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742A -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 Google Patents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742A
KR20190057742A KR1020170155052A KR20170155052A KR20190057742A KR 20190057742 A KR20190057742 A KR 20190057742A KR 1020170155052 A KR1020170155052 A KR 1020170155052A KR 20170155052 A KR20170155052 A KR 20170155052A KR 20190057742 A KR20190057742 A KR 20190057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valve
plunger
variable capacity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8572B1 (ko
Inventor
박장식
강동수
홍태호
황성환
국무성
박지영
김준태
Original Assignee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572B1/ko
Priority to PCT/KR2018/014242 priority patent/WO2019098804A1/ko
Publication of KR20190057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플런저의 일부를 수용하여 구동시키는 2단 코일을 적용하여 부품간의 동심도를 높이는 동시에 구동력을 증대시키는 한편 비자성재의 슬리브를 부가하여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랭크실, 토출실, 그리고 흡입실이 형성되고 상기 크랭크실 내에 사판을 구비한 가변용량 압축기에 접속되어 냉매의 유로 절환을 통해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실, 상기 토출실, 그리고 상기 흡입실에 각각 연통되는 제1포트(101), 제2포트(102), 그리고 제3포트(103)가 형성되는 중공의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1포트(101)와 상기 제2포트(102) 간에 형성된 유로의 개도를 조절 가능한 메인 밸브(210)를 포함하는 밸브부(200)와; 상기 제3포트(103)의 압력 변화에 따라 신축 가능한 압력감응부재(310)를 포함하여 상기 밸브부(200)의 위치를 보정하는 압력 감응부(300)와; 내경이 서로 다른 계단형태의 대경부분(411)과 소경부분(412)으로 이루어지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하는 자력을 형성하는 2단 코일(410)과, 일측 말단이 상기 밸브부(200)에 연결되며 타측 일부가 상기 2단 코일(410)의 대경부분(411) 내에 삽입되어 진퇴 가능한 플런저(420)를 포함하는 구동부(400)와;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상기 플런저(420)의 외주면 간에 상호 간극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자력의 영향을 감소시켜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도록 개재되는 비자성재의 슬리브(500)를 포함하여, 중심이 틀어져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정확도 높게 밸브 제어를 수행하고, 특히 제품의 신뢰도 및 상품성을 증대시키면서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Exhaust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본 발명은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플런저의 일부를 수용하여 구동시키는 2단 코일을 적용하여 부품간의 동심도를 높이는 동시에 구동력을 증대시키는 한편 비자성재의 슬리브를 부가하여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중심이 틀어져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정확도 높게 밸브 제어를 수행하고, 특히 제품의 신뢰도 및 상품성을 증대시키면서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에 적용되는 냉매용 압축기는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구동하기 때문에, 압축기의 구동이 엔진의 회전속도, 즉 분당회전수에 의존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압축기의 압축 용량 또한 엔진의 분당회전수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차량의 냉방 성능이 엔진의 분당회전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냉방 제어가 자유롭지 못하여, 엔진의 분당회전수에 의존하지 않고 냉매의 토출 용량을 가변시켜 적절한 냉방을 실시하는 가변용량 압축기가 널리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가변용량 압축기는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크랭크축에 사판이 마련되어, 이 사판의 경사각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가변용량 압축기는 냉매의 토출 용량을 가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판의 경사각 제어를 위하여 가변용량 압축기에는 제어밸브가 마련되며, 이러한 종래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중 하나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93383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기술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제어밸브에 있어서 코일에 의해 구동하는 플런저가 상기 코일 내에 위치하는 반면, 실제 개폐를 단속하는 밸브체는 상기 플런저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플런저로부터 밸브체에 이르기까지의 길이가 길어 부품간의 동심도 및 동축도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어려워 부품 상호간의 간섭이나 작동 불량은 물론 진동 및 소음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둘째, 플런저가 코일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플런저의 외경을 코일의 내경 보다 작게 설계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소망하는 수준의 높은 구동력을 얻기 어려웠다.
