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88477A1 -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88477A1
WO2019088477A1 PCT/KR2018/011780 KR2018011780W WO2019088477A1 WO 2019088477 A1 WO2019088477 A1 WO 2019088477A1 KR 2018011780 W KR2018011780 W KR 2018011780W WO 2019088477 A1 WO2019088477 A1 WO 201908847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udio output
electronic device
interface
output devic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17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지혜
김연일
우병민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908847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84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udio output apparatus that can be coupled to a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bined structure of an audio output apparatus and an audio output apparatus that can be combined with a display apparatus of a different size, To a display device.
  • the conventional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speaker unit for outputting audio, and can output audio for contents to be reproduced in the display apparatus.
  • a speaker unit for outputting audio
  • audio output devices connectable to display devices are being developed.
  • the display device can output high quality audio by outputting the audio signal related to the image contents through the speaker of the external audio output device, not the speaker of the display device, by combining with the external audio output device.
  • the audio output apparatus may be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apparatus when the display apparatus is manufactured, or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by using an audio output apparatu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apparatus.
  • the display devic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are manufactured in consideration of design factors, and may be used for interior use.
  • the interior factor may not be considered.
  • an audio output device manufactur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display is connected to another display device, a different feeling may occur due to a difference from the design of another display device.
  • the audio output device must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display device and connected to another power line and a signal line, There was a problem of not only being troublesome but also harming aesthetic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output apparatu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audio output apparatus capable of being adjusted in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a display apparatus and detachable to and from a display apparatus is disclosed.
  • an audio output apparatus including a speaker module, a coupling unit for coupl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with the audio output device, A first interface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at a first interface, a second interfa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 audio signal from one of the first interface and the second interface,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speaker module to output a signal.
  • the audio outpu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another audio output apparatus.
  • connection unit the audio output apparatu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and the other audio output apparatus can be slid on the connection unit.
  • the audio output device may be fasten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ides of the electronic device.
  • the fastening part is a T-shaped structure located inside the audio output device, and when the fastening part is pushed, the T-shaped fastening part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audio output device.
  • the fastening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fixed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ed direction, and be fastened to the electronic device.
  • the audio outpu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abric sensing unit.
  • the fabric sensing unit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attached fabric to the electronic apparatus.
  • the first interface may be configured as a magnetic connector
  • the second interface may be configured as a Bluetooth chip.
  •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ctivates a second interfa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audio output device,
  • the second interfa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may be inactivated.
  • a method of controlling an audio output apparatus comprising the steps of: coupling the audio output apparatus with an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ttaching a fabric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attached fabric to the electronic device, receiving an audio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in engagement with the electronic device, and when the audio signal is received, .
  • the fastening step may be performed such that the audio output device is fasten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ides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 the fastening step may include a step of coupling the audio output device with a T-shaped structure, and projecting the T-shaped fastening part to the outside of the audio output device when the fastening part is pushed; As shown in FIG.
  •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ounting portion for fastening with an external audio output device, a display, A fourth interface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from the audio output apparatus while being coupled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by the mounting unit, and a fourth interface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through the mounting unit,
  •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coupling portion of the audio output device,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audio output device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ortion and then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
  • any one of the third interface and the fourth interface is constituted by a magnetic connector for connecting to the magnetic connector of the audio output device, and when the fastening part of the audio output device move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ng direction, And can move together with the vertical movement.
  •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audio output device is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audio output device, the third interface, and the fourth interface, When the device is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audio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audio device via the third interface.
  •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and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display to change and display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fabric GUI based on the illuminance value sens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 the audio output device can be sized and fastened to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lectronic device.
  • Figs. 1A to 1D are exemplary diagrams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functions of an audio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dio out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S. 3A to 3C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portion and a first interface of an audio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4A and 4B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combining process of an audio output apparatus and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5A to 5F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audio output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fabric attached to an audio output device and an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9A to 9D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connection of an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S. 10A to 13C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fabric G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14A and 15B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a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1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1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module' or 'subtype'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a plurality of 'modules' or a plurality of 'parts'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except for 'module' or 'module' which need to be implemented by specific hardware, and implemen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not shown) .
  • Figs. 1A to 1D are exemplary diagrams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functions of an audio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 FIG.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detachably attach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 a user can attach four audio output devices 100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a user may attach two audio output devices 100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attached to the left upper and right upper por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but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attach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lower por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Of course.
  • the user can attach two audio output devices 10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the audio output device 100 may be attached to the top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for fastening with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coupled to the display apparatus 200,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and audio signals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apparatus when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not attached to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the apparatus can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apparatus 300 and operate as a wireless speaker.
  • the audio output device 100 may operate as a Bluetooth speaker. That is,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apparatus 300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and may output audio according to an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apparatus 300.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and the external apparatus 300 may be connected using WiFi, NFC,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or the like.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can receive and output an audio signal from the external apparatus 300.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ncludes a speaker module 110, a first interface 120, a second interface 130, and a coupling unit 140.
  • the speaker module 110 may include a full-range speaker, a tweeter speaker, a mid-range speaker, a woofer speaker, and a multi-way speaker , Or may be configured as a multi-way speaker through at least two combinations.
  • the full-range speakers are speakers that can reproduce full-range audio.
  • the tweeter speakers are speakers that can reproduce high-frequency audio.
  • the mid-range speakers are speakers that can reproduce midrange audio.
  • a multi-way speaker is a speaker made up of a combination of speakers capable of reproducing audio in various bands.
  • the first interface 120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receiving an audio signal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Specifically, when the first interface 120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transmit the audio signal to the audio output device 100.
  • the first interface 120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 the first interface 120 may be a magnetic connector composed of magnets.
  • the first interface 120 can be coupled to the magnetic connector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to transmit and receive audio signals between the audio output device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0.
  • the first interface 120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magnetic connector.
  • the first interface may comprise a connector having a male and female structure.
  • the first interface 120 may comprise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terminal or a Mobile High-Definition Link (MHL) HDMI port or MHL port.
  •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 the first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signals and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fabric information attached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the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fabric information may be constituted by the magnetic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 the second interface 130 is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300.
  • the second interface 13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chips.
  • the second interface 1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hip such as a Wi-Fi chip, a Bluetooth chip,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n NFC chip, or the like.
  • the Wi-Fi chip, the Bluetooth chip, and the NFC chip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the LAN method, the WiFi method, the Bluetooth method, and the NFC method.
