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285A -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Google Patents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0285A KR20180110285A KR1020170038793A KR20170038793A KR20180110285A KR 20180110285 A KR20180110285 A KR 20180110285A KR 1020170038793 A KR1020170038793 A KR 1020170038793A KR 20170038793 A KR20170038793 A KR 20170038793A KR 20180110285 A KR20180110285 A KR 201801102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radio signal
- unit
- sound wave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따르면, 차량에 거치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차량 전원을 근거로 충전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 및 상기 몸통부 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출력 강도의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 출력하는 음파출력모듈을 구비하며, 별도의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와,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송출 제어부를 구비한 운영모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과 내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운영모듈을 탑재한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서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2010년 6월에 발표된 블루투스(Bluetooth) 버전 4.0 이후의 블루투스 스마트는 BLE(Bluetooth Low Energy)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비콘 신호를 송출하게 되었다. 최근 출시된 스마트폰의 경우 안드로이드 4.3 이후 버전부터 비콘 신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아이폰의 경우 iOS5 이후부터 비콘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비콘 신호를 차량 내에 거치된 장치에서 송출하면 상기 차량에 탑승하려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에서 상기 비콘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차량 탑승과 관련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가 개시된다.
그런데 비콘은 BLE모드로 동작하도록 기본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차량 내부에서 송출하는 경우 차체의 금속재질이나 유리재질과 같은 무선신호 방해재질에 의해 상기 차량 내부의 비콘 신호가 차량 외부의 지정된 서비스 위치까지 송출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설사 상기 비콘 신호가 차량 외부의 지정된 서비스 위치까지 송출되더라도 상기 차량 내부에서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스마트폰을 소지한 사용자가 언제 차량에 탑승하는지 인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과 내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운영모듈을 탑재한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서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지정된 서비스 위치까지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사용자와 음파출력장치 간 위치 관계를 판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는, 차량에 거치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차량 전원을 근거로 충전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 및 상기 몸통부 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출력 강도의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 출력하는 음파출력모듈을 구비하며, 별도의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와,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송출 제어부를 구비한 운영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상기 충전 전원을 통해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운영모듈의 LE(Low Energy) 상태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음파출력장치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지 못하는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는, 블루투스(Bluetooth)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BLE(Bluetooth Low Energy) 상태에서 무선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음파출력장치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도록 증폭된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시분할 방식으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영모듈은,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 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구별되게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영모듈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통신 식별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영모듈은,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과 함께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하며, 상기 음파출력장치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페어링 기반의 블루투스(Bluetooth) 기반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는, 블루투스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상기 운영모듈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원 또는 충전 전원을 지정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파출력모듈은,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확인하는 오디오 확인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출력 강도의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확인부는,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과의 블루투스 기반 오디오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확인부는,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과의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출력모듈은, 네트워크 상의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오디오 확인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부터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파출력모듈은, 상기 몸통부 내에 음파 신호의 공명을 유도하기 위한 빈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파출력모듈은, 차량 내 거치 구조물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나 차량 내 소음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진동이나 소음의 역위상에 대응하는 역위상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 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파 발생부는, 상기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하여 차량 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진동이나 소음의 역위상에 대응하는 역위상 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파 출력부는, 상기 음파 발생부를 통해 발생한 역위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출력되는 음파 신호에 중첩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의 운영모듈에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함으로써 지정된 서비스 위치까지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사용자와 음파출력장치 간 위치 관계를 자동 판단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저출력과 고출력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200)를 운영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음파출력장치(2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음파출력장치(200)와 소유자의 무선단말(400) 간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음파출력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음파출력장치(2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음파출력장치(200)와 소유자의 무선단말(400) 간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음파출력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저출력과 고출력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200)를 운영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차량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과 내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운영모듈(300)을 탑재한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200)에서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장치(105)에서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와의 위치 관계를 판단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적어도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구비한 운영모듈(300)을 탑재한 소유자 소유의 음파출력장치(200)와, 상기 운영모듈(300)을 탑재한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가 소유한 무선단말(400)과, 상기 소유자의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통신하거나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장치(105)와 통신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를 구현하는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를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하는 경우 각 서버는 상호 연계된 둘 이상의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불특정 대상으로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운영모듈(300)을 탑재한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과 함께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 소유의 무선단말(4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불특정 대상으로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기본 구비하며, 상기 내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과 차량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충전 전원을 통해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모듈(300)은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운영모듈(300)이 LE(Low Energy) 상태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지 못하는 신호강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모듈(300)은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도록 증폭된 신호강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과 함께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을 식별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기능을 다중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운영모듈(300)의 단방향 무선신호는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송출되기 때문에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로 수신됨을 물론,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수신 범위(예컨대, 30m 내외, 최대 100m)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수신장치(105)로도 수신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신호수신장치(105)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별도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블루투스(Bluetooth) 기반의 단방향 무선신호(예컨대, 블루투스 기반의 BLE 신호 또는 비콘 신호)를 송출(Broadcasting)하는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을 식별 또는 페어링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BLE(Bluetooth Low Energy) 상태에서 무선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음파출력장치(200)에 탑재되는 운영모듈(3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이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운영모듈(3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은 근거리에 위치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직접 통신세션을 형성하여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면 족하고, 상기 운영모듈(300)의 단방향 무선신호는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근거리에 위치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400) 내지 근거리에 위치하는 각종 신호수신장치(105)로 도달할 수 있는 무선신호라면 족하다. 즉, 본 발명의 운영모듈(300)에 구현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은 특정 통신 규격이나 신호 규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기의 조건을 만족한다면 어떤 방식이 채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는 소유자가 휴대하거나 적어도 소유자와 함께 이동 가능하며,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는 소유자가 접근하는 각종 신호수신장치(105)로 수신/인식된다.
