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641A - 잡초제거기 - Google Patents

잡초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641A
KR20190052641A KR1020180136076A KR20180136076A KR20190052641A KR 20190052641 A KR20190052641 A KR 20190052641A KR 1020180136076 A KR1020180136076 A KR 1020180136076A KR 20180136076 A KR20180136076 A KR 20180136076A KR 20190052641 A KR20190052641 A KR 20190052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weed
root
cut
w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622B1 (ko
Inventor
최동국
Original Assignee
최동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국 filed Critical 최동국
Publication of KR20190052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16Tools for uprooting w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04Sick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장물 주변에 자라는 잡초를 제거할 때 잡초를 선별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하고, 절단된 잡초뿌리를 작은 힘으로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잡초제거기에 관한것으로,
잡초뿌리를 절단 제거하는 절단부와, 절단부의 일측으로 편심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자루부와, 자루부에 체결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는 손잡이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심된 길이로 형성되며, 잡초뿌리를 칼날을 사용하여 절단하는 뿌리절단칼날부와, 절단된 잡초를 긁어 모을 수 있는 톱날부로 구성하여 농작물에 손상을 주지 않는 세밀한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고, 걸림홈을 형성하여 절단된 잡초줄기 또는 뿌리를 끼워 잡아당기는 힘으로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뿌리가 절단된 잡초를 쉽게 뽑아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잡초제거기{Weed remover}
본 발명은 잡초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장물 주변에 자라는 잡초를 제거할 때 잡초뿌리를 선별하여 세밀히 절단할 수 있고 절단된 쓰러져 있는 잡초를 긁어모을 수 있으며, 절단된 잡초뿌리를 작은 힘으로 손쉽게 잡아당겨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잡초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에 농작물을 파종하거나 감자와 같은 농작물을 캐기 위해서는 전통 농기구인 호미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호미는 끝은 뾰족하고 위로 가며 점차 넓어지는 형상의 날부와, 날부 일단에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결합된 손잡이로 구성되어 농작물 주변에서 자라는 잡초를 제거하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농기구인 호미는 뾰족한 선단에서 점차 넓어지는 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호미질을 할 경우 뾰족한 부분을 이용하여 잡초를 제거하고 있으나, 이는 잡초 뿌리를 절단하는 것이 아니라 잡초뿌리채 걷어 내는 것으로 큰 힘을 필요로 하고, 점차 넓어지는 호미의 특성상 옆에 있는 농장물의 뿌리를 같이 훼손하게 되어 농작물이 자랄 수 없도록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종래 호미의 문제점을 해소된 잡초를 쉽게 뽑기 위한 "ㄱ" 형상으로 절곡된 날부와, 날부 후방에 결합된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는 잡초제거기(네이버검색:울프가르덴)가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잡초제거기는 날부가 절곡된 꼭지점을 중심으로 외측 양면에 칼날이 형성되어 있어 농작물과 잡초가 어우러진 밭에서 잡초 뿌리만을 세밀하게 선별하여 절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뿌리를 절단한 잡초를 걷어내기 위해 "ㄱ"자 절곡된 부분의 홈에 잡초를 걸어 당기게 되면 손잡이에 대해 직각면으로 된 칼날이 당겨지는 힘의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잡초에 힘이 제대로 실리지 않게 되어 잡초를 제거하는데 큰 힘을 필요로 하게 되어 잡초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농작물 주변에 기생하는 잡초를 절단부를 이용하여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고, 절단되어 쓰러진 잡초의 경우 톱날부를 사용하여 쉽게 긁어모을 수 있도록 하며, 잡초를 손으로 잡고 제거할 경우 절단된 잡초의 줄기 도는 뿌리를 걸림홈으로 유도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잡초제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잡초뿌리를 절단 제거하는 절단부와, 절단부의 일측으로 편심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자루부와, 자루부에 체결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는 손잡이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심된 길이와, 잡초뿌리를 절단하는 뿌리절단칼날부와 톱날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농작물 주변에 자란 잡초를 제거시 잡초뿌리만 세밀하게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농작물을 손상하지 않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뿌리절단칼날부는 지중에 있는 뿌리를 절단시 선단에 형성된 뿌리절단칼날부를 지중에 찔러 넣으며 절단하거나 후방 단부에 형성된 뿌리절단칼날부를 