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062A - 직접 통신을 이용한 타 기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직접 통신을 이용한 타 기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5062A KR20160045062A KR1020167004076A KR20167004076A KR20160045062A KR 20160045062 A KR20160045062 A KR 20160045062A KR 1020167004076 A KR1020167004076 A KR 1020167004076A KR 20167004076 A KR20167004076 A KR 20167004076A KR 20160045062 A KR20160045062 A KR 201600450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device
- control
- information
- command
- control targ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타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이를 위한,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제 2 무선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탐색되면,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명령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처리될 명령어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명령어의 처리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타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없이, 디바이스(device)들이 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직접 통신 기술로서,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또는 Wi-Fi P2P(peer-to-peer)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하면 복잡한 설정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디바이스들이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무선랜 시스템의 통신 속도로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최근 다양한 Wi-Fi 지원 디바이스들이 이용되며, 그 중에서도 AP 없이 Wi-Fi 디바이스간 통신이 가능한 Wi-Fi Direct 지원 디바이스의 개수가 증가하고 있다. WFA(Wi-Fi Alliance)에서는 Wi-Fi Direct 링크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전송(Send), 플레이(Play), 디스플레이(Display), 프린트(Print) 등)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도입하는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이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WFDS)라고 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 정의된 4개의 서비스 이외에, 타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를 정의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WFDS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제 2 무선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탐색되면,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명령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처리될 명령어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명령어의 처리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제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탐색되면,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명령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명령어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명령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상기 명령어의 처리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탐색되면,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명령어 정보가 수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처리될 명령어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 식별 정보를 전송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명령어의 처리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탐색되면,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명령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명령어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명령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처리하며,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상기 명령어의 처리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항 기재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WFDS 제어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Wi-Fi Direct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도 3은 WFD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이웃 발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WFD 네트워크의 새로운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WFD 통신을 위한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WFD를 하고 있는 통신 그룹에 참가(association)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WFD 통신을 위한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WFD 통신 그룹에 참가하는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WFDS 프레임워크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어 서비스를 포함하는 WFDS 프레임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제어 서비스의 토폴로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간 와이파이 다이렉트 제어 서비스가 시작되는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5는 UPnP 프로토콜을 통해 기기 탐색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유저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의 서비스 탐색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서비스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요소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의 능력 협상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UI 정보가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제어 기기의 해상도에 알맞은 UI 정보가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UI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제어 기기가 수신된 UI 정보를 기초로 UI를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UI 정보가 전송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UI 정보 전송을 위한 설명 파일(UI 전송 디스크립터)의 일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특정 오브젝트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명령어의 식별자가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특정 오브젝트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오브젝트의 식별자가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유저 인터페이스 위 터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터치 입력이 수신된 좌표 정보가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제어 대상 기기가 제어 기기에 의해 원격으로 턴 온 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 및 도 32는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를 턴 온 시키기 위한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제어 기기가 NAN 탐색을 통해 제어 대상 기기가 턴 온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으로 턴 온 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으로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기기의 아키텍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 내지 도 39는 제어 서비스가 적용되는 사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Wi-Fi Direct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도 3은 WFD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이웃 발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WFD 네트워크의 새로운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WFD 통신을 위한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WFD를 하고 있는 통신 그룹에 참가(association)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WFD 통신을 위한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WFD 통신 그룹에 참가하는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WFDS 프레임워크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어 서비스를 포함하는 WFDS 프레임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제어 서비스의 토폴로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간 와이파이 다이렉트 제어 서비스가 시작되는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5는 UPnP 프로토콜을 통해 기기 탐색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유저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의 서비스 탐색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서비스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요소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의 능력 협상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UI 정보가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제어 기기의 해상도에 알맞은 UI 정보가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UI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제어 기기가 수신된 UI 정보를 기초로 UI를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UI 정보가 전송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UI 정보 전송을 위한 설명 파일(UI 전송 디스크립터)의 일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특정 오브젝트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명령어의 식별자가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특정 오브젝트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오브젝트의 식별자가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유저 인터페이스 위 터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터치 입력이 수신된 좌표 정보가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제어 대상 기기가 제어 기기에 의해 원격으로 턴 온 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 및 도 32는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를 턴 온 시키기 위한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제어 기기가 NAN 탐색을 통해 제어 대상 기기가 턴 온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으로 턴 온 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으로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기기의 아키텍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 내지 도 39는 제어 서비스가 적용되는 사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3GPP2 시스템 및 Wi-Fi Alliance(WFA)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IEEE 802.11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WLAN 시스템의 구조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IEEE 802.11 구조는 복수개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위 레이어에 대해 트랜스패런트한 STA 이동성을 지원하는 WLAN이 제공될 수 있다.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는 IEES 802.11 LAN에서의 기본적인 구성 블록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 에서는 2 개의 BSS(BSS1 및 BSS2)가 존재하고 각각의 BSS의 멤버로서 2 개의 STA이 포함되는 것(STA1 및 STA2는 BSS1에 포함되고, STA3 및 STA4는 BSS2에 포함됨)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서 BSS를 나타내는 타원은 해당 BSS에 포함된 STA들이 통신을 유지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 영역을 BSA(Basic Service Area)라고 칭할 수 있다. STA이 BSA 밖으로 이동하게 되면 해당 BSA 내의 다른 STA들과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없게 된다.
IEEE 802.11 LAN에서 가장 기본적인 타입의 BSS는 독립적인 BSS(Independent BSS; IBSS)이다. 예를 들어, IBSS는 2 개의 STA만으로 구성된 최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장 단순한 형태이고 다른 구성요소들이 생략되어 있는 도 1 의 BSS(BSS1 또는 BSS2)가 IBSS의 대표적인 예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STA들이 직접 통신할 수 있는 경우에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LAN은 미리 계획되어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LAN이 필요한 경우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애드-혹(ad-hoc) 네트워크라고 칭할 수도 있다.
STA의 켜지거나 꺼짐, STA이 BSS 영역에 들어오거나 나감 등에 의해서, BSS에서의 STA의 멤버십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BSS의 멤버가 되기 위해서는, STA은 동기화 과정을 이용하여 BSS에 조인할 수 있다. BSS 기반구조의 모든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STA은 BSS에 연관(associated)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관(association)은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분배시스템서비스(Distribution System Service; DSS)의 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어 구조
무선랜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STA의 동작은 레이어(layer) 구조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장치 구성의 측면에서 레이어 구조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STA는 복수개의 레이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802.11 표준문서에서 다루는 레이어 구조는 주로 DLL(Data Link Layer) 상의 MAC 서브레이어(sublayer) 및 물리(PHY) 레이어다. PHY은 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개체, PMD(Physical Medium Dependent) 개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AC 서브레이어 및 PHY은 각각 MLME(MAC sublayer Management Entity) 및 PLME((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라고 칭하여지는 관리 개체들을 개념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개체들은 레이어 관리 기능이 작동하는 레이어 관리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정확한 MAC 동작을 제공하기 위해서, SME(Station Management Entity) 가 각각의 STA 내에 존재한다. SME는, 별도의 관리 플레인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따로 떨어져(off to the side)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는, 레이어 독립적인 개체이다. SME의 정확한 기능들은 본 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양한 레이어 관리 개체(LME)들로부터 레이어-종속적인 상태를 수집하고, 레이어-특정 파라미터들의 값을 유사하게 설정하는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SME는 일반적으로 일반 시스템 관리 개체를 대표하여(on behalf of)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표준 관리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개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 예를 들어, 개체들 간에는 GET/SET 프리머티브(primitive)들을 교환(exchange)함으로써 상호작용할 수 있다. 프리머티브는 특정 목적에 관련된 요소(element)나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의미한다. XX-GET.request 프리머티브는 주어진 MIB attribute(관리 정보 기반 속성 정보)의 값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XX-GET.confirm 프리머티브는, Status가 "성공"인 경우에는 적절한 MIB 속성 정보 값을 리턴하고, 그렇지 않으면 Status 필드에서 에러 지시를 리턴하기 위해 사용된다. XX-SET.request 프리머티브는 지시된 MIB 속성이 주어진 값으로 설정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MIB 속성이 특정 동작을 의미하는 경우, 이는 해당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그리고, XX-SET.confirm 프리머티브는 status가 "성공"인 경우에 지시된 MIB 속성이 요청된 값으로 설정되었음을 확인하여 주고, 그렇지 않으면 status 필드에 에러 조건을 리턴하기 위해 사용된다. MIB 속성이 특정 동작을 의미하는 경우, 이는 해당 동작이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여 준다.
