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910Y1 - 간극 보정용 캡 - Google Patents

간극 보정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910Y1
KR200490910Y1 KR2020170005666U KR20170005666U KR200490910Y1 KR 200490910 Y1 KR200490910 Y1 KR 200490910Y1 KR 2020170005666 U KR2020170005666 U KR 2020170005666U KR 20170005666 U KR20170005666 U KR 20170005666U KR 200490910 Y1 KR200490910 Y1 KR 200490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deck plate
gap
fixing memb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132U (ko
Inventor
임경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Priority to KR2020170005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910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1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1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9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부림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틈새 사이에 구부려 끼워 넣는 방식으로 설치하여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별도의 해체작업 없이 불필요한 부분을 뜯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함에 따라 마무리 작업이 용이한 간극 보정용 캡에 관한 것으로, 서로 이격된 보와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보와 데크 플레이트 사이의 틈새를 덮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연장되고,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보과 데크 플레이트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밀폐부재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간극 보정용 캡{Cap for gap correction}
본 고안은 간극 보정용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러스트 거더(Truss girder)형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데크 플레이트와 보의 사이로 콘크리트 타설액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극 보정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플레이트(Deck-plate)란 건축물의 슬래브를 형성함에 있어 거푸집 대용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해체되지 않고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아연도 강판과 같은 금속제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제조된 슬래브용 자재를 말한다. 이와 같은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축조하게 되면 바닥 콘크리트 공사용 형틀이 필요 없으므로 가설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위 제품을 연속적으로 거치 고정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공사를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공장 생산된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바, 최근 들어 이와 같이 데크플레이트를 사용 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시공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기존에는 주로 아연도 강판과 같은 판재를 연속적으로 절곡함으로써 사다리꼴의 골과 산이 반복되도록 한 형식의 데크플레이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이 경우 콘크리트 타설 후 골 부위가 마치 보강 리브와 같은 작용을 하여 바닥면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골과 골 사이의 공간부를 전기 배선 및 설비 배관 등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종래로부터 이러한 형식의 데크플레이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14379호(2008.03.18 등록)는 트러스 거더 데크플레이트가 에이치형강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슬래브 거푸집 패널이 트러스 거더의 하부에 다수개의 결합구에 의하여 이격되게 매달리어지도록 결합되어지되, 상기 트러스 거더의 하부철근 양측 단부 하단에는 지지구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지지구는 상기 일측의 하부철근과 타측의 하부철근에 연결되어지도록 설치되어 에이치형강의 플랜지의 상부에 얹혀지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 패널의 양단이 상기 에이치형강의 플랜지에 맞닿아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와 슬래브 거푸집 패널의 사이에는 콘크리트 몰탈이 흘러내리지 아니하도록 몰탈 흐름 방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5549호(2012.03.05 등록)는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공장에서 복수의 고정수단 설치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천공시켜 운송해온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들을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지주 상면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하는 공정과; 각각의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 저면에 소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단열재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열재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에 일체로 부착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들의 상면에 정해진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면 고르기를 한 다음 양생하여 단열재가 일체로 부착된 슬래브를 성형하는 공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트러스 데크플레이트의 연결부 저면에 위치된 두 단열재의 접촉부 저면에,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형 철판의 중심선을 따라 "U" 또는 "V"자 형상의 시멘트 페이스 유도홈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시멘트 페이스 유도홈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에는 복수의 볼트 통과공을 천공한 구성을 갖는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을 위치시킨 다음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는 공정을 더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데크플레이트를 시공하는 방법은, 콘크리트 타설시 보 역할을 하는 에이치(H)형강과 시공되는 데크플레이트 사이 틈새로 콘크리트 타설액이 흘러내리는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에이치형강과 데크플레이트 사이에 몰탈 흐름 방지재 또는 유도판과 같은 간극 보정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간극 보정기구는, 고정을 위하여 테이핑 처리를 하거나 가장자리에 볼트공을 천공하여 볼트로 고정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후 간극 보정기구를 해체 및 제거하는 과정도 번거로워, 공사기간이 길어지며 소비되는 인력 및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 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가 간편하고 잔여물 처리 및 후처리 작업이 용이한 간극 보정용 캡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서로 이격된 보와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보와 데크 플레이트 사이의 틈새를 덮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의 하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연장되고,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보과 데크 플레이트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밀폐부재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부재 