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349A - 파스너 브라켓 - Google Patents

파스너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349A
KR20190052349A KR1020170147974A KR20170147974A KR20190052349A KR 20190052349 A KR20190052349 A KR 20190052349A KR 1020170147974 A KR1020170147974 A KR 1020170147974A KR 20170147974 A KR20170147974 A KR 20170147974A KR 20190052349 A KR20190052349 A KR 20190052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bracket
guide
guide por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877B1 (ko
Inventor
이홍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4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8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one on top of the other and distanced from each other, e.g. by using protrusions to keep contact and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스너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파스너의 안착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상판; 양측에 상기 파스너의 걸림편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가 형성된 측판; 상기 파스너가 상기 안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판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파스너의 상기 파스너 브라켓 삽입시 상기 이탈방지턱이 상기 파스너의 걸림편에 눌려 하측으로 휘어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상기 파스너의 걸림편이 상기 제1가이드부에 접촉되며, 상기 구성에 의해 파스너의 이탈 방지이 방지되고 조립성이 개선된 파스너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스너 브라켓{FASTNER BRACKET}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을 조립하는 파스너의 이탈 방지 및 조립성이 개선된 파스너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부품의 조립을 위해 사용되는 파스너의 형상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891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게재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스너(1)는 부품걸림편(21)과 플랜지 형상의 부품지지편(22)으로 이루어져 자동차 부품이 결합되는 부품결합부(20)와, 부품결합부(20)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파스너 브라켓의 상판 상면에 접촉되는 지지편(11)과, 지지편(11)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파스너 브라켓의 안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10)와, 삽입부(10)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파스너 브라켓의 상판 하면에 접촉되는 걸림편(12)으로 구성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4187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의 파스너 브라켓(20)은 파스너의 삽입부의 외형과 대응되는 원형의 안착홈이 형성된 상판(21)과, 측판(24)과, 측판(24)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구속부(22)와, 상판(21)에 형성되어 파스너(10)가 삽입되는 삽입홈(21a)과, 삽입홈(21a)과 연통되며 삽입홈(21a)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개방부(21b)로 구성된다.
파스너 브라켓(20)에 삽입된 파스너(10)가 힘을 받아 우측으로 이동하면 구속부(22)가 파스너(10)에 눌리는데, 이로 인해 구속부(22)는 우측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파스너(10)가 파스너 브라켓(20)에서 빠지는 상황이 발생된다.
한편, 출원인이 본 건과 동일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8297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의 도 3, 도 4에는 또 다른 형태의 파스너 브라켓이 도시되어 있다.
파스너 브라켓(1)에는 상판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스너(2)의 지지편이 걸리는 이탈방지 플랜지(16)가 있다. '특허문헌 3'은 파스너(2)의 일측이 눌리면 이탈방지 플랜지(16)와 마주한 쪽이 들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파스너(2)에 이탈방지 플랜지(16)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파스너(2)는 지지편이 이탈방지 플랜지(16)에 걸리지 않아 파스너 브라켓(1)에서 이탈하게 된다.
한편, '특허문헌 2'와 '특허문헌 3'과 다른 형태의 파스너 브라켓에 관한 내용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2505호(이하, '특허문헌 4'라 한다.)에 게재되어 있다.
파스너 브라켓은 상판 및 측판(2)과, 상판의 삽입홈(200a) 및 개방부(200)의 전방에 형성되는 스톱퍼(210)로 구성된다.
