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027A - 하중 감지센서 및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하중 감지센서 및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027A
KR20190056027A KR1020170153012A KR20170153012A KR20190056027A KR 20190056027 A KR20190056027 A KR 20190056027A KR 1020170153012 A KR1020170153012 A KR 1020170153012A KR 20170153012 A KR20170153012 A KR 20170153012A KR 20190056027 A KR20190056027 A KR 20190056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wire
insulating paper
block
load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9878B1 (ko
Inventor
이경환
Original Assignee
이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환 filed Critical 이경환
Priority to KR1020170153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8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다른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는, 하중 감지센서의 부품인 금속판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프레임의 한쪽에 구비되는 자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띠 형상의 절연지, 와이어 및 상기 절연지보다 좁은 폭을 갖는 띠 형상의 금속판을 동시에 제1 블럭의 상면으로 통과시키면서 서로 일체화되도록 가압하되, 상기 금속판의 상면을 제1,2 가압 로울러로 하향 가압하여 상기 절연지가 상기 와이어를 감싸면서 상기 금속판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금속판의 저면 중앙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1 부착부; 상기 제1 부착부를 통과하면서 서로 일체화된 상기 절연지와 와이어 및 금속판을 간격유지단 부착부재에 형성된 사각형의 관통공으로 통과시켜 상기 금속판의 저면에 부착된 상기 절연지의 양쪽 가장자리를 상기 금속판의 상면 양쪽 가장자리 쪽으로 접어 상기 금속판의 상면 양쪽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간격유지단을 각각 형성하는 간격유지단 형성부; 상기 간격유지단 형성부를 통과한 상기 금속판을 제2 블럭의 상면으로 통과시키면서 양쪽의 상기 간격유지단을 상기 제2 블럭의 상면 양쪽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블럭으로 하향 가압하여 양쪽의 상기 간격유지단을 상기 금속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부착하는 제2 부착부; 및 상기 제2 부착부를 통과한 상기 금속판을 한 쌍으로 이송 로울러로 가압하면서 당겨 상기 금속판이 상기 제1 부착부와, 상기 간격유지부 형성부 및 제2 부착부를 차례대로 거쳐 통과하도록 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중 감지센서가 2개의 띠형 금속판을 밀착되게 결합시켜 금속판들의 접속 여부에 따라 하중(압력)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각 금속판에 와이어가 구비됨으로써, 각 금속판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금속판의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가해지는 하중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하중 감지센서의 중요 부품인 띠형 금속판에 와이어를 결합하고 절연지를 일정하게 부착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연속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하중 감지센서 및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MANUFACTURE DEVICE OF PARTS FOR PRESSURE SENSOR AND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하중 감지센서 및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띠형 금속판을 밀착되게 결합시켜 금속판들의 접속 여부에 따라 하중발생을 감지하도록 된 하중 감지센서의 부품을 자동으로 연속 제조할 수 있고, 하중의 가해짐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하중 감지센서 및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압력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한 예로서 스마트 의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스마트 의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하중 감지센서)가 필요하다. 압력센서는 압전방식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일반적인 압전 방식의 센서는 압전재료가 2개의 전극판 사이에 개재된 구조를 취하는데, 스마트 의류에 채용되기 위해서는 유연성이 크게 개선되어야 한다.
