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143A -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143A
KR20190050143A KR1020170145377A KR20170145377A KR20190050143A KR 20190050143 A KR20190050143 A KR 20190050143A KR 1020170145377 A KR1020170145377 A KR 1020170145377A KR 20170145377 A KR20170145377 A KR 20170145377A KR 20190050143 A KR20190050143 A KR 20190050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ide wall
lower block
blocks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3455B1 (ko
Inventor
라중현
Original Assignee
라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중현 filed Critical 라중현
Priority to KR102017014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45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1/00External frames or supports adapted to be assembled around, or applied to,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묶음장치는, 복수의 바(Bar)를 그 외측에서 묶기 위한 묶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블록; 상기 하측블록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측벽블록; 상기 복수의 바의 상측에 배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측벽블록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측블록; 상기 하측블록, 측벽블록, 및 상측블록에 각각 마련되는 길이신축수단을 포함하여서, 상기 하측블록, 측벽블록, 상측블록이 서로 결합할 때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상기 복수의 바를 수용하여 함께 묶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Binding Apparatus with length adjustable means}
본 발명은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바(bar)를 외측에서 감싸서 묶는 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배치되는 바의 개수 또는 부피 등을 고려하여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각 부품이 블럭 타입으로 서로 끼움 결합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Bar), 예컨대 각 파이프 또는 원형의 파이프 등을 보관하거나 운송하기 위해서 복수 개의 바를 서로 고정하여 묶어야 한다. 복수의 바를 서로 묶어두기 위해서 종래에는 나무프레임을 사용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나무프레임은, 복수의 바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양측에 세워지는 측벽프레임, 그리고 상기 측벽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나무프레임은 묶어야 하는 복수의 바의 개수를 고려하여 사이즈별로 재단하고, 각 프레임은 서로 체결못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체결된다.
그러나, 종래 나무프레임은 습기에 취약하기 때문에,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나무프레임의 결속력이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1회 사용된 나무프레임을 재사용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나무프레임은 묶고자하는 내용물(ex, 복수의 바)의 개수 또는 크기 등에 따라서 사이즈별로 재단을 해야하므로 불편하고, 체결못에 의해 체결되므로 결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4667호(공개번호)
본 발명은 복수의 바(bar)를 외측에서 감싸서 묶는 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배치되는 바의 개수 또는 부피 등을 고려하여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각 부품이 블럭 타입으로 서로 끼움 결합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길이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는, 복수의 바(Bar)를 그 외측에서 묶기 위한 묶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블록; 상기 하측블록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측벽블록; 상기 복수의 바의 상측에 배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측벽블록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측블록; 상기 하측블록, 측벽블록, 및 상측블록에 각각 마련되는 길이신축수단을 포함하여서, 상기 하측블록, 측벽블록, 상측블록이 서로 결합할 때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상기 복수의 바를 수용하여 함께 묶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측블록은, "ㄴ"자 형태의 제1 하부블록과 상기 제1 하부블록과 대칭으로 배치되는 제2 하부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블록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를 갖는 상단블록과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를 갖는 하단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블록은 "ㄱ'자 형태의 제1 상부블록과 상기 제1 상부블록과 대칭으로 배치되는 제2 상부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신축수단은,
상기 제1,2 하부블록 사이, 상기 상단블록과 하단블록 사이, 및 상기 제1,2 상부블록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제1,2 하부블록, 상기 상단블록과 하단블록, 및 상기 제1,2 상부블록에 각각 마련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스토퍼홈이 형성된 길이조절막대; 및 상기 제1,2 하부블록, 상기 상단블록과 하단블록, 및 상기 제1,2 상부블록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길이조절막대가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돌출될 때 단부가 상기 스토퍼홈에 걸리도록 된 스토퍼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측블록, 상기 측벽블록, 및 상기 상측블록의 외주면에는 고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측블록 및 상기 상측블록의 양단부에는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블록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서, 상기 하측블록, 상기 측벽블록, 및 상기 상측블록은 서로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측블록에는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블록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돌기가 형성되어서, 상기 상측블록 위에 또 다른 하측블록이 적층될 때, 상기 제1,2 지지돌기는 서로 