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476A -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476A
KR20190052476A KR1020170148189A KR20170148189A KR20190052476A KR 20190052476 A KR20190052476 A KR 20190052476A KR 1020170148189 A KR1020170148189 A KR 1020170148189A KR 20170148189 A KR20170148189 A KR 20170148189A KR 20190052476 A KR20190052476 A KR 20190052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ember
conductive
diode
fatigue damage
dir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671B1 (ko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6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2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에 의한 구조물의 피로 손상을 감지하는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는, 자유단을 가지고 손상 감지 대상물에 연결되고 기준점에서 서로 교차하는 제1방향부재, 제2방향부재 및 제3방향부재, 상기 제1방향부재, 상기 제2방향부재 및 상기 제3방향부재에서 나란하게 부착되는 제1전도성 부재와 제2전도성 부재, 상기 제1방향부재, 상기 제2방향부재 및 상기 제3방향부재 중 서로 마주하는 두 방향부재의 제1전도성 부재와 상기 제2전도성 부재를 연결하는 제3전도성 부재,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제1방향부재, 상기 제2방향부재 및 상기 제3방향부재 각각의 제1전도성 부재에 연결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기준점의 원방에서 상기 제1방향부재, 상기 제2방향부재 및 상기 제3방향부재 각각의 제2전도성 부재에 일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소자에 다른 일측으로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 제2다이오드 및 제3다이오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APPARATUS DETECTING FATIGUE DEMAGE OF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에 의한 구조물의 피로 손상을 감지하는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는 수많은 배관과 부품 및 기계장치와 같은 구조물이 존재한다. 이 구조물은 진동에 의해서 지속적인 피로 손상으로 파괴되고 있다.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피로 손상에 의한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장 예측 및 건전성 관리(Prognostic and Health Management, PHM)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배관과 부품 및 기계장치와 같은 구조물은 설계단계부터 많은 강도 평가를 거치게 되지만 아직까지는 구조물에 대하여 실제 상황을 모사하고 예측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사람은 배관과 부품 및 기계장치에 누적되는 피로 손상을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피로 손상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일본등록특허 제4,039,868호는 구조물 외력 검지 장치 및 구조물의 외력 검지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에 의한 구조물의 피로 손상을 감지하는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는, 자유단을 가지고 손상 감지 대상물에 연결되고 기준점에서 서로 교차하여 제1방향,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각 방향으로 신장되어 나란하게 부착되는 제1전도성 부재와 제2전도성 부재,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전도성 부재와 상기 제2전도성 부재를 연결하는 제3전도성 부재,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제1전도성 부재에 연결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기준점의 원방에서 상기 제1전도성 부재와 교차하는 상기 제2전도성 부재에 일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소자에 다른 일측으로 연결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제1방향으로 신장 설치되는 제1방향부재,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제1방향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방향부재, 및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제2방향에 교차하는 제3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제1방향부재의 단부와 상기 제2방향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3방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 상기 제2방향 및 상기 제3방향은 직각으로 교차하는 x, y, z축 방향이고, 상기 제1방향부재, 상기 제2방향부재 및 상기 제2방향부재는 사각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도성 부재는 상기 제1방향부재에서는 상기 제2방향부재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제11전도성 부재, 상기 제2방향부재에서는 상기 제3방향부재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제21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3방향부재에서는 상기 제1방향부재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제31전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도성부재는 상기 제1방향부재에서는 상기 제3방향부재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제12전도성 부재, 상기 제3방향부재에서는 상기 제2방향부재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제32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2방향부재에서는 상기 제1방향부재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제22전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전도성 부재는 상기 제1방향부재의 상기 제11전도성 부재와 상기 제2방향부재의 제22전도성 부재를 복수로 연결하는 제1/2전도성 부재, 상기 제2방향부재의 상기 제21전도성 부재와 상기 제3방향부재의 제32전도성 부재를 복수로 연결하는 제2/3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3방향부재의 상기 제31전도성 부재와 상기 제1방향부재의 제12전도성 부재를 복수로 연결하는 제3/1전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제1방향부재의 상기 제11전도성 부재, 상기 제2방향부재의 상기 제21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3방향부재의 상기 제31전도성 부재 각각에 일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표시부에 다른 일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방향부재의 상기 제12전도성 부재에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 상기 제2방향부재의 상기 제22전도성 부재에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 및 상기 제3방향부재의 상기 제32전도성 부재에 연결되는 제3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상 감지 대상물에 프레임을 연결하고, 프레임에 제1, 제2, 제3전도성 부재를 설치하여, 구조물의 피로 손상에 따라 프레임 및 제1, 제2, 제3전도성 부재를 통하여 압전소자에서 전류를 생성하고, 이 전류를 표시부에 인가함으로써, 구조물의 피로 손상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각 프레임의 제1, 제2전도성부재에 압전소자와 다이오드를 연결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는 프레임(4), 제1, 제2, 제3전도성 부재(1, 2, 3), 압전소자(5) 및 표시부(6)를 포함한다.
