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706A -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 - Google Patents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706A
KR20190054706A KR1020170151583A KR20170151583A KR20190054706A KR 20190054706 A KR20190054706 A KR 20190054706A KR 1020170151583 A KR1020170151583 A KR 1020170151583A KR 20170151583 A KR20170151583 A KR 20170151583A KR 20190054706 A KR20190054706 A KR 20190054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rminal
cutter
present
h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7685B1 (ko
Inventor
정일주
Original Assignee
정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일주 filed Critical 정일주
Priority to KR1020170151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6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을 이송하기 위한 전선이송수단과 단자를 이송하고 전선을 피복하며 단자를 압착하여 도선에 결합하기 위한 단자압착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자압착수단의 램 하단에 형성되어 램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단자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치구와, 상기 압착치구가 단자를 압착할 때 전선을 붙들어 주기 위한 집게부와, 상기 압착치구에 의해 압착되는 단자와 전선을 받쳐주어 절단가능토록 하고 또 이들을 결합가능토록 하기 위한 컷터셋트로 이루어지는 전선단자압착기에 있어서, 상기 컷터셋트의 컷터 상단에는 오목홈을 형성하고, 상기 집게부의 전선홀딩부 하단에는 전선을 홀딩한 상태로 컷터의 오목홈에 내삽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컷터의 폭보다 짧은 전선, 즉 2.5cm이하의 전선 양단에 단자를 결합하는 작업을 기계에 의해 자동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Wire holding device for harness terminal applicator}
본 발명은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전선단자압착기로는 홀딩할 수 없을 정도의 짧은 전선을 홀딩하여 단자를 압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단자압착기는 서로 이격된 각종 전기회로 및 전기부품을 전기회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전선의 일단 또는 양단에 전기회로나 전기부품에 보다 간편하게 결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자를 압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처럼 단자를 전선의 선단에 압착하기 위해서는 일정길이만큼 전선의 피복을 벗겨낸 후 노출된 도선에 단자를 위치시키고 단자를 압착하여 단자가 우그러들면서 도선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종래의 전선단자압착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21)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는 전동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케이싱(21) 전방 상부의 승강부재(23)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부재(23)에 의해 승하강되는 압착부재(38)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착부재(38)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림퍼(39)를 압착하여 전선에 단자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단자와 결합되는 전선은 집게부에 의해 집혀진 상태로 컷터셋트, 그 중에서도 단자받침 위에 놓여져야 하는데 컷터에 의한 간섭때문에 결국 컷터의 폭보다 짧은 전선, 즉 25mm이하의 전선 양단에 단자를 결합하는 작업은 작업자들의 수작업으로만 해결해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실용신안 20-0447593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153187호 공보
3.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성06-48171호 공보
이는 수십년동안 하네스업계의 해결하지 못한 과제였는바,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을 집어주는 집게부와 컷터의 구조의 개선을 통해 컷터의 폭보다 짧은 전선의 양 끝단에도 단자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전선을 이송하기 위한 전선이송수단과 단자를 이송하고 전선을 피복하며 단자를 압착하여 도선(전선의 껍질이 까진 선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단자압착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자압착수단(어플리게이터)의 램 하단에 형성되어 램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단자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치구(클림터)와, 상기 압착치구가 단자를 압착할 때 전선을 붙들어 주기 위한 집게부와, 상기 압착치구에 의해 압착되는 단자와 전선을 받쳐주어 절단가능토록 하고 또 이들을 결합가능토록 하기 위한 컷터셋트로 이루어지는 전선단자압착기에 있어서, 상기 컷터셋트의 컷터 상단에는 오목홈을 형성하고, 상기 집게부의 전선홀딩부 하단에는 전선을 홀딩한 상태로 컷터의 오목홈에 내삽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의 일측면에는 각각 전선끼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의 하단에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오목홈에도 상기 돌기의 단턱부에 대응하는 단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컷터의 폭보다 짧은 전선, 즉 2.5cm이하의 전선 양단에 단자를 결합하는 작업을 기계에 의해 자동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짧은 전선 홀딩장치가 전선단자압착기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짧은 전선 홀딩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전선과 단자의 결합상태를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가)도는 집게부가 전선을 집는 단계를 도시한 참고도, (나)도는 집게부가 전선을 컷터셋트의 컷터 위에 올리는 단계를 도시한 참고도, (다)도는 단자압착수단의 압착치구가 하강하여 단자을 압착하여 전선을 단자에 결합하는 단계를 도시한 참고도, (라)도는 전선이 단자에 결합되어 집게부로 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종래의 전선단자압착기의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전선단자압착기의 압착부재의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짧은 전선 홀딩장치가 