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416B1 -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416B1
KR101674416B1 KR1020140178068A KR20140178068A KR101674416B1 KR 101674416 B1 KR101674416 B1 KR 101674416B1 KR 1020140178068 A KR1020140178068 A KR 1020140178068A KR 20140178068 A KR20140178068 A KR 20140178068A KR 101674416 B1 KR101674416 B1 KR 101674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measurement object
signal
strain gaug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0957A (ko
Inventor
전세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템즈
Priority to KR1020140178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4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3/00Geometrical instruments
    • Y10S33/19Thermal expan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은 측정대상물의 측정부분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 스트레인 게이지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시그널 컨디셔닝,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된 측정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시그널 컨디셔닝에서 측정된 변형률을 주파수 변환하고,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대응되는 위치에 중첩하여 제공하는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대상물의 변형률이 발생한 위치를 일일이 대조하며 확인할 필요없이, 측정대상물의 변형이 발생된 모든부분의 변형정도 및 변형률의 변화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FORCE AND STRAIN VISUA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힘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는 부재 및 장치의 변형률의 변화를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부재, 기계적 장치, 환경 챔버 등과 같은 금속장치 및 구조물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형에 의해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변형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사고발생 등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또는, 측정대상물의 변형률을 통해 특성을 파악할 수도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물체가 외력으로 변형될 때 그 변형을 측정하는 측정기로 측정대상물에 부착시켜 측정한다. 이러한 관련 기술로 국내공개특허 10-2012-0078238(특허문헌1)가 있다.
특허문헌1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설비 고정식 구조물 보호 모니터링 장치로, 태양광 발전설비의 모듈을 지지하며 다수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고정식 구조물, 상기 고정식 구조물 중 모서리에 위치한 2 ~ 4개의 기둥에 1개씩 설치되며, 풍압 또는 하중에 의한 변형을 감지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부의 신호를 받아 상기 고정식 구조물의 변형정보를 모니터링부에 전달하는 게이지 신호부, 상기 게이지 신호부의 신호를 받아 상기 고정식 구조물의 변형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특허문헌1은 단순히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측정된 특정 부위의 상태만 보여질 뿐 전체 구조물의 응력변화, 또는 변형률의 실시간 변화를 가시화하여 제공하지 못한다.
특허문헌1. 국내공개특허 10-2012-0078238
본 발명은 측정대상물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의 측정값 및 카메라로 촬영된 스트레인 게이지의 영상을 중첩하여 측정대상물의 변형률 변화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은 측정대상물의 측정부분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시그널 컨디셔닝;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된 측정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시그널 컨디셔닝에서 측정된 변형률을 주파수 변환하고,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대응되는 위치에 중첩시켜 제공하는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변형률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상기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는, 측정대상물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변형률에 따라 강도 레벨을 설정하는 강도 설정부; 상기 강도 레벨이 설정된 변형률을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FFT변환부; 및 상기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상기 측정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대응되는 위치에 중첩시켜 등고선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강도 레벨를 변형률의 정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설정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측정대상물 내측에 삽입 몰딩하여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시그널 컨디셔닝은 스트레인 게이지에 전원을 인가하고, 스트레인 게이지의 브리지로부터 변환된 저항에 따른 전압값을 전송받으며, 전원으로 입력된 전압값과 저항변화에 따라 전송된 전압값의 차로부터 변형률을 측정하여 측정된 변형률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강도 설정부는 수신된 스트레인 게이지 변형률의 범위를 파악하고, 파악된 범위를 분류하여 강도레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은 측정대상물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의 변형값을 측정대상물의 이미지 영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중첩하여 등고선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측정대상물의 변형률이 발생한 위치를 일일이 대조하며 확인할 필요 없이, 측정대상물의 변형이 발생된 모든 부분의 변형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측정대상물의 변형정도를 다양한 색상의 강도로 설정하여 등고선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측정대상물의 변형위치별 변형률의 실시간 변화를 등고선의 형태 및 색상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의 변형률 가시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가시화된 측정대상물의 변형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은 다양한 부재, 기계적 장치, 환경 챔버 등과 같은 금속장치, 구조물, 그 밖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 물체 등의 변형률 측정 및 모니터링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측정대상물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의 변형률 가시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1000)은 측정대상물(10)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20), 시그널 컨디셔닝(30), 카메라(41,42) 및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100)는 강도 설정부(110), FFT변환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20)는 무게중심 및 힘의 중심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20)는 측정대상물(10) 내측에 삽입 몰딩하여 일체형으로 설치하였다.