셋째, 플런저 자체 또는 플런저에 결합하여 이동하는 부품과 기타 위치 고정되어 있는 부품 간의 습동부분에 지속적인 마찰저항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자력의 영향으로 이러한 저항이 더욱 증대되어 제어밸브의 구동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93383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플런저의 일부를 수용하여 구동시키는 2단 코일을 적용하여 부품간의 동심도 및 동축도를 높임으로써 중심이 틀어져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구동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정확도 높게 밸브 제어를 수행하고, 특히 습동부분에 비자성재의 슬리브를 부가하여 자력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한편 습동저항을 저감시킴으로써 밸브의 보다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제품의 신뢰도 및 상품성을 증대시키면서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크랭크실, 토출실, 그리고 흡입실이 형성되고 상기 크랭크실 내에 사판을 구비한 가변용량 압축기에 접속되어 냉매의 유로 절환을 통해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실, 상기 토출실, 그리고 상기 흡입실에 각각 연통되는 제1포트, 제2포트, 그리고 제3포트가 형성되는 중공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 간에 형성된 유로의 개도를 조절 가능한 메인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부와; 상기 제3포트의 압력 변화에 따라 신축 가능한 압력감응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밸브부의 위치를 보정하는 압력 감응부와; 내경이 서로 다른 계단형태의 대경부분과 소경부분으로 이루어지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하는 자력을 형성하는 2단 코일과, 일측 말단이 상기 밸브부에 연결되며 타측 일부가 상기 2단 코일의 대경부분 내에 삽입되어 진퇴 가능한 플런저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과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 간에 상호 간극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자력의 영향을 감소시켜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도록 개재되는 비자성재의 슬리브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가 형성되는 메인 몸체와 상기 제3포트가 형성되되 상자성재로 이루어진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요크의 내주면과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압력 감응부는, 내부에 탄성체를 구비한 압력감응부재인 벨로우즈를 포함하여 상기 플런저 내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2단 코일의 내측에 위치하는 코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벨로우즈의 신축에 따라 상기 밸브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이때, 상기 슬리브는 상기 코어에 지지되어 위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밸브부에는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3포트를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통로가 추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의 진퇴 시에 밸브시트와의 간극이 변화하면서 가변 오리피스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플런저의 일부를 수용하여 구동시키는 2단 코일을 적용하여 부품간의 동심도 및 동축도를 높임으로써 중심이 틀어져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구동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정확도 높게 밸브 제어를 수행하고, 특히 습동부분에 비자성재의 슬리브를 부가하여 자력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한편 습동저항을 저감시킴으로써 밸브의 보다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제품의 신뢰도 및 상품성을 증대시키면서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몸체부의 일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구동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밸브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압력감응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구동부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 6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구동부에 전류량이 100% 인가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 6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구동부에 전류량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인가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 6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0은 도 6에 있어서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몸체부의 일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구동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밸브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압력감응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구동부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 6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구동부에 전류량이 100% 인가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 6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구동부에 전류량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인가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 6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10은 도 6에 있어서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는 플런저의 일부를 수용하여 구동시키는 2단 코일(410)을 적용하여 부품간의 동심도 및 동축도를 높임으로써 중심이 틀어져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구동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정확도 높게 밸브 제어를 수행하고, 특히 습동부분에 비자성재의 슬리브(500)를 부가하여 자력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한편 습동저항을 저감시킴으로써 밸브의 보다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제품의 신뢰도 및 상품성을 증대시키면서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실, 토출실, 그리고 흡입실이 형성되고 상기 크랭크실 내에 사판을 구비한 가변용량 압축기에 접속되어 냉매의 유로 절환을 통해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실, 상기 토출실, 그리고 상기 흡입실에 각각 연통되는 제1포트(101), 제2포트(102), 그리고 제3포트(103)가 형성되는 중공의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1포트(101)와 상기 제2포트(102) 간에 형성된 유로의 개도를 조절 가능한 메인 밸브(210)를 포함하는 밸브부(200)와; 상기 제3포트(103)의 압력 변화에 따라 신축 가능한 압력감응부재(310)를 포함하여 상기 밸브부(200)의 위치를 보정하는 압력 감응부(300)와; 내경이 서로 다른 계단형태의 대경부분(411)과 소경부분(412)으로 이루어지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하는 자력을 형성하는 2단 코일(410)과, 일측 말단이 상기 밸브부(200)에 연결되며 타측 일부가 상기 2단 코일(410)의 대경부분(411) 내에 삽입되어 진퇴 가능한 플런저(420)를 포함하는 구동부(400)와;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상기 플런저(420)의 외주면 간에 상호 간극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자력의 영향을 감소시켜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도록 개재되는 비자성재의 슬리브(5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는 크게 몸체부(100), 밸브부(200), 압력 감응부(300), 구동부(400), 그리고 슬리브(500)를 포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는 차량의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인 주지의 가변용량 압축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주지의 가변용량 압축기는 그 내부에 크랭크실, 토출실, 그리고 흡입실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변용량 압축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그리고 증발기로 이루어져 냉매 순환에 따라 냉방을 실시하는 냉방사이클에 있어서 압축기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변용량 압축기의 크랭크실 내에는 사판이 마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는 이러한 가변용량 압축기에 접속되어 냉매의 유로 절환을 통해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크랭크실에 공급되는 냉매의 압력을 낮춰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크게 제어하는 경우, 상기 가변용량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냉방 효과를 높이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크랭크실에 공급되는 냉매의 압력을 높여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작게 제어하는 경우 상기 가변용량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양이 감소하게 되어 냉방 효과를 낮추게 되는 것이다.