유연성이 개선된 압력센서에 관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7-7809호(공개일 : 2007.01.16)(직물형 터치 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직물형 터치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외부 도전성 층(12, 14)과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제3 층(16)으로 구성되며, 제3 층은 압전 저항 재료(18)로 코팅된 비도전성 직물이다. 즉, 주지된 압전방식의 압력센서 구조를 이용하되, 전극판(12, 14)을 얇게 필름화하고, 이 필름화된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압전재료(18)를 직물을 매개로 필름화함으로써 유연성을 높인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 의류 뿐만 아니라, 가동형 가구에도 하중 감지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가동형 가구, 예를 들면 전동침대에 사용되는 하중 감지센서는 침대의 가동 영역에 사용자의 손이 끼임으로 인하여 하중(끼임 부위에 압력발생)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즉시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용 하중 감지센서는, 도체인 상,하부 띠형 금속판(40)을 절연지(50)로 각각 감싸되, 서로 마주보는 일부 영역만 노출되도록 감싼다. 그리고, 상,하부의 띠형 금속판(40)을 가구의 가동범위에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신체의 끼임이 발생하면, 신체의 일부가 띠형 금속판(40)들을 가압하여 하중(압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서로 마주보는 상,하부 띠형 금속판(40)의 노출된 영역(A)이 서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상,하부 띠형 금속판(40)의 노출된 영역(A)이 서로 접속되므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상,하부 띠형 금속판(40)의 접속을 신체의 끼임 신호로 입력받아 가구의 가동장치를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가구의 가동 구조물에 신체가 끼이는 사고로 인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압력센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하중 감지센서의 중요 부품인 한 쌍의 띠형 금속판에 절연지를 일정하게 부착해야 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함으로써 절연지의 부착이 일정하지 않아 불량률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띠형 금속판에 절연지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함으로써 작업 능률이 저하되었음을 물론, 많은 노동인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하부 금속판의 접속을 하중 발생 신호로 발생시키도록 된 전술한 하중 감지센서는 띠형 금속판의 노출된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겹쳐진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하부 띠형 금속판의 중앙 부위를 소정의 압력으로 정확하게 가압해야만 금속판 양쪽의 노출된 면이 접촉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 끼임 사고 발생시 신체가 많은 하중을 받아야만 가동장치가 멈추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노출된 면이 서로 마주도록 설치되는 금속판들 양쪽 사이에는 절연지가 위치하기 때문에, 서로 마주보도록 노출된 각 금속판의 마주보는 내측면이 중앙부분이 서로 접속되기 위해서는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의 금속판에 충분한 하중(압력)이 가해져야만 함으로써, 가동장치에 끼인 신체에 부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하중이 가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7-7809호(공개일 : 2007.01.16)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띠형 금속판을 밀착되게 결합시켜 금속판들의 접속 여부에 따라 하중(압력)발생을 감지하도록 된 하중 감지센서의 중요 부품인 띠형 금속판을 자동으로 연속 제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중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하중 감지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류가 통하도록 도체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내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전선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2 금속판; 상기 제1,2 금속판의 각 외측면 중앙에 배치되는 각각의 제1,2 와이어; 상기 제1,2 와이어가 상기 제1,2 금속판의 각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2 금속판의 외측면을 각각 감싸면서 부착되되, 상기 제1,2 금속판의 각 내측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접점영역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양쪽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간격유지부가 상기 제1,2 금속판의 각 내측면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부착되는 제1,2 절연지; 및 상기 제1,2 금속판의 접점영역이 간격을 유지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2 절연지의 각 간격유지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2 금속판 전체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외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센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2 와이어의 굵기는 상기 제1,2 금속판의 두께와 같은 수치로 형성되거나 더 큰 수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중 감지센서의 부품인 금속판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프레임의 한쪽에 구비되는 자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띠 형상의 절연지, 와이어 및 상기 절연지보다 좁은 폭을 갖는 띠 형상의 금속판을 동시에 제1 블럭의 상면으로 통과시키면서 서로 일체화되도록 가압하되, 상기 금속판의 상면을 제1,2 가압 로울러로 하향 가압하여 상기 절연지가 상기 와이어를 감싸면서 상기 금속판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금속판의 저면 중앙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1 부착부; 상기 제1 부착부를 통과하면서 서로 일체화된 상기 절연지와 와이어 및 금속판을 간격유지단 부착부재에 형성된 사각형의 관통공으로 통과시켜 상기 금속판의 저면에 부착된 상기 절연지의 양쪽 가장자리를 상기 금속판의 상면 양쪽 가장자리 쪽으로 접어 상기 금속판의 상면 양쪽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간격유지단을 각각 형성하는 간격유지단 형성부; 상기 간격유지단 형성부를 통과한 상기 금속판을 제2 블럭의 상면으로 통과시키면서 양쪽의 상기 간격유지단을 상기 제2 블럭의 상면 양쪽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블럭으로 