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7809A - 직물형 터치 센서 - Google Patents

직물형 터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7809A
KR20070007809A KR1020067020393A KR20067020393A KR20070007809A KR 20070007809 A KR20070007809 A KR 20070007809A KR 1020067020393 A KR1020067020393 A KR 1020067020393A KR 20067020393 A KR20067020393 A KR 20067020393A KR 20070007809 A KR20070007809 A KR 20070007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yers
resistive material
piezo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잔 엠. 크란스
마이클 피. 비. 반 부루젠
갈릴레오 제이. 에이. 데스투라
제이콥 엠. 제이. 덴 툰더
요하네스 티. 에이. 윌더베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70007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08Wires
    • H01H2203/0085Layered switches integrated into garment, clothes or texti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418Coating or impregnation increases electrical conductivity or anti-static qu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707Woven fabric 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other than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976Including strand which is stated to have specific attributes [e.g., heat or fire resistance, chemical or solvent resistance, high absorption for aqueous composition, water solubility, heat shrinkability,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직물형 터치 센서는 제 1 및 제 2 외부 도전층들, 및 제 1 및 제 2 층들의 중간에 있는 제 3 층을 포함한다. 제 3 층은 압전 저항 재료로 코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압전 저항 재료는 압전 재료의 정의된 블록들의 장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제 3 층상에 코팅되고, 제 1, 제 2 및 제 3 층들은 일련의 직선으로 함께 결합되고, 상기 직선들은 압전 재료의 정의된 블록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직물형 터치 센서, 외부 도전층, 압전 저항 재료, 전극, 비도전성

Description

직물형 터치 센서{Textile form touch sensor}
본 발명은 직물형 터치 센서 및 직물형 터치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층 직물 구성으로부터 가요성 키보드상 버튼 같은 터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은 공지되었다. 예를들어, 미국특허출원 공개 US 2002/0180578은 수동 압력의 인가 같은 기계적 상호작용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배열된 위치 센서를 개시한다. 제 1 패브릭(fabric) 층은 층을 따라 모든 방향으로 도전하도록 하는 제 1 도전성 외부 층을 제공하기 위하여 여기에서 기계적으로 가공된 전기적 도전성 섬유들을 가진다. 제 2 패브릭 층은 층을 따라 모든 방향으로 도전할 수 있게 하는 제 2 도전성 외부 층을 제공하기 위하여 여기에서 기계 가공된 전기적 도전성 섬유들을 가진다. 중앙 층은 제 1 외부 층 및 제 2 외부 층 사이에 배치된다. 중앙 층은 도전성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제 1 절연성 독립 엘리먼트는 제 1 도전성 외부 층 및 제 2 도전성 엘리먼트들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절연성 독립 엘리먼트는 제 2 도전성 외부 층 및 도전성 엘리먼트들 사이에 배치된다. 도전성 엘리먼트들은 기계적 상호작용 위치에서 제 1 도전성 외부 층 및 제 2 도전성 외부 층 사이에 도전성 경로를 제공한다. 이런 5개의 층 구조는 센서상 압력의 위치 및 표면 영역 을 측정한다. 압력 범위의 직접적인 측정은 가능하지 않다. 손가락에 의해 인가된 압력은 단지 작은 압력 값들을 위하여 측정 표면 영역으로부터 차감될 수 있다.
동일한 특허 출원 공개물에서, 다른 위치 센서는 도 10의 단면에 도시된다. 중앙 층은 상기된 형태의 외부 층들을 분리한다. 중앙 층은 도전성 및 절연성 섬유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펠트(짜여지지 않은) 패브릭이다. 도전성 섬유들은 중앙 층의 두께보다 작도록 제조되어 도전성 섬유들중 어느 것도 중앙 층을 완전히 통하여 연장하지 않는다. 게다가, 도전성 대 비도전성 섬유들의 비는 압축되지 않을 때, 중앙 층의 두께를 통하여, 또는 중앙 층을 따라 도전성 경로가 없도록 한다. 그러므로, 외부 힘이 센서에 인가되고 중앙 층이 압축되지 않은 위치들에서, 중앙 층의 몇몇 도전성 섬유들은 외부 층과 접촉되지만 도전성 경로는 외부 층들 사이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외부적으로 인가된 힘이 센서를 압축할 때, 힘은 3개의 층들이 친밀하게 접촉되게 하고 중앙 층의 도전성 섬유들은 외부 도전성 층들과 전기적 접촉을 형성한다. 게다가, 중앙 층내의 도전성 섬유들은 다른 섬유들과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도전성 경로는 두 개의 외부 층들 사이에서 중앙 층을 통하여 형성된다. 게다가, 힘이 증가될 때, 층은 추가로 압축되고, 도전성 섬유들은 상기 다른 섬유들과 접속들을 형성하고 외부 층 사이의 저항은 감소된다. 만약 센서가 접히고 내부 표면과 밀접한 중앙 층내에 도전성 국부 영역을 형성하면, 도전성 영역은 상기 층을 통하여 연장하지 않아서 도전성 경로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런 구성은 기계적 상호작용이 하나의 영역 및 하나의 힘을 가지는 인가된 기계적 상호작용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센서를 제공한다. 3개의 층의 구조는 인가된 압력 위치 및 범위 모두를 측정한다. 그러나, 중앙 층은 도처에서 균일하고 구조의 다른 부분들에 다른 전기적 특성들을 제공하도록 조절될 수 없다.
