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593A -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593A
KR20190050593A KR1020170146141A KR20170146141A KR20190050593A KR 20190050593 A KR20190050593 A KR 20190050593A KR 1020170146141 A KR1020170146141 A KR 1020170146141A KR 20170146141 A KR20170146141 A KR 20170146141A KR 20190050593 A KR20190050593 A KR 20190050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il
rails
closing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738B1 (ko
Inventor
장순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알테크
Priority to KR102017014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7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2003/228Arrangements where the end of the closer arm is sliding in a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약한 힘을 가하여 살짝 닫으면 문짝이 자동으로 서서히 닫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문짝의 개폐작동시 완충작용을 부여하여 충격소음 및 반력에 의해 문짝이 튕기면서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틀(10)에 문짝(20)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로서, 상기 문짝(2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브래킷(30)과 제2브래킷(40); 상기 제1,2브래킷(30)(40)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1완충롤러(50)와 제2완충롤러(60); 상기 제1완충롤러(5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문틀(10)의 상부 일측에 편심축(7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폐쇄시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제1레일(70); 상기 제2완충롤러(6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문틀(10)의 상부 타측에 편심축(8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폐쇄시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제2레일(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Semi auto damp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sliding door}
본 발명은 학교의 교실문이나 공공건물 등의 출입문, 학원의 강의실 출입문 등과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빈번하게 출입하는 다양한 출입문에 적용되는 미닫이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미닫이문 상부레일 일측에 편심되는 축을 설치하여 문짝을 여닫을 때 상부레일이 시소(seesaw)와 같이 작동하여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약한 힘을 가하여 닫으면 문짝이 자동으로 서서히 닫히도록 하여 급격한 닫힘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문짝의 개폐작동시 완충작용을 부여하여 충격소음 및 반력에 의해 문짝이 튕기면서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문은 학교의 교실문이나 공공건물 등의 출입문, 학원의 강의실 출입문 등과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빈번하게 출입하는 다양한 출입문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미닫이문은 문틀과 문틀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문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문짝이 열리고 닫히는 미닫이문은 크게 수동식과 반자동식으로 이루어진다.
수동식 미닫이문은 작은 힘으로도 사용자가 손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문짝 이송레일에서의 마찰을 가급적 최소화하고 있으나, 이로 인해 사용자가 다소 과도한 힘을 주어 여는 경우에는 문짝이 급격하게 열리면서 문틀에 쿵하고 충돌하여 큰 소음을 발생시키고, 이때 문틀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반력에 의해 문짝이 튕겨나와 다시 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학교의 교실문과 같이 주의력이 부족한 아동들이 사용하는 경우 문짝을 열거나 닫힘이 거칠고 장난이 심하여 문짝을 강하게 열고 닫는 과정에서 문틀과 문짝 사이에 손가락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91959호(등록일자 2011년12월02일)의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미닫이 도어의 문틀 내에 결합된 문짝을 슬라이딩시키는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장치로서, 문짝의 상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하부에 각각 당접하며 문짝의 닫힘방향의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문틀에 설치된 레일부; 및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슬롯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롤러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장치사 개시되었다(도 8 참조).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221호(등록일자 2009년07월02일)의 "경사진 레일을 통하여 자동개폐 기능을 구현한 슬라이딩도어"(이하 "선행기술 2"이라 함)는 프레임; 도어패널; 상기 도어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롤러;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롤러를 가이드 하는 상부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패널을 위한 상부레일은 개별 롤러 각각에 대한 복수의 레일엘리먼트(rail element)를 갖고, 상기 각 레일엘리먼트는 상기 도어패널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도어패널이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에 머물도록 하는 정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패널은 상기 레일엘리먼트에 위치하여 슬라이딩시 수평을 유지하고, 행거타입으로 설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었다(도 9 참조).
