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888A -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888A
KR20190051888A KR1020187012701A KR20187012701A KR20190051888A KR 20190051888 A KR20190051888 A KR 20190051888A KR 1020187012701 A KR1020187012701 A KR 1020187012701A KR 20187012701 A KR20187012701 A KR 20187012701A KR 20190051888 A KR20190051888 A KR 20190051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function
seeker
channel
adverti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야 야마우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51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68Discovery involving direct consultation or announcement among potential requesting and potential source pe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Wi-Fi P2P 사양에 준하여 적합하게 통신 동작을 행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WFD R2의 디바이스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 또는 서비스 시커 기능 중 어느 한쪽을 동작시키고자 하면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키도록 한다. 특히 디바이스가 서비스 시커로서만 동작하는 상황을 회피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하여,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로서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로서 상대 디바이스로부터도 발견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Wi-Fi P2P(Peer-to-Peer) 사양에 준하여 통신 동작을 행하는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전화, 태블릿 등 다양한 정보 단말기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802.11로 대표되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규격에 준거한 통신 기능을 표준으로 장비하고 있다. 무선 LAN으로서,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P2P(이하, 「Wi-Fi 다이렉트」 또는 「Wi-Fi Direct」라 칭해지는 경우도 있음), Wi-Fi CERTIFIED Miracast를 이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Wi-Fi P2P를 실장하고 있는 정보 단말기는 간단하고도 손쉬운 조작으로 인쇄, 정보의 공유·동기화, 화상 표시 등을 행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28465호 공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목적은, Wi-Fi P2P 사양에 준하여 적합하게 통신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우수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 과제를 참작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제1 측면은, Wi-Fi P2P 또는 BSS(Basic Service Set)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이며,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 또는 서비스 시커 기능 중 어느 한쪽을 동작시키고자 할 때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 및 서비스 시커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는 통신 장치이다.
본 명세서의 제2 측면에 의하면, 제1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는, 동 통신 장치 내에서 ASP(Application Service Platform)가 서비스층으로부터 시크 서비스 메소드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을 동작시키고, 또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동작이 정지되어 있을 때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도 동작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3 측면은,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이며,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는 통신 장치이다.
본 명세서의 제4 측면에 의하면, 제3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대응 가능한 서비스 명칭에 매치되는 해시값을 포함한 요구 또는 대응 가능한 서비스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포함한 문의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을 동작시켜 다른 통신 장치에,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5 측면은,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이며,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 있어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소셜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여,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이다.
본 명세서의 제6 측면에 의하면, 제5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는, 서비스 시커 기능을 이용하여 송신한 요구 또는 문의에 대한 응답을 제2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7 측면은,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이며,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 있어서,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소셜 채널상에서, 스스로 송신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에 대한 응답을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8 측면은,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이며,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 있어서,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소셜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스스로 송신함과 함께, 스스로 송신한 요구 또는 문의에 대한 응답, 혹은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의 수신 대기를 행한 후에,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이다.
본 명세서의 제9 측면에 의하면, 제8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는, 소셜 채널 이외에서의 요구 또는 문의의 송신을 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유저에게 확인한 후, 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10 측면은,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이며,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이 오퍼레이팅 채널에 한정되는 상황 하에 있어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여,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11 측면은, Wi-Fi P2P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이며,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이 오퍼레이팅 채널에 한정되는 상황 하에 있어서,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함과 함께,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 또는 자기 디바이스가 송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통신 장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12 측면은,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는 스텝과,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동작이 정지되어 있을 때, 추가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13 측면은,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을 동작시켜,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 대기하는 스텝과,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여,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14 측면은,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의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을 동작시켜, 소셜 채널상에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 대기하는 스텝과,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는 스텝과,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15 측면은,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의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는 스텝과,
소셜 채널상에서, 스스로 송신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에 대한 응답을 수신 대기하는 스텝과,
스스로 송신한 요구 또는 문의에 대한 응답을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16 측면은,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의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는 스텝과,
소셜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스텝과,
스스로 송신한 요구 또는 문의에 대한 응답, 혹은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 대기하는 스텝과,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17 측면은,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이 오퍼레이팅 채널에 한정되는 상황 하에서의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을 동작시켜,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 대기하는 스텝과,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는 스텝과,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18 측면은, Wi-Fi P2P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이 오퍼레이팅 채널에 한정되는 상황 하에서의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는 스텝과,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 또는 자기 디바이스가 송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의하면,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시에 Wi-Fi P2P 서비스에서 정의되는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로서 적합하게 통신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우수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상기 효과 이외에 추가로 부가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또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나 첨부하는 도면에 기초한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P2Ps 프레임워크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P2Ps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P2Ps 디바이스 사이에서 ASP 세션을 셋업하기 위한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P2Ps 디바이스로서 무선 통신 동작을 행하는 통신 장치(400)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WFD R2의 디바이스가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 및 서비스 시커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도록 셋업하는 시퀀스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WFD R2의 디바이스가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및 서비스 시커의 양쪽 기능을 동작시키도록 셋업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WFD R2의 디바이스가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키도록 셋업하는 시퀀스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WFD R2의 디바이스가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키도록 셋업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 WFD R2의 디바이스가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키도록 셋업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 WFD R2의 디바이스가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의, 셋업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 WFD R2의 디바이스가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의, 셋업하기 위한 처리 수순(단, 소셜 채널 이외에서의 스캔도 반드시 행하는 경우)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있는 상황 하에서 WFD R2의 디바이스가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키도록 셋업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 WFD R2의 디바이스가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의, 셋업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포인트 (3)의 요점을 정리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Wi-Fi P2P에 의하면, 각 디바이스를 액세스 포인트(AP)의 개재 없이 서로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WFA(Wi-Fi Alliance)에서는, Wi-Fi P2P 링크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센드(Send), 플레이(Play), 디스플레이(Display), 프린트(Print) 등)를 서포트하는 플랫폼을 도입하는 기술, 즉, Wi-Fi P2P 서비스(P2Ps)가 사양화되어 있다.
도 1에는 P2Ps 프레임워크 구성 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 중, 참조 번호 101로 나타내는 Wi-Fi P2P층은, Wi-Fi P2P 표준에 의하여 정의되는 MAC(Media Access Control)층에 상당하는데, Wi-Fi P2P 표준과 호환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Wi-Fi P2P층(101)의 상위에는, 참조 번호 102로 나타내는 Application Service Platform(ASP)이라는 플랫폼이 정의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Wi-Fi P2P층(101)의 하위에는, Wi-Fi PHY와 호환되는 물리층에 의하여 무선 접속이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ASP층(102)의 상위에는, 참조 번호 103으로 나타내는 서비스(Service)층이 정의된다.
