물조직, 배양에 사용되는 혈청 또는 실험자에 등에 의해서 오염이 전이되며, 실험실 내 세포주의 교차 오염으로 인해 다른 세포주로 오염이 확산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세포 배양을 통함 실험을 진행하는 실험실에서 마이코플라즈마의 확산은 치명적일 수 있다.
이러한 마이코플라즈마는, 다른 감염원 즉, 세포벽이 있는 박테리아나 곰팡이와 같이 배지의 혼탁도가 증가하거나 혹은 바이러스와 같이 세포의 사멸 등과 같은 가시적인 변화가 없으므로 오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마이코플라즈마는 세포벽이 있는 세균과는 달리 세포벽이 없어 형태가 쉽게 변하며, 직경이 0.2 ~ 2μm로 작아 세포배양용 배지 여과에 사용되는 0.22 ~ 0.45μm의 membrane filter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마이코플라즈마는 세포벽이 없기 때문에, 세포배양에 주로 사용하는 페니실린 및 다른 베타-락탐계 항생제가 마이코플라즈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오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마이코플라즈마 오염의 확산은 비정상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마이코플라즈마는 세포의 형태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DNA, RNA 합성에 필요한 대사물을 소모하여 핵산 대사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영향은 세포막 외부의 수용체나 막 단백질의 조성을 변화시켜, 세포의 면역성이나 신호전달체계를 교란시키게 되며 세포성장속도가 변하여 성장실험이나 세포독성 실험 시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핵산대사 및 물질대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세포주를 이용한 바이러스 생산이 감소되게 된다. 특히, 단일클론항체의 생산시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융합 성공률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항체 생산도 크게 저하되어 실험에 실패가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백신을 비롯한 생물학적 제제의 생산과정에 매우 치명적인 실패를 가져올 수 있어서, 마이코플라즈마의 오염은 경제적으로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양용기(10)에 구비된 항균막(100)을 통해 제공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이란, 마이코플라즈마에 관련한 미생물을 죽이거나 또는 성장을 억제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양용기(10)의 항균막(100)에서는 항바이러스 및 항균 작용을 통해 항 마이코플라즈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양용기(10)의 일면에는 항균막(1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항균막(100)은 나노합금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항바이러스 및 항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균막(100)은, 점착층(110), 기재층(120), 박막층(130) 및 코팅층(140)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항균막(100)은 배양용기(10)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항균막(100)은 배양용기(10)의 내측 일면에 접촉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막(100)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항균막(100)은 금속 이온을 통한 항균 작용 및 전자기장에 기반한 항바이러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항균막(100)은 금속 이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이온은, 예컨대, 박막층(130) 및 코팅층(140)에 포함된 나노합금 조성물을 구성하는 반자성체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항균막(100)에 포함된 금속 이온은, 구리를 의미할 수 있다. 항균막(100)에 포함된 금속 이온(예컨대, 구리)은 항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리는 미량동 작용에 기반한 항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미량동 작용은 구리원자가 미생물의 대사작용을 교란시켜 바이러스나 미생물, 곰팡이 등을 살균하는 것으로, 박테리아의 핵산이 완전히 파괴되면서 돌연변이 뿐만 아니라 저항성 조차 완전히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리 이온(또는 금속 이온)의 미량동 작용을 통해 균의 활성이 방해됨에 따라 항균 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항균막(100)은 전자기장을 통해 항바이러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항균막(100)은 스스로 전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항균막(100)은 반자성체 성분과 상자성체 성분 또는 강자성체 성분의 합금에 관련한 나노합금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합금 조성물은 구리, 금, 은, 비스무트 등에서 선택된 반자성체 성분과, 철, 니켈, 코발트, 네오디뮴 등 강자성체 또는, 백금 등 상자성체 성분과의 합금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스스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합금 조성물은, 반자성체인 구리와 강자성체인 철의 합금 즉, 구리-철 합금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이 경우, 나노합금 조성물은 각 성분 간의 분리된 2차원 적층구조를 통해 구성되며, 패러데이 효과에 의거하여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반자성체와 상자성체 또는 반자성체와 강자성체의 합금 조성에 관련한 나노합금 조성물을 통해 항균막(100)에 전자기장이 발생되며, 이에 의한 정전기력을 통해 바이러스가 사멸될 수 있다. 