상기 선행기술 1 및 2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에도 미닫이문의 상부레일을 일정각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고정 설치하여 미닫이문을 열고 닫을 때 자동으로 문이 닫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1 및 2는 미닫이문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을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문이 열리고 닫힐 때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문을 열고 닫을 때 상부레일이 닫히는 방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어 문을 닫을 때 밀기만 하면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이점은 있으나, 상부레일의 기울기에 의해 문이 닫힐 때 롤러의 구륜이 가속되어 세게 닫히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1 및 2는 미닫이문을 열 때 상부레일의 기울기 경사각 반대쪽으로 밀게 되므로 경사각도만큼 힘을 더 가해 열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행기술 2의 경우에는 문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상부레일을 좌우 복수로 설치하고 좌우에 설치되는 상부레일의 기울기가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하여 2짝의 문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 것으로, 이는 전체적으로 구성부품이 많이 소요되어 간결하지 못한 문제점과 롤러에 각각 레일엘리먼트를 설치함으로 설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10-1091959호(등록일자 2011년12월02일) 특허문헌 2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221호(등록일자 2009년07월02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약한 힘을 가하여 살짝 닫으면 문짝이 자동으로 서서히 닫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문틀과 문짝 사이에 손가락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짝의 개폐작동시 완충작용을 부여하여 충격소음 및 반력에 의해 문짝이 튕기면서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문틀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문짝의 상부 양측에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을 각각 고정하고, 상기 제1,2브래킷에 제1완충롤러와 제2완충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며, 상기 제1완충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문틀의 상부 일측에 제1레일을 편심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문짝의 폐쇄시 문짝의 자중에 의해 제1레일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2완충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문틀의 상부 타측에 제2레일을 편심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문짝의 폐쇄시 문짝의 자중에 의해 제2레일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레일은 폐쇄구간과 개방구간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2레일의 편심축은 폐쇄구간과 개방구간 사이에 각각 설치하며, 상기 제1,2레일의 일측 상,하부에는 제1,2레일의 회전을 단속하는 상부스토퍼와 하부스토퍼를 문틀에 각각 고정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문짝의 개방이 완료되는 지점에서 제1완충롤러는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제2레일의 일단에 걸리도록 하고, 상기 문짝의 폐쇄가 완료되는 지점에서 제2완충롤러는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제1레일의 타단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브래킷에는 수직장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2완충롤러는 높이조절판과 볼트를 이용하여 제1,2브래킷의 수직장공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레일은 제1,2완충롤러의 이동을 각각 안내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서 상하로 일체로 연장되어 문틀에 편심축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미닫이문은 상부레일을 복수의 제1레일 및 제2레일로 설치하되,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은 길이중심 일측에 편심되도록 편심축을 각각 형성하여 문짝을 열고 닫을 때 이동에 따라 제1레일 및 제2레일이 각각의 편심축을 중심으로 시소와 같이 문짝이 서서히 닫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제1레일 및 제2레일은 문짝을 열고 닫을 때 문짝의 이동에 따라 편심축을 중심으로 1°에서 4°의 각으로 시소되어 기울기각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제1레일 및 제2레일은 문짝을 열고 닫을 때 문짝의 이동에 따라 편심축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시소되어 기울기각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에 따르면, 문짝의 폐쇄시 문짝의 자중에 의해 제1,2레일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면서 제1,2완충롤러를 자동으로 서서히 이동시키기 때문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약한 힘을 가하여 살짝 닫으면 문짝이 자동으로 서서히 닫히고, 이와 같이 문짝이 서서히 닫히므로 문틀과 문짝 사이에 손가락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짝의 개폐작동시 문짝의 상부 양측에 설치된 제1,2완충롤러가 제1레일 또는 제2레일의 단부에 걸리면서 정지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문짝의 개폐작동시 완충작용을 부여하여 충격소음 및 반력에 의해 문짝이 튕기면서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문짝이 닫힌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문짝이 열린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은 문짝이 닫힌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문짝이 열린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문짝의 개폐시 제1,2완충롤러와 제1,2레일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레일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종래의 미닫이 도어 상부에 레일을 경사지게 고정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종래의 미닫이 도어 상부 레일을 경사지게 고정 설치하고 문이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문틀(10)에 문짝(20)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로서, 상기 문짝(2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브래킷(30)과 제2브래킷(40); 상기 제1,2브래킷(30)(40)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1완충롤러(50)와 