다른 실시예는 도 13에서 단면도로 도시된다. 이 도면의 센서는 중앙 패브릭 층에 의해 분리된 상기된 형태의 외부 층들을 포함한다. 도전성 외부 층들은 전기적으로 비도전성 접착제 도트들의 어레이들에 의해 중앙 층에 접착된다. 중앙 층은 도전성 잉크 같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프린트 가능 재료를 개방된 짜여진 구조를 가진 절연 패브릭상에 프린팅하여 제조되어, 도트들의 어레이를 형성한다(선택적으로 뜨여진 패브릭, 또는 짜여지지 않은 패브릭이 개방 구조로 짜여지는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잉크는 패브릭 층의 두께를 통하여 도전성 경로를 제공하는 도전성 섬들의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패브릭의 두께를 통하여 스며든다. 도트들의 패턴 및 간격은 비도전성 섬들의 패턴 및 간격과 다르게 선택되고 따라서 무아레(Moire) 효과 간섭 및 동시 오버랩핑이 가지는 잠재적인 문제들은 방지된다. 통상적으로, 절연 도트들은 3밀리미터의 간격을 가지며, 도전성 섬들은 1.3밀리미터의 간격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전에 기술된 센서들 같은 센서는 적당히 외부적으로 인가된 작은 힘이 외부 층들을 중앙 층과 접촉하게 하고, 그 다음 외부의 두 개의 층들 사이의 도전성 경로를 제공하면서, 접힌 부분에서 외부 도전성 층들 사이에 도전성 경로를 형성하지 않고 접혀지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3개의 층들을 가진 이런 센서는 그 위에서 이루어진 압축 위치 및 표면 영역을 측정하고, 압력 범위의 직접적인 측정은 가능하지 않다. 상기 구조는 두 개의 외부 층들로부터 중앙 층을 이격하기 위한 필요성에 의해 복잡해지고, 비도전성 접착 도트들의 제공에 의 해 달성된다. 이것은 장치 및 그 구조의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장치들을 개선한 3개의 층 터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라, 제 1 및 제 2 외부 도전성 층들, 및 제 1 및 제 2 층들의 중간의 제 3 층을 포함하는 직물형 터치 센서가 제공되고, 상기 제 3 층은 압전 저항 재료로 코팅된 비도전성 직물을 포함한다. 이런 압전 저항 재료의 전기적 도전성은 거기에 인가된 압력에 따른다.
본 발명의 이런 측면으로 인해, 간단한 구조이면서, 터치 센서에 인가된 압력 위치 및 범위를 측정할 수 있는 3층 직물형 터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인 센서는 공지된 센서들보다 구성하기 용이하다.
바람직하게, 압전 저항 재료는 비도전성 제 3 층상에서 비연속적이고, 압전 저항 재료의 정의된 블록들의 배열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제 3 층상에 코팅된다. 제 3 층상 압전 저항 재료의 정의된 블록들의 존재는 다수의 구별되는 장점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블록은 서로 절연된 독립된 버튼(센서의 최종 구성)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이것은 버튼이 다른 전자 프로파일들을 가지게 하고 또한 층들의 결합시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지 않고 층들이 함께 결합(예를들어 바느질에 의해)되게 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제 2 및 제 2 층들은 압전 저항 재료가 제공되지 않은 지점에서 함께 결합된다. 제 1, 제 2 및 제 3 층들은 일련의 직선들로 함께 결합되고, 상기 라인들은 압전 저항 재료의 정의된 블록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이것은 현재 센서들보다 강한 터치 센서를 발생시킨다. 층들은 서로 결합되어 서로에 관련하여 층들의 측면 이동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만약 이런 이동이 발생하면(및 공지된 문제임), 사용자가 터치 패드를 압축할 때 잘못된 판독들이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제 4 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층은 가시적 표시부들을 구비한다. 이런 제 4 층은 센서의 외부 표면상 임의의 특정 지점에서 센서의 논리적 기능의 가시적 표시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터치 센서는 두 쌍의 전극들을 더 포함하고, 제 1 쌍은 제 1 외부 층에 접속되고 제 2 쌍은 제 2 외부 층에 접속되고, 전극들의 쌍들은 서로 수직이고, 전극들의 쌍들에 접속된 전자 회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라, 제 1 및 제 2 도전성 층들을 수용하는 단계, 제 3 층을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층은 압전 저항 재료로 코팅된 비도전성 직물을 포함하고, 제 3 층이 제 1 및 제 2 층들의 중간이도록 층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물형 터치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런 측면으로 인해, 간단하고 단순한 방식으로 3층 직물형 터치 센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비도전성 제 3 층의 수용전에, 상기 방법은 압전 저항 재료로 제 3 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압전 재료로 제 3 층을 코팅하는 단계는 비연속적인 비도전성 제 3 층상에 압전 저항 재료의 코팅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압전 저항 재료로 제 3 층을 코팅하는 것은 압전 저항 재료의 정의된 블록들의 배열을 형성하는 비도전성 제 3 층상에 압전 저항 재료의 코팅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층들의 형성전에, 제 4 층을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층은 가시적 표시부들이 제공된다. 층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압전 저항 재료가 제공되는 지점에서 층들과 함께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층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일련의 직선들로 층들을 함께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들은 압전 저항 재료의 정의된 블록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상기 방법은 층들에 두 쌍의 전극들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1 쌍은 제 1 외부 층에 접속되고 제 2 쌍은 제 2 외부 층에 접속되고, 전극들의 쌍들은 서로 수직이고, 및 전극들의 쌍들에 전자 회로를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3층 직물형 터치 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각각의 개별 층을 도시하는 도 1의 3층 직물형 터치 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전자 회로도이다.