즉, 전자기장에 의해 바이러스가 차단됨에 따라 항바이러스 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항균막(100)은 탈취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항균막(100)의 코팅층(140)은 광촉매소자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코팅층(140)에 포함된 광촉매소자를 통해 탈취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광촉매 소자는 적정 에너지 이상을 갖는 빛 또는 파장에 대응하여 활성산소, 수신기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반도체적 성질을 갖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광촉매 소자를 통해 발생된 활선산소와 수신기 라디칼의 강한 산화, 환원 작용에 의해 악취물질의 분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항균막(100)은 세균, 곰팡이 등에 관한 항균 효과, 각종 바이러스에 관련한 항바이러스 효과 및 악취물질의 분해에 기반한 탈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양용기(10)의 일면에는, 반자성체 성분의 재료와 상자성체(또는 강자성체) 성분의 재료의 합금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나노합금 조성물이 증착되어 항균막(100)이 형성됨에 따라, 항바이러스 및 항균 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막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배용용기에 관련한 제조 방법, 구조적 특징 및 이에 따른 효과들은, 이하의 도면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제조방법의 예시적인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단계들은 필요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가 생략 또는 추가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제조방법은, 배양용기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110) 및 접착제가 도포된 배양용기의 일면에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나노합금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막을 부착시키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는, 배용용기(10)의 일면에 항균막(100)을 접착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공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항균막(100)이 배양용기(10)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되어 구비됨에 따라, 본 발명의 배양용기(10)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항균막(100)은 항균, 항바이러스 및 탈취 기능을 발생시키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항균막(100)은 점착층(110), 기재층(120), 박막층(130) 및 코팅층(140)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항균막(100)을 구성하는 각 층들의 제조 공정 방법 및 각 층들에서 구현되는 작용 또는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층(110)은 배양용기(10)의 적어도 일면과의 접착에 관련한 부분일 수 있다. 즉, 항균막(100)의 점착층(110)은 배양용기(1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면일 수 있다. 이러한, 점착층(110)은 점착제를 활용한 습식코팅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착층(110)은 액체 상태의 점착제를 지지면에 도포하는 습식코팅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면은 점착층(110)의 형성 과정에서 점착제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점착층(110)의 형성 이후 이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점착제는, 내열성, 내항성, 재박리성, 전기 절연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피착제에 대해 우수한 점착성을 가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점착제는, 실리콘계 점착제, 아그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또는 핫멜트계 점착제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점착층(110)은 점착제를 통한 점착 코팅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점착제를 활용한 점착 코팅은, 액체 상태의 점착제를 도포하는 방식의 코팅(예컨대, 습식 코팅)으로,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또는 콤마 코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비아 코팅은 오목하게 조각된(즉, 음각) 화선부에 점착제를 담아 기재에 직접 전이시키는 코팅 방식일 수 있다. 그라비아 코팅은, Back-up Roll(압동롤 또는 고무롤)과 그라비아(메쉬)를 접촉시켜 점착액을 전이시키는 방식일 수 있다.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은, 코팅롤의 접촉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코팅롤의 반경을 소형화하여 롤 표면과의 접촉범위를 극소화 함으로 박막의 도료를 균일하게 도포하는 정밀 코팅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콤마 코팅은, 콤바 형태의 바를 이용하여 점착액(즉, 액체 상태의 점착제)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점착액의 점도가 높거나 도포 두께를 높일 때 활용되는 코팅 방식일 수 있다.
