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168A -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168A
KR20190054168A KR1020197012445A KR20197012445A KR20190054168A KR 20190054168 A KR20190054168 A KR 20190054168A KR 1020197012445 A KR1020197012445 A KR 1020197012445A KR 20197012445 A KR20197012445 A KR 20197012445A KR 20190054168 A KR20190054168 A KR 20190054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rti
electronic device
flexible body
cuff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쑤안 장
레 리아오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4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연성 본체와 팔목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연성 본체는 유연성 표시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팔목밴드의 양단은 각각 상기 유연성 본체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유연성 본체가 편평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팔목밴드는 상기 유연성 본체와 상기 유연성 표시화면과의 반대되는 배면에 밀착된다. 상기 유연성 본체가 만곡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팔목밴드는 상기 유연성 본체와 고리모양구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유연성 본체의 양단은 팔목밴드를 통하여 연결되며 유연성 본체가 만곡된 상태에 있을 경우 유연성 본체와 팔목밴드는 고리모양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팔목밴드의 치수를 조절하여 전자장치를 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착용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의 크기를 개변하지 않는 조건에서 전자장치를 상이한 사용환경에 적응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본 발명은 단말기 분야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되어 정상적 사용 시에는 바폰 상태를 구현할 수 있으며, 비 사용 시에는 호형으로 휘어 손에 착용하기 편리하다. 하지만 착용 시 휴대폰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휴대폰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하고 휴대폰 양단에 블랙 가장자리를 크게 하여 사용자의 체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서의 기술적 과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는 유연성 본체 및 팔목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연성 본체는 유연성 표시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팔목밴드의 양단은 각각 상기 유연성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유연성 본체가 편평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팔목밴드는 상기 유연성 본체와 상기 유연성 표시화면과의 반대되는 배면에 밀착된다. 상기 유연성 본체가 만곡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팔목밴드는 상기 유연성 본체와 고리모양구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유연성 본체의 양단은 팔목밴드를 통하여 연결되며 유연성 본체가 만곡된 상태에 있을 경우 유연성 본체와 팔목밴드는 고리모양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팔목밴드의 치수를 조절하여 전자장치를 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착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전자장치의 크기를 개변하지 않는 조건에서 전자장치를 상이한 사용환경에 적응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상술한 및/또는 부가적인 측면 및 장점은 하기 도면에 결합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뚜렷해질 것이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여기서,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가 편평한 상태에 있는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가 편평한 상태에 있는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가 편평한 상태에 있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가 편평한 상태에 있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가 만곡된 상태에 있는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가 만곡된 상태에 있는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의 배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의 부분적 분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의 다른 부분적 분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의 또 다른 부분적 분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의 또 다른 부분적 분해도이다.