  • various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an SSID and a session key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first,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means a chip that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 ZigBee, 3G (3rd Generatio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 the second interfa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300 using a Bluetooth method.
  • the external device 300 connected through the Bluetooth method may be various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200. That is, when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outputs audio through the first interface 120, is not phys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output audio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130 when the external interface 130 is connected to another external device.
  • the first interface 120 and the second interface 130 may be selectively activated. Specifically, when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and the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200 are wired by the first interface 120, the second interface 130 is inactivated and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When the device 10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300, the first interface 120 may be deactivated.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interface 120 and the second interface 130 may be simultaneously activated or deactivated,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ctivation or deactivation may mean electrically connecting or electrically shielding the configuration. Or it may mean powering the configuration or disabling the power supply to the configuration.
  • the second interface 130 is deactivated means that no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interface 130, and the second interface 130 is activated. It may mean that power is supplied.
  • the fastening portion 140 is a structure for physically coupl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0.
  • the coupling unit 140 may be a T-shaped structure located inside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If the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140 is pushed while the fastening part 140 is positioned inside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the fastening part 140 can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The structure of such a fasten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 the processor 1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Specifically, when the processor 150 receives the audio signal from the first interface 120 or the second interface 130, the processor 150 may control the speaker module 110 to output the received audio signal.
  • the processor 15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fabric attached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
  • the processor 150 may comprise a configuration such as RAM, ROM, main CPU, etc., and the configurations may be connected via a bus.
  • 3A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part and a first interface of an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A shows a part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and includes a first interface 120 including a coupling unit 140, an audio signal receiving unit 120-1 and a fabric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20-2. May be located at the upper right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the fastening portion 140 may be located inside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the coupling part 140 when the user pushes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art 140, the coupling part 140 is coupled to the audio output device 100, As shown in Fig.
  • the fastening part 140 may have a T-shaped structure.
  • the T-shaped structure shown in FIG. 3B is only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s needed.
  • the fastening portion 140 may have a plied structure, or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disk-like structure, a rectangular structure, and the like.
  • the first interface 120 may include an audio signal receiving unit 120-1 and a fabric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20-2.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interface 120 may include a magnet type connecto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gnet type connector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terface 120.
  • the coupling unit 140 and the first interface 120 are located at the upper right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nents including the fastening portion 140 and the first interface 120 may be locat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right, upper left, lower right, and lower left of the audio output device 100. That is, as shown in FIG. 3C, the components including the fastening part 140 and the first interface 120 may exist at the right upper end and the lower right end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Alternatively, components including the fastening portion 140 and the first interface 120 may be present at the upper left of the audio output device. Or fastening portion 140 and the first interface 120 may be present at the upper right and upper left of the audio output device. Or fastener 140 and the first interface 120 may be present in the upper right, lower right, upper left, and lower left of the audio output device.
  • 4A and 4B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combining process of an audio output apparatus and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200 includes a rail structure and an audio output device coupling detection unit 203 including a mounting unit 201, an interface 202 corresponding to the audio output device, and an interface 202 .
  • the mounting portion 201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to which the fastening portion 140 can be inserted and fixed.
  • the first interface 120 and the interface 202 may also be coupled to corresponding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when the fastening portion 14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201.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0 are fixed by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unit 140 after the coupling unit 14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unit 201, Can be moved. At this time, the interface 202 can move on the rail structure.
  •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detect that the audio output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determine the state. For example, when the interface 202 moves and contacts the audio output device coupling detection unit 203,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determine that the audio output device 100 has conclud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0 .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coupled to the lower right end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a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ositions on a plurality of sides.
  •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venth points 201-1 to 201-7 shown in FIG. 4A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and can be fastened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4B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fastening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and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in detail.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ncludes a coupling unit 140, an audio signal receiving unit 120-1, and a fabric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20-2.
  •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also include a mounting portion 201, an interface 202 and an audio output device coupling detection portion 203 as described above.
  • the mounting portion 201 may be in the shape of a letter and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fastening portion 140.
  • the interface 202 includes an audio signal interface 202-1 corresponding to the audio signal receiving unit 120-1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and a fabric information interface 202-2 corresponding to the fabric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120-2. 2).
  •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terface 120 of the audio output device 100 and the interface 202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physically coupled as shown in FIG. At this point, the interface 202 may move within the rail structure.
  • the rail structure may include the interface 202 and the audio output device coupling detection unit 203.
  • the interface 202 can move within the rail structure.
  • the interface 202 may move freely on the rail 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rail structure may be designed such that the interface 202 is movable only when the fastening portion 14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201. [ That is, when the interface 202 can freely move on the rail structure, the combination of the interface 202 and the first interface 120 may be difficult.
  • the rail structur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terface 202 (only when the interface 202 and the first interface 120 are engaged) is engaged only when the fastening portion 140 is ful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201 It may be designed to be movable.
  • the audio output device coupling detection unit 203 may be located at the left end of the rail structure.
  • the audio output apparatus coupling detection unit 203 may be configured by an infrared sensor or the like and may determine that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and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are coupled when the distance to the interface 202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audio output device coupling detection unit 203 may include various sensors other than the infrared ray sensor.
  • the audio output apparatus coupling detection unit 203 is configured as a button and the interface 202 pushes the audio output apparatus coupling detection unit 203,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Of course.
  • the fastening portion 140 of the audio output device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201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long the first direction 410. At this time, along with the insertion of the fastening part 140, the first interface 120 may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411 and 412 and be coupled with the interface 202.
  • the coupling of the audio output device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be completed when the coupling part 140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42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201.
  • the interface 202 coupled with the first interface 120 can also be moved in the left direction 421 and 422.
  • the rail struc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designed such that when the interface 202 completes mov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astening portion 140, the left inner surface of the rail structure and the left outer surface of the interface 202 abut .
  • the audio output apparatus coupling detection unit 203 included in the left inner surface of the rail structure causes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to move to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As shown in FIG.
  •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structure may be located in the bezel reg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5A to 5F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audio output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nection unit 510 may connect the first audio output device 520 and the second audio output device 530 to each other.
  • the first audio output device 520 and the second audio output device 5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510 from the left end or the right end of the connection unit 510. That is, the first audio output apparatus 520 and the second audio output apparatus 530 ar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510 to configure a new audio output apparatus 500.
  • the first audio output device 520 and the second audio output device 530 can slide on the connection part. That is, the size of the new audio output apparatus 500 can be changed as the first audio output apparatus 520 and the second audio output apparatus 530 are slid. Accordingly, the user can vary the size of the new audio output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the new audio output apparatus 500 may have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operation. That is, the user can easily configure the audio output device 50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s shown in FIG.