즉, 점착층(110)은 액체 상태의 점착제에 대한 점착 코팅(또는, 습식 코팅)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점착층(110)을 통해 항균막(100)이 배양용기(10)의 일면에 접촉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재층(120)은, 박막층(130)을 지지 또는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을 가진 소재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기재층(120)은 필름, 부직포, 플라스틱 등에 관련한 다양한 탄성 소재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층(120)을 구성하는 다양항 탄성 소재는, 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PI(Polyimide), PP(Polypropyelen), PE(Polyethylene), Polyester,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methacrylat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예를 들어, 기재층(120)은 PET 또는 PI로 구성됨에 따라, 항균막(100)은 필름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재층(120)의 일면에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나노합금 조성물을 증착시킴에 따라 박막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박막층(130)은 반자성체 재료와 강자성체 재료의 합금 또는 반자성체 재료와 상자성체 재료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나노합금 조성물을 통해 구성되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박막층(130)을 형성하는 나노합금 조성물은, 반자성체 성분의 재료와 강자성체 성분의 재료의 합금 또는 반자성체 성분의 재료와 상자성체 성분의 재료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쇄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나노합금 조성물은, 구리, 금, 은, 비스무트 등에서 선택된 반자성체 성분과, 철, 니텔, 코발트, 네오디뮴 등 강자성체 또는, 백금 등 상자성체 성분 과의 합금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합금 조성물은, 반자성체인 구리와 강자성체인 철의 합금 즉, 구리-철 합금에 관련한 나노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전술한 나노합금 조성물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반자성체 성분의 재료와 상자성체 성분의 재료(또는 강자성체 성분의 재료)를 통해 합금 조성물로 구성하는 경우, 구리, 금, 은, 비스무트 등 전도성 금속물질(즉, 반자성체 성분)의 산화환원에 의한 전기장 변화에 의해 자기장이 변화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철, 니켈, 코발트 등 강자성체 성분의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전기장이 변화하는 원리(전기장과 자기장의 산호간 유도현상에 관련한 패러데이 법칙에 의거)에 의해 스스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게 된다. 예컨대, 반자성체 성분과 상자성체 성분 각각이 층이 분리된 2차원 적층구조를 가지며, 패러데이 법칙에 의거하여 전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반자성체 성분과 상자성체 성분(또는 강자성체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나노합금 조성물은, 스스로 전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나노합금 조성물을 통한 증착으로 형성되는 박막층(130)은 스스로 전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나노합금 조성물은 용매 내에 구리-철 합금의 나노분말이 분산된 분삭액 형태로서, 용매 내에서 구리-철 합금의 나노분말의 분산성 및 분산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저히 향상된 항바이러스 및 항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나노합금 조성물은, 반자성체 성분의 재료인 구리와 강자성체 성분의 재료인 철 즉, 구리-철 합금에 기반하여 생성된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나노합금 조성물은 나노분말, 용매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나노분말은, 반자성체 재료와 강자성체 재료 또는 반자성체 재료와 상자성체 재료 중 적어도 하나의 합금에 관련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분말은, 구리-철 합금에 관련한 것으로, 구리와 철이 9 대 1 비율로 포함된 합금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리의 비율이 적어지거나(예컨대, 구리의 비율이 전체 비율에서 80% 이하인 경우) 또는 현저하게 커지는 경우(예컨대, 구리의 비율이 전체 비율에서 99% 이상인 경우), 해당 나노분말을 통해 구현되는 나노합금 조성물의 항바이러스 및 항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나노분말은, 입자 크기가 미리 정해진 크기 이하인 나노분말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나노분말은, 구리-철 합금을 1~100 나노미터의 크기로 분말화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나노분말의 크기에 관련한 구체적인 수치적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나노합금 조성물은 나노분말이 분산된 분산액 형태이되, 용매에 나노분말이 200 내지 800 ppm의 농도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자성체 성분의 재료는, 미량동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박막층(130)에 포함된 반자성체 성분은 구리를 의미할 수 있다.
미량동 작용은, 구리원자가 미생물의 대사작용을 교란시켜 바이러스나 미생물, 곰팡이 등을 살균하는 것으로, 박테리아의 핵산이 완전히 파괴되면서 돌연변이 뿐만 아니라 저항성 조차 완전히 제거하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박막층(130)은 구리를 포함하여 구성(즉, 구리-철 나노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미량동 작용을 통한 항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구리를 통해 수행되는 항균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박테리아 세포(200)는 구리 표면의 구리 이온(210)을 꼭 필요한 영양소로 인식하여, 구리 이온(210)을 체내로 흡수할 수 있다. 즉, 구리 이온(210)이 박테리아 세포(200)를 뚫고 내부로 침투하게 된다(S210). 박테리아 세포(200)의 체내로 침투한 구리 이온(210)은 세포막의 내부 및 외부 간의 전위차를 불안정하게 교란시키며, 이에 따라 박테리아 세포는 내부의 중요한 영양분과 수분을 잃게되어 점차 세포막이 파괴되게 된다(S220). 또한, 구리 이온(210)이 외부의 활성산소종(220)을 유인하여 박테리아 세포의 손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S230). 여기서 활성산소종은 화학적으로 활성화된 즉, 불안정한 산소를 포함하는 화학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과산화수소와 같은 과산화물(peroxide), 초과산화물(superoxide), 수산화 라디칼(hydroxyl radical), 단일항 산소(singlet oxyge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활성산소종(220)은 산소분자로부터 유래된 여러 종류의 반응 분자와 자유라티칼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칼과 연관된 산소 화합물들은 산소 호흡을 하는 생명체들에게 위험한 요인일 수 있다. 즉, 박테리아 세포(200)에 침투한 구리 이온(210)이 활성산소종(220)을 유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활성산소종(220)에 의한 여러 불균형이 초래되어 박테리아 세포(200)의 손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또한, 구리 이온은 게놈 및 플라스미드 DNA 분해를 수행하며, 세포 복제와 자가 증식을 차단하여 박테리아 세포의 세포 호흡과 신진대사를 방해할 수 있다(S240).
