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053B1 -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053B1
KR102630053B1 KR1020220169805A KR20220169805A KR102630053B1 KR 102630053 B1 KR102630053 B1 KR 102630053B1 KR 1020220169805 A KR1020220169805 A KR 1020220169805A KR 20220169805 A KR20220169805 A KR 20220169805A KR 102630053 B1 KR102630053 B1 KR 102630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wireless
input terminal
audio output
connec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9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우
이기영
박재영
박준영
최윤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9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053B1/ko
Priority to US18/227,695 priority patent/US20240196126A1/en
Priority to DE102023122255.4A priority patent/DE102023122255A1/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7Hearing device specific tools used for storing or handling hearing devices or parts thereof, e.g. placement in the ear, replacement of cerumen barriers, repair, cleaning hea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통신 장치와, 케이싱의 일부에 형성된 스위치와, 케이싱의 다른 일부에 형성된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통신 장치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1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신호 교환을 위한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의 오디오 전송을 위한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유선 연결 모드를 통해, 양방향 또는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Cradle, and wireless audio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유선 연결 모드를 통해, 양방향 또는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는, 외부의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가 휴대용인 경우, 크래들 내부에 장착되어, 충전되다가, 크래들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와의 무선 접속을 통해, 무선으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2214661호(이하, 선행 문헌 이라 함)는, 무선 이어버드와 충전 크래들을 이용한 음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이어버드에서 방출되는 음향을 충전 크래들에 형성되는 혼(HORN) 구조의 울림 공간을 통하여 방출하는 것이 개시된다.
한편, 선행 문헌에 의하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인 무선 이어 버드와,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무신 신호의 세기가 약해지므로, 안정적인 무선 오디오 전송에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무선 오디오 전송 장치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사이의 안정적인 무선 접속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유선 연결 모드를 통해, 양방향 또는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유선 연결 모드에서 접속되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양방향 또는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유선 연결 모드에서 무선 대화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환경이 복잡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통신 규격의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심리스하게 오디오 서비스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통신 장치와, 케이싱의 일부에 형성된 스위치와, 케이싱의 다른 일부에 형성된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통신 장치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1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신호 교환을 위한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의 오디오 전송을 위한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한다.
한편, 인터페이스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1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입력 단자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와 오디오 신호 교환을 위한 양방향 유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입력 단자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로부터의 오디오 신호 수신을 위한 단방향 유선 오디오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치를 통해 제1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유선 연결 모드가 활성화되고, 스위치를 통해 제2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유선 연결 모드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는,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입력 단자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와의 오디오 신호 교환을 중지하거나, 오디오 신호 수신을 중지할 수 있다.
한편,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1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제1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인터페이스는, 통신 장치에서 수신된 제1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입력 단자와 유선 접속되는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인터페이스는, 전자 기기로부터 제2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장치는, 제2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제2 오디오 신호를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는, 전자 기기로부터 제3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장치는, 제3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제3 오디오 신호를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제4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인터페이스는, 입력 단자와 유선 접속되는 전자 기기로, 변환된 제4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제1 케이블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입력 단자에 유선으로 접속되었던 전자 기기와 무선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제2 케이블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입력 단자에 유선으로 접속되었던 전자 기기와 무선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통신 규격에 의해 무선으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과, 제1 주파수 대역 보다 더 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통신 규격에 의해 무선으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는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기간 동안,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고, 제1 기간 중에, 교환 또는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 패킷 에러 레이트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에서 교환 또는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 패킷 에러 레이트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제2 통신 규격으로의 전환 메시지를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통신 장치와, 케이싱의 일부에 형성된 스위치와, 케이싱의 다른 일부에 형성된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스위치를 통해 제1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 모드가 활성화되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무선 연결 모드가 활성화되며, 스위치를 통해 제2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유선 연결 모드가 비활성화되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무선 연결 모드가 활성화된다.
한편, 통신 장치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1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신호 교환을 위한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의 오디오 전송을 위한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 크래들 장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통신 장치와, 케이싱의 일부에 형성된 스위치와, 케이싱의 다른 일부에 형성된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통신 장치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1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신호 교환을 위한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의 오디오 전송을 위한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를 통해, 양방향 또는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선 연결 모드에서 접속되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양방향 또는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선 연결 모드를 통해, 전자 기기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사이의 오디오 전송 가능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인터페이스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1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입력 단자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와 오디오 신호 교환을 위한 양방향 유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입력 단자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로부터의 오디오 신호 수신을 위한 단방향 유선 오디오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에서 접속되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양방향 또는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위치를 통해 제1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유선 연결 모드가 활성화되고, 스위치를 통해 제2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유선 연결 모드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에서 접속되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양방향 또는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터페이스는,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입력 단자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와의 오디오 신호 교환을 중지하거나, 오디오 신호 수신을 중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가 중지되게 된다.