ASP층(102)은 각 서비스에서 공유되는 공통의 플랫폼이며, 최상위의 애플리케이션(App)층(104)과 하위의 Wi-Fi P2P층(101) 사이의 세션 관리나 서비스의 명령 처리, 다른 디바이스의 ASP 간의 제어 등을 행한다. ASP층(102)은 각 서비스에서 필요한 공통의 기능,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Device Discovery),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 ASP 세션 관리 등을 실현한다.
서비스층(103)은, 유스 케이스 특정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WFA에서는, 센드, 플레이, 디스플레이, 프린트 등의 기본 서비스가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센드 서비스는, 2개의 P2Ps 디바이스 사이에서 파일 전송을 행하는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이다. 또한 플레이 서비스는, 2개의 P2Ps 디바이스 사이에서 DLNA(등록 상표)(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또는 스트리밍을 행하는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서비스는, 디바이스(Source와 Sink) 사이에서 화면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서비스는, WFA에 의하여 책정된, 1대1의 무선 통신에 의한 디스플레이 전송 기술인 Miracast의 유스 케이스이며, 그 기술 사양은 Wi-Fi Display(WFD)로서 규정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는, 문서나 화상 등의 콘텐츠를 갖고 있는 디바이스와 프린터 사이에서의 문서나 화상의 프린트 아웃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이다.
또한 서드 파티로부터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서포트하고 ASP 공통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참조 번호 105로 나타내는 인에이블(Enable)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정의해도 된다.
애플리케이션층(104)은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유저에 대하여 정보를 가시화하여 표현함과 함께, 유저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하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계속해서, P2Ps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동 도면에서는, P2Ps에 의하여 P2P 접속되는 2대의 디바이스 A, B가 존재한다.
디바이스 A와 디바이스 B의 서로의 P2P층 사이에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및 P2P가 행해지면, 서로의 ASP 사이에서는 ASP 세션이라 칭해지는 논리적인 링크가 셋업된다. 또한 ASP는, 상대 디바이스의 ASP와의 사이에서, 서비스별로 복수의 ASP 세션을 셋업할 수 있으며, 각 ASP 세션은 그 세션을 요구한 ASP에 의하여 할당되는 세션 식별자로 식별된다.
디바이스의 서비스는, 다른 디바이스측의 대응하는 디바이스와, 서비스 표준으로 ASP 프로토콜에 의하여 정의되는 서비스 특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디바이스 A와 디바이스 B의 서비스 X 사이에서 서비스 세션이 셋업되고, 또한 디바이스 A와 디바이스 B의 서비스 Y 사이에서는 다른 서비스 세션이 셋업되어 있다.
디바이스 내의 ASP와 서비스 사이에서는 메소드(method) 및 이벤트(event)라는 인터페이스가 정의되어 있다. 메소드는, 서비스에 의하여 개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이다. 메소드의 파라미터(또는 필드)에는, 수행하고자 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이벤트는, ASP로부터 서비스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유저가 디바이스 A와 디바이스 B 사이에서 서비스 X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각 디바이스상의 ASP는 서비스 X 전용의 ASP 세션을 디바이스 사이에서 확립하고 나서 서비스 세션을 확립한다. 또한 유저가 서비스 Y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Y 전용의 ASP 세션을 디바이스 사이에서 새로이 확립하고 나서 서비스 세션을 확립한다.
계속해서, P2Ps 디바이스 사이에서 ASP 세션을 셋업하기 위한 시퀀스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WFA에서 규정되는 P2Ps에서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시에 서비스 시커(Service Seeker)와 서비스 애드버타이저(Service Advertiser)라는 역할이 정의되어 있다. 서비스 시커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를 발견(discover)하고, 원하는 서비스를 검출한 경우에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와의 접속을 요구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디바이스 A와 서비스 시커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디바이스 B 사이에서 ASP 세션의 셋업을 행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서비스 시커나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라는 용어는, 그 역할을 담당하는 기기 전체를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보다 정확히는 서비스 시커 기능(Service Seeker Application)이나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Service Advertiser Application)을 동작시킨 P2Ps 디바이스(P2Ps 기기)를 가리키고 있다.
ASP의 셋업 동작은, 한쪽 P2Ps 디바이스의 특정 서비스가 다른 쪽 P2Ps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탐색하여 서비스를 요구하고, Wi-Fi P2P 접속을 확립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과정이다.
디바이스 A 내의 ASP가 동 디바이스 내의 서비스층으로부터 애드버타이즈 서비스 메소드(AdvertiseService method)를 수신하면, 디바이스 A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로서 동작한다. 도 3에서는, 디바이스 A는 P2P 인터페이스(I/F)측에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한다. 디바이스 A는 자신의 서비스를 애드버타이즈하여, 다른 디바이스가 당해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도록 대기한다. 또한 디바이스 A의 ASP는, 서비스층으로부터 공급되는 애드버타이즈 서비스 메소드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에 응답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B 내의 서비스층은, 애플리케이션(도시를 생략)으로부터 서비스를 사용하는 의도(User Service)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시크 서비스 메소드(SeekService method)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여 ASP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 B 내의 ASP가 서비스층으로부터 시크 서비스 메소드를 수신하면, 디바이스 B는 서비스 시커로서 동작하여, 상위 애플리케이션 또는 유저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프로세스를 실시한다. 도 3에서는, 디바이스 B는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시커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한다.
디바이스 B의 ASP는 다른 디바이스에,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 프레임을 P2P 인터페이스측으로부터 전송한다. 이때, 디바이스 B의 ASP는, 자신이 찾고자 하는 서비스의 서비스 명칭(service name)의 해시값을 계산하여 프로브 요구 프레임 내에 포함시킨다.
디바이스 A의 ASP는, 자신이 서포트하고 있는 서비스의 서비스 명칭의 해시값을 계산하고 있어, P2P 인터페이스에서 디바이스 B로부터의 프로브 요구를 수신하면 해시 매칭(Hash Matching)을 시도한다. 그리고 해시값이 일치하여, 디바이스 B가 찾고 있는 서비스를 서포트하고 있음을 알게 된 때는, 디바이스 A는 디바이스 B에 대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P2P 인터페이스측으로부터 전송한다. 프로브 응답 프레임 내에 서비스 명칭, 애드버타이즈먼트 ID 값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프로브 요구 프레임 및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교환하는 프로세스에서는, 디바이스 A와 디바이스 B가 서로 P2Ps를 서포트하는 디바이스이고, 각자가 서포트하는 서비스를 검지할 수 있어,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라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디바이스 A와 디바이스 B는 P2P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통하여 서비스의 구체적인 사항에 관한 정보를 교환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명칭(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서포트의 유무를 탐색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서비스 명칭), 서비스 정보 요구를 포함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요구(Service Discovery Request) 메시지가 디바이스 B의 P2P 인터페이스로부터 디바이스 A에 전송된다.
