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163Y1 - 다방향 스위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163Y1
KR200464163Y1 KR2020110004583U KR20110004583U KR200464163Y1 KR 200464163 Y1 KR200464163 Y1 KR 200464163Y1 KR 2020110004583 U KR2020110004583 U KR 2020110004583U KR 20110004583 U KR20110004583 U KR 20110004583U KR 200464163 Y1 KR200464163 Y1 KR 200464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insertion groove
center
cas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313U (ko
Inventor
금승호
Original Assignee
금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승호 filed Critical 금승호
Priority to KR2020110004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16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3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3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1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방향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모컨과 조이스틱 및 각종 가전제품 등에서 하나의 버튼으로 메뉴를 이동하고 선택하는 다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방향 스위치의 내구성을 보다 높이고 스위치의 조작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소리 또는 손끝의 감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상하좌우 방향을 하나의 키 또는 버튼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방향 스위치에 있어서;
상면에 상하좌우방향으로 대칭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중앙에 하나와 상하좌우로 각각 4개가 배치된 5개의 접지단자모듈이 장착되며, 외부와 전원이 연결되는 수 개의 전극편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부로부터 가압되었을 때 각각의 상기 접지단자모듈에 밀착 통전되는 접지편 역할을 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삽입홈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판스프링이 삽입된 상부에 삽입되되 상기 판스프링과 밀착하는 곳은 상기 판스프링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가압홀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재와;
상기 상하좌우에 위치한 판스프링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압부 저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 장착되어 상기 삽입홈의 중앙에 위치한 판스프링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제2 가압부를 구비하는 버튼 조립체과;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도록 하되 상기 버튼 조립체이 돌출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버튼 노출홀을 구비하는 커버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방향 스위치{The multi-directional switch}
본 고안은 다방향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리모컨과 조이스틱 및 각종 가전제품 등에서 하나의 버튼으로 메뉴를 이동하고 선택하는 다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방향 스위치의 내구성을 보다 높이고 스위치의 조작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소리 또는 손끝의 감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다방향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는 전류의 흐름을 막거나 계속 흐르게 하는 단방향을 제어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으나 이를 두 개 이상 연결을 하게 되면 다양한 변위를 가질 수 있는 장치로 이어진다.
일 예로 X축 선상의 어느 한 점을 정확하게 도달하기 위해서는 정방향과 역방향을 제어하는 두 개의 스위치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에 올 수 있게 되며, 또 다른 Y축을 구현하는 두 개의 스위치가 추가된다면 즉 네 개의 스위치면 평면을 구현하고, 여섯 개일 경우 3차원 입체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평면을 제어하는 종류는 텔레비젼이나 비디오 또는 일반적인 가전제품들을 유,무선으로 작동시키는 리모컨, 유무선전화기,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며 주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것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것을 다방향 스위치라 칭하는데 기존의 다방향 스위치의 경우 내부의 접지를 위한 접지편이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상방향으로 꺾인 형상을 가지고있어 레버나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접지편이 하강하여 접지단자와 접속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 접지편이 사용을 반복하다보면 접지단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또 탄성복원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어 오작동을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레버 또는 스위치를 조작할 때 접속되는 느낌이 없어 섬세한 조작이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방향 스위치가 보다 견고하고 내구성이 있는 다방향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을 할 때 가압되어 전류가 통전하는 것을 느끼거나 또는 소리로 들을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좌우 방향을 하나의 키 또는 버튼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방향 스위치에 있어서;