적층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측블록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블록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홈 및 위치결정돌기에는 고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블록 위에 또 다른 하측블록이 적층될 때,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상기 위치결정홈에 삽입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의 상단부와 상기 위치결정홈의 바닥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측블록, 측벽블록, 상측블록, 및 길이조절수단은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는, 내부에 배치되는 바(Bar)의 개수 또는 부피 등을 고려하여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작업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묶음장치에 채용된 각 부품이 블럭 타입으로 서로 끼움 결합하여 체결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묶음장치에 채용된 각 부품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외측으로 고정용 와이어를 감을 수 있는 와이어홈을 형성하여, 묶여있는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묶음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적응할 때, 하측의 묶음장치와 상측의 묶음장치는 서로 이격된 공간이 존재하므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묶음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바를 묶여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블록식 묶음장치의 분리사시도,
도3은 도2에서 길이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도3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블록식 묶음장치가 적층된 상태의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식 묶음장치가 적층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바를 묶여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블록식 묶음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3은 도2에서 길이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도3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블록식 묶음장치가 적층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는 복수의 바(bar)를 외측에 묶기 위해 마련된다. 도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바는 각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있고, 서로 적층되어 있다. 물론, 상기 바의 형상은 사각형으로 한정되거나 종공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는, 하측블록(10), 측벽블록(20), 상측블록(30), 및 길이신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하측블록(10)은 복수의 바(Bar)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측블록(10)은 제1 하부블록(11)과 제2 하부블록(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하부블록(11)은 "ㄴ"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하부블록(11)은 상기 바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 일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됨으로써 전체적으로 "ㄴ"자 형태를 형성한다. 상기 제2 하부블록(12)은 상기 제1 하부블록(11)과 대칭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부블록(12) 역시 제1 하부블록(11)과 마찬가지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부분과, 그 일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신축수단이 상기 제1 하부블록(11)과 제2 하부블록(12)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길이신축수단은 상기 제1 하부블록(11)과 제2 하부블록(12)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하측블록(10)의 양단부에는 측벽블록(20)의 하단부가 각각 끼워지는 끼움홈(13)이 형성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상기 끼움홈(13)은 상기 제1,2 하부블록(11,12)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측벽블록(20)은 상기 하측블록(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벽블록(20)은 상단블록(21)과 하단블록(22)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블록(21)은, 측벽블록(20)의 상부를 형성하는 블록으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23)를 갖는다. 상기 하단블록(22)은, 측벽블록(20)의 하부를 형성하는 블록으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23)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신축수단이 상기 상단블록(21)과 하단블록(22)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길이신축수단은 상단블록(21)과 하단블록(22)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상측블록(30)은 상기 복수의 바의 상측에 배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측벽블록(2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측블록(30)은 제1 상부블록(31)과 제2 상부블록(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블록(31)은 상기 바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 일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됨으로써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를 취한다. 상기 제2 상부블록(32)은 상기 제1 상부블록(31)과 대칭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제2 상부블록(32) 역시 상기 제1 상부블록(31)과 마찬가지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부분과, 그 일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블록(30)의 양단부에는 측벽블록(20)의 상단부가 각각 끼워지는 끼움홈(13)이 형성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상기 끼움홈(13)은 상기 제1,2 상부블록(31,32)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측블록(10), 측벽블록(20), 상측블록(30)이 서로 결합할 때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상기 복수의 바를 수용하여 함께 묶을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측블록(10), 측벽블록(20), 상측블록(30)은 서로 끼움 결합된다.