또한, MLME 및 SME는 다양한 MLME_GET/SET 프리머티브들을 MLME_SAP(Service Access Point)을 통하여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PLME_GET/SET 프리머티브들이, PLME_SAP을 통해서 PLME와 SME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고, MLME-PLME_SAP을 통해서 MLME와 PLME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무선랜의 진화
무선랜(WLAN) 기술에 대한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그룹에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a 및 b는 2.4.GHz 또는 5GHz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이용하고, IEEE 802.11b는 11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고, IEEE 802.11a는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g는 2.4GHz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를 적용하여 54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은 다중입출력 OFDM(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FDM, MIMO-OFDM)을 적용하여 300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은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을 40 MHz까지 지원하며, 이 경우 600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e에 따른 무선랜 환경에서의 DLS(Direct Link Setup) 관련 프로토콜은 BSS(Basic Service Set)가 QoS(Quality of Service)를 지원하는 QBSS(Quality BSS)를 전제로 한다. QBSS에서는 비-AP(Non-AP) STA 뿐만 아니라 AP도 QoS를 지원하는 QAP(Quality AP)이다. 그런데,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무선랜 환경(예를 들어, IEEE 802.11a/b/g 등에 따른 무선랜 환경)에서는 비록 Non-AP STA이 QoS를 지원하는 QSTA(Quality STA)이라고 하더라도 AP는 QoS를 지원하지 못하는 레거시(Legacy) AP가 대부분이다. 그 결과,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무선랜 환경에서는 QSTA이라고 하더라도 DLS 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없는 한계가 있다.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Tunneled Direct Link Setup; TDLS)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새롭게 제안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다. TDLS는 QoS를 지원하지는 않지만 현재 상용화된 IEEE 802.11a/b/g 등의 무선랜 환경에서도 QSTA들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전원 절약 모드(Power Save Mode; PSM)에서도 다이렉트 링크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TDLS는 레거시 AP가 관리하는 BSS에서도 QSTA들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반 절차를 규정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이러한 TDLS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TDLS 무선 네트워크라고 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
종래의 무선랜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가 허브로서 기능하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BSS에 대한 동작을 주로 다루었다. AP는 무선/유선 연결을 위한 물리 레이어 지원 기능과,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라우팅 기능과,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추가/제거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등을 담당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들은 AP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지, 서로간에 직접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들 간의 직접 연결을 지원하는 기술로서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표준의 제정이 완료되었다.
도 2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는 Wi-Fi 장치들이 홈 네트워크, 오피스 네트워크 및 핫스팟 네트워크에 참가하지 않아도, 서로 디바이스-대-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혹은, Peer-to-Peer;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서 Wi-Fi 연합(Alliance)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하,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통신을 와이파이 다이렉트 D2D 통신(간단히, D2D 통신) 혹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P2P 통신(간단히, P2P 통신)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P2P 수행 디바이스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P2P 디바이스, 간단히 P2P 디바이스 또는 피어(Peer) 디바이스라고 지칭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200)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P2P 디바이스(202) 및 제2 P2P 디바이스(204)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Wi-Fi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P2P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디지털 카메라, 프로젝터 및 스마트 폰 등 Wi-Fi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또한, P2P 디바이스는 Non-AP STA 및 AP STA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P2P 디바이스(202)는 휴대폰이고 제2 P2P 디바이스(204)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 내의 P2P 디바이스들은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2P 통신은 두 P2P 디바이스들간의 신호 전송 경로가 제3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AP) 또는 기존 네트워크(예를 들어, AP를 거쳐 WLAN에 접속)를 거치지 않고 해당 P2P 디바이스들간에 직접 설정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두 P2P 디바이스들 간에 직접 설정된 신호 전송 경로는 데이터 전송 경로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2P 통신은 복수의 Non-STA들이 AP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예, 음성/영상/문자 정보 등)를 전송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 정보(예, P2P 설정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무선 디바이스 식별 정보 등)를 위한 신호 전송 경로는 P2P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Non-AP STA 대 Non-AP STA, Non-AP STA 대 AP) 간에 직접 설정되거나, AP를 경유하여 두 P2P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Non-AP STA 대 Non-AP STA) 간에 설정되거나, AP와 해당 P2P 디바이스(예를 들어, AP 대 Non-AP STA#1, AP 대 Non-AP STA#2) 간에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 구성 과정은 크게 두 과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 과정은 이웃 발견 과정(Neighbor Discovery, ND, procedure)이고(S302a), 두 번째 과정은 P2P 링크 설정 및 통신 과정이다(S304). 이웃 발견 과정을 통해, P2P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2의 202)는 (자신의 무선) 커버리지 내의 다른 이웃 P2P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2의 204)를 찾고 해당 P2P 디바이스와의 연관(association), 예를 들어 사전-연관(pre-association)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연관은 무선 프로토콜에서 제2 레이어 사전-연관을 의미할 수 있다. 사전-연관에 필요한 정보는 예를 들어 이웃 P2P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웃 발견 과정은 가용 무선 채널 별로 수행될 수 있다(S302b). 이후, P2P 디바이스(202)는 다른 P2P 디바이스(204)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P2P 링크 설정/통신을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2P 디바이스(202)는 주변 P2P 디바이스(204)에 연관된 후, 해당 P2P 디바이스(204)가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 사항을 만족하지 못하는 P2P 디바이스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P2P 디바이스(202)는 주변 P2P 디바이스(204)와 제2 레이어 사전-연관 후 해당 P2P 디바이스(204)를 검색할 수 있다. 만약, 해당 P2P 디바이스(204)가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 사항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P2P 디바이스(202)는 해당 P2P 디바이스(204)에 대해 설정된 제2 레이어 연관을 끊고 다른 P2P 디바이스와 제2 레이어 연관을 설정할 수 있다. 반면, 해당 P2P 디바이스(204)가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경우, 두 P2P 디바이스(202 및 204)는 P2P 링크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이웃 발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예시는 도 3에서 P2P 디바이스(202)와 P2P 디바이스(204) 사이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이웃 발견 과정은 SME(Station Management Entity)/어플리케이션/사용자/벤더의 지시에 의해 개시될 수 있고(S410), 스캔 단계(scan phase)(S412)와 찾기 단계(find phase)(S414-S416)로 나눠질 수 있다. 스캔 단계(S412)는 가용한 모든 무선 채널에 대해 802.11 방식에 따라 스캔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P2P 디바이스는 최상의 동작 채널을 확인할 수 있다. 찾기 단계(S414-S416)는 청취(listen) 모드 (S414)와 검색(search) 모드 (S416)를 포함하며, P2P 디바이스는 청취 모드(S414)와 검색 모드(S416)를 교대로 반복한다. P2P 디바이스(202, 204)는 검색 모드(S416)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사용하여 능동 검색을 실시하며, 빠른 검색을 위하여 검색 범위를 채널 1, 6, 11(예를 들어, 2412, 2437, 2462MHz)의 소셜 채널(social channel)로 한정할 수 있다. 또한, P2P 디바이스(202, 204)는 청취 모드(S414)에서 3개의 소셜 채널 중 하나의 채널만을 선택하여 수신 상태로 유지한다. 이 때, 다른 P2P 디바이스(예, 202)가 검색 모드에서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P2P 디바이스(예를 들어, 204)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으로 응답한다. 청취 모드(S414) 시간은 랜덤하게 주어질 수 있다(예를 들어, 100, 200, 300 TU(Time Unit)). P2P 디바이스는 검색 모드와 수신 모드를 계속 반복하다 서로의 공통 채널에 도달할 수 있다. P2P 디바이스는 다른 P2P 디바이스를 발견한 후 해당 P2P 디바이스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프로브 요청 프레임과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타입, 제작사 또는 친근한 디바이스 명칭(name)을 발견/교환할 수 있다. 이웃 발견 과정을 통해 주변 P2P 디바이스를 발견하고 필요한 정보를 얻은 경우, P2P 디바이스(예를 들어, 202)는 SME/어플리케이션/사용자/벤더에게 P2P 디바이스 발견을 알릴 수 있다(S418).
현재, P2P는 주로 원격 프린트, 사진 공유 등과 같은 반-정적(semi-static) 통신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Wi-Fi 디바이스의 보편화와 위치 기반 서비스 등으로 인해, P2P의 활용성은 점점 넓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소셜 채팅(예를 들어,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가입된 무선 디바이스들이 위치 기반 서비스에 기초해서 근접 지역의 무선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정보를 송수신), 위치-기반 광고 제공, 위치-기반 뉴스 방송, 무선 디바이스간 게임 연동 등에 P2P가 활발히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편의상, 이러한 P2P 응용을 신규 P2P 응용이라고 지칭한다.