한편,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1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제1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인터페이스는, 통신 장치에서 수신된 제1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입력 단자와 유선 접속되는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인터페이스는, 전자 기기로부터 제2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장치는, 제2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제2 오디오 신호를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에서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선 연결 모드에서 무선 대화 모드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는, 전자 기기로부터 제3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장치는, 제3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제3 오디오 신호를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에서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제4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인터페이스는, 입력 단자와 유선 접속되는 전자 기기로, 변환된 제4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에서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이 수행되지 않고,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에서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이 수행되지 않고,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 장치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제1 케이블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입력 단자에 유선으로 접속되었던 전자 기기와 무선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 접속 해제 이후에도 심리스(seamless)하게 전자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 장치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제2 케이블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입력 단자에 유선으로 접속되었던 전자 기기와 무선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에 따라, 케이블 접속 해제 이후에도 심리스하게 전자 기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 장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통신 규격에 의해 무선으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과, 제1 주파수 대역 보다 더 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통신 규격에 의해 무선으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는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환경이 복잡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 장치는,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기간 동안,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고, 제1 기간 중에, 교환 또는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 패킷 에러 레이트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규격의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심리스하게 오디오 서비스 전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에서 교환 또는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 패킷 에러 레이트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제2 통신 규격으로의 전환 메시지를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규격의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심리스하게 오디오 서비스 전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통신 장치와, 케이싱의 일부에 형성된 스위치와, 케이싱의 다른 일부에 형성된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스위치를 통해 제1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 모드가 활성화되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무선 연결 모드가 활성화되며, 스위치를 통해 제2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유선 연결 모드가 비활성화되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무선 연결 모드가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를 통해, 양방향 또는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선 연결 모드를 통해, 전자 기기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사이의 오디오 전송 가능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 장치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1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신호 교환을 위한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에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의 오디오 전송을 위한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에서 접속되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양방향 또는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 크래들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를 통해, 양방향 또는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선 연결 모드에서 접속되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양방향 또는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크래들 장치의 케이싱이 닫힌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크래들 장치의 후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에 다양한 케이블이 접속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에 유선 접속 가능한 전자 기기의 다양한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a 내지 도 12c는 도 9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크래들 장치의 케이싱이 닫힌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시스템(10)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 크래들 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200)는,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케이싱(CSE)과, 케이싱(CSE) 내에 배치되는 통신 장치(도 7a의 235)와, 케이싱(CSE)의 일부에 형성된 스위치(BOT)와, 케이싱(CSE)의 다른 일부에 형성된 입력 단자(TE)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도 7a의 230)를 포함한다.
케이싱(CSE)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HMa,HMb)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걔폐된다.
예를 들어, 케이싱(CSE)은, 상부 케이싱(USE)와 하부 케이싱(DSE)를 구비하며, 상부 케이싱(USE)이, 개폐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케이싱(DSE) 내에 안착홈(HMa,HMb)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케이싱(DSE)의 일부에 동작 상태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케이싱(DSE)의 측면에, 유선 연결 모드인 제1 모드를 설정하거나, 무선 연결 모드인 제2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BOT)가 배치될 수 있다.
안착홈(HMa,HMb)에,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가 안착되는 경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충전 단자(미도시)를 통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가 각각 충전되게 된다.
한편, 안착홈(HMa,HMb)에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가 이탈되는 경우, 충전 단자(미도시)에서 이격되므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 내의 통신 장치(135)가 활성화되어, 주변 전자 기기(600 또는 600b) 또는 크레들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위한 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HMa,HMb)에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가 이탈되는 경우, 크레들 장치(200) 내의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 제1 통신 규격 기반의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부터 제1 통신 규격의 페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안착홈(HMa,HMb)에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가 이탈되는 경우, 크레들 장치(200) 내의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 제2 통신 규격 기반의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부터 제2 통신 규격의 페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크래들 장치의 후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크래들 장치(200)의 후방, 특히, 하부 케이싱(DSE)의 후방에는, 케이블 접속을 위한 입력 단자(TE)가 형성된다.
즉, 크래들 장치(200)는, 케이싱(CSE)의 다른 일부에 형성된 입력 단자(TE)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도 7a의 230)를 포함한다.
한편, 입력 단자(TE)는, USB-c type 단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규격의 단자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입력 단자(TE)에는, 디지털 케이블인 제1 케이블(도 5a의 CABa)이 접속되거나, 아날로그 케이블인 제2 케이블(도 5b의 CABb)이 접속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는, 케이싱(CSE) 내의 안착홈(HMa,HMb)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통신 장치(135)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는, 주변 전자 기기(600 또는 600b) 또는 크래들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에 다양한 케이블이 접속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크래들 장치(200)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케이블(CABa)의 일단(TDa)은, 크래들 장치(200)의 입력 단자(TE)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블(CABa)의 타단(TMa)은,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의 입력 단자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블(CABa)의 타단(TMa)은, USB A type 단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b는 크래들 장치(200)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케이블(CABb)의 일단(TDb)은, 크래들 장치(200)의 입력 단자(TE)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제2 케이블(CABb)의 타단(TMb)은,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의 입력 단자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제2 케이블(CABb)의 타단(TMb)은, Aux 단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c는 크래들 장치(200)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며, 제1 케이블(CABa)의 타단(TMa)에 전력 변환 플러그(PG)가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크래들 장치(200)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며, 제1 케이블(CABa)의 타단(TMa)에 전력 변환 플러그(PG)가 접속되는 경우, 크래들 장치(200) 내부의 배터리(도 7a의 295)에 직류 전압이 충전되게 된다.