본 발명의 제1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생성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생성한 인증코드는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운영모듈(30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씨드로 이용하여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운영모듈(30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복호화 가능하게 암호화한 암호코드,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 구비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모듈(30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운영모듈(30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에서 생성한 난수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 제공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에서 제공한 고유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 고유한 코드가 저장되어 있더라도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에서 제공한 고유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에서 제공한 고유한 고유코드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생성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생성한 인증코드는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운영모듈(30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씨드로 이용하여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운영모듈(30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복호화 가능하게 암호화한 암호코드,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 구비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모듈(30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운영모듈(30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에서 제공한 고유한 고유코드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에서 생성한 난수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 제공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제1 내지 제6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을 부분적으로 선택 또는 조합한 형태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변형하여 도출 가능한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본 발명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는 차량 내부의 거치 구조물(예컨대, 컵받침이나 텀블러받침 등)에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는 사용자(또는 차량)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는 상기 차량의 이동에 의해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유효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각종 신호수신장치(105)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가 이용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하는 망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400)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및/또는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방향 무선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은 상기 망 통신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및 단방향 무선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소유자 소지(또는 소유)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에는 상기 무선단말(400)의 망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지정된 운영서버(100)와 통신(예컨대, 통신망을 경유하여 운영서버(100)와 통신채널을 연결, 또는 지정된 중계서버를 경유하여 운영서버(100)와 중계 통신)하고, 상기 무선단말(4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양방향 데이터 통신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무선단말(400)의 단방향 무선신호 수신 기능을 이용하여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앱(425)이 설치 실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은 상기 무선단말(400)의 망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상기 소유자의 음파출력장치(200)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400)(또는 무선단말(400)의 앱(425))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고유코드와 고유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400)의 앱(425)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또는 무선단말(400))을 소유한 소유자에 대한 소유자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소유자정보를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고유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차량에 거치되어 상기 차량의 차량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차량 전원을 충전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200)에 상기 차량 전원 또는 충전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 운영모듈(300)을 구비하여 소정의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 강도로 단방향 송출(또는 방송)하며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음파출력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2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200)는, 차량에 거치되는 몸통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부(205)와, 상기 차량의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210)와, 상기 차량 전원을 근거로 충전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230)와, 상기 몸통부(205) 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출력 강도의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 출력하는 음파출력모듈(250)과, 상기 몸통부(205) 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통해 동작하여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의 동작을 제어하고 소정의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 강도로 단방향 송출(또는 방송)하거나 및/또는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운영모듈(300)을 구비하며, 상기 차량 전원 또는 충전 전원을 지정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225)를 더 구비하거나 및/또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동작이나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235) 및/또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동작 상태나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4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몸통부(205)는 차량에 거치되는 몸통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 상기 몸통부(205)는 차량의 컵받침이나 텀블러받침에 거치 가능한 원통 구조 또는 텀블러(Tumbler) 구조 등의 지정된 기하학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몸통부(205)는 전체적으로 원통 구조나 텀블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적어도 일부의 부분(예컨대, 컵받침이나 텀블러받침에 삽입될 부분)이 원통 구조나 텀블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몸통부(205)의 기하학 구조가 상기 예시한 원통 구조나 텀블러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에 거치 가능한 구조라면 어떠한 기하학 구조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전원 공급부(210)는 차량으로부터 차량 전원을 인가받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차량의 시가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215)와, 상기 차량의 시가잭을 통해 공급된 차량 전원을 음파출력장치(200) 내부로 인가하는 인가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상기 연결부(215)는 차량의 시가잭과 케이블로 연결되는 커넥터(예컨대, USB 커넥터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가부(220)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 변환부(225)나 전원 충전부(230)로 인가하거나 및/또는 상기 운영모듈(300)이나 상기 음파출력모듈(250)로 인가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시가잭에 소정의 전원공급장치(예컨대, DC 12V의 차량 전원을 지정된 전압(예: DC 5V)과 지정된 전류량을 지닌 지정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등)가 구비된 경우, 상기 연결부(215)는 상기 시가잭에 삽입된 전원공급장치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변환된 차량 전원을 인가받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215)는 케이블을 통해 차량의 시가잭과 연결되는 연결장치(예컨대, 차량의 시가잭에 삽입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215)를 통해 DC 12V의 차량 전원이 직접 