하향 가압하여 양쪽의 상기 간격유지단을 상기 금속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부착하는 제2 부착부; 및 상기 제2 부착부를 통과한 상기 금속판을 한 쌍으로 이송 로울러로 가압하면서 당겨 상기 금속판이 상기 제1 부착부와, 상기 간격유지부 형성부 및 제2 부착부를 차례대로 거쳐 통과하도록 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자재 공급부는,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3개로 분할 형성되어 제1,2,3 설치단이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제1 설치단에는 상기 절연지가 감겨진 절연지 권취롤이 설치되고, 제2 설치단에는 상기 와이어가 감겨진 와이어 권취롤이 설치되며, 상기 제3 설치단에는 상기 금속판이 감겨진 금속판 권취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블럭은, 상면에 상기 금속판의 두께와 상기 절연지의 두께를 합한 수치와 같거나 작은 수치의 깊이로 안착 이동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 이동홈은 상기 제1 블럭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 이동홈의 중앙에는 상기 절연지의 중간 부분과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기 위한 와이어 안내홈이 상기 안착 이동홈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재 공급부와 제1 블럭 사이에는, 상기 자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 안내홈으로 안내하고 상기 금속판을 안착 이동홈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가 설치 브라켓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안내부재는, 중공의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좁은 단부가 상기 와이어 안내홈의 입구를 향하도록 된 와이어 안내부재; 및 상기 금속판을 상기 안착 안내홈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와이어 안내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금속판 안내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 로울러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1 가압 로울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안착 이동홈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금속판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금속판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절연지를 상기 금속판의 저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환형의 누름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단 부착부재의 관통공은, 바닥을 기준으로 입구는 중간부와 출구에 비하여 넓고 높게 형성되고, 바닥에는 상기 절연지에 의해 상기 금속판의 저면에 부착된 상기 와이어가 회피하기 위한 와이어 회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블럭과 제2 블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금속판이 통과되는 상기 간격유지단 부착부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타단이 상기 간격유지단 부착부재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자체 탄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블럭은, 상기 제2 블럭의 상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블럭의 상면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길이방향의 각 단부 저면이 상기 간격유지단을 상기 금속판의 상면 양쪽 가장자리에 밀착시켜 상기 간격유지단이 상기 금속판 상면 양쪽에 부착되도록, 각각의 양단이 상기 제2 블럭의 각 설치홈에 삽입되고 볼트들에 의해 상기 제2 블럭의 양쪽 상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로울러는, 연질재로 이루어져 자체 탄성을 갖는 상부 이송 로울러와 하부 이송 로울러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이송 로울러는, 상기 금속판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돌출 가압부가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송 로울러의 축 또는 하부 이송 로울러의 축에는, 구동용 핸들이 결합되거나,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구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중 감지센서가 2개의 띠형 금속판을 밀착되게 결합시켜 금속판들의 접속 여부에 따라 하중(압력)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각 금속판에 와이어가 구비됨으로써, 각 금속판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금속판의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가해지는 하중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중 감지센서의 중요 부품인 띠형 금속판에 와이어를 결합하고 절연지를 일정하게 부착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연속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하중 감지센서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하중 감지센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감지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중 감지센서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간격유지단 형성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감지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중 감지센서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중 감지센서(100)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가해지는 하중(또는 압력)에 의해 전류가 통하도록 구성되어 하중이 가해지는지 여부만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류가 통하도록 도체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얇은 띠형상(대략, 0.5 - 1mm의 두께, 10 - 20mm의 폭, 300 - 700mm의 길이 등)으로 이루어지며 각 내측면(112A,112B)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전선(도 2 참조)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2 금속판(110A,110B)과, 제1,2 금속판(110A,110B)의 각 외측면(114A,114B) 중앙에 배치되는 각각의 제1,2 와이어(130A,130B)와, 제1,2 와이어(130A,130B)가 제1,2 금속판(110A,110B)의 각 외측면(114A,114B)에 밀착되도록 제1,2 금속판(110A,110B)의 외측면(114A,114B)을 각각 감싸면서 부착되되, 제1,2 금속판(110A,110B)의 각 내측면(112A,112B)의 중앙에 형성되는 