제1 케이블(CABa)은,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케이블이면서, 직류 전압 전송을 위한 케이블일 수 있다.
한편, 도 5c와 달리, 제1 케이블(CABa)이 아닌 제3 케이블(미도시)이, 전력 변환 플러그(PG)가 접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에 유선 접속 가능한 전자 기기의 다양한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는 전자 기기의 일예인 노트북 컴퓨터(600)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의 일예인 노트북 컴퓨터(600)는, 디스플레이(680), 문자키((600a), 전원키(601), 카메라(695), 복수의 입력 단자(TAa,TAb,TAc)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입력 단자(TAa,TAb,TAc) 중 제1 입력 단자(TAa)는, USB-A 타입 단자일 수 있으며, 제2 입력 단자(TAb)는 HDMI 단자일 수 있으며, 제3 입력 단자(TAc)는, AUX 단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단자(TAa)에, 도 5a의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거나, 제3 입력 단자(TAc)는, 도 5b의 제2 케이블(CABa)이 접속될 수 있다.
다음, 도 6b는 전자 기기의 일예인 영상표시장치(600b)를 예시한다.
영상표시장치(600b)는, TV, 모니터, 또는 태블릿 PC 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의 일예인 영상표시장치(600b)는, 디스플레이(680b), 복수의 입력 단자(TBa,TBb,TBc)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입력 단자(TBa,TBb,TBc) 중 제1 입력 단자(TBa)는, USB-A 타입 단자일 수 있으며, 제2 입력 단자(TBb)는 HDMI 단자일 수 있으며, 제3 입력 단자(TBc)는, AUX 단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단자(TBa)에, 도 5a의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거나, 제3 입력 단자(TBc)는, 도 5b의 제2 케이블(CABa)이 접속될 수 있다.
도 7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크래들 장치(200)는, 입력 장치(22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 통신 장치(235), 메모리(240), 신호 처리 장치(270), 디스플레이(280), 충전 장치(285), 및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220)는, 유선 연결 모드인 제1 모드를 설정하거나, 무선 연결 모드인 제2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BOT)를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BOT)는, 케이싱(CSE)의 측면에 형성되며, 아날로그 스위치일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케이싱(CSE)의 다른 일부에 형성된 입력 단자(TE)를 포함한다.
한편, 인터페이스(230)는,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거나,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 검출 핀(detect pin)을 통해, 케이블 종류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 세팅값을 가변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는 경우, 입력 단자(TE)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와 오디오 신호 교환을 위한 양방향 유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 입력 단자(TE)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부터의 오디오 신호 수신을 위한 단방향 유선 오디오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스위치(BOT)를 통해 제1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유선 연결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스위치(BOT)를 통해 제2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유선 연결 모드가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입력 단자(TE)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와의 오디오 신호 교환을 중지하거나, 오디오 신호 수신을 중지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 또는 외부의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235)는, 페어링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 장치(235)는, 페어링된 외부의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와와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235)는,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거나,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 검출 핀(detect pin)을 통해, 케이블 종류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 세팅값을 가변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235)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는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의 오디오 신호 교환을 위한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한다.
한편, 통신 장치(235)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의 오디오 전송을 위한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한다.
한편, 통신 장치(235)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는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의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위해, 오디오 전송(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A2DP) 프로파일 및 통화 프로파일(Hands Free Profile; HFP)을 위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235)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는 경우, 오디오 전송(A2DP) 프로토콜을 활성화하고, 통화 프로파일(HFP) 포로토콜은 대기(ready)시킬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235)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 오디오 전송(A2DP) 프로파일만 설정되고, 통화 프로파일(HFP)을 위한 설정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235)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 오디오 전송(A2DP) 프로토콜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235)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통신 규격에 의해 무선으로 제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 모듈(235a)과, 제1 주파수 대역 보다 더 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통신 규격에 의해 무선으로 제2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235b)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통신 모듈(235a)과 제2 통신 모듈(235b) 중 어느 하나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235)는, 제1 통신 모듈(235a)과 제2 통신 모듈(235b)의 신호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세서(235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통신 모듈(235a)은, 제1 채널을 통해 제1 시그널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채널을 통해 제1 오디오 데이터를 구분하여 전송하며, 제2 통신 모듈(235b)은, 동일 채널을 통해 제2 시그널 데이터와 제2 오디오 데이터를 구분하여 전송한다.
