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163B1 -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 - Google Patents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163B1
KR101819163B1 KR1020170149368A KR20170149368A KR101819163B1 KR 101819163 B1 KR101819163 B1 KR 101819163B1 KR 1020170149368 A KR1020170149368 A KR 1020170149368A KR 20170149368 A KR20170149368 A KR 20170149368A KR 101819163 B1 KR101819163 B1 KR 101819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receiving groove
temporary attachment
press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씨
Priority to KR1020170149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9Securing the trailing end of the wound web to the web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4Finishing winding process
    • B65H2301/41441Finishing winding process and blocking outer layers against falling a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4Napkins or tissues, e.g. dressings, toweling, serviettes, kitchen paper and comp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롤타입 화장지의 끝단을 접착할 수 있는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롤타입 화장지의 끝단을 봉합할 수 있는 봉합장치와 이의 봉합방법을 제공함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omitted}
본 발명은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롤타입 화장지의 끝단을 접착할 수 있는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타입 화장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원지를 공급하여 각각의 롤러로 이송시킴으로써 롤형태의 화장지를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지름만큼의 크기로 제조된 롤타입 화장지가 이동 중에 풀리지 않기 위해 화장지의 끝단을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화장지의 끝선에서 약 1cm를 남기고 풀 등의 접착제를 분사하여 봉함으로써 화장지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화장지의 끝단 공정법이다.
이와 같이 화장지의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풀 등을 이용하게 되면 추가적인 비용도 많이 들며, 최소 2꺼풀 이상이 화장지의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가 묻게 되며, 최초로 화장지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접착제가 묻은 화장지를 사용하게 되어 화학적인 풀에 직접적으로 노출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화장지의 끝단을 봉합하기 위한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봉합방법을 제공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5195호 (2017.01.05)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롤타입 화장지의 끝단을 봉합할 수 있는 봉합장치와 이의 봉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화장지를 제조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롤타입 화장지(10)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화장지(10)의 화장지띠(11)를 제2압박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110)와, 상기 이송롤러(110)의 일측에 위치하고 화장지띠안착부(130)와 마주보는 면에 제1돌기부(121)가 형성되며, 화장지띠안착부(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화장지띠안착부(130)의 일측면을 압박하기 위한 제1압박부(120)와, 상기 제1압박부(120)의 일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압박부(120)와 마주보는 면에 제2돌기부(131)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화장지띠(11)가 안착되기 위한 화장지띠안착부(130)와, 상기 화장지띠안착부(130)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2압박부(150)와 마주보는 면에 제3돌기부(141)가 형성되는 끝단봉합부(140)와, 상기 끝단봉합부(140)의 일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되, 끝단봉합부(140)와 마주보는 면에 제4돌기부(151)가 형성되며, 끝단봉합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끝단봉합부(140)의 일측면을 압박하기 위한 제2압박부(150)를 포함하고, 화장지(10)가 이송롤러(110)와 제1압박부(120)의 상부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화장지(10)의 화장지띠(11)가 제2압박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끝단봉합부(140)와 제2압박부(150) 사이에 형성된 제2수용홈(220)에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가 수용되면, 제1압박부(120)와 화장지띠안착부(130) 사이에 형성된 제1수용홈(210)에 화장지띠(11)의 제1임시부착부(11a)가 수용된 후 제1압박부(120)에 의해 압박되고, 화장지(10)가 제2압박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1회전함으로써 제1압박부(120)를 통해 압박된 제1임시부착부(11a)가 제2수용홈(220)으로 수용되어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와 만나며, 제2압박부(150)가 끝단봉합부(140)로 이동됨으로써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를 압박하여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와,