제2완충롤러(60); 상기 제1완충롤러(5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문틀(10)의 상부 일측에 편심축(7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폐쇄시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제1레일(70); 상기 제2완충롤러(6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문틀(10)의 상부 타측에 편심축(8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폐쇄시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제2레일(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는 살짝 닫으면 문짝(20)이 자동으로 서서히 닫히도록 하고, 또한 문짝(20)의 개폐작동시 완충작용을 부여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는 제1브래킷(30), 제2브래킷(40), 제1완충롤러(50), 제2완충롤러(60), 제1레일(70), 제2레일(8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문은 학교의 교실문이나 공공건물 등의 출입문, 학원의 강의실 출입문 등과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빈번하게 출입하는 다양한 출입문에 설치된다.
상기 문틀(10)은 미닫이문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문틀(10)은 상부수평프레임과 하부수평프레임 및 양측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레일(70)과 제2레일(80)은 문틀(10)의 상부수평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에는 제1,2레일(70)(8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가 설치된다.
상기 문짝(20)은 미닫이문의 도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문짝(20)은 문틀(1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문짝(20)의 상부 양측에는 제1브래킷(30)과 제2브래킷(4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브래킷(30)은 문짝(2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브래킷(30)은 제1완충롤러(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브래킷(30)의 하부에는 문짝(20)의 상부에 나사(S)체결로 고정되는 고정판(30a)이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판(30a)의 하부 전,후방에는 고정돌기(30b)가 일체로 각각 돌출되며, 상기 문짝(20)의 상부 내측 전,후방에는 고정돌기(30b)가 끼워지는 고정홈(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브래킷(40)은 문짝(20)의 상부 타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2브래킷(40)은 제2완충롤러(6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브래킷(40)은 제1브래킷(30)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완충롤러(50)는 제1브래킷(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완충롤러(50)는 문짝(2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제1완충롤러(50)는 문짝(20)의 개폐작동시 완충작용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완충롤러(50)는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완충롤러(60)는 제2브래킷(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2완충롤러(60)는 문짝(2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제2완충롤러(60)는 문짝(20)의 개폐작동시 완충작용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완충롤러(60)는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완충롤러(50)는 문짝(20)의 개폐작동시 제1레일(7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제2완충롤러(60)는 문짝(20)의 개폐작동시 제2레일(8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2브래킷(30)(40)에는 수직장공(31)(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완충롤러(50)(60)는 높이조절판(51)(61)과 볼트(52)(62)를 통해 수직장공(31)(41)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완충롤러(50)는 축(50a)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완충롤러(5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50a)은 제1브래킷(30)의 수직장공(31)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53)체결로 고정되며, 상기 높이조절판(51)의 상부에는 축(50a)에 끼워지는 축공(51a)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판(51)의 하부에는 볼트(52)를 체결할 수 있도록 암나사로 이루어지는 나사공(51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완충롤러(60)는 제1완충롤러(5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레일(70)은 문짝(20)의 개폐시 제1완충롤러(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1레일(70)은 문틀(10)의 상부 일측에 편심축(7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제1레일(70)은 문짝(20)의 폐쇄시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문짝(20)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레일(70)은 문짝(20)이 닫힌 상태에서는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한편 상기 제1레일(70)은 문짝(20)이 열린 상태에서는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문짝(20)이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레일(80)은 문짝(20)의 개폐시 제2완충롤러(6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2레일(80)은 문틀(10)의 상부 타측에 편심축(8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레일(80)은 문짝(20)의 폐쇄시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문짝(20)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레일(80)은 문짝(20)이 열린 상태에서는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한편 상기 제2레일(80)은 문짝(20)이 닫힌 상태에서는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문짝(20)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1,2레일(70)(80)은 폐쇄구간(72)(82)과 개방구간(73)(8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편심축(71)(81)은 폐쇄구간(72)(82)과 개방구간(73)(83)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2레일(70)(80)의 일측 상,하부에는 제1,2레일(70)(80)의 회전을 단속하는 상부스토퍼(74)(84)와 하부스토퍼(75)(85)가 문틀(10)에 고정된다.
