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117A - 에이브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이브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117A
KR20080095117A KR1020070039495A KR20070039495A KR20080095117A KR 20080095117 A KR20080095117 A KR 20080095117A KR 1020070039495 A KR1020070039495 A KR 1020070039495A KR 20070039495 A KR20070039495 A KR 20070039495A KR 20080095117 A KR20080095117 A KR 20080095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udio signal
signal
unit
lo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응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9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5117A/ko
Publication of KR2008009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6Single (sub)woofer with two or more satellite loudspeakers for mid- and high-frequency band reproduction driven via the (sub)woo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이브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스피커 를 가지는 에이브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영상 데이터를 로딩하여 무선 송신하는 로더; 로더에서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속한 오디오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본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우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이브이 시스템{Audio video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브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브이 시스템 중 본체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브이 시스템의 본체 중 오디오송신모듈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브이 시스템 중 로더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브이 시스템 중 우퍼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로더
30: 디스플레이장치 40: 프런트 스피커
50: 우퍼 60: 리어 스피커
본 발명은 에이브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스피커 를 가지는 에이브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AV 시스템은 텔레비전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와 오디오 장치의 고급화 및 DVD 등 고화질의 영화소스가 제공되면서, 가정에서도 영화관람이 가능하게 되어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 AV 시스템은, 방송신호, VTR, DVD 플레이어의 출력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6개의 스피커와,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DVD 등의 광디스크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를 로딩하는 로더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피커는 사용자의 전면 좌우측에 위치하는 프런트 스피커, 후면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리어 스피커, 중저음을 재생하는 우퍼 스피커, 사용자의 전면 중앙에 위치하는 센터 스피커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런트 스피커는 주로 음악과 효과음을 재생하며, 센터 스피커는 사람의 목소리를 재생하고, 리어 스피커는 효과음을 재생하며 현장감을 살리기위해 배경음을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프런트 스피커, 센터 스피커, 리어 스피커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최적화된 위치가 정해져 있고, 우퍼 스피커는 중저음을 재생하는 것으로 사용자 임의로 선택하여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6개의 스피커를 5.1채널이라 하는데 이때 5.1 채널은 돌비 디지털, DTS, 그리고 대부분의 SDDS 필름 사운드 트랙을 코드화할 때 사용하는 채널의 수로서, 5는 전면의 좌, 우 프런트 스피커와 센터 스피커, 그리고 좌,우 서라운드를 출력하는 리어 스피커를 지칭하며, 0.1은 저음의 효과음을 출력하는 우퍼를 지칭한다.
이러한 5.1 채널을 구현하는 스피커는 오디오 선을 통해 로더와 연결되고,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PDP, LCD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 신호 선을 통해 로더와 연결된다.
이때 센터 스피커 또는 프런트 스피커는 그 오디오선의 길이가 짧아도 되지만 리어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오디오선의 길이가 길어야 하며, 뿐만 아니라 오디오선의 배선처리 문제로 인해 제한된 공간에서만 스피커를 설치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 로더 및 5.1 채널 스피커와의 각 선의 연결이 어렵고 다수의 선이 보여 미관상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와 로더 및 리어 스피커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아 미관을 중요시할 수는 에이브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본체 및 프런트 스피커를 탈착시킴으로써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에이브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인 수단은 동영상 데이터를 로딩하여 무선 송신하는 로더; 로더에서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속한 오디오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본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우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더 및 본체에 구비된 무선 송수신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때문에 본체, 디스플레이장치 및 다수의 스피커 사이에 데이터 전송 케이블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공간 효율이 놓고 미관을 중요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스피커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으며, 본체, 로더 및 스피커와 연결된 배선의 문제점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센터 스피커를 포함한 본체 및 프런트 스피커를 탈착시킴으로써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브이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본체(10), 로더(20), 디스플레이장치(30), 프런트 스피커(40), 우퍼(50) 및 리어 스피커(6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로더(2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MPEG 2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 딩된 신호 중 영상 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30)로 전송하며, 디코딩된 신호 중 일부 오디오 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일부 스피커로 전송하고, 나머지 일부의 오디오 신호는 무선으로 나머지 스피커로 전송한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체의 상세 구성도로서, 본체(10)는 제1송수신모듈부(11), 제1디코더부(12), 제1코덱부(13), 오디오송신모듈부(14), 제1증폭부(15), 제1제어부(16) 및 제1메모리부(17)를 포함한다.