한편, 제2 통신 모듈(235b)에서 전송되는 비콘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정보 또는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니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로 구분하여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통신 모듈(235b)은, 전송되는 비콘 메시지 내에 유니캐스트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결합 요청(Asociation Request) 정보를 무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 전송하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부터 결합 응답(Asociation Response)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니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로 구분하여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통신 모듈(235b)은, 전송되는 제2 오디오 신호 중 헤더 내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시그널 데이터인지 제2 오디오 데이터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그널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무선으로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통신 모듈(235b)은, 전송되는 제2 오디오 신호 중 미디어 억세스 제어(MAC) 헤더 또는 피지컬(PHY) 헤더 내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시그널 데이터인지 제2 오디오 데이터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그널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무선으로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통신 모듈(235b)은, 제2 시그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제2 규격의 부호화 또는 복호화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부호화 또는 복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시그널 데이터 이후에 제2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그널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무선으로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 장치(235)는, 제1 통신 모듈(235a)을 통해, 제1 기간 동안,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고, 제1 기간 중에, 교환 또는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 패킷 에러 레이트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제2 통신 모듈(235b)을 통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규격의 제1 통신 모듈(235a)과 제2 통신 모듈(235b)을 통해 심리스하게 오디오 서비스 전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통신 모듈(235a)은, 제1 통신 모듈(235a)에서 교환 또는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 패킷 에러 레이트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제2 통신 규격으로의 전환 메시지를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규격의 제1 통신 모듈(235a)과 제2 통신 모듈(235b)을 통해 심리스하게 오디오 서비스 전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메모리(240)는, 크래들 장치(200) 내의 신호 처리 장치(2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27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27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유선 통신에 의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통신 장치(235)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80)는, 크레들 장치의 동작 상태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280)는, LED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충전 장치(285)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 내의 입력 단자(TE)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케이싱(CSE) 내의 안착홈(HMa,HMb)에 안착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 장치(285)는, 배터리(295)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케이싱(CSE) 내의 안착홈(HMa,HMb)에 안착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를 충전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290)는, 직류 전원을 저장하고 출력하는 배터리(29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은, 센싱부(130), 통신 장치(135), 메모리(140), 사운드 출력장치(160), 프로세서(170), 입력 장치(185),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30)는, 관성 센서(131)를 구비할 수 있다. 관성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은, 6축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의 모션 정보, 예를 들어, x,y,z축 기준의 움직임 정보(가속도 정보, 각속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30)는, 사용자 신체 정보 획득을 위한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혈압 센서, 뇌파 센서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 장치(135)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장치(135)는, 이동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인터넷 모듈(미도시),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 및 GPS 모듈(미도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35)는, IR 통신, 블루투스 통신, 또는 WiFi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페어링된 전자 기기(600 또는 600b) 또는 크래들 장치(200)와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페어링된 전자 기기(600 또는 600b) 또는 크래들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135)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통신 규격에 의해 무선으로 제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 모듈(135a)과, 제1 주파수 대역 보다 더 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통신 규격에 의해 무선으로 제2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135b)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135)는, 제1 통신 모듈(135a)과 제2 통신 모듈(135b)의 신호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세서(135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통신 모듈(135a)은, 제1 채널(CH1)을 통해 제1 시그널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채널(CH2)을 통해 제1 오디오 데이터를 구분하여 수신하며, 제2 통신 모듈(135b)은, 동일 채널(CHm)을 통해 제2 시그널 데이터와 제2 오디오 데이터를 구분하여 수신한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에서 접속되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양방향 또는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통신 모듈(135a)과 제2 통신 모듈(135b)에서, 시그널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무선으로 오디오를 수신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통신 모듈(135b)에서 수신되는 비콘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정보 또는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니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로 구분하여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통신 모듈(135b)은, 수신되는 비콘 메시지 내에 유니캐스트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결합 요청(Asociation Request) 정보를 전자 기기(600 또는 600b) 또는 크래들 장치(200)로 전송하고, 전자 기기(600 또는 600b) 또는 크래들 장치(200)로부터 결합 응답(Asociation Response)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니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로 구분하여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통신 모듈(135b)은, 수신되는 제2 오디오 신호 중 헤더 내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시그널 데이터인지 제2 오디오 데이터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그널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무선으로 오디오를 수신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통신 모듈(135b)은, 수신되는 제2 오디오 신호 중 미디어 억세스 제어(MAC) 헤더 또는 피지컬(PHY) 헤더 내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시그널 데이터인지 제2 오디오 데이터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그널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무선으로 오디오를 수신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통신 모듈(135b)은, 제2 시그널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제2 규격의 부호화 또는 복호화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부호화 또는 복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시그널 데이터 이후에 제2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그널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무선으로 오디오를 수신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메모리(140)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 내의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운드 출력장치(160)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 내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운드 출력장치(160)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의 동작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운드 출력 장치(160)는, 제1 통신 모듈(135a)로부터의 제1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사운드 또는 제2 통신 모듈(135b)로부터의 제2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 내의 각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여,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제1 통신 모듈(135a) 또는 제2 통신 모듈(135b)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제2 통신 모듈(135b)로부터의 복호화 정보 및 설정된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제2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그널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무선으로 오디오를 수신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입력 장치(18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의 초기화, 또는 동작 입력 등을 위한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장치(185)는, 사운드 수집을 위한 마이크(187)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직류 전원을 저장하고 출력하는 배터리(19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각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는, 제1 통신 모듈(135a)에서 수신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통신 규격에 의해 무선으로 제1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사운드를 출력하다가, 무선 환경이 복잡하여, 제1 오디오 신호의 패킷 에러 레이트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제2 통신 모듈(135b)에서 수신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통신 규격에 의해 무선으로 제2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환경이 복잡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무선으로 오디오를 수신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는, 제1 통신 규격에 의한 제1 오디오 신호 기반의 제1 사운드를 출력하다가, 제2 통신 규격에 의한 제2 오디오 신호 기반의 제2 사운드를 출력하기 전에, 일정 기간 동안, 제1 통신 모듈(135a)과 제2 통신 모듈(135b)은 각각 동시에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어느 하나의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리스한 오디오 서비스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의 복수의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는, 각각 좌측과 우측용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일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200)는, 스위치(BOT)에 의해 제1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S810), 유선 연결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815).