스톱퍼(210)는 위쪽에서 바라볼 때 원호형이고, 정면에서 바라보면 중심부는 높고 좌우측은 중심부에 비해 낮고, 중심부는 파스너(3)의 걸림편보다 위로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파스너(3)를 파스너 브라켓의 삽입홈(200a)에 삽입시킬 때 파스너(3)의 지지편이 파스너 브라켓의 상판에 눌리면서 변형이 발생되고 파스너(3)의 걸림편이 스톱퍼(210)의 중심부에 걸려 파스너(3)를 파스너 브라켓에 삽입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한 파스너(3)는 일측이 눌리면 스톱퍼(210)와 마주한 쪽이 들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파스너(3)에 스톱퍼(210)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파스너(3)는 걸림편이 스톱퍼(210)에 걸리지 않아 파스너 브라켓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파스너 브라켓은 파스너에 힘이 가해지면 파스너가 안착홈에서 이탈될 수 있고, 파스너의 조립을 돕는 걸림편 가이드부가 없어 조립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8913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4187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8297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250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 부품을 조립하는 파스너의 이탈 방지 및 조립성이 개선된 파스너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스너가 장착되는 파스너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브라켓은, 상기 파스너의 삽입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상판; 상기 파스너의 걸림편의 하면이 가이드되는 제1가이드부가 양측에 형성된 측판; 상기 파스너가 상기 안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판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파스너 삽입시 상기 이탈방지턱은 하측으로 휘어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상기 걸림편의 하면이 상기 제1가이드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삽입부가 상기 이탈방지턱에 걸려 상기 파스너가 상기 파스너 브라켓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걸림편이 상기 이탈방지턱에 걸려 상기 파스너가 상기 파스너 브라켓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가이드부의 상면은 상기 상판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는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상기 제1가이드부의 후측 단부와 상기 상판 사이에는 상기 걸림편이 상기 상판의 하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개방부는 상기 걸림편의 측면이 접촉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측판에는 상기 이탈방지턱과 상기 양측의 제1가이드부 사이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턱과 상기 양측의 제1가이드부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이탈방지턱이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스너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파스너를 조립시킨 상태에서 운반하더라도 파스너가 이탈방지턱에 걸려 이탈하지 않아 신뢰성이 향상되고 클레임이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에 제1가이드부가 있어 파스너의 조립성이 개선되고 조립원가가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스너 브라켓에 파스너를 조립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파스너 브라켓만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파스너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 브라켓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스너 브라켓의 정면도
도 7은 '특허문헌 1'의 파스너가 파스너 브라켓에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스너(100)가 장착되는 파스너 브라켓(200)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브라켓(200)은, 상기 파스너(100)의 삽입부(13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210)과, 상기 안착홈(210)과 연통되는 개방부(220)가 형성된 상판(202); 상기 파스너(100)의 걸림편(140)의 하면이 가이드되는 제1가이드부(250)가 양측에 형성된 측판(204); 상기 파스너(100)가 상기 안착홈(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판(204)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턱(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파스너(100) 삽입시 상기 이탈방지턱(240)은 하측으로 휘어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상기 걸림편(140)의 하면이 상기 제1가이드부(250)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스너 브라켓(200)에는 상판(202)의 전측에 형성된 측판(204)에 제1가이드부(250)와 이탈방지턱(2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250)의 상면은 상기 상판(202)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250)의 측부에 상기 상판(202)이 위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250)는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상기 제1가이드부(250)의 후측 단부와 상기 상판(202) 사이에는 상기 걸림편(140)이 상기 상판(202)의 하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통로(20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로(206)는 개방부(220)와 제1가이드부(250)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이다.
상판(202)과 제1가이드부(250)는 높이 차가 있어 단이 지게 된다.
제1가이드부(250)는 측판(204)의 상단 양측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제1가이드부(250)는 내측으로 갈수록 상하측 두께가 얇아지고, 좌우폭은 좁아진다.
통로(206)의 전후폭은 걸림편(140)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돼야 한다.
안착홈(210)과 개방부(220)는 파스너 브라켓(200)의 상판(202)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220)는 안착홈(210)의 직경보다 폭이 작으며 안착홈(210)의 전방과 연통된 걸림턱(222)과, 걸림턱(222)의 전방과 연통되도록 상기 통로(206)의 측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250)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140)의 측면이 접촉되는 제2가이드부(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판(202)의 양측에 형성된 제2가이드부(224)는 제1가이드부(250)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와 접촉된다.
제2가이드부(224)의 좌우폭은 걸림턱(222)의 좌우폭보다 넓고, 통로(206) 측부에서는 걸림편(140)의 직경보다 작다.
제2가이드부(224)는 전측 단부의 좌우폭이 걸림편(1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파스너(100) 조립시 걸림편(140)을 양측의 제1가이드부(250) 사이에 쉽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가이드부(224)의 좌우폭은 후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므로 파스너(100)는 조립 도중에 걸림편(140)의 양측면이 제2가이드부(224)와 접촉되면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게 되며, 접촉된 후에는 좌우위치를 맞출 필요 없이 후측으로 밀어넣기만 하면 된다.
또한, 이탈방지턱(240)은 측판(204)의 상단 중앙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탄성편(242)과, 탄성편(242)의 후측에서 절곡되어 파스너(100) 조립시 걸림편(140)과 접촉되는 접촉편(2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탈방지턱(240)의 상단은 접촉편(244)의 상면이며, 상기 상판(202)의 하면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접촉편(244)은 파스너(100)의 지지편(120)과 걸림편(140) 사이에 위치된다. 즉 접촉편(244)은 지지편(120)보다는 하측에 위치되고 걸림편(140)보다는 상측에 위치된다.