접점영역(C)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양쪽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간격유지부(152A,152B)가 제1,2 금속판(110.120)의 각 내측면(112A,112B)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부착되는 제1,2 절연지(150A,150B)와, 제1,2 금속판(110A,110B)의 접점영역(C)이 간격을 유지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제1,2 절연지(150A,150B)의 각 간격유지부(152A,152B)가 밀착된 상태에서 제1,2 금속판(110A,110B) 전체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외피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2 금속판(110A,110B)은 변형 후 복원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하는 복원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구성되고, 제1,2 와이어(130A,130B)는 금속재 또는 합성주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2 절연지(150A,150B)는 종이재, 직물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부착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하중 감지센서(100)의 제1,2 와이어(130A,130B)의 굵기는 제1,2 금속판(110A,110B)의 두께와 같은 수치로 형성되거나 더 큰 수치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하중 감지센서(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 감지센서(100)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질 때, 제1,2 금속판(110A,110B)의 외측면(114A,114B)(배면) 중앙에 설치된 제1,2 와이어(130A,130B)가 먼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눌리게 되므로, 제1,2 와이어(130A,130B)가 제1,2 금속판(110A,110B)의 각 내측면(112A,112B) 중앙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양쪽의 접점영역(C)(제1,2 금속판들의 각 내측면이 서로 접촉되는 영역)이 서로 접촉된다. 따라서, 각 간격유지부(152A,152B)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던 접점영역(C)들이 서로 접촉되어 전류가 통하게 됨으로써 하중이 가해졌음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간격유지부(152A,152B)들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던 제1,2 금속판(110A,110B)의 내측면(112A,112B) 중앙에 형성된 접점영역(C)들이 제1,2 와이어(130A,130B)의 눌림에 의해 서로 접촉됨으로써, 제1,2 금속판(110A,110B)에 하중이 가해졌음이 감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2 금속판(110A,110B)의 각 외측면(114A,114B)의 중앙을 하중 발생시 물리력을 먼저 받는 제1,2 와이어(130A,130B)가 가압하게 되므로, 제1,2 금속판(110A,110B)의 중앙 부분(접점영역이 형성된 중앙 부분)이 제1,2 와이어(130A,130B)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각 내측면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중 감지센서(100)의 외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질 때 제1,2 와이어(130A,130B)가 제1,2 금속판(110A,110B)의 접점영역(C)들을 집중적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접점영역(C)이 쉽게 접속될 수 있고, 따라서 하중 감지센서(100)의 하중 감지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하중 감지센서(100)를 이루는 금속판(110)들을 제조하기 위한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200)를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 및 도 7을 토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중 감지센서(100)의 금속판(110)들은 하중 감지센서(100)를 이루는 중요한 부품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갖는 금속판(110)에 와이어(130)와 절연지(150)가 결합되되, 상면(내측면)의 중앙부분(접점영역)이 개방되고, 상면 가장자리에 절연지(150)에 의한 간격유지부(152)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금속판(110)을 제조하기 위한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200)는, 자재 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되는 띠 형상의 절연지(150), 와이어(130) 및 절연지(150)보다 좁은 폭을 갖는 띠 형상의 금속판(110)을 동시에 제1 블럭(410)의 상면으로 통과시키면서 서로 일체화되도록 가압하되, 금속판(110)의 상면을 제1,2 가압 로울러(420,430)로 하향 가압하여 절연지(150)가 와이어(130)를 감싸면서 금속판(110)의 저면에 부착되어 와이어(130)가 금속판(110)의 저면 중앙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1 부착부(400)를 포함한다.
제1 블럭(41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금속판(110)의 두께와 절연지(150)의 두께를 합한 수치와 같거나 작은 수치의 깊이로 안착 이동홈(412)이 형성된다. 이 안착 이동홈(412)은 제1 블럭(4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안착 이동홈(412)의 중앙에는 절연지(150)의 중간 부분과 와이어(130)가 삽입되기 위한 와이어 안내홈(414)이 안착 이동홈(412)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즉, 제1 블럭(410)의 상면에는 안착 이동홈(412)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안착 이동홈(412)의 중앙에는 와이어 안내홈(414)이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와이어 안내홈(414)은, 금속판(110)이 안착 이동홈(412)에 안착되었을 때 절연지(150)로 감싸여 금속판(110)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와이어(130)가 회피되도록 한다.
또한, 절연지(150)가 가장 밑에 위치하고 그 다음 와이어(130)가 위치하며 그 상부에 금속판(110)이 위치한 후 제1 가압 로울러(420)와 제2 가압 로울러(430)으로 각각 하향 가압하게 되므로, 금속판(110)의 저면에 절연지(150)가 안정적으로 부착됨과 동시에 와이어(130)를 금속판(110)의 저면 중앙에 정확하게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자재 공급부(300)와 제1 블럭(410) 사이에는, 자재 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130)를 와이어 안내홈(414)으로 안내하고 금속판(110)을 안착 이동홈(412)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450)가 설치 브라켓(452)에 의해 프레임(800)에 설치된다. 안내부재(450)는, 중공의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좁은 단부가 와이어 안내홈(414)의 입구를 향하도록 구성된 된 와이어 안내부재(454)와, 금속판(110)을 안착 이동홈(412)으로 안내하도록 와이어 안내부재(454)의 상면에 결합되는 금속판 안내부재(456)로 이루어진다.