전선단자압착기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짧은 전선 홀딩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전선과 단자의 결합상태를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가)도는 집게부가 전선을 집는 단계를 도시한 참고도, (나)도는 집게부가 전선을 컷터셋트의 컷터 위에 올리는 단계를 도시한 참고도, (다)도는 단자압착수단의 압착치구가 하강하여 단자을 압착하여 전선을 단자에 결합하는 단계를 도시한 참고도, (라)도는 전선이 단자에 결합되어 집게부로 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는 크게 전선(F)을 이송하기 위한 전선이송수단(A)과 단자(E)를 이송하고 전선(F)을 피복하며 단자를 압착하여 도선(전선의 껍질이 까진 선단부)에 단자(E)를 결합하기 위한 단자압착수단(B)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자압착수단(B)의 램(C) 하단에 형성되어 램(C)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단자(E)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치구(D)와, 상기 압착치구(D)가 단자(E)를 압착할 때 전선(F)을 붙들어 주기 위한 집게부(110)와, 상기 압착치구(D)에 의해 압착되는 단자(E)와 전선(F)을 받쳐주어 절단가능토록 하고 또 이들을 결합가능토록 하기 위한 컷터셋트(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집게부(110)는 전선이송수단(A)의 축에 결합되어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한 한쌍의 회전체(111)와, 상기 각 회전체(1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선(F)을 홀딩하기 위한 전선홀딩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선홀딩부(112)의 하단에는 돌기(113)가 형성되는데, 상기 각 돌기(113)의 일측면에는 전선끼움홈(113b)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선끼움홈(113b)이 서로 맞닿게 되면 전선(F)이 끼워질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공에 의해 전선(F)을 압착하지 않게 되어 전선(F)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선(F)을 집을 수 있게 되고, 또 전선(F)을 정확한 위치에 형성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돌기(113)의 하단에 단턱부(113c)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한 집게부(110)의 돌기(113)와 단턱부(113c)는 이후 언급할 하기할 상기한 컷터셋트(120)와의 관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술적 요소이다.
상기 컷터셋트(120)는 스프링(121d)에 의해 승하강가능한 컷터(121)와, 상기 컷터(121)를 지지하기 위한 승하강홈(122a)을 구비하는 지지대(122)와, 상기 지지대(122)의 일측에 배치되는 단자받침(123)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컷터(121)의 상단면에는 오목홈(121a)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21a)의 바닥에는 단턱부(121b)가 형성된다.
상기 컷터(121)의 상단면에 형성한 오목홈(121a)이 본 발명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구성으로, 상기 오목홈(121a)과 집게부(110)의 돌기(113) 구성에 의해 전선(F)의 길이가 25mm 이내라 할지라도 본 발명은 기계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전선홀딩수단은 전선을 물고 있는 집게부가 컷터셋트 위에 셋팅됨에 있어 적어도 단자받침 위에 전선의 끝단부, 즉 도선이 위치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때 집게부와 단자받침 사이에는 가로 세로 약 2cm 내외 크기의 컷터가 존재하게 되므로 결국 컷터에 걸리게 되므로 집게부가 전선을 물고 더이상 단자받침에 가까이 갈 수 없게 되어 2.5cm 보다 적은 전선은 단자결합작업이 당업계에서는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전선홀딩장치는 전선의 길이가 25mm 이내의 경우는 지금까지도 수작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컷터(121)의 상단면에 오목홈(121a)을 형성하고 또 집게부(110)의 끝단, 즉 전선(F)을 물고 있는 돌기(113)는 상기 오목홈(121a)에 내삽될 수 있을 정도로 얇고 가늘게 형성되어 최대한 단자받침(123)까지 근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즉 컷터(121)의 오목홈(121a) 구성과 상기 오목홈(121a)에 대응하는 집게부(110)의 돌기 (113)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따라서 집게부(110)의 돌기(113)는 상기 컷터(121)의 오목홈(121a)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컷터(121)의 오목홈(121a)과 상기 오목홈(121a)에 대응하는 집게부(110)에 의해 단자(E)를 압착하는 단자받침(123)과 집게부(110) 사이의 간격, 즉 이격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전선(F)을 홀딩한 상태의 돌기(113)가 최대한 가깝게 단자받침(123)에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전선(F)의 길이가 2.5cm에 불과하더라도 자동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돌기(113)의 하단에 단턱부(113c)가 형성하고, 상기 돌기(113)의 단턱부(113c)에 대응하는 컷터(121)의 오목홈(121a) 바닥에도 단턱부(121b)를 형성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전선(F) 끝에 단자(E)를 결합하기 위해 압착치구(D)가 하강할 때 집게부(110)도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돌기(113)의 단턱부(113c)와 컷터(121)의 단턱부(121b)에 의해 집게부(110)의 돌기(113)가 단자철(G)의 스크랩부분을 누르지 않게, 즉 간섭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단자(E)가 전선(F)에 압착되기도 전에 단자철(G)이 움직이게 되면 결국 단자철(G) 일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연결된 단자(E)가 움직이게 되고 이는 단자(E)의 위치 오차 및 형상의 변형을 유발하게 되어 전선(F)과 단자(E)의 결합에 필연적으로 오류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집게부
111: 회전체
113: 전선홀딩부
114
(110)와, 상기 압착치구(D)에 의해 압착되는 단자(E)와 전선(F)을 받쳐주어 절단가능토록 하고 또 이들을 결합가능토록 하기 위한 컷터셋트(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집게부(110)는 전선이송수단(A)의 축에 결합되어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한 한쌍의 회전체(111)와, 상기 각 회전체(1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선(F)을 홀딩하기 위한 전선홀딩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컷터셋트(120)는 스프링(121d)에 의해 승하강가능한 컷터(121)와, 상기 컷터(121)를 지지하기 위한 승하강홈(122a)을 구비하는 지지대(122)와, 상기 지지대(122)의 일측에 배치되는 단자받침(123)으로 이루어진다.

