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107A -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107A
KR20190050107A KR1020170145299A KR20170145299A KR20190050107A KR 20190050107 A KR20190050107 A KR 20190050107A KR 1020170145299 A KR1020170145299 A KR 1020170145299A KR 20170145299 A KR20170145299 A KR 20170145299A KR 20190050107 A KR20190050107 A KR 20190050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cap
gap
deck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836B1 (ko
Inventor
임경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Priority to KR1020170145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83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극 보정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를 타설한 이후에도 간극 보정 마무리 작업이 용이하여,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들어가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가지는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 측에 보를 이격 설치하고, 상기 보의 사이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데크 플레이트 설치단계; 상부와 하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간극 보정용 캡을 준비하여, 상기 보와 데크 플레이트 틈새에 간극 보정용 캡을 설치하는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 상기 빔과 데크의 상면에 콘크리트 액을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상기 간극 보정용 캡의 하부를 당기어 상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간극 보정용 캡 분리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Construction method of deck plate}
본 발명은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와 데크 플레이트 사이의 간극을 보정하여 콘크리트 타설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한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플레이트(Deck-plate)란 건축물의 슬래브를 형성함에 있어 거푸집 대용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해체되지 않고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아연도 강판과 같은 금속제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제조된 슬래브용 자재를 말한다. 이와 같은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축조하게 되면 바닥 콘크리트 공사용 형틀이 필요 없으므로 가설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위 제품을 연속적으로 거치 고정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공사를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공장 생산된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바, 최근 들어 이와 같이 데크플레이트를 사용 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시공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기존에는 주로 아연도 강판과 같은 판재를 연속적으로 절곡함으로써 사다리꼴의 골과 산이 반복되도록 한 형식의 데크플레이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이 경우 콘크리트 타설 후 골 부위가 마치 보강 리브와 같은 작용을 하여 바닥면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골과 골 사이의 공간부를 전기 배선 및 설비 배관 등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종래로부터 이러한 형식의 데크플레이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14379호(2008.03.18 등록)는 트러스 거더 데크플레이트가 에이치형강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슬래브 거푸집 패널이 트러스 거더의 하부에 다수개의 결합구에 의하여 이격되게 매달리어지도록 결합되어지되, 상기 트러스 거더의 하부철근 양측 단부 하단에는 지지구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지지구는 상기 일측의 하부철근과 타측의 하부철근에 연결되어지도록 설치되어 에이치형강의 플랜지의 상부에 얹혀지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 패널의 양단이 상기 에이치형강의 플랜지에 맞닿아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와 슬래브 거푸집 패널의 사이에는 콘크리트 몰탈이 흘러내리지 아니하도록 몰탈 흐름 방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5549호(2012.03.05 등록)는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공장에서 복수의 고정수단 설치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천공시켜 운송해온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들을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지주 상면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하는 공정과; 각각의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 저면에 소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단열재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열재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에 일체로 부착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들의 상면에 정해진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면 고르기를 한 다음 양생하여 단열재가 일체로 부착된 슬래브를 성형하는 공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트러스 데크플레이트의 연결부 저면에 위치된 두 단열재의 접촉부 저면에,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형 철판의 중심선을 따라 "U" 또는 "V"자 형상의 시멘트 페이스 유도홈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시멘트 페이스 유도홈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에는 복수의 볼트 통과공을 천공한 구성을 갖는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을 위치시킨 다음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는 공정을 더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데크플레이트를 시공하는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시 보 역할을 하는 에이치(H)형강과 시공되는 데크플레이트 사이 틈새로 콘크리트 타설액이 흘러내리는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에이치형강과 데크플레이트 사이에 몰탈 흐름 방지재 또는 유도판과 같은 간극 보정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간극 보정기구는, 고정을 위하여 테이핑 처리를 하거나 가장자리에 볼트공을 천공하여 볼트로 고정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후 간극 보정기구를 해체 및 제거하는 과정도 번거로워, 공사기간이 길어지며 소비되는 인력 및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극 보정 작업의 시공이 간편하고 잔여물 처리 및 후처리 작업이 용이한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양 측에 보를 이격 설치하고, 상기 보의 사이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데크 플레이트 설치단계; 상부와 하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간극 보정용 캡을 준비하여, 상기 보와 데크 플레이트 틈새에 간극 보정용 캡를 설치하는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 상기 보과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에 콘크리트 액을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상기 간극 보정용 캡의 하부를 당기어 상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간극 보정용 캡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는, 상기 간극 보정용 캡을 구부러뜨려 상기 보와 데크 플레이트의 틈새로 끼워 넣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는, 상기 간극 보정용 캡을 상부는 상기 보과 데크 플레이트 상면을 연결하여 상기 보과 데크 데크플레이트의 틈새를 덮고, 하부는 상기 보과 데크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는, 상기 간극 보정용 캡의 하면 가장자리는 상기 빔과 데크의 상면과 맞닿게 설치하고, 중앙 부분은 들뜨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에서는, 상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액의 무게로 상기 간극 보정용 캡의 들뜬 중앙 부분이 상기 보와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에 의하면, 간극 보정용 캡을 구부려 끼워 넣는 방식으로 설치하여 간극 보정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후 간극 보정용 캡의 불필요한 부분은 뜯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하여 간극 보정 마무리 작업이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전체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들어가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굴곡진 공간이나 진입로가 좁은 틈새에도 간극 보정 시공이 가능하여, 기존의 시공이 어려웠던 구조물이나 부위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한 간극 보정용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설명한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에서, 보와 데크 플레이트 틈새에 간극 보정용 캡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에서 보와 데크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간극 보정용 캡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콘크리트 타설단계를 거쳐, 간극 보정용 캡이 압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은, 보(B)와 데크 플레이트(D) 사이의 간극을 보정하여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 사이의 틈새로 콘크리트 타설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은 데크 플레이트 설치단계(S100),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S200), 콘크리트 타설단계(S300) 및 간극 보정용 캡 분리단계(S400)를 포함한다.