도 4는 3층 직물형 터치 센서의 제 2 실시예의 도 2와 유사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부가적인 제 4 층을 가진 도 4의 직물형 터치 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직물형 터치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의복상 두 개의 직물형 터치 센서들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2는 3층 직물형 터치 센서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직물형 터치 센서(10)는 각각 제 1 및 제 2 외부 도전층들(12 및 14), 및 상기 제 1 및 제 2 층들(12 및 14) 중간에 있는 제 3 층(16)을 포함한다. 제 3 층(16)은 압전 저항 재료(18)로 코팅된 비도전성 직물을 포함한다. 외부 층들(12 및 14)은 Marktek Inc의 Contex fabrics로서 판매되는 폴리폴리피롤(polypyrrole)로 코팅된 짜여진 폴리에스테르 같은 도전성 패브릭으로 구성된다. 제 3 중간 층(16)은 비도전성 직물(16)상에 코팅되는 압전 저항 잉크(18)에 의해 형성된다. 짜여진 폴리에스테르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비도전성 직물은 만약 잉크가 직물의 전체 두께를 통하여 스며들 수 있다면, 층(16)에 대한 기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압력 감지 잉크(18)는 WO 97/23579에 기술되고 Tekscan Inc에서 상업적으로 판매되는(웹사이트 www.tekscan.com 참조) 물질이다. 요구된 전기적, 화학적 및 기계적 특성들을 가진 다른 압전 저항 재료는 이용될 수 있다. 프린팅 직물 층(16)의 도전성은 영의 로드에서 영이지만, 임계 로드 보다 큰 로드가 인가될 때 크게 증가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구조는 제 3 층(16)이 두 개의 외부 층들(12 및 14) 사이에서 절연 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정상 상태에서 두 개의 외부 층들(12 및 14) 사이에서 도전하지 않는 터치 센서(10)이다. 그러나, 만약 사용자가 외부 층(14) 을 누르면(예를들어, 센서가 재킷 같은 의복의 체적 제어부로서 설치될 때), 이런 인가된 힘은 압전 저항 재료(18)의 저항 특성을 변화시킨다. 재료(18)는 사용자에 의해 외부층에 인가된 힘에 비례하는 범위까지 도전성이 되고 따라서 전류는 층들(14 및 12) 사이에서 흐를 수 있다.
센서(10)는 두 쌍의 전극들을 더 포함하고, 제 1 쌍(20)은 제 1 외부 층(12)에 접속되고 제 2 쌍(22)은 제 2 외부 층(14)에 접속되고, 전극들(20 및 22)의 쌍들은 서로 수직이다. 터치 센서는 전극들(20 및 22)의 쌍들에 접속된 전자 회로(30)를 포함한다.
회로(30)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되고 중간 층(16)상에 코팅된 압전 저항 재료(18)인 가변 저항기(Rp), 각각 외부 층들(12 및 14)의 저항인 두 개의 저항기들(Rx 및 Ry), 기준 저항기(Rref), 전압 소스(Vs), 고임피던스 판독 버퍼(32), 및 5개의 스위치들(S1 내지 S5)을 포함한다. 회로(30)는 3개의 다른 것들, 즉 터치 센서상 사용자 압력, 및 그 압력의 x 및 y 위치들을 측정한다. 이들 3개중 어느 것은 5개의 스위치들(S1 내지 S5)의 위치에 따라 측정된다. 스위치들은 상기 위치들을 통하여 빠르게 순환하도록 제어되고, 이에 따라 짧은 시간 간격에서 측정될 3개의 것들이 판독된다. 다음 테이블은 측정되는 것에 따라 각각의 스위치의 위치를 정의한다.
모드 S1 S2 S3 S4 S5
터치/압력 1 0 0 0 0
x 좌표들 0 2 0 0 0
y 좌표들 0 1 1 1 1
Rx 및 Ry는 상부 및 바닥 도전층들(12 및 140의 저항이다. Rp는 Tekscan(18)으로 프린트된 제 3 층(16)의 가변 저항이다. Rref는 가해진 터치 압력뿐 아니라 터치 작용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압력의 가변 저항이 측정될 때의 효과에서, 층들(12 및 14)(저항기들 Rx 및 Ry)은 전체 표면 영역에서 일정한 전위이고 생성된 회로는 Rp 및 Rref를 가진 전압을 분할부이고, 버퍼(32)는 Rp 및 Rref 사이의 지점에서 전압을 판독하고, 이에 따라 Rp(Rref가 공지되었기 때문)의 저항을 측정한다. Rp의 저항은 터치 센서(10)상 사용자에 의한 압축 범위의 측정치이다.
x 위치 검출 동안, 도전층 Rx 양단의 선형 전위 강하가 인가된다. 전위 탐침은 Ry 및 Rp의 전기 직렬 구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탐침의 저항은 높은 임피던스 판독 버퍼가 사용되기 때문에 x 좌표를 판독하는데 적절하지 않게 된다. 동일한 것이 y 좌표를 결정할 때 유지된다. 효과적으로 저항기(Rx)를 터치할 때 Rp(x 좌표를 측정할 때)는 상기 지점에서 전압을 측정하고, x 방향으로 터치 센서상 압력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측정한다. 이것은 y 좌표를 측정할 때 반대로 된다.