우선, 상기 몸체부(100)는 도 2 및 도 6과 같이 대략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기본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그 내부에 다양한 구성 부품이 위치 고정되게 또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100)는 오직 하나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진 단일체이어도 좋고, 둘 이상의 구성품이 하나로 조립된 조립체이어도 양호하다.
다만, 몸체부(100)는 조립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가급적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그 내부 형상의 가공 편의성이나 혹은 부분적으로 특정 소재의 물성, 예를 들어 상자성이나 비자성이 요구되는 경우 조립체로 이루어져도 양호할 것이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상기 가변용량 압축기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크랭크실, 상기 토출실, 그리고 상기 흡입실에 각각 연통되도록 제1포트(101), 제2포트(102), 그리고 제3포트(10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포트(101), 상기 제2포트(102), 그리고 상기 제3포트(103)는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여 상기 몸체부(100)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포트(101)의 경우 좌측을 향하여 1개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제2포트(102) 및 제3포트(103)는 상기 몸체부(100)의 둘레면을 따라 각각 한 개 또는 두 개를 초과하는 개수로 방사상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각각의 포트가 지향하는 방향에 제한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포트(101)에는 밸브시트(1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밸브시트(130)에는 다수의 통공(131)이 테두리를 따라 방사상에 형성되어 냉매가 이 밸브시트(130)를 통과하여 상기 제1포트(101)로 유통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밸브시트(130)는 상기 제1포트(101)의 내주면에 위치 조절 불가하게 압입 결합될 수 있으며, 혹은 나사 결합하여 상기 밸브시트(130)의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밸브시트(130)의 바깥 쪽에는 별도의 필터(132)가 상기 제1포트(101)의 말단에 추가로 조립되어 상기 제1포트(101)를 통과하는 냉매로부터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밸브시트(130)는 이하에 설명할 밸브부(200)와 상호 간극이 조절되어 가변 오리피스의 기능을 수행할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포트(102)의 둘레에는 대략 링형상의 필터 프레임(140)이 마련될 수 있으며, 미도시하였지만 얇은 면상의 다공 필터가 상기 필터 프레임(140)에 부가되어 상기 제2포트(102)를 유통하는 냉매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킬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05는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탄성 기밀재질의 씰링이며, 도면에는 각각의 포트 사이사이에 씰링(105)이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100)에는 3개의 씰링(105)이 적용된 것을 예시하였다.
