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426A -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426A
KR20190052426A KR1020170148099A KR20170148099A KR20190052426A KR 20190052426 A KR20190052426 A KR 20190052426A KR 1020170148099 A KR1020170148099 A KR 1020170148099A KR 20170148099 A KR20170148099 A KR 20170148099A KR 20190052426 A KR20190052426 A KR 20190052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uel cell
refrigerant
main plat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837B1 (ko
Inventor
김민진
손영준
김승곤
오환영
신동원
박구곤
배병찬
임성대
박석희
양태현
이원용
김창수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48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8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67Heat exchange or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s, thermal insulation, e.g. heat pipes, heat pumps, fins
    • H01M8/04074Heat exchange unit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은 내부에 냉매 유로를 포함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 보다 전기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INDEPENDENT COOLING PLATE FOR FUEL CELL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이하의 설명은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는 고효율, 친환경, 높은 출력밀도 등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유망한 미래 청정 에너지기술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기존의 저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Low-Temperatur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LT-PEMFC)가 상용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저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가습기, 수분 트랩 등과 같은 물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연료 공급의 어려움 및 특정 불순물의 농도가 낮은 수소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저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의 운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열은 배열온도가 낮아 사용 목적이 제한적이다. 저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의 대안으로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HT-PEMFC)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는 인산이 도핑된 폴리벤즈이미다졸(polybenzimidazole, PBI)계 전해질 막을 사용하여 별도의 가습 없이 운전이 가능하며, 연료 전지 운전을 통해 발생하는 물이 증기 형태로 발생하기 때문에 별도의 수분트랩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를 150 ~ 180의 운전 온도에서 CO의 피독으로 인한 막 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의 성능저하 현상이 현저히 감소하여 CO농도 3%까지 내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수소개질과정에서 CO제거공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100에 가까운 높은 배열온도를 얻을 수 있어 열에너지의 활용도가 높다.
하지만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는 아직 많은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론적으로 높은 전기화학 반응 속도를 갖으나 실제 개발된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의 성능은 저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의 성능에 다소 미치지 못한다. 또한 인산노출 및 고온의 가혹한 운전 조건으로 인해 내구성이 취약하며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고온의 운전 조건 하에서 연료 전지의 일부에 파손이 생기면, 냉매가 막 전극 접합체(MEA)로 침투됨으로써, 연료 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자의 냉매로 사용되는 오일은 물에 비하여 높은 점성을 가지므로, 오일이 순환 경로 상에서 높은 차압을 일으키게 되고, 이 또한 연료 전지의 파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되어 왔다. 또한,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의 냉매로 사용되는 오일은 고온에서 작동하므로 연료 전지의 분리판 내부에 형성된 냉매 유로를 순환하는 동안 분리판의 부피 변화를 일으켜 파손을 촉진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냉각판과 분리판 사이의 접촉 계면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은, 내부에 냉매 유로를 포함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 보다 전기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길이 방향 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전도 플레이트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도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바디; 및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외부면에 코팅되는 코팅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전도 플레이트의 상하면을 커버하는 완충 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레이어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하면을 커버하는 제 1 완충부; 및 상기 전도 플레이트의 상하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1 완충부 보다 탄성 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제 2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 플레이트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도 플레이트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외부로부터 상기 냉매 유로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 유입 통로; 및 상기 냉매 유로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 토출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의 최적 구동 온도에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전도 플레이트의 두께는 동일하고, 상온에서, 상기 전도 플레이트의 두께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보다 전기 전도율이 높은 구리 또는 황동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바디; 