도 4는 터치 센서의 제 2 실시예(40)를 도시한다. 이런 직물형 터치 센서(40)(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는 각각 제 1 및 제 2 외부 도전성 층들(12 및 14), 및 상기 제 1 및 제 2 층들(12 및 14)의 중간인 제 3 층(16)을 포함한다. 제 3 층(16)은 압전 저항 재료(48)로 코팅된 비도전성 직물을 포함한다. 압전 저항 재료(48)는 비도전성 제 3 층(16)상에서 비연속적이다. 이런 압전 저항 재료(48)의 층은 압전 저항 재료(48)의 정의된 블록들의 배열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도전성 제 3 층(16)상에 코팅된다.
압전 저항 재료(48)가 제 3 층(16)상 일련의 블록들에 배열되기 때문에, 이것은 압전 저항 재료(48)가 제공되는 지점에서 제 1, 제 2 및 제 3 층들(12,14 및 16)이 함께 결합되게 한다. 제 1, 제 2 및 제 3 층들(12,14 및 16)은 일련의 직선 라인들로 함께 결합되고, 상기 라인들은 압전 저항 재료(48)의 저항 블록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상기 층들을 함께 결합함으로써, 보다 안정한 구조는 제공되고 사용시 센서를 접음으로써 발생되는 잘못된 판독 가능성을 크게 줄인다.
도 5에서, 터치 패드(40)는 제 4 커버 층(42)을 더 포함하고; 제 4 층(420은 가시적 표시부들(44)을 구비한다. 이런 실시예에서, 가시적 표시부들(44)은 숫자들 1 내지 9이고 상기 숫자들은 제 3 층(16)상 압전 저항 재료(48)의 블록들에 해당하는, 눌려질 9개의 다른 버튼들을 나타낸다. 제 5 커버 층은 패드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직물형 터치 센서(10)를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직물형 터치 센서(10)를 제조하는 방법은 제 1 및 제 2 층들(12 및 14)을 수용하는 단계(600), 제 3 층(16)을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층(16)은 압전 저항 재료(18)로 코팅된 비도전성 직물을 포함하고, 제 3 층(16)이 제 1 및 제 2 층들(12 및 14)의 중간에 있도록 층들을 형성하는 단계(606)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10)를 구성하는 방법의 기본적인 버젼에서, 제 3 층(16)은 압전 저항 재료(18)로 미리 코팅되어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비도전성 제 3 층(16)의 수용(605) 전에, 압전 저항 재료(18)로 제 3 층(16)을 코팅하는 단계(6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방법내에서 제 3 층(16)의 코팅 단계(602)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큰 융통성이 압전 저항 재료(18)의 코팅들의 가능한 배열들을 선택하여 달성된다.
예를들어, 압전 저항 재료로 제 3 층(16)을 코팅하는 단계(602)는 비연속적인 비도전성 제 3 층(16)상에 압전 저항 재료의 코팅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열은 도 4에 도시되고 보다 상세히 상기되었다. 비연속적인 배열은 압전 저항 재료(48)로 제 3 층(16)의 코팅(602)이 압전 저항 재료(48)의 정의된 블록들의 배열을 형성하는 비도전성 제 3 층(16)상에 압전 저항 재료(48)의 코팅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조 방법이 층들의 형성(606) 전에, 제 4 층(42)을 수용하는 단계(612)를 의미하는 선택적 단계(612)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층(42)은 가시적 표시부들(44)을 구비한다. 터치 센서(10)의 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층들을 함께 형성하는 단계(606)는 압전 저항 재료(18)가 제공되지 않은 지점에서 층들(12,14 및 16)을 함께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층들의 형성 단계(606)는 일련의 직선들로 층들을 함께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인들은 압전 저항 재료(18)의 정의된 블록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층들의 형성(606) 다음, 상기 방법은 각각 층들(12 및 14)에 두 쌍의 전극 들(20 및 22)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1 쌍(20)은 제 1 외부 층(12)에 접속되고 제 2 쌍(22)은 제 2 외부 층(14)에 접속되고, 전극들의 쌍들은 서로 수직이다. 상기 방법은 전극들(20 및 22)의 쌍들에 전자 회로(30)를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단 터치 패드 센서(10)가 형성되면, 의복 또는 가구에 사용되는 바와같은 광범위의 패브릭들에 집적될 수 있다. 다음 애플리케이션들은 센서, 벽지내 조광기/스위치; 의자, 소파 매트리스 또는 침대 매트내의 무게 센서; 상호작용 게임 플레이매트 또는 벽걸이; 그 위에서 겉은 사람의 위치를 검출하는 안내로 또는 보안 카펫, 힘 감지 패브릭 피아노; 한경 전자제품들 및/또는 의자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소파 또는 담요(집, 자동차)의 터치 패널; 걸음걸이/달리기 패턴을 분석하는 신발 안창; 및 패브릭 디스플레이의 터치 스크린(패브릭 디스플레이는 패브릭 터치 패드의 상부상에 놓임)에 적당히 사용된다.