도12는 도11의 전자장치 I부분의 확대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의 또 다른 부분적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실시형태의 예시는 도면에 도시되었는데, 하기 설명에서 도면을 언급 시 별도의 해석이 없을 경우 서로 다른 도면의 같은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가리킨다. 아래 예시적 실시예에 기술된 실시형태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대한 기재에 있어서, 유의할 점은 용어 "중심", "종방향", "횡방향", "길이", "폭", "두께",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정단", "바닥", "내부", "외부", "순시침방향", "역시침방향", "축방향", "반경방향", "원주방향"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설명이 용이하고도 간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지, 지시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져야만 하며 특정된 방위에 따라 구성 및 동작해야 한다는 것을 명시 또는 암시하고자 하는 의도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안될 것이다. 이 외에, 용어 "제1", "제2"는 단순한 기재의 목적으로 이용될 뿐, 상대적 중요성을 명시 또는 암시하거나, 지시된 구성요소의 수량을 내포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는 없다. 따라서, "제1", "제2" 등 용어가 한정된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당해 구성요소를 명시적 또는 내포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 중, 명확한 구체적 한정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 한, "복수'의 함의는 적어도 두개이며, 예를 들어 2개, 3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별도의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존재하지 않는 한, "장착", "상호 연결", "연결", "고정" 등 용어는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일 수도 있고, 착탈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 연결일 수도 있고, 중간 매질을 경유한 간접적 상호 연결일 수도 있으며, 두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두개의 소자의 상호작용 관계일 수도 있는데, 오직 별도의 명확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만 제한적일 수 있다. 해당 분야의 당업자 수준에서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발명 중에서 가지는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 내지 도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유연성 본체(10) 및 팔목밴드(20)를 포함한다. 유연성 본체(10)는 유연성 표시화면(11)을 포함한다. 팔목밴드(20)의 양단은 각각 유연성 본체(10)의 양단에 연결된다. 유연성 본체(10)가 편평한 상태에 있을 경우 팔목밴드(20)는 유연성 본체(10)가 유연성 표시화면(11)과 반대되는 배면(10a)에 밀착된다. 유연성 본체(10)가 만곡된 상태에 있을 경우 팔목밴드(20)와 유연성 본체(10)는 고리모양구조(30)를 형성한다(도5 및 도6 참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100)에서 유연성 본체(10)의 양단은 팔목밴드(20)를 통하여 연결되며 유연성 본체(10)가 만곡된 상태에 있을 경우 유연성 본체(10)와 팔목밴드(20)는 고리모양구조(30)를 형성함으로써 팔목밴드(20)의 치수를 조절하여 전자장치(100)를 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착용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0)의 크기를 개변하지 않는 조건에서 전자장치(100)를 상이한 사용환경에 적응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전자장치(100)는 정상적인 사용과정에서 편평한 상태를 나타낸다. 착용상태에서 전자장치(100)는 고리모양구조(30)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전자장치(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의 전자장치(100)는 복수의 설치상태(예하면 편평한 상태 및 만곡된 상태)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사용기능을 구현하고 적용성이 광범해진다.
일부 예시에서 전자장치(100)는 휴대폰으로서 유연성 본체(10)가 편평한 상태에 있을 경우 전자장치(100)를 보편적인 휴대폰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배면(10a)에 밀착된 팔목밴드(20)는 일정한 정도에서 유연성 본체(10)에 대해 보호기능을 구비하며 유연성 본체(10)가 만곡된 상태에 있을 경우 전자장치(100)는 팔목밴드(20)와 유연성 본체(10)가 형성한 고리모양구조(30)를 통하여 손에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으며 이때 또 전자장치(100)를 통하여 관련 정보의 검측을 구현할 수 있다.
예하면, 일 예시에서 전자장치(100)는 압력센서와 같은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전자장치(100)는 센서를 통하여 심장 박동율 또는 혈압 등과 같은 사용자 관련 건강 데이터를 검측 및 채집할 수 있으며 유연성 표시화면(11)을 통하여 대응한 검측결과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출한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전자장치(100)를 통하여 관련 정보의 검측을 구현하는 구체적 방식에 대해서는 여기서 상세하게 전개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관련 기술을 참조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람-기기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기타방식을 똑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장치(100)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장치(100)는 보편적인 휴대폰 성능을 구비하는 외에 고정크기를 키우지 않는 조건에서 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음으로써 휴대폰의 길이가 길어 휴대폰 상하 양단의 블랙 가장자리가 많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유연성 본체(10)는 연성 재료로 구성된다. 