다음으로, 밸브부(200)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상기 몸체부(100) 내에 위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이러한 밸브부(200) 또한 단일체나 조립체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밸브부(200)는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 밸브(210)와 밸브 샤프트(220)를 포함하는 조립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인 밸브(210)와 상기 밸브 샤프트(220)는 상호 나사 결합 또는 압입 결합되어 서로 일체화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밸브부(200)의 메인 밸브(210) 및 밸브 샤프트(220)는 모두 중공체로 이루어져 있어 그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냉매가 선택적으로 유통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 밸브(210)는 상술한 몸체부(100) 내부에 있어서 제1포트(101)와 제2포트(102) 간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밸브(210)가 도 7에 있어서 좌측으로 전진할 경우 제1포트(101)와 제2포트(102) 간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를 개방시키며, 도 8과 같이 도면상 우측으로 후퇴할 경우 이 유로를 폐쇄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메인 밸브(210)는 유로의 완전 개방 상태와 완전 폐쇄 상태로만 절환되는 것은 아니며,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유로의 개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이러한 개도의 정밀 제어는 이후에 설명할 압력 감응부(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압력 감응부(30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주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신축 가능한 압력감응부재(3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대략 상기 제3포트(103)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몸체부(100)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감응부재(310)는 상기 제3포트(103)의 냉매 압력, 즉 가변용량 압축기에 있어서 흡입실의 냉매 압력에 영향을 받게 되어 신축하게 됨으로써, 상술한 밸브부(200)의 정밀 제어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감응부재(310)에 가해지는 냉매의 압력이 높은 경우 상기 압력감응부재(310)가 수축하게 되며, 냉매의 압력이 낮은 경우 상기 압력감응부재(310)가 신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압력 감응부(300)에 있어서 압력감응부재(310)의 신축은 밸브부(200)의 위치 제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음으로, 구동부(4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과 같이, 코일과 플런저를 포함하는 주지의 솔레노이드 구동기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내경이 서로 다른 계단형태의 대경부분(411)과 소경부분(412)으로 이루어진 2단 코일(410)을 포함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2단 코일(410)은 원통형의 케이싱(440) 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면부호 401은 상기 구동부(40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씰링이다.
이러한 2단 코일(410)의 외주면은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있지만, 그 내주면에는 소경부분(412)에 비해 내경이 큰 대경부분(411)이 2단 코일(410) 전체 길이에 대하여 대략 1/3 내지 1/2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2단 코일(410)은 상기 소경부분(412)과 상기 대경부분(411)의 권회수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2단 코일(410)은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하는 자력을 형성하게 되며, 예를 들어, 높은 전류량이 인가되면 상대적으로 큰 자력을 형성하게 되고, 낮은 전류량이 인가되면 상대적으로 작은 자력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전류량이 인가되지 않으면 자력이 형성되지 않을 것이며, 이러한 2단 코일(410)에 공급되는 전류량은 차량의 공조 컨트롤러에 의해 능동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2단 코일(410)에서 형성되는 자력에 따라 위치 이동하는 구성이 플런저(420)이며,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플런저(420)의 일부만이 상기 2단 코일(410) 내에 삽입되도록 위치하는 것이다.
즉, 상기 플런저(420)는 상술한 2단 코일(41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위치하거나 혹은 상술한 2단 코일(410)의 완전히 바깥에 위치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플런저(420)가 2단 코일(41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위치한다는 것은 상기 2단 코일(410)의 전체 길이 내에 상기 플런저(420)의 전체 길이가 모두 수용되도록 중첩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밸브부(200)로부터 플런저(420)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너무 길어 부품간의 동심도 및 동축도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어려워 부품 상호간의 간섭이나 작동 불량은 물론 진동 및 소음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플런저(420)가 2단 코일(410)의 완전히 바깥에 위치한다는 것은 2단 코일(410)의 전체 길이 내에 상기 플런저(420)의 전체 길이 중 어느 일부도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밸브부(200)로부터 플런저(420)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워져 부품간의 동심도나 동축도를 정확하게 유지하기에는 양호하지만, 플런저(420)가 코일로부터 너무 멀리 이격되어 있어 플런저(420)에 대하여 소망하는 수준의 높은 구동력을 얻기 어려운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플런저(420)의 일부만이 2단 코일(410) 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부품간의 동심도 및 동축도를 정확하게 유지하면서도 소망하는 수준의 높은 플런저(420) 구동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플런저(420)의 도면상 좌측 말단은 상술한 밸브부(200)의 밸브 샤프트(220) 외주면에 연결되며, 도면상 우측 일부가 상기 2단 코일(410)의 대경부분(411)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6과 같이 상기 플런저(420)가 도면상 우측으로 최대 삽입될 수 있는 위치는 상기 2단 코일(410)에 형성되어 있는 대경부분(411)인 상기 2단 코일(41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대략 1/3 내지 1/2에 