롤타입 화장지(10)가 제1수용홈(210)의 일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화장지(10)의 화장지띠(11)가 제1수용홈(210)의 상부를 지나서 제1수용홈(210)과 소정 간격 떨어진 제2수용홈(220)에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가 수용되도록 화장지띠(11)가 이송되는 화장지띠이송단계(S1); 상기 화장지띠이송단계(S1) 이후, 제1수용홈(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화장지띠(11)의 제1임시부착부(11a)를 제1수용홈(210)에 U자형태로 수용시키는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S2); 제1수용홈(210)의 폭(w1)이 점점 작아짐으로써 상기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S2)에서 제1수용홈(210)에 수용된 제1임시부착부(11a)를 압착하는 제1부착단계(S3); 상기 제1부착단계(S3)를 통해 제1임시부착부(11a)가 압착된 상태에서, 화장지(10)를 제2수용홈(220)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화장지이송단계(S4);
상기 화장지띠이송단계(S1)를 통해 제2수용홈(220)에 수용된 끝단부(11b)와 제1임시부착부(11a)가 만나도록 상기 화장지이송단계(S4)를 통해 회전된 화장지(10)의 제1임시부착부(11a)가 제2수용홈(220)으로 수용됨으로써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의 일부분이 겹쳐치는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S5); 상기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단계(S5)를 통해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의 일부분이 겹쳐진 후, 제2수용홈(220)의 폭(w2)이 점점 작아짐으로써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가 겹쳐진 부분이 압박되어 서로 부착되는 끝단봉합단계(S6);를 포함하고, 화장지(10)의 지름이 a일 때 제1수용홈(210)과 제2수용홈(220) 사이의 거리가 a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화장지띠(11)는 끝단부(11b)의 길이를 K1이라고 하고, 제1수용홈(210)에 수용되기 위한 제1임시부착부(11a)의 길이를 K2라고 한다면, 임시부착부(11a)의 절반의 길이보다 끝단부(11b)의 길이가 더 길도록 (K2/2 < K1)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롤타입 화장지의 끝단을 봉합할 수 있는 봉합장치와 이의 봉합방법을 제공함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을 통해 봉합된 화장지의 끝단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이하, 끝단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의 본 발명에 대한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끝단 봉합장치는 이송롤러(110), 제1압박부(120), 화장지띠안착부(130), 끝단봉합부(140), 제2압박부(150)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을 무접착방식이라 표현한 것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화장지의 끝단을 봉합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끝단 봉합장치는 화장지(10)의 화장지띠(11) 부분 중 제1임시부착부(11a)를 1차적으로 봉합한 후, 화장지(10)를 회전시키어 1차 봉합된 제1임시부착부(11a)를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와 만나게 함으로써 2차 봉합시킴으로 화장지의 끝단을 봉합할 수 있는 끝단 봉합장치와 이를 이용한 봉합방법에 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끝단 봉합장치(1)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끝단 봉합장치(1)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이송롤러(110), 제1압박부(120), 화장지띠안착부(130), 끝단봉합부(140), 제2압박부(150) 등으로 구성된다.
이송롤러(110)는 롤타입 화장지(10)의 화장지띠(11)를 제2압박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송롤러(110)의 상부에 화장지(10)가 위치하게 될 때, 화장지(10)의 화장지띠(11)가 제1압박부(120), 화장지띠안착부(130)를 지나며 끝단봉합부(140)와 제2압박부(150) 사이의 제2수용홈(220)에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가 수용되도록 화장지띠(11)가 이송된다.
제1압박부(120)는 상기 이송롤러(110)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압박부(120)는 화장지(10)의 화장지띠(11)의 제1임시부착부(11a)가 제1압박부(120)와 화장지띠안착부(130) 사이에 형성된 제1수용홈(210)에 수용된 후, 화장지띠안착부(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임시부착부(11a)를 압박함으로 제1임시부착부(11a)의 1차 봉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압박부(120)는 화장지띠안착부(130)와 마주보는 면에 다수의 제1돌기부(121)가 형성되며, 화장지띠안착부(130)도 제1압박부(120)와 마주보는 면에 제2돌기부(13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돌기부(121)와 제2돌기부(131)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제1압박부(120)가 화장지띠안착부(130)로 프레싱할때 제1임시부착부(11a)의 1차 봉합이 가능해진다.
화장지띠안착부(130)는 제1압박부(120)와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압박부(120)와 마주보는 면이 다수의 제2돌기부(131)가 형성된다.