하나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도 7에 도시되고, 재킷(700) 착용시 터치 센서의 두 개의 예들을 도시한다. 소매들중 하나를 커버하는 제 1 센서(702)는 통상적으로 위치 감지 체적 제어 스트립으로서 사용되고, MP3 플레이어에 접속된다. 제 2 센서 패드(704)는 텍스트 메시지들을 기록하기 위하여 터치 패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후자의 애플리케이션은 부가적인 피드백 메카니즘(오디오 또는 비쥬얼)을 요구하고, 도시되지 않는다.
요약하여, 공지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다음 문제들이 해결된다. 로드 감지 재료는 짜여지지 않은 로드 감지 시트 또는 로드 감지 탄성체 시트로서 제공되 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목표된 모양 또는 구조에 국부적으로 프린트될 수 있다. 영 이상의 도전성을 얻기 위하여 필요한 임계 로드는 잉크에 제공된 도전성 입자들 부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전성 대 로드의 기울기, 즉 패드의 로드 민감성은 잉크의 도전성 입자 충전 비율에 따른다. 프린팅에 의해 이용되는 자유도로 인해, 직물들은 서로 꿰매질 수 있고, 층들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미끄러짐은 재보정을 위한 필요성을 유발함). 스페이서들은 요구되지 않고 재료는 잘못된 신호들의 발생없이 접혀질 수 있다. 혼합물은 직물들의 자연적인 호흡 특성이 유지되도록, 개방 구조를 가진 완전한 직물이다.

Claims (17)

  1. 제 1 및 제 2 외부 도전성 층들(12, 14), 및 상기 제 1 및 제 2 층들(12, 14) 중간에 있는 제 3 층(16)을 포함하는 직물형 터치 센서로서,
    상기 제 3 층(16)은 압전 저항 재료(18; 48)로 코팅된 비도전성 직물을 포함하는, 직물형 터치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저항 재료(48)는 상기 비도전성 제 3 층(16)상에서 비연속적인, 직물형 터치 센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저항 재료(48)는 압전 저항 재료(48)의 정의된 블록들의 배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비도전성 제 3 층(16)상에 코팅되는, 직물형 터치 센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층들(12, 14, 16)은 압전 저항 재료(48)가 제공되지 않은 지점에서 함께 결합되는, 직물형 터치 센서.
  5. 제 3 항에 따른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층들(12, 14, 16)은 일련의 직선들로 함께 결합되고, 상기 직선들은 압전 저항 재료(48)의 정의된 블록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직물형 터치 센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4 층(4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층(42)은 가시적 표시부들(44)을 구비하는, 직물형 터치 센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쌍의 전극들(20, 22)을 더 포함하고, 제 1 쌍(20)은 상기 제 1 외부 층(12)에 접속되고 제 2 쌍(22)은 상기 제 2 외부 층(14)에 접속되고, 상기 전극들(20, 22)의 쌍들은 서로 수직인, 직물형 터치 센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20, 22)의 쌍들에 접속된 전자 회로(30)를 더 포함하는, 직물형 터치 센서.
  9. 직물형 터치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및 제 2 도전성 층들(12, 14)을 수용하는 단계(600);
    제 3 층(16)을 수용하는 단계(604)로서, 상기 제 3 층(16)은 압전 저항 재 료(18; 48)로 코팅된 비도전성 직물을 포함하는, 상기 수용 단계(604); 및
    상기 제 3 층(16)이 상기 제 1 및 제 2 층들(12, 14)의 중간에 있도록 층들을 형성하는 단계(606)를 포함하는, 직물형 터치 센서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전성 제 3 층(16)의 수용 단계(604) 전에, 상기 압전 저항 재료(18; 48)로 상기 제 3 층(16)을 코팅하는 단계(602)를 더 포함하는, 직물형 터치 센서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저항 재료(48)로 상기 제 3 층(16)을 코팅하는 단계(602)는 비연속적인 상기 비도전성 제 3 층(16)상에 압전 저항 재료(48)를 코팅하는 단계를 형성하는, 직물형 터치 센서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저항 재료(48)로 상기 제 3 층(16)을 코팅하는 단계(602)는 압전 저항 재료(48)의 정의된 블록들의 배열을 형성하는 상기 비도전성 제 3 층(16)상에 압전 저항 재료(48)를 코팅하는 단계를 형성하는, 직물형 터치 센서 제조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을 형성하는 단계(606) 전에, 제 4 층(42)을 수용하는 단계(6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층(42)은 가시적 표시부들(44)을 구비하는, 직물형 터치 센서 제조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을 형성하는 단계(606)는 압전 저항 재료(48)가 제공되지 않은 지점에서 상기 층들을 함께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물형 터치 센서 제조 방법.
  15. 제 12 항에 따른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을 형성하는 단계(606)는 일련의 직선들로 상기 층들을 함께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들은 압전 저항 재료(48)의 정의된 블록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직물형 터치 센서 제조 방법.