이용하여 잡아당기며 절단할 수 있어 잡초가 자란 상태나 농작물에 근접한 상태에 따라 선별 사용함으로써 세밀한 절단작업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또한, 농작물에 근접한 작은 잡초의 경우 일측 경사면과 후단부의 칼날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의 칼날을 이용하여 세밀한 절단작업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또한, 톱날부를 이용하여 절단된 잡초를 쉽게 긁어 모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뿌리절단칼날부로 절단된 잡초는 걸림홈으로 잡초줄기 또는 뿌리를 끼워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뿌리가 절단된 잡초를 모아서 쉽게 뽑아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절단부(10)와, 절단부(10) 상측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자루부(20)와, 자루부(20) 상단에 결합 구성되는 손잡이(3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부(10)는 자루부(2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심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잡초뿌리의 절단 편의 성을 갖도록 자루부(20)에서 일정각도 절곡한 절곡부(15)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절단부(10)는 네 곳의 외측 단부를 형성하되 일측은 뾰족한 모서리를 갖도록 일측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절단부(10)는 네 곳의 외측 단부에 잡초뿌리를 절단할 수 있는 뿌리절단칼날부(11)와 절단된 뿌리를 쉽게 끌어모을 수 있는 톱니형으로 형성된 톱날부(12)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뿌리절단칼날부(11)는 세 곳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다른 일단부에 톱날부(12)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톱날부(12)는 뿌리절단칼날부(11) 중 자루(20)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에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톱날부(12)는 뿌리절단칼날부(11) 중 경사면에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톱날부(12)는 뿌리절단칼날부(11) 중 선단에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0)는 한 곳의 단부에 뿌리절단칼날부(11)를 형성하고 두 곳 이상의 단부에 톱날부(12)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톱날부(12)는 자루(20)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측면부와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부 양측에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톱날부(12)는 자루(20)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측면부와 선단 양측에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톱날부(12)는 양 측면부와 선단에 톱날부(12)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루(20)와 연결되는 후단부를 뿌리절단칼날부(11)로 형성하고, 자루(20) 하단부와 인접한 부위에는 뿌리가 절단된 잡초줄기를 걸어 당겨서 모을 수 있도록 줄기를 홈으로 유도하는 유도곡면(13)이 형성되고, 유도곡면(13)에 의해 자루부(20)와의 사이에 걸림홈(14)이 형성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절단부(10)와, 절단부(10) 상측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절단부(10)와 절곡부(15)에 의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자루부(20)와, 자루부(20) 상단에 결합 구성되는 손잡이(30)로 구성되어 손잡이(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절단부(10)로 잡초뿌리를 절단한 후 잡초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단부(10)는 칼날로 형성된 뿌리절단칼날부(11)와, 톱날 형상으로 형성된 톱날부(12)로 구성되어 있어 뿌리절단칼날부(11)로 잡초뿌리를 절단한 후 주변에 흩어져 있는 잡초를 톱날부(12)를 이용하여 한곳으로 쉽게 긁어 모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절단부(10)는 자루부(20)에서 일정각도 절곡된 절곡부(15)가 형성되어 있어 절단부(10) 선단에 형성된 뿌리절단칼날부(11)를 지중에 찔러 넣을 때 자루부(20)는 지면과 거의 수직에 가까운 상태에서 지중으로 힘을 가하게 되나 절단부(10)는 지면과 거의 수평에 가까운 상태에서 지중으로 투입되며 잡초뿌리를 절단하게 되어 가하는 가압력은 증대되고 지중에서의 저항력은 저하되어 잡초뿌리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절단부(10)는 자루와 평행한 위치의 측면과 경사면 또는 선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톱날부(12)를 형성하여 실시함으로써 잡초뿌리를 절단후 쓰러진 잡초를 톱날부(12)를 이용하여 쉽게 긁어모을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경사면으로 형성한 일측 단부는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세밀한 절단작업이 필요시 뾰족한 모서리의 양측변에 위치한 칼날부(11)를 이용하여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루부(20)에 근접한 부위에서 후단부에 형성된 칼날부 방향으로 절단된 잡초뿌리 및 줄기를 유도하는 유도곡면(13)과, 유도곡면(13)에 의해 자루부(20)와의 사이에 형성된 걸림홈(14)이 형성되어 뿌리가 절단된 잡초의 줄기를 유도곡면(13)을 사용하여 걸림홈(14)에 모이도록 하여 잡아당김으로 써 쉽게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절단부 11 : 뿌리절단칼날부
12 : 톱날부 13 : 유도곡면
14 : 걸림홈 15 : 절곡부
20 : 자루부 30 : 손잡이