제1송수신모듈부(11)는 로더(20)로부터 전송된 MPEG 2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받아 베이스 밴드(미도시)로 전송하고, 베이스 밴드는 전송된 MPEG 2 데이터를 제1디코더부(12)로 전송한다.
제1디코더부(12)는 제1송수신모듈부(11)에서 전송된 MPEG 2 데이터(즉, 동영상 데이터)를 채널 디코딩한 후 제1코덱부(13)로 전송한다. 즉, 제1디코더부(12)는 제1송수신모듈부(11)에서 전송된 MPEG 2 데이터를 전송 스트림(TS: Transport Stream) 신호에서 프로그램 스트림(PS: Program Stream) 신호로 변환한 후 제1코덱부(13)로 전송한다.
제1코덱부(13)는 제1디코더부(12)에서 전송된 MPEG 2 데이터를 순수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고,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콤퍼지트(Composite) 또는 S-video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LCD 및 PDP 등의 디스플레이장치(30)로 영상신호를 전송하며, 오디오 신호 중 2.1채널의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송신모듈부(14)로 전송하고 3채널의 오디오 신호는 제1증폭부(15)로 전송한다.
오디오송신모듈부(14)는 제1코덱부(13)에서 전송된 2.1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 우퍼(50)로 전송하되, 제1제어부(16)의 지시에 따라 제1제어부(16)에서 확인된 샘플링 레이트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오디오송신모듈부(14)는 부대역 부호화 방식(SBC)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고, 압축된 신호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우퍼(50)로 전송한다.
여기서 오디오송신모듈부(14)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제어부(14a), 제3메모리부(14b), RF부(14c) 및 제1컨버터부(14d)를 포함한다.
제4제어부(14a)는 제1제어부(16)로부터 오디오 신호 전송 지시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도록 RF부(14c)를 제어한다.
또한 제4제어부(14a)는 제1코덱부(13)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우퍼(50)로 전송할 오디오 신호에 따른 제어코드를 제3메모리부(14b)에서 추출한 후 추출된 각 제어코드를 RF부(14c)로 전송한다. 이때 제3메모리부(14b)는 제어부의 제어코드를 저장하고 있다.
RF부(14c)는 제4제어부(14a)에서 전송된 각 제어코드에 상응하는 RF 신호를 발생시켜 안테나를 통해 우퍼(50)로 전송하고, 우퍼(50)와 동기화 된 경우 2.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우퍼(50)로 전송한다.
제1컨버터부(14d)는 DC-DC 컨버터로 전원부(미도시)에서 공급된 DC 전원을 오디오송신모듈부(14)에 포함된 각 구성부의 동작전원으로 변환한 후 각 구성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제1증폭부(15)는 제1코덱부(13)에서 전송된 3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각 오디오 신호를 다수 스피커, 즉 센터스피커(C) 및 프런트 스피커(FL, FR)로 전송한다.
여기서 센터스피커(C) 및 프런트 스피커(FL, FR)는 제1증폭부(15)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아울러 센터 스피커(C)는 이동하는 사용자에게도 화면 연기자의 대화를 전방 화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프런트 스피커(40: FL, FR)는 주로 음악과 효과음을 재생한다.
아울러, 센터스피커(C)는 본체(10)에 내장되어 있으며, 프런트 스피커(40: FL, FR)는 본체(10)와 유선 연결된다. 여기서 프런트 스피커(40: FL, FR)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양측에 탈착되는 것으로, 즉 프런트 스피커(40: FL, FR)의 일측에는 기구적인 연결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 연결부재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30)의 양측에 장착됨으로써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제어부(16)는 각 구성부의 동작을 지시 제어하는 것으로, 로더(20)로부터 동영상 데이터가 무선 전송되면 디코딩 동작을 지시 제어하고 현재 출력해야 하는 오디오 신호의 샘플링 레이트를 확인한 후 확인된 샘플링 레이트를 오디오송신모듈부(14)로 전송하며, 2.1 채널의 오디오 신호의 무선 송신을 지시 제어한다.
제1메모리부(17)는 동영상 데이터의 디코딩 및 오디오 신호의 무선 송신을 운용하는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각 구성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 구 성부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한 후 각 구성부에 공급한다.