와이어 안내부재(454)의 내부에는 와이어 안내공(454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 안내공(454A)을 갖는 원뿔형의 와이어 안내부재(454)에 의해 와이어(130)는 와이어 안내홈(414)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금속판 안내부재(456)는 금속판(110)의 폭과 같거나 1 - 5mm 정도 더 큰 안내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금속판(110)은 안내홈에 안내되어 안착 이동홈(412)으로 안정된 상태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안내부재(545)의 뾰족한 단부가 와이어 안내홈(414)의 입구에 위치하게 되므로 와이어 권취롤(322)에 권취된 와이어(130)는 정확하게 와이어 안내홈(414)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자재 공급부(300)를 향하는 프레임(800)의 한쪽에는 절연지(150)를 안내하기 위한 절연지 안내 로울러(154)가 설치된다. 이는 절연지 권취롤(312)에 풀려 안착 이동홈(412)로 공급되는 절연지(150)를 안정되게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금속판(110)을 하향 가압하는 제2 가압 로울러(430)의 외주연에는, 제1 가압 로울러(420)의 가압에 의해 안착 이동홈(412)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금속판(110)의 상면 중앙영역(양쪽 간격유지단 사이 영역)을 가압하여 와이어(130)가 금속판(11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절연지(150)를 금속판(110)의 저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환형의 누름부(432)가 돌출 형성된다. 즉, 누름부(432)는 금속판(110)의 상면 중앙영역을 가압하게 되므로 금속판(110)이 안착 이동홈(412)에 밀착되어 절연지(150)가 저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게 된다.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200)는, 제1 부착부(400)를 통과하면서 서로 일체화된 절연지(150)와 와이어(130) 및 금속판(110)을 간격유지단 부착부재(520)에 형성된 사각형의 관통공(522)으로 통과시켜 금속판(110)의 저면에 부착된 절연지(150)의 양쪽 가장자리를 금속판(110)의 상면 양쪽 가장자리에 부착하여 금속판(110)의 상면 양쪽 가장자리에 간격유지단(152)을 각각 형성하는 간격유지단 형성부(500)를 포함한다.
간격유지단 부착부재(520)의 관통공(522)은, 도 6 내지 도 7 및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522)의 바닥(522A)을 기준으로 입구(IN)는 중간부(M)와 출구(OUT)에 비하여 넓고 높게 형성되고, 바닥(522A)의 중앙에는 절연지(150)에 의해 금속판(110)의 저면에 부착된 와이어(130)가 회피하기 위한 와이어 회피홈(522B)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공(522)의 중간부(M)와 출구(OUT)의 높이는 금속판(110)의 두께와 절연지(150)의 두께를 합한 수치와 같거나, 0.5-1mm 정도 더 크게 형성된다. 이는 금속판(110)과 절연지(150)가 중간부(M)와 출구(OUT)를 통과할 때 절연지(150) 양쪽의 가장자리가 금속판(110)의 양쪽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관통공(522)이 바닥(522A)을 기준으로 입구(IN)가 중간부와 출구(OUT)에 비하여 넓고 높게 형성되어 나팔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저면에 절연지(150)이 부착된 금속판(110)이 관통공(522)을 통과하게 되면, 절연지(150)의 양쪽 가장자리가 금속판(110)의 양쪽 가장자리 상면 쪽으로 접힌 후 부착된다. 즉,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지(150)의 중간부만 부착된 금속판(110)의 저면이 관통공(522)의 바닥(522A)에 밀착된 상태로 통과할 때 절연지(150)의 양쪽 가장자리가 넓게 형성된 관통공(522)의 입구(IN) 내측면에 간섭되면서 점차 금속판(110)의 양쪽 가장자리 상면 쪽으로 접히게 되고, 관통공(522)의 중간부(M)와 출구(OUT)를 통과하면서 금속판(110)의 양쪽 가장자리 상면에 부착된다. 이는 관통공(522)의 중간부(M)와 출구(OUT) 크기가 절연지(150)가 부착된 금속판(110)의 두께와 같거나 미세하게 크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한편, 프레임(800)의 상면에는, 제1 블럭(410)과 제2 블럭(610) 사이에 배치되고 금속판(110)이 통과되는 간격유지단 부착부재(5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530)가 마련된다. 고정부재(530)는, 타단이 간격유지단 부착부재(52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일단이 프레임(800)에 상면에 고정된다. 고정부재(530)의 타단과 프레임(800) 사이에는 고정부재(5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블럭(532)이 배치된다. 이 보조블럭(532)에 의해 고정부재(530)가 수평상태로 간격유지단 부착부재(52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530)는 자체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고정부재(530)가 탄력적으로 간격유지단 부착부재(520)을 하향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간격유지단 부착부재(520)가 고정부재(530)에 의해 하향으로 탄력 지지되므로, 관통공(522)을 통과하는 금속판(110)은 안정되게 수평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530)가 간격유지단 부착부재(520)를 하향으로 탄력 지지하므로 간격유지단 부착부재(520)가 상승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판(110)은 수평상태로 안정되게 이송될 수 있다.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200)는, 간격유지단 형성부(500)를 통과하면서 금속판(110)의 양쪽 가장자리에 간격유지단(152)이 각각 형성된 금속판(110)을 제2 블럭(610)의 상면으로 통과시키면서 양쪽의 간격유지단(152)을 제2 블럭(610)의 상면 양쪽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블럭(620)으로 하향 가압하여 금속판(110)의 상면 양쪽 가장자리에 간격유지단(152)을 추가로 부착하는 제2 부착부(600)을 포함한다. 