유연성 재료는 실리카겔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형태에서 유연성 본체(10)는 또 복수의 강성 본체 및 이러한 복수의 강성 본체를 연결하는 경첩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전부 경첩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유연성 본체(10)는 휠 수 있고 양호한 유연성과 내휨성 성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유연성 표시화면(11)은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표시화면로서 유연성 표시화면(11) 표면에 설치되는 연성 터치화면(미도시)을 포함한다. 연성 터치화면은 인듐 주석 산화물층, 산소나노튜브층 또는 그래핀층 등을 투명 도전층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유연성 표시화면(11)의 기계적 성능 및 내휨성능은 비교적 양호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고리모양구조(30)는 폐합구조이다. 유연성 본체(10)가 편평한 상태에 있을 경우 팔목밴드(20)는 유연성 본체(10)의 배면(10a)에 밀착되며 유연성 본체(10)가 만곡된 상태에 있을 경우 팔목밴드(20)는 외력의 작용 하에 배면(10a)을 이탈하여 유연성 본체(10)와 폐합된 고리모양구조(30)(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음)를 형성하며 이때 유연성 표시화면(11)은 고리모양구조(30)의 외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유연성 본체(10)가 만곡된 상태에 있을 경우 팔목밴드(20)는 유연성 본체(10)와 폐합된 고리모양구조를 형성하며 폐쇄고리모양구조는 구조적 안정성이 양호하고 전자장치(100)를 손에서 이탈되지 않고 착용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팔목밴드(20)는 가죽, 플란넬, 금속시계줄 또는 신축성 재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팔목밴드(20)의 양단은 각각 유연성 본체(10)의 양단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탈부착가능한 연결방식은 팔목밴드(20)의 교체 및 유지보수에 편리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자장치(100)는 고정기구(4)를 포함한다. 도4와 같이, 고정기구(40)는 팔목밴드(20)를 배면(10a)과 밀착한 위치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기구(40)는 팔목밴드(20)를 배면(10a)에 밀착하기 위한 안정성을 향상시켜 외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음과 동시에 고정기구(40)에 대한 합리적인 설치를 통하여 팔목밴드(20)와 유연성 본체(10)의 탈부착가능한 연결을 구현함으로써 팔목밴드(20)의 사용적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형태에서 고정기구(40)는 배면(10a)에 설치되는 제1자성소자(41) (도7참조), 및 팔목밴드(20)에 설치되어 제1자성소자(41)와 서로 흡인하는 제2자성소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서로 흡인하는 2개 자성소자는 팔목밴드(20)가 배면(10a)에 밀착하는 안정성을 확보하고 팔목밴드(20)를 배면(10a)에 밀착하는 정밀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자장치(100)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사용할 때의 정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자성소자에 필요한 설치공간이 작아 전자장치(200)의 경량화 및 집성화 설계에 유리하고 설치방식이 간단하여 구현하기 쉽다. 도시된 예시에서 제1자성소자(41)의 수량이 복수이고 제2자성소자의 수량이 제1자성소자(41)의 수량과 동일하기 때문에 팔목밴드(20)와 배면(10a)의 밀착도를 향상시키고 편평한 상태에서 전자장치(100)의 사용 편리성을 확보한다.
도8을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에서 고정기구(40)는 배면(10a)에 형성된 돌출 부재(41a), 팔목밴드(20)에 형성되어 돌출 부재(41a)와 결합하여 연결된 제1스루홀(411a)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고정기구(40)는 돌출 부재(41a)와 제1스루홀(411a)의 결합을 통하여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팔목밴드(20)를 배면(10a)에 고정하여 밀착할 수 있으며 고정방식이 간단하고 설치공간이 작아 보다 높은 적용성을 구비한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돌출 부재(41a) 및 제1스루홀(411a)의 치수 및 설치위치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에서 전자장치(100)는 배면(10a)에서 돌출된 카메라(41b)를 포함한다. 고정기구(40)는 카메라(41b), 팔목밴드(10)에 형성되어 카메라(41b)와 결합하여 연결되는 제2스루홀(411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카메라(41b)의 설치는 팔목밴드(20)를 고정하는 작용을 하는 한편 전자장치(100)의 사용기능을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형태에서 팔목밴드(20)는 일체형 성형구조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에 편리하며 제조원가가 낮다.
일 실시형태에서 팔목밴드(20)와 유연성 본체(10)의 폭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유연성 본체(10)가 편평한 상태에 있을 경우 팔목밴드(20)가 유연성 본체(10)의 일측을 커버함으로써 유연성 본체(10)에 보다 양호한 보호작용을 구현하며, 유연성 본체(10)가 만곡된 상태에 있을 경우 팔목밴드(20)와 유연성 본체(10)가 형성한 고리모양구조(30)의 부위별 폭이 일치하고 작용력 면적이 커서 쾌적한 착용성을 구현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유연성 본체(10)와 고리모양구조(30)를 형성한 팔목밴드(20) 부분의 길이는 조절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자장치(100)는 팔목밴드(2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이한 사용환경에 적용되고 전자장치(100)의 보편성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형태에서 팔목밴드(20)는 연결구간(21)과 조절구간(22)를 포함한다. 연결구간(21)의 일단은 유연성 본체(10)의 일단과 연결되고 연결구간의 타단은 조절구간(22)에 연결되며 조절구간(22)은 부분적으로 유연성 본체(10)의 타단 내부에 수용되고 유연성 본체(10)의 조절구간(22) 부분의 길이는 조절 가능하다.