제1압박부(120)와 화장지띠안착부(130)는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제1압박부(120)와 화장지띠안착부(130) 사이에 제1수용홈(210)이 형성되며, 도 4와 같이 제1수용홈(210)에 화장지띠(11)의 제1임시부착부(11a)가 수용될 수 있다.
끝단봉합부(140)는 상기 화장지띠안착부(130)의 일측에 위치하되, 타측면에 다수의 제3돌기부(141)가 형성된다.
상기 제3돌기부(141)는 제2압박부(150)와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끝단봉합부(140)는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a)가 제3돌기부(141)가 형성된 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즉, 도 3과 같이 화장지띠(11)의 끝부분이 걸쳐짐으로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가 제2수용부(220)로 수용되어 제3돌기부(141)가 형성된 면의 일부를 덮게 된다.
제2압박부(150)는 끝단봉합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끝단봉합부(140)의 일측면을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끝단봉합부(140)와 이격되어 형성되되, 끝단봉합부(140)와 마주보는 면에 제4돌기부(15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감지센서(16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센서(160)는 끝단봉합부(140)의 제3돌기부(141)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가 제 위치에 위치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끝단 봉합장치(1)를 이용하여 화장지의 끝단을 봉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통해 화장지의 끝단을 봉합하기 위해 화장지(10)의 지름이 a일 때, 화장지띠안착부(130)에서부터 끝단봉합부(140)까지의 상부면에 안착된 화장지띠(11)의 길이(d1)가 aπ이라는 조건을 갖추어야하나(도 6참고), 구성요소들의 위치, 형태 등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화장지(10)가 이송롤러(110)와 제1압박부(120)의 상부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화장지(10)의 화장지띠(11)가 제2압박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가 끝단봉합부(140)에 형성된 제3돌기부(141)가 위치한 면으로 이동되면, 감지센서(160)를 통해 이를 감지한다.
감지센서(160)를 통해 끝단부(11b)가 감지되면, 끝단봉합부(140)와 제2압박부(150) 사이에 형성된 제2수용홈(220)에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가 수용된다.
이와 같이 화장지띠(11)의 제1임시부착부(11a)가 제1수용홈(210)에 수용된 후, 제1압박부(120)가 화장지띠안착부(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프레싱함으로써 제1임시부착부(11a)가 압박된다.
이 후, 화장지(10)가 제2압박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1회전함으로써 제1압박부(120)를 통해 압박된 제1임시부착부(11a)가 제2수용홈(220)으로 수용되어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와 만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제2압박부(150)가 끝단봉합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를 압박하여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가 부착되어 끝단봉합과정이 마무리된다.
다음은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이하, 끝단 봉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하여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끝단 봉합방법은 화장지띠이송단계(S1),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S2), 제1부착단계(S3), 화장지이송단계(S4),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S5), 끝단봉합단계(S6)를 통하여 각 단계가 진행된다.
S1: 화장지띠이송단계
도 3을 참고하면, 화장지띠이송단계(S1)는 롤타입 화장지(10)가 제1수용홈(210)의 일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화장지(10)의 화장지띠(11)가 제1수용홈(210)의 상부를 지나서 제1수용홈(210)과 소정 간격 떨어진 제2수용홈(220)에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가 수용되도록 화장지띠(11)가 이송되는 단계이다.
화장지띠이송단계(S1)를 통해 화장지띠(11)가 제2수용홈(220)을 향하여 이송되어 제2수용홈(220)에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가 위치하면, 감지센서(160)를 통해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를 감지할 수 있으며, 끝단부(11b)가 감지된 후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2: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
도 4를 참고하면,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S2)는 상기 화장지띠이송단계(S1) 이후, 제1수용홈(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화장지띠(11)의 제1임시부착부(11a)를 제1수용홈(210)에 U자 형태로 수용시키는 단계이다.