먼저, 양 측에 보(B)를 이격 설치하고, 상기 보(B) 사이에 데크 플레이트(D)를 설치하는 데크 플레이트 설치단계(S100)를 수행한다.
상술한 데크 플레이트 설치단계(S100)에서,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는 상면이 서로 수평이 되도록 연결되며 양측에 배치된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사이 두 지점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 설치단계(S100)에 있어서, 상기 보(B)는 H형강으로 예시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D)는 널 형태의 패널 상부에 결합구가 피스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고정 결합되고, 결합구의 상부에 트러스거더(Truss-girder)가 결합된 구조물로 예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간극 보정용 캡(10)을 준비하고,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P) 의 틈새에 간극 보정용 캡(10)을 설치하는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S200)를 수행한다.
상기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S200)에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10)은 상부와 하부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준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S200)에 있어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10)을 구부러뜨려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틈새로 끼워넣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S200)는 일(一)자형 틈새에 상기 간극 보정용 캡(10)을 직선형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휘어진 틈새에 상기 간극 보정용 캡(10)을 굴곡형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S200)에 있어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10)은 상부가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상면을 연결하여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틈새를 덮고, 하부가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S200)에 있어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10)은 하면 가장자리가 상기 빔과 데크의 상면과 맞닿게 설치되고, 중앙 부분은 들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a를 참조하여, 상기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S200)에서 준비되는 간극 보정용 캡(10)의 구조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한 간극 보정용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설명한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에서, 보와 데크 플레이트 틈새에 간극 보정용 캡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는 도 3에서 보와 데크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간극 보정용 캡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간극 보정용 캡(10)은 보(B)와 데크 플레이트(D)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안 상기 틈새 사이로 콘크리트 타설액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간극 보정용 캡(10)은 밀폐부재(100) 및 고정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100)는 서로 이격된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밀폐부재(100)는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상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 사이의 틈새를 덮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밀폐부재(100)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VC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100)는 탄성을 가지며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여, 구부러진 틈새에도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100)는, 하면에, 상기 고정부재(200)가 연장되는 부위가 들뜨도록 굴곡지되 외압에 의하여 펼쳐질 수 있는 탄력면(10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력면(101)은 상기 고정부재(200)가 연장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하향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가장자리는 상기 보(B) 및 데크 플레이트(D)의 면접하고, 상기 고정부재(200)가 연장되는 주위에는 상기 보(B) 및 데크 플레이트(D)로부터 들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력면(101)은 상기 밀폐부재(100)의 상측으로 콘크리트 타설액이 부어지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 타설액의 무게에 의하여 들뜬 부위가 상기 하강하며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탄력을 가진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밀폐부재(100)의 하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고정부재(200)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밀폐부재(100)의 움직임을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0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VC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100)는 탄성을 가지며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여, 구부러진 틈새에도 설치가 용이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네크부(210), 연장부(220) 및 탈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크부(210)는 상부에 배치되어 두께가 좁아지도록 절취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크부(210)의 절취홈(211)이 형성된 부위는 끊어짐이 약하여,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단을 잡고 당기었을 때, 절취되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절취홈(211)은 요입된 모서리가 각지게 형성되며, 그 각도가 90°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절취홈(211)의 요입된 모서리를 각지게 형성함으로써, 해당 부위가 더욱 취약하여 외력에 의해 보다 쉽게 절취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네크부(2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밀폐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네크부에서 끊어짐이 발생하여도, 상기 밀폐부재(100)와 연결되어 남아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부(230)는 상기 네크부(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부(230)는 상기 네크부(210)가 절취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연장부(220)로부터 뜯어져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장부(220)는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틈새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므로,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 틈새의 길이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간주하였을 때, 상기 밀폐부재(100)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하단의 전방 또는 후방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돌기를 잡아 당기어 상기 네크부(210)를 절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200)는 콘크리트 타설 후에, 하단을 잡아 당기어 상기 탈착부(230)를 분리 제거할 수 있어, 상기 고정부재(200)에 불필요하게 남아있는 부위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S200)를 수행함으로써, 굴곡진 공간이나 진입로가 좁은 틈새에도 간극 보정 시공이 가능하여, 기존의 시공이 어려웠던 구조물이나 부위에도 간극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빔(B)과 데크 플레이트(D)의 상면에 콘크리트 액을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300)를 수행한다.