및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외부면에 코팅되고, 상기 플레이트 바디보다 전기 전도율이 높은 금으로 형성되는 코팅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는, 복수 개의 셀 유닛; 상기 복수 개의 셀 유닛의 일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냉매 유로를 포함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보다 전기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및 상기 복수 개의 셀 유닛 및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을 가압 및 지지하기 위한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 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셀 유닛은, 복수 개의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이 상기 지지 어셈블리에 의해 가압 및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연료 전지용 분리판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는, 상기 셀 유닛 및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레이어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하면을 커버하는 제 1 완충부; 및 상기 전도 플레이트의 상하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1 완충부 보다 탄성 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제 2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에 의하면, 기존에 연료 전지의 분리판의 내부에 냉매 유로를 형성하였던 것과 달리, 분리판과 독립적인 독립형 냉각판을 이용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에 의하면, 냉각판과 분리판 사이의 접촉 계면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를 구성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를 구성하는 셀 유닛 및 독립형 냉각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독립형 냉각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독립형 냉각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냉각판과, 독립형 냉각판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레이어를 구비한 독립형 냉각판이 고온에서 팽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레이어를 구비한 독립형 냉각판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냉각판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냉각판의 평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를 구성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를 구성하는 셀 유닛 및 독립형 냉각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독립형 냉각판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독립형 냉각판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10)는, 지지 어셈블리(11), 셀 유닛(12), 냉각 어셈블리(13) 및 전류 집전체(1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1)는 복수 개의 셀 유닛(12) 및 냉각 어셈블리(13)를 지지 및 가압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1)는 엔드 플레이트(110), 미들 플레이트(111), 클램핑 바(112) 및 릴리프 스프링(113)을 포함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110)는, 연료 전지(10)의 양 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판으로써, 2개의 엔드 플레이트(110) 사이에 배치되는 다른 구성들을 가압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110)는, 제 1 독립형 냉각판(131)으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기 위한 제 1 냉매 유입 통로(132)가 통과하는 제 1 냉매 유입 포트(1102)와, 제 1 독립형 냉각판(131)으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기 위한 제 1 냉매 토출 통로(133)가 통과하는 제 1 냉매 토출 포트(1103)와, 제 2 독립형 냉각판(134)으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기 위한 제 2 냉매 유입 통로(135)가 통과하는 제 2 냉매 유입 포트(1105)와, 제 2 독립형 냉각판(134)으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기 위한 제 2 냉매 토출 통로(136)가 통과하는 제 2 냉매 토출 포트(1106)와, 셀 유닛(12)으로 유입되는 수소를 안내하기 위한 애노드 유입 포트(A_in)와, 셀 유닛(12)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캐소드 유입 포트(C_in)와, 셀 유닛(12)으로부터 토출되는 수소를 안내하기 위한 애노드 토출 포트(A_out)와, 셀 유닛(12)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캐소드 토출 포트(C_out)와, 클램핑 바(112)가 관통되는 클램핑 홀(h)을 포함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110)는, 예를 들어, 최적의 공간 활용성을 위하여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엔드 플레이트(110)의 어느 한 변에 제 1 냉매 유입 포트(1102) 및 제 1 냉매 토출 포트(1103)가 형성되고, 다른 한 변에 제 2 냉매 유입 포트(1105) 및 제 2 냉매 토출 포트(110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냉매 유입 포트(1102) 및 제 1 냉매 토출 포트(1103)는, 제 2 냉매 유입 포트(1105) 및 제 2 냉매 토출 포트(1106)와 서로 마주보는 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클램핑 홀(h)은 엔드 플레이트(110)의 테두리를 따라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클램핑 홀(h)은, 예를 들어, 엔드 플레이트(110)의 모서리 부분마다 1개씩 배치되고, 모서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미들 엔드 플레이트(111)는, 2개의 엔드 플레이트(11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판으로써,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연료 전지(10)는 고온에서 운전되는 특성상, 저온 PEMFC 스택에 비하여 열팽창의 정도가 크다. 따라서, 셀 유닛(12)을 구성하는 분리판이 열팽창에 의해 파손될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판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분리판이 두꺼워지게 되면 단순히 2개의 엔드 플레이트(110) 만으로 고정하기에 무리가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중앙에 미들 엔드 플레이트(111)를 삽입함으로써,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클램핑 바(112)는, 2개의 엔드 플레이트(110) 사이에 체결되거나, 각각의 엔드 플레이트(110) 및 미들 엔드 플레이트(111) 사이에 체결됨으로써, 2개의 엔드 플레이트(110) 사이에 위치한 구성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클램핑 바(112)는, 2개의 엔드 플레이트(110) 사이에 위치한 구성들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해당 구성들을 올바르게 정렬시킬 수 있다.