인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원 변환부(225)는 상기 차량 전원을 지정된 전압(예컨대, DC 5V 등)과 지정된 전류량(예컨대, 운영모듈(300)에서 송출하는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송출하기 위한 전류량)을 지닌 하나 이상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215)는 차량의 시가잭과 삽입 가능한 기하학 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몸통부(205)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는 상기 연결부(215)를 통해 상기 차량의 시가잭에 삽입되는 형태로 거치됨과 동시에 상기 시가잭으로부터 차량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전원 변환부(225)는 상기 차량 전원을 지정된 전압과 지정된 전류량을 지닌 하나 이상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 공급부(210)의 연결부(215)가 USB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음파출력장치(200)가 차량 이외에 다른 곳에 거치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210)는 차량 전원 이외에 USB 기반의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편의상 상기 음파출력장치(200)가 차량에 거치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원 충전부(230)는 상기 전원 공급부(210)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225)를 통해 변환된 차량 전원)을 근거로 충전 전원을 충전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전압과 전류량을 지닌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나 콘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전원 충전부(230)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드 동작을 위해 지정된 전압과 전류량을 지닌 전원을 충전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BLE 모드에서 외부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 강도를 BLE 모드보다 일정 비율 증폭하여 송출하기 위해 설정된 전압과 전류량을 지닌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원 공급부(210)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이나 상기 전원 충전부(230)에 충전된 충전 전원이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의 동작이나 운영모듈(300)의 동작에 부적합한 경우, 상기 전원 변환부(225)는 상기 차량 전원이나 충전 전원을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의 동작이나 운영모듈(300)의 동작에 적합한 전압과 전류량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기 전원 변환부(225)는 상기 차량 전원이나 충전 전원을 상기 운영모듈(300)의 BLE 모드 동작을 위해 지정된 전압과 전류량을 지닌 동작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BLE 모드에서 외부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 강도를 BLE 모드보다 일정 비율 증폭하여 송출하기 위해 설정된 전압과 전류량을 지닌 동작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은 상기 몸통부(205) 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출력 강도의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 출력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확인하는 오디오 확인부(255)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출력 강도의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통부(205) 내에 음파 신호의 공명을 유도하기 위한 빈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및/또는 차량 내 거치 구조물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나 차량 내 소음을 센싱하는 센서부(274)와, 상기 센서부(274)를 통해 센싱된 진동이나 소음의 역위상에 대응하는 역위상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 발생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확인부(255)는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의 블루투스 기반 오디오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의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에 네트워크 상의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도시생략)이 구비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부터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오디오 신호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모듈(300)은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 블루투스 기반 오디오 통신(예컨대, 운영모듈(300)과 사용자 무선단말(400) 사이에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프로파일을 교환하거나 및/또는 핸즈프리나 헤드셋 등의 프로파일을 교환한 블루투스 통신 등)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오디오 확인부(255)는 상기 운영모듈(300)과 사용자 무선단말(400) 사이의 블루투스 기반 오디오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로부터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오디오 신호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에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 블루투스 기반 오디오 통신(예컨대, 운영모듈(300)과 사용자 무선단말(400) 사이에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프로파일을 교환하거나 및/또는 핸즈프리나 헤드셋 등의 프로파일을 교환한 블루투스 통신 등)을 처리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도시생략)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오디오 확인부(255)는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이용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의 블루투스 기반 오디오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로부터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오디오 신호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모듈(300)은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오디오 확인부(255)는 상기 운영모듈(300)과 사용자 무선단말(400) 사이의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지정된 조건이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오디오 신호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에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도시생략)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오디오 확인부(255)는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이용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의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지정된 조건이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오디오 신호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에 네트워크 상의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도시생략)이 구비된 경우, 상기 오디오 확인부(255)는 지정된 조건이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부터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오디오 신호 확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에 네트워크 상의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도시생략)이 구비된 경우, 상기 오디오 확인부(255)는 지정된 조건이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지정된 조건이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6 오디오 신호 확인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가 확인되면, 상기 음파 출력부(260)는 상기 차량 전원이나 충전 전원을 통해 상기 확인된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출력 강도의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파 출력부(260)는 지정된 출력 강도의 음파 신호를 음파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통부(205) 내에 상기 스피커가 구비된 부분에는 상기 스피커가 출력하는 음파 신호의 공명을 유도하기 위해 지정된 부피의 빈공간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차량 내의 컵받침이나 텀블러 거치대와 같이 지정된 차량 내 거치 구조물에 거치할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로 별다른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데, 이 경우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의 음파 출력 파라미터(예컨대, 임피던스, 공진주파수 등)는 설계 조건을 그대로 따르면 된다. 그런데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린 상태이거나 차량이 운행 중인 경우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는 상기 차량 내 거치 구조물로부터 차량의 엔진 시동이나 차량 운행에 따른 소정의 진동이 전달되거나 차량 내 소음이 전달되게 되는데, 이러한 진동이나 소음의 주파수와 강도는 각 차량마다 제각각일 뿐만 아니라 동일 차량이고 하더라도 차량 노후화에 따라 제각각이게 된다. 