및 고정부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부재는 하면에 상기 고정부재가 연장되는 부위가 들뜨도록 굴곡지되, 외력에 의해 펼쳐질 수 있는 탄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면이 둥글게 굴곡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부에 배치되어, 두께가 좁아지도록 가이드 홈(121)이 형성되는 네크(Neck)부; 상기 네크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밀폐부재로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네크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건축 구조물로부터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연장부로부터 뜯어져 분리되는 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간극 보정용 캡은, 구부림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틈새 사이에 구부려 끼워 넣는 방식으로 설치하여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별도의 해체작업 없이 불필요한 부분을 뜯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함에 따라 마무리 작업이 용이하여, 이와 같은 간극 보정용 캡을 이용하여 시공할 경우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들어가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굴곡진 공간이나 진입로가 좁은 틈새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기존에 간극 보정 시공이 어려웠던 구조물이나 부위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간극 보정용 캡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간극 보정용 캡을 보와 데크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간극 보정용 캡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간극 보정용 캡(10)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간극 보정용 캡(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간극 보정용 캡(10)을 보(B)와 데크 플레이트(D) 사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간극 보정용 캡(10)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간극 보정용 캡(10)은 보(B)와 데크 플레이트(D)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안 상기 틈새 사이로 콘크리트 타설액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간극 보정용 캡(10)은 밀폐부재(100) 및 고정부재(2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밀폐부재(100)는 서로 이격된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100)는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상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 사이의 틈새를 덮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부재(10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VC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100)는 탄성을 가지며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여, 구부러진 틈새에도 설치가 용이하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밀폐부재(100)는, 하면에, 상기 고정부재(200)가 연장되는 부위가 들뜨도록 굴곡지되 외압에 의하여 펼쳐질 수 있는 탄력면(10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력면(101)은 상기 고정부재(200)가 연장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하향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가장자리는 상기 보(B) 및 데크 플레이트(D)의 면접하고, 상기 고정부재(200)가 연장되는 주위에는 상기 보(B) 및 데크 플레이트(D)로부터 들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력면(101)은 상기 밀폐부재(100)의 상측으로 콘크리트 타설액이 부어지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 타설액의 무게에 의하여 들뜬 부위가 상기 하강하며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탄력을 가진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밀폐부재(100)의 하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고정부재(200)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밀폐부재(100)의 움직임을 고정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VC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100)는 탄성을 가지며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여, 구부러진 틈새에도 설치가 용이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네크부(210), 연장부(220) 및 탈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크부(210)는 상부에 배치되어 두께가 좁아지도록 절취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크부(210)의 절취홈(211)이 형성된 부위는 끊어짐이 약하여,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재(200)의 하단을 잡고 당기었을 때, 절취되기 용이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취홈(211)은 요입된 모서리가 각지게 형성되며, 그 각도가 90°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절취홈(211)의 요입된 모서리를 각지게 형성함으로써, 해당 부위가 더욱 취약하여 외력에 의해 보다 쉽게 절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네크부(2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밀폐부재(10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네크부에서 끊어짐이 발생하여도, 상기 밀폐부재(100)와 연결되어 남아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장부(220)는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틈새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므로,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 틈새의 길이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간주하였을 때, 상기 밀폐부재(100)가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탈착부(230)는 상기 네크부(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부(230)는 상기 네크부(210)가 절취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연장부(220)로부터 뜯어져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하단의 전방 또는 후방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돌기를 잡아 당기어 상기 네크부(210)를 절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200)는 콘크리트 타설 후에, 하단을 잡아 당기어 상기 탈착부(230)를 분리 제거할 수 있어, 상기 고정부재(200)에 불필요하게 남아있는 부위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간극 보정용 캡(10)은, 구부림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틈새 사이에 구부려 끼워 넣는 방식으로 설치하여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별도의 해체작업 없이 불필요한 부분을 뜯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함에 따라 마무리 작업이 용이하여, 이와 같은 간극 보정용 캡(10)을 이용하여 시공할 경우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들어가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굴곡진 틈새나 진입로가 좁은 틈새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기존에 간극 보정 시공이 어려웠던 구조물이나 부위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간극 보정용 캡
100: 밀폐부재
101: 탄력면
200: 고정부재
210: 네크부
211: 절취홈
220: 연장부
230: 탈착부