도 5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의 새로운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예시는 신규 P2P 응용(예를 들어, 소셜 채팅,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게임 연동 등)이 적용되는 경우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 양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P2P 디바이스들(502a-502d)이 P2P 통신(510)을 수행하며, P2P 디바이스의 이동에 의해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P2P 디바이스(들)이 수시로 변경되거나, 와이파이 다이렉트 네트워크 자체가 동적/단시간적으로 새로 생성되거나 소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규 P2P 응용 부분의 특징은 밀집(dense) 네트워크 환경에서 상당히 다수의 P2P 디바이스간에 동적/단시간적으로 P2P 통신이 이뤄지고 종료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6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STA(610, 이하, A라고 지칭한다)은 기존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에서 그룹 오너(Group Owner)로서 동작 중에 있다. 기존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의 그룹 클라이언트(630)과의 통신 중에 A(610)가 새로운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대상인,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하고 있지 않는, 제2 STA(620, 이하, B라고 지칭한다)를 발견한 경우, A(610)는 B(620)와의 링크 설정을 시도한다. 이 경우, 새로운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은 A(610)과 B(620)간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이고, A는 그룹 오너이므로, 기존의 그룹 클라이언트(630)의 통신과 별개로 통신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하나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그룹에는 1개의 그룹 오너와 1개 이상의 그룹 클라이언트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1개의 그룹 오너인 A(610)를 만족하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가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A(610)이 기존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그룹에 B(620)를 초대(invitation)한 경우이며,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특성상, A(610)와 B(620), A(610)와 기존의 그룹 클라이언트(630) 간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이 가능하다. 아울러, B(620)와 기존 그룹 클라이언트(630)간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도 디바이스의 능력(capability)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원 가능하다.
도 7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하고 있는 통신 그룹에 참가(association)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STA(710, 이하 A라고 지칭한다)는 그룹 클라이언트(730)에 대하여 그룹 오너로서 통신 중에 있으며, 제2 STA(720, 이하 B라고 지칭한다)는 그룹 클라이언트(740)에 대하여 그룹 오너로서 통신 중에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710)은 기존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종료(termination) 하고, B(720)가 속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그룹에 참가(association)할 수 있다. A(710)는 B(720)가 그룹 오너이므로, B의 그룹 클라이언트가 된다. A(710)는 B(720)에 연관을 요청하기 전에 기존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STA(820, 이하 B라고 지칭한다)는 기존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에서 그룹 오너(Group Owner)로서 동작 중에 있다. 기존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에서 그룹 클라이언트(83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중에 있는 경우, B(820)을 발견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하고 있지 않는 제1 STA(810, 이하 A라고 지칭한다)가 B(820)와의 새로운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위해 링크 설정을 시도한다. 이 경우 B(820)가 링크 설정을 수락한 경우, A(810) 및 B(820) 간의 새로운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링크가 설정되며, A(810)은 기존 B(820)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그룹의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A(810)가 B(820)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그룹에 참가(association)한 경우가 된다. A(810)은 오직 그룹 오너인 B(82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할 수 있다. 아울러, A(810)와 기존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의 클라이언트(830) 간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은 디바이스의 능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도 9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그룹에 참가하는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STA(910, 이하 A라고 한다)는 그룹 오너(930)에 대하여 그룹 클라이언트로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중에 있다. 이때, 또 다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의 그룹 클라이언트(940)에 대하여 그룹 오너로서 통신 중이 제2 STA(920, 이하 B라고 한다)를 발견한 A(910)은 그룹 오너(930)과의 링크를 종료 (termination)하고, B(920)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그룹에 참가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WFDS)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링크 레이어(Link layer)의 동작까지 정의하는 네트워크 연결 표준 기술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해서 구성된 링크의 상위 레이어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표준이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이 서로 연결된 후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경우의 호환성을 지원하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WFDS)라는 상위 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대한 표준화가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FA)에서 논의중이다.
도 10은 WFDS 프레임워크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레이어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표준에 의해서 정의되는 MAC 레이어를 의미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레이어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표준과 호환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성될 수 있다. Wi-Fi Direct 레이어의 하위에는 Wi-Fi PHY와 호환되는 물리 레이어(미도시)에 의해서 무선 연결이 구성될 수 있다. Wi-Fi Direct 레이어의 상위에 ASP(Application Service Platform)이라는 플랫폼이 정의된다.
ASP는 서비스가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실행하는 논리 개체이다. ASP는 공통 공유 플랫폼(common shared platform)이며, 그 상위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레이어와 그 하위의 Wi-Fi Direct 레이어 사이에서 디바이스 탐색(Device Discovery), 서비스 탐색(Service Discovery), ASP 세션 관리(ASP Session management), 접속 토폴로지 관리(Connection topology management) 및 보안(Security) 등의 태스크를 처리할 수 있다.
ASP의 상위에는 서비스(Service) 레이어가 정의된다. 서비스 레이어는 용도(use case) 특정 서비스들을 포함한다. WFDS에서는 4개의 기본 서비스인 전송(Send), 플레이(Play), 디스플레이(Display), 프린트(Print) 서비스를 정의한다. WFDS에서 정의하는 4개의 기본 서비스를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Send는 두 WFDS 디바이스간 파일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전송 서비스는 피어 기기들 사이의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파일 전송 서비스(File Transfer Service, FTS)라 호칭될 수도 있다. Play는 두 WFDS 디바이스간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비디오(A/V), 사진, 음악 등을 공유 또는 스트리밍하는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Print는 문서, 사진 등의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와 프린터 사이에서 문서, 사진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Display는 WFA의 미라캐스트(Miracast) 소스와 싱크 사이에 화면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도 10에 도시된 인에이블(Enable)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는 WFDS에서 정하는 기본 서비스 외에 서드파티(3rd party)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경우에 ASP 공통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정의된다. 서드 파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정의되는 서비스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만 이용될 수도 있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일반적으로(또는 공통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WFA에 의해 정의된 서비스를 '기 정의된 WFDS', WFA가 아닌 서드 파티에 의해 새롭게 정의되는 서비스는 '인에이블 서비스'라 호칭하기로 한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정보를 사람이 인식 가능한 형태로 표현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하위 레이어에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열거된 WFDS 이외에, 타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제어(Control) 서비스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제어 서비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Wi-Fi Direct Control
와이파이 다이렉트 제어 서비스(Control Service)는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기 정의된 WFDS와 마찬가지로, ASP 상위에 하나의 기 정의된 서비스로 정의될 수 있다. 와이 파이 다이렉트 제어 서비스가 기 정의된 WFDS 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경우, ASP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제어 서비스에도 기 정의된 WFDS(즉, Send, Play, Print 및 Display 서비스)와 동일한 프리머티브를 지원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와이파이 다이렉트 제어 서비스는 ASP 상위에 이네이블 서비스로 정의될 수도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제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기기는 제어 기기(Controller Device)이거나 제어 대상 기기(Controlling Device)일 수 있다.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으로 무선 제어하는 제어기(Controller)로서의 능력을 갖는 기기로, 스마트 폰, 태블릿 PC, 랩톱 등 Wi-Fi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비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제어 기기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수단, 예컨대, 터치 스크린, 키패드, 하드웨어(또는 소프트웨어) 버튼 또는 키보드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에 의해 원격으로 무선 제어되는 기기로, 디지털 TV, 세탁기, 조명, 냉장고 등 Wi-Fi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비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기기는 이중 역할 기기(Dual-role Device)라 호칭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제어 서비스의 토폴로지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제어 서비스를 위해서는, 최소 1개 이상의 제어 기기와 1개 이상의 제어 대상 기기가 필요하다. 도 12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에 L2 연결이 구축되면, 제어 기기는 L2 연결을 통해 제어 대상 기기로 명령어(Command)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로부터 수신한 명령어를 처리하고, L2 연결을 통해 제어 기기로 명령어에 대한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은 제어 대상 기기 상에서 수신된 명령어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는지 여부를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 일예로, 제어 대상 기기 상에서 수신된 명령어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다면, 제어 대상 기기는 수신된 명령어가 정상 처리되었음을 지시하는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 대상 기기 상에서 수신된 명령어가 비정상적으로 처리되었다면, 제어 대상 기기는 수신된 명령어가 정상 처리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L2 연결은 기기간 P2P, TDLS 또는 인프라스트럭쳐 BSS 등을 기초로 구축될 수 있다. P2P 및 TDLS는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 직접 통신 채널이 형성되는 것이고, 인프라 스트럭쳐 BSS는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가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에 P2P 링크 또는 TDLS 링크가 구축되어 있다면, 제어 기기는 P2P 링크 또는 TDLS 링크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로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 기기는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와 각각 P2P 링크 또는 TDLS 링크를 구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 기기는 각 P2P 링크 또는 TDLS 링크를 통해 원격으로 무선 제어코자 하는 제어 대상 기기로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도 12의 (b) 참조).