또한 본체(10)는 디스플레이장치(30)에 탈착된다. 즉, 본체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장치(30)에 탈착시키기 위한 기구적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어 본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시킴으로써 본체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로더(20)는 DVD 및 HDD 등의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MPEG 2 데이터를 리딩한 후 이때 리딩된 데이터를 무선 송신(WLAN)을 통해 본체(10)로 전송한다.
이러한 로더(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부(21), 인코더부(22), 제2코덱부(23), 제2송수신모듈부(24), 제2제어부(25) 및 제2메모리부(26)를 포함한다.
로딩부(21)는 DVD 및 HDD 등의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MPEG 2 데이터를 리딩한 후 인코더부(22)로 전송한다.
인코더부(22)는 로딩부(21)에서 전송된 MPEG 2 데이터의 프로그램 스트림(PS: Program Stream) 신호를 인코딩 및 오류 정정하여 전송 스트림(TS: Transport Stream) 신호로 변환한 후 베이스 밴드(미도시)로 출력한다. 즉 DVD 등의 매체에 저장되어있는 PS 신호를 리딩하고 이 신호를 무선 전송하기 위하여 TS 신호로 변경한다.
제2코덱부(23)는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MPEG 2로 인코딩하여 전송 스트림(TS: Transport Stream)신호로 변환 한 후 베이스 밴드(미도시)로 출력한다. 이때 베이스 밴드는 인코더부(22) 및 제2코덱 부(23)에서 전송된 MPEG 2 데이터를 제2 송수신모듈부(24)로 전송한다.
제2송수신모듈부(24)는 제2제어부(25)의 지시에 따라 MPEG 2 데이터를 본체(10)로 전송한다. 이때 제2송수신모듈부(24)는 WLAN 무선 기술을 통한 IEEE802.11a 라디오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본체(10)로 전송한다.
제2제어부(25)는 DVD 등과 같은 광디스크 삽입 시 로딩부(21)를 제어하여 MPEG 2 데이터를 로딩하도록 하고, 로딩된 데이터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도록 인코더부(22)와 제2코덱부(23)를 제어하며, 디코딩된 데이터를 본체(10)로 전송하도록 제2송수신모듈부(24)를 제어한다.
제2메모리부(26)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MPEG 2 데이터를 로딩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 및 MPEG 2 데이터를 본체(10)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 코드가 저장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는 본체(10)로부터 영상 신호를 전송받고, 이때 전송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장치(30)는 본체(10)로부터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전송 받는 신호 포트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포트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30)는 본체 및 프런트 스피커가 탈착되도록, 다수의 측면에는 기구적 연결 홈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장치(30)는 TV S-Video, 콤포지트(Composite) 또는 HDMI를 통해 영상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잭이 포함되어 있다.
우퍼(50)는 본체(10)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전송받아 증폭한 후 다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즉, 우퍼(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수신모듈부(51), 제3제어부(52), 제2증폭부(53), 필터부(54) 및 컨버터부(55)를 포함한다.
오디오수신모듈부(51)는 안테나를 통해 2.1 채널의 오디오 신호 및 오디오 출력 제어 지시 신호가 전송되고, 이때 전송된 오디오 신호 및 오디오 출력 제어 신호를 제3제어부(52)로 전송하며, 제3제어부(52)의 지시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제2증폭부(53)로 전송한다.
아울러 오디오수신모듈부(51)는 제3제어부(52)에서 전송된 특정 제어 코드에 상응하는 RF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오디오수신모듈부(51) 발생된 RF 신호와 오디오송신모듈부(14)의 RF부(14c)에서 발생된 RF 신호가 동기화될 때까지 이 동작을 반복한다.
이때 오디오수신모듈부(51)에서 발생된 RF 신호와 RF부(14c)의 RF신호가 동기화되면 RF부(14c)에서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제2증폭부(53)로 전송한다.
제3제어부(52)는 메모리부(미도시)에서 특정 제어코드를 추출하여 오디오수신모듈부(51)로 전송하여 본체(10)와 동기화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한다.