해당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2단 코일(410)과 상기 플런저(420) 사이에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코일스프링(450)이 마련되어 상기 플런저(420)가 상기 2단 코일(410)로부터 도면상 좌측으로 이격되도록 탄성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런저(4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스프링(450)과 접촉하기 위한 별도의 단턱(421)이 돌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2단 코일(410)에 전류량이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코일스프링(450)에 의해 도 6에 있어서 좌측으로 플런저(420)가 전진하며, 상술한 2단 코일(410)에 전류량이 인가될 경우 상기 2단 코일(410)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도 6에 있어서 우측으로 플런저(420)가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플런저(420)의 좌측 말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 샤프트(220)가 서로 일체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상기 플런저(4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밸브 샤프트(220)를 포함한 밸브부(200) 전체가 모두 함께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6 및 도 10과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상기 플런저(420)의 외주면 간에 상호 간극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자력의 영향을 감소시켜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도록 개재되는 비자성재의 슬리브(500)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 또 하나의 특징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슬리브(500)는 대략 1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중공 파이프 형태로서 비자성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슬리브(500)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과 상기 플런저(420)의 외주면 간에 소정의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상술한 구동부(400)에서 형성된 자력을 플런저(420)가 위치하는 도면상 좌측을 향해 연장시키고자 상자성재로 이루어진 요크(120)를 몸체부(100)에 추가로 부가하는 경우에는, 몸체부(100)에 있어서 상자성재로 이루어진 요크(120)와 구동부(400)에 있어서 상자성재로 이루어진 플런저(420)의 사이에 비자성재로 이루어진 상기 슬리브(500)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자성재로 이루어진 플런저(420)와 요크(120) 사이에서 비자성재로 이루어진 슬리브(500)가 위치함으로써, 상기 플런저(420)와 상기 요크(120) 상호간에 작용하는 습동저항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하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상기 슬리브(500)에 의해 플런저(420)와 요크(120)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의 영향을 저감시킴으로써 플런저(420)의 외주면과 요크(12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습동부분에 대하여 마찰 저항을 크게 저감시키고, 플런저(420)의 구동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상기 슬리브(500)의 두께를 증감시키면서 플런저(420)와 요크(1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습동저항을 측정해 본 결과, 상기 슬리브(500)의 두께 0.1mm 변화에도 습동저항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시험 결과에 따르면, 상술한 슬리브(500)의 두께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에 의해, 기본적으로 플런저(420)의 구동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플런저(420)와 요크(120) 사이의 습동저항을 적절하게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400)의 자력을 연장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제1포트(101) 및 상기 제2포트(102)가 형성되는 메인 몸체(110)와 상기 제3포트(103)가 형성되되 상자성재로 이루어진 요크(120)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500)는 상기 요크(120)의 내주면과 상기 플런저(420)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몸체부(100)에 있어서 요크(120)만을 국부적으로 몸체부(100)와는 다른 재질의 상자성재로 적용하기 위함이며, 이에 따라, 메인 몸체(110)에는 상술한 제1포트(101)와 제2포트(102)가 형성될 것이며, 상기 요크(120)에는 상술한 제3포트(103)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응부(30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내부에 탄성체(311)를 구비한 압력감응부재(310)인 벨로우즈를 포함하여 상기 플런저(420) 내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2단 코일(4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코어(43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벨로우즈의 신축에 따라 상기 밸브부(20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압력 감응부(300)의 압력감응부재(310)인 벨로우즈의 양단에는 제1지지부재(312) 및 제2지지부재(313)가 마련되며 그 내부에는 탄력적으로 신장하도록 탄성체(311)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감응부재(310)에 작용하는 냉매의 압력이 낮을 경우 상기 탄성체(311)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신장하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압력감응부재(310)에 작용하는 냉매의 압력이 높을 경우에는 단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압력 감응부(300)는 상술한 플런저(420)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420)는 상기 압력 감응부(3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플런저(420)의 둘레면에는 통공(422)이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420)의 내부로 제3포트(103)의 냉매 압력이 상술한 압력 감응부(300)에도 원활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압력 감응부(300)의 도면상 우측은 제2지지부재(313)에 조절나사(320)가 연결되며, 이 조절나사(320)는 상술한 2단 코일(4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코어(430) 내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면부호 301은 상기 조절나사(32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씰링(301)이다.
