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729A -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729A
KR20190053729A KR1020170149910A KR20170149910A KR20190053729A KR 20190053729 A KR20190053729 A KR 20190053729A KR 1020170149910 A KR1020170149910 A KR 1020170149910A KR 20170149910 A KR20170149910 A KR 20170149910A KR 20190053729 A KR20190053729 A KR 20190053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abric
molding
upper mold
cu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권
윤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49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3729A/ko
Publication of KR20190053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18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trimming the article in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금형; 하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 사이에 배치되는 원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원단을 트리밍하도록 외곽부분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상부커팅부와, 상기 상부커팅부의 내측에는 상기 원단을 성형하도록 상부성형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상부커팅부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하부커팅부와, 형폐시 상기 상부성형부와 함께 상기 원단을 성형시키는 하부성형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이 형폐되어 형성되는 성형공간은 상기 트리밍된 원단보다 크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Car interior material}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소재를 일체사출성형방식으로 성형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내장재는 차량의 내부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도어트림, 필러, 트렁크 매트, 패키지트림, 헤드라이너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차량용 내장재는, 자동차 내장부품의 쿠션감을 부여하는 등의 표면 촉감을 좋게 하기 위해 경질의 기재에 연질의 표피재를 접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친환경성 및 중량절감을 위하여 기재를 천연소재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천연소재를 사용하는 기존 방식은, 천연소재의 배면에 사전 제작된 브라켓을 진동융착 또는 핫멜트 사용 방식으로 접착하여 강성 보강 및 구조물을 구현하였다.
도 1은 종래 천연소재 일체사출성형 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천연소재 일체사출성형방법은, 사각 형태로 재단된 천연소재 원단(50)을 부품의 내측 형상에 필요한 부분만 사전 트리밍을 진행한다(a).
사전 트리밍 후 예열하여 금형(10,20)에 인서트하고(b), 금형(10,20)을 형폐하여 천연소재(50)를 압착 성형하게 된다(c,d).
이후, 사출공간을 통해 수지(60)를 사출하여 조립용 브라켓 및 강성보강리브와 부품의 외곽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일체성형공정을 완료하게 된다(e).
그러나, 종래의 천연소재 일체사출성형방법은, 금형에서 사출성형을 진행하기 이전에 내장재 부품의 내측 형상에 맞게 천연소재 원단(50)을 컷팅하는 트리밍 공정이 필요하며, 트리밍 공정을 위한 추가 공수 및 금형과 기타 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품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7945호(2013.01.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천연소재 원단의 트리밍 공정 및 일체사출성형 공정을 하나의 설비내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비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관점에 따른 @는, 상부금형; 하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 사이에 배치되는 원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원단을 트리밍하도록 외곽부분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상부커팅부와, 상기 상부커팅부의 내측에는 상기 원단을 성형하도록 상부성형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상부커팅부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하부커팅부와, 형폐시 상기 상부성형부와 함께 상기 원단을 성형시키는 하부성형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이 형폐되어 형성되는 성형공간은 상기 트리밍된 원단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성형부는, 외곽부분에 계단형의 단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성형부에는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주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커팅부는, 상기 하부성형부의 상단의 높이와 같거나 더 높게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수지는, 금형 형폐시 상기 원단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사출공간으로 사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상부금형; 하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 사이에 배치되는 원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원단을 트리밍하도록 외곽부분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상부커팅부와, 상기 상부커팅부의 내측에는 상기 원단을 성형하도록 상부성형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상부커팅부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하부커팅부와, 형폐시 상기 상부성형부와 함께 상기 원단을 성형시키는 하부성형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이 형폐되어 형성되는 성형공간은 상기 트리밍된 원단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를 사용하되, 상기 상부금형을 하강시켜 상기 원단을 트리밍하고 상기 원단의 양측단에 사출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출공간으로 수지를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단은,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서 일체성형하기 전에 예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리밍공정과 일체사출성형공정을 하나의 설비내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비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부품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외곽부를 수지로 사출성형함으로써 제품의 강성을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천연소재 일체성형 공정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소재 일체성형 공정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소재 일체성형 공정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100)는, 상부금형(110)과, 상부금형(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금형(120)과, 상부금형(110) 및 하부금형(120) 사이에 설치되는 원단(150)을 포함하여 금형 형폐시 천연소재 원단(150)이 성형되도록 구성된다.