제2 블럭(61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홈(612)가 금속판(110)이 삽입되어 안내되면서 이송되도록 와이어(614)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한 쌍의 가압블럭(620)은, 제2 블럭(610)의 상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612)을 기준으로 제2 블럭(610)의 상면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길이방향의 각 단부 저면이 절연지(150)의 양쪽 가장자리가 금속판(110)의 상면 양쪽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형성된 각각의 간격유지단(152)을 금속판(110)의 상면 양쪽 가장자리에 밀착시켜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한 쌍의 가압블럭(620)들이 제2 블럭(610)의 상면 양쪽에 각각 설치되면, 서로 마주보는 길이방향의 각 단부 저면이 통과되는 금속판(110)의 양쪽 가장자리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블럭(620)은 각각의 양단이 제2 블럭(610)의 각 설치홈(616)에 삽입되고 볼트들에 의해 제2 블럭(610)의 양쪽 상면에 고정된다. 즉, 각 가압블럭(620)이 각 설치홈(616)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된 후 볼트로 제2 블럭(610)에 고정된다. 이때, 각 가압블럭(620)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 저면은 제2 블럭(610)의 상면 중앙에 제2 블럭(610)의 길이방향(금속판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612)의 양쪽 상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즉, 각 단부 저면이 통과되는 금속판(110)의 양쪽 가장자리 상면에 부착된 간격유지단(15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금속판(110)의 상면 양쪽 가장자리에 간격유지단(152)이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안내홈(612)과 각 가압블럭(620)의 양단 저면 사이를 통과할 때, 미처 부착되지 않은 간격유지단(152)을 추가로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안내홈(612)과 양쪽의 가압블럭(620) 저면 사이에 금속판(110)이 통과되는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금속판(110)이 이 공간을 통과할 때 간격유지단 형성부재(520)을 통과하면서 미처 부착되지 않은 절연지(150)의 양쪽 간격유지단(152)이 추가로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200)는, 제2 부착부(600)를 통과한 금속판(110)을 한 쌍으로 이송 로울러(710)로 가압하면서 당겨 금속판(110)이 제1 부착부(400)와, 간격유지단 형성부(500) 및 제2 부착부(600)를 차례대로 거쳐 통과하도록 하는 이송부(700)를 포함한다.
이송 로울러(710)는, 우레탄과 같은 연질재로 이루어져 자체 탄성을 갖는 상부 이송 로울러(710A)와 상부 이송로울러(710A)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부 이송 로울러(710B)로 구성된다. 상부 이송 로울러(710A)는, 금속판(110)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돌출 가압부(710A-1)가 환형으로 형성된다. 이 돌출 가압부(710A-1)는 제2 부착부(600)을 통과한 금속판(110)에 절연지(150)를 다시 한번 가압하여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부 이송 로울러(710A)의 축 또는 하부 이송 로울러(710B)의 축에는, 구동용 핸들(720)이 결합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구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이송부(700)는, 한 쌍의 이송 로울러(710)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금속판(110)을 상,하부에서 가압하여 금속판(110)의 상면 중앙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절연지(150)가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 이송 로울러(710A)와 하부 이송로울러(710B)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와이어(130) 및 절연지(150)와 일체화되는 금속판(110)을 이송부(700) 쪽으로 당겨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술한 상부 이송 로울러(710A)와 하부 이송로울러(710B)가 우레탄과 같이 탄성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부 이송 로울러(710A)와 하부 이송로울러(710B)가 맞물려 회전할 때 금속판(110)을 가압하여 당길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자재 공급부(300)는, 금속판(110)과 와이어(130) 및 절연지(150)를 제1 부착부(40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80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3개로 분할 형성되어 제1,2,3 설치단(310,320,330)이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제1 설치단(310)에는 절연지(150)가 감겨진 절연지 권취롤(31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설치단(320)에는 와이어(130)가 감겨진 와이어 권취롤(32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3 설치단(330)에는 금속판(110)이 감겨진 금속판 권취롤(33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절연지 권취롤(312)와 와이어 권취롤(322) 및 금속판 권취롤(332)은 이송부가 절연지(150) 및 와이어(130)가 결합된 금속판(110)을 당기는 힘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구동모터를 각각 구비하여 금속판(110)의 이송 속도에 따라 재료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2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절연지(150)와 와이어(130) 및 금속판(110)을 안착 이동홈(412)에 안착시키고 제1 가압 로울러(420)와 제2 가압 로울러(430) 사이로 통과시킨 후 간격유지단 부착부재(520)으로 통과시키며, 안내홈(612)과 가압블럭(620) 사이의 공간으로 통과시킨 후 한 쌍의 상,하부 이송 로울러(710A,710B) 사이로 통과시킨 후 핸들(720)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초기 동작을 수행한 후 핸들(720)을 회전시키게 되면, 절연지(150)와 와이어(130) 및 금속판(110)은 이송부(700) 쪽으로 당겨지면서 이송된다. 이 과정으로 절연지(150)와 와이어(130) 및 금속판(110)은 제1 부착부(400)을 통과하면서 가 결합(절연지가 금속판의 저면에 부찰되면서 와이어를 금속판의 저면에 결합시키는 것)된 후 간격유지단 형성부(500)를 통과하면서 절연지(150)의 양쪽 가장자리가 금속판(110)의 상면 양쪽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간격유지단(152)이 각각 형성되고, 제2 부착부(600)를 통과하면서 간격유지단(152)들은 추가적으로 금속판(110)의 양쪽 상면 가장자리에 각각 부착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송부(700)의 상,하부 이송 로울러(710A,710B) 사이를 통과하면서 견고한 부착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720)을 회전시켜 금속판(110)을 당기는 작동으로 금속판(110)의 저면에 와이어(130)가 절연지(150)에 의해 결합되고, 절연지(150)가 금속판(110)의 상면 중앙영역(접점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감싸도록 절연지(150)를 일정하고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중 감지센서(100)을 구성하는 중요 부품인 와이어(130)와 절연지(150)가 부착된 금속판(110)을 자동으로 연속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하중 감지센서 110 : 금속판