제1수용홈(21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U자 형태의 홈이 바람직하며, U자 형태의 제1수용홈(210)에 제1임시부착부(11a)가 U자 형태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1수용홈(210)에 제1임시부착부(11a)가 수용되기 위해 제1수용홈(210)의 일측에 진공펌프 등을 이용하여 제1임시부착부(11a)를 제1수용홈(210)으로 빨아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S2)를 통해 화장지띠(11)의 제1임시부착부(11a)가 제1수용홈(210)에 수용될 때,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가 약간 당겨지거나 롤 형태로 감긴 화장지(10)가 제1수용홈(210)으로 약간 당겨질 수 있으며, 다른 공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당겨질 수 있다.
특히, 하기의 끝단봉합단계(S6)에서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가 봉합될때 끝단부(11b)에 파지부(11d)가 형성되도록 끝단부(11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경우에 따라 파지부(11d)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S3: 제1부착단계
도 5를 참고하면, 제1부착단계(S3)는 제1수용홈(210)의 폭(w1)이 점점 작아짐으로써 상기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S2)에서 제1수용홈(210)에 수용된 제1임시부착부(11a)를 압착하는 단계이다. 제1수용홈(210)의 폭(w1)은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착단계(S3)는 제1수용홈(210)에 수용된 제1임시부착부(11a)를 압착하기 위해 제1압박부(120)가 화장지띠안착부(130)로 이동되어(g1방향), 제1임시부착부(11a)를 압박함으로 제1임시부착부(11a)가 압착된다. 이때 제1압박부(120)와 화장지띠안착부(13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제1수용홈(210)의 폭은 점점 줄어들게 되며, 제1수용홈(210)의 폭(w1) 간격이 0에 가깝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의 (a)는 제1임시부착부(11a)가 압착된 모습을 상세히 보이기 위해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제1압박부(120)에 형성된 제1돌기부(121)와 화장지띠안착부(130)에 형성된 제2돌기부(131)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눌러짐으로 도 5의 (a)와 같이 제1임시부착부(11a)가 요철형태를 가지게 된다.
S4: 화장지이송단계
도 6을 참고하면, 화장지이송단계(S4)는 상기 제1부착단계(S3)에서 제1임시부착부(11a)가 압착된 상태에서, 화장지(10)를 제2수용홈(220)을 향하는 방향(g2)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이다.
도 6과 같이 화장지(10)를 제2수용홈(220)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바람직하게는 1회전함으로써 제2수용홈(220)에 제1임시부착부(11a)가 수용되어 끝단부(11b)와 만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화장지(10)의 지름이 a일 때 제1수용홈(210)과 제2수용홈(220) 사이의 거리(d1)가 aπ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구성요소들의 배치, 형태 등으로 인해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S5: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
도 7을 참고하면,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S5)는 상기 화장지띠이송단계(S1)를 통해 제2수용홈(220)에 수용된 끝단부(11b)와 제1임시부착부(11a)가 만나도록 상기 화장지이송단계(S4)를 통해 화장지(10)가 회전되어 제1임시부착부(11a)가 제2수용홈(220)으로 수용됨으로써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의 일부분이 겹쳐치는 단계이다.