전술한 바와 같이, 구리 이온(또는 금속 이온)의 미량동 작용을 통해 균의 활성을 방해하여 항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세균이 대사작용으로 인해 구리 이온을 내부로 포함시키며, 이에 따라 세포막 파괴, 활성산소 발생에 의한 DNA, lipid 등의 파괴가 야기될 수 있다. 즉, 박막층(130)은 구리 이온을 포함하여 구성(즉, 구리-철 나노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미량동 작용을 통한 항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나노합금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매는, 나노분말이 분산되어지는 액을 의미할 수 있다. 용매는 분산된 분산액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 글리콜릭산, 저급 알코올 및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나노합금 조성물은 상기한 다섯 개의 물질을 모두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서, 용매 내에서 나노분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용량을 기준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25 ~ 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살리실산이 3 ~ 7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글리콜릭산이 2 ~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저급 알코올이 15 ~ 17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그리고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인 예를 들어,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을 통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나노합금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분산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alcohol)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조성물을 구성하는 용매 내에서 구리의 분산성 및 분상안정성이 구리의 분산성 및 분산 안정성이 낮을 경우, 층분리 또는 침전물 형성의 문제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항바이러스 및 항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면활성제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을 1:9~1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며, 분산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따라, 나노 분말에 대한 우수한 분산성과 분산안정성을 제공하여 항바이러스 및 항균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나노합금 조성물은 추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첨가제는, 생리식염수, 완충제, 항상화제, 킬레이트제, 분산안정제, 안료, 염료, 노화방지제 및 방부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추가 첨가제들은, Zn, Mg, K, P, Cl, Ca, I, Si, Ti, 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첨가제는 나노합금 조성물의 유전율 변화를 야기킴으로써, 항균막(10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변환 또는 조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추가첨가제를 통해 항균막(10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대한 조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층(130)은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증착(evaporation) 방식으로 기재층(120)의 일면에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박막층(130)은 금속에 관련한 나노합금 조성물을 통해 구성되는 것으로,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증착될 수 있다. 스퍼터링 공정은 진공상태에서 수행되는 증착 공정으로, 증착하고자 하는 물질(즉, 나노합금 조성물)과 막을 입힐 부분(즉, 기재층)에 전계를 가하고, 사이에 제4의 물질 상태인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비활성 기체인 아르곤이온(Ar+)이 (-)극과 연결된 타겟(즉, 나노합금 조성물)쪽으로 이동하면서, 금속과 부딪쳐서 금속 입자가 튕겨서 나와 반대편에 있는 기재층에 쌓이게 유도하여 나노합금 조성물을 기재층(120)의 일면에 증착시키는 공정일 수 있다. 이러한 스퍼터링 방식의 공정을 통해 기재층(120)의 일면에 나노합금 조성물이 증착되어 박막층(130)이 단일 레이어 형태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팅층(140)은 나노합금 조성물 및 광촉매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팅층(140)에 포함된 나노합금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반자성체 성분의 재료와 강자성체 성분의 재료(또는 반자성체 성분의 재료)의 합금에 관련한 나노 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나노합금 조성물은 반자성체 성분의 재료(즉, 구리)를 통한 미량동 작용을 통해 항균 작용을 수행하고, 스스로 발생시키는 전자기장을 통해 항바이러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촉매소자는, 나노합금 조성물을 통해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통해 화학 반응(예컨대, 산화, 환원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UV 등 빛이 없는 조건에서도 광학 작용을 유도하는 광촉매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광촉매소자는 전자기장에 의해 광촉매 반응 활성을 유도하여 항균, 항바이러스, 탈취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광촉매소자란 적정 에너지 이상의 갖는 빛을 받게되면 활성산소, 수산기 라디칼(Hydroxyl Radical)을 발생시켜서 이들의 강한 산화, 환원 작용에 의해 악취물질의 분해 및 항균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반도체적 성질을 갖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반도체는 일정한 영역의 에너지가 가해지면 원자가 전자대(valence band)에서 전도대(conduction band)로 여기된다. 이때 전도대에서는 전자(e-)(20)들이 형성되게 되고 전자대에는 정공(h+)(30)이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전자(20)와 정공(30)은 강한 산화 또는 환원 작용에 의해 유해물질을 분해시키기 위한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이, 광촉매의 특성을 갖는 소자로 이산화티탄(