상기 길이신축수단은, 상기 하측블록(10), 측벽블록(20), 및 상측블록(30)에 각각 마련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하측블록(10)의 길이, 상기 측벽블록(20)의 길이, 및 상기 상측블록(30)의 길이를 각각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제1,2 하부블록(11,12)의 사이, 상기 상단블록(21)과 상기 하단블록(22)의 사이, 및 상기 제1,2 상부블록(31,32) 사이에 각각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하측블록(10), 측벽블록(20), 및 상측블록(30)의 길이를 조절함과 아울러, 상기 하측블록(10), 측벽블록(20), 및 상측블록(30)을 구성하는 상기 제1,2 하부블록(11,12), 상기 상단블록(21)과 상기 하단블록(22), 및 상기 제1,2 상부블록(31,32)을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길이신축수단은, 가이드홈(51), 길이조절막대(52), 및 스토퍼핀(53)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홈(51)은 상기 제1,2 하부블록(11,12), 상기 상단블록(21)과 하단블록(22), 및 상기 제1,2 상부블록에 각각 마련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51)은 상기 제1,2 하부블록(11,12)에 서로 마주하여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51)은 길이조절막대(52)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될 때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길이조절막대(52)는, 상기 가이드홈(51)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길이조절막대(52)의 길이방향으로는 스토퍼홈(521)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홈(521)은 후술하는 스토퍼핀(53)에 의해 상기 길이조절막대(52)가 상기 가이드홈(5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토퍼핀(53)은 상기 제1,2 하부블록(11,12), 상기 상단블록(21)과 하단블록(22), 및 상기 제1,2 상부블록(31,32)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14)에 삽입되는 핀이다. 상기 스토퍼핀(53)의 단부는 상기 스토퍼홈(521)에 끼워진다. 상기 길이조절막대(52)가 상기 가이드홈(51)으로부터 돌출될 때, 상기 스토퍼핀(53)의 단부는 상기 스토퍼홈(521)의 끝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길이조절막대(52)가 상기 가이드홈(5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측블록(10), 측벽블록(20), 상측블록(30), 및 길이조절수단은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고 함은 상기 길이조절수단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묶음 장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 수거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식 묶음장치는, 와이어홈(40)과 제1,2 지지돌기(60,70)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홈(40)은 고정용 와이어를 둘레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블록(10), 상기 측벽블록(20), 및 상기 상측블록(30)이 끼움 결합되면, 상기 하측블록(10), 측벽블록(20), 및 상측블록(30)에는 외주면을 연결하는 와이어홈(40)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홈(40)에 고정용 와이어를 감싸서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묶음장치의 각 구성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바들(bar)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지지돌기(60)는 상기 하측블록(10)의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돌기(60)는 상기 제1 하부블록(11)과 제2 하부블록(12)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돌기(60)는 상기 와이어홈(40)을 중심에 두고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지지돌기(70)는 상기 상측블록(30)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2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돌기(70)는 상기 제1 상부블록(31)과 제2 상부블록(32)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 지지돌기(70)는, 상기 제1 지지돌기(60)와 마찬가지로 상기 와이어홈(40)을 중심에 두고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돌기(60)와 상기 제2 지지돌기(70)는 서로 적층시 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묶음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바를 묶어서 단위체를 만들고, 상기 단위체 위에 다른 단위체를 적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 일 단위체의 상측블록(30) 위에 또 다른 단위체의 하측블록(10)이 적층되고, 이때 도5와 같이 상기 제1,2 지지돌기(60,70)가 적층되면서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 공간은 일 단위체를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 때,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의 구성 중에 상기 제1,2 지지돌기(60,70)의 구성을 변경하여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 지지돌기(60,70) 이외의 구성은 그대로 가지고, 상기 제1,2 지지돌기(60,70) 이외의 구성에 따른 작용 내지 효과를 그대로 갖는다.