프레임(4)은 진동에 의한 구조물의 피로 손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자유단을 가지고 감지 대상 구조물에 설치되며, 구조물에 연결되는 기준점(P1)에서 서로 교차하여 제1방향,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4)은 기준점(P1)에서 서로 교차하여 제1방향(x축 방향), 제2방향(y축 방향) 및 제3방향(z축 방향)으로 각각 신장 설치되는 제1방향부재(41), 제2방향부재(42) 및 제3방향부재(43)를 포함한다.
제1방향부재(41)은 일단으로 기준점(P1)에 고정되고 다른 단을 자유단으로 유지한다. 제2방향부재(42)는 일단으로 기준점(P1)에서 고정되어 제1방향부재(41)의 고정된 단부에 설치되며,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신장되어 다른 일단을 자유단으로 유지한다.
제3방향부재(43)는 일단으로 기준점(P1)에서 고정되어 제1방향부재(41)의 고정된 단부와 제2방향부재(42)의 고정된 단부에 설치되며, 제2방향에 교차하는 제3방향으로 신장되어 다른 일단을 자유단으로 유지한다.
즉, 제1, 제2, 제3방향부재(41, 42, 43)는 기준점(P1)에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x, y, z축으로 신장되어, 각 단부를 자유단으로 유지한다. 또한 제1, 제2, 제3방향부재(41, 42, 43)는 교차하는 부분에서 기준점(P1)을 형성하는 사각봉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1, 제2, 제3전도성 부재(1, 2, 3)는 구조물의 피로 손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4)에 설치된다. 즉, 제1, 제2, 제3전도성 부재(1, 2, 3)는 구조물의 피로 손상을 감지하도록 제1, 제2, 제3방향부재(41, 42, 43)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1, 제2전도성 부재(1, 2)는 프레임(4)에서 각 방향으로 신장되어 나란하게 부착된다. 제3전도성 부재(3)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제2전도성 부재(1, 2)를 서로 연결한다.
즉 제1전도성 부재(1)는 제1, 제2, 제3방향부재(41, 42, 43)에 각각 설치되고, 제2전도성 부재(2)도 제1, 제2, 제3방향부재(41, 42, 43)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제1전도성 부재(1)는 제11전도성 부재(11), 제21전도성 부재(21) 및 제31전도성 부재(31)를 포함한다. 제2전도성 부재(2)는 제12전도성 부재(12), 제22전도성 부재(22) 및 제32전도성 부재(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3전도성 부재(3)는 제1/2전도성 부재(312), 제2/3전도성 부재(323) 및 제3/1전도성 부재(331)를 포함한다.
제1전도성 부재(1)에서, 제11전도성 부재(11)는 제1방향부재(41)에서 제2방향부재(42)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된다. 제21전도성 부재(21)는 제2방향부재(42)에서 제3방향부재(43)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된다. 제31전도성 부재(31)는 제3방향부재(43)에서는 제1방향부재(41)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된다.
제2전도성 부재(2)에서, 제12전도성 부재(12)는 제1방향부재(41)에서는 제3방향부재(43)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된다. 제22전도성 부재(22)는 제2방향부재(42)에서 제1방향부재(41)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된다. 제32전도성 부재(32)는 제3방향부재(43)에서 제2방향부재(42)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된다.
제3전도성 부재(3)에서, 제1/2전도성 부재(312)는 서로 다른 길이의 복수로 구비되어, 기준점(P1)에서 자유단으로 가면서 배치되어, 제1방향부재(41)의 제11전도성 부재(11)와 제2방향부재(42)의 제22전도성 부재(22)를 복수로 연결한다.
제2/3전도성 부재(323)는 서로 다른 길이의 복수로 구비되어, 기준점(P1)에서 자유단으로 가면서 배치되어, 제2방향부재(42)의 제21전도성 부재(21)와 제3방향부재(43)의 제32전도성 부재(32)를 복수로 연결한다.