Figure 112021094580654-pat00001
) 및 산화아연(ZnO)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이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은 화학적 안정성과 반도체로서의 우수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이산화티탄은 약 3.0eV에서 이상의 에너지를 기반으로 광촉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광촉매 소자인 이산화티탄은, 나노합금 조성물을 통해 발생되는 전자기장(10)에 의해 전자(20)와 정공(30)을 발생시키며, 전자와 정공 각각은 공기 중의
Figure 112021094580654-pat00002
,
Figure 112021094580654-pat00003
와 반응을 일으켜 표면에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Figure 112021094580654-pat00004
-)(21)과 하이드록실기 라디칼(-OH)(31)로 된 2종 활성산소를 생성할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 라디칼(31)은 높은 산화, 환원 전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NOx,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및 각종 악취 정화에 탁월할 수 있으며, 축산폐수, 오수, 공장폐수의 BOD, 색도 및 난분해성 오염물질, 환경 호르몬 등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이드록실기 라디칼은 병원성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O-157 등 각종 병원균과 박테리아를 99% 이상 살균하는 등 모든 대상물질을 산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 소자는 태양에너지 또는 형광 빛에 의해서도 반응이 일어나며, "물체에 정착, 광분해, 재생"의 사이클에 의해 영속적인 기능을 발휘하므로 경제적일 수 있다. 또한, 반응 후의 부산물은 물과
Figure 112021094580654-pat00005
로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한 물질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팅층(140)은 전체 용액 대비 용질의 농도가 0.01 내지 2wt%인 나노합금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코팅층(140)은 나노합금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광촉매소자를 5 내지 500 중량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코팅층(140)은 용질(예컨대, 구리-철 합금에 관련한 나노분말)의 농도가 0.01 내지 2wt%인 나노합금 조성물을 통해 구성되며, 나노합금 조성물 대비 광촉매소자의 구비 비율은 1 : 0.2~500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코팅층(140)을 구성하는 나노합금 조성물 내에서의 용질의 농도 및 나노합금 조성물 대비 광촉매소자의 구비 비율은, 광촉매 기능을 극대화함으로써, 탈취, 투과율, 열차단율을 향상시키는 위한 최적의 비율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팅층(140)은 습식 코팅을 통해 박막층(130)의 일면에 코팅되며, 미리 정해진 두께 및 표면경도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두께는 1~10㎛일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표면 경도는 B~5H(Hardness)일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정해진 두께 및 표면경도는 표면 플라즈몬 현상에 의해 광촉매 기능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표면 보호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 값일 수 있다. 전술한 코팅층의 두께 및 표면 경도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적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코팅층(140)은 박막층(130)을 기재로 하여 액체 상태의 조합물(즉, 나노합금 조성물과 광촉매 소자(예컨대, 이산화티탄)의 조합)을 롤투롤(Roll-to-Roll) 형태로 도포하여 진행함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막박층의 권출(언와인딩, Unwinding), 박막층의 표면전처리(Pre-treatment), 코팅(Coating), 건조(Drying), 권취(리와인딩, Rewinding) 등의 과정을 통해 코팅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습식 코팅은,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또는 콤마 코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형성된 코팅층(140)은 나노합금 조성물과 광촉매 소자의 혼합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금속의 재질을 포함하고 있어, 표면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코팅층(120)은 배양용기(10)의 외측 표피에 형성됨에 따라, 표면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코팅층(120)을 통해 외부 충격 또는 외부 자극으로부터 항균막(100)이 보호되어 항바이러스 및 항균 효과의 지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코팅층(140)의 광촉매 소자는 나노합금 조성물을 통해 야기되는 전자기장을 통해 화학 반응을 촉진시킴에 따라, 항균, 항바이러스, 탈취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a)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가 도핑(doping)된 광촉매소자(300)의 경우, 구리가 도핑되지 않은 광촉매 소자 보다 밴드갭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나노합금 조성물을 통해 광촉매 소자를 도핑하는 경우(즉, 구리가 dope된 이산화티탄)은, 광촉매 소자(즉,
Figure 112021094580654-pat00006
) 즉, 구리가 도핑되지 않은 광촉매 소자(310)의 밴드갭(311) 보다 감소된 밴드갭(301)을 가질 수 있다. 