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742A -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48742A KR20190048742A KR1020170143927A KR20170143927A KR20190048742A KR 20190048742 A KR20190048742 A KR 20190048742A KR 1020170143927 A KR1020170143927 A KR 1020170143927A KR 20170143927 A KR20170143927 A KR 20170143927A KR 20190048742 A KR20190048742 A KR 201900487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dio output
- electronic device
- interface
- output device
- fabric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621 AMOLE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60 site-specific infrared dichroism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전자 장치와 체결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는 스피커 모듈, 외부의 전자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중 하나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가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의 결합 구조, 결합된 오디오 출력 장치에 따라 다양한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더 나은 오디오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와 결합하여 영상 컨텐츠에 관한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가 아닌,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고품질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에 맞게 자체 제작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와 별도로 제작된 오디오 출력 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는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제작되며, 인테리어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경우 인테리어적 요소를 고려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조시 함께 제작된 오디오 출력 장치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과 상이하여 이질감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각자의 취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와 따로 제조된 오디오 출력 장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설치되어야 하며, 별도의 전원선 및 신호선의 연결이 수반되어 설치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따라 크기 조정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가 개시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는 스피커 모듈, 외부의 전자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중 하나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타 오디오 출력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와 상기 타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연결부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변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 내부에 위치한 T자형 구조이고,상기 체결부가 푸쉬된 경우, 상기 T자형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전자 장치의 고정부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패브릭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패브릭이 부착된 경우, 상기 패브릭 감지부는 상기 부착된 패브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자석 커넥터로 구성되고, 제2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체결부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삽입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돌출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 전자 장치와 체결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패브릭이 부착된 경우, 상기 부착된 패브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복수의 변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가 T자형 구조이고, 상기 체결부가 푸쉬된 경우, 상기 T자형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와 체결되기 위한 장착부, 디스플레이, 상기 장착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3 인터페이스, 상기 장착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4 인터페이스 및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체결된 경우, 상기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체결된 경우, 상기 제4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에 대응되는 G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장착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와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가 상기 고정부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4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자석 커넥터와 연결되기 위한 자석 커넥터로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가 상기 삽입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수직 방향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 상기 제3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4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외부 오디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정보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부착된 패브릭 정보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패브릭 정보에 대응되는 패브릭 G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조도값을 바탕으로, 패브릭 GUI의 조도값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는 전자 장치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조절되어 전자 장치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 및 제1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에 부착되는 패브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브릭 GUI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 및 제1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에 부착되는 패브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브릭 GUI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전자 장치(200)에 탈부착되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위치 및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4개의 오디오 출력 장치(100)를 전자 장치(200)의 좌측면 및 우측 면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2개의 오디오 출력 장치(100)를 전자 장치(200)의 좌측면 및 우측 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도 1b에서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좌측 상부 및 우측 상부에 부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의 좌측 하부 및 우측 하부에 부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2개의 오디오 출력 장치(100)를 전자 장치(200)의 하부에 부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체결되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체결된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전원 및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전자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후술한다.
한편,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 외부 장치(300)와 연결되어 무선 스피커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블루투스 스피커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되고,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따라 오디오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외부 장치(300)와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연결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 및 외부 장치(300)는 WiFi, 근거리 무선 통신(NFC),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방식 등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외부 장치(300)가 무선 연결된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스피커 모듈(110), 제1 인터페이스(120), 제2 인터페이스(130) 및 체결부(140)를 포함한다.
스피커 모듈(110)은 풀-레인지 스피커(Full-range speaker), 트위터 스피커(Tweeter speaker), 미드-레인지 스피커(Mid-range speaker), 우퍼 스피커(Woofer speaker) 및 멀티 웨이 스피커(Multi-way speaker)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적어도 두개의 조합을 통해 멀티 웨이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풀-레인지 스피커는 전 대역의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이며, 트위터 스피커는 고역의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이며, 미드-레인지 스피커는 중역의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이며, 우퍼 스피커는 저역의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이며, 멀티-웨이 스피커는 다양한 대역의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스피커이다.