  • connection part 510 may have protrusions protruding every inch. Accordingly, when the first audio output apparatus 520 or the second audio output apparatus 530 slides, it can be slid and fixed by inch. Meanwhile, the fixed position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es 520 and 530 may be display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connection unit 51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a digital TV, the position where the audio output devices 520 and 530 are to be fix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for example, 40 inches, 60 inches, ). ≪ / RTI >
  • the new audio output apparatus 500 may include three audio output apparatuses. In the same way,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new audio output apparatus 500 may include three or more audio output apparatuses as necessary.
  • the audio output apparatus is an audio output apparatus having the same size and the same specifica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izes and various forms within a rang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510.
  • FIG.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fabric attached to an audio output device and an audio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fabric 610 for reinforcing the design of the audio output device 620 may be attached to the audio output device 620.
  • the audio output device 620 may include an attaching portion for attaching the fabric 610.
  • the fabric 610 includes a fastener for attaching to the audio output device 620
  • the audio output device 620 may include a fastener for fastening with the fastener of the fabric 610.
  • the audio output device 620 may further include a fabric sensing unit that can recognize information of the attached fabric. When determining the type of the attached fabric through the fabric sensing unit, the audio output device 62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attached fabric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Specifically, when the audio output device 62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0 are engaged, the audio output device 620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attached fabric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receive the attached fabric information and display the GUI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abric information. Specific operations and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below.
  • the fabric may be composed of a pattern region 611 and a frame region 612.
  • the vertical height of the fabric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audio output device including the protruding fastening portions 140.
  • the frame region 612 of the fabric may be fabricated to be connected to the bezel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audio output device 100 to which the fabric is attached.
  • the bezel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to which the audio output device 100 is fastened Can be covered with fabric.
  • the fabric attached to the audio output device 100 may cover the bottom bezel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the fabric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sign,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 FIG. 7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be a digital TV,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outputting an audio signal Of course it is.
  • the electronic device 20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210, a third interface 220, a display 230, and a processor 240.
  • the mounting portion 210 is structured to be fastened to the coupling portion 140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audio output device 210.
  • the coupling part 140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210 and can be fixed by the fixing part as described above.
  • the electronic device 200 includes a bezel (not shown), and the mounting portion 210 may be a configuration inside the bezel.
  • the third interface 220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Specifically, when the third interface 220 is coupled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can transmit the audio signal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via the third interface 220.
  • the third interface 120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terface 120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the third interface 220 may be a magnetic connector made of magnets, an HDMI port or an MHL port, or the like.
  • the fourth interface 230 is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Specifically, the fourth interface 230 may receive the detected fabric information from the fabric sensing unit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the display 240 may display various screens in the display area.
  • the display 240 may display various screens associated with the audio output device 100.
  • the display 24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display panels.
  • the display panel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M-OLED), a liquid crystal on silicon (LcoS) And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display technologies.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LcoS liquid crystal on silicon
  • the display 240 may also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a front region and a side region and a back reg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in the form of a flexible display.
  • the flexible display can be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bend, bend or speak without damage through a thin, flexible substrate such as paper.
  • a flexible display may be manufactured using a plastic substrate as well as a commonly used glass substrate. When a plastic substrate is used, it can be formed using a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processor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manufacturing processor to prevent damage to the substrate. Further, the flexibility of folding and unfolding can be imparted by replacing the glass substrate wrapping the flexible liquid crystal with a plastic film.
  • These flexible displays are not only thin and light but also resistant to impact, and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can be bent or bent and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 Processor 250 controls the overall functionality of electronic device 200. Specifically, the processor 250 may transmit the audio signal through the third interface 220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are connected through the mounting unit 210.
  • the processor 25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through the fourth interface 230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are connected through the mounting unit 210,
  • the display 24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a GUI corresponding to one piece of information.
  • the processor 250 receives the fabric information attached to the audio output device 100 from the audio output device 100 and displays the GUI on the display 240 in the same pattern and shape as the attached fabric 240 can be controlled.
  • the processor 250 also controls the audio output device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based on the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coupling portion 140, the third interface 220 and the fourth interface 230 of the audio output device 100.
  •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include an audio output device coupling detection unit 203, and the coupling unit 140, the third interface 220, and the fourth interface 230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contact the audio output apparatus coupling detection unit 203,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and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are concluded.
  •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200 includes a sensor 260, a communication unit 270, an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a display unit 240, a processor 250, a mounting unit 210, a third interface 220, a fourth interface 230, 280 and an audio output unit 290.
  • the sensor 260 senses various data from outside the electronic device 200.
  • at least one of the sensors 260 may be configured as an audio output device sensing unit 203 to sense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00 are coupled.
  • the sensor 260 may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 the processor 250 may control the display 240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fabric GUI displayed on the display 240 based on the illumination value sensed through the illumination sensor.
  • the communication unit 270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communication unit 270 may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chips such as a Wi-Fi chip, a Bluetooth chip,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nd an NFC chip.
  • the Wi-Fi chip, the Bluetooth chip, and the NFC chip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the LAN method, the WiFi method, the Bluetooth method, and the NFC method.
  • various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an SSID and a session key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first,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means a chip that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 ZigBee, 3G (3rd Generatio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 the audio processing unit 28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processing on audio data.
  • various processes such as decoding, amplification, noise filtering, and the like of audio data can be performed.
  • the audio data processed in the audio processing unit 150 may be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290.
  • the audio output unit 290 is configured to output various kinds of audio data as well as various kinds of notifications and voice messages that have been subjected to various processing operations such as decoding, amplification, and noise filtering by the audio processing unit 290.
  • the audio output unit 290 may be implemented as a speaker, but it may be realized as an output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audio data, which is only an example. That is,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are not connected, the audio output unit 290 outputs the audio processed by the audio processing unit, that is, 100 are connected, the audio output unit 290 can transmit the audio data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the processor 25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using various programs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 the processor 250 may comprise a RAM 251, a ROM 252, a graphics processing unit 253, a main CPU 254, first through n interfaces 255-1 through 255-n, have.
  • the RAM 251, the ROM 252, the graphics processor 253, the main CPU 254, the first to n interfaces 255-1 to 255-n, et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bus 256 .