제3/1전도성 부재(331)는 서로 다른 길이의 복수로 구비되어, 기준점(P1)에서 자유단으로 가면서 배치되어, 제3방향부재(43)의 제31전도성 부재(31)와 제1방향부재(41)의 제12전도성 부재(12)를 복수로 연결한다.
제1, 제2, 제3방향부재(41, 42, 43)는 기준점(P1)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손상 감지 대상물의 진동에 따라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제3전도성 부재(3)는 진동에 의하여 손상이 누적되어 자유단 측으로부터 차례로 절단된다.
즉 복수의 제1/2전도성 부재(312)는 진동에 의하여 피로 손상이 누적되어 제1, 제2방향부재(41, 42)의 자유단 측에서부터 차례로 절단된다. 복수의 제2/3전도성 부재(323)는 진동에 의하여 피로 손상이 누적되어 제2, 제3방향부재(42, 43)의 자유단 측에서부터 차례로 절단된다. 복수의 제3/1전도성 부재(331)는 진동에 의하여 피로 손상이 누적되어 제3, 제1방향부재(43, 41)의 자유단 측에서부터 차례로 절단된다.
도 2는 도 1의 각 프레임의 제1, 제2전도성부재에 압전소자와 다이오드를 연결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손상 감지 대상물에 설치되는 제1, 제2, 제3방향부재(41, 42, 43) 및 제1, 제2, 제3전도성 부재(1, 2, 3)는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에서 구조물의 피로 손상을 감지하는 감지부(S, 도 2)를 형성한다.
즉, 제1, 제2방향부재(41, 42)의 제11, 제22전도성 부재(11, 22) 및 제1/2전도성 부재(312)는 xy평면에서 하나의 제1센서(S1)를 형성한다. 제2, 제3방향부재(42, 43)의 제21, 제32전도성 부재(21, 32) 및 제2/3전도성 부재(323)는 yz평면에서 하나의 제2센서(S2)를 형성한다. 제3, 제1방향부재(43, 41)의 제31, 제12전도성 부재(31, 12) 및 제3/1전도성 부재(313)는 xz평면에서 하나의 제3센서(S3)를 형성한다.
압전소자(5)는 기준점(P1)에서 제1전도성 부재(1)에 연결된다. 표시부(6)는 기준점(P1)의 원방에서 제1전도성 부재(1)와 교차하는 제2전도성 부재(2)에 일측으로 연결되고, 압전소자(5)에 다른 일측으로 연결된다.
압전소자(5)는 제1방향부재(41)의 제11전도성 부재(11), 제2방향부재(42)의 제21전도성 부재(21), 및 제3방향부재(43)의 제31전도성 부재(31) 각각에 일측으로 연결되고, 표시부(6, 도 2 참조)에 다른 일측으로 연결된다.
압전소자(5)는 제1, 제2, 제3방향부재(41, 42, 43)의 진동 및 제1, 제2전도성 부재(1, 2)에 연결되는 제3전도성 부재(3)의 절단에 따라 전류를 각각 생성하고, 전류를 표시부(6)에 각각 인가한다.
압전소자(5)는 제1, 제2, 제3전도성 부재(1, 2, 3)로 연결되는 표시부(6)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의 일례이다. 일 실시예에서 압전소자(5)는 제1, 제2, 제3방향부재(41, 42, 43) 진동 및 제3전도성 부재(3)의 절단에 상응하는 전류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표시부(6)는 제1, 제2, 제3방향부재(41, 42, 43)의 진동 및 제1, 제2전도성 부재(1, 2)에 연결되는, 제3전도성 부재(3)의 절단에 따라 각각 작동되는 제1다이오드(61), 제2다이오드(62) 및 제3다이오드(63)를 포함한다.
제1다이오드(61)는 제1방향부재(41)의 제12전도성 부재(12)에 연결되고, 전류를 생성하는 압전소자(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다이오드(62)는 제2방향부재(42)의 제22전도성 부재(22)에 연결되고, 전류를 생성하는 압전소자(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다이오드(63)는 제3방향부재(43)의 제32전도성 부재(32)에 연결되고, 전류를 생성하는 압전소자(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센서(S1)에서 제11전도성 부재(11)는 압전소자(5)에 연결되고, 제1/2전도성 부재(312)로 연결되는 제22전도성 부재(22)는 제2다이오드(62)에 연결된다.
제1, 제2방향부재(41, 42)의 진동 및 제1/2전도성 부재(312)의 절단에 따라 압전소자(5)를 전류를 생성하고, 제2다이오드(62)는 압전소자(5)에 연결되어 제1센서(S1)의 작동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작동 및 작동시 밝기 조절된다.