Claims (3)

  1. 잡초뿌리를 절단 제거하는 절단부(10)와, 절단부(10)의 일측으로 편심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자루부(20)와, 자루부(20)에 체결되는 손잡이(30)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10)는 손잡이(3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심된 길이와, 잡초뿌리를 칼날로 절단하는 뿌리절단칼날부(11)와, 절단된 잡초뿌리를 긁어 모을 수 있는 톱날부(12)로 구성되며,
    상기 뿌리절단칼날부(11)는 절단부(10)의 외측 네 곳의 단부 중 삼면에 형성되고,
    상기 톱날부(12)는 절단부(10)의 사면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10)는 잡초뿌리를 절단하기 위해 지중으로 투입시 지면과 수평에 가깝도록 절곡한 절곡부(15)가 형성되어 절단부(10)에 가해지는 저항이 최소화 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20)와 후방에 형성된 칼날부(11) 사이에는 절단된 잡초뿌리 또는 줄기를 끼워지게 하여 작은 힘으로 뽑아 낼 수 있도록 잡초뿌리 또는 줄기를 걸림홈(14)으로 유도하는 유도곡면(13)과 잡초뿌리 또는 줄기가 끼워져 걸림되게 하측으로 가면 점차 좁아지는 걸림홈(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절단칼날부(11)는 절단부(10)의 사면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톱날부(12)는 절단부(10)의 사면 중 삼면 이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기
KR1020180136076A 2017-11-08 2018-11-07 잡초제거기 KR102125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47719 2017-11-08
KR1020170147719 2017-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641A true KR20190052641A (ko) 2019-05-16
KR102125622B1 KR102125622B1 (ko) 2020-06-22

Family

ID=66672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076A KR102125622B1 (ko) 2017-11-08 2018-11-07 잡초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6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371B1 (ko) 2022-08-10 2023-04-20 신택권 잡초 제거용 농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7226A (en) * 1971-12-16 1974-11-12 R Long Weeder
JPS59191101U (ja) * 1983-02-01 1984-12-18 入江 貞美 鋸歯状刃と小突起を備えた除草こて
US20070284123A1 (en) * 2006-05-23 2007-12-13 Lee Elliot W Back saver weeder
JP7032643B2 (ja) * 2017-08-16 2022-03-09 国立大学法人帯広畜産大学 良好な風香味特性を備える製パン用交雑酵母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7226A (en) * 1971-12-16 1974-11-12 R Long Weeder
JPS59191101U (ja) * 1983-02-01 1984-12-18 入江 貞美 鋸歯状刃と小突起を備えた除草こて
US20070284123A1 (en) * 2006-05-23 2007-12-13 Lee Elliot W Back saver weeder
JP7032643B2 (ja) * 2017-08-16 2022-03-09 国立大学法人帯広畜産大学 良好な風香味特性を備える製パン用交雑酵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622B1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66803A (en) Weeder
KR101872251B1 (ko) 잡초제거기
US3138211A (en) Multi-purpose garden implement
KR20190052641A (ko) 잡초제거기
US7100899B2 (en) Weed puller
KR20180000192U (ko) 제초 및 전지용 칼
KR20190110394A (ko) 잡초제거기
CN210328570U (zh) 手持式夹剪一体采摘器
JP3182807U (ja) 草取り具
JP3219949U (ja) コテ付き草取り具
US1438095A (en) Garden tool
US2901280A (en) Weeding tool
KR102523804B1 (ko) 휴대용 적과기구
CN218244531U (zh) 微型采摘器
JP2014011988A (ja) 除草具
US20090038486A1 (en) Cherry fork
KR200272871Y1 (ko) 칼날을 갖는 호미
JP2000083442A (ja) 果実採取用具
US1731174A (en) Asparagus cutter
JP6406751B2 (ja) 草抜き具
KR200418487Y1 (ko) 마늘쫑 제거용 절단기
US2029833A (en) Weeder and seeder
JP5680779B1 (ja) 草取り具
JP2000125601A (ja) 草刈具
AU2013100449A4 (en) Garden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