상면에 상하좌우방향으로 대칭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중앙에 하나와 상하좌우로 각각 4개가 배치된 5개의 접지단자모듈이 장착되며, 외부와 전원이 연결되는 수 개의 전극편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부로부터 가압되었을 때 각각의 상기 접지단자모듈에 밀착 통전되는 접지편 역할을 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삽입홈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판스프링이 삽입된 상부에 삽입되되 상기 판스프링과 밀착하는 곳은 상기 판스프링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가압홀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재와;
상기 상하좌우에 위치한 판스프링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압부 저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 장착되어 상기 삽입홈의 중앙에 위치한 판스프링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제2 가압부를 구비하는 버튼 조립체과;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도록 하되 상기 버튼 조립체이 돌출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버튼 노출홀을 구비하는 커버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의 삽입홈은 중앙에 원형과 상기 원형과 상하좌우로 일부 중복되는 네 개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고있으며;
상기 판스프링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위치한 판스프링은 두 겹으로 배치되고;
상기 버튼 조립체의 제2 가압부가 상부로 수직 돌출된 레버 형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돌출된 조립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조립돌기가 형성된 측면에 밀착되되 상기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조립홀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의 상면을 덮는 십자형의 테이프로 대체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방향 스위치에 상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원판형의 판스프링에 의하여 접지되도록 하여 지속적인 사용에도 탄성 복원력이 원활하게 유지되어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판스프링에 의하여 접지단자와 접촉할 때 소리 및 손에 느끼는 감촉이 오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A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분해사시도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A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하좌우 방향을 하나의 키 또는 버튼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방향 스위치에 있어서;
상면에 상하좌우방향으로 대칭인 삽입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에는 중앙에 하나와 상하좌우로 각각 4개가 배치된 5 개의 접지단자모듈(12)이 장착되며, 외부와 전원이 연결되는 수 개의 전극편(13)이 형성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삽입홈(11)에 삽입되는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부로부터 가압되었을 때 각각의 상기 접지단자모듈(12)에 밀착 통전되는 접지편 역할을 하는 판스프링(2)과;
상기 삽입홈(11)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판스프링(2)이 삽입된 상부에 삽입되되 상기 판스프링(2)과 밀착하는 곳은 상기 판스프링(2)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가압홀(31)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재(3)와;
상기 상하좌우에 위치한 판스프링(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압부(42) 저면에 가압돌기(41)가 형성되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 장착되어 상기 삽입홈(11)의 중앙에 위치한 판스프링(2)을 가압하는 가압돌기(41)를 포함하는 제2 가압부(43)를 구비하는 버튼 조립체(4)과;
상기 케이스(1)의 상면을 덮도록 하되 상기 버튼 조립체(4)이 돌출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버튼 노출홀(51)을 구비하는 커버부재(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를 나타내었다.
본원의 가장 큰 특징은 먼저 판스프링(2)에 의한 통전이 이루진다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도면에서는 판스프링(2)의 외연부를 따라 하나의 접지단자가 일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2)을 가압하게 되면 오목한 상부가 함몰되어 중앙에 있는 접지단자에 밀착하게되는 것으로 즉 외연부의 접지단자와 중앙부의 접지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얇은 판형상의 경우 사용에 따라 탄성복원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나 일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판스프링(2)은 장기간 사용하여도 탄성복원력이 크게 떨어지지 않고 항상 일정한 접지단자와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기에 내구성이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2)은 가압에 의하여 눌려졌을 때 '딸칵'하는 소리와 함께 손에도 눌러졌음을 감지할 정도의 미세한 충격이 오게 되며 이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눌러졌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정확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원은 상하좌우방향의 움직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중앙은 제2 가압부(43)를 누르게 되면 중앙의 접지단자모듈(12)이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는 상기 케이스(1)의 삽입홈(11)은 중앙에 원형과 상기 원형과 상하좌우로 일부 중복되는 네 개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2)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위치한 판스프링(2)은 두 겹으로 배치되고;
상기 버튼 조립체(4)의 제2 가압부(43)가 상부로 수직 돌출된 레버 형태를 가지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조이스틱과 같은 형상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실시 예이다.