제2센서(S2)에서 제21전도성 부재(21)는 압전소자(5)에 연결되고, 제2/3전도성 부재(323)로 연결되는 제32전도성 부재(32)는 제3다이오드(63)에 연결된다.
제2, 제3방향부재(42, 43)의 진동 및 제2/3전도성 부재(323)의 절단에 따라 압전소자(5)를 전류를 생성하고, 제3다이오드(63)는 압전소자(5)에 연결되어 제2센서(S2)의 작동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작동 및 작동시 밝기 조절된다.
제3센서(S3)에서 제31전도성 부재(31)는 압전소자(5)에 연결되고, 제3/1전도성 부재(331)로 연결되는 제12전도성 부재(12)는 제1다이오드(61)에 연결된다.
제3, 제1방향부재(43, 41)의 진동 및 제3/1전도성 부재(331)의 절단에 따라 압전소자(5)를 전류를 생성하고, 제1다이오드(61)는 압전소자(5)에 연결되어 제3센서(S3)의 작동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작동 및 작동시 밝기 조절된다.
제1, 제2, 제3다이오드(61, 62, 63)는 제1, 제2, 제3센서(S1, S2, S3)에 의하여 최초 동일한 조건으로 연결되고, 전기 저항이 높기 때문에 약한 흰색을 띠게 된다.
시간이 지나서 제1/2, 제2/3, 제3/1전도성 부재들(312, 323, 331)이 서로 다른 피로 손상을 받아 서로 다르게 절단되면, 특정 방향으로 손상이 일어나게 된다. 손상이 일어나는 방향의 다이오드는 다른 다이오드에 비하여 색을 더 강하게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1, 제2, 제3다이오드(61, 62, 63)는 녹색, 파란색 및 빨간색을 띨 수도 있다. 제1, 제2, 제3다이오드(61, 62, 63)의 색 및 색의 강도를 이용해서 손상 감지 대상물에 고정되는 기준점(P1)에서 각 방향으로 일어난 피로 손상 정도를 알 수 있다.
제1, 제2, 제3센서(S1, S2, S3)의 구조는, 피로 손상량을 미리 설정해 놓은 경우, 감지 대상물에 인가되는 진동에 의한 피로 손상 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제2, 제3다이오드가 연결되는 부분과 압전소자가 연결되는 부분에 단자를 구비하여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이때 발생하는 전류량을 측정함으로써, 제1, 제2, 제3센서 각각에 누적된 피로 손상량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제1전도성 부재 2: 제2전도성 부재
3: 제3전도성 부재 4: 프레임
5: 압전소자 6: 표시부
11: 제11전도성 부재 12: 제12전도성 부재
21: 제21전도성 부재 22: 제22전도성 부재
31: 제31전도성 부재 32: 제32전도성 부재
41: 제1방향부재 42: 제2방향부재
43: 제3방향부재 61: 제1다이오드
62: 제2다이오드 63: 제3다이오드
312: 제1/2전도성 부재 323: 제2/3전도성 부재
331: 제3/1전도성 부재 P1: 기준점
S: 감지부 S1: 제1센서
S2: 제2센서 S3: 제3센서

Claims (8)

  1. 자유단을 가지고 손상 감지 대상물에 연결되고 기준점에서 서로 교차하여 제1방향,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각 방향으로 신장되어 나란하게 부착되는 제1전도성 부재와 제2전도성 부재;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전도성 부재와 상기 제2전도성 부재를 연결하는 제3전도성 부재;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제1전도성 부재에 연결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기준점의 원방에서 상기 제1전도성 부재와 교차하는 상기 제2전도성 부재에 일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소자에 다른 일측으로 연결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방향으로 신장 설치되는 제1방향부재,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제1방향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방향부재, 및
    상기 기준점에서 상기 제2방향에 교차하는 제3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제1방향부재의 단부와 상기 제2방향부재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3방향부재
    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 상기 제2방향 및 상기 제3방향은 직각으로 교차하는 x, y, z축 방향이고,
    상기 제1방향부재, 상기 제2방향부재 및 상기 제2방향부재는 사각봉으로 형성되는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성 부재는
    상기 제1방향부재에서는 상기 제2방향부재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제11전도성 부재,
    상기 제2방향부재에서는 상기 제3방향부재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제21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3방향부재에서는 상기 제1방향부재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제31전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도성 부재는
    상기 제1방향부재에서는 상기 제3방향부재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제12전도성 부재,
    상기 제3방향부재에서는 상기 제2방향부재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제32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2방향부재에서는 상기 제1방향부재를 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제22전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도성 부재는
    상기 제1방향부재의 상기 제11전도성 부재와 상기 제2방향부재의 제22전도성 부재를 복수로 연결하는 제1/2전도성 부재,
    상기 제2방향부재의 상기 제21전도성 부재와 상기 제3방향부재의 제32전도성 부재를 복수로 연결하는 제2/3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3방향부재의 상기 제31전도성 부재와 상기 제1방향부재의 제12전도성 부재를 복수로 연결하는 제3/1전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제1방향부재의 상기 제11전도성 부재,