이에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은 차량 내 거치 구조물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나 차량 내 소음을 센싱하는 센서부(27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부(274)는 상기 전원 공급부(210)를 통해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예컨대, 차량의 시동이 걸려 시가잭을 통해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하여 차량 전원이 인가된 경우 차량 내 거치 구조물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나 차량 내 소음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에 상기 센서부(274)가 구비된 경우, 상기 음파 발생부(270)는 상기 센서부(274)를 통해 센싱된 진동이나 소음의 주파수에 대한 역위상 주파수를 실시간 계산하고, 상기 계상된 역위상에 대응하는 역위상 음파를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파 발생부(270)는 기 전원 공급부(210)를 통해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예컨대, 차량의 시동이 걸려 시가잭을 통해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하여 차량 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센서부(274)를 통해 센싱된 진동이나 소음의 역위상에 대응하는 역위상 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음파 발생부(270)를 통해 상기 센싱된 진동이나 소음의 역위상에 대응하는 역위상 음파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음파 출력부(260)는 상기 음파 발생부(270)를 통해 발생한 역위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출력되는 음파 신호에 중첩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진동이나 주변의 소음에 의한 음파 출력의 효율성 감소를 억제함과 동시에 음파 출력의 공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파 발생부(270)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 중 상기 차량의 진동(예컨대, 엔진 시동이나 배출 가스 배출 등에 의한 진동)과 관련된 소음(예컨대, 차량의 진동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나 공명 관계에 있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소음)에 대한 역위상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주변에서 발생하는 모든 소음의 역위상을 발생할 경우 차량에 의한 소음뿐만 아니라 차량 외부의 소음(예컨대, 다른 차량의 경적소리)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운전자는 반드시 들어서 인지해야 하는 소리까지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 중 상기 차량의 진동과 관련된 소음에 대한 역위상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운전자가 인지해야할 소리는 왜곡이나 감소 없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역위상 발생 방법이 상기의 선택적 역위상 발생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운영모듈(300)은 상기 몸통부(205) 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소정의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 강도로 단방향 송출(또는 방송)하거나 및/또는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은 별도의 제어모듈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운영모듈(300)과 연동하는 연동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모듈(300)은 소정의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 강도로 단방향 송출(또는 방송)할 수 있으며,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 페어링 기반의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는 블루투스 규격 4.0 이후의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드에서 페어링 없이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단방향 송출(또는 방송)되는 블루투스 신호(예컨대, BLE 신호, 비콘 신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은 상기 운영모듈(300)과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이 블루투스 기반의 페어링 절차를 수행하여 상대방을 식별한 후 데이터 통신을 위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교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모듈(300)은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 오디오 신호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을 교환하여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기반 오디오 통신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상기 음파출력모듈(250)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운영모듈(300)이 블루투스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 강도로 단방향 송출(또는 방송)하거나 및/또는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상기 운영모듈(300)이 단방향 송출(또는 방송)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블루투스 기반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운영모듈(300)과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이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방식도 블루투스 기반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운영모듈(300)의 단방향 무선신호나 근거리 무선 통신은 다양한 규격의 단방향 무선신호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원 공급부(210)를 통해 상기 운영모듈(300)로 차량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또는 상기 전원 공급부(210)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변환한 전원이 상기 운영모듈(300)로 인가되는 경우), 상기 운영모듈(300)은 상기 차량 전원을 근거로 소정의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신호 강도로 증폭하여 단방향 송출(또는 방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모듈(300)은 상기 차량 전원을 근거로 상기 블루투스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를 BLE 모드에 지정된 신호 강도보다 일정 비율 이상 증폭한 신호 강도로 단방향 송출(또는 방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모듈(300)로 차량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는 차량에 거치된 상태임과 동시에 차량에 시동이 걸리 상태(또는 차량이 운행 중인 상태)라고 간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내부에 구비된 각종 전자기기에 의해 전자파 간섭이 심각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외형을 이루는 차체의 금속재질 또는 창문의 유리재질(특히 자외선차단 필름을 장착한 유리재질)에 의해 블루투스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가 차량 외부의 지정된 근거리(예컨대, 지정된 서비스를 위해 블루투스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가 도달해야 할 거리)까지 도달하지 못하도록 방해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블루투스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는 BLE 모드의 저전력으로 송출되는데, BLE 모드의 신호 강도로 송출되는 블루투스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는 차량 외부의 지정된 근거리까지 도달하기 난해하다. 이에 상기 운영모듈(300)은 상기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차량 전원을 통해 블루투스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 강도를 BLE 모드의 신호 강도보다 일정 비율 이상(또는 가용한 범위의 최대 출력으로) 증폭하여 단방향 송출(또는 방송)함으로써, 상기 블루투스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가 차량 내부의 각종 전자기기나 차체나 창문 등의 재질에 의한 각종 방해에도 불구하고 차량 외부의 지정된 근거리까지 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210)를 통해 상기 운영모듈(300)로 차량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또는 상기 전원 공급부(210)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변환한 전원이 상기 운영모듈(300)로 인가되는 경우), 상기 운영모듈(300)은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400)과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신호의 신호 강도를 상기 차량 전원을 근거로 일정 비율 이상 증폭하여 송출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상기 운영모듈(300)은 상기 차량 전원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 강도만 선택적으로 증폭하고 상기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신호의 신호 강도를 별도로 증폭하지 않고 송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모듈(300)은 차량을 통해 진입하는 지정 공간(예컨대, 백화점, 아파트, 건물, 지정 주차장)의 사용자 신분을 식별/인증하는 수단 내지 멤버쉽 서비스를 식별/인증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모듈(300)을 통해 송출되는 블루투스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는 상기 사용자 신분을 식별/인증하거나 멤버쉽 서비스를 식별/인증하는 용도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모듈(300)은 비지정 공간(예컨대, 공영 주차장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식별/인증하는 수단으로도 추가적/선택적으로 용도 정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모듈(300)의 동작이나 용도는 비지정 공간의 서비스에 맞게 임시로 용도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35)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동작이나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키 버튼이나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동작 상태나 상기 음파출력모듈(25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태 