릴리프 스프링(113)은, 클램핑 바(112)의 끝 부분에 구비되어, 2개의 엔드 플레이트(110) 또는, 각각의 엔드 플레이트(110) 및 미들 엔드 플레이트(111) 사이에 위치한 구성들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릴리프 스프링(113)의 위치 및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셀 유닛(12)을 구성하는 분리판에 일정한 압력 분포가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셀 유닛(12)은, 복수 개의 분리판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 유닛(12)은, 5개의 분리판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셀 유닛(12)은, 2개의 독립형 냉각판(131, 134) 사이에 위치한 분리판의 집합체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셀 유닛(12)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적층될 수 있다. 셀 유닛(12)의 개수에 따라서, 전체 연료 전지(10)의 출력이 결정될 수 있다.
셀 유닛(12)을 구성하는 각각의 분리판은, 수소가 유동되는 수소 유로와,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로를 포함하고,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 유로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셀 유닛(12)에 냉매 유로를 형성되는 대신 독립형 냉각판을 이용한 냉각 어셈블리(13)를 통하여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냉각 어셈블리(13)는, 연료 전지(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매니폴드 방식으로 냉매를 유동시킴으로써, 셀 유닛(12)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거할 수 있다. 셀 유닛(12)을 구성하는 분리판의 두께를 고려하여, 연료 전지(10)가 지나치게 두꺼워지지 않도록, 각각의 분리판 사이마다 냉각판을 삽입하는 대신, 복수 개의 분리판으로 구성되는 셀 유닛(12)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독립형 냉각판(131, 134)을 삽입할 수 있다.
냉각 어셈블리(13)는, 복수 개의 셀 유닛(12)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독립형 냉각판(131)과, 복수 개의 제 1 독립형 냉각판(131)으로 각각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제 1 냉매 유입 통로(132)와, 복수 개의 제 1 독립형 냉각판(131)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제 1 냉매 토출 통로(133)와, 복수 개의 셀 유닛(12)의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2 독립형 냉각판(134)과, 복수 개의 제 2 독립형 냉각판(134)으로 각각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제 2 냉매 유입 통로(135)와, 복수 개의 제 2 독립형 냉각판(134)으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제 2 냉매 토출 통로(136)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경우, 분리판의 내부에 일체로 냉매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내부 매니폴드형 냉각 구조를 갖도록 하였으나, 고온의 운전조건으로 인하여 냉매 유로가 파손되면서, 냉매가 누출되어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한편, 분리판으로는, 다공성 매질 및 다공성 매질을 메우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흑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온 PEMFC 스택에서는 표면 장력이 높은 물을 냉매로 사용하므로 크게 문제되지 않으나, 연료 전지에서는 냉매로 비등점이 높은 오일을 사용하므로, 오일의 높은 온도 및 낮은 표면 장력으로 인하여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분리판 자체의 내부로 오일이 침투하여 스며드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실시 예와 같이 셀 유닛(12)을 구성하는 각각의 분리판이 냉매 유로를 포함하지 않도록 외부 매니폴드형 냉각 방식을 갖추고, 기계적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독립형 냉각판을 이용하면, 분리판의 파손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으며, 또한, 만약 파손되더라도 직접적으로 분리판으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월등하게 향상될 수 있다.
제 1 독립형 냉각판(131)은, 내부에 냉매 유로(1319)를 포함하는 제 1 메인 플레이트(1311)와, 제 1 냉매 유입 통로(132)에 연결되며 냉매 유로(1319)와 연통되는 제 1 냉매 유입 포트(1312)와, 제 1 냉매 토출 통로(133)에 연결되며 냉매 유로(1319)와 연통되는 제 2 냉매 토출 포트(1313)와, 제 1 메인 플레이트(1311)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 1 전도 플레이트(131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제 1 냉매 유입 통로(132)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는 복수 개의 제 1 독립형 냉각판(131)에 형성된 각각의 제 1 냉매 유입 포트(1312)로 분지 유입되고, 각각의 제 1 독립형 냉각판(131)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셀 유닛(12)에서 발생된 열을 제거하고, 각각의 제 1 냉매 토출 포트(1313)를 통하여 하나의 제 1 냉매 토출 통로(133)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독립형 냉각판(131)은, 예를 들어, 셀 유닛(12)의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셀 유닛(12)과 오버랩되지 않는 제 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냉매 유입 포트(1312) 및 제 1 냉매 토출 포트(1313)는 제 1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독립형 냉각판(134)은, 내부에 냉매 유로(1349)를 포함하는 제 2 메인 플레이트(1341)와, 제 2 냉매 유입 통로(135)에 연결되며 냉매 유로(1349)와 연통되는 제 2 냉매 유입 포트(1342)와, 제 2 냉매 토출 통로(136)에 연결되며 냉매 유로(1349)와 연통되는 제 2 냉매 토출 포트(1343)와, 제 2 메인 플레이트(1341)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 2 전도 플레이트(134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제 2 냉매 유입 통로(135)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는 복수 개의 제 2 독립형 냉각판(134)에 형성된 각각의 제 2 냉매 유입 포트(1346)로 분지 유입되고, 각각의 제 2 독립형 냉각판(134)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셀 유닛(12)에서 발생된 열을 제거하고, 각각의 제 2 냉매 토출 포트(1347)를 통하여 하나의 제 2 냉매 토출 