제1 인터페이스(12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1 인터페이스(120)가 전자 장치(200)와 연결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터페이스(120)는 전자 장치(2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120)는 자석으로 구성된 자석 커넥터일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120)가 자석 커넥터인 경우, 전자 장치(200)의 자석 커넥터와 결합되어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간의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만, 제1 인터페이스(120)는 상술한 자석 커넥터 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는 암수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12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또는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단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1 인터페이스(120)는 전자 장치(200)의 HDMI 포트 또는 MHL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과 함께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부착된 패브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브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석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130)는 외부 장치(3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 인터페이스(130)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터페이스(12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등과 같은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예로, 제2 인터페이스(130)는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 장치(3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 장치 일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와 물리적으로 체결된 경우에는 제1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고, 전자 장치(2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제2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다른 외부 장치와 연결된 경우, 제2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인터페이스(120) 및 제2 인터페이스(130)는 선택적으로 활성화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인터페이스(120)에 의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가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 제2 인터페이스(130)은 비활성화 되고, 제2 인터페이스(130)에 의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외부 장치(300)과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제1 인터페이스(120)가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일 뿐, 제1 인터페이스(120) 및 제2 인터페이스(130)는 동시에 활성화 되거나 비활성화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라 함은 해당 구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전기적으로 차폐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해당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해당 구성에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터페이스(130)가 비활성화 되었다는 것의 의미는 제2 인터페이스(13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제2 인터페이스(130)가 활성화 되었다는 의미는 제2 인터페이스(130)에 전력이 공급됨을 의미할 수 있다. 체결부(140)는 전자 장치(200)와 물리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체결부(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 내부에 위치한 T자형 구조일 수 있다. 체결부(14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동안 체결부(140)의 표면이 푸쉬되면, 체결부(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의 구조는 도 3에서 후술한다.
프로세서(15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제1 인터페이스(120) 또는 제2 인터페이스(130)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스피커 모듈(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패브릭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부착된 패브릭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RAM, ROM, 메인 CPU,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들은 버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상세히 살펴본다.
도 3a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 및 제1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일부를 도시하였으며, 체결부(140), 오디오 신호 수신부(120-1) 및 패브릭 정보 전송부(120-2)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12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우측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 할 수 있다. 체결부(14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사용자가 체결부(140)의 상단을 푸쉬하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0)는 T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3b에 도시된 T자형 구조는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예일 뿐,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체결부(140)는 ㄱ자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원판형 구조, 사각형 구조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120)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120-1) 및 패브릭 정보 전송부(1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인터페이스(120)는 자석형 커넥터로 구성되어 제1 인터페이스(120)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200)의 자석형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서는 체결부(140) 및 제1 인터페이스(12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체결부(140) 및 제1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우측 상단, 좌측 상단, 우측 하단 및 좌측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0) 및 제1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우측 상단 및 우측 하단에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체결부(140) 및 제1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좌측 상단에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체결부(140) 및 제1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우측 상단 및 좌측 상단에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체결부(140) 및 제1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우측 상단, 우측 하단, 좌측 상단 및 좌측 하단에 모두 존재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장착부(201), 오디오 출력 장치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202) 및 인터페이스(202)를 포함하는 레일 구조 및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201)은 체결부(14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201)에 체결부(140)가 삽입된 경우, 제1 인터페이스(120) 및 인터페이스(202)또한 전자 장치(200)의 대응되는 구성 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장착부(201)에 체결부(140)가 삽입된 후, 체결부(140)가 이동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가 고정된 경우, 체결부에 이동에 따라 인터페이스(202)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202)는 레일 구조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201)에 체결부(140)가 삽입된 후, 체결부(140)가 이동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가 고정된 경우, 체결부(140)의 이동에 따라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와 체결되었음을 감지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02)가 이동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와 접촉되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와 체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4a에서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우측 하단에 체결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변의 복수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장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제1 지점 내지 제 7지점(201-1 내지 