  16. 제 9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에 두 쌍의 전극들(20, 22)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1 쌍(20)은 상기 제 1 외부 층(12)에 접속되고 제 2 쌍(22)은 상기 제 2 외부 층(14)에 접속되고, 상기 전극들(20, 22)의 쌍들은 서로 수직인, 직물형 터치 센서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20, 22)의 쌍들에 전자 회로(30)를 접속하는 단계(610)를 더 포함하는, 직물형 터치 센서 제조 방법.
KR1020067020393A 2004-03-31 2005-03-24 직물형 터치 센서 KR200700078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407366A GB0407366D0 (en) 2004-03-31 2004-03-31 Textile form touch sensor
GB0407366.4 2004-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809A true KR20070007809A (ko) 2007-01-16

Family

ID=3224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393A KR20070007809A (ko) 2004-03-31 2005-03-24 직물형 터치 센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202765A1 (ko)
EP (1) EP1733299A1 (ko)
JP (1) JP2007531142A (ko)
KR (1) KR20070007809A (ko)
CN (1) CN1938677A (ko)
GB (1) GB0407366D0 (ko)
WO (1) WO2005096133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281A1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디오시스템즈 터치 패널
KR101219733B1 (ko) * 2008-12-04 2013-0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물형 터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접촉 감지방법
KR20160081245A (ko) 2014-12-31 2016-07-08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생체신호측정과 압력측정이 가능한 3차원구조 직물센서
KR20170075798A (ko) * 2014-11-04 2017-07-03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패브릭 라미네이팅된 터치 입력 디바이스
KR20170097230A (ko) * 2012-07-13 2017-08-25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감지용 장치
KR20190056027A (ko) 2017-11-16 2019-05-24 이경환 하중 감지센서 및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KR20190141434A (ko) * 2018-06-14 2019-12-24 한국과학기술원 정류특성의 다이오드를 이용한 매트릭스 방식의 섬유기반 압력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21624A (ko) 2019-04-16 2020-10-26 한지운 직물 압력 센서가 구비된 스마트 의류 및 이를 이용한 낙상 대응 시스템
US11269435B1 (en) 2020-09-10 2022-03-08 Tpk Advanced Solutions Inc. Three-dimensional sensing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1203B2 (en) * 2005-01-06 2009-05-12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onductive flexible textile arrays
TWI275025B (en) * 2005-08-23 2007-03-01 Asustek Comp Inc Electronic apparatus having buttons without forming gaps therein
US7410202B2 (en) * 2006-02-06 2008-08-12 Volkswagen Ag Flat control element for controlling a vehicle component
US8259460B2 (en) * 2006-06-08 2012-09-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ubmount for electronic components
EP2035520B1 (en) * 2006-06-30 2010-01-27 Aardex Ltd. Event-sensing label
US9018030B2 (en) * 2008-03-20 2015-04-28 Symbol Technologies, Inc. Transparent force sensor and method of fabrication
US20090237374A1 (en) * 2008-03-20 2009-09-24 Motorola, Inc. Transparent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using
KR101051311B1 (ko) * 2008-04-22 2011-07-22 한국과학기술원 직물형 입력장치
KR101608100B1 (ko) * 2008-05-29 2016-03-3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전기 경로를 포함하는 전도성 웨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20100066567A1 (en) * 2008-09-18 2010-03-18 Microsoft Corporation Resistive switch matrix
US8186231B2 (en) * 2008-09-22 2012-05-29 Intel Corporatio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a textile
JP4824831B2 (ja) * 2008-09-29 2011-11-30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感圧センサ
US20100267502A1 (en) * 2009-04-17 2010-10-21 Alexander Kaufman Sports Grip Sensor
US8449410B1 (en) * 2009-04-17 2013-05-28 Alexander Kaufman Sports grip sensor
US8988191B2 (en) * 2009-08-27 2015-03-24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ssure-based authentication of an input on a touch screen
US8680390B2 (en) 2009-10-16 2014-03-25 Kesumo Llc Foot-operated controller
CN102298923A (zh) * 2010-06-28 2011-12-28 环球水泥股份有限公司 软性电子压阻乐器
US8963874B2 (en) * 2010-07-31 2015-02-24 Symbol Technologies, Inc. Touch screen render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2410895B (zh) * 2010-09-20 2014-07-23 香港纺织及成衣研发中心 一种织物型压力传感器的制造方法以及制造工具
CN102455234B (zh) * 2010-11-01 2014-04-30 香港纺织及成衣研发中心 薄膜型风压传感器及相应的无线传感网络
CN102002791B (zh) * 2010-11-29 2011-09-28 武汉纺织大学 一种感触电子织物
FR2970566B1 (fr) * 2011-01-13 2013-11-15 Francis Cannard Dispositif de mesure de la pression a partir d'un objet souple, pliable et/ou extensible realise a partir de matiere textil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mesure