이와 같이, 유연성 본체(10)가 만곡된 상태에 있을 경우 전자장치(100)는 유연성 본체(10)에서 돌출된 조절구간(22) 부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이한 사용환경에 적용하며 이 외에 팔목밴드(20)의 일단이 조절 가능하고 타단이 고정되어 조절이 편리하고 설치가 간단하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연결구간(21)과 조절구간(22)의 길이 비율은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자장치(100)는 커버 플레이트(50)를 포함한다. 유연성 본체(10)의 타단에는 요홈(11)이 설치된다. 커버 플레이트(50)와 요홈(11)은 결합하여 연결되어 수용공간(12)을 형성한다. 전자장치(100)는 편평한 상태에서 조절구간(22)의 부분이 만곡된 상태를 나타내면서 부분적으로 수용공간(12)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수용공간(12)의 설치는 전자장치(100)의 설치가능 공간을 향상시키는 바, 예하면 전자장치(100)의 기타 기능부품을 수용공간(12) 내에 설치함과 동시에 유연성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조절구간(22) 부분이 만곡된 상태를 나타내며 유연성 본체(10)가 만곡된 상태에 있을 경우 유연성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조절구간(22) 부분과 유연성 본체에서 인출되는 조절구간(22)의 다른 부분의 구조상태가 일치함으로써 팔목밴드(20)의 길이 조절에 편리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연결구간(21)과 조절구간(22)은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유연성 본체(10)가 편평한 상태에 있을 경우 조절구간(22) 부분은 만곡된 상태를 나타내면서 수용공간(12) 내에 수용되고 유연성 본체(10)가 만곡된 상태에 있을 경우 유연성 본체(10)에서 돌출된 조절구간(22) 부분을 수용공간(12) 내에 압입하거나 또는 발출하여, 조절구간(22)이 유연성 본체(10)에서 돌출된 부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쾌적한 착용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연결구간(21)은 신축가능한 유연성 밴드이다.
이와 같이, 연결구간(21)은 신축성을 구비하여 조절구간(22)이 유연성 본체(10)에서 돌출된 부분을 적중한 길이로 조절한 후, 연결구간(21)의 신축성에 의해 전자장치(100)를 단단하게 착용하도록 하며 착용 쾌적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연결구간(21)과 조절구간(22)은 일체형 성형구조이며, 연결구간(21)과 조절구간(22)은 모두 유연성 재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구간(21)과 조절구간(22)은 모두 신축성을 구비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자장치(100)는 유연성 본체(10)에서 돌출된 조절구간(22) 부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구(6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조절기구(60)는 유연성 본체(10)에서 돌출된 팔목밴드(20) 조절구간(22) 부분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팔목밴드(20) 조절의 편리함과 운용성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형태에서 조절구간(22)의 일측에는 복수의 걸림홈(221)이 형성되며, 복수의 걸림홈(221)은 조절구간(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열된다. 조절기구(60)는 전동부(61) 및 스냅부(62)를 포함한다. 스냅부(62)는 복수의 걸림홈(221) 중의 1개 걸림홈(221)에 당접되며, 조절기구(60)는 전동부(61)를 통하여 스냅부(62)를 당접되는 걸림홈(221)에서 이탈되도록 구동시킴으로써 유연성 본체(10)에서 돌출된 조절구간(22) 부분의 길이를 조절한다.