201-7)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부가 구비되어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체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b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의 체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체결부(140), 오디오 신호 수신부(120-1) 및 패브릭 정보 전송부(120-2)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부(201), 인터페이스(202) 및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201)은 ㄱ자형태일 수 있으며, 체결부(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02)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오디오 신호 수신부(120-1)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 인터페이스(202-1) 및 패브릭 정보 전송부(120-2)에 대응되는 패브릭 정보 인터페이스(20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제1 인터페이스(120) 상단부와 전자 장치(200)의 인터페이스(202)는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202)는 레일 구조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레일 구조는 인터페이스(202) 및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02)는 레일 구조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202)는 레일 구조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레일 구조는 체결부(140)가 장착부(201)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만 인터페이스(202)가 이동 가능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 즉, 인터페이스(202)가 레일 구조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경우, 인터페이스(202)와 제1 인터페이스(120)의 결합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방지하고자, 레일 구조는 체결부(140)가 장착부(201)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만(즉, 인터페이스(202)와 제1 인터페이스(120)가 결합된 경우에만) 인터페이스(202)가 이동 가능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는 레일 구조의 좌측 끝에 위치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인터페이스(202)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일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가 결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는 적외선 센서 외의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는 버튼으로 구성되어 인터페이스(202)가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를 푸쉬한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와 결합 되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부(140)는 제1 방향(410)을 따라 전자 장치(200)의 장착부(20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140)의 삽입과 함께 제1 인터페이스(120)는 제2 방향(411,412)으로 이동하여 인터페이스(202)와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140)가 장착부(2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420)으로 이동한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 및 전자 장치(200)는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140)의 이동과 함께, 제1 인터페이스(120)과 결합된 인터페이스(202) 또한 좌측 방향(421,422)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의 레일 구조는 인터페이스(202)가 체결부(140)의 이동에 따라 이동이 완료된 경우, 레일 구조의 좌측 내부면과 인터페이스(202)의 좌측 외부면이 맞닿도록 설계될 수 있다. 레일 구조의 좌측 내부면과 인터페이스(202)의 좌측 외부면이 맞닿은 경우, 레일 구조의 좌측 내부면에 포함된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에 결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200)가 베젤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체결 구조는 전자 장치(200)의 베젤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10)는 제1 오디오 출력 장치(520) 및 제2 오디오 출력 장치(530)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510)는 레일 구조일 수 있으며, 제1 오디오 출력 장치(520) 및 제2 오디오 출력 장치(530)는 연결부(510)의 좌측끝 또는 우측끝에서부터 연결부(51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오디오 출력 장치(520) 및 제2 오디오 출력 장치(530)는 연결부(510)를 통해 연결되어 새로운 오디오 출력 장치(5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디오 출력 장치(520) 및 제2 오디오 출력 장치(530)는 연결부위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다. 즉, 새로운 오디오 출력 장치(500)은 제1 오디오 출력 장치(520) 및 제2 오디오 출력 장치(530)이 슬라이딩 됨에 따라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의 크기에 따라 새로운 오디오 출력 장치(500)의 크기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5c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오디오 출력 장치(500)는 조작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의 크기에 맞는 오디오 출력 장치(500)를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510)는 인치별로 돌기가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오디오 출력 장치(520) 또는 제2 오디오 출력 장치(530)이 슬라이딩하는 경우, 인치별로 슬라이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510)의 특정 위치에는 전자 장치(200)의 종류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520,530)의 고정 위치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디지털 TV인 경우, 판매되는 디지털 TV의 사이즈(예를 들어 40인치, 60인치 등)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520, 530)가 고정되어야 할 위치가 연결부(51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e에서는 연결부(510)에 두개의 오디오 출력 장치(520, 530)가 연결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오디오 출력 장치(500)는 3개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같은 방법으로 새로운 오디오 출력 장치(500)는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f에서는 오디오 출력 장치가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사양의 오디오 출력 장치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연결부(510)에 연결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에 부착되는 패브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620)의 디자인을 보강하기 위한 패브릭(610)이 오디오 출력 장치(62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출력 장치(620)는 패브릭(610)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브릭(610)은 오디오 출력 장치(620)와 부착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며, 오디오 출력 장치(620)는 패브릭(610)의 체결부와 체결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620)는 부착된 패브릭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패브릭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브릭 감지부를 통해 부착된 패브릭의 종류를 판단한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620)는 부착된 패브릭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출력 장치(620)와 전자 장치(200)가 체결 된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620)는 부착된 패브릭의 정보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부착된 패브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패브릭 정보에 대응되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및 기능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후술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브릭은 패턴 영역(611) 및 프레임 영역(6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패브릭의 세로 높이는 돌출된 체결부(140)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높이와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브릭의 프레임 영역(612)는 패브릭이 부착된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가 결합된 경우, 전자 장치(200)의 베젤과 연결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패브릭의 높이를 돌출된 체결부(140)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높이와 같거나 더 크게 제작함으로써,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되는 전자 장치(200)의 면에 대응되는 베젤을 패브릭으로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부착된 패브릭은 전자 장치(200)의 하단 베젤을 덮을 수 있다.