Claims (3)

  1. 전선을 이송하기 위한 전선이송수단과 단자를 이송하고 전선을 피복하며 단자를 압착하여 도선에 결합하기 위한 단자압착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자압착수단의 램 하단에 형성되어 램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단자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치구와, 상기 압착치구가 단자를 압착할 때 전선을 붙들어 주기 위한 집게부와, 상기 압착치구에 의해 압착되는 단자와 전선을 받쳐주어 절단가능토록 하고 또 이들을 결합가능토록 하기 위한 컷터셋트로 이루어지는 전선단자압착기에 있어서,
    상기 컷터셋트의 컷터 상단에는 오목홈을 형성하고, 상기 집게부의 전선홀딩부 하단에는 전선을 홀딩한 상태로 컷터의 오목홈에 내삽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일측면에는 각각 전선끼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하단에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오목홈의 바닥면에도 상기 돌기의 단턱부에 대응하는 단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

KR1020170151583A 2017-11-14 2017-11-14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 KR101997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583A KR101997685B1 (ko) 2017-11-14 2017-11-14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583A KR101997685B1 (ko) 2017-11-14 2017-11-14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706A true KR20190054706A (ko) 2019-05-22
KR101997685B1 KR101997685B1 (ko) 2019-07-08

Family

ID=66680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583A KR101997685B1 (ko) 2017-11-14 2017-11-14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3609A (zh) * 2023-07-19 2023-08-18 深圳市欧斯凯曼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线束端子压接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16746A1 (de) 2022-07-05 2024-01-11 Md Elektronik Gmbh Crimp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Crimp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2529A1 (en) * 2002-03-18 2003-09-18 Alois Conte Crimp press for the production of a crimping connection
KR101752863B1 (ko) * 2016-08-17 2017-06-30 이창근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2529A1 (en) * 2002-03-18 2003-09-18 Alois Conte Crimp press for the production of a crimping connection
KR101752863B1 (ko) * 2016-08-17 2017-06-30 이창근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3609A (zh) * 2023-07-19 2023-08-18 深圳市欧斯凯曼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线束端子压接机
CN116613609B (zh) * 2023-07-19 2024-01-23 深圳市欧斯凯曼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线束端子压接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685B1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47160B2 (ja) シールドケース
CN102842838B (zh) 线缆连接器的制造方法及其线缆连接器
US10680359B2 (en) Plug contact
US20210234286A1 (en) Terminal
JP2011029188A (ja) 電線基板コネクタ
US11152718B2 (en) Electrical cable including terminal having pressing portion that presses holding portion
CN105474466A (zh) 用于接触电导体的端子
CN108352624A (zh) 压接端子
KR101997685B1 (ko)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
EP0287263A2 (en) A device for connecting a wire to a motor terminal
CN105393648B (zh) 具有侧面进入的端接焊盘的印制电路板
US11837833B2 (en) Terminal holding device for crimp hand tool
KR101019328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의 결선 장치
US20060063410A1 (en) Connector for establish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wire and a fluorescent tube of a backlight module
CN216850699U (zh) 一种线束加工用端子压接装置
CN210310146U (zh) 后视镜组件
MXPA04012631A (es) Localizador para dado de engarce.
JP3070389B2 (ja) 圧着金型構造
JP3070388B2 (ja) 圧着金型構造
CN212848859U (zh) 一种用于电雷管电容支架上的接线端子
CN220652535U (zh) 一种插头自动装配机
KR102603875B1 (ko) 차량용 와이어의 연속형 절단압착장치
US20130061470A1 (en) Tool for crimping a connector
CN215497486U (zh) 一种电线压接装置
JPH02475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