도 4b는 도 4a에서 콘크리트 타설단계를 거쳐, 간극 보정용 캡이 압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S300)에 있어서, 상기 간극 고정용 캡(10)은 콘크리트 타설액(C)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로부터 들떠있던 탄력면(101)이 압하되면서, 상기 탄력면(101)이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간극 보정용 캡(10)의 하부를 당기어 상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간극 보정용 캡 분리단계(S400)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 분리단계(S400)에 있어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10)의 고정부재(100)의 하단에 당기는 힘을 주어, 상기 네크부(210)가 절취되면서, 상기 탈착부(230)를 상기 밀폐부재(100) 및 연장부(2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 분리단계(S400)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분리된 간극 보정용 캡(10)의 하부, 즉 탈착부(230)를 수거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은, 간극 보정용 캡(10)을 구부려 끼워 넣는 방식으로 설치하여 간극 보정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후 간극 보정용 캡(10)의 불필요한 부분은 뜯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하여 간극 보정 마무리 작업이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전체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들어가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B: 보
D: 데크 플레이트
C: 시멘트 타설액
10: 간극 보정용 캡
100: 밀폐부재
101: 탄력면
200: 고정부재
210: 네크부
211: 절취홈
220: 연장부
230: 탈착부
S100: 데크 플레이트 설치단계
S200: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
S300: 콘크리트 타설단계
S400: 간극 보정용 캡 분리단계

Claims (5)

  1. 양 측에 보를 이격 설치하고, 상기 보의 사이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데크 플레이트 설치단계;
    상부와 하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간극 보정용 캡을 준비하여, 상기 보와 데크 플레이트 틈새에 간극 보정용 캡을 설치하는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
    상기 빔과 데크의 상면에 콘크리트 액을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상기 간극 보정용 캡의 하부를 당기어 상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간극 보정용 캡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는,
    상기 간극 보정용 캡을 구부러뜨려 상기 보와 데크 플레이트의 틈새로 끼워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는,
    상기 간극 보정용 캡의 상부는 상기 보과 데크 플레이트 상면을 연결하여 상기 보과 데크 플레이트의 틈새를 덮고, 하부는 상기 보과 데크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보정용 캡 설치단계는,
    상기 간극 보정용 캡의 하면 가장자리는 상기 빔과 데크의 상면과 맞닿게 설치하고, 중앙 부분은 들뜨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에서는,
    상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액의 무게로 상기 간극 보정용 캡의 들뜬 중앙 부분이 상기 보와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KR1020170145299A 2017-11-02 2017-11-02 데크플레이트 시공방법 KR102093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299A KR102093836B1 (ko) 2017-11-02 2017-11-02 데크플레이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299A KR102093836B1 (ko) 2017-11-02 2017-11-02 데크플레이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107A true KR20190050107A (ko) 2019-05-10
KR102093836B1 KR102093836B1 (ko) 2020-03-26

Family

ID=6658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299A KR102093836B1 (ko) 2017-11-02 2017-11-02 데크플레이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8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36B1 (ko) * 2009-05-08 2011-09-28 정진규 데크플레이트 고정용 자동 해체형 고정핀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KR101639009B1 (ko) * 2015-09-18 2016-07-12 구연진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액 흘러내림 방지용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36B1 (ko) * 2009-05-08 2011-09-28 정진규 데크플레이트 고정용 자동 해체형 고정핀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KR101639009B1 (ko) * 2015-09-18 2016-07-12 구연진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액 흘러내림 방지용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836B1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4844C (en) Floor assembly for modular building units
KR102149461B1 (ko)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CN102561679B (zh) 装配式楼承板、固定件及现浇混凝土楼板的施工方法
KR100756000B1 (ko) 고정형 선로의 가로방향 간격용 거푸집 시스템
KR102034138B1 (ko)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KR101639009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액 흘러내림 방지용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CN114341445A (zh) 外装板设置结构
KR20190050107A (ko)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KR101305213B1 (ko) 교량용 교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JP2006045911A (ja) タイル壁構造及びその施工法
EP3754133A1 (en) Strip for a horizontal formwork system
KR200490910Y1 (ko) 간극 보정용 캡
KR100845459B1 (ko) 콘크리트 보 패널의 지지장치
CN211622635U (zh) 一种墙体组合模板装置
KR200323003Y1 (ko) 교량 신축이음부용 배수처리장치
KR0145358B1 (ko)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JP2005264607A (ja) 高架橋の張出スラブの構築方法および張出スラブ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
KR101693743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KR10044786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및 보강 구조물
FR2775249B1 (fr) Paroi notamment pour structure aeronautique et procede pour la realisation d'une telle paroi
CN211058297U (zh) 一种防止变形的建筑模板
CN210177943U (zh) 一种装配式边梁的支模机构
KR100974672B1 (ko) 절곡강판을 이용하여 댑단부가 보강된 피씨 보
KR100401015B1 (ko) 피씨빔 공법에 적용되는 크로스빔 콘크리트 타설용 강재거푸집
JP2018204386A (ja) 補強材、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