제어 기기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한 제어 대상 기기는 P2P 링크 또는 TDLS 링크를 통해 제어 기기로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도 복수의 제어 기기와 각각 P2P 링크 또는 TDLS 링크를 구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 대상 기기는 복수의 제어 기기 중 명령어를 전송한 제어 기기로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가 AP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면, 제어 기기는 AP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로 명령어를 전송하고, 제어 대상 기기는 AP를 통해 제어 기기로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도 12의 (c) 참조). 인프라스트럭쳐 BSS에는 복수의 제어 기기 또는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 기기는 AP를 통해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로 명령어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 대상 기기도 복수의 제어 기기에 의해 원격으로 무선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중 역할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로 명령어를 전송하는 제어 기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제어 기기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는 제어 대상 기기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도 13의 (a) 참조). 이중 역할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로 명령어를 전송하면, 이중 역할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중 역할 기기가 제어 기기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면, 이중 역할 기기는 제어 기기로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중 역할 기기는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와 P2P 링크 또는 TDLS 링크를 구축할 수도 있고, 복수의 제어 기기와 P2P 링크 또는 TDLS 링크를 구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중 역할 기기는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로 명령어를 전송할 수도 있고, 복수의 제어 기기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도 13의 (b) 참조).
인프라스트럭쳐 BSS 내 이중 역할 기기를 포함하여 복수의 제어 기기 및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중 역할 기기는 AP를 통해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으로 무선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전송할 수도 있고, AP를 통해 복수의 제어 기기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도 13의 (c) 참조).
도 14는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간 와이파이 다이렉트 제어 서비스가 시작되는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먼저,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는 최초, 디바이스 탐색(Device Discovery)을 통해 서로의 존재를 탐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기기가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면, 제어 대상 기기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제어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 및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통해 서로를 탐색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브로드 캐스팅 전송할 수도 있고, 특정 기기에만 유니 캐스트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는 제어 기기가 탐색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이름 또는 제어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의 이름을 해시 변환한 해쉬 값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제어 대상 기기는 해시 매칭(hash matching)을 통해, 제어 기기가 탐색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 기기가 탐색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 대상 기기는 서비스 이름을 포함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제어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제어 서비스의 이름은, 제어 서비스임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 제어 기기 또는 제어 대상 기기임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 기기의 서비스 이름은 'org.wi-fi.wfds.control.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 대상 기기는, 'org.wi-fi.wfds.control.controlling' 또는 'org.wi-fi-.wfds.control.controlle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org.wi-fi.wfds'는 WFA에 의해 기 정의된 WFDS 임을 가리키는 것이고, 'control'은 제어 서비스임을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controller'는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기임을 지시하고, 'controlling' 또는 'controlled'는 제어 기기로부터 원격 제어될 수 있는 제어 대상 기기임을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제어 대상 기기의 서비스 이름에는 제어 대상 기기의 타입(type)을 지시하는 문자열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 대상 기기의 타입을 지시하는 문자열은 주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문자열 및 주 카테고리 하위의 서브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문자열이 조합된 2단계의 깊이(depth)를 가질 수도 있고, 직접적으로 제어 대상 기기가 속한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1단계의 깊이를 가질 수도 있다.
일예로, 표 1은 제어 대상 기기를 타입별로 카테고리화한 예를 도표화한 것이다.
[표 1]
표 1에 따르면, 에어컨(Air Conditioner)의 서비스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org.wi-fi.wfds.control.controlling.homeappliance.aircon 또는 org.wi-fi.wfds.control.controlling.aircon
표 1에 도표화된 카테고리 및 서브 카테고리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표 1에 도표화된 테이블과 다른 카테고리 명 또는 서브 카테고리 명을 이용하여 제어 대상 기기의 서비스 이름을 정의할 수도 있다고 하겠다.
일예로, 디지털 TV의 서비스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org.wi-fi.wfds.control.controlling.display.dtv 또는 org.wi-fi.wfds.control.controlling.dtv
조명 기기의 서비스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org.wi-fi.wfds.control.controlling.homeauto.light 또는 org.wi-fi.wfds.control.controlling.light
상술한 예와 같이, 서비스 대상 기기의 서비스 이름은 org.wi-fi.wfds와 같이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4단계 깊이 - control.controlling.(주 카테고리명).(서브 카테고리명) - 를 가질 수도 있고,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3단계 깊이 - control.controlling.(카테고리명) - 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어 대상 기기는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로서 제어 대상 기기의 기기 타입 정보를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일예로, 기기 타입 정보는 WSC(Wi-Fi Simple Configuration) 정보 요소 내 기기 타입 속성(Device Type Attribute)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기기 타입 정보는 제어 대상 기기가 속하는 카테고리에 따라, WSC 정보 요소 내 16진수 또는 사용자가 읽을 수 있는 문자열로 포함될 수 있다.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제어 대상 기기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포함된 서비스 이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요소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면,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에는 서비스 탐색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서비스 탐색 절차는 필수적인 절차는 아니어서,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모두 서비스 탐색 절차를 지원하는 경우에 한하여 예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기기는 검색하고자 하는 서비스 이름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프레임을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 프레임에는 검색하고자 하는 완전한(complete) 서비스 이름 또는 검색하고자 하는 서비스 이름의 프리픽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는 서비스 이름 매칭을 수행하고, 제어 기기가 탐색 중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서비스 이름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프레임을 제어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이름 매칭시 프리픽스 서치가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대상 기기는 서비스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서비스 이름을 프리픽스로 포함하는 완전한 서비스 이름을 프레임 요청 프레임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 탐색 절차 또는 서비스 탐색 절차가 완료되면,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의 ASP 세션 및 P2P 링크가 구축될 수 있다.
그러면,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능 능력 협상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의 능력을 질의하는 능력 질의 프레임을 전송하면, 제어 대상 기기는 능력 응답 프레임으로 응답할 수 있다. 이때, 능력 응답 프레임에는 제어 대상 기기가 제어 기기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는 기능들의 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표 2는 제어 대상 기기에서 원격 제어될 수 있는 기능들을 열거한 도표이다.
[표 2]
능력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에서 원격 제어될 수 있는 기능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예와 달리, 제어 대상 기기는 ASP 세션 및 P2P 링크가 구축되기 전 서비스 탐색 응답 프레임을 통해 제어 기기로 원격 제어될 수 있는 기능 목록을 전송할 수도 있다.
ASP 세션이 구축되면, 제어 대상 기기는 UPnP (Universal Plug and Play) 기기 설명문(Device Description) 또는 UPnP 서비스 설명문(Service Description)을 통해 제어 기기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는 기능 목록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기기 설명문 또는 서비스 설명문은 XML 형식을 취할 수 있다.