  • the RAM 251 stores an O / S and an application program. Specifically,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booted, the O / S is stored in the RAM 251, and various application data selected by the user can be stored in the RAM 251. [
  • the ROM 252 stores a command set for booting the system and the like.
  • the main CPU 254 copies the O / S stored in the memory to the RAM 251 according to the command stored in the ROM 252, executes the O / .
  • the main CPU 254 copi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to the RAM 251, executes the application program copied to the RAM 251, and performs various operations.
  • the graphic processing unit 253 generates a screen including various objects such as an item, an image, and a text using an operation unit (not shown) and a rendering unit (not shown).
  • the oper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an attribute value such as a coordinate value, a shape, a size, and a color to be displayed by each object according to a layout of a screen using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an input unit (not shown).
  • the render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screens of various layouts including the objects based on the attribute values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The screen generated in this rendering unit may b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240.
  • the main CPU 254 accesses the memory and performs booting using the OS stored in the memory.
  • the main CPU 254 performs various operations using various programs, contents, data, and the like stored in the memory.
  • the first to n interfaces 255-1 to 255-n are connected to the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above.
  • One of the first to n interfaces 255-1 to 255-n may be a network interfac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via a network.
  • the processor 250 may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200 in various modes.
  • the processor 250 may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200 to operate in a first mode for reproducing content, a second mode for displaying an image, such as a background image, at a lower power than the first mode.
  • the first mode may be a content reproduction mode
  • the second mode may be an ambient mode or a power saving mode of low power.
  • 9A to 9D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connection of an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200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00 are engaged,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display a UI 910 indicating that the audio output device 100 is engaged . That is, when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wired to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can display the UI 910 indicating that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and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are connected .
  • the external apparatus 300 may display a UI indicating that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can selectively operate either as a wired connec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0 or with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300. That is, when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wired to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the second interface 130 required for the wireless connection function is deactivated and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apparatus 300 via the wireless connection
  • the first interface 120 required to perform the wired connection function may be inactivated. That is,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operate in either a wired connection mode or a wireless connection mode by sensing the state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the coupling unit 140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by the operation of pushing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unit 140. In this case, Or may protrude outward.
  • 3B whe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art 140 is pushed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art 140 is positioned inside the audio output device 100, the coupling part 140 is inserted into the audio output device 100, And may protrude out of the output apparatus 100.
  • 3A when the coupling unit 140 is pushed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unit 14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output apparatus 100.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in a wired connection mode or a wireless connection mod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unit 140. [ 3B,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at the current connection mode is the wired connection mode. In this case,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not perform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apparatus 300. [ 3B,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block the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300 through a method such as not applying power to the second interface 130 .
  • the audio output device 100 can determine that the current connection mode is the wireless connection mode. In this case,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not perform a wired connec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0. [ In this case, since the coupling part 140 is not protruded and thus it is not possible to connect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the audio output device 100 can control the wired connection through an operation such as controlling the first interface 120 There is no need to prevent it.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n a wireless connection mode when all of the coupling units 140 are inserted in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When one coupling part 140 protrudes from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wired communication mode is selected.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arious kinds of switches for setting a connection mode.
  • the switch may be a sliding switch as shown in FIG. 9C, or a push-button switch as shown in FIG. 9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witch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types such as a toggle switch, a DIP switch, and a digital switch.
  • the audio output device 100 can determine the connection mod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liding switch. For example, in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when the sliding switch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r left side) of the sliding portion, the wired connection mode, and when the sliding switch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have.
  • the audio output device 100 can change the connection mode each time the push switch is pushed.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output a notification sound for notifying the current connection mode whenever the switch is pushed. That is, when the connection mode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changed from the wired connection mode to the wireless connection mode by the push button,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outputs the first notification sound, When the connec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hanged from the wireless connection mode to the wired connection mode,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output the second notification sound.
  • the first notification sound and the second notification sound may be a notification sound such as " changed to OO connection mode "
  • the electronic device 200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00 are connected,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display the UI 910 indicating that the audio output device 100 is connected.
  • the electronic device 200 displays a fabric GUI instead of displaying the UI 910 indicating that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engaged can do.
  •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display the fabric GUI based on the received fabric information.
  •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display the same fabric GUI as the shape and pattern of the attached fabric.
  • the fabric GUI can be displayed in various ways.
  • the fabric GUI can be generated and displayed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the left end area and the right end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display the same fabric GUI as the shape and pattern of the attached fabric.
  • the fabric GUI can be displayed in various ways.
  • the fabric GUI may be generated and displayed in an upward direction from a lower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12A to 13C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fabric G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12A to 12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display method of the fabric GUI when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reproduce the content in the first mode.
  •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display the fabric GUI.
  •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generate and display a fabric GUI in an upward direction in a lower area of the display 240.
  •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display the fabric GUI on the display 240 in the second mode, as shown in Fig. 12C. That is, the fabric GUI can be expanded from the bottom area of the display to the top area.
  •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remove the fabric GUI and display the content screen .
  • the way the fabric GUI is removed and displayed can be the opposite of how the fabric GUI is created and displayed.
  • Figs. 13A to 13C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a fabric GUI when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Fig. 13A to 13C are illustration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a fabric GUI when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reproduce the content in the first mode.
  •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display the fabric GUI.
  •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generate and display a fabric GUI in a central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regions of the display 240. [ As a result,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display the fabric GUI on the display 240 in the second mode, as shown in Fig. 13C.
  •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remove the fabric GUI and display the content screen .
  • the way the fabric GUI is removed and displayed can be the opposite of how the fabric GUI is created and displayed. That is, the fabric GUI can be displayed in a form that is reduced from the central area of the display to the left and right areas.
  • the generation directions of the fabric GUIs shown in Figs. 12A to 13C can be determined by various methods.
  • the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201,201 -1 to 201-7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200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generation direction of the fabric GUI.
  • the content reproduced in the first mode and the fabric GUI displayed in the second mode can be displayed on different layers.
  • the reproduced contents can be displayed in the first layer.
  • the displayed fabric GUI can be displayed on the second layer.
  •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first layer is a high-resolution content
  • the fabric GUI displayed on the second layer may be a low-resolution GUI. That is, in the second mode, a low-resolution fabric GUI is display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 14A to 14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a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when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and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operates in the second mode,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is connected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the fabric GUI of the horizontal stripes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fabric of the horizontal stripes pattern attached to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displayed.
  • the electronic device 200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receives a user command for playing music while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the electronic device 200 transmits an audio signal to the audio output device 10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00 May output audio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udio signal.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change the displayed fabric GUI dynamically.