상부금형(110)은, 원단(150)을 트리밍하는 상부커팅부(111)와, 상부커팅부(111) 내측에 위치하여 원단(150)을 소정 제품 형상으로 가압성형하는 상부성형부(113)가 구비된다.
상부커팅부(111)는, 원단(150)을 트리밍하도록 상부금형(110)의 외곽부분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부커팅부(111)에서 트리밍된 원단(150)은, 도 2의 (b)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내장재 제품 외곽형상보다 작게 트리밍된다.
상부성형부(113)는, 상부커팅부(111)의 내측에 트리밍된 원단(150)을 성형하도록 성형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성형부(113)는, 외곽부분에 계단형의 단부(113a)가 구비된다.
상기 단부(113a)는 내장재 제품 외곽을 구성하는 것으로, 내장재 제품의 외곽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금형(110)이 하강하며 원단(150)이 성형되는 과정에서 원단(150) 외곽부분과 단부(113a)의 맞닿는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마찰력을 줄여 원활하게 원단(150)이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금형(120)은, 상부커팅부(111)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원단(150)을 트리밍하는 하부커팅부(121)와, 형폐시 상부성형부(113)와 함께 원단(150)을 성형하는 하부성형부(123)가 구비된다.
여기서, 하부커팅부(121)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그 내주면은 상부커팅부(111)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부성형부(113)의 외주면이 하부커팅부(1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원단(150)이 트리밍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00)은, 상부금형(110) 및 하부금형(120)이 형폐되어 형성되는 성형공간은 트리밍된 원단(150)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150)이 인서트된 상태에서 상부금형(110) 및 하부금형(120)이 형폐되면 빈 공간(A)가 형성되어 사출이 가능하게 된다. 만약 형폐시 성형공간과 원단(150)의 크기가 동일하다면 빈 공간(A)가 형성되지 않아 이후의 수지 사출을 진행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형 형폐시 원단(150)의 양측단에 사출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사출공간을 통해 수지(160)가 사출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성형부(123)에는, 수지(160)를 주입하는 사출되도록 수지주입부(127)가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하부커팅부(121)는, 하부성형부(123)의 상단 높이와 같거나 더 높게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100)는, 상부금형(110)이 하강하면서 원단(150) 외곽부에 대한 트리밍이 먼저 진행되기 때문에 하부커팅부(121)의 높이가 하부성형부(123)보다 같거나 더 높게 돌출됨으로써 트리밍후 성형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원단(150)은, 친환경소재인 천연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천연소재로 형성된 내장재 제품을 통해 사용자의 만족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부금형(110) 및 하부금형(120)이 형개된 상태에서 하부금형(120)위에 원단(150)이 배치된다(a).
이때, 원단(150)은, 미리 예열되어 성형성을 향상시킨 상태에서 금형에 인서트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부금형(110)이 하강하여 상부커팅부(111)가 하부커팅부(12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원단(150)의 트리밍이 수행된다(b).
이후, 상부금형(110)의 하강이 완료되어 상부금형(110) 및 하부금형(120)이 형폐된다(c).