통로(136)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독립형 냉각판(134)은, 예를 들어, 셀 유닛(12)의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셀 유닛(12)과 오버랩되지 않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냉매 유입 포트(1346) 및 제 2 냉매 토출 포트(1347)는 제 2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돌출부는, 셀 유닛(12)의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돌출부와 서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냉매 유입 통로(132), 제 1 냉매 토출 통로(133), 제 2 냉매 유입 통로(135) 및 제 2 냉매 토출 통로(136)는, 복수 개의 셀 유닛(12)의 적층 방향을 따라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냉매 유입 통로(135) 및 제 2 냉매 토출 통로(136)는, 제 1 냉매 유입 통로(132) 및 제 1 냉매 토출 통로(133)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4개의 외부 매니폴드형 냉각 구조에 의하면, 서로 반대편에서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냉매가 유동하면서 셀 유닛(12)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냉매 유입 통로 및 냉매 토출 통로를 각각 복수 개로 설치함으로써, 냉매 유입 통로 및 냉매 토출 통로가 각각 1개씩인 경우에 비하여, 냉매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냉각판과, 독립형 냉각판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되는 연료 전지용 분리판의 단면도이다. 이하, 제 1 독립형 냉각판(13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련 서수들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독립형 냉각판(131)에 대한 설명은 제 2 독립형 냉각판(134)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냉각판(131)은 메인 플레이트(1311), 냉매 유입 포트(1312), 냉매 토출 포트(1313), 전도 플레이트(1315) 및 결합 부재(1318)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311)는 내부에 냉매 유로(1319)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311)는, 예를 들어, 냉매 유로(1319)의 상측부(1319a)를 형성하는 홈을 구비하는 제 1 서브 플레이트(1311a)와, 냉매 유로(1319)의 하측부(1319b)를 형성하는 홈을 구비하는 제 2 서브 플레이트(1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브 플레이트(1311a) 및 제 2 서브 플레이트(1311b)는 내부를 관통하는 홀을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311)는 전도 플레이트(1315)를 장착시키기 위한 길이 방향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1318)는 제 1 서브 플레이트(1311a) 및 제 2 서브 플레이트(1311b)를 정렬시킬 수 있다. 결합 부재(1318)는 냉매 유로(1319)의 상측부(1319a) 및 하측부(1319b)를 정렬시킴으로써, 냉매 유로(1319)가 엇갈림 없이 형성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311)의 재질은, 셀 유닛(12, 도 1 참조)의 재질보다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 예를 들면, SUS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냉각판에 비하여 기계적인 강도가 높아지므로, 고온의 운전 조건 하에서도 냉각판이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전도 플레이트(1315)는 메인 플레이트(1311)에 배치되고, 메인 플레이트(1311) 보다 전기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 플레이트(1315)는 메인 플레이트(1311) 상에 구비되는 길이 방향 홀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 플레이트(1315)가 메인 플레이트(1311)에 끼워진 상태에서, 메인 플레이트(1311) 및 전도 플레이트(1315)는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전도 플레이트(1315)는 예를 들어, 메인 플레이트(1311)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311) 및 전도 플레이트(1315)는 각각 지지 어셈블리(11, 도 2 참조)에 의해 가압될 때, 인접한 셀 유닛(12, 도 1 참조)에 접촉할 수 있다. 전도 플레이트(1315)는 독립형 냉각판(131) 및 셀 유닛(12) 사이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도 플레이트(1315)는 플레이트 바디(1315a) 및 코팅 레이어(1315b)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바디(1315a)의 재질은 메인 플레이트(1311) 보다 전기 전도율이 높은 재질, 예를 들어, 구리 또는 황동일 수 있다. 코팅 레이어(1315b)는 플레이트 바디(1315a)의 외부면에 코팅되어, 전도 플레이트(1315)의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팅 레이어(1315b)의 재질은, 플레이트 바디(1315a) 보다 전기 전도율이 높은 재질, 예를 들어, 금(Au)일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레이어를 구비한 독립형 냉각판이 고온에서 팽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충 레이어를 구비한 독립형 냉각판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독립형 냉각판(131)은 셀 유닛(12, 도 1 참조)와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완충 레이어(13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레이어(1317)는, 전도성이 높고, 유연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레이어는, 기체확산층(GDL), 미세다공층(MPL)이 적층된 기체확산층(GDL), 그라포일 및 메탈 폼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은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탄소종이(carbon paper)나 탄소 천(carbon cloth)등과 같은 다기공성 탄소 기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확산층은, 우수한 전기 전도성과 기공 구조를 가지고 있어 분리판과의 접촉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기체확산층에, 마이크론 크기의 전도성 탄소 입자로 이루어진 슬러리를 도포 후 건조한 속칭 미세다공층(micro porous layer, MPL)을 적층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도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라포일(grafoil)은, 카본이 재료인 전도성 씰링 물질이다. 메탈 폼은, 예를 들면, 메탈 소재의 가는 선재로 구성된 부피감이 있는 부재로써, 신축성이 있는 전도성 제품을 의미한다.