  •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display a fabric GUI of a horizontal stripe pattern with a wavy dynamic fabric GUI.
  • the movement of the fabric GUI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genre, beat, and speed of music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not only display the dynamic fabric GUI as described above, but also display the title of music to be reproduced, etc. on the fabric GUI, as shown in Fig. 14C.
  •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fabric GUI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fabric GUI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rame surrounding the electronic device 200. For example, when a white frame is attach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as shown in FIG. 15A, the color of characters displayed on the fabric GUI may be white.
  • the color of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fabric GUI may be black.
  • the color of the character displayed on the fabric GUI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frame attach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hape, color, and the like of the fabric GUI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d frame, and the size, color, font, Of course.
  • 1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engaged with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S1610). When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S1610-Y),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can receive the audio signal from the electronic apparatus 200 via the first interface (S1620) .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attached fabric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
  •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receive the audio signal from the external apparatus 300 at step S1630. Specifically,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apparatus 300 through a second interface. At this time, the second interface may be an interfac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n one embodiment, the audio output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300 through a Bluetooth connection method.
  • 1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engaged with the audio output device (S1710). Specifically, whether or not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00 are fastened to each other can be detected through the audio output device sensing unit 203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0.
  • the electronic device 200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audio output device 100,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transmit the audio signal to the audio output device 100 via the third interface, (S1720).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f the receiving audio output apparatus 100 may be the fabric information attached to the audio output apparatus 100.
  • the electronic device 200 can display a GUI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S1730).
  • the displayed GUI may be a fabric GUI corresponding to the fabric information.
  • the fabric GUI is not displayed. If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changed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The fabric GUI can be expanded and displayed in the opposite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와 체결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는 스피커 모듈, 외부의 전자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중 하나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가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의 결합 구조, 결합된 오디오 출력 장치에 따라 다양한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더 나은 오디오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와 결합하여 영상 컨텐츠에 관한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가 아닌,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고품질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시,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에 맞게 자체 제작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와 별도로 제작된 오디오 출력 장치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는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제작되며, 인테리어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경우 인테리어적 요소를 고려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조시 함께 제작된 오디오 출력 장치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과 상이하여 이질감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각자의 취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와 따로 제조된 오디오 출력 장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설치되어야 하며, 별도의 전원선 및 신호선의 연결이 수반되어 설치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따라 크기 조정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가 개시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는 스피커 모듈, 외부의 전자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중 하나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타 오디오 출력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와 상기 타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연결부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변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 내부에 위치한 T자형 구조이고,상기 체결부가 푸쉬된 경우, 상기 T자형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전자 장치의 고정부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패브릭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패브릭이 부착된 경우, 상기 패브릭 감지부는 상기 부착된 패브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자석 커넥터로 구성되고, 제2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체결부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삽입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돌출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 전자 장치와 체결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패브릭이 부착된 경우, 상기 부착된 패브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복수의 변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가 T자형 구조이고, 상기 체결부가 푸쉬된 경우, 상기 T자형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와 체결되기 위한 장착부, 디스플레이, 상기 장착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3 인터페이스, 상기 장착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4 인터페이스 및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체결된 경우, 상기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체결된 경우, 상기 제4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에 대응되는 G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장착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와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가 상기 고정부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4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자석 커넥터와 연결되기 위한 자석 커넥터로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가 상기 삽입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수직 방향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 상기 제3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4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외부 오디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정보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부착된 패브릭 정보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패브릭 정보에 대응되는 패브릭 G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조도값을 바탕으로, 패브릭 GUI의 조도값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는 전자 장치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조절되어 전자 장치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 및 제1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에 부착되는 패브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브릭 GUI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전자 장치(200)에 탈부착되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위치 및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4개의 오디오 출력 장치(100)를 전자 장치(200)의 좌측면 및 우측 면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2개의 오디오 출력 장치(100)를 전자 장치(200)의 좌측면 및 우측 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도 1b에서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좌측 상부 및 우측 상부에 부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의 좌측 하부 및 우측 하부에 부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2개의 오디오 출력 장치(100)를 전자 장치(200)의 하부에 부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체결되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체결된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전원 및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전자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후술한다.
한편,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에 부착되지 않은 경우, 외부 장치(300)와 연결되어 무선 스피커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블루투스 스피커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되고, 외부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따라 오디오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외부 장치(300)와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연결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 및 외부 장치(300)는 WiFi, 근거리 무선 통신(NFC),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방식 등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외부 장치(300)가 무선 연결된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스피커 모듈(110), 제1 인터페이스(120), 제2 인터페이스(130) 및 체결부(140)를 포함한다.
스피커 모듈(110)은 풀-레인지 스피커(Full-range speaker), 트위터 스피커(Tweeter speaker), 미드-레인지 스피커(Mid-range speaker), 우퍼 스피커(Woofer speaker) 및 멀티 웨이 스피커(Multi-way speaker)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적어도 두개의 조합을 통해 멀티 웨이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풀-레인지 스피커는 전 대역의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이며, 트위터 스피커는 고역의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이며, 미드-레인지 스피커는 중역의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이며, 우퍼 스피커는 저역의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이며, 멀티-웨이 스피커는 다양한 대역의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스피커이다.
제1 인터페이스(12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1 인터페이스(120)가 전자 장치(200)와 연결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터페이스(120)는 전자 장치(2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120)는 자석으로 구성된 자석 커넥터일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120)가 자석 커넥터인 경우, 전자 장치(200)의 자석 커넥터와 결합되어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간의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만, 제1 인터페이스(120)는 상술한 자석 커넥터 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는 암수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12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또는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단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1 인터페이스(120)는 전자 장치(200)의 HDMI 포트 또는 MHL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과 함께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부착된 패브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브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석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130)는 외부 장치(3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 인터페이스(130)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터페이스(12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등과 같은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예로, 제2 인터페이스(130)는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 장치(300)는 외부 전자 장치(200)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 장치 일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와 물리적으로 체결된 경우에는 제1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고, 전자 장치(2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제2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다른 외부 장치와 연결된 경우, 제2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인터페이스(120) 및 제2 인터페이스(130)는 선택적으로 활성화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인터페이스(120)에 의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200)가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 제2 인터페이스(130)은 비활성화 되고, 제2 인터페이스(130)에 의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외부 장치(300)과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제1 인터페이스(120)가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일 뿐, 제1 인터페이스(120) 및 제2 인터페이스(130)는 동시에 활성화 되거나 비활성화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라 함은 해당 구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전기적으로 차폐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해당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해당 구성에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터페이스(130)가 비활성화 되었다는 것의 의미는 제2 인터페이스(13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제2 인터페이스(130)가 활성화 되었다는 의미는 제2 인터페이스(130)에 전력이 공급됨을 의미할 수 있다. 체결부(140)는 전자 장치(200)와 물리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체결부(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 내부에 위치한 T자형 구조일 수 있다. 체결부(14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동안 체결부(140)의 표면이 푸쉬되면, 체결부(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의 구조는 도 3에서 후술한다.