크래들 장치(200) 내의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위치(BOT)에 의해 제1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S810), 유선 연결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음, 크래들 장치(200) 내의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는 지 여부를 검출하고(S820), 해당하는 경우, 제1 케이블(CABa)을 통해,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와 양방향 유선 오디오 통신을 수행하고, 크래들 장치(200) 내의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한다(S823).
예를 들어,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부터 제1 오디오 신호(Sga)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인터페이스(230)는, 통신 장치(235)에서 수신된 제1 오디오 신호(Sga)를 변환하여, 변환된 제1 오디오 신호(Sga)를 입력 단자(TE)와 유선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 전송하고, 인터페이스(230)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부터 제2 오디오 신호(Sgb)를 수신하고, 통신 장치(235)는, 제2 오디오 신호(Sgb)를 변환하여, 변환된 제2 오디오 신호(Sgb)를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823 단계(S823) 이후, 크래들 장치(200) 내의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접속되는 제1 케이블(CABa)의 접속이 해제되는 지 여부를 검출하고(S826), 해당하는 경우, 제1 케이블(CABa)을 통한,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와 양방향 유선 오디오 통신을 중지할 수 있다(S829).
한편, 통신 장치(235)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접속되는 제1 케이블(CABa)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입력 단자(TE)에 유선으로 접속되었던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와 무선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리스한 통신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810 단계(S810)에서, 제1 모드가 아닌 경우, 크래들 장치(200)는, 스위치(BOT)에 의해 제2 모드가 설정되는 지 여부를 검출하고(S812), 해당하는 경우, 유선 연결 모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S814).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30)는, 유선 연결 모드인 제1 모드에서, 무선 연결 모드인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입력 단자(TE)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와의 오디오 신호 교환을 중지하거나, 오디오 신호 수신을 중지할 수 있다.
한편, 제820 단계(S820)에서,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지 않는 경우, 크래들 장치(200) 내의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입력 단자(TE)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지 여부를 검출하고(S840), 해당하는 경우, 제2 케이블(CABb)을 통해,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와 단방향 유선 오디오 수신을 수행하고, 크래들 장치(200) 내의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한다(S835).
예를 들어,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235)는, 인터페이스(230)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부터 제3 오디오 신호(Sgc)를 수신하고, 통신 장치(235)는, 제3 오디오 신호(Sgc)를 변환하여, 변환된 제3 오디오 신호(Sgc)를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부터 제4 오디오 신호(Sgd)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인터페이스(230)는, 입력 단자(TE)와 유선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 변환된 제4 오디오 신호(Sgd)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835 단계(S835) 이후, 크래들 장치(200) 내의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접속되는 제2 케이블(CABb)의 접속이 해제되는 지 여부를 검출하고, 해당하는 경우, 제2 케이블(CABb)을 통한,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와 단방향 유선 오디오 수신을 중지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235)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접속되는 제2 케이블(CABb)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입력 단자(TE)에 유선으로 접속되었던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와 무선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리스한 오디오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도 9a 내지 도 12c는 도 9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235)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는 경우, 오디오 전송(A2DP) 프로토콜을 활성화하고, 통화 프로파일(HFP) 포로토콜은 대기(ready)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과 같이, 제1 케이블(CABa)을 통해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b)에 화상 채팅 화면 또는 화상 전화 화면(910)이 표시된 경우, 통신 장치(235)는, 전자 기기(600b)로부터 통화 프로파일(HFP) 활성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장치(235)는, 오디오 전송(A2DP) 프로토콜에서 통화 프로파일(HFP) 프로토콜로 전환하여, 통화 프로파일(HFP) 프로토콜을 활성화시켜, 동기식 접속 지향 링크(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Link; SCo link)를 개방(Open)하여 해당 링크를 통해, 양방향 Link를 통해,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면과 같이,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부터 제1 오디오 신호(Sga)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인터페이스(230)는, 통신 장치(235)에서 수신된 제1 오디오 신호(Sga)를 변환하여, 변환된 제1 오디오 신호(Sga)를 입력 단자(TE)와 유선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 전송하고, 인터페이스(230)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부터 제2 오디오 신호(Sgb)를 수신하고, 통신 장치(235)는, 제2 오디오 신호(Sgb)를 변환하여, 변환된 제2 오디오 신호(Sgb)를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에서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크레들 장치(200)를 통한 무선 대화 모드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도 9b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235)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 오디오 전송(A2DP) 프로파일만 설정하고, 통화 프로파일(HFP)을 위한 설정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면과 같이, 제2 케이블(CABb)을 통해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b)에 음악 재생 화면(920)이 표시된 경우, 인터페이스(230)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부터 제3 오디오 신호(Sgc)를 수신하고, 통신 장치(235)는, 제3 오디오 신호(Sgc)를 변환하여, 변환된 제3 오디오 신호(Sgc)를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에서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부터 제4 오디오 