도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묶음장치는, 위치결정홈(80)과 위치결정돌기(9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2의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위치결정홈(80)은 상기 하측블록(10)의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홈(40)은 상기 위치결정홈(80)의 내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위치결정돌기(90)는 상기 상측블록(30)의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홈(40)은 상기 위치결정돌기(90)의 상면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묶음장치도, 도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위체가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단위체가 서로 적층될 때, 즉, 상기 상측블록(30) 위에 또 다른 하측블록(10)이 적층될 때, 상기 위치결정돌기(90)는 상기 위치결정홈(80)에 삽입된다. 상기 위치결정돌기(90)의 상단부와 상기 위치결정홈(80)의 바닥면 사이에는 이격공간(D)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결정돌기(90)가 위치결정홈(80)에 삽입되어 형성하는 이격공간(D)는, 상기 제1,2 지지돌기(60,70)가 서로 적층되어 형성하는 공간과 마찬가지로, 단위체의 용이한 이동을 위해 사용된다. 예컨대, 지게차의 포크가 상기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측에 있는 단위체를 용이하게 옮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위치결정홈(80)의 깊이를 변경하거나, 상기 위치결정돌기(90)의 높이를 변경하여 상기 이격공간(D)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는, 도2 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블록(10), 측벽블록(20), 및 상측블록(30)이 블록식으로 서로 끼움 결합되므로 그 결합이 용이하고,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바의 개수에 따라서 각 블록(하측블록(10), 측벽블록(20), 및 상측블록(30))에 마련된 길이신축수단에 의해 길이가 신축되므로, 바(Bar)의 개수 변경에 대하여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하측블록(10), 측벽블록(20), 및 상측블록(30)의 외주면에는 와이어홈(40)을 형성하여, 각 블록의 결합 후 고정용 와이어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되며, 상기 와이어는 와이어홈(40)에 수용되어 이탈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1,2 지지돌기(60,70)의 구조, 또는 위치결정홈(80)과 위치결정돌기(90)의 구조는, 복수의 바를 묶음장치에 의해 묶은 후에 상기 묶음장치를 서로 적층할 때, 적층된 묶음장치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은 지게차 등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하측블록 11... 제1 하부블록
12... 제2 하부블록 13... 끼움홈
14... 삽입공 20... 측벽블록
21... 상단블록 22... 하단블록
23... 끼움돌기 30... 상측블록
31... 제1 상부블록 32... 제2 상부블록
40... 와이어홈 51... 가이드홈
52... 길이조절막대 521... 스토퍼홈
53... 스토퍼핀 60... 제1 지지돌기
70... 제2 지지돌기 80... 위치결정홈
90... 위치결정돌기

Claims (7)

  1. 복수의 바(Bar)를 그 외측에서 묶기 위한 묶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블록(10);
    상기 하측블록(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측벽블록(20);
    상기 복수의 바의 상측에 배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측벽블록(2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측블록(30);
    상기 하측블록(10), 측벽블록(20), 및 상측블록(30)에 각각 마련되는 길이신축수단;을 포함하여서,
    상기 하측블록(10), 측벽블록(20), 상측블록(30)이 서로 결합할 때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상기 복수의 바를 수용하여 함께 묶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블록(10)은, "ㄴ"자 형태의 제1 하부블록(11)과 상기 제1 하부블록(10)과 대칭으로 배치되는 제2 하부블록(12)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블록(20)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23)를 갖는 상단블록(21)과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23)를 갖는 하단블록(22)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블록(30)은 "ㄱ'자 형태의 제1 상부블록(31)과 상기 제1 상부블록(31)과 대칭으로 배치되는 제2 상부블록(32)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신축수단은,
    상기 제1,2 하부블록(11,12) 사이, 상기 상단블록(21)과 하단블록(22) 사이, 및 상기 제1,2 상부블록(31,32)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제1,2 하부블(11,12)록, 상기 상단블록(21)과 하단블록(22), 및 상기 제1,2 상부블록(31,32)에 각각 마련되는 가이드홈(51);
    상기 가이드홈(51)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스토퍼홈(521)이 형성된 길이조절막대(52); 및