JP2012193467A (ja) * 2011-03-16 2012-10-11 Asahi Kasei Fibers Corp 導電性布帛
JP2012197521A (ja) * 2011-03-18 2012-10-18 Asahi Kasei Fibers Corp 導電性伸縮性編地
US9271665B2 (en) * 2011-05-20 2016-03-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abric-based pressure sensor arrays and methods for data analysis
CN102435376A (zh) * 2011-10-24 2012-05-02 中北大学 柔性三维力传感器及其解耦方法和制作方法
US9076419B2 (en) 2012-03-14 2015-07-07 Bebop Sensors, Inc. Multi-touch pad controller
EP3041320A1 (en) * 2012-06-14 2016-07-06 Koninklijke Philips N.V. Lighting fixture with touch-sensitive light emitting surface
US10602965B2 (en) 2013-09-17 2020-03-31 Medibotics Wearable deformable conductive sensors for human motion capture including trans-joint pitch, yaw, and roll
US9582072B2 (en) 2013-09-17 2017-02-28 Medibotics Llc Motion recognition clothing [TM] with flexible electromagnetic, light, or sonic energy pathways
US9588582B2 (en) 2013-09-17 2017-03-07 Medibotics Llc Motion recognition clothing (TM) with two different sets of tubes spanning a body joint
JP6044036B2 (ja) * 2012-06-26 2016-12-14 フォンダツィオーネ・イスティトゥート・イタリアーノ・ディ・テクノロジャFondazione Istituto Italiano Di Tecnologia テキスタイルサポータ内に一体化された電気的または電子的な装置のための触覚コントロール装置
US9282893B2 (en) * 2012-09-11 2016-03-15 L.I.F.E. Corporation S.A. Wearable communication platform
US10159440B2 (en) 2014-03-10 2018-12-25 L.I.F.E. Corporation S.A. Physiological monitoring garments
US8945328B2 (en) 2012-09-11 2015-02-03 L.I.F.E. Corporation S.A. Methods of making garments having stretchable and conductive ink
US8948839B1 (en) 2013-08-06 2015-02-03 L.I.F.E. Corporation S.A. Compression garments having stretchable and conductive ink
US9817440B2 (en) 2012-09-11 2017-11-14 L.I.F.E. Corporation S.A. Garments having stretchable and conductive ink
US11246213B2 (en) 2012-09-11 2022-02-08 L.I.F.E. Corporation S.A. Physiological monitoring garments
US10201310B2 (en) 2012-09-11 2019-02-12 L.I.F.E. Corporation S.A. Calibration packaging apparatuses for physiological monitoring garments
US10462898B2 (en) 2012-09-11 2019-10-29 L.I.F.E. Corporation S.A. Physiological monitoring garments
JP6006679B2 (ja) * 2013-05-20 2016-10-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情報処理装置
US10288499B2 (en) 2013-05-31 2019-05-14 The Hong Kong Research Institute Of Textiles And Apparel Limited Process for manufacturing fabric pressure sensor and tool for manufacturing fabric pressure sensor
EP3091864B8 (en) 2014-01-06 2018-12-19 L.I.F.E. Corporation S.A. Systems and methods to automatically determine garment fit
CN106102592B (zh) * 2014-03-12 2021-01-22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经食道超声心动图超声换能器探头的触觉反馈的系统和方法
US9696833B2 (en) 2014-05-15 2017-07-04 Bebop Sensors, Inc. Promoting sensor isolation and performance in flexible sensor arrays
US9753568B2 (en) 2014-05-15 2017-09-05 Bebop Sensors, Inc. Flexible sensors and applications
US9965076B2 (en) * 2014-05-15 2018-05-08 Bebop Sensors, Inc. Piezoresistive sensors and applications
US9442614B2 (en) 2014-05-15 2016-09-13 Bebop Sensors, Inc. Two-dimensional sensor arrays
US10362989B2 (en) 2014-06-09 2019-07-30 Bebop Sensors, Inc. Sensor system integrated with a glove
US9710060B2 (en) 2014-06-09 2017-07-18 BeBop Senors, Inc. Sensor system integrated with a glove
US9552097B2 (en) * 2015-01-28 2017-01-2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iscerning between intended and unintended gestures on wearable touch-sensitive fabric
US9863823B2 (en) 2015-02-27 2018-01-09 Bebop Sensors, Inc. Sensor systems integrated with footwear
US20160283101A1 (en) * 2015-03-26 2016-09-29 Google Inc. Gestures for Interactive Textiles
CN104819734A (zh) * 2015-04-28 2015-08-05 苏州经贸职业技术学院 一种织物电阻传感器及其制备方法
US10082381B2 (en) 2015-04-30 2018-09-25 Bebop Sensors, Inc. Sensor systems integrated with vehicle tires
US9827996B2 (en) 2015-06-25 2017-11-28 Bebop Sensors, Inc. Sensor systems integrated with steering wheels
JP6937299B2 (ja) 2015-07-20 2021-09-22 エル.アイ.エフ.イ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ス.エー.L.I.F.E. Corporation S.A. センサ及び電子機器を有する衣類用の可撓性織物リボンコネクタ
KR102432009B1 (ko) * 2015-09-03 2022-08-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압력 센서
US10973413B2 (en) * 2015-10-07 2021-04-13 Fiomet Ventures, Inc. Advanced compression garments and systems
US9721553B2 (en) 2015-10-14 2017-08-01 Bebop Sensors, Inc. Sensor-based percussion device
EP3376888B1 (en) 2015-11-19 2021-04-07 NIKE Innovate C.V. Apparel with pressure sensor control
US10824282B2 (en) 2015-11-30 2020-11-03 Drexel University Fabric touch sensor