예하면, 일 예시에서 스냅부(62)가 대응하는 걸림홈(221)과 서로 맞물릴 경우 유연성 본체(10)의 조절구간의 부분은 비조절상태, 즉 조절구간(22)의 길이가 고정되는 상태에 있게 되고, 이때 스냅부(62)는 위치를 고정하는 작용을 하며 유연성 본체(10)의 조절구간(22) 부분의 길이를 조절해야 할 경우 전동부(61)를 통하여 스냅부(62)와 당접되는 걸림홈(221)에서 이탈하도록 구동시키기만 하면 조절구간(22)이 바로 조절 가능 상태에 있게 되며 이때수용공간(12)에 수용된 조절구간(22)의 부분을 외부로 빼여내거나 또는 유연성 본체(12)에서 돌출된 조절구간(22)의 부분을 수용공간(12) 내에 삽입시켜 고리모양구조(30)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 완료 후 스냅부(62)는 상이한 위치의 걸림홈(221)과 당접될수 있어 유연성 본체(10)에서 돌출된 조절구간(22)의 부분을 재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기구(60)는 전동부(61) 및 스냅부(62)의 을통하여 간단하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유연성 본체(10)에서 돌출된 조절구간(22) 부분의 길이에 대한 조절을 구현함과 동시에 스냅부(62)가 걸림홈(221)과 당접되는 전환식 조절방식이 간단하고 직접적이며 운용성이 높다. 또한 걸림홈(221)의 수량을 개변할 수 있어 조절을 더욱 원활하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동부(61)는 버튼(611), 전동 로드(612) 및 구동축(613)을 포함한다. 버튼(611)은 유연성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전동 로드(612)과 연결되고 구동축(613)은 회전 가능하게 전동 로드(612)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전동부(61)는 버튼(611)을 통하여 전동 로드(612)을 구동시켜 구동축(613)을 둘러싸고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스냅부(62)와 당접되는 걸림홈(221)에서 이탈하도록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조절기구(60)는 비교적 간단한 기계적 구동방식을 통하여 조절구간(22)에 대한 조절을 구현하며, 더 나아가 전동 로드(612)과 구동축(613)을 회전 결합하는 방식을 통하여 스냅부(62)가 상이한 위치의 걸림홈(221)으로 전환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하는 조절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조절기구(60)의 구동을 보다 정확하고 고효율적으로 구현시키며 일정한 정도에서 스냅부(62)와 카스슬롯(221) 사이의 과대한 마찰력에 따른 마모를 방지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도12를 참조하면 요홈(11)의 바닥면(111)에는 1개의 제1결합홀(112) 및 2개의 제2결합홀(113)이 설치되며 제1결합홀(112)은 2개의 제2결합홀(113)을 연결시키고 2개의 제2결합홀(113)은 각각 제1결합홀(112)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연결된다. 전동부(61)는 1개 전동 로드(612) 및 2개 구동축(613)을 포함하며 전동 로드(612)은 제1결합홀(112) 내에 설치되고 2개 구동축(613)은 회전가능하게 전동 로드(612)을 관통하게 설치되어 대응하는 2개 제2결합홀(113) 내에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전동 로드(612)과 구동축(613)의 회전 결합되는 안정성을 확보한다.
일 예시에서 전동 로드(612) 및 구동축(613)은 모두 수용공간(12) 내에 수용된다. 유연성 본체(10)가 만곡된 상태에 있을 경우 스냅부(62)는 대응하는 걸림홈(211)과 서로 맞물림으로써 고리모양구조(30)의 치수를 고정시킨다. 이때 조절기구(60)를 통하여 유연성 본체(10)에서 돌출된 조절구간(2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고리모양구조(30)의 치수크기를 개변시킨다. 구체적인 조절단계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조절구간(22)에 대한 조절에서 버튼(611)을 누를 경우 버튼(611)은 전동 로드(612)을 구동시켜 구동축(613)을 둘러싸고 회전하도록 하며 전동 로드(612)을 버튼(611)의 일단에 접근하여 위로 젖히도록 하고(예하면 커버 플레이트와 접근하는 방향으로 치켜듬) 전동 로드(612)은 스냅부(62)의 타단에 접근하면서 아래로 이동(예하면 커버 플레이트(5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나아가 스냅부(62)와 당접되는 걸림홈(221)에서 이탈하도록 구동시킨다.
이때 조절구간(22)이 수용공간(12)에 수용된 부분을 외부로 빼여내거나 또는 유연성 본체(10)에서 돌출된 조절구간(22)의 부분을 수용공간(12) 내로 삽입시켜 고리모양구조(30)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누르고 있던 버튼(611)을 해제시켜 기존 상태로 회복시킬 경우 전동 로드(612)은 구동축(613)을 둘러싸고 회전하며, 전동 로드(612)은 버튼(611)의 일단에 접근하면서 아래로 복귀(예하면 커버 플레이트(5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치켜듬)하고 전동 로드(612)은 스냅부(62)에 타단에 접근하면서 위로 이동(예하면 커버 플레이트(5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치켜듬)하여 스냅부(62)를 대응하는 다른 걸림홈(211) 내에 맞물릴 때까지 구동시키며 이때 조절구간(22)에 대한 길이 조절을 마감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동부(61)는 구동결합부(614)를 포함한다. 구동결합부(614)는 버튼(611) 및 전동 로드(612)을 연결시킨다. 구동결합부(614)의 일단에는 전동 로드(612)과 결합되는 경사면(614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동결합부(614)를 통하여 버튼(611)과 전동 로드(612) 사이의 작용력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구동결합부(614)의 일단에 결합을 위한 경사면(614)이 형성됨으로써 구동결합부(614)의 작용력 면적을 크게 하고 조절기구(60) 구동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버튼(611)이 눌러지면 구동결합부(614)를 전동 로드(61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고 구동결합부(614)의 이동과정에서 경사면(614a)이 전동 로드(612)을 들어올려 버튼(611)의 일단에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버튼(611)의 일단에 접근한 전동 로드(612)의 일단을 위로 젖힌다.