다만 패브릭은 상술한 디자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체결된 전자 장치(200)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자 장치(200)의 구조적 특징에 대하여는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범위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된 경우에서의 전자 장치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디지털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이 포함된 다양한 전자 장치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 장치(200)는 장착부(210), 제3 인터페이스(220), 디스플레이(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한다.
장착부(21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부(140)와 체결되기 위한 구조이다. 장착부는 오디오 출력 장치(2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부(140)가 장착부(210)내로 삽입되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는 배젤(미도시)를 포함하며, 장착부(210)는 베젤 내부의 구성일 수 있다.
제3 인터페이스(22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3 인터페이스(22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체결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제3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3 인터페이스(12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제1 인터페이스(12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120)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3 인터페이스(220)는 자석으로 구성된 자석 커넥터, HDMI 포트 또는 MHL포트 등 일 수 있다.
제4 인터페이스(23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4 인터페이스(23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패브릭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패브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다양한 화면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4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관련된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4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전자 장치(200)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뿐 아니라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프로세서(250)는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50)는 장착부(210)를 통해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된 경우, 제3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장착부(210)를 통해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된 경우, 제4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대응되는 G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5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부터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부착된 패브릭 정보를 수신하고, 부착된 패브릭과 동일한 패턴 및 형상의 GUI를 디스플레이(240)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부(140), 제3 인터페이스(220) 및 제4 인터페이스(2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가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부(140), 제3 인터페이스(220) 및 제4 인터페이스(230) 중 어느 하나가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와 맞닿은 경우,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200)는 장착부(210), 제3 인터페이스(220), 제4 인터페이스(230), 디스플레이(240), 프로세서(250) 뿐만 아니라, 센서(260), 통신부(270), 오디오 처리부(280) 및 오디오 출력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260)는 전자 장치(200)외부로부터의 다양한 데이터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로, 센서(260)중 적어도 하나는 오디오 출력 장치 감지부(203)로 구성되어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센서(260)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조도 값을 바탕으로 프로세서(250)는 디스플레이(240)에 표시되는 패브릭 GUI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디스플레이(24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7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오디오 처리부(28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 요소다. 오디오 처리부(28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5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290)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90)는 오디오 처리부(290)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29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00) 및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되지 않은 경우, 오디오 출력부(290)는 오디오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오디오를 출력하고, 즉, 전자 장치(200) 및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된 경우, 오디오 출력부(29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RAM(251), ROM(252), 그래픽 처리부(253), 메인 CPU(2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55-1 ~ 255-n) 및 버스(25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251), ROM(252), 그래픽 처리부(253), 메인 CPU(2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55-1 ~ 255-n) 등은 버스(25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251)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가 부팅되면 O/S가 RAM(251)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251)에 저장될 수 있다.