상기 제1레일(70)의 폐쇄구간(72)에 제1완충롤러(50)가 위치하는 경우, 제1레일(70)은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편심축(7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하부스토퍼(75)에 걸리는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1레일(70)은 하부스토퍼(75)에 단속되면서 문짝(20)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레일(70)의 개방구간(73)에 제1완충롤러(50)가 위치하는 경우, 제1레일(70)은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편심축(7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상부스토퍼(74)에 걸리는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1레일(70)은 상부스토퍼(74)에 단속되면서 문짝(20)이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레일(80)의 폐쇄구간(82)에 제2완충롤러(60)가 위치하는 경우, 제2레일(80)은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편심축(8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하부스토퍼(85)에 걸리는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2레일(80)은 하부스토퍼(85)에 단속되면서 문짝(20)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레일(80)의 개방구간(83)에 제2완충롤러(60)가 위치하는 경우, 제2레일(80)은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편심축(8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상부스토퍼(84)에 걸리는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2레일(80)은 상부스토퍼(84)에 단속되면서 문짝(20)이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6c 및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문짝(20)의 개방이 완료되는 지점에서 제1완충롤러(50)는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제2레일(80)의 일단에 접촉하여 정지되고, 상기 문짝(20)의 폐쇄가 완료되는 지점에서 제2완충롤러(60)는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제1레일(70)의 타단에 접촉하여 정지된다.
도 6c에서와 같이 상기 문짝(20)이 완전히 개방되는 경우, 제1완충롤러(50)는 제1레일(70)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1레일(70)은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또한 이와 동시에 제2완충롤러(60)는 제2레일(80)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2레일(80)은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1레일(70)의 타단은 제2레일(80)의 일단보다 높이가 낮아 제1레일(70)과 제2레일(8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이러한 단차에 의해 문짝(20)의 개방이 완료되는 지점에서 제1완충롤러(50)는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제2레일(80)의 일단에 걸리면서 정지하게 되고, 이때 제1완충롤러(50)와 제2레일(80)의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완충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문짝(20)이 완전히 폐쇄되는 경우, 제1완충롤러(50)는 제1레일(70)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1레일(70)은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또한 이와 동시에 제2완충롤러(60)는 제2레일(80)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2레일(80)은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1레일(70)의 타단은 제2레일(80)의 일단보다 높이가 높아 제1레일(70)과 제2레일(8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이러한 단차에 의해 문짝(20)의 폐쇄가 완료되는 지점에서 제2완충롤러(60)는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제1레일(70)의 타단에 걸리면서 정지하게 되고, 이때 제2완충롤러(60)와 제1레일(70)의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완충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2레일(70)(80)은 제1,2완충롤러(50)(6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70a)(80a)와, 상기 레일부(70a)(80a)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부(70b)(80b)와, 상기 연결부(70b)(80b)의 단부에서 상하로 일체로 연장되어 문틀(10)에 편심축(71)(81)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70c)(80c)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3과 도 6a에서와 같이 문짝(2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제1완충롤러(50)는 제1레일(70)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제2완충롤러(60)는 제2레일(80)의 일측 상부에서 제1레일(70)의 타단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제1레일(70)과 제2레일(80)은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문짝(20)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a에서와 같이 문짝(2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문짝(20)을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완충롤러(50)는 