표시를 위한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한 운영모듈(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음파출력장치(2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전원 충전부(230)를 통해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모듈(300)은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운영모듈(300)이 LE(Low Energy) 상태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지 못하는 신호강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가 상기 전원 공급부(210)를 통해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운영모듈(300)은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모듈(300)은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도록 증폭된 신호강도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상기 운영모듈(300)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가 차량에 거치되어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로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는 상기 차량 차체의 금속재질 또는 창문의 유리재질(특히 자외선차단 필름을 장착한 유리재질)에 의한 신호 방해를 극복하고 차량 외부의 지정된 근거리까지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가 상기 신호 방해를 극복하고 지정된 근거리까지 도달하더라도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는 일정량 감소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모듈(300)은, 상기 운영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5)와, 상기 운영모듈(3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셋트(또는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5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RF 처리부(355)와, 상기 RF 처리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를 구비한다.
상기 운영모듈(300)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과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SMD(Surface Mount Devices)를 구비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어부(305), 메모리부(350) 및 RF 처리부(355) 등은 통합 칩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PCB에 실장되는 개별 소자 형태, 또는 통합 칩과 각 소자의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파출력장치(200) 내에 운영모듈(300)을 구현하는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제어부(305)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운영모듈(3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운영모듈(3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운영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운영모듈(300)에 구현되는 프로그램 구성을 본 제어부(30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350)는 상기 운영모듈(3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5)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350)는 기본적으로 상기 운영모듈(3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350)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350)는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또는 운영모듈(300))의 제작 시(또는 최초 동작 시, 또는 상기 메모리부(350)에 고유코드 저장 전 동작 시),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또는 운영모듈(300))에 대한 고유코드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RF 처리부(355)는 안테나부를 통해 단방향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RF 처리(예컨대, 무선 주파수 신호 변조 등) 및/또는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예를들어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과 블루투스 기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은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측을 식별하거나 페어링 하지 않고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모듈(30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의 근거리통신장치 중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며, 상기 RF 처리부(355)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을 식별하는 통신 식별부(310)와, 상기 식별된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연결부(315)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 식별부(310)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최초 동작 시(또는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을 식별 전 동작 시, 또는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기 전 동작 시, 또는 상기 조작부(235)를 통한 소유자 조작 시), 상기 운영모듈(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근거리통신장치 중에서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RF 처리부(355)가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통신 식별부(310)는 블루투스 페어링 절차에 따라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페어링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식별부(310)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을 식별한 결과로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부(350)에 저장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통신 연결부(315)는 별도의 식별 절차 없이 상기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연결부(315)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식별부(310)를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을 식별한 결과 또는 상기 메모리부(350)에 저장된 통신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 처리부(320)를 구비하고,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코드 확인부(325)와, 상기 RF 처리부(355)를 통해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335)를 구비하며,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될 식별코드 중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처리부(320)는 상기 통신 연결부(315)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송출 가능한 지정된 코드 구조의 식별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RF 처리부(35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송출 제어부(340)와,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 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구별되게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345)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 송출부(335)를 통해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상기 송출 제어부(340)는 상기 운영모듈(300)이 상기 전원 공급부(210)를 통해 차량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지 또는 상기 전원 충전부(230)를 통해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예를들어, 상기 송출 제어부(340)는 상기 전원 공급부(210) 또는 전원 충전부(230)에 구비된 센서 또는 회로를 통해 상기 운영모듈(300)이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지 또는 충전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운영모듈(300)이 충전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송출 제어부(340)는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송출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상기 운영모듈(300)이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송출 제어부(340)는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게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증폭하여 지정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송출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송출 제어부(340)는 시분할 방식으로 상기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상기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송출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한다.
한편 상기 송출 제어부(340)는 상기 통신 처리부(320)를 통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결과로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또는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상기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송출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한다.