    상기 제2방향부재의 상기 제21전도성 부재 및
    상기 제3방향부재의 상기 제31전도성 부재 각각에 일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표시부에 다른 일측으로 연결되는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방향부재의 상기 제12전도성 부재에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
    상기 제2방향부재의 상기 제22전도성 부재에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 및
    상기 제3방향부재의 상기 제32전도성 부재에 연결되는 제3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KR1020170148189A 2017-11-08 2017-11-08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KR10201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189A KR102018671B1 (ko) 2017-11-08 2017-11-08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189A KR102018671B1 (ko) 2017-11-08 2017-11-08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476A true KR20190052476A (ko) 2019-05-16
KR102018671B1 KR102018671B1 (ko) 2019-09-05

Family

ID=66672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189A KR102018671B1 (ko) 2017-11-08 2017-11-08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6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8907A (ja) * 2002-06-27 2004-01-29 Shiyoui Ko 構造物健全度評価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構造物の健全度評価方法
JP2004271397A (ja) * 2003-03-10 2004-09-30 Railway Technical Res Inst 構造物外力検知装置、及び構造物の外力検知方法
KR20060102804A (ko) * 2005-03-25 2006-09-28 감문호 구조물의 피로 강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85558B1 (ko) * 2016-06-17 2016-12-20 심세섭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이용한 건물의 진단 및 재해 경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8907A (ja) * 2002-06-27 2004-01-29 Shiyoui Ko 構造物健全度評価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構造物の健全度評価方法
JP2004271397A (ja) * 2003-03-10 2004-09-30 Railway Technical Res Inst 構造物外力検知装置、及び構造物の外力検知方法
KR20060102804A (ko) * 2005-03-25 2006-09-28 감문호 구조물의 피로 강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85558B1 (ko) * 2016-06-17 2016-12-20 심세섭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이용한 건물의 진단 및 재해 경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671B1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15649A (ja) ブラッグ格子センサの検出方法、その歪量検出方法及びその検出装置
KR102045612B1 (ko) 토크 센서, 관절식 암 로봇의 관절에서 또는 관절 안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관절식 암 로봇
JP6364845B2 (ja) 振動計測装置
JP6365906B1 (ja) 3次元侵入検知システムおよび3次元侵入検知方法
JP2018527585A (ja) 経験した引張ひずみ及び/又はせん断ひずみを測定する伸縮性ひずみゲージを備えるねじ
KR20190052476A (ko) 구조물의 피로 손상 감지 장치
WO2016047603A1 (ja) 建造物の計測方法
JP4990013B2 (ja) 監視装置
EP1508842A3 (en) Condition monitoring of an electrical machine
US11976947B2 (en) Transducer, loosening detection system and loosening detection method
US98412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gnetic sensor based surface shape analysis spatial positioning in a uniform magnetic field
JP2020139777A (ja) 締結体緩み監視システム、監視具、及び監視方法
KR20190068155A (ko) 복합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파손 진단장치 및 이에 의한 구조물 파손 진단방법
CN107796543A (zh) 应变式微小缝隙监测装置及裂变解算方法
TWI716239B (zh) 一種可感測低頻力與高頻力的力感測裝置
ES2773913T3 (es) Dispositivo de medición de fuerza
WO2022162897A1 (ja) Uボルト、施工方法及び検出装置
JP2008204525A (ja) 磁気ヘッドの特性評価方法
CN109708565A (zh) 一种桁架结构的监测装置及系统
KR101674416B1 (ko)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
KR102148972B1 (ko) 이종접합 부재의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 방법
WO202219062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305754B (zh) 一种扫描致动器、光纤扫描装置及扫描显示设备
JPH0823537B2 (ja) 構造物に過去に掛かった負荷の検出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負荷検出センサ
JP4576614B2 (ja) 部材の弾性波・静的ひずみの計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