밴드갭 감소는 결과적으로,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더 커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항바이러스 및 탈취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소자와 나노합금 조성물 간의 혼합물(즉, 구리가 도핑된 이산화티탄)은, 다중전자전달 현상(TiO2, Cu, Cu+, Cu2+) 이용한 효율 향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감소된 밴드갭으로 인해 가시광(visible light) 영역의 다중전자 전달을 위한 충분한 전자 생성이 가능함에 따라, 가시광을 비교적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빠르고 유기적인 산화(organic oxidation), 환원 반응을 야기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시광 조사 하에서 계면전하이동전이(IFCT, Interfacial Charge Transfer)에 의하여 가전자대역에 있는 전자의 환원 반응이 촉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전자대역의 정공을 광촉매반응에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140)은 UV 등 빛이 없는 조건에서도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통해 광학 작용을 유도하는 광촉매 역할을 수행하여 항균, 항바이러스 및 탈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항균막(100)은 항균, 항바이러스 및 탈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정리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균막(100)은 하이드록실기 라디칼의 높은 산화, 환원 전위에 기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및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물질 제거를 통해 공기정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항균막(100)은 아세트알데히드,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의 악취를 흡착분해여 탈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항균막(100)은 반자성체 성분의 재료(즉, 구리)를 통해 미량동 작용을 통해 살모넬라, 0157, 황색포도사상균, 대장균, 곰팡이 등의 살균 또는 부패방지에 관한 항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항균막(100)은 빛을 받으면 물을 끌어당기는 성질을 활용하여 self-cleaning 효과를 제공하는 등 친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항균막(100)은 유기물질 분해를 통해 표면에 오염의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나노합금 조성물에 포함된 구리를 통한 테스트 수행 결과 항 마이코플라즈마 효과가 나타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8에 관련하여 세포주(cell line)로 HaCaT 세포를 활용하였으며, 각 세포주에 마이코플라즈마를 오염시키고, 상이한 size의 구리 membrane 각각이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6개의 샘플을 4일간 동일 조건 하에 배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경우, 배양 영역은 3.8㎠로 진행하였다.
즉, 1번 샘플은, 1/5면적(0.76㎠)의 구리 membrane이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2번 샘플은, 1/10면적(0.38㎠)의 구리 membrane이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3번 샘플은, 1/20면적(0.19㎠)의 구리 membrane이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4번 샘플은, 1/50(0.076㎠)면적의 구리 membrane이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5번 샘플은, 1/100(0.038㎠)면적의 구리 membrane이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6번 샘플은, 1/200면적(0.019㎠)의 구리 membrane이 포함되도록 하여 4일 간 배양 후 마이코플라즈마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PCR 수행결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세포주에서 마이코플라즈마 오염이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험으로, 도 10에 관련하여 세포주로 SNU1 세포를 활용하였으며, 각 세포주에 마이코플라즈마를 오염시키고, 상이한 size의 구리 membrane 각각이 각 샘플 별로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6개의 샘플(즉, F1 내지 F6) 각각에 대응하여 3개의 크기(즉, 1/2면적(1.9㎠), 1/5면적(0.76㎠) 및 1/10 면적(0.38㎠))에 대응하는 구리 membrane이 각각 포함되도록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즉, F1 내지 F6 샘플 각각에 대응하여 1/2면적(1.9㎠), 1/5면적(0.76㎠) 및 1/10 면적(0.38㎠)의 크기를 갖는 구리 membrane 각각이 포함되도록 하여 5일간 동일 조건 하에 배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경우, 배양 영역은 3.8㎠로 진행하였다. 5일 간 배양 후, 마이코플라즈마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으며, PCR 수행결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세포주에서 마이코플라즈마 오염이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리 membrane의 면적이 클수록 항 마이크플라즈마 기능이 커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1에서 진행된 실험 결과와 같이, 나노합금 조성물을 구성하는 구리는 마이코플라즈마에 관련한 미생물을 죽이거나 또는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항균막(100)은 반자성체 성분(즉, 구리)의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항균 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반자성체 성분의 재료(즉, 구리)와 상자성체 성분의 재료(즉, 철)간의 산화환원 과정에서 전기장의 변화에 기초하여 전자기장을 발생시켜 항바이러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항균막(100)은 전자기장에 의해 광촉매 반응 활성을 유도하는 광촉매소자를 포함하여 구비됨에 따라 항균, 항바이러스 및 탈취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배양용기(10)는 적어도 일면에 항균, 항바이러스 및 탈취 기능을 제공하는 항균막(100)을 적어도 일면에 포함하여 구비됨에 따라항 마이코플라즈마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해당 배양용기(10)를 통해 세포배양 시 마이코플라즈마의 오염을 방지하여 실험의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실험실 내에 마이코플라즈마의 확산을 방지하여 타 세포주들로 오염이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100: 항균막
110: 점착층
120: 기재층
130: 박막층
140: 코팅층

Claims (22)

  1. 배양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의 일면에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나노합금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막을 부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항균막은,
    코팅층; 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나노합금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광촉매소자를 5 내지 500 중량부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팅층에 포함된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은,