기기 탐색 절차를 수행하기 전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에 이미 IP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예컨대,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에 P2P 링크 또는 TDLS 링크가 구축되어 있거나,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가 인프라스트럭쳐 BSS를 형성함),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는 UPnP (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통해 기기 탐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5는 UPnP 프로토콜을 통해 기기 탐색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대상 기기는 서브넷(Subnet)에 주기적으로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광고(Advertisement)를 방송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방송되는 SSDP 광고를 수신하는 것으로 제어 대상 기기의 탐색을 완료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 기기는 SSDP 검색(Searh) 요청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대상 기기를 발견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기기는, SSDP 검색 요청을 수신한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SSDP 검색 응답이 수신되는 것으로, 제어 대상 기기의 검색을 완료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가 검색되면,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의 기기 설명문 및 서비스 설명문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기기 설명문 및 서비스 설명문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기 설명문 또는 서비스 설명문에는 제어 기기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는 기능 목록이 포함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원격 제어될 수 있는 기능 목록이 확인되면,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는 수신된 명령어를 적용하고, 수신된 명령어에 대한 피드백을 제어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도 16은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능력 협상 절차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의 원격 제어 가능한 기능이 Turn On/Off, Volume +/-, Channel +/- 임이 확인된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가 제어 기기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의 채널을 업 시키기 위한 버튼을 누른다면,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로 채널을 업 시킬 것을 지시하는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기기로부터 채널 업 명령어를 수신한 제어 대상 기기는 채널을 업 시키고, 제어 기기로 채널 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제어 기기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의 볼륨을 업 시키기 위한 버튼을 누른다면,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로 볼륨을 업 시킬 것을 지시하는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기기로부터 볼륨 업 명령어를 수신한 제어 대상 기기는 볼륨을 업 시키고, 제어 기기로 볼륨 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명령어 데이터 및 피드백 데이터 등은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의 서비스 세션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세션은 ASP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명령어 또는 피드백 등의 서비스 데이터들은 IP 또는 비 IP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 서비스 데이터들은, UPnP 프로토콜, Bonjour 프로토콜 또는 새롭게 정의된 프로토콜 등 IP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고, WSB(Wi-Fi serial bus)또는 새롭게 정의된 간단한 프로토콜 등 비 IP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Wi-Fi Direct Control - User Interface
기능 목록들이 확인되면,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이 배치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있다. 일예로, 능력 협상 절차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의 원격 제어 가능한 기능이 Turn On/Off, Volume +/-, Channel +/-라면, 제어 기기는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어 대상 기기의 Turn On/Off를 위한 전원 버튼(1712), 제어 대상 기기의 볼륨 Up/Down을 위한 볼륨 조절 버튼(1714, 1716) 및 제어 대상 기기의 채널 Up/Down을 위한 채널 조절 버튼(1718, 1719) 등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1710)를 출력할 필요가 있다. 제어 기기는 유저 인터페이스(1710) 상의 특정 버튼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기기로 알맞은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스스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도 있으나,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공 받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와의 서비스 탐색 절차 또는 능력 협상 절차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가 UI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은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의 서비스 탐색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기 탐색 절차가 완료되면,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로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에는 서비스 정보 요청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는데, 서비스 정보 요청 파라미터에는 제어 기기가 탐색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문자열(string)이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서비스 정보 요청 파라미터의 값이 'Control'로 설정된 경우, 제어 기기는 서비스 탐색 절차 동안 제어 대상 기기 상의 모든 정태 정보(static information)의 목록을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 요청 파라미터의 값이 'Null'로 설정된 경우, 제어 기기는 서비스 탐색 절차 동안 제어 대상 기기 상의 정태 정보를 요청하지 않게 된다.
제어 대상 기기는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탐색 응답 프레임을 제어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정보 요청 파라미터의 값이 'Control'인 경우, 서비스 정보에는, 제어 대상 기기의 기기 정보, 제어 대상 기기가 지원하는 UI 해상도 및 제어 대상 기기에서 원격 제어될 수 있는 명령어 목록(또는 UI를 통해 지원되는 명령어 리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9는 서비스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요소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서비스 탐색 응답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요소(IE)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각 정보 요소는, 부 요소 식별(Subelement ID) 필드 및 길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부 요소 식별 필드는 해당 정보 요소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길이 필드는 부 요소 식별 필드에 뒤따르는 필드들의 길이를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
일예로, 부 요소 식별 필드의 값이 0인 것은, 도 19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해당 정보 요소가 제어 대상 기기의 능력을 포함하는 정보 요소임을 가리킬 수 있다. 부 요소 식별 필드의 값이 1인 것은, 도 19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UI 정보의 지원 가능한 해상도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임을 가리킬 수 있다. 부 요소 식별 필드의 값이 2인 것은, 도 19의 (c)에 도시된 에에서와 같이, 제어 대상 기기가 지원하는 명령어 목록이 포함된 정보 요소임을 가리킬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의 능력을 전송하기 위한 정보 요소는, 디바이스 타입 필드 및 제어 기기 능력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타입 필드는 제어 대상 기기가 주 기기 타입인지 보조 기기 타입인지 여부를 가리킨다.
제어 기기 능력 필드는 제어 대상 기기의 능력을 비트맵 형식으로 취한 것일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 능력 필드의 각 비트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의 능력을 지시할 수 있다.
일예로, 표 3은 제어 기기 능력 필드의 각 비트의 값에 따른 제어 대상 기기의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표 3]
표 3에 열거된 바와 같이, 제어 대상 기기는 기기 능력 필드의 각 비트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기기 타입, 지원되는 연결 정보, UI 정보 전송 능력, Wi-Fi를 통한 웨이크 온 능력, 모니터링 능력, 끊김없는(Persistent) 연결 능력에 대한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기기 타입 정보는, 제어 대상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로만 동작하는지 또는 이중 역할 기기로 동작하는지 지시할 수 있다.
지원되는 연결 정보는, 제어 대상 기기가 와이파이 다이렉트, 와이파이 인프라스트럭쳐 모드 및 NAN (Neighborhood Area Network) 등의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UI 정보 전송 능력은, 제어 대상 기기가 제어 기기로 UI의 전송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Wi-Fi를 통한 웨이크 온 능력은, 제어 대상 기기가 Wi-Fi를 통해 웨이크 온 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모니터링 능력은, 제어 대상 기기가 WI-Fi 모니터링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끊김없는 연결 능력은, 제어 대상 기기가 끊김없는 연결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제어 기기 능력 필드에서, 제어 대상 기기가 UI 정보 전송 능력을 갖춘 것으로 설정된 경우, 서비스 탐색 응답 프레임에는 UI 정보의 지원 가능한 해상도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UI 해상도 정보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에게 지원 가능한 UI 정보의 해상도를 알릴 수 있다.
UI 정보의 지원 가능한 해상도를 전송하기 위하기 위한 정보 요소에는, 부 요소 식별 필드 및 길이 필드 외, 버전 필드 및 해상도 비트맵 필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버전 필드는 UI 정보의 버전을 지시할 수 있다. 버전 필드는 최소 2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1 바이트는 High 버전을 가리키고, 다른 1 바이트는 Low 버전을 가리킬 수 있다. 예컨대, UI 정보가 2.1 이라면, 1 바이트는 High 버전인 '2'를 지시하고, 다른 1바위트는 Low 버전인 '1'을 지시할 수 있다.
해상도 비트맵 필드는 UI 정보가 지원 될 수 있는 해상도를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대상 기기는 해상도 비트맵 필드의 각 비트를 통해, UI 정보가 특정 해상도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일예로, 표 4는 해상도 비트맵 필드의 각 비트의 값에 따른 UI 정보가 지원할 수 있는 해상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UI 정보가 지원할 수 있는 해상도가, 오직 800x600, 1280x1024 뿐이라면, 해상도 비트맵 필드의 b12 비트 및 b17 비트는 'true'('1') 값을 취하되 잔여 비트들은 'false'('0') 값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 탐색 프레임에는 제어 기기로부터 원격 제어 가능한 명령어 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명령어 목록을 전송하기 위한 정보 요소에는, 부 요소 식별 필드 및 길이 필드 외, 명령어 목록 기술(command list descriptor) 필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명령어 목록 기술 필드는 명령어 식별자 필드, 명령어 설명 길이 필드 및 명령어 설명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식별자 필드는 제어 대상 기기에서 원격 제어될 수 있는 명령어를 대표하는 식별자를 지시한다. 명령어 식별자는 명령어간 구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명령어 설명 길이 필드는 뒤따르는 명령어 설명 필드의 길이를 지시할 수 있다. 명령어 설명 필드에는 최대 256자의 문자가 삽입될 수 있다.
명령어 설명 필드는 명령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는 문자가 삽입될 수 있다.
일예로, Volume Up 명령 및 Volume Down 명령은 명령어 목록 기술 필드에서 다음과 같이 지시될 수 있다.
Command ID : 0x0011, Command Descriptor : volume up
Command ID : 0x0012, Command Descriptor : volume down
상술한 예에서는 제어 기기가 서비스 탐색 과정을 통해 제어 대상 기기의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다른 예로, 제어 기기는 능력 협상 절차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20은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의 능력 협상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ASP 세션이 연결되고,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에 IP 연결이 구축되면,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는 ASP 세션에서 IP 패킷을 통한 능력 협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로 능력 질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제어 대상 기기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능력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능력 응답 프레임에는 제어 대상 기기의 정보, 제어 대상 기기가 지원하는 UI 해상도 및 제어 대상 기기에서 원격 제어될 수 있는 기능 목록(또는 UI에서 지원되는 명령어 리스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 UI 해상도를 포함하는 정보 요소 및 제어 대상 기기에서 원격 제어될 수 있는 기능 목록을 포함하는 정보 요소에 대해서는 앞서 도 19를 통해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 대상 기기가 UI 정보를 전송할 능력을 갖춘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로 UI 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기기는 자신의 디스플레이부의 해상도에 맞는 UI 정보를 제어 대상 기기로 요청하고, 제어 대상 기기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UI 정보를 제어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1은 UI 정보가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기기가 이미 UI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면, 제어 기기는 기 저장된 UI 정보의 버전 정보 및 디스플레이부의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는 UI 정보 질의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S2101, 2103).