신호(Sgd)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인터페이스(230)는, 입력 단자(TE)와 유선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 변환된 제4 오디오 신호(Sgd)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에서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이 수행되지 않고,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에서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이 수행되지 않고,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b는 무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위치(BOT) 내의 버튼이 도 9a와 달리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유선 연결 모드가 해제되고, 무선 연결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연결 모드에서, 인터페이스(230)는, 접속되는 유선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와, 양방향 유선 오디오 전송을 중지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연결 모드에서,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의 무선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또는, 도면과 달리, 무선 연결 모드에서,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의 무선 접속도 중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들 장치(200) 내의 통신 장치(235)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는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의 오디오 신호 교환을 위한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의 오디오 전송을 위한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에서 접속되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양방향 또는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c는 무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위치(BOT) 내의 버튼이 도 9b와 달리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유선 연결 모드가 해제되고, 무선 연결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연결 모드에서, 인터페이스(230)는, 접속되는 유선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와, 단방향 유선 오디오 수신을 중지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연결 모드에서,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의 무선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또는, 도면과 달리, 무선 연결 모드에서, 통신 장치(235)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의 무선 접속도 중지할 수 있다.
도 9e는 크레들 장치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인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235)는, 제1 통신 모듈(235a)을 통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전자 장치(600b)와 양방향 유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들 장치(200)는, 스위치(BOT)를 통해 제1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입력 단자(TE)에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와의 유선 연결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의 무선 연결 모드를 활성화시키며, 스위치(BOT)를 통해 제2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유선 연결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의 무선 연결 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를 통해, 양방향 또는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선 연결 모드를 통해, 전자 기기(600 또는 600b)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 사이의 오디오 전송 가능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f는 크레들 장치와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 보다 더 먼 제2 거리인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는 경우, 통신 장치(235)는, 제2 통신 모듈(235b)을 통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전자 장치(600b)와 양방향 유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를 착용한 사용자가, 도 9e에서 도 9f로 이동하는 경우, 제1 통신 모듈(235a)에서 교환 또는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 패킷 에러 레이트가 소정치 이상으로 나타나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크레들 장치(200)는, 제1 통신 모듈(235a)에서 제2 통신 모듈(235b)로 전환하여,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환경이 복잡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 크레들 장치(200) 사이의 안정적인 무선 접속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9f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접속되는 제1 케이블(CABa)의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235)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접속되는 제1 케이블(CABa)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입력 단자(TE)에 유선으로 접속되었던 전자 기기(600b)와 무선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235)는, 전자 기기(600b)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접속을 위한 페어링 신호를 전송하거나, 페어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235)는, 유선 연결이 해제된 전자 기기(600b)에 무선 접속을 수행하여,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f와 유사하게,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접속되는 제2 케이블(CABb)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통신 장치(235)는, 입력 단자(TE)에 유선으로 접속되었던 전자 기기(600b)와 무선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235)는, 전자 기기(600b)의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접속을 위한 페어링 신호를 전송하거나, 페어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235)는, 유선 연결이 해제된 전자 기기(600b)에 무선 접속을 수행하여, 단방향 무선 오디오 수신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a는 도 9a에 대응하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접속되는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USR)의 음성 발화가 있는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 내의 마이크(187)는, 사운드를 제1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크레들 장치 내의 통신 장치(235)는, 통화 프로파일(HFP) 포로토콜을 통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부터 제1 오디오 신호(Sga)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인터페이스(230)는, 통신 장치(235)에서 수신된 제1 오디오 신호(Sga)를 변환하여, 변환된 제1 오디오 신호(Sga)를 입력 단자(TE)와 유선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 전송한다.