이에 대하여, 디바이스 A의 ASP는 서비스 명칭의 매칭(Name Matching)을 행하여, 매칭되는 경우에는 서비스 디스커버리 응답(Service Discovery Response) 메시지가 디바이스 A의 P2P 인터페이스로부터 디바이스 B에 전송된다. 서비스 디스커버리 응답 메시지에는 서비스 명칭, 애드버타이즈먼트 ID, 서비스 상태, 서비스 상태(Service Status) 등의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서비스 상태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로서의 디바이스 A측에서 원격 디바이스로부터 요구되는 서비스가 이용 가능한지를 통지하는 정보이다.
디바이스 B의 ASP는, 서비스층으로부터 시크 서비스 메소드에 의하여 요구된 동작이 완료되면, 그 결과인 서치 결과(SearchResult)를, 서비스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도시를 생략)은, P2P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통하여 발견한 디바이스를 리스트업한 디바이스 리스트를 UI에 표시한다. 유저는 이 UI를 통하여 원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ASP는, 서비스층으로부터 접속 요구(ConnectSession) 메소드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유저가 선택한 디바이스에 대한 P2P 접속을 시도하는데, 이후의 프로세스의 상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는, P2Ps 디바이스로서 무선 통신 동작을 행하는 통신 장치(400)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통신 장치(400)는 데이터 처리부(401)와 제어부(402)와 통신부(403)와 전원부(40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통신부(403)는, 변복조부(411)와 공간 신호 처리부(412)와 채널 추정부(413)와 무선 인터페이스(IF)부(414)와 증폭부(415)와 안테나(416)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1세트의 무선 인터페이스부(414)와 증폭부(415)와 안테나(416)로 하나의 송수신 브랜치를 구성하며,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n개)의 송수신 브랜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증폭부(415)의 기능이 무선 인터페이스부(414)에 내포되는 경우도 있다.
통신부(403)는, P2Ps에서 규정되는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현재, 통신 동작을 행하고 있는 채널을 오퍼레이팅 채널(operating channel)이라 한다. 또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에 사용하는 채널을 소셜 채널(social channel)이라 한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부(403)에서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경우(시분할로 오퍼레이팅 채널 이외의 소셜 채널로 이행할 수 있는 경우)와,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있는 경우(소셜 채널로 이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데이터 처리부(401)에서는, 통신 프로토콜의 상위층(도시 생략)으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는 송신 시에 있어서, 그 데이터로부터 무선 송신을 위한 패킷을 생성하여, 미디어 액세스 제어를 위한 MAC 헤더의 부가나 오류 검출 부호의 부가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변복조부(411)에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401)는, 반대로 변복조부(411)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이 있는 수신 시에 있어서, MAC 헤더의 해석, 패킷 오류의 검출, 패킷의 리오더 처리 등을 실시하고, 처리 후의 데이터를 자신의 프로토콜 상위층에 제공한다. P2Ps 프레임워크에서는, Wi-Fi P2P 표준에 의하여 정의되는 MAC층은 Wi-Fi P2P층(도 1을 참조)에 상당한다.
제어부(402)는 통신 장치(400) 내의 각 부 사이의 정보의 전달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402)는, 통신부(403) 내의 변복조부(411) 및 공간 신호 처리부(412)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의 설정, 데이터 처리부(401)에 있어서의 패킷의 스케줄링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402)는, 통신부(403) 내의 무선 인터페이스부(414) 및 증폭부(415)의 파라미터 설정 및 송신 전력의 제어를 행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서는, 제어부(402)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시에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동작을 제어한다.
변복조부(411)는, 송신 시에는 데이터 처리부(401)로부터의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제어부(402)에 의하여 설정된 코딩 및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인코딩, 인터리브 및 변조 처리를 행하고, 데이터 심벌 스트림을 생성하여 공간 신호 처리부(412)에 제공한다. 또한 변복조부(411)는, 수신 시에는 공간 신호 처리부(412)로부터의 입력에 대하여, 송신 시와는 반대로 복조 처리, 디인터리브, 디코딩을 행하고, 데이터 처리부(401) 또는 제어부(402)에 데이터를 제공한다.
공간 신호 처리부(412)는, 송신 시에는 필요에 따라 변복조부(41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공간 분리에 제공될 신호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하나 이상의 송신 심벌 스트림을 각각의 무선 인터페이스부(413)에 제공한다. 또한 공간 신호 처리부(412)는, 수신 시에는 각각의 무선 인터페이스부(414)로부터 입력된 수신 심벌 스트림에 대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고, 필요에 따라 스트림의 공간 분리를 행하고 나서 변복조부(411)에 제공한다.
채널 추정부(413)는, 각 무선 인터페이스부(414)로부터의 입력 신호 중, 프리앰블 부분 및 트레이닝 신호 부분으로부터 전반로의 복소 채널 이득 정보를 산출한다. 산출된 복소 채널 이득 정보는 제어부(402)를 통하여, 변복조부(411)에서의 변복조 처리 및 공간 신호 처리부(412)에서의 공간 처리에 이용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414)는, 송신 시에는 공간 신호 처리부(412)로부터의 입력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필터링, 및 반송파 주파수로의 업컨버트를 실시하여, 안테나(416) 또는 증폭부(415)에 송출한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부(414)는, 수신 시에는 안테나(416) 또는 증폭부(415)로부터의 입력에 대하여, 반대로 기저 대역 주파수로의 다운컨버트나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공간 신호 처리부(412) 및 채널 추정부(413)에 데이터를 제공한다.
증폭부(415)는, 송신 시에는 무선 인터페이스부(414)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의 전력까지 증폭하여 안테나(416)에 송출한다. 또한 증폭부(415)는, 수신 시에는 안테나(416)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전력까지 저잡음 증폭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부(414)에 출력한다. 증폭부(415)는, 송신 시의 기능과 수신 시의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무선 인터페이스부(414)에 내포되는 경우가 있다.
전원부(404)는 배터리 전원 또는 고정 전원(상용 전원 등)으로 구성되며, 통신 장치(400)의 각 부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계속해서, 종래의 P2Ps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시의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WFA에서 규정되는 P2Ps에서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시에 서비스 시커와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라는 역할이 정의되어 있다(전술). 서비스 시커는 발견한 상대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UI에 표시할 수 있으며, 유저가 이 서비스 시커의 UI를 거쳐 선택한 디바이스에 대하여 접속을 시도한다. 그런데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는 자신이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회신할 뿐, 디바이스 리스트의 화면을 생성할 수 없어, 유저가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UI를 거쳐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없다.