이때, 원단(150)의 양측단에는 수지(160)의 사출이 가능하도록 사출공간(A)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하부금형(120)에 구비된 수지주입부(127)를 통해 용융된 수지(160)가 주입되어 제품 외곽부에 강성을 보강하는 구조물이 형성되게 된다(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100)는,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이 형폐되면서 사출성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금형에 구비된 상부커팅부(111)가 하부커팅부(121)에 의해 트리밍공정이 동시에 진행됨으로써 별도의 트리밍 금형과 설비가 필요없게 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110: 상부금형
111: 상부커팅부
120: 하부금형
121: 하부커팅부
150: 원단
160: 수지

Claims (8)

  1. 상부금형;
    하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 사이에 배치되는 원단;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원단을 트리밍하도록 외곽부분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상부커팅부와, 상기 상부커팅부의 내측에는 상기 원단을 성형하도록 상부성형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상부커팅부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하부커팅부와, 형폐시 상기 상부성형부와 함께 상기 원단을 성형시키는 하부성형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이 형폐되어 형성되는 성형공간은 상기 트리밍된 원단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성형부는,
    외곽부분에 계단형의 단부가 구비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부에는 수지를 주입하는 수지주입부가 구비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팅부는,
    상기 하부성형부의 상단의 높이와 같거나 더 높게 돌출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금형 형폐시 상기 원단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사출공간으로 사출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천연소재로 구성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7. 상부금형; 하부금형; 및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 사이에 배치되는 원단;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원단을 트리밍하도록 외곽부분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상부커팅부와, 상기 상부커팅부의 내측에는 상기 원단을 성형하도록 상부성형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상부커팅부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하부커팅부와, 형폐시 상기 상부성형부와 함께 상기 원단을 성형시키는 하부성형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이 형폐되어 형성되는 성형공간은 상기 트리밍된 원단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를 사용하되,
    상기 상부금형을 하강시켜 상기 원단을 트리밍하고 상기 원단의 양측단에 사출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출공간으로 수지를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서 일체성형하기 전에 예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KR1020170149910A 2017-11-10 2017-11-10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KR20190053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910A KR20190053729A (ko) 2017-11-10 2017-11-10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910A KR20190053729A (ko) 2017-11-10 2017-11-10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729A true KR20190053729A (ko) 2019-05-20

Family

ID=6667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910A KR20190053729A (ko) 2017-11-10 2017-11-10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37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945A (ko) 2011-07-11 2013-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945A (ko) 2011-07-11 2013-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82712A1 (en) Method of making an interior trim panel
WO1999052697A1 (en) Method for overmolding sink marks for an automotive component
US5271885A (en) Method for fabricating interior linings for motor vehicles
US20170297240A1 (en) Foam body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the body
CN110171368B (zh) 乘客运输工具的内部空间的覆层部件及其制造方法
CN108025630A (zh) 车辆的分隔套件、具有车辆的无框车窗和另一个相邻车窗的分隔套件的组件、以及用于制造所述套件和所述组件的过程
JP4391267B2 (ja) リフトゲートの構造
CN109047656A (zh) 一种发泡模具的主模具的制作方法及发泡模具
KR20190053729A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CN112720996A (zh) 一种尾门上饰件模压成型方法
KR102179306B1 (ko) 차량 내장재용 이중사출 성형금형 및 이중사출 성형금형을 이용한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방법
JP2002240566A (ja) 車輌用樹脂パネル及び車輌用樹脂パネルの製造方法
CN110450350A (zh) 制造模型车身的方法
CN207481119U (zh) 侧固定窗总成、车辆以及用于注塑侧固定窗包边的模具
CN207825893U (zh) 一种汽车车门内侧钣金的罩盖及其模具
KR101744856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방법
CN110682550A (zh) 具有支撑结构的车辆门或后背门及其制造方法
CN203994425U (zh) 注塑装置
WO2017168566A1 (ja) 表皮付き樹脂発泡体の成形方法
EP1112831A1 (en) Method of making an interior trim panel
JPS63109017A (ja) 表皮材芯材一体発泡成形方法
JP7137975B2 (ja) 自動車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08716A (ko) 차량용 도어트림 제조 방법
JP5205138B2 (ja) 車両用内装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59666B1 (ko) 자동차용 가니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