이때, 상기 코어(430)는 중공체로 이루어져 있어 이 코어(430)의 내주면에 도 6과 같이 상기 조절나사(320)가 고정 체결되며, 이 조절나사(320)를 돌려 체결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상술한 압력감응부재(310)의 지지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압력 감응부(300)의 도면상 좌측에 마련되는 제1지지부재(312)는 상기 압력감응부재(310)인 벨로우즈의 신축에 따라 상기 밸브부(20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부(200)에는 기본적으로 탄성체(311), 플런저(420), 그리고 압력 감응부(300)의 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밸브부(200)가 냉매 유로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500)는 상기 코어(430)에 지지되어 위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술한 슬리브(500)는 도 4와 같이 플런저(420)의 외주면과 몸체부(100)의 요크(120)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슬리브(500)를 상기 코어(430)에 일체로 연결하고, 다시 상기 슬리브(500)에 상기 요크(120)를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조립 부품의 수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단순히 상기 슬리브(500)를 소정의 위치에 개재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위치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슬리브(500)가 조립 공차 등으로 인해 미세하게 유동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200)에는 상기 제1포트(101)와 상기 제3포트(103)를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통로(221)가 추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200)의 진퇴 시에 밸브시트(130)와의 간극이 변화하면서 가변 오리피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가변용량 압축기에 있어서는, 압축기의 효과적인 제어를 목적으로 크랭크실의 냉매를 흡입실로 직접 배출시키기 위하여 가변용량 압축기의 몸체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의 오리피스를 마련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오리피스는 개도 조절이 별도로 이루어지지 않고 일정한 직경을 가진 고정 오리피스 형태이기 때문에 오히려 이러한 고정 오리피스에 의해 불필요한 경우에도 크랭크실의 냉매가 흡입실로 배출되어 가변용량 압축기의 압축 효율이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밸브부(200)에 있어서 메인 밸브(210)와 밸브 샤프트(220)를 모두 중공체로 형성하고, 제1포트(101)와 제3포트(103)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바이패스 통로(221)를 상기 밸브부(200)에 추가 형성하는 것에 추가적인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바이패스 통로(221)는 상기 밸브부(200)에 있어서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밸브 샤프트(220)에 추가 형성되어 밸브부(200)의 내부와 제3포트(103)를 연통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있어서 제1포트(101), 밸브시트(130)와 메인 밸브(210), 밸브 샤프트(220)의 바이패스 통로(221), 그리고 제3포트(103)로 이루어지는 가변 오리피스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변 오리피스는 상기 밸브부(200)의 진퇴 시에 상기 밸브부(200)와 밸브시트(130) 사이의 간극이 스스로 조절됨으로써 크랭크실의 냉매를 흡입실로 적절하게 배출시키는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밸브부(200)의 메인 밸브(210)가 밸브시트(130)에 완전히 밀착되었을 때에는 가변 오리피스가 폐쇄되며, 도 8과 같이 메인 밸브(210)가 밸브시트(130)로부터 이격되면 가변 오리피스가 개방된다.
이에 그치지 않고,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압력 감응부(300)에 의한 밸브부(200)의 진퇴 시에도 메인 밸브(210)와 밸브시트(130) 사이의 개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내에 가변 오리피스를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고정 오리피스를 배제시키면서도 가변용량 압축기에 대한 압축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는 구동부(4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구동부(400)에 전류량이 100% 인가되는 경우, 그리고 구동부(400)에 전류량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인가되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각각의 경우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부(40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400)의 동작이 없으며, 단지 코일스프링(450)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420)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420)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 샤프트(220)를 통해 메인 밸브(210)를 포함한 밸브부(200) 전체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210)는 도 7과 같이 몸체부(100) 내에 형성된 제1포트(101)와 제2포트(102) 사이의 유로를 개방시킴으로써, 가변용량 압축기의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로 실선의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냉매가 흐르게 되며, 이러한 경우, 가변 오리피스는 폐쇄된다.
결과적으로, 가변용량 압축기에 있어서 크랭크실의 냉매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사판의 경사각을 최대한 작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변용량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양을 최소화하며, 가변 오리피스가 폐쇄되어 크랭크실로부터 흡입실로의 냉매 배출은 발생치 않는다.