프로세서(15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제1 인터페이스(120) 또는 제2 인터페이스(130)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스피커 모듈(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패브릭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부착된 패브릭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RAM, ROM, 메인 CPU,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들은 버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상세히 살펴본다.
도 3a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 및 제1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일부를 도시하였으며, 체결부(140), 오디오 신호 수신부(120-1) 및 패브릭 정보 전송부(120-2)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12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우측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 할 수 있다. 체결부(14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사용자가 체결부(140)의 상단을 푸쉬하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0)는 T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3b에 도시된 T자형 구조는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예일 뿐,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체결부(140)는 ㄱ자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원판형 구조, 사각형 구조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120)는 오디오 신호 수신부(120-1) 및 패브릭 정보 전송부(1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인터페이스(120)는 자석형 커넥터로 구성되어 제1 인터페이스(120)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200)의 자석형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서는 체결부(140) 및 제1 인터페이스(12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체결부(140) 및 제1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우측 상단, 좌측 상단, 우측 하단 및 좌측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0) 및 제1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우측 상단 및 우측 하단에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체결부(140) 및 제1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좌측 상단에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체결부(140) 및 제1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우측 상단 및 좌측 상단에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체결부(140) 및 제1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우측 상단, 우측 하단, 좌측 상단 및 좌측 하단에 모두 존재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장착부(201), 오디오 출력 장치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202) 및 인터페이스(202)를 포함하는 레일 구조 및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201)은 체결부(14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201)에 체결부(140)가 삽입된 경우, 제1 인터페이스(120) 및 인터페이스(202)또한 전자 장치(200)의 대응되는 구성 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장착부(201)에 체결부(140)가 삽입된 후, 체결부(140)가 이동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가 고정된 경우, 체결부에 이동에 따라 인터페이스(202)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202)는 레일 구조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201)에 체결부(140)가 삽입된 후, 체결부(140)가 이동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가 고정된 경우, 체결부(140)의 이동에 따라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와 체결되었음을 감지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02)가 이동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와 접촉되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와 체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4a에서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우측 하단에 체결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변의 복수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장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제1 지점 내지 제 7지점(201-1 내지 201-7)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부가 구비되어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체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b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의 체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체결부(140), 오디오 신호 수신부(120-1) 및 패브릭 정보 전송부(120-2)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부(201), 인터페이스(202) 및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201)은 ㄱ자형태일 수 있으며, 체결부(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02)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오디오 신호 수신부(120-1)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 인터페이스(202-1) 및 패브릭 정보 전송부(120-2)에 대응되는 패브릭 정보 인터페이스(20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제1 인터페이스(120) 상단부와 전자 장치(200)의 인터페이스(202)는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202)는 레일 구조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레일 구조는 인터페이스(202) 및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02)는 레일 구조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202)는 레일 구조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레일 구조는 체결부(140)가 장착부(201)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만 인터페이스(202)가 이동 가능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 즉, 인터페이스(202)가 레일 구조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경우, 인터페이스(202)와 제1 인터페이스(120)의 결합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방지하고자, 레일 구조는 체결부(140)가 장착부(201)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만(즉, 인터페이스(202)와 제1 인터페이스(120)가 결합된 경우에만) 인터페이스(202)가 이동 가능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는 레일 구조의 좌측 끝에 위치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인터페이스(202)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하일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가 결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는 적외선 센서 외의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는 버튼으로 구성되어 인터페이스(202)가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를 푸쉬한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와 결합 되었다고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부(140)는 제1 방향(410)을 따라 전자 장치(200)의 장착부(20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140)의 삽입과 함께 제1 인터페이스(120)는 제2 방향(411,412)으로 이동하여 인터페이스(202)와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140)가 장착부(2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420)으로 이동한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 및 전자 장치(200)는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140)의 이동과 함께, 제1 인터페이스(120)과 결합된 인터페이스(202) 또한 좌측 방향(421,422)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의 레일 구조는 인터페이스(202)가 체결부(140)의 이동에 따라 이동이 완료된 경우, 레일 구조의 좌측 내부면과 인터페이스(202)의 좌측 외부면이 맞닿도록 설계될 수 있다. 레일 구조의 좌측 내부면과 인터페이스(202)의 좌측 외부면이 맞닿은 경우, 레일 구조의 좌측 내부면에 포함된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에 결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200)가 베젤을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체결 구조는 전자 장치(200)의 베젤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10)는 제1 오디오 출력 장치(520) 및 제2 오디오 출력 장치(530)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510)는 레일 구조일 수 있으며, 제1 오디오 출력 장치(520) 및 제2 오디오 출력 장치(530)는 연결부(510)의 좌측끝 또는 우측끝에서부터 연결부(51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오디오 출력 장치(520) 및 제2 오디오 출력 장치(530)는 연결부(510)를 통해 연결되어 새로운 오디오 출력 장치(5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디오 출력 장치(520) 및 제2 오디오 출력 장치(530)는 연결부위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할 수 있다. 즉, 새로운 오디오 출력 장치(500)은 제1 오디오 출력 장치(520) 및 제2 오디오 출력 장치(530)이 슬라이딩 됨에 따라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의 크기에 따라 새로운 오디오 출력 장치(500)의 크기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5c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오디오 출력 장치(500)는 조작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의 크기에 맞는 오디오 출력 장치(500)를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510)는 인치별로 돌기가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오디오 출력 장치(520) 또는 제2 오디오 출력 장치(530)이 슬라이딩하는 경우, 인치별로 슬라이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510)의 특정 위치에는 전자 장치(200)의 종류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520,530)의 고정 위치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디지털 TV인 경우, 판매되는 디지털 TV의 사이즈(예를 들어 40인치, 60인치 등)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520, 530)가 고정되어야 할 위치가 연결부(51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e에서는 연결부(510)에 두개의 오디오 출력 장치(520, 530)가 연결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오디오 출력 장치(500)는 3개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같은 방법으로 새로운 오디오 출력 장치(500)는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f에서는 오디오 출력 장치가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사양의 오디오 출력 장치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연결부(510)에 연결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에 부착되는 패브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620)의 디자인을 보강하기 위한 패브릭(610)이 오디오 출력 장치(62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출력 장치(620)는 패브릭(610)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브릭(610)은 오디오 출력 장치(620)와 부착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며, 오디오 출력 장치(620)는 패브릭(610)의 체결부와 체결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620)는 부착된 패브릭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패브릭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브릭 감지부를 통해 부착된 패브릭의 종류를 판단한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620)는 부착된 패브릭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출력 장치(620)와 전자 장치(200)가 체결 된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620)는 부착된 패브릭의 정보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부착된 패브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패브릭 정보에 대응되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및 기능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후술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브릭은 패턴 영역(611) 및 프레임 영역(6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패브릭의 세로 높이는 돌출된 체결부(140)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높이와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브릭의 프레임 영역(612)는 패브릭이 부착된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가 결합된 경우, 전자 장치(200)의 베젤과 연결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패브릭의 높이를 돌출된 체결부(140)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높이와 같거나 더 크게 제작함으로써,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되는 전자 장치(200)의 면에 대응되는 베젤을 패브릭으로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부착된 패브릭은 전자 장치(200)의 하단 베젤을 덮을 수 있다.