일 실시형태에서 조절기구(60)는 탄성편(63)을 포함한다. 전동 로드(612)의 일단에는 돌기(612a)가 형성된다. 탄성편(63)은 전동 로드(612)에 당접되어 돌기(612a)를 걸림홈(221)에 당접되도록 하며 탄성편(63)과 돌기(612a)는 스냅부(6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탄성편(63)과 돌기(612a)가 공동으로 스냅부(62)를 형성하는 설치방식은 스냅부(62)를 탄력적으로 걸림홈(221)에 당접되도록 함으로써 스냅부(62)와 걸림홈(221)이 맞물리는 원활성을 향상시키고, 스냅부(62)가 복수의 걸림홈(221)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전환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러한 설치방식을 통하여 조절기구(60)의 구조를 간소화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스냅부(62)가 대응하는 걸림홈(211)과 서로 맞물릴 경우 돌기(612a)의 일단은 탄성편(63)에 맞물리고 타단은 걸림홈(211)에 맞물리고 이때 조절구간(22)의 길이는 고정된다. 스냅부(62)가 당접된 걸림홈(211)에서 이탈할 경우 전동 로드(612)은 돌기(612)를 구동시켜 탄성편(63)을 가압하여 제1결합홀(112) 내에 수용시킴으로써 대응하는 걸림홈(211)에서 이탈시키며 이때 조절구간(22)의 길이는 조절 가능하다. 또한 조절구간(22) 부분을 적합한 길이로 조절할 경우 버튼(611)이 해제되고 가압받은 탄성편(63)은 돌기(612a)를 구동시켜 기존위치로 회복시키고 다른 걸림홈(211)에 당접되며 이리하여 조절을 마감한다. 탄성편(63)을 사용하여 조절을 더욱 원활하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탄성편(63)은 U형 탄성편이다. 이와 같이, 탄성편(63)의 작용력 면적을 크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합홀(112) 내에는 탄성편 고정부(121)가 형성된다. 탄성편(63)과 결합홀(112)이 서로 대향하는 표면에는 고정홀이 설치된다. 탄성편 고정부(121)는 고정홀을 관통하게 설치되어 탄성편(63)을 결합홀(112) 내에 고정시키고 전동 로드(612)과 서로 맞물린다.
이와 같이, 탄성편(63)의 위치가 고정되면 스냅부(62)를 안정적으로 복수의 걸림홈(221)에 당접되도록 하여 조절기구(60)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조절기구(60)는 2개의 탄성편(63)을 포함하고, 전동부(61)는 2개의 버튼(611), 2개 전동 로드(612), 4개의 구동축(613) 및 2개의 구동결합부(614)를 포함한다. 2개 버튼(6111)은 유연성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된다. 조절기구(60) 중의 1개 탄성편(63), 1개 버튼(611), 1개 전동 로드(612), 2개 구동축(613) 및 1개 구동결합부(614)는 1개 조절시스템을 구성하며, 다시 말해서 조절기구(60)는 2개의 조절시스템을 포함한다. 2개의 조절시스템은 조절의 안정성을 강화시킨다.