제1레일(70)을 따라 문짝(20)과 같이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완충롤러(60)는 제2레일(80)을 따라 문짝(20)과 같이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문짝(20)이 열리는 과정에서 제1완충롤러(50)가 편심축(71)의 위치만큼 이동할 때까지 제1레일(70)은 경사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또한 제2완충롤러(60)가 편심축(81)의 위치만큼 이동할 때까지 제2레일(80)은 경사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문짝(20)이 열리는 과정에서 도 6b에서와 같이 제2완충롤러(60)가 편심축(81)을 지나면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제2레일(80)은 편심축(81)을 중심으로 상부스토퍼(84)에 걸릴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게 되고, 또한 도 6b에서와 같이 제1완충롤러(50)가 편심축(71)을 지나면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제1레일(70)은 편심축(71)을 중심으로 상부스토퍼(74)에 걸릴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기 때문에, 제1,2완충롤러(50)(60)는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제1,2레일(70)(80)을 따라 자동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되고, 도 6c에서와 같이 문짝(20)의 개방이 완료되는 지점에서 제1완충롤러(50)는 제2레일(80)의 일단에 걸려 정지하게 되며, 이때 제1완충롤러(50)와 제2레일(80)의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완충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다음, 도 2,4와 도 6c에서와 같이 문짝(20)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제1완충롤러(50)는 제1레일(70)의 타측 상부에서 제2레일(80)의 일단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2완충롤러(60)는 제2레일(80)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제1레일(70)과 제2레일(80)은 도 6c에서와 같이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4와 도 6c에서와 같이 문짝(20)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문짝(20)을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완충롤러(50)는 제1레일(70)을 따라 문짝(20)과 같이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완충롤러(60)는 제2레일(80)을 따라 문짝(20)과 같이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문짝(20)이 닫히는 과정에서 제1완충롤러(50)가 편심축(71)의 위치만큼 이동할 때까지 제1레일(70)은 경사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또한 제2완충롤러(60)가 편심축(81)의 위치만큼 이동할 때까지 제2레일(80)은 경사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문짝(20)이 닫히는 과정에서 도 6d에서와 같이 제1완충롤러(50)가 편심축(71)을 지나면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제1레일(70)은 편심축(71)을 중심으로 하부스토퍼(75)에 걸릴 때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게 되고, 또한 도 6d에서와 같이 2완충롤러(60)가 편심축(81)을 지나면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제2레일(80)은 편심축(81)을 중심으로 하부스토퍼(85)에 걸릴 때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기 때문에, 제1,2완충롤러(50)(60)는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제1,2레일(70)(80)을 따라 자동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되고, 도 6e에서와 같이 문짝(20)의 폐쇄가 완료되는 지점에서 제2완충롤러(60)는 제1레일(70)의 타단에 걸려 정지하게 되며, 이때 제2완충롤러(60)와 제1레일(70)의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완충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문짝(20)을 닫을 때 제1,2완충롤러(50)(60)가 편심축(71)(81)을 지나는 거리만큼만 이동하도록 문짝(20)을 약한 힘을 가하여 살짝 닫으면, 제1,2레일(70)(80)이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1,2완충롤러(50)(60)는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1,2레일(70)(80)의 경사면을 따라 자동으로 서서히 이동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문짝(20)을 반자동으로 서서히 닫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미닫이문은 상부레일을 복수의 제1레일(70) 및 제2레일(80)로 설치하고, 상기 제1레일(70)과 제2레일(80)은 길이중심 일측에 편심되도록 편심축(71)(81)을 각각 형성하여 문짝(20)을 열고 닫을 때 이동에 따라 제1레일(70) 및 제2레일(80)이 각각의 편심축(71)(81)을 중심으로 시소와 같이 문짝(20)이 서서히 닫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제1레일(70) 및 제2레일(80)은 문짝(20)을 열고 닫을 때 문짝(20)의 이동에 따라 편심축(71)(81)을 중심으로 1°에서 4°의 각으로 시소되어 기울기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은 복수의 제1레일(70) 및 제2레일(80)은 문짝(20)을 열고 닫을 때 문짝(20)의 제1,2완충롤러(50)(60) 이동에 따라 편심축(71)(81)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시소와 같이 기울기각을 형성하면서 문짝(20)이 이동된다.