만약, 제어 기기가 UI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다면, 버전 정보는 "Null"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UI 정보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S2102). 이때, 제어 기기가 기 저장하고 있는 UI 정보에서 더 이상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즉, 제어 대상 기기도 제어 기기에 저장된 UI 정보와 동일한 버전(또는 하위 버전)의 UI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제어 대상 기기는 UI 정보를 전달하는 대신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S2104). 이 경우, 제어 기기는 기 저장하고 있는 UI 정보를 이용하여 UI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UI 정보는 제어 기기에서 출력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대표하는 이미지일 수도 있고, 특정 명령어와 연계된 버튼 또는 아이콘 등과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일부 이미지일 수도 있다.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의 해상도에 알맞은 UI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2는 제어 기기의 해상도에 알맞은 UI 정보가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 대상 기기는 2개의 제어 기기와 연결이 구축된 상태인 것이라 가정한다.
어느 하나의 제어 기기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1920x1080 이라면, 제어 대상 기기는 해상도가 1920x1080인 UI 정보를 제어 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제어 기기의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640x480 이라면, 제어 대상 기기는 해상도가 640x480인 UI 정보를 제어 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제어 대상 기기에 제어 기기의 디스플레이 해상도와 동일한 UI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의 디스플레이 해상도와 동일(또는 가장 비슷한)한 종횡비를 갖는 해상도의 UI 정보를 제어 기기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 기기는 자신의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맞춰 수신한 UI 정보를 리사이즈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1에서는 제어 대상 기기가, UI 정보 질의 프레임에 포함된 버전 정보를 기초로 제어 기기에 기 저장된 유저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다른 예로,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에 기 저장된 유저 인터페이스의 버전을 확인하여 유저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 필요성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23은 UI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유저 인터페이스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로 제어 기기가 저장하고 있는 UI 정보의 버전 및 해상도를 요청하는 UI 정보 질의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S2301, S2304).
이때, 제어 기기에 기 저장된 UI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어 기기는 저장된 UI 정보가 없음을 지시하는 정보를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S2302). 그러면,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로 UI 정보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S2303).
제어 기기에 기 저장된 UI 정보가 존재할 경우, 제어 기기는 저장된 UI 정보의 버전 및 해상도 정보를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2305). 제어 기기에 저장된 UI 정보의 버전이 하위 버전이라면, 제어 대상 기기는 업데이트된 UI 정보를 제어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S2306).
UI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 기기는 수신된 UI 정보를 기초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4는 제어 기기가 수신된 UI 정보를 기초로 UI를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를 대표하는 이미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 기기는 도 24의 (a)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수신된 이미지를 유저인터페이스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특정 명령을 트리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아이콘, 또는 텍스트 등의 오브젝트가 수신된 경우, 제어 기기는 도 24의 (b)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수신된 오브젝트들을 적절히 배치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UI 정보에는 소리 데이터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소리 데이터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의 특정 버튼이 선택되면, 버튼이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피드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25는 UI 정보가 전송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기기로부터 UI 정보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로 UI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URL 주소를 포함하는 설명 파일(예컨대, XML 형식의 파일)을 제어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제어 기기는 URL 주소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UI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26은 UI 정보 전송을 위한 설명 파일(UI 전송 디스크립터)의 일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설명 파일에는 기기 정보, UI 명령어 목록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기기 정보는, 제어 기기에 표시될 제어 대상 기기의 이름(FriendlyName), 제어 대상 기기에 저장된 UI의 버전 정보(UIversion), 기기의 제조사(manufacturer), 기기의 모델 이름(modelName), 기기의 시리얼 번호(serialNumber)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도 26을 참조하면, UI 명령어 목록에는 제어 대상 기기가 제어 기기로부어 원격으로 수신할 수 있는 명령어의 식별자(UICommandID), 명령어에 대한 설명(UIDescriptor), 해상도(UIResolution) 및 명령어와 매핑되는 오브젝트(예컨대, 버튼 또는 아이콘)에 액세스할 수 있는 URL(UIButtonURL)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일예로, 도 26에 도시된 예에서, Volume Up 명령어는(UI Descriptor), 명령어 ID '11'로 식별될 수 있고(UICommandID), Volume Up 명령을 트리거 하기 위한 버튼은 '/UI/CID11_1024.768.jpg'로 액세스하여 수신 받을 수 있을 것이다(UIButtonURL). 아울러, 해당 버튼의 해상도는 1024x768에 최적화 된 것으로 볼 수 있다(UIResolution).
Volume Down 명령어는(UI Descriptor), 명령어 ID '12'로 식별될 수 있고(UICommandID), Volume Down 명령을 트리거하기 위한 버튼은 '/UI/CID12_1024.768.jpg'로 액세스하여 수신 받을 수 있을 것이다(UIButtonURL). 아울러, 해당 버튼의 해상도는 1024x768에 최적화 된 것으로 볼 수 있다(UIResolution).
도 26에서는 설명 파일에 설명 파일에 소정 명령어에 매칭되는 오브젝트에 액세스 할 수 있는 URL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때, 오브젝트(예컨대, 버튼, 아이콘 또는 텍스트 등)가 반드시 소정 명령어와 매핑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 파일에는 오브젝트에 액세스 하기 위한 URL 주소 및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설명 파일에는 UI를 대표하는 이미지의 해상도 및 UI의 전체 이미지에 액세스 할 수 있는 URL 주소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 기기는 URL 주소로 액세스 하여 UI를 대표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 기기는 수신된 UI 정보를 기초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각각 Power On/Off, Volume Up, Volume Down, Channel Up, Channel Down에 대응되는 5개의 버튼 이미지를 수신하였다면, 제어 기기는, 앞서 도 24의 (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5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유저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상의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 기기는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명령어의 식별자를 제어 대상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7은 특정 오브젝트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명령어의 식별자가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볼륨 Up 버튼이 선택되었다면, 제어 기기는, 도 2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볼륨 Up 명령의 식별자 '11'을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는 식별자 '11'에 대응하는 명령을 처리하고(즉, 볼륨을 높임), 처리 결과를 제어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볼륨 Down 버튼이 선택되었다면, 제어 기기는, 도 2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볼륨 Down 명령의 식별자 '12'를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는 식별자 '12'에 대응하는 명령을 처리하고(즉, 볼륨을 낮춤), 처리 결과를 제어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저 인터페이스 상의 특정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 기기는 선택된 버튼의 식별자를 제어 대상 기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28은 특정 오브젝트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오브젝트의 식별자가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Volume Up'(식별번호 1), 'Volume Down'(식별번호 2), 'Channel Up'(식별번호 3) 및 'Channel Down'(식별번호 4) 등 4개의 텍스트를 수신하였고, 4개의 텍스트를 기초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한 상태라 가정한다.