스트레인 게이지(20)는 측정 대상물(10)의 변형이 발생될 때 전기적 저항이 변함으로써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전기적 저항은 스트레인 게이지(20)의 휘트스톤 브리지 등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한편, 스트레인 게이지(20)는 측정 대상물(10)의 재질에 따라 그 모양과 길이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측정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시그널 컨디셔닝(30)은 스트레인 게이지(20)로 전원을 인가하고, 스트레인 게이지(20)의 브리지로부터 변환된 저항에 따른 전압값을 전송받을 수 있다. 시그널 컨디셔닝(30)은 전원으로 입력된 전압값과 저항변화에 따라 전송된 전압값의 차로부터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그널 컨디셔닝(30)은 측정된 변형률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41,42)는 측정 대상물(10)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S210). 이때, 카메라(41,42)의 개수는 측정대상물(10)의 측정부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가 측정대상물(10)의 전면 및 일측면인 경우를 일실시 예로 하고 있으나, 후면에 대한 변형률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카메라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카메라(41,42)에서 측정된 영상은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100)는 시그널 컨디셔닝(30)으로부터 디지털 변환된 변형률을 수신할 수 있다(S220). 또한,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100)는 카메라(41,42)로부터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100)는 수신된 변형률과 수신된 영상을 이용하여 측정대상물(10)의 변형률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100)는 강도 설정부(110), FFT변환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강도 설정부(110)는 측정대상물(10)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변형률에 따라 강도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S230). 여기서, 각각의 강도 레벨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강도 설정부(110)는 시그널 컨디셔닝(30)으로부터 수신한 변형률의 정도에 따라 기설정된 강도 레벨 중 매칭되는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강도 설정부(110)는 수신된 스트레인 게이지(20) 변형률의 범위를 파악하고, 파악된 범위를 분류하여 강도레벨을 설정한다.
FFT변환부(120)는 강도레벨이 설정된 변형률을 FFT변환을 통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S240).
디스플레이부(130)는 제1카메라(41)에서 수신된 영상 및 제2카메라(42)에서 수신된 영상을 각각 제공하거나 두 영상을 조합하여 입체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FFT 변환부(120)에서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 스트레인 게이지(20) 변형률을 제1카메라(41) 및 제2카메라(42)에서 제공된 영상에 중첩시켜 제공할 수 있다(S250).
디스플레이부(130)는 초기 작업으로 측정대상물(10)에 스트레인 게이지(20)가 부착되는 위치를 좌표로 지정하고, 특정 위치에서 측정된 변형률이 수신되면 대응하는 좌표에 주파수변환된 신호를 중첩시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변형률이 충첩된 측정대상물(10)의 전면(제1카메라(41)영상) 또는 일측면(제2카메라(42)영상) 중 하나를 선택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각 카메라(41,42)의 영상을 조합하여 측정대상물(10)을 입체적으로 도시하고 방향전환 등을 통해 전면 및 일측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제공되는 변형률의 변화는 다양한 색상의 등고선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색상은 강도레벨에 의해 설정된 색상이며, 색상에 따라 변형률이 다르다.