<구동부(400)에 전류량이 100% 인가되는 경우>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전원이 100%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400)에 100%의 전류량이 공급되며, 이때, 상기 플런저(420)의 구동력은 코일스프링(450)의 탄성적인 신장력보다 크기 때문에, 플런저(420)가 도면상 우측으로 최대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420)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 샤프트(220)를 통해 메인 밸브(210)를 포함한 밸브부(200) 전체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메인 밸브(21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 내에 형성된 제1포트(101)와 제2포트(102) 사이의 유로를 폐쇄시킴으로써, 가변용량 압축기의 토출실로부터 크랭크실로 냉매의 흐름이 없게 되며, 이러한 경우, 가변 오리피스는 최대로 개방된다.
결과적으로, 가변용량 압축기에 있어서 크랭크실의 냉매 압력이 하강함에 따라 사판의 경사각을 최대한 크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변용량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양을 최대로 하게 되며, 특히 가변 오리피스에 의해 크랭크실의 냉매가 흡입실로 신속하게 배출되어 압축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게 된다.
<구동부(400)에 전류량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인가되는 경우>
본 발명의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전원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400)에 적절하게 제어된 전류량이 공급되며, 이러한 경우, 제3포트(103)에 작용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의 크랭크실 냉매 압력이 압력 감응부(300)에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420)의 구동력 및 코일스프링(450)의 탄력적인 신장력과 함께, 상기 압력 감응부(300)에 있어서 압력감응부재(310)에 작용하는 냉매 압력에 따라 신축하려는 힘이 더하여져 상기 플런저(420)가 도면상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번갈아 가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420)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 샤프트(220)를 통해 메인 밸브(210)를 포함한 밸브부(200) 전체가 도면상 좌측 또는 우측으로 흡입실의 냉매 압력 변화에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메인 밸브(210)는 몸체부(100) 내에 형성된 제1포트(101)와 제2포트(102) 사이의 유로 개도를 도 9와 같이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가변용량 압축기에 있어서 크랭크실의 냉매 압력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사판의 경사각을 적절하게 크거나 작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변용량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양을 최적화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가변 오리피스 또한 메인 밸브(210)와 밸브시트(130) 사이의 개도를 상기 밸브부(200)의 이동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가변용량 압축기의 압축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일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에 있어서, 도 6과 같이 플런저(420)의 일부만이 2단 코일(410)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플런저(420)로부터 밸브부(200)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 부품간의 동심도 및 동축도를 정확하게 유지하면서도 소망하는 수준의 높은 플런저(420) 구동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상자성재로 이루어진 요크(120)를 부가하여 플런저(420)의 일부만이 2단 코일(410) 내에 위치하더라도 높은 구동력을 얻을 수 있으면서도, 도 10과 같이 몸체부(100)에 있어서 상자성재로 이루어진 요크(120)와 구동부(400)에 있어서 상자성재로 이루어진 플런저(420)의 사이에 비자성재로 이루어진 상기 슬리브(500)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플런저(420)와 상기 요크(120) 상호간에 작용하는 습동저항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리브(500)에 의해 플런저(420)와 요크(120)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의 영향을 저감시키는 한편, 플런저(420)의 외주면과 요크(12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습동부분에 대하여 마찰 저항을 크게 저감시킴으로써, 상술한 플런저(420)의 구동력이 저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추가적으로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내에 가변 오리피스를 일체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크랭크실의 냉매를 흡입실로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압축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킨다는 이점 또한 가지게 된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몸체부 101 : 제1포트
102 : 제2포트 103 : 제3포트
105 : 씰링 106 : 밸브기구
110 : 메인 몸체 120 : 요크
130 : 밸브시트 131 : 통공
132 : 필터 140 : 필터 프레임
200 : 밸브부 210 : 메인 밸브
220 : 밸브 샤프트 221 : 바이패스 통로
300 : 압력 감응부 301 : 씰링
310 : 압력감응부재 311 : 탄성체
312 : 제1지지부재 313 : 제2지지부재
320 : 조절나사 400 : 구동부
401 : 씰링 410 : 2단 코일
411 : 대경부분 412 : 소경부분
420 : 플런저 421 : 단턱
422 : 통공 430 : 코어
440 : 케이싱 450 : 코일스프링
500 : 슬리브

Claims (5)

  1. 크랭크실, 토출실, 그리고 흡입실이 형성되고 상기 크랭크실 내에 사판을 구비한 가변용량 압축기에 접속되어 냉매의 유로 절환을 통해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실, 상기 토출실, 그리고 상기 흡입실에 각각 연통되는 제1포트, 제2포트, 그리고 제3포트가 형성되는 중공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 간에 형성된 유로의 개도를 조절 가능한 메인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부와;
    상기 제3포트의 압력 변화에 따라 신축 가능한 압력감응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밸브부의 위치를 보정하는 압력 감응부와;