    전체 용액 대비 용질의 농도가 0.01 내지 2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광촉매소자는,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의해 광촉매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은,
    구리-철 나노 합금에 관련한 분말을 포함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은,
    반자성체 재료와 강자성체 재료의 합금 또는 상기 반자성체 재료와 상자성체 재료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쇄를 통해 획득되는 나노분말;
    상기 나노분말이 분산되는 액체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 글리콜릭산, 저급 알코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매; 및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계면활성제;
    를 포함하며,
    상기 반자성체 재료는,
    미량동(oligodynamic)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막은,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이 증착되어 형성되는 박막층;
    을 포함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은,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증착(evaporation) 방식으로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습식 코팅을 통해 상기 박막층의 일면에 코팅되며, 미리 정해진 두께 및 표면경도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미리 정해진 두께 및 표면경도 각각은,
    1 내지 10㎛ 및 B 내지 5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제조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액체 상태의 점착제를 지지면에 도포하는 습식코팅 방식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제조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상기 박막층을 지지 또는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을 가진 소재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는,
    세포가 배양되는 용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리(glass), 알루미늄(aluminum), 스테인리스(stainless) 및 내열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제조방법.
  12. 배양용기; 및
    상기 배양용기의 일면에 마련되며,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나노합금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항균막;
    을 포함하며,
    상기 항균막은,
    코팅층; 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나노합금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광촉매소자를 5 내지 500 중량부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코팅층에 포함된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은,
    전체 용액 대비 용질의 농도가 0.01 내지 2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광촉매소자는,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의해 광촉매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은,
    구리-철 나노 합금에 관련한 분말을 포함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은,
    반자성체 재료와 강자성체 재료의 합금 또는 상기 반자성체 재료와 상자성체 재료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쇄를 통해 획득되는 나노분말;
    상기 나노분말이 분산되는 액체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 글리콜릭산, 저급 알코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매; 및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계면활성제;
    를 포함하며,
    상기 반자성체 재료는,
    미량동(oligodynamic)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막은,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상기 나노합금 조성물이 증착되어 형성되는 박막층;
    을 포함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층은,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증착(evaporation) 방식으로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16. 삭제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습식 코팅을 통해 상기 박막층의 일면에 코팅되며, 미리 정해진 두께 및 표면경도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미리 정해진 두께 및 표면경도 각각은,
    1 내지 10㎛ 및 B 내지 5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액체 상태의 점착제를 지지면에 도포하는 습식코팅 방식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상기 박막층을 지지 또는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을 가진 소재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용기는,
    세포가 배양되는 용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리(glass), 알루미늄(aluminum), 스테인리스(stainless) 및 내열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KR1020210108235A 2021-08-17 2021-08-17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368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235A KR102368575B1 (ko) 2021-08-17 2021-08-17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235A KR102368575B1 (ko) 2021-08-17 2021-08-17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575B1 true KR102368575B1 (ko) 2022-02-28

Family