한쪽이 시커로 되고 다른 쪽이 애드버타이저로 되는 디바이스의 조합으로 적합하게 기능하는 서비스면, 상기 규정 그대로여도 문제없다. 예를 들어 프린트 서비스라면, 프린트 서버로서 기능하는 PC(Personal Computer)가 시커로 되고 프린터가 애드버타이저로 된다. 시커로서의 프린트 서버는, 프린터의 발견과 유저가 선택한 프린터에 대한 접속을 시도한다. 또한 애드버타이저로서의 프린터는, 자신이 대응하고 있는 프린트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프린트 서버에 회신하면 되며, 유저에 디바이스 리스트를 제시하거나, 선택된 프린트 서버와 접속을 시도하거나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디바이스 사이에서 화면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서비스 등의 경우에서는, 화면 정보를 송신하는 Source, 및 Source로부터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Sink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상대를 선택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내의 화상을 TV 수상기와 같은 대화면에 표시 출력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측으로부터 화상의 출력처의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음과 함께, 반대로 TV 수신기측으로부터 화상의 제공원의 스마트폰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WFA에 의하여 책정된, 1대1의 무선 통신에 의한 디스플레이 전송 기술인 Wi-Fi Display Release 2(이하, 「WFD R2」라 함)의 유스 케이스에서는, Source 및 Sink의 각 디바이스는 모두 시커 및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에 대응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그 양 대응을 위한 수순이나 동작 방법이 정해져 있지 않으면, 호환성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요컨대 WFD R2의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와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을 동시에 동작시키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단, 여기서 말하는 「디바이스」는 Source와 Sink의 양쪽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서비스 시커와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는 P2Ps의 기술 사양서인 "Wi-Fi Peer-to-Peer Service Technical Specification"에 정의되어 있다. 또한 이 기술 사양서는 무상으로 공개되어 있다. 단, P2Ps의 기술 사양서에서는, ASP가 시크 서비스 메소드를 수신하면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로서 동작을 개시하고, ASP가 애드버타이즈 서비스 메소드를 수신하면 디바이스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로서 동작을 개시한다는 것까지밖에 기술되어 있지 않다. 즉,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시에 각 디바이스가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에 대응하기 위한 수순이나 동작 방법은,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는 않다.
한편, 단순히 서비스 시커와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을 동작시켜 버리면, 상대 기기를 발견하기까지 서비스 시커로서 동작해 버리기 때문에 프로브 요구를 계속해서 송신해 버려, 소비 전력의 증대나 무선 통신 매체의 부하 증대를 일으켜 버린다. 이 문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단순히 서비스 시커 기능을 동작시키는 시간과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을 동작시키는 시간을 전환하도록 하면, 당해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는 다른 P2Ps 기기로부터 발견될 수 있는 확률이 저하되거나, 당해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는 다른 P2Ps 기기를 발견할 수 있는 확률이 저하되거나 하여, 애초에 상호간에 서로 발견하기 위하여 서비스 시커와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을 동작시킨다는 목적과 양립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한 서비스 시커 기능을 항시 동작시켜 두면,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할 때마다 발견 상대 디바이스의 리스트나 접속 확인의 UI가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에게 있어서는 번거롭게 되어 버릴 우려도 있다.
또한 P2Ps 사양에 있어서는, 제2 층의 접속 수단으로서 Wi-Fi P2P만이 규정되어 있다. 이대로로는, AP에 접속하고 있는 단말기가 AP 경유로 서비스를 행하고자 하더라도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행할 수 없어, 실현할 수 없다. 그 때문에, AP와 접속하고 있는 BSS 접속을 이용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기능 확장을 행할 것이 요망된다.
그래서 본 명세서에서는, P2Ps의 기술 사양을 확장하여, WFD R2의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시에 시커 및 어드바이저의 양쪽에 대응하기 위한 수순이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통신 장치(400)는, 후술하는 수순이나 동작 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어부(402)에 있어서, 서비스 시커와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이 동시에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서비스 시커 동작의 개시를 제어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전제로서, WFD R2의 디바이스를, 디폴트로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을 동작시키도록 한다. 변형예로서, 종래대로 ASP가 애드버타이즈 서비스 메소드를 수신하면, 디바이스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러한 전제 하에, 이하에 나타내는 WFD R2의 디바이스의 수순 또는 동작 방법에 관한 포인트 (1) 내지 (3)을 설명한다.
포인트 (1)
WFD R2의 디바이스 내의 ASP가 시크 서비스 메소드 또는 애드버타이즈 서비스 메소드 중 적어도 어느 쪽을 수신하면, 이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기능을 동작시킨다. 또한 이때 서비스 애드버타이저가 오프로 되어 있으면,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도 동작시킨다.
요컨대 WFD R2의 디바이스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 또는 서비스 시커 기능 중 어느 한쪽을 동작시키고자 하면,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키도록 한다. 특히 디바이스가 서비스 시커로서만 동작한다는 상황을 회피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하여,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로서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로서 상대 디바이스로부터도 발견될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WFD R2의 디바이스가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 및 서비스 시커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도록 셋업하는 시퀀스예를 나타내고 있다.
디바이스 B 내의 ASP가 서비스층으로부터 시크 서비스 메소드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디바이스 B는 서비스 시커로서 동작한다. 다른 디바이스에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여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실시하는 점 등은 도 3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디바이스 B에 있어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가 오프로 되어 있으면, ASP가 스스로에 대하여 애드버타이즈 서비스 메소드를 발행함으로써 디바이스 B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로서도 동작한다.
또한 디바이스 A 내의 ASP가 서비스층으로부터 애드버타이즈 서비스 메소드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디바이스 B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로서 동작한다.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로브 요구 수신 대기에 들어가는 점 등은 도 3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디바이스 A에 있어서, 서비스 시커가 오프로 되어 있으면, 디바이스 A 내의 ASP가 스스로에 대하여 시크 서비스 메소드를 발행함으로써 디바이스 A는 서비스 시커로서도 동작한다.
도 6에는, WFD R2의 디바이스가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및 서비스 시커의 양쪽 기능을 동작시키도록 셋업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도시하고 있다.
디바이스 내에서 ASP가 서비스층으로부터 시크 서비스 메소드를 수신하면(스텝 S601의 "예"), 또한 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서비스 시커의 동작이 오프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602). 그리고 서비스 시커의 동작이 오프로 되어 있으면(스텝 S602의 "예"), 이 디바이스 내에서 ASP가 스스로에 대하여 시크 서비스 메소드를 발행시켜(스텝 S603),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의 동작을 온으로 한다(스텝 S604). 이와 같이 하여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로서 동작하게 된다.
이때, 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동작이 오프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605). 그리고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동작이 오프로 되어 있으면(스텝 S605의 "예"), 이 디바이스 내에서 ASP가 스스로에 대하여 애드버타이즈 서비스 메소드를 발행하여(스텝 S606), 디바이스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동작을 온으로 한다(스텝 S607).
포인트 (2)
WFD R2의 디바이스는,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자신이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예를 들어 Miracast Sink)에 매치되는 해시값을 포함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하면, 곧바로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키도록 한다. 그 결과, 이 디바이스는 스스로도 다른 디바이스에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게 된다.
WFD R2의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를 기동하지 않으면 스스로 상대를 찾을 수 없어, 자기 디바이스에서 표시하는 디바이스 리스트를 만드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는 디바이스는, 상기와 같이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킴으로써 자기 디바이스에서 표시하는 디바이스 리스트를 작성하고, 유저에게 그 UI를 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는, WFD R2의 디바이스 A가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키도록 셋업하는 시퀀스예를 나타내고 있다.