본 발명의 제1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325)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메모리부(35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RF 처리부(35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생성부(330)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메모리부(350)에 저장된 정보(예컨대, 씨드 값), 상기 운영모듈(30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예컨대, 상기 전원 충전부(230)의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카운트되는 시간 값, 상기 통신 처리부(320)를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시간 동기화 후 상기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카운트되는 시간 값 등), 상기 통신 처리부(320)를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예컨대, 상기 통신 처리부(320)를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시간 값, 난수 값, 무선단말(400)의 기기ID 값, 무선단말(400)의 앱(425)이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 값 등)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325)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메모리부(35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330)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RF 처리부(35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생성부(330)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메모리부(35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운영모듈(30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320)를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복호화 가능하게 암호화한 암호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325)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메모리부(35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330)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RF 처리부(35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생성부(330)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메모리부(350)에 구비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모듈(30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운영모듈(30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320)를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325)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메모리부(35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330)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RF 처리부(35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325)는 상기 통신 처리부(320)를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운영모듈(300)의 메모리부(35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RF 처리부(35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에서 생성한 난수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 제공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325)는 상기 통신 처리부(320)를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RF 처리부(35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325)는 상기 통신 처리부(320)를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코드 생성부(330)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메모리부(350)에 저장된 정보, 상기 운영모듈(30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 상기 통신 처리부(320)를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325)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330)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RF 처리부(35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확인부(325)는 상기 통신 처리부(320)를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코드 생성부(330)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메모리부(35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운영모듈(30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320)를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복호화 가능하게 암호화한 암호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325)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330)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RF 처리부(35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드 확인부(325)는 상기 통신 처리부(320)를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코드 생성부(330)는 상기 운영모듈(300)의 메모리부(350)에 구비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모듈(30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운영모듈(30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320)를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325)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330)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RF 처리부(35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325)는 상기 통신 처리부(320)를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를 확인한 후,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RF 처리부(35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에서 생성한 난수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앱(425)으로 제공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325)는 상기 제1 내지 제6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을 부분적으로 선택 또는 조합한 형태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송출부(335)는 상기 RF 처리부(35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변형하여 도출 가능한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송출 제어부(340)가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상기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는 상호 구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신호 제어부(345)는 상기 제1 내지 제7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동일한 실시예에 따라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하되 각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에 해당 신호강도를 식별/판별 가능한 신호강도 식별자를 포함시켜 송출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한 신호수신장치(105)는 해당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신호강도 식별자를 판독하여 어떤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신호 제어부(345)는 상기 제1 내지 제7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를 통해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게 제어하되 다른 한 실시예를 통해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게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한 신호수신장치(105)로 하여금 어떤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별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며 상기 운영모듈(30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인식 가능한 무선단말(4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4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4의 무선단말(400)은 망 통신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및 단방향 무선 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400)은, 제어부(402)와 메모리부(420)와 화면 출력부(404)와 조작 입력부(406)와 사운드 처리부(416)와 케이블 통신부(410)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와 근거리망 통신부(412)와 무선망 통신부(414)와 USIM 리더부(418)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무선단말(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4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앱(425) 구성을 본 제어부(402)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420)는 상기 무선단말(4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402)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420)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4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4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앱(42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404)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4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조작 입력부(406)는 하나 이상의 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404)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402)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402)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416)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제어부(402)로 전달한다.
상기 케이블 통신부(410)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제공하는 구성부로서,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다. 상기 케이블 통신부(410)는 유선 케이블 연결 시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이 가능한지 판별하며,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이 가능한 경우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는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고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한 구성부로서, 바람직하게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고 블루투스 기반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의 통신 규격 내지 신호 규격이 상기 블루투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고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하다면 어떤 통신 규격 내지 신호 규격이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와 근거리망 통신부(412)는 상기 무선단말(4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400)은 무선망 통신부(414)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4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는 상기 무선단말(4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2)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402)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는 상기 무선단말(4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412)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4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4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412)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414)와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412)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4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USIM 리더부(418)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4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418)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4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402)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연동하는 앱(425)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하며, 이후 상기 앱(425)이 구동되어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400)의 앱(425)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와 연동하여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무선단말(400)의 소유자가 소유한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을 식별하는 모듈 식별부(430)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와 연동하여 상기 식별된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모듈 연결부(435)를 구비한다.
상기 모듈 식별부(430)는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의 최초 동작 시(또는 운영모듈(300)에서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을 식별 전 동작 시, 또는 운영모듈(300)에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기 전 동작 시, 또는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조작부(235)를 통한 소유자 조작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를 통해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근거리통신장치 중에서 상기 소유자가 소유한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가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모듈 식별부(430)는 블루투스 페어링 절차에 따라 상기 소유자가 소유한 음파출력장치(200)와 페어링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의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듈 식별부(430)는 상기 소유자의 음파출력장치(200)를 식별한 결과로서 상기 소유자의 음파출력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모듈 연결부(435)는 별도의 식별 절차 없이 상기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유자의 음파출력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연결부(435)는 상기 근거리 무선 모듈 식별부(430)를 통해 소유자의 음파출력장치(200)를 식별한 결과 또는 상기 메모리부(420)에 저장된 통신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소유자의 음파출력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400)의 앱(425)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모듈 통신부(440)를 구비하고, 상기 모듈 통신부(440)를 통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을 관리하는 모듈 관리부(445)를 구비한다.