'Volume Up' 텍스트가 선택되었다면, 제어 기기는, 도 2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Volume Up'텍스트의 식별번호 '1'을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는 식별번호 '1'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추출한 뒤, 추출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즉, 볼륨을 높임). 이후,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로 명령어의 처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Volume Down' 텍스트가 선택되었다면, 제어 기기는, 도 2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Volume Down' 텍스트의 식별번호 '2'를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는 식별번호 '2'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추출한 뒤, 추출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즉, 볼륨을 낮춤). 이후,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로 명령어의 처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로부터 특정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추출한 뒤, 추출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대상 기기에는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 및 명령어의 매핑 관계가 기 저장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를 대표하는 이미지를 수신한 경우라면, 수신된 이미지를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출력할 수 있음은 앞서 도 2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유저 인터페이스 위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 기기는, 유저 인터페이스 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좌표 정보를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29는 유저 인터페이스 위 터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터치 입력이 수신된 좌표 정보가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유저 인터페이스 상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좌표가 (x1,y1)이라면, 제어 기기는 도 2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 입력이 수신된 좌표 정보를 제어 대상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대표하는 이미지 위 (x1,y1)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추출한 뒤, 추출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 일예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대표하는 이미지 위 (x1,y1)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Volume Up 이라면, 제어 대상 기기는 볼륨을 높이는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로, 명령어의 처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상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좌표가 (x2,y2)라면, 제어 기기는 도 2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터치 입력이 수신된 좌표 정보를 제어 대상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대표하는 이미지 위 (x2,y2)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추출한 뒤, 추출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 일예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대표하는 이미지 위 (x2,y2)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Volume Down이라면, 제어 대상 기기는 볼륨을 낮추는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로, 명령어의 처리 결과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로부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좌표 정보가 수신되면,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추출한 뒤, 추출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대상 기기에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대표하는 이미지 명령어 및 이와 매팽되는 영역 사이의 매핑 관계가 기 저장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제어 대상 기기의 턴 온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에 의해 원격으로 턴 온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0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0은 제어 대상 기기가 제어 기기에 의해 원격으로 턴 온 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 기기와 제어 대상 기기 사이에 ASP 세션이 구축된 이후, 제어 기기는 서비스 탐색 절차 또는 능력 협상 절차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가 원격으로 턴 온(Turn On)될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의 능력을 질의하면, 제어 대상 기기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대상 기기가 원격으로 턴 온 될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응답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 대상 기기는, 앞서 표 3을 통해 예시한, 제어 기기 능력 필드 내 제어 대상 기기의 Wi-Fi 웨이크 온 능력 비트를 통해, 원격으로 턴 온 될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가 원격으로 턴 온 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경우,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로 패스 코드(passcode)를 더 전송할 수 있다. 패스 코드는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 또는 능력 응답 프레임에 정보 요소로 삽입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 대상 기기가 원격으로 턴 온 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음이 확인되면,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기기는 자신의 저장소에 제어 대상 기기의 이름(device name), 제어 대상 기기의 주소(예컨대, MAC address) 및 패스 코드를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대상 기기가 슬립 상태로 전환되고,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를 웨이크 온 시키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를 깨우기 위한 요청 데이터 및 패스 코드를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대상 기기를 깨우기 위한 요청 데이터는 WoWLAN(Wake on Wireless LAN) Magic Packe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기기로부터 요청 데이터 및 패스 코드를 수신한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 기기가 전송한 패스 코드가 정당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 기기로부터 수신한 패스 코드가 정당한 것일 경우, 제어 대상 기기는 요청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턴 온 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를 턴 온 시키기 위한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 사이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기기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제어 대상 기기를 턴 온 시키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 서비스 레이어는 턴 온 시키고자 하는 대상의 어드레스(targetaddress)(예컨대, 제어 대상 기기의 MAC 주소), 패스 코드 및 퍼시스턴트 정보(persistent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웨이크 온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소드(method)를 ASP로 전송할 수 있다. 웨이크 온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소드가 수신되면, 제어 기기의 ASP는 Wi-Fi 다이렉트 또는 Wi-Fi 레이어로, 웨이온 시키고자 하는 대상의 어드레스(예컨대, 제어 대상 기기의 MAC 주소), 패스 코드 및 퍼시스턴트 정보를 포함하는 웨이크 온 디바이스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 기기의 Wi-Fi 다이렉트 또는 Wi-Fi 레이어는 제어 대상 기기를 웨이크온 시키고자 하는 웨이크 온 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웨이크 온 프레임을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웨이크 온 프레임에는 패스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또는 Wi-Fi 레이어를 통해 웨이크 온 프레임이 수신되면, 제어 대상 기기의 ASP 레이어는 웨이크 온 프레임 및 패스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패스 코드가 유효한 경우, 제어 대상 기기의 ASP 레이어는 Wi-Fi 다이렉트 또는 Wi-Fi 레이어를 통해 L2 연결을 시작하고, 제어 서비스 레이어로 이벤트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L2 연결이 시작되면,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가 웨이크 온 된 이후, 계속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벤트가 수신되면,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 서비스 레이어는 제어 대상 기기가 웨이크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 대상 기기의 ASP 레이어는 L3 (Layer 3)에서 패킷 및 패스코드를 확인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패스 코드가 확인되면, ASP 레이어는 제어 서비스 레이어로 이벤트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이벤트가 수신되면,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 서비스 레이어는 제어 대상 기기를 웨이크 온 하고, ASP 레이어로 L2 연결을 시작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WoWLAN Magic Packet은 IP 패킷으로 정의되고, 이는 오로지 이더넷(Ethernet)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즉, 제어 기기가 WoWLAN Magic Packet을 이용하여 잠자고 있는 제어 대상 기기을 턴 온 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어 대상 기기는 WoWLAN Magic Packet을 수신하기 위해 잠자고 있는 상태에서도 와이 파이 또는 와이 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위한 와이 파이 통신 모듈을 온 시켜야 하는 부담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어 기기와 제어 대상 기기의 연계 전에(Pre-Association) 웨이크 온 절차가 수행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는 저전력에서 동작 가능한 NAN (Neighborhood Awareness Networking) 모듈을 구비한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 대상 기기가 턴 오프되면, Wi-Fi 모듈은 Off 상태를 유지하고, NAN 은 On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 기기는 NAN 탐색(discovery)을 통해 제어 대상 기기의 주 전원(main power)가 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도 33은 제어 기기가 NAN 탐색을 통해 제어 대상 기기가 턴 온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기기는 NAN 탐색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대상 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 기기가 NAN 탐색을 위한 탐색 프레임을 방송하면, 탐색 프레임을 청취한 기기들은 탐색 프레임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이때, 탐색 프레임을 청취한 기기들이 전송하는 응답 프레임에는 제어 서비스의 지원 여부 및 Wi-Fi 모듈의 턴 온 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서비스의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에는 제어 대상 기기가 제어 기기에 의해 원격으로 턴 온 될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면, 제어 기기는 각 제어 대상 기기의 Wi-Fi 모듈이 온 상태인지 여부를 기초로 제어 대상 기기가 턴 온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의 Wi-Fi 모듈이 On 상태라면, 제어 대상 기기도 턴 온 상태이고, 제어 대상 기기의 Wi-Fi 모듈이 Off 상태라면, 제어 대상 기기도 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도 33에서, 기기 B 및 기기 C의 Wi-Fi 인터페이스가 Off 상태이고, 기기 D의 Wi-Fi 인터페이스는 On 상태이므로, 기기 A는 기기 B 및 기기 C는 턴 오프 상태, 기기 D는 턴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 대상 기기가 제어 기기에 의해 원격으로 턴 온 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한 경우,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으로 턴 온 시킬 수 있다. 일예로, 도 33에서, 기기 B는 제어 기기에 의해 원격으로 턴 온 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하고 있고, 현재 턴 오프된 상태이므로, 기기 A에 의해 턴 온 될 수 있을 것이다. 기기 C는 턴 오프된 상태이나, 제어 기기에 의해 원격으로 턴 온 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지 못하므로, 기기 A에 의해 턴 온 될 수 없을 것이다. 기기 D는 턴 온 상태이므로, 제어 기기에 의해 원격으로 턴 온 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다.
제어 대상 기기를 턴 온 시키기 위해, 제어 기기의 ASP는 Layer 2 안에서 새롭게 정의되는 웨이크 온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웨이크 온 패킷은 MAC 프레임 형태를 띌 수도 있다. 이 경우, 웨이크 온 패킷은 웨이크 온 MAC 프레임이라 호칭될 수도 있다. 웨이크 온 MAC 프레임은 액션 프레임(Action fram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4는 제어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으로 턴 온 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대상 기기를 웨이크 업 시키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 기기의 서비스 레이어는 ASP로 Wake On 메소드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 기기의 ASP는 웨이크 온 MAC 프레임을 생성하고, NAN을 통해 생성된 웨이크 온 MAC 프레임을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웨이크 온 MAC 프레임이 수신되면, 제어 대상 기기는 자신의 전원을 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대상 기기는 마이컴 등의 저전력 프로세서를 통해 전원을 켤 수 있을 것이다.