완충 레이어(1317)는 메인 플레이트(1311) 및 전도 플레이트(1315)의 상하면을 커버할 수 있다. 완충 레이어(1317)는 메인 플레이트(1311) 및 전도 플레이트(1315)가 고온에 의해 팽창하더라도, 셀 유닛(12, 도 1 참조) 및 독립형 냉각판(131)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311) 및 전도 플레이트(1315)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므로, 열 팽창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 플레이트(1315)의 열 팽창율은 전도 플레이트(1315)의 열 팽창율 보다 클 수 있다. 완충 레이어(1317)는 메인 플레이트(1311) 및 전도 플레이트(1315)가 서로 다른 팽창률을 갖더라도, 셀 유닛(12, 도 1 참조) 및 독립형 냉각판(131)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 레이어(1317)는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재질의 제 1 완충부(1317a) 및 제 2 완충부(13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완충부(1317a)는 메인 플레이트(1311)의 상하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 2 완충부(1317b)는 전도 플레이트(1315)의 상하면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완충부(1317b) 및 전도 플레이트(1315)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상하면을 가질 수 있다. 제 2 완충부(1317b)는 제 1 완충부(1317a) 보다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완충부(1317a)의 탄성 계수(modulus of elastici)는 제 2 완충부(1317b)의 탄성 계수 보다 클 수 있다. 제 1 완충부(1317a)는 연료 전지(10)가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온도, 즉, 고온에서 상대적으로 팽창율이 작은 메인 플레이트(1311)의 부피 변화를 효율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전기 전도율을 높게 확보할 수 있고, 제 2 완충부(1317b)는 마찬가지로 고온에서 상대적으로 팽창율이 큰 전도 플레이트(1315)의 부피 변화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제 1 완충부(1317a) 및 제 2 완충부(1317b)는 독립형 냉각판(131) 및 셀 유닛(12, 도 1 참조) 사이의 전기 전도율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 하면서도, 셀 유닛(12, 도 1 참조) 및 독립형 냉각판(131)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한 바와 달리 메인 플레이트(1311) 및 전도 플레이트(1315)의 열 팽창율 차이를 고려하여, 연료 전지(10)의 최적 구동 온도, 예를 들면, 170에서 메인 플레이트(1311) 및 전도 플레이트(1315)의 두께가 동일해지도록 메인 플레이트(1311) 및 전도 플레이트(1315)의 두께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온에서 전도 플레이트(1315)의 두께는 메인 플레이트(1311)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연료 전지(10)가 구동 중에 온도가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제 1 완충부(1317a) 및 제 2 완충부(1317b)를 각각 메인 플레이트(1311) 및 전도 플레이트(1315)의 상하면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냉각판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냉각판의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독립형 냉각판(231, 331)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도 플레이트(2315, 33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도 플레이트(2315, 3315)는 독립형 냉각판(231, 331)의 중심부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전도 플레이트(2315, 3315)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독립형 냉각판(231, 331) 및 셀 유닛(12, 도 1 참조) 사이의 접촉 저항을 감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내부에 냉매 유로를 포함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 보다 전기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길이 방향 홀에 장착되는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전도 플레이트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바디; 및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외부면에 코팅되는 코팅 레이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전도 플레이트의 상하면을 커버하는 완충 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레이어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하면을 커버하는 제 1 완충부; 및
    상기 전도 플레이트의 상하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1 완충부 보다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 2 완충부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플레이트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도 플레이트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외부로부터 상기 냉매 유로로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 유입 통로; 및
    상기 냉매 유로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 토출 통로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의 최적 구동 온도에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전도 플레이트의 두께는 동일하고,
    상온에서, 상기 전도 플레이트의 두께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작은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보다 전기 전도율이 높은 구리 또는 황동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바디; 및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외부면에 코팅되고, 상기 플레이트 바디보다 전기 전도율이 높은 금으로 형성되는 코팅 레이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11. 복수 개의 셀 유닛;
    상기 복수 개의 셀 유닛의 일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냉매 유로를 포함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보다 전기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및