디바이스 B 내의 ASP가 서비스층으로부터 시크 서비스 메소드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디바이스 B는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한다. 그리고 디바이스 B는, 자신이 찾고자 하는 서비스 명칭의 해시값을 포함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디바이스 A는, ASP가 동 디바이스 내의 서비스층으로부터 애드버타이즈 서비스 메소드를 수신한 것에 의하여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B로부터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명칭의 해시값이, 디바이스 A에서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와 매치되었다고 하자. 디바이스 A가 디바이스 B에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회신하고, 뒤이어 디바이스 B와의 사이에서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실시하는 점 등은 도 3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디바이스 A에 있어서, ASP가 스스로에 대하여 시크 서비스 메소드를 발행함으로써 디바이스 A는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킨다.
그리고 디바이스 A는, 자신이 찾고자 하고 있는 서비스 명칭의 해시값을 포함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다른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해시값이 매치된 디바이스(가령 디바이스 B라 함)로부터의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고, 서치 결과에 기초하는 디바이스 리스트의 UI를 유저에 제시할 수 있다.
도 8에는, WFD R2의 디바이스가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키도록 셋업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도시하고 있다.
디바이스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로서 동작 중이면(스텝 S801의 "예"), (서비스 시커로서 동작하고 있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 대기한다(스텝 S802).
그리고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하면(스텝 S802의 "예"),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명칭의 해시값이, 자기 디바이스에서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와 매치되는지 아닌지 해시 매칭을 행한다(스텝 S803).
여기서, 해시값이 매치되지 않으면(스텝 S804의 "아니오"),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서는 자기 디바이스에서는 대응할 수 없는 서비스가 지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스텝 S801으로 되돌아가 디바이스는 이대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로서만 동작을 계속한다.
한편, 서비스 명칭의 해시값이 매치될 때는(스텝 S804의 "예"),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서는 자기 디바이스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가 지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이 디바이스 내에서는 ASP가 스스로에 대하여 시크 서비스 메소드를 발행함으로써(스텝 S805),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킨다(스텝 S806).
이와 같이 하여,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는 디바이스는, 해시값이 매치되는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킴으로써 스스로도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게 되며, 그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자기 디바이스에서 표시하는 디바이스 리스트를 작성하여, 유저에게 그 UI를 제시할 수 있게 된다.
BSS(Basic Service Set) 접속측에서도 마찬가지의 것을 행하는 변형예도 생각할 수 있다. 즉, WFD R2의 디바이스는, BSS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자신이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예를 들어 Miracast Sink)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mDNS 문의(multicast DNS(Domain Name System) query)를 수신하면, 곧바로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키도록 한다. 그 결과, 이 디바이스는 스스로도 mDNS 문의를 송신하게 되며, 대응하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mDNS 문의를 수신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mDNS 응답을 수신하여,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의 서치 결과에 기초하여 자기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디바이스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포인트 (3)
WFD R2의 디바이스는,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의 제한의 유무와 디바이스의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또는 서비스 시커의 동작 상태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IEEE802.11에서는, 할당된 대역을 복수의 채널로 분할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중 하나는 서비스 디스커버리에 사용하는 소셜 채널에 할당되고, 다른 채널은 통상의 통신 동작에 사용된다. 그 중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BSS 인터페이스측에서 AP와 접속할 때 사용하는 채널, P2P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고 있어 P2P GO(P2P Group Owner)와 접속할 때 사용하는 채널, 또는 스스로가 P2P GO로서 동작하는 채널을 오퍼레이팅 채널이라 칭하기로 한다.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경우란,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가 AP 또는 P2P GO에 어소시에이션하고 있지 않거나, P2P GO로 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소셜 채널 이외에서 동작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어소시에이션하고 있거나 P2P 그룹의 멤버로 되어 있더라도 시분할로 오퍼레이팅 채널 이외의 소셜 채널로 이행할 수 있는 경우이다.
한편,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있는 경우란,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가 AP 또는 P2P GO에 어소시에이션하고 있거나, 또는 자신이 P2P GO로서 동작하고 있고, 오퍼레이팅 채널이 소셜 채널이 아니고 또한 시분할로 소셜 채널로 이행하여 송수신할 수 없는 경우이며, 이 경우의 프레임 송수신 동작은 오퍼레이팅 채널에 한정된다.
(3-1)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경우이며, P2P 인터페이스용으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는 WFD R2의 디바이스는, 소셜 채널상에서 자신이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에 매치되는 해시값을 포함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소정 시간만큼 대기하고, 수신하지 않았으면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켜,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스캔(즉,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송신과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수신 대기, 및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 대기)을 행한다.
WFD R2의 디바이스는, 타임 아웃되면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켜 스스로 적극적으로 다른 채널상에서도 상대 디바이스의 탐색을 개시하는 데다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도 동작시킨 채 그대로이므로, 상대 디바이스로부터도 다른 채널상에서 발견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시커로서 제2 소정 시간만큼 지나서도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기능을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 대기 상태에 있으며, 수신되었을 때 해시 매칭되고, 매치된 경우에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회신한다. 한편,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은 스스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므로, 그 송신 전력 분만큼 소비 전력이 많아짐과 함께 송신 시에 통신 미디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2 소정 시간이 타임 아웃됨으로써 서비스 시커 기능을 정지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저소비 전력화와 무선 통신 매체의 절약(트래픽의 혼잡 회피)으로 된다.
도 9에는,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 WFD R2의 디바이스가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키도록 셋업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도시하고 있다.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는 WFD R2의 디바이스는 소셜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한다(스텝 S901).
소정 시간이 타임 아웃되기까지(스텝 S902의 "아니오"), 소셜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이 수신되었을 때는(스텝 S901의 "예"), 디바이스는,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해시값이, 자기 디바이스에서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와 매치되는지 아닌지, 해시 매칭을 행한다(스텝 S903).
여기서, 해시값이 매치될 때는(스텝 S904의 "예"),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서는 자기 디바이스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가 지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에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회신한 후에(스텝 S905), 즉시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킨다(스텝 S906).
한편, 소정 시간 내에 소셜 채널상에서, 자기 디바이스가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에 매치되는 해시값을 포함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했을 때는(스텝 S904의 "아니오" 및 스텝 S902의 "예"), 이 디바이스 내에서 ASP가 스스로에 대하여 시크 서비스 메소드를 발행함으로써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킨다(스텝 S906). 이후, 디바이스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로서 계속해서 동작하면서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도 개시한다.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로서,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스캔(즉,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송신과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수신 대기)을 행한다(스텝 S907). 디바이스는, 타임 아웃되면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켜 스스로 적극적으로 다른 채널상에서도 상대 디바이스의 탐색을 개시하는 데다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도 동작시킨 채 그대로이므로, 상대 디바이스로부터도 다른 채널상에서 발견될 수 있게 된다.