ROM(25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54)는 ROM(25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RAM(25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54)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51)에 복사하고, RAM(25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25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연산부는 입력부(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하는 구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24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메인 CPU(254)는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254)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55-1 내지 25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55-1 내지 255-n)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250)는 전자 장치(200)를 다양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모드, 제1 모드보다 저전력에서 배경 영상과 같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전자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드는 컨텐츠 재생 모드일 수 있고, 제2 모드는 저전력의 앰비언트 모드 또는 절전 모드일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되었음을 알리는 UI(91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와 유선 연결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UI(910)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외부 장치(300)가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외부 장치(300)는 오디오 출력장치(100)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와의 유선 연결 또는 외부 장치(300)와의 무선 연결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와 유선 연결되는 경우에는 무선 연결 기능에 필요한 제2 인터페이스(130)를 비활성화 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외부 장치(300)와 무선 연결 되는 경우에는 유선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제1 인터페이스(120)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상태를 감지하여 유선 연결 모드 또는 무선 연결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부(140)는 사용자가 체결부(140) 상단을 푸쉬하는 동작에 의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부(140)의 상단이 푸쉬된 경우, 체결부(140)는 도 3b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체결부(140)가 푸쉬된 경우, 체결부(140)는 도 3a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체결부(140)의 위치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로 동작할지, 무선 연결 모드로 동작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140)가 도 3b와 같은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현재 연결 모드를 유선 연결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와의 무선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체결부(140)가 도 3b와 같은 경우, 제2 인터페이스(13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 등의 방법을 통해 외부 장치(300)와의 무선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체결부(140)가 도 3a와 같은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현재 연결 모드를 무선 연결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와의 유선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체결부(140)가 돌출되지 않아 전자 장치(200)와 연결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제1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유선 연결을 방지할 필요가 없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부(140)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복수개의 체결부(140)를 포함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모든 체결부(14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삽입된 경우에는 무선 연결 모드로,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14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서 돌출된 경우에는 유선 통신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연결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딩 스위치, 또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푸쉬버튼 스위치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위치는 토글 스위치, 딥 스위치(DIP switch), 디지털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연결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스위치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스위치인 경우에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슬라이딩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연결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슬라이딩 스위치가 슬라이딩부 상측(또는 좌측)에 위치한 경우에는 유선 연결 모드, 슬라이딩 스위치가 슬라이딩부 하측(또는 우측)에 위치한 경우에는 무선 연결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연결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스위치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스위치인 경우에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푸쉬 스위치가 푸쉬될 때마다 연결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스위치가 푸쉬될 때마다, 현재 연결 모드를 알리기 위한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푸쉬버튼에 의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연결모드가 유선 연결 모드에서 무선 연결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제1 알림음을 출력하고, 푸쉬버튼에 의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연결모드가 무선 연결 모드에서 유선 연결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제2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알림음 및 제2 알림음은 "OO연결 모드로 변경되었습니다"와 같은 알림음일 수도 있으며, 서로 구분 가능한 음정으로 구성된 알림음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a 내지 도 14c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화면 표시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9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되었음을 알리는 UI(910)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도 10b 및 도 11b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패브릭이 부착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되었음을 알리는 UI(910)를 표시하는 대신 패브릭 GUI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패브릭이 부착되고, 패브릭이 부착된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와 체결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부터 부착된 패브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는 수신한 패브릭 정보를 바탕으로 패브릭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0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가 블랙 스크린인 상태에서 패브릭이 부착된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좌우에 체결된 경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부착된 패브릭의 형태 및 패턴과 동일한 패브릭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패브릭 GUI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브릭 GUI는 전자 장치(200)의 좌측 끝 영역 및 우측 끝 영역에서부터 중앙 방향으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가 블랙 스크린인 상태에서 패브릭이 부착된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하단에 체결된 경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부착된 