    상기 복수 개의 셀 유닛 및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을 가압 및 지지하기 위한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 홀에 장착되는 연료 전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유닛은, 복수 개의 연료 전지용 분리판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이 상기 지지 어셈블리에 의해 가압 및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연료 전지용 분리판에 접촉하는 연료 전지.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유닛 및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연료 전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레이어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하면을 커버하는 제 1 완충부; 및
    상기 전도 플레이트의 상하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 1 완충부 보다 탄성 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제 2 완충부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KR1020170148099A 2017-11-08 2017-11-08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KR101979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099A KR101979837B1 (ko) 2017-11-08 2017-11-08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099A KR101979837B1 (ko) 2017-11-08 2017-11-08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426A true KR20190052426A (ko) 2019-05-16
KR101979837B1 KR101979837B1 (ko) 2019-05-17

Family

ID=6667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099A KR101979837B1 (ko) 2017-11-08 2017-11-08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6709A1 (en) * 2022-10-21 2024-04-25 Advent Technologies Holdings Inc. Freeze proof cooling subsystem for fuel ce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5455A (ja) * 2005-07-27 2007-02-08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JP2008041304A (ja) * 2006-08-02 2008-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
KR20130107504A (ko) * 2012-03-22 2013-10-02 삼성전기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68128B1 (ko) * 2016-02-16 2017-08-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독립형 냉각판을 구비하는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 스택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5455A (ja) * 2005-07-27 2007-02-08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JP2008041304A (ja) * 2006-08-02 2008-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
KR20130107504A (ko) * 2012-03-22 2013-10-02 삼성전기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68128B1 (ko) * 2016-02-16 2017-08-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독립형 냉각판을 구비하는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 스택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6709A1 (en) * 2022-10-21 2024-04-25 Advent Technologies Holdings Inc. Freeze proof cooling subsystem for fuel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837B1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128B1 (ko) 독립형 냉각판을 구비하는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 스택 및 그 제조 방법
JP4741643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KR102105588B1 (ko) 균일한 가스 분배를 위한 박판 기반 엠보싱 구조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JP5180484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4632917B2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US20100285386A1 (en) High power fuel stacks using metal separator plates
JP2001332288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KR101979837B1 (ko) 연료 전지용 독립형 냉각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JP2016042463A (ja) 反応物質の分布を改善した燃料電池
JP4957091B2 (ja) 燃料電池
US6723463B2 (en) Fuel cell stack having terminal element located at specified location
US7871732B2 (en) Single reactant gas flow field plate PEM fuel cell
JP2012099382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燃料電池
JP5653867B2 (ja) 燃料電池
JP2022125885A (ja) 燃料電池セル、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
JP3875612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WO2008142557A2 (en) Separator and fuel cell
JP5286070B2 (ja) 燃料電池セパレータ
KR102284615B1 (ko) 고온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 전지 스택
JP2008186783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6012462A (ja) 燃料電池のシール構造
KR20230081981A (ko) 고온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 스택
JPH06333590A (ja)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JP2009231082A (ja) 燃料電池
KR20080031364A (ko) 단판식 pem 연료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