130 : 와이어 150 : 절연지
200 : 자동 제조장치 300 : 자재 공급부
400 : 제1 부착부 500 : 간격유지단 형성부
600 : 제2 부착부 700 : 이송부

Claims (12)

  1. 전류가 통하도록 도체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내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전선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2 금속판;
    상기 제1,2 금속판의 각 외측면 중앙에 배치되는 각각의 제1,2 와이어;
    상기 제1,2 와이어가 상기 제1,2 금속판의 각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2 금속판의 외측면을 각각 감싸면서 부착되되, 상기 제1,2 금속판의 각 내측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접점영역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양쪽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간격유지부가 상기 제1,2 금속판의 각 내측면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부착되는 제1,2 절연지; 및
    상기 제1,2 금속판의 접점영역이 간격을 유지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2 절연지의 각 간격유지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2 금속판 전체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외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와이어의 굵기는 상기 제1,2 금속판의 두께와 같은 수치로 형성되거나 더 큰 수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센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하중 감지센서의 부품인 금속판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프레임의 한쪽에 구비되는 자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띠 형상의 절연지, 와이어 및 상기 절연지보다 좁은 폭을 갖는 띠 형상의 금속판을 동시에 제1 블럭의 상면으로 통과시키면서 서로 일체화되도록 가압하되, 상기 금속판의 상면을 제1,2 가압 로울러로 하향 가압하여 상기 절연지가 상기 와이어를 감싸면서 상기 금속판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금속판의 저면 중앙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1 부착부;
    상기 제1 부착부를 통과하면서 서로 일체화된 상기 절연지와 와이어 및 금속판을 간격유지단 부착부재에 형성된 사각형의 관통공으로 통과시켜 상기 금속판의 저면에 부착된 상기 절연지의 양쪽 가장자리를 상기 금속판의 상면 양쪽 가장자리 쪽으로 접어 상기 금속판의 상면 양쪽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간격유지단을 각각 형성하는 간격유지단 형성부;
    상기 간격유지단 형성부를 통과한 상기 금속판을 제2 블럭의 상면으로 통과시키면서 양쪽의 상기 간격유지단을 상기 제2 블럭의 상면 양쪽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블럭으로 하향 가압하여 양쪽의 상기 간격유지단을 상기 금속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부착하는 제2 부착부; 및
    상기 제2 부착부를 통과한 상기 금속판을 한 쌍으로 이송 로울러로 가압하면서 당겨 상기 금속판이 상기 제1 부착부와, 상기 간격유지부 형성부 및 제2 부착부를 차례대로 거쳐 통과하도록 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 공급부는,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3개로 분할 형성되어 제1,2,3 설치단이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제1 설치단에는 상기 절연지가 감겨진 절연지 권취롤이 설치되고, 제2 설치단에는 상기 와이어가 감겨진 와이어 권취롤이 설치되며, 상기 제3 설치단에는 상기 금속판이 감겨진 금속판 권취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럭은,
    상면에 상기 금속판의 두께와 상기 절연지의 두께를 합한 수치와 같거나 작은 수치의 깊이로 안착 이동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 이동홈은 상기 제1 블럭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 이동홈의 중앙에는 상기 절연지의 중간 부분과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기 위한 와이어 안내홈이 상기 안착 이동홈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 공급부와 제1 블럭 사이에는,
    상기 자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 안내홈으로 안내하고 상기 금속판을 안착 이동홈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가 설치 브라켓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안내부재는, 중공의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좁은 단부가 상기 와이어 안내홈의 입구를 향하도록 된 와이어 안내부재; 및 상기 금속판을 상기 안착 안내홈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와이어 안내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금속판 안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로울러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1 가압 로울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안착 이동홈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금속판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금속판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절연지를 상기 금속판의 저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환형의 누름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단 부착부재의 관통공은,