S6: 끝단봉합단계
도 7을 참고하면, 끝단봉합단계(S6)는 상기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단계(S5)를 통해 제1임시부착부(11a)가 끝단부(11b)의 일부분이 겹쳐진 후, 제2수용홈(220)의 폭(w2)이 점점 작아짐으로써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가 겹쳐진 부분이 압박되어 서로 부착되는 단계이다. 또한 제2수용홈(220)의 폭(w2)은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가 만나서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끝단봉합단계(S6)는 제2수용홈(220)에 수용된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를 압착하기 위해, 제2압박부(150)가 끝단봉합부(140)로 이동되어(도 7의 g3 방향), 끝단부(11b)의 일부분과 제1임시부착부(11a)를 압착한다. 이때 끝단봉합부(140)와 제2압박부(15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제2수용홈(220)의 폭은 점점 줄어들게 되며, 제2수용홈(220)의 폭(w2) 간격이 0에 가깝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의 (a)는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가 압착된 모습을 상세히 보이기 위해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제2압박부(150)에 형성된 제4돌기부(151)와 끝단봉합부(140)에 형성된 제3돌기부(141)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눌러짐으로 도 7의 (a)와 같이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가 만나서 압착된 부분이 요철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8은 끝단이 봉합된 화장지(10)의 끝단부분만을 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끝단이 봉합된 화장지(10)는 제1임시부착부(11a)가 끝단부(11b)의 일부면적과 함께 압착되어 제2임시부착부(11c)를 가지게 된다. 끝단부(11b)의 나머지 부분은 파지부(11d)로서 끝단부(11b)와 제1임시부착부(11a)를 분리하여 화장지(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을 통하여, 끝단이 봉합된 롤타입 화장지를 제조함으로 별도의 풀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의 경우 화학적인 제품이 많은데 본 발명은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화장지
11 화장지띠
11a 제1임시부착부
11b 끝단부
11c 제2임시부착부
11d 파지부
1 끝단 봉합장치
110 이송롤러
120 제1압박부
121 제1돌기부
130 화장지띠안착부
131 제2돌기부
140 끝단봉합부
141 제3돌기부
150 제2압박부
151 제4돌기부
160 감지센서
210 제1수용홈
220 제2수용홈

Claims (3)

  1. 롤타입 화장지(10)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화장지(10)의 화장지띠(11)를 제2압박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110);
    상기 이송롤러(110)의 일측에 위치하고 화장지띠안착부(130)와 마주보는 면에 제1돌기부(121)가 형성되며, 화장지띠안착부(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화장지띠안착부(130)의 일측면을 압박하기 위한 제1압박부(120);
    상기 제1압박부(120)의 일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압박부(120)와 마주보는 면에 제2돌기부(131)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화장지띠(11)가 안착되기 위한 화장지띠안착부(130);
    상기 화장지띠안착부(130)의 일측에 위치하되, 제2압박부(150)와 마주보는 면에 제3돌기부(141)가 형성되는 끝단봉합부(140);
    상기 끝단봉합부(140)의 일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되, 끝단봉합부(140)와 마주보는 면에 제4돌기부(151)가 형성되며, 끝단봉합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끝단봉합부(140)의 일측면을 압박하기 위한 제2압박부(150);를 포함하고,

    화장지(10)가 이송롤러(110)와 제1압박부(120)의 상부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화장지(10)의 화장지띠(11)가 제2압박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끝단봉합부(140)와 제2압박부(150) 사이에 형성된 제2수용홈(220)에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가 수용되면,
    제1압박부(120)와 화장지띠안착부(130) 사이에 형성된 제1수용홈(210)에 화장지띠(11)의 제1임시부착부(11a)가 수용된 후 제1압박부(120)에 의해 압박되고,
    화장지(10)가 제2압박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1회전함으로써 제1압박부(120)를 통해 압박된 제1임시부착부(11a)가 제2수용홈(220)으로 수용되어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와 만나며,
    제2압박부(150)가 끝단봉합부(140)로 이동됨으로써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를 압박하여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
  2. 롤타입 화장지(10)가 제1수용홈(210)의 일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화장지(10)의 화장지띠(11)가 제1수용홈(210)의 상부를 지나서 제1수용홈(210)과 소정 간격 떨어진 제2수용홈(220)에 화장지띠(11)의 끝단부(11b)가 수용되도록 화장지띠(11)가 이송되는 화장지띠이송단계(S1);
    상기 화장지띠이송단계(S1) 이후, 제1수용홈(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화장지띠(11)의 제1임시부착부(11a)를 제1수용홈(210)에 U자형태로 수용시키는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S2);
    제1수용홈(210)의 폭(w1)이 점점 작아짐으로써 상기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S2)에서 제1수용홈(210)에 수용된 제1임시부착부(11a)를 압착하는 제1부착단계(S3);
    상기 제1부착단계(S3)를 통해 제1임시부착부(11a)가 압착된 상태에서, 화장지(10)를 제2수용홈(220)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화장지이송단계(S4);