또한 제3제어부(52)는 본체와의 동기화 확인 후 오디오수신모듈부(51)로부터 오디오 신호 출력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제2증폭부(53)로 전송하도록 오디오수신모듈부(51)를 제어하고, 오디오 신호가 각 채널별로 증폭되도록 제2증폭부(53)를 제어한다.
메모리부(미도시)는 복수의 제어코드를 저장하고 있다.
제2증폭부(53)는 제3제어부(52)의 지시에 따라 전송된 2.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각 채널별 일정 크기로 증폭한 후 각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각 스피커에 연결된 필터부(64)로 전송한다.
필터부(54)는 일정 크기의 낮은 주파수만 통과 시키는 저대역통과필터(LPF: Low Pass Filter)로, 제2증폭부(53)에서 전송된 오디오 신호 중 저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켜 각 스피커(RL, RR, W)로 전송한다.
이때 리어 스피커(60: RL, RR) 및 우퍼 스피커(W)는 각각에 연결된 필터부(54)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이때 우퍼 스피커(W)는 우퍼(50)에 내장되어 있으며, 리어 스피커(60: RL, RR)는 우퍼(50)에 유선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리어스피커(60)는 효과음을 재생하며 현장감을 살리기위해 배경음을 재생하는 역할을 하고, 우퍼스피커(W)는 저음을 보강하기 위한 저음용 스피커로, 저음부분이 별도 채널로 구성되기 때문에 현장감도 우수하다.
컨버터부(55)는 DC-DC 컨버터로, 외부 또는 내부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DC 전원을 우퍼(50)의 각 구성부의 설정 동작전원으로 변환한 후 각 구성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브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체(10)에 전원이 공급되면, 본체(10) 및 로더(20)에 각각의 제 1, 2송수신모듈부(11, 24)가 구비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본체(10)에 오디오 송신모듈부(14) 및 우퍼(50)에 오디오수신모듈부(51)가 구비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본체(10) 및 로더(20)에 제1, 2 송수신모듈부(11, 24), 본체(10)에 오디오 송신모듈부(14) 및 우퍼(50)에 오디오수신모듈부(51)가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확인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메시지 확인 후 구비되지 않은 모듈부를 해당 구성부에 구비시킨다.
다음 본체(10) 및 로더(20)에 제 1, 2송수신모듈부(11, 24)가 구비되면 본체(10)와 로더(20), 본체(10)와 우퍼(50) 사이의 동기화를 진행하고, 본체(10)와 로더(20), 본체(10)와 우퍼(50) 사이에 동기화가 이루어지면 본체(10)는 제1송수신모듈부(11) 및 오디오송신모듈부(14)를 초기화 시킨다.
만약, 본체(10)와 로더(20) 또는 본체(10)와 우퍼(50) 사이에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동기화 모드로 전환하고 로더(20) 또는 우퍼(50)로부터 확인정보(ACK: Acknowledge Character 정보)가 전송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때 로더(20) 또는 우퍼(50)로부터 본체로 확인정보(ACK정보)가 전송되면 본체는 본체(10)는 제1송수신모듈부(11) 및 오디오송신모듈부(14)를 초기화 시킨다.
다음 로더(20)는 DVD 등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있는 MPEG2 데이터의 프로그램 스트림(PS) 신호를 인코딩하여 무선 전송을 위한 전송 스트림(TS)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송 스트림 신호를 IEEE802.11a 라디오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본 체(10)로 전송한다.
다음 본체(10)는 로더(20)에서 전송된 MPEG 2 데이터의 전송 스트림(TS) 신호를 디코딩하여 프로그램 스트림(PS) 신호로 변환하고, 채널 디코딩 후 MPEG 2 디코딩한다.
이때 디코딩된 MPEG2 동영상 데이터를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한 후 분리된 영상신호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콤포지트(Composite) 또는 S-video 중 어느 하나의 입출력방식으로 LCD 및 PDP 등의 디스플레이장치(30)로 전송하고, 3채널의 오디오 신호는 각 채널에 따른 일정크기 만큼 증폭한 후 1채널의 오디오 신호는 센터 스피커(C)로 출력하고 2채널의 오디오 신호는 프런트 스피커(FR, FL)로 각각 출력한다.
다음, 본체는 디코딩된 2.1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부대역 부호화 방식(SBC: Sub Band Coding)을 이용하여 인코딩한 후 블루투스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우퍼(50)로 전송한다.