상기 모듈 통신부(44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와 연동하여 상기 모듈 연결부(435)를 통해 통신 연결된 소유자의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듈 관리부(445)는 상기 모듈 통신부(440)를 통해 상기 통신 연결된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로부터 상기 운영모듈(30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듈 관리부(445)는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을 통해 송출할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시킬 별도의 고유코드를 설정 받거나 및/또는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모듈 통신부(44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로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을 통해 상기 제공된 별도의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가 포함된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듈 관리부(445)는 지정된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을 통해 송출할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시킬 별도의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모듈 통신부(44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로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을 통해 상기 제공된 별도의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가 포함된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듈 관리부(445)는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상기 운영모듈(300)이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 중인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이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 중이라면, 상기 모듈 관리부(445)는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모듈(300)은 상기 제어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400)의 앱(425)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와 연동하여 소유자의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송출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인식하는 신호 인식부(450)와, 상기 인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유효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송출하는지 분석하는 신호 분석부(455)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 인식부(45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와 연동하여 소유자의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송출한 단방향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소유자의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인식한다.
상기 신호 분석부(455)는 상기 모듈 통신부(440)를 통한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근거로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해야 하는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 인식부(450)를 통해 인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해야 하는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와 매칭되는지 분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신호 분석부(455)는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을 통해 송출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기반으로 요청되는 각종 서비스가 유효한 것으로 처리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신호 분석부(455)는 상기 모듈 관리부(445)를 통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을 통해 각종 서비스에 유효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이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출력 중이라면, 상기 신호 분석부(455)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408)와 연동하여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다중 출력 중인지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이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다중 출력 중인 상태인데도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다중 출력 중이 아니라면, 상기 신호 분석부(455)는 상기 모듈 관리부(445)를 통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이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 다중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음파출력장치(2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전원 공급에 의해 지정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 대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동작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500),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단방향 무선신호의 송출 여부를 확인한다(5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전원 공급과 동시에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에 구비된 조작부(235)를 통한 소유자 조작을 근거로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소유자 무선단말(400) 간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거나 상기 소유자 무선단말(400)의 지시에 의해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한다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한다(510).
만약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식별코드가 확인되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를 단방향 무선신호에 포함시키며(515),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이 차량으로부터 차량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인지 확인한다(520).
만약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이 차량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예컨대, BLE 상태에 설정된 신호강도)로 송출한다(525).
한편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이 차량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라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와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로 다중 송출한다(530).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음파출력장치(200)와 소유자의 무선단말(400) 간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소유자의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소유자의 무선단말(400)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음파출력장치(200)의 동작 중에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 무선단말(400)의 통신식별정보가 상기 운영모듈(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600). 만약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 소유자 무선단말(400)의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 무선단말(400)을 식별하는 절차(예컨대, 페어링 절차 등)를 수행하며(605),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도 근거리에 존재하는 근거리통신장치 중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의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605).
만약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의 무선단말(400)이 식별되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식별된 소유자 무선단말(400)의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며(610), 이후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소유자 무선단말(400)의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400)의 앱(425)도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615).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 상기 소유자 무선단말(400)의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근거리에 존재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며(62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소유자 무선단말(400)의 앱(425)도 상기 소유자의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한다(620).
한편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무선단말(400)의 앱(425)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의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지 여부를 확인한다(625). 만약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로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설정한다면, 상기 무선단말(400)의 앱(425)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부합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로 단방향 무선신호의 송출을 위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630).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음파출력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음파출력장치(200)를 소유한 무선단말(400)의 앱(425)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음파출력장치(200)의 전원 공급 상태를 판독하여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 중인 경우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에서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동작 제어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소유자의 무선단말(400)과 연결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운영모듈(300)의 전원 공급 상태(예컨대, 차량 전원 공급 또는 충전 전원 공급)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400)로 제공하고(700), 상기 무선단말(400)의 앱(425)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확인된 상태정보를 근거로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이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 중인지 확인한다(705).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400)의 앱(425)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로 상기 운영모듈(300)의 전원 공급 상태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모듈(300)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운영모듈(3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700).
만약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이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 중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400)의 앱(425)은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이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710),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로 제공한다(715).
상기 음파출력장치(200)의 운영모듈(300)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단방향 무선신호의 다중 송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수신하고(720), 상기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처리한다(725).