디바이스는, 제2 소정 시간만큼(스텝 S910의 "아니오"), 모든 채널 상에서의 스캔 동작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이 동안에도 디바이스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도 동작시킨 채 그대로이므로, 상대 디바이스로부터도 다른 채널상에서 발견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처리 수순에서는, 소정 시간만큼 수신 대기하도록 타임 아웃 기구를 중지 조건에 이용하고 있지만, 최대의 스캔 시행 횟수 등 다른 중지 조건을 이용하더라도 본질적으로는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디바이스는, 제2 소정 시간 내에(스텝 S910의 "아니오"), 어느 채널상에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여 원하는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하였을 때는(스텝 S908의 "예"), 서치 결과로서, 서비스층 및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발견한 상대 디바이스 리스트의 UI를 유저에게 제시한다(스텝 S909).
또한 제2 소정 시간만큼 지나서도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하지 못했을 경우(스텝 S910의 "예"), 즉, 타임 아웃되면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기능을 정지한다(스텝 S911).
BSS 접속측에서 마찬가지의 것을 행하는 변형예도 생각된다. 즉, BSS 인터페이스용으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는 WFD R2의 디바이스는, 자신이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에 매치되는 해시값을 포함한 mDNS 문의를 수신하는 것을 소정 시간만큼 대기하고, 수신하지 않았으면 서비스 시커 기능을 동작시키도록 하고, 스스로 적극적으로 찾고 있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포함한 mDNS 문의를 송신하여 상대 디바이스를 탐색한다. 그래도 제2 소정 시간만큼 지나서도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기능을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타임 아웃되어 서비스 시커 기능을 정지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저소비 전력화와 무선 통신 매체의 절약(트래픽의 혼잡 회피)으로 된다.
(3-2)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경우이며, P2P 인터페이스용으로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키고 있는 WFD R2의 디바이스는, 소셜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함과 함께,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 또는 자기 디바이스가 송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수신을 소정 시간만큼 대기한다. 그리고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하지 못했으면, 이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을 모두 동작시킨 채 그대로,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스캔(즉,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송신과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수신 대기, 그리고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 대기)을 행한다.
이 경우, WFD R2의 디바이스는, 타임 아웃되면 스스로 적극적으로 다른 채널상에서도 상대 디바이스의 탐색을 개시하는 데다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도 동작시키고 있으므로, 상대 디바이스로부터도 다른 채널상에서 발견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시커로서 제2 소정 시간만큼 지나서도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기능을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도 10에는,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 WFD R2의 디바이스가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의, 셋업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도시하고 있다.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키고 있는 WFD R2의 디바이스는, 소셜 채널상에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한다(스텝 S1001).
소정 시간이 타임 아웃되기까지(스텝 S1010의 "아니오"), 소셜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이 수신되었을 때는(스텝 S1010의 "예"), 디바이스는,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해시값이, 자기 디바이스에서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와 매치되는지 아닌지, 해시 매칭을 행한다(스텝 S1002).
여기서, 해시값이 매치될 때는(스텝 S1003의 "예"),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서는 자기 디바이스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가 지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이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에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회신한 후(스텝 S1004), 상대 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계속해서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셜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고(스텝 S1005), 자기 디바이스가 송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한다(스텝 S1006).
한편, 소정 시간 내에, 소셜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도, 프로브 응답 프레임도 수신하지 못하고,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할 수 없었다면(스텝 S1010의 "예"), 이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을 모두 동작시킨 채 그대로,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스캔(즉,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송신)을 행한다(스텝 S1007). 또한 디바이스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도 동작시킨 채 그대로이므로, 상대 디바이스로부터도 다른 채널상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는, 소셜 채널상에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거나(스텝 S1006의 "예"), 또는 어느 채널상에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여 원하는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하였을 때는(스텝 S1008의 "예"), 서치 결과로서 서비스층 및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유저에게 디바이스 리스트의 UI를 제시한다(스텝 S1009).
또한 어느 채널상에서도 상대 디바이스를 검출하지 못했을 경우에는(스텝 S1008의 "아니오"),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킨 채 그대로, 스텝 S1001로 되돌아가 상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는 상대 디바이스를 검출하지 못했을 경우에는(스텝 S1008의 "아니오"), 서비스층 및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유저에게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서치 결과를 제시한 후에 유저에게 상대 디바이스 발견을 계속할 여부를 유저에게 선택시키는 UI를 제시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유저가 계속을 선택한 경우에만 스텝 S1001로 되돌아가고, 계속을 선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대 디바이스의 탐색을 중단하도록 해도 된다. 상대 디바이스의 탐색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이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기능을 정지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처리 수순에서는, 소정 시간만큼 대기하는 타임 아웃 기구를 중지 조건에 이용하고 있지만, 최대의 스캔 시행 횟수 등 다른 중지 조건을 이용하더라도 본질적으로 동등하다.
상기 (3-1) 및 (3-2)에 공통되는 장점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경우의 WFD R2의 디바이스는, 소셜 채널 이외에서 동작하고 있어 다른 채널로 이행할 수 없는 다른 디바이스(WFD R2 대응의 디바이스 및 WFD R1 대응의 디바이스)를 발견할 수 있고, 반대로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자기 디바이스가 발견될 수 있다.
(3-3)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경우이며, P2P 인터페이스용으로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키고 있는 WFD R2의 디바이스는, 소셜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함과 함께,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 또는 자기 디바이스가 송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수신을 소정 시간만큼 대기한다(상기 (3-2)와 마찬가지). 그리고 상대 디바이스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도, 이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을 모두 동작시킨 채 그대로,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스캔을 행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다른 채널에 존재할지도 모르는 WFD R2 대응의 디바이스나 WFD R1 대응의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함이다.
단,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스캔을 개시하기 전에, 유저가 소셜 채널 이외에서의 스캔을 허가 또는 희망하는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UI의 표시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11에는,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 WFD R2의 디바이스가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의, 셋업하기 위한 처리 수순(단, 소셜 채널 이외에서의 스캔도 반드시 행하는 경우)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도시하고 있다.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키고 있는 WFD R2의 디바이스는 소셜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고(스텝 S1101), 자기 디바이스가 송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함과 함께(스텝 S1102),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한다(스텝 S1103).
소정 시간이 타임 아웃되기까지(스텝 S1111의 "아니오"), 소셜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이 수신되었을 때는(스텝 S1103의 "예"), 디바이스는,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해시값이, 자기 디바이스에서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와 매치되는지 아닌지, 해시 매칭을 행한다(스텝 S1104).