이때 중앙에는 버튼 조립체(4)의 하중이 집중되는 곳이기도 하며 전후좌우 방향의 버튼을 조작할 때 중앙부분이 눌려지는 오조작의 우려가 있기에 두 겹의 판스프링(2)을 두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케이스(1)의 측면에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돌출된 조립돌기(14)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5)는 상기 케이스(1)의 조립돌기(14)가 형성된 측면에 밀착되되 상기 조립돌기(14)가 삽입되는 조립홀(52)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한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된 실시 예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분해사시도로서, 상기 이탈방지부재(3)는 장착된 상기 판스프링(2)의 상면에 십자형의 테이프(3')를 붙임으로서 상기 판스프링(2)이 고정되도록 하는 일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1 : 케이스
11 : 삽입홈 12 : 접지단자모듈
13 : 전극편 14 : 조립돌기
2 : 판스프링
3 : 이탈방지부재
31 : 가압홀
3' : 테이프
4 : 버튼 조립체
41 : 가압돌기 42 : 가압부
43 : 제2 가압부
5 : 커버부재
51 : 버튼 노출홀 52 : 조립홀

Claims (4)

  1. 상하좌우 방향을 하나의 키 또는 버튼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방향 스위치에 있어서;
    상면에 상하좌우방향으로 대칭인 삽입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에는 중앙에 하나와 상하좌우로 각각 4개가 배치된 5 개의 접지단자모듈(12)이 장착되며, 외부와 전원이 연결되는 수 개의 전극편(13)이 형성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삽입홈(11)에 삽입되는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부로부터 가압되었을 때 각각의 상기 접지단자모듈(12)에 밀착 통전되는 접지편 역할을 하는 판스프링(2)과;
    상기 삽입홈(11)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판스프링(2)이 삽입된 상부에 삽입되되 상기 판스프링(2)과 밀착하는 곳은 상기 판스프링(2)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가압홀(31)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재(3)와;
    상기 상하좌우에 위치한 판스프링(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압부(42) 저면에 가압돌기(41)가 형성되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 장착되어 상기 삽입홈(11)의 중앙에 위치한 판스프링(2)을 가압하는 가압돌기(41)를 포함하는 제2 가압부(43)를 구비하는 버튼 조립체(4)과;
    상기 케이스(1)의 상면을 덮도록 하되 상기 버튼 조립체(4)이 돌출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버튼 노출홀(51)을 구비하는 커버부재(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삽입홈(11)은 중앙에 원형과 상기 원형과 상하좌우로 일부 중복되는 네 개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2)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위치한 판스프링(2)은 두 겹으로 배치되고;
    상기 버튼 조립체(4)의 제2 가압부(43)가 상부로 수직 돌출된 레버 형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측면에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돌출된 조립돌기(14)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5)는 상기 케이스(1)의 조립돌기(14)가 형성된 측면에 밀착되되 상기 조립돌기(14)가 삽입되는 조립홀(52)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3)는 상기 판스프링(2)의 상면을 덮는 십자형의 테이프(3')로 대체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
KR2020110004583U 2011-05-26 2011-05-26 다방향 스위치 KR200464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583U KR200464163Y1 (ko) 2011-05-26 2011-05-26 다방향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583U KR200464163Y1 (ko) 2011-05-26 2011-05-26 다방향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313U KR20120008313U (ko) 2012-12-05
KR200464163Y1 true KR200464163Y1 (ko) 2012-12-14

Family

ID=4751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583U KR200464163Y1 (ko) 2011-05-26 2011-05-26 다방향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1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860A (ko) 2019-08-28 2021-03-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리모컨 버튼 조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7398A (zh) * 2013-06-03 2013-10-02 池州市弘港科技电子有限公司 一种五回路防尘轻触开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291Y1 (ko) 1999-04-30 2001-05-15 정인화 다방향 스위치
KR100328792B1 (ko) 1997-09-30 2002-05-09 후루하시 켄지 다접점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792B1 (ko) 1997-09-30 2002-05-09 후루하시 켄지 다접점입력장치
KR200224291Y1 (ko) 1999-04-30 2001-05-15 정인화 다방향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860A (ko) 2019-08-28 2021-03-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리모컨 버튼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313U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4130B1 (en) Slide switch
US6831238B1 (en) Finger-controllable multi-directional switch
EP2889888A1 (en) Sliding-type signal input device
US6657141B1 (en) Four-way slide switch
CN110853957A (zh) 一种智能按键开关
WO2018051995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4730171B2 (ja) プッシュ・スライドスイッチ
KR200464163Y1 (ko) 다방향 스위치
EP3244432B1 (en) Composite button for intelligent toilet
US7301111B2 (en) Slide switch
US8946569B2 (en) Multi-directional butt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TW201530585A (zh) 按鍵開關之結構改良
JP200913495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スライドスイッチ
US10963071B2 (en) Mouse
US20110089007A1 (en) Mechanical button seamlessly integrated into a smooth surface
TWI539476B (zh) 組合式開關按鍵
WO2020168625A1 (zh) 磁吸式薄膜按键
JP3652234B2 (ja)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JP4937994B2 (ja) 多方向スライド式スイッチ
US20120125751A1 (en) Multi direction switch
JP2005032486A (ja) 多方向入力装置
CN216698161U (zh) 一种按键结构及电子设备
CN220208790U (zh) 一种按键开关
KR100863311B1 (ko)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CN202276386U (zh) 手机及手机按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