이때 본체는 현재 출력해야 하는 오디오 신호의 샘플링 레이트를 확인하고, 확인된 샘플링 레이트를 오디오송신모듈부(14)로 출력한 후 확인된 샘플링 레이트에 따라 2.1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무선 전송한다.
여기서 부대역 부호화 방식은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주파수가 다른 복수의 대역 신호로 분할하여 대역 신호마다 신호의 특성과 중요도에 따라서 부호화 방식이나 비트 수 할당 등을 달리하여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다음 우퍼(5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제2증폭기로 2.1 채널에 따른 일정크 기만큼 증폭하여, 0.1 채널의 오디오 신호는 우퍼에 내장된 우퍼 스피커(W)로 출력하고, 2채널의 오디오 신호는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각각의 리어 스피커(60: RR, RL)로 출력한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더, 본체, 디스플레이장치 및 다수의 스피커 사이에 데이터 전송 케이블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공간 효율이 놓고 미관을 중요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스피커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으며, 본체, 로더 및 스피커와 연결된 배선의 문제점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센터 스피커를 포함한 본체 및 프런트 스피커를 탈착시킴으로써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동영상 데이터를 로딩하여 무선 송신하는 로더;
    상기 로더에서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속한 오디오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본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우퍼를 포함하는 에이브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스트림 신호를 인코딩한 후 전송스트림(TS)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본체로 전송하는 에이브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로더에서 전송된 전송 스트림 신호를 디코딩하여 프로그램 스트림 신호로 변환하는 에이브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로더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부;
    상기 제1증폭부에서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브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케이블을 통해 다수의 프런트 스피커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증폭부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프런트 스피커로 전송하는 에이브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속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연결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 및 다수의 프런트스피커는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본체 및 다수의 프런트 스피커가 탈착되는 에이브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퍼는
    상기 본체에서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부;
    상기 제2증폭부에서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우퍼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에이브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우퍼는 케이블을 통해 다수의 리어 스피커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2증폭부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다수의 리어 스피커로 전송하는 에이브이 시스템.
KR1020070039495A 2007-04-23 2007-04-23 에이브이 시스템 KR20080095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495A KR20080095117A (ko) 2007-04-23 2007-04-23 에이브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495A KR20080095117A (ko) 2007-04-23 2007-04-23 에이브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117A true KR20080095117A (ko) 2008-10-28

Family

ID=4015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495A KR20080095117A (ko) 2007-04-23 2007-04-23 에이브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51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477A1 (ko) * 2017-10-31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477A1 (ko) * 2017-10-31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7316B2 (ja) 映像信号並びにマルチチャネル音声信号の伝送信号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映像音声再生システム
US8340330B2 (en) Audio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udio signal, audio system, and audio signal transmission method thereof
US8446533B2 (en) Televi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750178B1 (ko) 홈 시어터 시스템의 무선 리어 스피커 확장 장치 및 방법
CN101873454A (zh) 音频处理设备和音频处理方法
US8090235B2 (en) Relay apparatus, and reproduction system
US20080085676A1 (en) Wireless multi-channel video/audio apparatus
JP2008252834A (ja) 音声再生装置
TW200539727A (en) Wireless sound transmission and receiving amplifier system
JP5070996B2 (ja) 音声制御装置及び音声制御システム
US78409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digital audio/video playback for computers
KR20080095117A (ko) 에이브이 시스템
US20060062396A1 (en) Optical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o transform external audio into multi-channel surround sound
JP5386924B2 (ja) 音声処理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音声再生方法
CN1953526B (zh) 显示装置以及应用该显示装置的影音播放系统
JP2007235519A (ja) 映像音声同期方法及び映像音声同期システム
JP2007243460A (ja) 中継装置、av再生システムおよびavソース装置
JP2007258867A (ja) Avソース装置およびav再生システム
KR20060049117A (ko) 음성 출력 시스템 및 방법
CN102761819A (zh) 一种多通道音频输出系统及方法
JP5359563B2 (ja) 音声処理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679429B1 (ko) 아이링크 겸용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KR100516733B1 (ko) 돌비 프로로직 오디오 장치
KR100229032B1 (ko) 다수의 언어를 동시 재생하는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재생 장치 및 방법
JP5126521B2 (ja) 音声再生システム、音声処理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