도 35는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으로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기기의 아키텍쳐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대상 기기와의 연계 전(Pre-Association), 제어 기기의 ASP는 NAN 탐색 엔진으로부터 NAN 탐색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NAN 탐색 결과 이벤트를 제어 서비스 레이어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서비스 레이어는 NAN 탐색 결과를 기초로, 제어 대상 기기가 원격으로 턴 온 될 수 있는 능력(예컨대, Wake-On LAN capability)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 및 제어 대상 기기가 턴 오프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대상 기기를 턴 온 시키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 서비스 레이어는 ASP로 Wake-on Control 메소드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서비스 레이어에서 Wake-on 제어 메소드가 수신되면, ASP 레이어는 NAN 탐색 엔진으로 제어 대상 기기의 정보(예컨대, 제어 대상 기기의 MAC 주소)를 전달할 수 있다. NAN 탐색 엔진은 제어 대상 기기의 정보를 기초로 웨이크 온 MAC 프레임을 생성하고, NAN MAC을 통해 생성된 웨이크 온 MAC 프레임을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웨이크 온 MAC 프레임이 물리 계층(예컨대, 802.11 MAC/PHY)을 거쳐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되면, 제어 대상 기기는 턴 온 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제어 기기 및 제어 대상 기기가 연계되면(Post-Association), 제어 서비스 레이어 및 ASP 레이어는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활용 예(Use Case)
상술한 제어 서비스에 의하면, Wi-Fi 통신이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를 통해 Wi-Fi 통신이 가능한 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예로, 도 3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제어 기기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TV, 에어컨, DVD 플레이어, 보일러, 조명, 출입문, 완구 기기 등 다양한 제어 대상 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 예로, 도 3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TV가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제공하면,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 이미지를 통해 TV를 원격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8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TV를 턴 온 할수도 있다. TV가 턴온되고, 이동 단말기 및 TV 사이에 WFDS 디스플레이 서비스가 시작되면, 이동 단말기의 출력은 TV에서 미러링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세탁기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탁기에 가까이 가지 않더라도, 이동 단말기의 조작만으로, 세탁기의 상태 정보(예컨대, 세탁 완료까지 남은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부(11), 메모리(12), 송수신기(13) 및 프로세서(14)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3)는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레이어를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는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 기기는 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5)는 송수신기(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레이어 및/또는 MAC 레이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는 제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의 인코딩 및 디코딩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을 구현하는 모듈이 메모리(1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5)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메모리(12)는 프로세서(15)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5)의 외부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1)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무선 디바이스(10)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도 36의 무선 디바이스(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Wi-Fi 다이렉트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9)
-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제 2 무선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탐색되면,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명령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처리될 명령어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명령어의 처리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는 검색하고자 하는 제 1 서비스 이름을 변환한 해쉬 값이 포함되고,
상기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는 상기 해쉬 값에 매칭되는 제 2 서비스 이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 이름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타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기기임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비스 이름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타 기기로부터 원격 제어될 수 있는 제어 대상 기기임을 식별하는 정보 및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정보는,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명령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매핑되는 오브젝트에 액세스 하기 위한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오브젝트를 기초로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 식별 정보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에 매핑 되는 명령어의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식별 정보가 매핑된 텍스트, 버튼 이미지 및 아이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정보는, 오브젝트에 액세스 하기 위한 주소 정보 및 상기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오브젝트를 기초로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 식별 정보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정보는,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소정 이미지에 접근하기 위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소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 식별 정보는, 상기 소정 이미지 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해상도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맞춰 상기 소정 이미지를 리사이즈 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제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탐색되면,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명령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명령어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명령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상기 명령어의 처리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제 2 무선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턴 오프 상태이면, 상기 2 무선 디바이스를 턴 온 시키기 위한 턴 온 데이터를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단계는, NAN (Neighborhood Area Network)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의 Wi-Fi 인터페이스가 온 또는 오프 상태인지 여부를 지시하고, 상기 능력 정보는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원격 제어에 의해 턴 온 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Wi-Fi 인터페이스가 오프 상태임을 지시하고,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원격 제어에 의해 턴 온 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지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턴 온 데이터를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서비스 수행 방법. - 제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탐색되면,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명령어 정보가 수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처리될 명령어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 식별 정보를 전송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명령어의 처리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 제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가 탐색되면,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명령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명령어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명령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처리하며,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상기 명령어의 처리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361868056P | 2013-08-20 | 2013-08-20 | |
US61/868,056 | 2013-08-20 | ||
US201361885534P | 2013-10-02 | 2013-10-02 | |
US61/885,534 | 2013-10-02 | ||
PCT/KR2014/007715 WO2015026147A1 (ko) | 2013-08-20 | 2014-08-20 | 직접 통신을 이용한 타 기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5062A true KR20160045062A (ko) | 2016-04-26 |
Family
ID=5248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4076A KR20160045062A (ko) | 2013-08-20 | 2014-08-20 | 직접 통신을 이용한 타 기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219423A1 (ko) |
KR (1) | KR20160045062A (ko) |
WO (1) | WO2015026147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7221A (ko) * | 2017-12-25 | 2019-07-03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통신장치, 제어방법,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
KR102329166B1 (ko) * | 2020-08-06 | 2021-11-22 | 주식회사 오성전자 | IoT 연결 플랫폼을 활용한 전원 동기화 및 씬기능 설정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
KR102329165B1 (ko) * | 2020-08-06 | 2021-11-22 | 주식회사 오성전자 | IoT 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리모컨 자동설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리모컨 |
WO2023014024A1 (en) * | 2021-08-02 | 2023-02-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pan device for managing pan devices in clus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64445B2 (en) * | 2010-03-30 | 2019-04-16 | Cloud Network Technology Singapore Pte. Ltd. | Relay user equipment device and capability discovery method thereof |
KR102184488B1 (ko) * | 2014-01-09 | 2020-11-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단말장치, 영상표시장치, 이동단말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
US9641960B2 (en) * | 2014-11-12 | 2017-05-02 | Qualcomm Incorporated | MirrorLink with wireless serial bus |
US20160142900A1 (en) * | 2014-11-17 | 2016-05-19 | Qualcomm Incorporated | Wireless serial bus service continuity |
US10205776B2 (en) * | 2014-12-23 | 2019-02-12 | Xiaomi Inc. |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nnection |
KR20170037305A (ko) * | 2015-09-25 | 2017-04-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KR20180039341A (ko) * | 2016-10-10 | 2018-04-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외부 장치와 통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US10270851B2 (en) * | 2017-02-13 | 2019-04-23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Activating a peer-to-peer communication channel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01404B2 (en) * | 2008-03-04 | 2011-08-16 |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 Remote wakeup web service for imaging device |
US8477019B2 (en) * | 2009-02-12 | 2013-07-02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s and apparatus for a universal device controller using peer to peer communication |
KR101698856B1 (ko) * | 2010-09-01 | 2017-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기기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
KR101688948B1 (ko) * | 2011-05-27 | 2016-12-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연결 수립 |
KR101304805B1 (ko) * | 2011-08-11 | 2013-09-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US9485719B2 (en) * | 2011-11-15 | 2016-11-01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for supported service through WiFi direct network |
WO2014025217A1 (en) * | 2012-08-08 | 2014-02-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of connecting service according to user intention |
US9210357B1 (en) * | 2013-03-13 | 2015-12-08 | Google Inc. | Automatically pairing remote |
-
2014
- 2014-08-20 WO PCT/KR2014/007715 patent/WO201502614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8-20 KR KR1020167004076A patent/KR2016004506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08-20 US US14/913,227 patent/US20160219423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7221A (ko) * | 2017-12-25 | 2019-07-03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통신장치, 제어방법,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
KR102329166B1 (ko) * | 2020-08-06 | 2021-11-22 | 주식회사 오성전자 | IoT 연결 플랫폼을 활용한 전원 동기화 및 씬기능 설정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
KR102329165B1 (ko) * | 2020-08-06 | 2021-11-22 | 주식회사 오성전자 | IoT 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리모컨 자동설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리모컨 |
WO2023014024A1 (en) * | 2021-08-02 | 2023-02-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pan device for managing pan devices in clus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026147A1 (ko) | 2015-02-26 |
US20160219423A1 (en) | 2016-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99715B2 (en) | Discovery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160045062A (ko) | 직접 통신을 이용한 타 기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EP3016441B1 (en) | Searching for device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 |
AU2013382296B2 (en) | Method for peer to peer group formation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 |
KR101611329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전환 방법 및 장치 | |
KR102152713B1 (ko) |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탐색 또는 광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AU2013356802B2 (en) | Method and device for session initial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969981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082037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urning on Wi-Fi infrastructure using BLE interfa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EP3104551B1 (en) | Method for performing a wi-fi display service and its corresponding device | |
KR101680675B1 (ko) |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탐색 또는 광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50098619A (ko) | 무선랜 시스템에서 서비스 발견 방법 및 장치 | |
US20180049013A1 (en) |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service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0129343B2 (en) | Method for searching for docking service and peripheral function by using direct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same | |
KR101801591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US10045387B2 (en) | Method for constructing docking protocol by using direct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 |
KR20170003948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장치 | |
US2018007773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