패브릭의 형태 및 패턴과 동일한 패브릭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패브릭 GUI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브릭 GUI는 전자 장치(200)의 하부 영역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브릭 GUI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하단에 체결된 경우 패브릭 GUI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제1 모드에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전자 장치(200)를 제2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200)는 패브릭 GUI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40)의 하단 영역에서 윗쪽 방향으로 패브릭 GUI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모드에서 패브릭 GUI를 디스플레이(240)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패브릭 GUI는 디스플레이의 하단 영역에서부터 상단 영역으로 확장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모드에서 패브릭 GUI가 표시되는 동안 전자 장치(200)를 제1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200)는 패브릭 GUI를 제거하고,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패브릭 GUI를 제거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패브릭 GUI가 생성되어 표시되는 방법과 반대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0)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패브릭 GUI의 표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좌측 및 우측에 체결된 경우 패브릭 GUI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제1 모드에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전자 장치(200)를 제2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200)는 패브릭 GUI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40)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에서 중앙 방향으로 패브릭 GUI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 패브릭 GUI를 디스플레이(240)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 모드에서 패브릭 GUI가 표시되는 동안 전자 장치(200)를 제1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200)는 패브릭 GUI를 제거하고,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패브릭 GUI를 제거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패브릭 GUI가 생성되어 표시되는 방법과 반대일 수 있다. 즉, 패브릭 GUI는 디스플레이의 중앙 영역에서부터 좌우 영역으로 감소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2a 내지 도 13c에서 표시되는 패브릭 GUI의 생성 방향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의 복수의 장착부(201,201-1 내지 201-7)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된 경우, 복수의 장착부(201,201-1 내지 201-7) 에 포함된 오디오 출력 장치 감지부(203)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패브릭 GUI의 생성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모드에서 재생되는 컨텐츠 및 제2 모드에서 표시되는 패브릭 GUI는 서로 다른 레이어에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재생되는 컨텐츠는 제1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가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표시되는 패브릭 GUI는 제2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고해상도의 컨텐츠이고,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패브릭 GUI는 저해상도의 GUI일 수 있다. 즉, 제2 모드에서는 저해상도 패브릭 GUI를 표시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하단에 결합되고, 전자 장치(200)가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부착된 가로 줄무늬 패턴의 패브릭에 대응되는 가로 줄무늬 패턴의 패브릭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가 제2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는 표시되는 패브릭 GUI를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가로 줄무늬 패턴의 패브릭 GUI를 흔들리는 물결 무늬의 동적 패브릭 GUI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패브릭 GUI의 움직임은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장르, 박자, 속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적 패브릭 GUI를 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되는 음악의 제목 등을 패브릭 GUI 위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패브릭 GUI 위에 표시되는 문자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브릭 GUI 위에 표시되는 문자는 전자 장치(200)를 둘러싼 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에 흰색 프레임이 부착된 경우, 패브릭 GUI 위에 표시되는 문자의 색깔은 흰색일 수 있다.
또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에 검은색 프레임이 부착된 경우, 패브릭 GUI 위에 표시되는 문자의 색깔은 검은색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0)에 부착된 프레임의 색깔에 따라 패브릭 GUI 위에 표시되는 문자의 색깔이 변경되는 경우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에 부착된 프레임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프레임에 따라 패브릭 GUI의 형태, 색상 등이 변경될 수도 있으며, 패브릭 GUI 위에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 색깔, 폰트 등이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와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10).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와 체결된 경우(S1610-Y),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62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부착된 패브릭의 정보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연자 장치(200)와 체결되지 않은 경우(S1610-N),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630). 구체적으로,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와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인터페이스는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와 블루투스 연결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와 체결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71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 여부는 전자 장치(200)에 포함된 오디오 출력 장치 감지부(203)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체결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제4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정보를(S1720). 이때, 수신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정보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부착된 패브릭 정보일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수신한 정보에 대응되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S1730). 이때,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정보가 패브릭 정보인 경우, 표시되는 GUI는 패브릭 정보에 대응되는 패브릭 GUI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가 컨텐츠 재생을 위한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패브릭 GUI가 표시되지 않으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된 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패브릭 GUI가 확장되며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오디오 출력 장치
110: 스피커 모듈
120: 제1 인터페이스 130: 제2 인터페이스
140: 체결부 150: 프로세서
200: 전자 장치 210: 장착부
220: 제3 인터페이스 230: 제4 인터페이스
240: 디스플레이 250: 프로세서
120: 제1 인터페이스 130: 제2 인터페이스
140: 체결부 150: 프로세서
200: 전자 장치 210: 장착부
220: 제3 인터페이스 230: 제4 인터페이스
240: 디스플레이 250: 프로세서
Claims (18)
-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모듈;