한편, 인터페이스(230)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부터 제2 오디오 신호(Sgb)를 수신하고, 통신 장치(235)는, 제2 오디오 신호(Sgb)를 변환하여, 변환된 제2 오디오 신호(Sgb)를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 무선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크레들 장치(200)를 이용한 무선 대화 모드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도 10b는 도 9b에 대응하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접속되는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USR)의 음성 발화가 있는 경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 내의 마이크(187)는, 사운드를 제1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크레들 장치 내의 통신 장치(235)는, 통화 프로파일(HFP) 포로토콜이 비활성화되므로,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부터 제1 오디오 신호(Sga)를 무선으로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결국, 인터페이스(230)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부터 제3 오디오 신호(Sgc)를 수신하고, 통신 장치(235)는, 제3 오디오 신호(Sgc)를 변환하고, 오디오 전송(A2DP) 프로토콜을 통해, 변환된 제3 오디오 신호(Sgc)를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에서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장치(200)는, 전원 공급부(290) 내의 배터리(295)로부터, 충전 장치(285) 방향으로의 전류 패쓰(PWo)에 의해 직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1b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1 케이블(CABa)이 접속되는 경우의 신호 패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부터 수신되는 제1 오디오 신호(Sga)는, 통신 장치(235) 내의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어, 프로세서(237)에서 변환된다.
변환된 제1 오디오 신호(Sga)는, 스위치(BOT),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를 거쳐,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변환된 제1 오디오 신호(Sga)는, 스위치(BOT)를 거치지 않고, 바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를 거쳐,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 전송될 수도 있다.
즉, 제1 오디오 신호(Sga)는, PTHb와 같은 신호 패쓰를 따라, 접속되는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부터 수신되는 제2 오디오 신호(Sgb)는, PTHa와 같은 신호 패쓰를 따라,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 스위치(BOT), 통신 장치(235)를 거쳐,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제2 오디오 신호(Sgb)는, 스위치(BOT)를 거치지 않고,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에서 통신 장치(235)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때, 통신 장치(235) 내의 프로세서(237)는, 제2 오디오 신호(Sgb)를 변환하고, 변환된 제2 오디오 신호(Sgb)를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c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입력 단자(TE)에 제2 케이블(CABb)이 접속되는 경우의 신호 패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600 또는 600b)로부터 수신되는 제3 오디오 신호(Sgc)는, PTHc와 같은 신호 패쓰를 따라,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 스위치(BOT), 통신 장치(235)를 거쳐,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제3 오디오 신호(Sgc)는, 스위치(BOT)를 거치지 않고,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230)에서 통신 장치(235)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때, 통신 장치(235) 내의 프로세서(237)는, 제3 오디오 신호(Sgc)를 변환하고, 변환된 제3 오디오 신호(Sgc)를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전자 기기의 일예인 이동 단말기(600)에서 신규 기긱 추가, 멀티 페어링 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의 디스플레이(680)는, 무선 접속을 위한 신규 기기 추가 화면(1210)을 표시할 수 있다.
신규 기기 추가 화면(1210)은, 연결 모드 시작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가, 무선 접속을 위한 기기로서 추가된 것을 예시한다.
즉, 도 12a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를 나타내는 아이콘(1212)과, 이동 단말기(600)를 나타내는 아이콘(1214)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와 이동 단말기(600)는 페어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2b는 크레들 장치(200)가 멀티 페어링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크레들 장치(200)를 나타내는 아이콘(1222)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를 나타내는 아이콘(1212)과,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는, 이동 단말기(600)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추가로 크레들 장치(200)와 페어링될 수 있다.
즉,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는, 멀티 페어링될 수 있다.
도 12c는 제2 이동 단말기와 멀티 페어링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아이콘(1232)는,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를 나타내는 아이콘(1212)과,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는, 이동 단말기(600)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추가로 제2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될 수 있다.
한편,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는, 페어링된 전자 기기인 이동 단말기(600)로 배터리(295)의 잔량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크레들 장치(200)는, 페어링된 전자 기기인 이동 단말기(600)로 배터리(195)의 잔량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a 내지 도 12c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디스플레이(680)에, 주기기인 크레들 장치(200)의 사용 가능 시간 정보(예를 들어, 3시간), 부기기인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100a1,100a2)의 사용 가능 시간 정보(예를 들어, 2시간)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통신 장치;
    상기 케이싱의 일부에 형성된 스위치;
    상기 케이싱의 다른 일부에 형성된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상기 입력 단자에 제1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신호 교환을 위한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상기 입력 단자에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의 오디오 전송을 위한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통신 규격에 의해 무선으로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보다 더 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통신 규격에 의해 무선으로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는 크래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제1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입력 단자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와 오디오 신호 교환을 위한 양방향 유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입력 단자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로부터의 오디오 신호 수신을 위한 단방향 유선 오디오 수신을 수행하는 것인 크래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를 통해 제1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유선 연결 모드가 활성화되고,
    상기 스위치를 통해 제2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유선 연결 모드가 비활성화되는 것인 크래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입력 단자에 유선으로 접속되는 전자 기기와의 오디오 신호 교환을 중지하거나, 상기 오디오 신호 수신을 중지하는 것인 크래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제1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제1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 수신된 제1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를 상기 입력 단자와 유선 접속되는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제2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를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인 크래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 단자와 유선 접속되는 전자 기기로부터 제3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제3 오디오 신호를 변환하여, 변환된 상기 제3 오디오 신호를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인 크래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제4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 단자와 유선 접속되는 전자 기기로, 변환된 상기 제4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인 크래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상기 입력 단자에 상기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지 않는 것인 크래들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상기 제1 케이블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입력 단자에 유선으로 접속되었던 상기 전자 기기와 무선 접속을 시도하는 것인 크래들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상기 제2 케이블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입력 단자에 유선으로 접속되었던 상기 전자 기기와 무선 접속을 시도하는 것인 크래들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기간 동안,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제1 기간 중에, 교환 또는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 패킷 에러 레이트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는 것인 크래들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모듈에서 교환 또는 전송되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패킷 에러 레이트가 상기 소정치 이상인 경우, 제2 통신 규격으로의 전환 메시지를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인 크래들 장치.