일 예시에서 조절기구(60)의 2개 조절시스템은 동일한 수평위치에 있으며, 조절기구(60)를 사용하여 조절구간(22)을 조절할 경우 2개의 조절시스템을 동시에 사용하여야만 조절구간(22)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절 진행 시 양측에 위치한 2개 버튼(611)을 동시에 누른 후에야 유연성 본체(10)에서 돌출된 조절구간(22)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기구(60)를 통한 조절의 평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 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 "상" 또는 "하"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중간 매질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촉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의 "상부", "상측" 또는 "상면"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의 직교 상측 또는 경사진 상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단순히 제1 구성요소의 수평적 높이가 제2 구성요소보다 높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의 "하부", "하측" 또는 "하면"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의 직교 하측 또는 경사진 하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단순히 제1 구성요소의 수평적 높이가 제2 구성요소보다 낮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개시는 여러가지 서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를 통하여 본 발명의 서로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데 쓰인다. 본 발명의 개시를 간략화하기 위해 이하 특정 예시의 부품과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물론, 이러한 설명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데 목적을 두지 않는다. 이 외,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사례에서 참조 데이터 및/또는 문자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은 간략화 및 뚜렷화하기 위한것이며 그 자체는 설명하는 각종 실시예 및/또는 설정 간의 관계를 명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특정된 공정 및 재료를 예를 들어 제공하지만, 당업자라면 기타 공정의 활용 가능성 및/또는 기타재료의 사용을 인지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서, 참고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 설명은 본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합하여 기술된 구체적 구성요소, 구조, 재질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의 개략성 표현은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필연적인 상대로 하지 않는다. 또한, 설명하는 구체적 구성요소, 구조, 재질이나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혹은 예시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외에, 상호 모순되지 않는 상황에서 해당 분야의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시 그 자체, 그리고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시의 구성요소를 결합 및 조합할 수 있다.
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소속된 기술분야의 일반 지식을 장악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한 변경, 수정, 대체 또는 변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5)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유연성 본체 및 팔목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연성 본체는 유연성 표시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팔목밴드의 양단은 각각 상기 유연성 본체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유연성 본체가 편평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팔목밴드는 상기 유연성 본체의 상기 유연성 표시화면과 반대되는 배면에 밀착되며,
    상기 유연성 본체가 만곡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팔목밴드와 상기 유연성 본체는 고리모양구조를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팔목밴드를 상기 배면과 밀착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기구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배면에 설치되는 제1자성 소자, 및 상기 팔목밴드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성 소자와 서로 흡인하는 제2자성 소자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배면에 형성된 돌출 부재, 및 상기 팔목밴드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 부재와 결합하여 연결되는 스루 홀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팔목밴드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와 결합하여 연결되는 스루 홀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목밴드와 상기 유연성 본체의 폭이 동일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목밴드의 상기 유연성 본체와 상기 고리모양구조를 형성하는 부분의 길이는 조절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팔목밴드는 연결구간과 조절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간의 일단은 상기 유연성 본체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시 연결구간의 타단은 상기 조절구간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구간은 상기 유연성 본체의 타단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또한 상기 조절구간의 상기 유연성 본체에서 인출되는 부분의 길이는 조절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유연성 본체의 타단에 요홈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요홈와 결합하여 연결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전자장치가 편평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조절구간의 부분이 만곡된 상태를 나타내면서 부분적으로 상기 수용공간내에 수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간이 신축 가능한 유연성 밴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조절구간의 상기 유연성 본체에서 인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간의 일측에 상기 조절구간의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기구는 전동부 및 스냅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냅부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의 1개 상기 걸림홈에 당접되며, 상기 조절기구는 상기 전동부를 통하여 당접된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하도록 상기 스냅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조절구간의 상기 유연성 본체에서 인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는 상기 유연성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버튼, 상기 버튼과 연결되는 전동 로드 및 회전가능하게 상기 전동 로드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전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부는 상기 버튼을 통하여 상기 전동축을 둘러싸고 회전하도록 상기 전동 로드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스냅부를 구동하여 당접된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는 전동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 결합부는 상기 버튼 및 상기 전동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전동 결합부의 일단에는 상기 전동 로드와 결합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구는 탄성편을 포함하며,