접촉편(244)의 하면에는 후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면(246)이 형성된다. 접촉편(244)의 후측 단부와 경사진 면(246)의 후측 단부는 동일 지점이다.
경사진 면(246)은 걸림편(140)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파스너(100)는 전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후측에 하중이 가해져 전측이 들리더라도 걸림편(140)이 경사진 면(246) 또는 접촉편(244)에 걸리므로 파스너(100)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파스너 브라켓(200)을 상측에서 볼 때, 이탈방지턱(240)의 후측 단부는 양측의 걸림턱(222) 사이에 위치된다.
이탈방지턱(240)의 좌우측 폭은 일정하며 제2가이드부(224)의 폭보다 작다. 또한 이탈방지턱(240)의 상단은 제1가이드부(250)의 상단보다 높이 위치된다.
또한, 상기 측판(204)에는 상기 이탈방지턱(240)과 상기 양측의 제1가이드부(250) 사이에 절개부(260)가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턱(240)과 상기 양측의 제1가이드부(250)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이탈방지턱(240)이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개부(260)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파스너(100)를 파스너 브라켓(200)에 조립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이탈방지턱(240)을 누르면 탄성편(242)이 하측으로 휘어지면서 접촉편(244)이 하측으로 내려간다. 이후 다른 손으로 파스너(100)를 잡고 걸림편(140)이 접촉편(244)에 접촉되고 지지편(120)이 상판(202)에 접촉되게 한다. 이때 탄성편(242)의 높이가 제1가이드부(250)의 높이보다 낮아지거나 같아지면 걸림편(140)은 양측의 제1가이드부(250)와도 접촉될 수 있다.
이후, 파스너(100)를 후측으로 이동시키면 걸림편(140)은 하면이 접촉편(244)과 제1가이드부(250)와 접촉되고, 측면이 제2가이드부(224)와 접촉되거나 제2가이드부(224)에 눌려서 찌그러진 채 후측으로 이동한다.
걸림편(140)이 통로(206)를 통과하여 상판(202)의 하측에 삽입되고 삽입부(130)가 걸림턱(222)을 통과하여 안착홈(210)에 삽입 안착되면 파스너(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조립이 완료된 파스너(100)는 지지편(120)이 상판(202)의 상면과 접촉되고, 파스너(100)의 걸림편(140)은 상판(202)의 하면과 접촉되어 파스너(10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파스너(100)에 하중이 가해져 삽입부(130)가 안착홈(210)에서 빠져나와 걸림턱(222)까지 이동하더라도 삽입부(130) 또는 걸림편(140)이 이탈방지턱(240)에 걸려 파스너(100)가 파스너 브라켓(200)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파스너(100)에 후측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면 삽입부(130)는 안착홈(210)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스너(100)를 조립시킨 상태에서 운반하거나 사용되더라도 파스너(100)가 이탈방지턱(240)에 걸려 이탈되지 않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되고 클레임이 감소된다.
한편, 조립된 파스너(100)를 이탈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한 손으로 이탈방지턱(240)을 누르면 탄성편(242)이 도 2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회전되도록 탄성 변형되어 이탈방지턱(240)이 상판(202)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이때 다른 손으로 파스너(100)를 조립할 때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파스너 브라켓(200)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즉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은 이탈방지턱(240)이 하측으로 휘어져 삽입부(130)나 걸림편(140)이 이탈방지턱(240)에 걸리지 않을 때에만 파스너(100)를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야만 파스너(100)의 이탈이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별다른 설명이 없을 경우 이탈방지턱(240)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파스너 브라켓(200)의 내측 방향은 파스너 브라켓(200)의 중앙 방향을 말한다.