여기서, 해시값이 매치될 때는(스텝 S1105의 "예"),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서는 자기 디바이스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가 지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이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에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회신한다(스텝 S1106).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스텝 S1107의 처리로서, 소셜 채널 상에서의 상대 디바이스의 서치 결과를 유저에게 제시한다. 그때, 소셜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도 프로브 응답 프레임도 수신하지 못하고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하지 못했을 경우에는(스텝 S1111의 "예"), 소셜 채널상에서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취지의 서치 결과를 유저에게 제시한다. 한편, 소셜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하고(스텝 S1103의 "예"), 또한 해시값이 매치되어(스텝 S1105의 "예"),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회신한 경우에는(스텝 S1106), 발견된 하나 내지 복수의 디바이스의 서치 결과를 유저에게 제시한다. 또한 스텝 S1107의 처리로서, 유저가 소셜 채널 이외에서의 스캔을 허가 또는 희망하는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고, 소셜 채널 이외에서의 스캔을 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소셜 채널 이외에서의 스캔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1108의 "아니오"),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기능을 정지하고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프로브 요구 프레임 수신 대기로 되돌아간다. 또는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킨 채 그대로, 스텝 S1101로 되돌아가 상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소셜 채널 이외에서의 스캔을 행하는 경우에는(스텝 S1108의 "예"), 이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을 모두 동작시킨
Figure pct00001
,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스캔(즉,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송신과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 대기 및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 대기)을 행한다(스텝 S1109). 또한 디바이스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도 동작시킨 채 그대로이므로, 상대 디바이스로부터도 다른 채널상에서 발견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디바이스가 소셜 채널 또는 어느 채널상에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여 원하는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하였을 때는(스텝 S1109의 "예"), 서치 결과로서 서비스층 및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유저에게 디바이스 리스트의 UI를 제시한다(스텝 S1110).
또한 어느 채널상에서도 상대 디바이스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스텝 S1109의 "아니오"),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킨 채 그대로, 스텝 S1101로 되돌아가 상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는 이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정지하고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프로브 요구 프레임 수신 대기로 되돌아가도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처리 수순에서는, 소정 시간만큼 대기하는 타임 아웃 기구를 중지 조건으로 이용하고 있지만, 최대의 스캔 시행 횟수 등 다른 중지 조건을 이용하더라도 본질적으로 동등하다.
(3-4)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에 제약이 있는 경우, 즉, 프레임 송수신 동작은 오퍼레이팅 채널에 한정되는 경우이며, P2P 인터페이스용으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는 WFD R2의 디바이스는,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 대기한다. 만약 자신이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예를 들어 Miracast Sink)에 매치되는 해시값을 포함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하면, 곧바로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킨다. 그 결과, 이 디바이스는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게 되며, 상대 디바이스를 스스로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도 12에는,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있는 상황 하에서 WFD R2의 디바이스가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키도록 셋업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도시하고 있다.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는 WFD R2의 디바이스는 소셜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한다(스텝 S1201).
소셜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이 수신되었을 때는(스텝 S1201의 "예"), 디바이스는,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해시값이 자기 디바이스에서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와 매치되는지 아닌지 해시 매칭을 행한다(스텝 S1203).
해시값이 매치되지 않을 때는(스텝 S1204의 "아니오"), 디바이스는 그대로 스텝 S1201로 되돌아가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동작만을 계속하고,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 대기한다.
한편, 해시값이 매치될 때는(스텝 S1204의 "예"),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서는 자기 디바이스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가 지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회신하고(스텝 S1205), 또한 이 디바이스 내에서 ASP가 스스로에 대하여 시크 서비스 메소드를 발행함으로써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기능도 동작시킨다(스텝 S1206). 이후, 디바이스는, 오퍼레이팅 채널 상에 있어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로서 계속해서 동작하면서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도 개시한다.
(3-5)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에 제약이 있는 경우, 즉, 프레임 송수신 동작은 오퍼레이팅 채널에 한정되는 경우이며, P2P 인터페이스용으로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키고 있는 WFD R2의 디바이스는,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함과 함께,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 또는 자기 디바이스가 송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한다.
도 13에는,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 WFD R2의 디바이스가 P2P 인터페이스측에서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의, 셋업하기 위한 처리 수순을 흐름도의 형식으로 도시하고 있다.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키고 있는 WFD R2의 디바이스는 먼저, 서비스 시커의 동작으로서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한다(스텝 S1301).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었을 때는(스텝 S1302의 "예"), 서치 결과로서 서비스층 및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유저에게 디바이스 리스트의 UI를 제시한다(스텝 S1303).
디바이스 리스트의 UI를 제시한 후(스텝 S1303), 및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했을 때(스텝 S1302의 "아니오"), 이 디바이스는 계속해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동작으로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한다(스텝 S1304).
프로브 요구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을 때는(스텝 S1304의 "아니오"), 스텝 S1301로 되돌아가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킨 채 그대로, 오퍼레이팅 채널 상에서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수신했을 때는(스텝 S1304의 "예"), 디바이스는,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해시값이, 자기 디바이스에서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와 매치되는지 아닌지 해시 매칭을 행한다(스텝 S1305).
해시값이 매치되지 않을 때는(스텝 S1306의 "아니오"), 스텝 S1301로 되돌아가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킨 채 그대로, 오퍼레이팅 채널 상에서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한 해시값이 매치될 때는(스텝 S1306의 "예"), 수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서는 자기 디바이스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가 지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동작을 계속한다. 즉, 이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에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회신한다(스텝 S1307). 그 후, 스텝 S1301로 되돌아가 디바이스는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의 양쪽의 기능을 동작시킨 채 그대로, 오퍼레이팅 채널 상에서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한 포인트 (3)의 요점을 도 14에 정리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의하면, 서비스 시커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동작을 행함으로써, 자기 기기가 대응하는 서비스 기기를 발견함과 동시에 다른 기기로부터 발견되도록 동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서비스 시커로서 동작하는 시간을 한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기기는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빈도를 저감시켜 소비 전력의 저감 및 무선 통신 매체의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상시 서비스 시커로서 동작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다른 서비스 대응 기기를 발견할 확률이나 다른 서비스 대응 기기로부터 발견될 확률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서비스 시커 기능을 특정 상태에 있어서 동작시키는 것보다 상대 디바이스를 발견할 때마다 상대 디바이스의 리스트나 접속 확인의 UI가 표시되어, 유저에게 있어서는 번거로운 것으로 되어 버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형태를 참조하면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해당 실시 형태의 수정이나 대용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주로 P2Ps 사양의 통신 장치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지만,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시에 시커와 애드버타이저의 역할이 정의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하여 원하는 통신 상대를 찾아내기 쉽게 할 수 있다.
요컨대 예시라는 형태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기재 내용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허 청구범위를 참작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1)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이며,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 또는 서비스 시커 기능 중 어느 한쪽을 동작시키고자 할 때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 및 서비스 시커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는 통신 장치.
(2) 상기 통신 장치 내에서 ASP가 서비스층으로부터 시크 서비스 메소드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을 동작시키고, 또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동작이 정지되어 있을 때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도 동작시키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3)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이며,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는 통신 장치.