    상기 제1,2 하부블록(11,12), 상기 상단블록(21)과 하단블록(22), 및 상기 제1,2 상부블록(31,32)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공(14)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길이조절막대(52)가 상기 가이드홈(51)으로부터 돌출될 때 단부가 상기 스토퍼홈(521)에 걸리도록 된 스토퍼핀(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블록(10), 상기 측벽블록(20), 및 상기 상측블록(30)의 외주면에는 고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홈(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블록(10) 및 상기 상측블록(30)의 양단부에는 각각 끼움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블록(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끼움홈(13)에 결합되는 끼움돌기(23)가 형성되어서, 상기 하측블록(10), 상기 측벽블록(20), 및 상기 상측블록(30)은 서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블록(10)에는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돌기(60)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블록(30)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돌기(70)가 형성되어서,
    상기 상측블록(30) 위에 또 다른 하측블록(10)이 적층될 때, 상기 제1,2 지지돌기(60,70)는 서로 적층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블록(10)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결정홈(80)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블록(30)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결정돌기(90)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홈(80) 및 위치결정돌기(90)에는 고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홈(40)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블록(30) 위에 또 다른 하측블록(10)이 적층될 때, 상기 위치결정돌기(90)는 상기 위치결정홈(80)에 삽입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90)의 상단부와 상기 위치결정홈(80)의 바닥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블록(10), 측벽블록(20), 상측블록(30), 및 길이조절수단은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
KR1020170145377A 2017-11-02 2017-11-02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 KR102003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377A KR102003455B1 (ko) 2017-11-02 2017-11-02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377A KR102003455B1 (ko) 2017-11-02 2017-11-02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143A true KR20190050143A (ko) 2019-05-10
KR102003455B1 KR102003455B1 (ko) 2019-07-24

Family

ID=6658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377A KR102003455B1 (ko) 2017-11-02 2017-11-02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4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722U (ja) * 1992-11-11 1994-06-07 岡建工事株式会社 パイプ結束機
JPH078258U (ja) * 1993-07-02 1995-02-03 オギハラ工業株式会社 パイプ収納具
KR20100094667A (ko) 2009-02-19 2010-08-27 강봉조 자재 묶음장치
KR101669923B1 (ko) * 2016-03-21 2016-10-27 박해민 악기 스탠드
KR20170026453A (ko) * 2014-07-01 2017-03-08 씨 박스 인터내셔널 파이프 복합 물류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722U (ja) * 1992-11-11 1994-06-07 岡建工事株式会社 パイプ結束機
JPH078258U (ja) * 1993-07-02 1995-02-03 オギハラ工業株式会社 パイプ収納具
KR20100094667A (ko) 2009-02-19 2010-08-27 강봉조 자재 묶음장치
KR20170026453A (ko) * 2014-07-01 2017-03-08 씨 박스 인터내셔널 파이프 복합 물류 시스템
KR101669923B1 (ko) * 2016-03-21 2016-10-27 박해민 악기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455B1 (ko)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22081B2 (en) Foldable bedding foundation having L- shaped spacers
US9434584B2 (en) Rack apparatus
WO2003006349A3 (en) Portable wire spool caddy
US8931638B2 (en) System for packaging a coiled product
KR102003455B1 (ko) 길이 조절 가능한 블록식 묶음장치
US7475700B2 (en) Portable shelter
CN112424076B (zh) 一种形成用于洗涤机装置的装运支撑件的方法
JP4783067B2 (ja) 梱包構造
JP2015129016A (ja) ガラス管集積物梱包体
US20090041392A1 (en) Bag frame device
JP2012086452A (ja) 書類綴じ装置及び書類綴じ補助具
JP2012086452A5 (ja) 書類綴じ装置
DE4319730A1 (de) Transportverpackung
SE465826B (sv) Ramanordning foer samling av godsstycken med varierande, osymetrisk, oenhetlig form, foeretraedesvis frysta djurkroppar
US20140346080A1 (en) Onsite Adjustable Packing Crate System
JP4165874B2 (ja) 建具部材の梱包構造
JPH0642722U (ja) パイプ結束機
JP4914147B2 (ja) 結束補助器具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結束用ヒモ収納カートリッジ
JP3122552U (ja) 連結釘収納用板状体及び連結釘用包装容器
JP5142790B2 (ja) 結束補助具
JP3031661U (ja) 単管バリケードの支持脚
JP3206733U (ja) 古紙保管構造
JP2646159B2 (ja) 段ボール製梱包材
JP4309888B2 (ja) 被結束物収納容器
JP2598429Y2 (ja) 書類綴じ支援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