Claims (5)

  1. 서로 이격된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상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 사이의 틈새를 덮는 밀폐부재(100); 및
    상기 밀폐부재(100)의 하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연장되고,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보(B)과 데크 플레이트(D)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밀폐부재(100)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밀폐부재(100) 및 고정부재(20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부재(100)는,
    하면에, 상기 고정부재(200)가 연장되는 부위가 들뜨도록 굴곡지되, 외력에 의하여 펼쳐질 수 있는 탄력면(101)이 형성되고, 상면은 둥글게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부에 배치되어, 두께가 좁아지도록 절취홈(211)이 형성되는 네크부(210);
    상기 네크부(2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밀폐부재(10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20);
    상기 네크부(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B)와 데크 플레이트(D)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연장부(220)로부터 뜯어져 분리되는 탈착부(230);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200) 하단의 전방 또는 후방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돌기를 잡아 당기어 상기 네크부(210)를 절취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용 간극 보정용 캡.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70005666U 2017-11-02 2017-11-02 간극 보정용 캡 KR200490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66U KR200490910Y1 (ko) 2017-11-02 2017-11-02 간극 보정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66U KR200490910Y1 (ko) 2017-11-02 2017-11-02 간극 보정용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32U KR20190001132U (ko) 2019-05-10
KR200490910Y1 true KR200490910Y1 (ko) 2020-01-21

Family

ID=6653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666U KR200490910Y1 (ko) 2017-11-02 2017-11-02 간극 보정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91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36B1 (ko) * 2009-05-08 2011-09-28 정진규 데크플레이트 고정용 자동 해체형 고정핀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KR101639009B1 (ko) * 2015-09-18 2016-07-12 구연진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액 흘러내림 방지용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36B1 (ko) * 2009-05-08 2011-09-28 정진규 데크플레이트 고정용 자동 해체형 고정핀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KR101639009B1 (ko) * 2015-09-18 2016-07-12 구연진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액 흘러내림 방지용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32U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670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101452940B1 (ko) 들뜸방지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20180045140A (ko)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20120044526A (ko)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갖는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구조
CN110409811A (zh) 含钢筋笼免拆成型柱模板、模板结构及建筑工艺
CN110409813A (zh) 含钢筋笼免拆成型梁模板、模板结构及建筑工艺
KR101639009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액 흘러내림 방지용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KR102034138B1 (ko)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CN106437146A (zh) 一种楼层梁浇筑用模板、楼层梁的施工方法
KR200490910Y1 (ko) 간극 보정용 캡
KR100573515B1 (ko) 건축물 창문틀 보강구조
KR20190120853A (ko) 커플거더
CN106032705A (zh) 一种钢筋混凝土楼盖的一体式浇筑成型施工方法
KR102093836B1 (ko) 데크플레이트 시공방법
KR200357642Y1 (ko)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KR100225536B1 (ko) 교량상판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0145358B1 (ko)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KR20130025295A (ko) 에프알피 패널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044786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및 보강 구조물
KR200351989Y1 (ko)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JP2005264607A (ja) 高架橋の張出スラブの構築方法および張出スラブ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
KR20160116274A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20200011658A (ko)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70545B1 (ko) 누출 방지용 무해체 보 거푸집
CN219952686U (zh) 一种后浇带支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