다만 패브릭은 상술한 디자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체결된 전자 장치(200)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자 장치(200)의 구조적 특징에 대하여는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범위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된 경우에서의 전자 장치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디지털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이 포함된 다양한 전자 장치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 장치(200)는 장착부(210), 제3 인터페이스(220), 디스플레이(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한다.
장착부(21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부(140)와 체결되기 위한 구조이다. 장착부는 오디오 출력 장치(2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부(140)가 장착부(210)내로 삽입되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는 배젤(미도시)를 포함하며, 장착부(210)는 베젤 내부의 구성일 수 있다.
제3 인터페이스(22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3 인터페이스(22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체결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제3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3 인터페이스(12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제1 인터페이스(12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120)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3 인터페이스(220)는 자석으로 구성된 자석 커넥터, HDMI 포트 또는 MHL포트 등 일 수 있다.
제4 인터페이스(23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4 인터페이스(23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패브릭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패브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다양한 화면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4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관련된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4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전자 장치(200)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뿐 아니라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프로세서(250)는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50)는 장착부(210)를 통해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된 경우, 제3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장착부(210)를 통해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된 경우, 제4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대응되는 G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5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부터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부착된 패브릭 정보를 수신하고, 부착된 패브릭과 동일한 패턴 및 형상의 GUI를 디스플레이(240)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부(140), 제3 인터페이스(220) 및 제4 인터페이스(23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가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부(140), 제3 인터페이스(220) 및 제4 인터페이스(230) 중 어느 하나가 오디오 출력 장치 결합 감지부(203)와 맞닿은 경우,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200)는 장착부(210), 제3 인터페이스(220), 제4 인터페이스(230), 디스플레이(240), 프로세서(250) 뿐만 아니라, 센서(260), 통신부(270), 오디오 처리부(280) 및 오디오 출력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260)는 전자 장치(200)외부로부터의 다양한 데이터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로, 센서(260)중 적어도 하나는 오디오 출력 장치 감지부(203)로 구성되어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센서(260)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조도 값을 바탕으로 프로세서(250)는 디스플레이(240)에 표시되는 패브릭 GUI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디스플레이(24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7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오디오 처리부(28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 요소다. 오디오 처리부(28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5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290)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90)는 오디오 처리부(290)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29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00) 및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되지 않은 경우, 오디오 출력부(290)는 오디오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오디오를 출력하고, 즉, 전자 장치(200) 및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된 경우, 오디오 출력부(29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RAM(251), ROM(252), 그래픽 처리부(253), 메인 CPU(2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55-1 ~ 255-n) 및 버스(25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251), ROM(252), 그래픽 처리부(253), 메인 CPU(2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55-1 ~ 255-n) 등은 버스(25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251)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가 부팅되면 O/S가 RAM(251)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251)에 저장될 수 있다.
ROM(25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54)는 ROM(25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RAM(25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54)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51)에 복사하고, RAM(25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25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연산부는 입력부(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하는 구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24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메인 CPU(254)는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254)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55-1 내지 25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55-1 내지 255-n)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250)는 전자 장치(200)를 다양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모드, 제1 모드보다 저전력에서 배경 영상과 같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전자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드는 컨텐츠 재생 모드일 수 있고, 제2 모드는 저전력의 앰비언트 모드 또는 절전 모드일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되었음을 알리는 UI(91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와 유선 연결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UI(910)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외부 장치(300)가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외부 장치(300)는 오디오 출력장치(100)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와의 유선 연결 또는 외부 장치(300)와의 무선 연결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와 유선 연결되는 경우에는 무선 연결 기능에 필요한 제2 인터페이스(130)를 비활성화 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외부 장치(300)와 무선 연결 되는 경우에는 유선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제1 인터페이스(120)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상태를 감지하여 유선 연결 모드 또는 무선 연결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부(140)는 사용자가 체결부(140) 상단을 푸쉬하는 동작에 의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부(140)의 상단이 푸쉬된 경우, 체결부(140)는 도 3b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체결부(140)가 푸쉬된 경우, 체결부(140)는 도 3a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체결부(140)의 위치에 따라 유선 연결 모드로 동작할지, 무선 연결 모드로 동작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140)가 도 3b와 같은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현재 연결 모드를 유선 연결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와의 무선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체결부(140)가 도 3b와 같은 경우, 제2 인터페이스(13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 등의 방법을 통해 외부 장치(300)와의 무선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체결부(140)가 도 3a와 같은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현재 연결 모드를 무선 연결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와의 유선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체결부(140)가 돌출되지 않아 전자 장치(200)와 연결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제1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유선 연결을 방지할 필요가 없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부(140)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복수개의 체결부(140)를 포함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모든 체결부(14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삽입된 경우에는 무선 연결 모드로,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14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서 돌출된 경우에는 유선 통신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연결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딩 스위치, 또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푸쉬버튼 스위치일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위치는 토글 스위치, 딥 스위치(DIP switch), 디지털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연결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스위치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스위치인 경우에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슬라이딩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연결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슬라이딩 스위치가 슬라이딩부 상측(또는 좌측)에 위치한 경우에는 유선 연결 모드, 슬라이딩 스위치가 슬라이딩부 하측(또는 우측)에 위치한 경우에는 무선 연결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연결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스위치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스위치인 