한편, 미설명된 부호 110은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된 부품결합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파스너 110 : 부품결합부
120 : 지지편 130 : 삽입부
140 : 걸림편 200 : 파스너 브라켓
202 : 상판 204 : 측판
210 : 안착홈 220 : 개방부
222 : 걸림턱 224 : 제2가이드부
240 : 이탈방지턱 242 : 탄성편
244 : 접촉편 246 : 경사진 면
250 : 제1가이드부 260 : 절개부

Claims (6)

  1. 파스너가 장착되는 파스너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브라켓은,
    상기 파스너의 삽입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상판;
    상기 파스너의 걸림편의 하면이 가이드되는 제1가이드부가 양측에 형성된 측판;
    상기 파스너가 상기 안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판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파스너 삽입시 상기 이탈방지턱은 하측으로 휘어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상기 걸림편의 하면이 상기 제1가이드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이탈방지턱에 걸려 상기 파스너가 상기 파스너 브라켓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브라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이 상기 이탈방지턱에 걸려 상기 파스너가 상기 파스너 브라켓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브라켓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의 상면은 상기 상판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는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상기 제1가이드부의 후측 단부와 상기 상판 사이에는 상기 걸림편이 상기 상판의 하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브라켓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걸림편의 측면이 접촉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스너 브라켓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판에는 상기 이탈방지턱과 상기 양측의 제1가이드부 사이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턱과 상기 양측의 제1가이드부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이탈방지턱이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브라켓
KR1020170147974A 2017-11-08 2017-11-08 파스너 브라켓 KR101987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974A KR101987877B1 (ko) 2017-11-08 2017-11-08 파스너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974A KR101987877B1 (ko) 2017-11-08 2017-11-08 파스너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349A true KR20190052349A (ko) 2019-05-16
KR101987877B1 KR101987877B1 (ko) 2019-06-12

Family

ID=6667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974A KR101987877B1 (ko) 2017-11-08 2017-11-08 파스너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87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17U (ja) * 1993-06-14 1995-01-13 東京シート株式会社 クリップ取付座
JP2009035015A (ja) * 2007-07-09 2009-02-19 Toyoda Gosei Co Ltd 車両内装成形品のクリップ取付座
JP2009281581A (ja) * 2008-04-25 2009-12-03 Piolax Inc クリップ
JP2009299850A (ja) * 2008-06-16 2009-12-24 Daikyonishikawa Corp クリップ取付座
KR20110058297A (ko) 2009-11-26 2011-06-01 한일이화주식회사 유동방지 리브를 가지는 훼스너 브라켓
KR20150058913A (ko) 2013-11-21 2015-05-29 한일이화 주식회사 차량용 훼스너
KR20160104187A (ko) 2015-02-25 2016-09-05 덕양산업 주식회사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KR20160142505A (ko)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프라코 자동차 내외장 부품 고정용 패스너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17U (ja) * 1993-06-14 1995-01-13 東京シート株式会社 クリップ取付座
JP2009035015A (ja) * 2007-07-09 2009-02-19 Toyoda Gosei Co Ltd 車両内装成形品のクリップ取付座
JP2009281581A (ja) * 2008-04-25 2009-12-03 Piolax Inc クリップ
JP2009299850A (ja) * 2008-06-16 2009-12-24 Daikyonishikawa Corp クリップ取付座
KR20110058297A (ko) 2009-11-26 2011-06-01 한일이화주식회사 유동방지 리브를 가지는 훼스너 브라켓
KR20150058913A (ko) 2013-11-21 2015-05-29 한일이화 주식회사 차량용 훼스너
KR20160104187A (ko) 2015-02-25 2016-09-05 덕양산업 주식회사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KR20160142505A (ko)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프라코 자동차 내외장 부품 고정용 패스너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877B1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367B2 (en) Fastener
US7108542B2 (en) Connector apparatus with a mating detecting member calle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US8763217B2 (en) Buckle
US10780797B2 (en) Part fixture
US20120110793A1 (en) Fastener
KR20090071495A (ko)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접속 방법
US9048574B2 (en) Spring lock connector
US9071021B2 (en) Spring lock type connector
US9099805B2 (en) Spring lock type connector
US20180128299A1 (en) Vehicle Fixture Component
US11649912B2 (en) Pipe connector
KR20150041064A (ko) 패널 고정형 커넥터 장치
CN211354108U (zh) 扣具
JP2000135103A (ja) 合成樹脂製バックル
KR101987877B1 (ko) 파스너 브라켓
JP6702965B2 (ja) コネクタ位置保証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TWI730324B (zh) 插扣用的插銷以及插扣
EP0965504B1 (en) Switch for a buckle, buck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uckle
US20050082794A1 (en) Air bag module with adjustable cover
JP6243701B2 (ja) 取付部材の取付構造
WO2014038068A1 (ja) ベルトアジャスター
JP2018132140A (ja) シート状部材の取付具
JP2000205214A (ja) 嵌め込みクリップ
JP2008032115A (ja) クリップ
JP2004319600A (ja) 電気機器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