  14.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통신 장치;
    상기 케이싱의 일부에 형성된 스위치;
    상기 케이싱의 다른 일부에 형성된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를 통해 제1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전자 기기와의 유선 연결 모드가 활성화되고,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무선 연결 모드가 활성화되며,
    상기 스위치를 통해 제2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유선 연결 모드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상기 무선 연결 모드가 활성화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통신 규격에 의해 무선으로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보다 더 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통신 규격에 의해 무선으로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교환 또는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는 크래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유선 연결 모드에서, 상기 입력 단자에 제1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오디오 신호 교환을 위한 양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유선 연결 모드에서, 상기 입력 단자에 제2 케이블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로의 오디오 전송을 위한 단방향 무선 오디오 전송을 수행하는 것인 크래들 장치.
  16. 무선 오디오 출력 장치;
    제1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크래들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
KR1020220169805A 2022-12-07 2022-12-07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 KR102630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805A KR102630053B1 (ko) 2022-12-07 2022-12-07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
US18/227,695 US20240196126A1 (en) 2022-12-07 2023-07-28 Cradle, and wireless audio system including the same
DE102023122255.4A DE102023122255A1 (de) 2022-12-07 2023-08-21 Dockingstation und drahtloses Audiosystem einschließlich derselb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805A KR102630053B1 (ko) 2022-12-07 2022-12-07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053B1 true KR102630053B1 (ko) 2024-01-25

Family

ID=8972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9805A KR102630053B1 (ko) 2022-12-07 2022-12-07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96126A1 (ko)
KR (1) KR102630053B1 (ko)
DE (1) DE10202312225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285A (ko) * 2017-03-27 2018-10-10 주식회사 오윈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KR20190048742A (ko) * 2017-10-31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97905B1 (ko) * 2020-01-23 2021-01-04 주식회사 블루콤 오디오 동글 기능을 포함한 무선 이어버드의 충전 크래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661B1 (ko) 2019-09-02 2021-02-10 주식회사 이엠텍 무선 이어버드와 충전 크래들을 이용한 음향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285A (ko) * 2017-03-27 2018-10-10 주식회사 오윈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KR20190048742A (ko) * 2017-10-31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97905B1 (ko) * 2020-01-23 2021-01-04 주식회사 블루콤 오디오 동글 기능을 포함한 무선 이어버드의 충전 크래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96126A1 (en) 2024-06-13
DE102023122255A8 (de) 2024-08-29
DE102023122255A1 (de) 202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64556A1 (zh) 无线耳机盒及系统
EP2218298B1 (en) Pseudo hub-and-spoke wireless audio network
US96677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data communications in a Bluetooth network
WO2020155694A1 (zh) 用于无线耳机的线控盒及无线耳机
US7725141B2 (en) Multi-functional detached mobile phone
US7804886B2 (en) Wearable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BRPI0621334A2 (pt) fone auricular de áudio
US9167086B1 (en) Bluetooth headset with audio recording capabilities
KR20080072889A (ko) 사용자의 귀에의 무선식 음성 발생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42559B1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US20060148405A1 (en) Bluetooth audio relay
CN113572731A (zh) 语音通话方法、个人计算机和终端
WO2018133323A1 (zh) 无线耳机装置以及人工智能装置
WO2020155695A1 (zh) 用于无线耳机的线控盒及无线耳机
WO2022213689A1 (zh) 一种音频设备间语音互通的方法及设备
KR101886735B1 (ko) 스테레오 무선이어폰이 구비된 블루투스 웨어러블 워치
KR102630053B1 (ko)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
EP4090043A1 (en) Wireless sound device set compatible with various devices
KR101200985B1 (ko) 호스트 기기 결합형 무전기
US9699567B2 (en)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US1000763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CN111917478B (zh) 融合5g微基站的智能媒体终端
WO2019206123A1 (zh) 移动终端
JP2006074215A (ja) 情報通信端末及び付属表示装置
KR100540567B1 (ko) 대용량 데이터 무선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