ID=8049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235A KR102368575B1 (ko) 2021-08-17 2021-08-17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57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8367A (ko) 1988-05-26 1990-12-21 스타인, 부크 마이코플라즈마를 함유한 세포배양물의 오염제거 방법
JP2009520076A (ja) * 2005-12-14 2009-05-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抗菌接着フィルム
KR20160019998A (ko) * 2014-08-12 2016-02-23 (주)에이씨티 식물 조직배양체 무균 배양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정용 무균 배양장치
KR20190058314A (ko) * 2017-11-20 2019-05-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WO2020259904A1 (en) * 2019-06-24 2020-12-30 Framtix Holdings Ab An antimicrobial coating composition
KR102198915B1 (ko) * 2020-04-22 2021-01-06 주식회사 퀀텀바이오닉스 구리-철 합금의 나노분말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및 항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8367A (ko) 1988-05-26 1990-12-21 스타인, 부크 마이코플라즈마를 함유한 세포배양물의 오염제거 방법
JP2009520076A (ja) * 2005-12-14 2009-05-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抗菌接着フィルム
KR20160019998A (ko) * 2014-08-12 2016-02-23 (주)에이씨티 식물 조직배양체 무균 배양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정용 무균 배양장치
KR20190058314A (ko) * 2017-11-20 2019-05-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항균점착필름의 제조방법
WO2020259904A1 (en) * 2019-06-24 2020-12-30 Framtix Holdings Ab An antimicrobial coating composition
KR102198915B1 (ko) * 2020-04-22 2021-01-06 주식회사 퀀텀바이오닉스 구리-철 합금의 나노분말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및 항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n et al. Filtration and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performance of PAN/PANI/AgNWs-CC composite nanofiber membrane
Wang et al. Hierarchical Cu2O nanowires covered by silver nanoparticles-doped carbon layer supported on Cu foam for rapid and efficient water disinfection with lower voltage
Cao et al. Electron storage mediated dark antibacterial action of bound silver nanoparticles: smaller is not always better
Gunalan et al. Green synthesized ZnO nanoparticles against bacterial and fungal pathogens
Uhm et al. Tailoring of antibacterial Ag nanostructures on TiO2 nanotube layers by magnetron sputtering
Sökmen et al. A new nano-TiO2 immobilized biodegradable polymer with self-cleaning properties
Le et al. Immobilization of zinc oxide-based photocatalysts for organic pollutant degradation: A review
Sumitha et al. Biocompatible and antibacterial nanofibrous poly (ϵ-caprolactone)-nanosilver composite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Marius et al. Enhanced antibacterial effect of silver nanoparticles obtained by electrochemical synthesis in poly (amide-hydroxyurethane) media
CN101664044B (zh) 磁性纳米银抗菌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028436A (zh) 石墨相氮化碳作为抗菌材料的新用途
Lee et al. Highly photocatalytic performance of flexible 3 dimensional (3D) ZnO nanocomposite
KR102368574B1 (ko) 항균, 항바이러스 및 탈취 효과를 가진 항균막 및 그 제조방법
Domínguez-Espíndola et al. Photoelectrocatalytic inactivation of fecal coliform bacteria in urban wastewater using nanoparticulated films of TiO2 and TiO2/Ag
Kareem et al. Evalu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Fe^ sub 2^ O^ sub 3^ nanoparticles against Shigella dysenteriae
Weng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tibacterial activity in dark and in vitro cytocompatibility of Ag-incorporated TiO 2 microspheres with high specific surface area
KR102368575B1 (ko) 항 마이코플라즈마 기능을 제공하는 배양용기 및 그 제조방법
Iftekhar Hossain et al. Antimicrobial properties of nanorods: killing bacteria via impalement
Monetta et al. Strong and durable antibacterial effect of titanium treated in Rf oxygen plasma: Preliminary results
CN102303907A (zh) 纳米含银三钼酸盐及其制备方法及作为抗菌剂的应用
Salleh et al. Strategies to improve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of metal-oxide based photocatalytic coating: A review
Ji et al. Synthesis of a Ag/AgCl/PLA membrane under electron beam irradiation for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methylene blue and chloramphenicol
Lin et al. Antibacterial effect of metallic glasses
Venkatasubramanian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Zinc Oxide and Ag doped Zinc Oxide Nanoparticles against E. coli
Mulongo et al. Water bactericidal properties of nanosilver-polyurethane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