즉, 본 발명의 제1레일(70) 및 제2레일(80)은 편심축(71)(81)을 중심으로 제1레일(70) 및 제2레일(80)의 무게에 의해 서서히 내려가고 서서히 올라가 1°에서 4°의 각으로 시소되어 기울기각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문짝(20)의 폐쇄시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제1,2레일(70)(80)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면서 제1,2완충롤러(50)(60)를 자동으로 서서히 이동시키기 때문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약한 힘을 가하여 살짝 닫으면 문짝(20)이 자동으로 서서히 닫히고, 이와 같이 문짝(20)이 서서히 닫히므로 문틀(10)과 문짝(20) 사이에 손가락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문짝(20)의 개폐작동시 문짝(2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된 제1,2완충롤러(50)(60)가 제1레일(70) 또는 제2레일(80)의 단부에 걸리면서 정지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문짝(20)의 개폐작동시 완충작용을 부여하여 충격소음 및 반력에 의해 문짝(20)이 튕기면서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문틀 20 : 문짝
30 : 제1브래킷 31 : 수직장공
40 : 제2브래킷 41 : 수직장공
50 : 제1완충롤러 51 : 높이조절판
52 : 볼트 60 : 제2완충롤러
61 : 높이조절판 62 : 볼트
70 : 제1레일 70a : 레일부
70b : 연결부 70c : 회전부
71 : 편심축 72 : 폐쇄구간
73 : 개방구간 74 : 상부스토퍼
75 : 하부스토퍼 80 : 제2레일
80a : 레일부 80b : 연결부
80c : 회전부 81 : 편심축
82 : 폐쇄구간 83 : 개방구간
84 : 상부스토퍼 85 : 하부스토퍼

Claims (8)

  1. 문틀(10)에 문짝(20)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로서,
    상기 문짝(2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브래킷(30)과 제2브래킷(40);
    상기 제1,2브래킷(30)(40)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제1완충롤러(50)와 제2완충롤러(60);
    상기 제1완충롤러(5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문틀(10)의 상부 일측에 편심축(7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폐쇄시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제1레일(70);
    상기 제2완충롤러(6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문틀(10)의 상부 타측에 편심축(8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폐쇄시 문짝(20)의 자중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제2레일(80)을 포함하는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레일(70)(80)은 폐쇄구간(72)(82)과 개방구간(73)(8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편심축(71)(81)은 폐쇄구간(72)(82)과 개방구간(73)(83)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2레일(70)(80)의 일측 상,하부에는 제1,2레일(70)(80)의 회전을 단속하는 상부스토퍼(74)(84)와 하부스토퍼(75)(85)가 문틀(1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20)의 개방이 완료되는 지점에서 제1완충롤러(50)는 열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제2레일(80)의 일단에 접촉하여 정지되고, 상기 문짝(20)의 폐쇄가 완료되는 지점에서 제2완충롤러(60)는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제1레일(70)의 타단에 접촉하여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브래킷(30)(40)에는 수직장공(31)(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완충롤러(50)(60)는 높이조절판(51)(61)과 볼트(52)(62)를 통해 수직장공(31)(41)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레일(70)(80)은 제1,2완충롤러(50)(6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70a)(80a)와, 상기 레일부(70a)(80a)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부(70b)(80b)와, 상기 연결부(70b)(80b)의 단부에서 상하로 일체로 연장되어 문틀(10)에 편심축(71)(81)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70c)(80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문은 상부레일을 복수의 제1레일(70) 및 제2레일(80)로 설치하되, 상기 제1레일(70)과 제2레일(80)은 길이중심 일측에 편심되도록 