(4)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대응 가능한 서비스 명칭에 매치되는 해시값을 포함한 요구 또는 대응 가능한 서비스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포함한 문의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을 동작시켜 다른 통신 장치에,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상기 (3)에 기재된 통신 장치.
(5)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이며,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 있어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소셜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여,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
(6) 서비스 시커 기능을 이용하여 송신한 요구 또는 문의에 대한 응답을 제2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을 정지하는, 상기 (5)에 기재된 통신 장치.
(7)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이며,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 있어서,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소셜 채널상에서, 스스로 송신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에 대한 응답을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하거나, 또는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
(8)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이며,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 있어서,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소셜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스스로 송신함과 함께, 스스로 송신한 요구 또는 문의에 대한 응답, 혹은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의 수신 대기를 행한 후에,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
(9) 소셜 채널 이외에서의 요구 또는 문의의 송신을 행해야 하는지 여부를 유저에게 확인한 후, 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상기 (8)에 기재된 통신 장치.
(10)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이며,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이 오퍼레이팅 채널에 한정되는 상황 하에 있어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만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여,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
(11) Wi-Fi P2P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이며,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이 오퍼레이팅 채널에 한정되는 상황 하에 있어서,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고 있을 때,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함과 함께,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 또는 자기 디바이스가 송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통신 장치.
(12)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는 스텝과,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동작이 정지되어 있을 때, 추가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13)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을 동작시켜,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 대기하는 스텝과,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여,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14)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의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을 동작시켜, 소셜 채널상에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 대기하는 스텝과,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는 스텝과,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15)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의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는 스텝과,
소셜 채널상에서, 스스로 송신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에 대한 응답을 수신 대기하는 스텝과,
스스로 송신한 요구 또는 문의에 대한 응답을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했거나, 또는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16)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채널에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의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는 스텝과,
소셜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스텝과,
스스로 송신한 요구 또는 문의에 대한 응답, 혹은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 대기하는 스텝과,
대응 가능한 모든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17)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이 오퍼레이팅 채널에 한정되는 상황 하에서의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을 동작시켜,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 대기하는 스텝과,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는 스텝과,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지정하는 요구 또는 문의를 송신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18) Wi-Fi P2P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이 오퍼레이팅 채널에 한정되는 상황 하에서의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서비스 시커 기능 및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는 스텝과,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프로브 요구 프레임을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오퍼레이팅 채널상에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로브 요구 프레임의 수신, 또는 자기 디바이스가 송신한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400: 통신 장치
401: 데이터 처리부
402: 제어부
403: 통신부
404: 전원부
411: 변복조부
412: 공간 신호 처리부
413: 채널 추정부
414: 무선 인터페이스부
415: 증폭부
416: 안테나

Claims (3)

  1. Wi-Fi P2P(Peer-to-Peer) 또는 BSS(Basic Service Set)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이며,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 또는 서비스 시커 기능 중 어느 한쪽을 동작시키고자 할 때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 및 서비스 시커 기능의 양쪽을 동작시키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 내에서 ASP(Application Service Platform)가 서비스층으로부터 시크 서비스 메소드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서비스 시커 기능을 동작시키고, 또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동작이 정지되어 있을 때는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도 동작시키는 통신 장치.
  3. Wi-Fi P2P 또는 BSS 접속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이며,
    서비스 시커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는 스텝과,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동작이 정지되어 있을 때, 추가로 서비스 애드버타이저 기능의 동작을 개시하는 스텝
    을 갖는 통신 방법.
KR1020187012701A 2016-09-16 2017-07-19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201900518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82296 2016-09-16
JPJP-P-2016-182296 2016-09-16
PCT/JP2017/026060 WO2018051633A1 (ja) 2016-09-16 2017-07-19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888A true KR20190051888A (ko) 2019-05-15

Family

ID=6161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701A KR20190051888A (ko) 2016-09-16 2017-07-19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76279B2 (ko)
EP (1) EP3361817B1 (ko)
JP (1) JP6939770B2 (ko)
KR (1) KR20190051888A (ko)
CN (1) CN108353267B (ko)
BR (1) BR112018009372A8 (ko)
CA (1) CA3004878A1 (ko)
PH (1) PH12018500997A1 (ko)
WO (1) WO2018051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9431B2 (ja) * 2018-05-31 2023-08-01 華為技術有限公司 アプリケーション機能の実施方法及び電子装置
CA3101813C (en) 2018-05-31 2024-06-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lication function implement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200084587A (ko) * 2019-01-03 202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4125789B (zh) * 2020-08-28 2023-08-0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8465A (ja) 2014-07-11 2016-02-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4982B2 (ja) 2012-10-29 2018-05-1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エヌエフシーを用いたワイファイダイレクトサービス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CN104813735B (zh) 2013-03-12 2018-11-23 Lg电子株式会社 在直接通信系统中用于对等组形成的方法及其装置
CN105659689B (zh) 2013-08-20 2019-09-17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无线环境中的双重角色处理的方法和系统
US9723545B2 (en) * 2013-11-01 2017-08-01 Qualcomm Incorporated Discovery of Wi-Fi direct services via discovery probe
WO2016209019A1 (ko) * 2015-06-24 2016-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dns를 이용하여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6783524B2 (ja) * 2016-01-29 2020-11-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8465A (ja) 2014-07-11 2016-02-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09372A8 (pt) 2019-02-26
US11076279B2 (en) 2021-07-27
EP3361817A1 (en) 2018-08-15
CA3004878A1 (en) 2018-03-22
CN108353267A (zh) 2018-07-31
WO2018051633A1 (ja) 2018-03-22
CN108353267B (zh) 2022-05-03
EP3361817A4 (en) 2018-12-05
EP3361817B1 (en) 2020-09-16
JPWO2018051633A1 (ja) 2019-06-27
JP6939770B2 (ja) 2021-09-22
BR112018009372A2 (pt) 2018-11-13
PH12018500997A1 (en) 2019-01-28
US20190349738A1 (en)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6668B2 (ja) マルチバンドサービスディスカバリを実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2319226B1 (en) Service discovery methods
US954481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EP1966939B1 (en) Proximity service discovery in wireless networks
CA2890327C (en) Method for peer to peer group formation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1863564B1 (ko)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설정 시 그룹 오너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264038B2 (en) Discovery and management of synchronous audio or video streaming service to multiple sinks in wireless display system
JP6939770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101779437B1 (ko)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탐색 또는 광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45062A (ko) 직접 통신을 이용한 타 기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579883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964321A2 (en) Proximity service discovery in wireless networks
JP6563416B2 (ja) 近接ベースのピアツーピアモバイ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用のアプリケーションのユーザエクスペリエンスを向上させ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9801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91949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9872241B2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for service search performed in communication layers
US9491202B2 (en)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searching for available service
EP2873169B1 (en) Scheme for device discovery and p2p group formation
US20190281643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8046436A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17594A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58561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7133898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763277B2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06080749A (ja) プロトコル機能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