    상기 전동 로드의 일단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전동 로드에 당접되어 상기 돌기를 상기 걸림홈에 당접되도록 하며,
    상기 탄성편은 상기 돌기와 상기 스냅부를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20197012445A 2016-09-30 2016-09-30 전자장치 KR201900541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101193 WO2018058568A1 (zh) 2016-09-30 2016-09-30 电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168A true KR20190054168A (ko) 2019-05-21

Family

ID=6160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445A KR20190054168A (ko) 2016-09-30 2016-09-30 전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26330A1 (ko)
EP (1) EP3521968A4 (ko)
JP (1) JP2019537094A (ko)
KR (1) KR20190054168A (ko)
CN (1) CN107820704B (ko)
WO (1) WO2018058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7219A1 (zh) * 2017-12-28 2019-07-04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支撑部件、柔性显示屏和电子装置
CN110333757B (zh) * 2019-06-28 2021-06-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腕式终端设备
CN111567998B (zh) * 2020-06-16 2021-04-20 深圳市兆华投资开发有限公司 一种带平放适应模式的智能手环
CN112565493A (zh) * 2020-12-22 2021-03-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114814B (zh) * 2021-04-09 2023-05-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3707017B (zh) * 2021-08-24 2022-08-19 联想(北京)有限公司 柔性结构的拉伸机构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9682A (ja) * 2003-09-29 2005-04-21 Seiko Epson Corp 携帯型通信機器
US9176530B2 (en) * 2011-08-17 2015-11-03 Apple Inc. Bi-stable spring with flexible display
US8929085B2 (en) * 2011-09-30 2015-01-06 Apple Inc. Flexible electronic devices
CN103220401B (zh) * 2012-07-02 2016-08-31 曹磊 一种表式可拆卸可夹持的蓝牙通讯组合终端
CN203149296U (zh) * 2013-01-21 2013-08-21 于东方 一种具有柔性屏幕的智能手表
CN203119972U (zh) * 2013-02-21 2013-08-07 陈子铭 一种腕带式多功能柔性手机
KR101999958B1 (ko) * 2013-05-22 201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4423429B (zh) * 2013-08-23 2018-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穿戴式移动终端
CN103458083B (zh) * 2013-08-28 2016-01-13 林炮勤 便携式电子装置
CN203522824U (zh) * 2013-10-12 2014-04-02 刘思施 一种便携式电子装置
US20160124395A1 (en) * 2013-10-16 2016-05-05 Young Yi LEE Wrist-watch type flexible display device
DE112013007524T5 (de) * 2013-10-24 2016-08-04 Apple Inc. Armbandgerät-Eingabe mittels Handgelenkbewegung
US20150185944A1 (en) * 2013-12-27 2015-07-02 Aleksander Magi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lexible interactive display
CN203786602U (zh) * 2014-01-04 2014-08-20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的电子终端设备
KR20160015719A (ko) * 2014-07-31 201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612623B2 (en) * 2014-09-16 2017-04-0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4821975B (zh) * 2015-05-25 2018-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其底座
CN105933480B (zh) * 2016-06-24 2019-03-01 重庆墨希科技有限公司 柔性手机及柔性壳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37094A (ja) 2019-12-19
US20200026330A1 (en) 2020-01-23
CN107820704A (zh) 2018-03-20
CN107820704B (zh) 2020-11-24
EP3521968A1 (en) 2019-08-07
WO2018058568A1 (zh) 2018-04-05
EP3521968A4 (en)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4168A (ko) 전자장치
US9874941B2 (en) Sliding-type signal input device
US9836025B2 (en)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US8237662B2 (en) Electronic device and keypad thereof
JP4850808B2 (ja) 表示装置付き押ボタンスイッチ
JP2007087945A (ja) 多方向ボタン及び多方向ボタンを使用するノートパソコン
EP2894875B1 (en) Headphone
WO2009014271A3 (en) Fingertip tactile-sense input device
CN107197066A (zh) 一种移动终端的防水推钮开关和移动终端
US8717296B2 (en) Mouse with detachable cover
US20160081438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212262348U (zh) 一种电子设备触屏辅助装置
CN110133996B (zh) 可滑动翻转的智能手表
KR200464163Y1 (ko) 다방향 스위치
CN111029195A (zh) 键盘及其按键结构
CN210963879U (zh) 一种操控设备
CN218676880U (zh) 按键及游戏控制器
CN210302367U (zh) 电子设备触屏辅助装置
CN113394044B (zh) 开关组件和电子设备
US9703377B2 (en) Wearable triggering device
US20140116864A1 (en) Button structure
TWI545603B (zh) 按鍵及應用其之鍵盤
JP2008010314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CN114510155A (zh) 鼠标装置
KR20050023854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