CN112834090B (zh) * 2015-12-15 2022-11-29 D·卢塞 导电复合材料
CN105675104A (zh) * 2016-01-13 2016-06-15 大连楼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鞋内置压阻式体重传感器
DE102016106074A1 (de) * 2016-04-04 2017-10-05 Pilz Gmbh & Co. Kg Gewebe mit mehreren Gewebelagen
DE102016106071A1 (de) 2016-04-04 2017-10-05 Pilz Gmbh & Co. Kg Gewebe mit mehreren Gewebelag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3478174A1 (en) 2016-07-01 2019-05-08 L.I.F.E. Corporation S.A. Biometric identification by garments having a plurality of sensors
CN106009677B (zh) * 2016-07-18 2018-06-26 深圳市尚智工程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纳米导电橡胶传感单元及其制备方法
CN106197803A (zh) * 2016-07-21 2016-12-07 上海与德通讯技术有限公司 跌落数据的采集方法及终端设备
CN106644194A (zh) * 2017-01-23 2017-05-10 珠海安润普科技有限公司 电阻型压力传感器与可穿戴设备
CN108731856A (zh) * 2017-04-20 2018-11-02 新加坡国立大学 柔性触觉传感器
US20180338544A1 (en) * 2017-05-26 2018-11-29 Taiwan Textile Research Institute Fabric module and smart fabric using the same
US10884496B2 (en) 2018-07-05 2021-01-05 Bebop Sensors, Inc. One-size-fits-all data glove
JP7290926B2 (ja) 2018-09-12 2023-06-14 ローランド株式会社 電子楽器
FR3086906B1 (fr) * 2018-10-09 2021-06-18 Tesca France Matelassure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US11480481B2 (en) 2019-03-13 2022-10-25 Bebop Sensors, Inc. Alignment mechanisms sensor systems employing piezoresistive materials
US11952087B2 (en) 2020-12-11 2024-04-09 Alessandra E. Myslinski Smart apparel and backpack system
CN113358248B (zh) * 2021-06-11 2022-09-30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织物型拉力传感器阵列、驱动方法及智能物
CN114910199B (zh) * 2022-05-09 2023-08-18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一种触觉传感器、制备方法及信息采集方法
DE102023115184A1 (de) 2023-06-12 2023-08-31 Daimler Truck AG Fahrzeugsitz für einen Kraftwagen sowie 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6545B1 (en) * 1995-11-14 2001-04-17 Geoffrey L. Taylor Piezoresistive foot pressure measuremen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733B1 (ko) * 2008-12-04 2013-0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물형 터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접촉 감지방법
WO2011081281A1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디오시스템즈 터치 패널
KR20170097230A (ko) * 2012-07-13 2017-08-25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감지용 장치
KR20170075798A (ko) * 2014-11-04 2017-07-03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패브릭 라미네이팅된 터치 입력 디바이스
KR20160081245A (ko) 2014-12-31 2016-07-08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생체신호측정과 압력측정이 가능한 3차원구조 직물센서
KR20190056027A (ko) 2017-11-16 2019-05-24 이경환 하중 감지센서 및 하중 감지센서용 부품의 자동 제조장치
KR20190141434A (ko) * 2018-06-14 2019-12-24 한국과학기술원 정류특성의 다이오드를 이용한 매트릭스 방식의 섬유기반 압력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21624A (ko) 2019-04-16 2020-10-26 한지운 직물 압력 센서가 구비된 스마트 의류 및 이를 이용한 낙상 대응 시스템
US11269435B1 (en) 2020-09-10 2022-03-08 Tpk Advanced Solutions Inc. Three-dimensional sensing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38677A (zh) 2007-03-28
EP1733299A1 (en) 2006-12-20
WO2005096133A1 (en) 2005-10-13
JP2007531142A (ja) 2007-11-01
US20070202765A1 (en) 2007-08-30
GB0407366D0 (en) 2004-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7809A (ko) 직물형 터치 센서
Parzer et al. Resi: A highly flexible, pressure-sensitive, imperceptible textile interface based on resistive yarns
US6452479B1 (en) Detector contructed from fabric
CN101517522B (zh) 触摸传感器
CN101479582B (zh) 纺织物的扭曲和/或张力和/或压力传感器
US6333736B1 (en) Detector constructed from fabric
US6210771B1 (en) Electrically active textile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20100107770A1 (en) Capacitive pressure sensor
US20020134116A1 (en) Detector constructed from electrically conducting fabric
JP2009534757A (ja) 再構成可能な触覚センサ入力装置
JP2009526227A (ja) フレキシブルな容量センサ
CN108135362A (zh) 压力感测椅
GB2397177A (en) Manually deformable input device
JP2020009418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シング用の位置検出用複合糸
KR102317323B1 (ko) 다층 구조 체압 센서
KR20170143474A (ko) 웨어러블 직접묘화 입력장치
EP2743387B1 (en) Fabric product and sensing fabric made thereof
TWI374956B (ko)
JPH02304824A (ja) 面状スイッチ
JP5480846B2 (ja) 非察知式活動検知装置
KR102568540B1 (ko) 압력 감지 센서
KR20170081482A (ko) 압력 감지 의자
KR102002699B1 (ko) 하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텍스타일형 하이브리드 제어 장치
BE1016609A7 (nl) Drukgevoelige flexibele breistructuur.
KR102467998B1 (ko) 압력 감지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