외부의 전자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중 하나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타 오디오 출력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와 상기 타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연결부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변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 내부에 위치한 T자형 구조이고,
상기 체결부가 푸쉬된 경우, 상기 T자형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전자 장치의 고정부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패브릭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패브릭이 부착된 경우, 상기 패브릭 감지부는 상기 부착된 패브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자석 커넥터로 구성되고, 제2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체결부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삽입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돌출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와 체결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패브릭이 부착된 경우, 상기 부착된 패브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복수의 변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가 T자형 구조이고, 상기 체결부가 푸쉬된 경우, 상기 T자형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와 체결되기 위한 장착부;
디스플레이;
상기 장착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3 인터페이스;
상기 장착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4 인터페이스; 및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체결된 경우, 상기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체결된 경우, 상기 제4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에 대응되는 G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와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가 상기 고정부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4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자석 커넥터와 연결되기 위한 자석 커넥터로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가 상기 삽입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수직 방향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 상기 제3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4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외부 오디오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정보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부착된 패브릭 정보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패브릭 정보에 대응되는 패브릭 G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조도값을 바탕으로, 패브릭 GUI의 조도값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3927A KR20190048742A (ko) | 2017-10-31 | 2017-10-31 |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PCT/KR2018/011780 WO2019088477A1 (ko) | 2017-10-31 | 2018-10-05 |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3927A KR20190048742A (ko) | 2017-10-31 | 2017-10-31 |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8742A true KR20190048742A (ko) | 2019-05-09 |
Family
ID=6633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3927A KR20190048742A (ko) | 2017-10-31 | 2017-10-31 |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48742A (ko) |
WO (1) | WO2019088477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25340A1 (en) * | 2019-08-02 | 2021-02-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audio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KR102630053B1 (ko) * | 2022-12-07 | 2024-0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94029A (ja) * | 2004-09-22 | 2006-04-06 | Yamaha Corp | スピーカボックスおよびオーディオシステム |
KR100754625B1 (ko) * | 2005-08-31 | 2007-09-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외부 스피커를 통해서 스테레오 사운드를 출력하는휴대단말기 |
KR20080006303A (ko) * | 2006-07-12 | 2008-01-16 | 네오피델리티 주식회사 | 착탈식 오디오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재생 장치 |
JP4936840B2 (ja) * | 2006-09-28 | 2012-05-23 | 株式会社東芝 | 電子機器及びスピーカ制御方法 |
KR20080095117A (ko) * | 2007-04-23 | 2008-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에이브이 시스템 |
-
2017
- 2017-10-31 KR KR1020170143927A patent/KR20190048742A/ko unknown
-
2018
- 2018-10-05 WO PCT/KR2018/011780 patent/WO201908847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25340A1 (en) * | 2019-08-02 | 2021-02-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audio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US11175885B2 (en) | 2019-08-02 | 2021-11-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audio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KR102630053B1 (ko) * | 2022-12-07 | 2024-0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088477A1 (ko) | 2019-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48704B2 (en) |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 |
KR102601058B1 (ko)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US10349171B2 (en) | Electronic device, peripheral devic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1522399B1 (ko) |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 |
US8583088B2 (en) | Electronic apparatus | |
KR102325338B1 (ko) | 전자 장치, 오디오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 |
US9697702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20180103229A1 (en) |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connectable t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10115372B2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150043231A (ko) | 통지 정보 표시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
CN107637069B (zh) | 显示装置和用于控制显示装置的屏幕的方法 | |
TW201636774A (zh) | 顯示裝置、終端裝置及顯示系統 | |
US10015435B2 (en) |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20230176806A1 (en) | Screen Projection Display Method and System,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 |
WO2015159543A1 (ja) |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 |
TW201351267A (zh) | 複合裝置及其畫面顯示方法 | |
CN104915144A (zh) | 双屏互动用户界面投射方法 | |
KR20190048742A (ko) |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CN113287332A (zh) | 显示设备及扫描外部蓝牙设备的方法 | |
US20150181169A1 (en) | Security device, broadcast rece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thereof | |
CN112073954B (zh) | 显示设备及扫描外部蓝牙设备的方法 | |
KR102553250B1 (ko) |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
KR102180820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60039831A (ko) |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JP2015206854A (ja) |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