편심축(71)(81)을 각각 형성하여 문짝(20)을 열고 닫을 때 이동에 따라 제1레일(70) 및 제2레일(80)이 각각의 편심축(71)(81)을 중심으로 시소와 같이 문짝(20)이 서서히 닫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레일(70) 및 제2레일(80)은 문짝(20)을 열고 닫을 때 문짝(20)의 이동에 따라 편심축(71)(81)을 중심으로 1°에서 4°의 각으로 시소되어 기울기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레일(70) 및 제2레일(80)은 문짝(20)을 열고 닫을 때 문짝(20)의 이동에 따라 편심축(71)(81)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시소되어 기울기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KR1020170146141A 2017-11-03 2017-11-03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KR102030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141A KR102030738B1 (ko) 2017-11-03 2017-11-03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141A KR102030738B1 (ko) 2017-11-03 2017-11-03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593A true KR20190050593A (ko) 2019-05-13
KR102030738B1 KR102030738B1 (ko) 2019-10-10

Family

ID=6658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141A KR102030738B1 (ko) 2017-11-03 2017-11-03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7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7372U (ko) * 1988-09-27 1990-03-30
JPH0714592Y2 (ja) * 1989-01-02 1995-04-10 良雄 田中 自閉引戸の簡易開放機構と制動機構
KR200445221Y1 (ko) 2007-10-08 2009-07-10 임영진 경사진 레일을 통하여 자동개폐 기능을 구현한 슬라이딩도어
JP2011084889A (ja) * 2009-10-14 2011-04-28 Kinugawa Mokkosho:Kk ドアガイド装置及びスライドドア装置
KR101091959B1 (ko) 2011-05-26 2011-12-08 창그리고문 주식회사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7372U (ko) * 1988-09-27 1990-03-30
JPH0714592Y2 (ja) * 1989-01-02 1995-04-10 良雄 田中 自閉引戸の簡易開放機構と制動機構
KR200445221Y1 (ko) 2007-10-08 2009-07-10 임영진 경사진 레일을 통하여 자동개폐 기능을 구현한 슬라이딩도어
JP2011084889A (ja) * 2009-10-14 2011-04-28 Kinugawa Mokkosho:Kk ドアガイド装置及びスライドドア装置
KR101091959B1 (ko) 2011-05-26 2011-12-08 창그리고문 주식회사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738B1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86208A (en) Adjustable door roller construction
US10214962B2 (en) Swimming pool ladder with safety gate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US10597921B2 (en) Actuating device for the sash of a sliding window or door
KR20080007538A (ko) 도어용 경첩
US3732594A (en) Closer hardware for sliding sash and the like
US9187941B2 (en) Roller assembly for sliding door
KR20190050593A (ko) 미닫이문의 반자동 완충개폐장치
KR101710692B1 (ko)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CA2665981A1 (en) Roller assembly for sliding door
JP4031486B2 (ja) 建具
KR20200141357A (ko) 공용스토퍼를 구비한 미닫이문 완충구조
KR102544823B1 (ko) 슬라이딩 도어
JPH11336413A (ja) 半自動式回転スライドドア
KR200485706Y1 (ko)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프레임
KR20190033232A (ko) 슬라이딩 도어
KR101091959B1 (ko)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KR100512253B1 (ko) 미닫이문
KR100567838B1 (ko) 자동 닫힘 포켓 슬라이딩 도어
JP4196338B2 (ja) 開き戸機構付き引き戸
JP4083149B2 (ja) スライド式門扉装置
KR102634414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CN110273608B (zh) 门窗滑轮、门窗扇体及门窗
JP4330544B2 (ja) 自動閉止式の引戸
JP2021088897A (ja) 開閉装置用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