    상기 화장지띠이송단계(S1)를 통해 제2수용홈(220)에 수용된 끝단부(11b)와 제1임시부착부(11a)가 만나도록 상기 화장지이송단계(S4)를 통해 회전된 화장지(10)의 제1임시부착부(11a)가 제2수용홈(220)으로 수용됨으로써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의 일부분이 겹쳐치는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S5);
    상기 제1임시부착부수용단계단계(S5)를 통해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의 일부분이 겹쳐진 후, 제2수용홈(220)의 폭(w2)이 점점 작아짐으로써 제1임시부착부(11a)와 끝단부(11b)가 겹쳐진 부분이 압박되어 서로 부착되는 끝단봉합단계(S6);를 포함하고,

    화장지(10)의 지름이 a일 때 제1수용홈(210)과 제2수용홈(220) 사이의 거리가 a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지띠(11)는
    끝단부(11b)의 길이를 K1이라고 하고, 제1수용홈(210)에 수용되기 위한 제1임시부착부(11a)의 길이를 K2라고 한다면,
    임시부착부(11a)의 절반의 길이보다 끝단부(11b)의 길이가 더 길도록 (K2/2 < K1)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
KR1020170149368A 2017-11-10 2017-11-10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 KR101819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368A KR101819163B1 (ko) 2017-11-10 2017-11-10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368A KR101819163B1 (ko) 2017-11-10 2017-11-10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163B1 true KR101819163B1 (ko) 2018-01-16

Family

ID=6106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368A KR101819163B1 (ko) 2017-11-10 2017-11-10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642B1 (ko) * 2019-02-25 2019-07-31 주식회사 아이티씨 무접착제 다겹 티슈 제조장치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8092A (ja) 2013-03-29 2014-10-23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製造方法、トイレット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トイレットロール
JP2015047295A (ja) 2013-08-30 2015-03-16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製造方法、トイレット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トイレットロール
KR101695195B1 (ko) 2016-06-16 2017-01-11 주식회사 아이티씨 다겹 롤타입 양면더블데코 화장지 제조장치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8092A (ja) 2013-03-29 2014-10-23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製造方法、トイレット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トイレットロール
JP2015047295A (ja) 2013-08-30 2015-03-16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製造方法、トイレット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トイレットロール
KR101695195B1 (ko) 2016-06-16 2017-01-11 주식회사 아이티씨 다겹 롤타입 양면더블데코 화장지 제조장치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642B1 (ko) * 2019-02-25 2019-07-31 주식회사 아이티씨 무접착제 다겹 티슈 제조장치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163B1 (ko) 무접착방식의 롤타입 화장지 끝단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장지 끝단 봉합방법
JPH0398834A (ja) パック、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DE502005001712D1 (de) Bördelvorrichtung und Bördelverfahren mit Bauteilschutz
CA2439770A1 (en)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EP0844192A1 (en) Packaging for the carrying of joined pieces, in particular bottles, and relevant manufacturing method
ITBZ980007A1 (it)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ripiegare calze.
JP2010143224A (ja) 接着された套管を製造するための折り曲げマンドレル、装置及び方法
JP5171873B2 (ja) ガゼット袋を製造する方法
US200300794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attening cover tape
US202301457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corrugated zone to a drinking straw
KR20180063557A (ko) 코일 포장지 밀봉용 자동 조심 테이핑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테이핑 방법
JP2007222777A (ja) 粉塵除去装置
WO2009028600A1 (ja) 重ね合わせ装置
WO2000064777A3 (en) Roll wrapping method, apparatus and material
KR200381539Y1 (ko) 지관
JP2019193714A (ja) ティシュ製造方法
JPH06143459A (ja) 加圧装置、加圧システム、それを利用した箱体製造装置
US3398034A (en) Process and machine for making adhesive strip products
KR200261418Y1 (ko)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측면 포장기
KR200257356Y1 (ko) 일회용 종이컵
TW201536590A (zh) 捲片裝置
JP6074451B2 (ja) フィルム連動機構および包装機
JP6739233B2 (ja) コンベヤベルト
KR20190056027A (ko) 하중 감지센서 및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JP3088762B2 (ja) ブリスター包装体の反り矯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