    바닥을 기준으로 입구는 중간부와 출구에 비하여 넓고 높게 형성되고, 바닥에는 상기 절연지에 의해 상기 금속판의 저면에 부착된 상기 와이어가 회피하기 위한 와이어 회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블럭과 제2 블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금속판이 통과되는 상기 간격유지단 부착부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타단이 상기 간격유지단 부착부재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자체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럭은,
    상기 제2 블럭의 상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블럭의 상면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길이방향의 각 단부 저면이 상기 간격유지단을 상기 금속판의 상면 양쪽 가장자리에 밀착시켜 상기 간격유지단이 상기 금속판 상면 양쪽에 부착되도록, 각각의 양단이 상기 제2 블럭의 각 설치홈에 삽입되고 볼트들에 의해 상기 제2 블럭의 양쪽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로울러는,
    연질재로 이루어져 자체 탄성을 갖는 상부 이송 로울러와 하부 이송 로울러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이송 로울러는, 상기 금속판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돌출 가압부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송 로울러의 축 또는 하부 이송 로울러의 축에는,
    구동용 핸들이 결합되거나,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KR1020170153012A 2017-11-16 2017-11-16 하중 감지센서 및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KR102009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012A KR102009878B1 (ko) 2017-11-16 2017-11-16 하중 감지센서 및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012A KR102009878B1 (ko) 2017-11-16 2017-11-16 하중 감지센서 및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27A true KR20190056027A (ko) 2019-05-24
KR102009878B1 KR102009878B1 (ko) 2019-10-21

Family

ID=6668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012A KR102009878B1 (ko) 2017-11-16 2017-11-16 하중 감지센서 및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8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809A (ko) 2004-03-31 2007-01-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직물형 터치 센서
JP2012108113A (ja) * 2010-10-22 2012-06-07 Fujikura Ltd 着座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座席装置
JP2014020915A (ja) * 2012-07-18 2014-02-03 Canon Chemicals Inc 感圧センサ
KR20150108409A (ko) * 2013-03-08 2015-09-25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정전용량형 압력 센서 및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809A (ko) 2004-03-31 2007-01-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직물형 터치 센서
JP2012108113A (ja) * 2010-10-22 2012-06-07 Fujikura Ltd 着座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座席装置
JP2014020915A (ja) * 2012-07-18 2014-02-03 Canon Chemicals Inc 感圧センサ
KR20150108409A (ko) * 2013-03-08 2015-09-25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정전용량형 압력 센서 및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878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4903B2 (en) Foil web installation for a flat bed embossing machine
JP2014509275A (ja) フィルムウェブに第1のフィルムを打抜きラミネートする方法
KR20190056027A (ko) 하중 감지센서 및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JP6209475B2 (ja) 電線供給装置
CN216376829U (zh) 一种铭牌卷料缺陷检测的自动设备
KR101589593B1 (ko) 원단롤 측정 제어장치
KR101336009B1 (ko) 텐션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공급장치
US10943811B2 (en) Tape affixing apparatus
JP5010285B2 (ja) シートを移送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7311497A (ja) プリント基板保持装置
JP4995658B2 (ja) プライ形成装置及びプライの形成方法
KR101819163B1 (ko)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
US11325408B2 (en) Device for driving a stamping foil, stamping station and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a stamping foil
JP4446932B2 (ja) 紙葉類厚み検出装置
EP0362460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electrical heater pad
JP4938573B2 (ja) プライ形成装置及びプライの形成方法
JPH0235775Y2 (ko)
JP2019118320A (ja) 海苔の連接装置及び連接方法
JP3769506B2 (ja) フィルム貼付装置
JP7454084B2 (ja) 通電ベルトの製造方法
CN210944199U (zh) 一种料带处理设备
CN109774311B (zh) 具有用于喷墨的印刷梁的印刷机
KR101143710B1 (ko) 후크튜브 제조장치
CN110545684B (zh) 按钮安装部件输送装置
TWM643596U (zh) 料帶檢測裝置及料帶處理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