    내경이 서로 다른 계단형태의 대경부분과 소경부분으로 이루어지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하는 자력을 형성하는 2단 코일과, 일측 말단이 상기 밸브부에 연결되며 타측 일부가 상기 2단 코일의 대경부분 내에 삽입되어 진퇴 가능한 플런저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과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 간에 상호 간극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자력의 영향을 감소시켜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도록 개재되는 비자성재의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가 형성되는 메인 몸체와 상기 제3포트가 형성되되 상자성재로 이루어진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요크의 내주면과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응부는, 내부에 탄성체를 구비한 압력감응부재인 벨로우즈를 포함하여 상기 플런저 내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2단 코일의 내측에 위치하는 코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벨로우즈의 신축에 따라 상기 밸브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코어에 지지되어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에는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3포트를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통로가 추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부의 진퇴 시에 밸브시트와의 간극이 변화하면서 가변 오리피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KR1020170155052A 2017-11-20 2017-11-20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KR101988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052A KR101988572B1 (ko) 2017-11-20 2017-11-20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PCT/KR2018/014242 WO2019098804A1 (ko) 2017-11-20 2018-11-20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052A KR101988572B1 (ko) 2017-11-20 2017-11-20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742A true KR20190057742A (ko) 2019-05-29
KR101988572B1 KR101988572B1 (ko) 2019-06-12

Family

ID=6653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052A KR101988572B1 (ko) 2017-11-20 2017-11-20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8572B1 (ko)
WO (1) WO2019098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1486B (zh) * 2020-03-01 2023-04-07 山东东阀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减压阀
KR20240063626A (ko) 2022-11-03 2024-05-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압 압축기용 유로절환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456A (ja) * 2001-02-21 2002-09-06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磁制御弁のソレノイド構造
JP2007211728A (ja) * 2006-02-13 2007-08-23 Tgk Co Ltd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KR100933830B1 (ko) 2002-02-04 2009-12-24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용량제어밸브
KR20120130570A (ko) * 2011-05-23 2012-12-03 학교법인 두원학원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6182A (ja) * 2007-08-03 2009-02-19 Fuji Koki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KR101370736B1 (ko) * 2013-02-19 2014-03-10 주식회사 두원전자 압축기용 제어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456A (ja) * 2001-02-21 2002-09-06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磁制御弁のソレノイド構造
KR100933830B1 (ko) 2002-02-04 2009-12-24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용량제어밸브
JP2007211728A (ja) * 2006-02-13 2007-08-23 Tgk Co Ltd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KR20120130570A (ko) * 2011-05-23 2012-12-03 학교법인 두원학원 압축기용 제어밸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8804A1 (ko) 2019-05-23
KR101988572B1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404B1 (ko) 가변용량 압축기의 전자제어밸브
US8251673B2 (en)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4173111B2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7114203B2 (ja) 容量制御弁
US11536389B2 (en) Electromagnetic valve
JPH0599136A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2004116407A (ja) 容量制御弁及びその制御方法
JP6402426B2 (ja) 可変容量圧縮機
JP2001153256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KR101988572B1 (ko)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KR20060043852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US20200057458A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20060050534A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JP2005069072A (ja) 容量制御弁
KR20170093349A (ko) 가변용량 압축기의 전자제어밸브
JP2004116349A (ja) 可変容量圧縮機用容量制御弁
JPWO2020110925A1 (ja) 容量制御弁
JP4545031B2 (ja) 制御弁および容量可変型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11801496A (zh) 压缩机的控制装置、用于该控制装置的电子控制阀以及包括该电子控制阀的电子压缩机
KR101815634B1 (ko) 가변용량 압축기의 전자제어밸브
KR102634942B1 (ko) 용량 제어 밸브
JP2002349432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4100924B2 (ja) 容量制御弁
JP4728848B2 (ja) 制御弁および容量可変型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H022382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