100 : 운영서버
105 : 신호수신장치
200 : 공기청정장치 205 : 몸통부
210 : 전원 공급부 215 : 연결부
220 : 인가부 225 : 전원 변환부
230 : 전원 충전부 235 : 조작부
240 : 표시부 250 : 음파출력모듈
255 : 오디오 확인부 260 : 음파 출력부
265 : 음파 발생부 270 : 센서부
300 : 운영모듈 305 : 제어부
310 : 통신 식별부 315 : 통신 연결부
320 : 통신 처리부 325 : 코드 확인부
330 : 코드 생성부 335 : 신호 송출부
340 : 송출 제어부 345 : 신호 제어부
350 : 메모리부 355 : RF 처리부
400 : 무선단말 402 : 제어부
404 : 화면 출력부 406 : 조작 입력부
408 : 근거리 무선 통신부 410 : 케이블 통신부
412 : 근거리망 통신부 414 : 무선망 통신부
416 : 사운드 처리부 418 : USIM 리더부
420 : 메모리부 425 : 앱
430 : 모듈 식별부 435 : 모듈 연결부
440 : 모듈 통신부 445 : 모듈 관리부
450 : 신호 인식부 455 : 신호 분석부
200 : 공기청정장치 205 : 몸통부
210 : 전원 공급부 215 : 연결부
220 : 인가부 225 : 전원 변환부
230 : 전원 충전부 235 : 조작부
240 : 표시부 250 : 음파출력모듈
255 : 오디오 확인부 260 : 음파 출력부
265 : 음파 발생부 270 : 센서부
300 : 운영모듈 305 : 제어부
310 : 통신 식별부 315 : 통신 연결부
320 : 통신 처리부 325 : 코드 확인부
330 : 코드 생성부 335 : 신호 송출부
340 : 송출 제어부 345 : 신호 제어부
350 : 메모리부 355 : RF 처리부
400 : 무선단말 402 : 제어부
404 : 화면 출력부 406 : 조작 입력부
408 : 근거리 무선 통신부 410 : 케이블 통신부
412 : 근거리망 통신부 414 : 무선망 통신부
416 : 사운드 처리부 418 : USIM 리더부
420 : 메모리부 425 : 앱
430 : 모듈 식별부 435 : 모듈 연결부
440 : 모듈 통신부 445 : 모듈 관리부
450 : 신호 인식부 455 : 신호 분석부
Claims (21)
- 차량에 거치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차량 전원을 근거로 충전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 및
상기 몸통부 내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전원과 충전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근거로 동작하여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출력 강도의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 출력하는 음파출력모듈;을 구비하며,
별도의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와,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송출 제어부를 구비한 운영모듈;을 구비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상기 충전 전원을 통해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운영모듈의 LE(Low Energy) 상태에서 단방향 무선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음파출력장치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지 못하는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는, 블루투스(Bluetooth)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BLE(Bluetooth Low Energy) 상태에서 무선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음파출력장치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도록 증폭된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시분할 방식으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모듈은,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 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구별되게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모듈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통신 식별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모듈은,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 송출 기능과 함께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하며, 상기 음파출력장치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페어링 기반의 블루투스(Bluetooth) 기반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단방향 무선신호는, 블루투스 기반 단방향 무선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상기 운영모듈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와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의 단방향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원 또는 충전 전원을 지정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출력모듈은,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확인하는 오디오 확인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를 지정된 출력 강도의 음파 신호로 변환하여 음파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확인부는,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과의 블루투스 기반 오디오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확인부는,
근거리의 지정된 사용자 무선단말과의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출력모듈은, 네트워크 상의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오디오 확인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부터 음파 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출력모듈은,
상기 몸통부 내에 음파 신호의 공명을 유도하기 위한 빈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출력모듈은,
차량 내 거치 구조물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나 차량 내 소음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진동이나 소음의 역위상에 대응하는 역위상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 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발생부는,
상기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지 확인하여 차량 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진동이나 소음의 역위상에 대응하는 역위상 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출력부는,
상기 음파 발생부를 통해 발생한 역위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출력되는 음파 신호에 중첩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8793A KR20180110285A (ko) | 2017-03-27 | 2017-03-27 |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8793A KR20180110285A (ko) | 2017-03-27 | 2017-03-27 |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0285A true KR20180110285A (ko) | 2018-10-10 |
Family
ID=6387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8793A KR20180110285A (ko) | 2017-03-27 | 2017-03-27 |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1028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0053B1 (ko) * | 2022-12-07 | 2024-0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 |
-
2017
- 2017-03-27 KR KR1020170038793A patent/KR20180110285A/ko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0053B1 (ko) * | 2022-12-07 | 2024-0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10288A (ko) | 음파출력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 상태 판단 방법 | |
KR20180110285A (ko) |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
KR20180110280A (ko) | Obd연동장치 인증 방법 | |
JP6473848B2 (ja) | 適応型ビーコンシガーソケット装置 | |
KR20180110279A (ko) | 음파출력장치 인증 방법 | |
KR20180110286A (ko) |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 거치형 obd연동장치 | |
KR20180056461A (ko) | 적응형 블루투스 블랙박스장치 | |
KR20170122617A (ko) |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적응형 오비디장치 | |
KR20170134861A (ko) |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적응형 오비디장치 | |
KR20160139136A (ko) | 시가잭 장치의 블루투스 제어 방법 | |
KR20180110273A (ko) |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 | |
KR20170029727A (ko) |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탑승 상태 판단 방법 | |
KR20180110294A (ko) |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 |
KR20180110283A (ko) | Obd연동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 |
KR20180056463A (ko) | 블랙박스장치의 블루투스모듈 | |
KR20180110289A (ko) | Obd연동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 상태 판단 방법 | |
KR20180110282A (ko) | 음파출력장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 |
KR20180110291A (ko) |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를 이용한 2채널 결제 방법 | |
KR20180056484A (ko) |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차량항법장치 | |
KR20180110274A (ko) | 차량 거치형 obd연동장치 | |
KR20170134886A (ko) |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시가잭장치 | |
KR20180056483A (ko) | 단방향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블랙박스장치 | |
KR20180056486A (ko) | 차량항법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 상태 판단 방법 | |
KR20180110276A (ko) | 차량 거치형 음파출력장치와 결제수단 연계 등록 방법 | |
KR20170134850A (ko) |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