도 3은 도 1의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가시화된 측정대상물의 변형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으로, 측정대상물 영상(60) 상부에 다수의 스트레인 게이지(20)의 변형률이 다양한 색상의 등고선(61) 형태로 중첩되어 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변형률에 대한 주파수 영역의 신호인 등고선(61) 및 변형률에 대한 시간영역의 신호(50)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시간영역의 신호(50) 및 등고선(61)은 강도레벨에 따라 설정된 다양한 색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변형률의 값이 클수록 빨간색계열로 도시되고, 변형률의 값이 작을수록 파란색 계열로 도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측정대상물(10)의 변형률은 실시간으로 측정되어 반영됨으로써 영상(60) 상부에 중첩된 등고선(61)의 형태 및 색상이 계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시적으로 변형률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다. 즉, 정지된 영상이 아닌, 측정대상물(10)의 변형위치별 변형률의 실시간 변화를 등고선의 형태 변화 및 색상변화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0 :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
10 : 측정대상물 20 : 스트레인 게이지 30 : 시그널 컨디셔닝
41,42 : 카메라 100 :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
110 : 강도 설정부 120 : FFT변환부 130 :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측정대상물(10)의 측정부분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2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시그널 컨디셔닝(30);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된 측정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41, 42); 및 상기 시그널 컨디셔닝에서 측정된 변형률을 주파수 변환하고,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대응되는 위치에 중첩시켜 제공하는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100)를 포함하는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으로,
    상기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100)는,
    측정대상물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변형률에 따라 강도 레벨을 설정하는 강도 설정부(110);
    상기 강도 레벨이 설정된 변형률을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FFT변환부(120); 및
    상기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상기 측정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대응되는 위치에 중첩시켜 등고선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강도 레벨를 변형률의 정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설정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20)는 측정대상물(10) 내측에 삽입 몰딩하여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시그널 컨디셔닝(30)은 스트레인 게이지(20)에 전원을 인가하고, 스트레인 게이지(20)의 브리지로부터 변환된 저항에 따른 전압값을 전송받으며, 전원으로 입력된 전압값과 저항변화에 따라 전송된 전압값의 차로부터 변형률을 측정하여 측정된 변형률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변형률 모니터링 장치(100)로 전송하며,
    상기 강도 설정부(110)는 수신된 스트레인 게이지(20) 변형률의 범위를 파악하고, 파악된 범위를 분류하여 강도레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78068A 2014-12-11 2014-12-11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 KR101674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068A KR101674416B1 (ko) 2014-12-11 2014-12-11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068A KR101674416B1 (ko) 2014-12-11 2014-12-11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957A KR20160070957A (ko) 2016-06-21
KR101674416B1 true KR101674416B1 (ko) 2016-11-10

Family

ID=5635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068A KR101674416B1 (ko) 2014-12-11 2014-12-11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698A (ko) *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디지트로그 항공기의 비행정보 및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555B1 (ko) * 2009-11-26 2012-01-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무선 교좌 점검 시스템
KR101206566B1 (ko) * 2010-11-11 2012-11-29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복합체 스트레인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인 측정방법
KR101232496B1 (ko) 2010-12-31 2013-02-15 주식회사 효성 서방성 심초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서방성 심초형 복합섬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698A (ko) *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디지트로그 항공기의 비행정보 및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88496B1 (ko) * 2019-03-29 2021-08-10 주식회사 디지트로그 항공기의 비행정보 및 구조물 건전성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957A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2871B2 (en) Gauge line position measuring device, program for measuring a gauge line position, and gauge line mark
US20130265342A1 (en) Correction device for display device and correction method for display device
WO2018159144A1 (ja) 3次元侵入検知システムおよび3次元侵入検知方法
JP2017504017A5 (ja) 計測機器、及びシステム
KR101674416B1 (ko) 변형률 가시화 시스템
JP2016136112A5 (ja) 距離測定装置
JP2018017931A5 (ko)
DE102014105238A1 (de) Kabelloser Verbindungsapparat
US20110050928A1 (en) Sel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amera
CN111521309B (zh) 材料残余应力、消残效果的确定方法及系统
KR101358094B1 (ko) 2d 서모파일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프로토타입의 수배전반 열화 감지 장치
US10562161B2 (en) Torque wrench
KR20090032653A (ko) 진동 모달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
CN108063941B (zh) 视频帧匹配方法、装置及视频处理时延测量系统、方法
JP5991688B2 (ja) ステレオカメラユニット及び自動車用モニタシステム
WO2020158099A1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検査方法
TWM538274U (zh) 電力品質監控系統
US7260996B2 (en) Pressure measuring apparatus and pressure sensor thereof
CN106091915B (zh) 微距感知传感器、感知微距变化的装置及微距检测方法
CN111649684A (zh) 结构件应变测量方法及系统
CN106998421B (zh) 一种控制摄像头拍照的方法及装置
JP2005219660A (ja) 車載電装品の評価装置
JP2017181315A5 (ko)
KR102181560B1 (ko) 서지 측정 장치
KR200451518Y1 (ko) 광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장치가 내재된 광통신 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