경우에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푸쉬 스위치가 푸쉬될 때마다 연결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스위치가 푸쉬될 때마다, 현재 연결 모드를 알리기 위한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푸쉬버튼에 의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연결모드가 유선 연결 모드에서 무선 연결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제1 알림음을 출력하고, 푸쉬버튼에 의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연결모드가 무선 연결 모드에서 유선 연결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제2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알림음 및 제2 알림음은 "OO연결 모드로 변경되었습니다"와 같은 알림음일 수도 있으며, 서로 구분 가능한 음정으로 구성된 알림음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a 내지 도 14c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화면 표시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9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되었음을 알리는 UI(910)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도 10b 및 도 11b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패브릭이 부착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되었음을 알리는 UI(910)를 표시하는 대신 패브릭 GUI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패브릭이 부착되고, 패브릭이 부착된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와 체결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부터 부착된 패브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는 수신한 패브릭 정보를 바탕으로 패브릭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0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가 블랙 스크린인 상태에서 패브릭이 부착된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좌우에 체결된 경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부착된 패브릭의 형태 및 패턴과 동일한 패브릭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패브릭 GUI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브릭 GUI는 전자 장치(200)의 좌측 끝 영역 및 우측 끝 영역에서부터 중앙 방향으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가 블랙 스크린인 상태에서 패브릭이 부착된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하단에 체결된 경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부착된 패브릭의 형태 및 패턴과 동일한 패브릭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패브릭 GUI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브릭 GUI는 전자 장치(200)의 하부 영역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브릭 GUI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하단에 체결된 경우 패브릭 GUI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제1 모드에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전자 장치(200)를 제2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200)는 패브릭 GUI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40)의 하단 영역에서 윗쪽 방향으로 패브릭 GUI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모드에서 패브릭 GUI를 디스플레이(240)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패브릭 GUI는 디스플레이의 하단 영역에서부터 상단 영역으로 확장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모드에서 패브릭 GUI가 표시되는 동안 전자 장치(200)를 제1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200)는 패브릭 GUI를 제거하고,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패브릭 GUI를 제거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패브릭 GUI가 생성되어 표시되는 방법과 반대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0)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패브릭 GUI의 표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좌측 및 우측에 체결된 경우 패브릭 GUI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제1 모드에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컨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전자 장치(200)를 제2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200)는 패브릭 GUI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40)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에서 중앙 방향으로 패브릭 GUI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 패브릭 GUI를 디스플레이(240)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 모드에서 패브릭 GUI가 표시되는 동안 전자 장치(200)를 제1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200)는 패브릭 GUI를 제거하고, 컨텐츠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패브릭 GUI를 제거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패브릭 GUI가 생성되어 표시되는 방법과 반대일 수 있다. 즉, 패브릭 GUI는 디스플레이의 중앙 영역에서부터 좌우 영역으로 감소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2a 내지 도 13c에서 표시되는 패브릭 GUI의 생성 방향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의 복수의 장착부(201,201-1 내지 201-7)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된 경우, 복수의 장착부(201,201-1 내지 201-7) 에 포함된 오디오 출력 장치 감지부(203)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패브릭 GUI의 생성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모드에서 재생되는 컨텐츠 및 제2 모드에서 표시되는 패브릭 GUI는 서로 다른 레이어에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재생되는 컨텐츠는 제1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가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표시되는 패브릭 GUI는 제2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고해상도의 컨텐츠이고,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패브릭 GUI는 저해상도의 GUI일 수 있다. 즉, 제2 모드에서는 저해상도 패브릭 GUI를 표시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의 하단에 결합되고, 전자 장치(200)가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부착된 가로 줄무늬 패턴의 패브릭에 대응되는 가로 줄무늬 패턴의 패브릭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가 제2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200)는 표시되는 패브릭 GUI를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가로 줄무늬 패턴의 패브릭 GUI를 흔들리는 물결 무늬의 동적 패브릭 GUI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패브릭 GUI의 움직임은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장르, 박자, 속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적 패브릭 GUI를 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되는 음악의 제목 등을 패브릭 GUI 위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패브릭 GUI 위에 표시되는 문자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브릭 GUI 위에 표시되는 문자는 전자 장치(200)를 둘러싼 프레임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에 흰색 프레임이 부착된 경우, 패브릭 GUI 위에 표시되는 문자의 색깔은 흰색일 수 있다.
또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에 검은색 프레임이 부착된 경우, 패브릭 GUI 위에 표시되는 문자의 색깔은 검은색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0)에 부착된 프레임의 색깔에 따라 패브릭 GUI 위에 표시되는 문자의 색깔이 변경되는 경우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에 부착된 프레임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프레임에 따라 패브릭 GUI의 형태, 색상 등이 변경될 수도 있으며, 패브릭 GUI 위에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 색깔, 폰트 등이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와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10).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와 체결된 경우(S1610-Y),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62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부착된 패브릭의 정보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연자 장치(200)와 체결되지 않은 경우(S1610-N),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630). 구체적으로,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와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인터페이스는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오디오 출력 장치(100)는 외부 장치(300)와 블루투스 연결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전자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와 체결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71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체결 여부는 전자 장치(200)에 포함된 오디오 출력 장치 감지부(203)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가 오디오 출력 장치(100)와 체결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제4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정보를(S1720). 이때, 수신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정보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에 부착된 패브릭 정보일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200)는 수신한 정보에 대응되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S1730). 이때, 오디오 출력 장치(100)의 정보가 패브릭 정보인 경우, 표시되는 GUI는 패브릭 정보에 대응되는 패브릭 GUI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가 컨텐츠 재생을 위한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패브릭 GUI가 표시되지 않으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100)가 체결된 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패브릭 GUI가 확장되며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5)

  1. 오디오 출력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모듈;
    외부의 전자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중 하나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타 오디오 출력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와 상기 타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연결부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변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 내부에 위치한 T자형 구조이고,
    상기 체결부가 푸쉬된 경우, 상기 T자형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전자 장치의 고정부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패브릭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패브릭이 부착된 경우, 상기 패브릭 감지부는 상기 부착된 패브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자석 커넥터로 구성되고, 제2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체결부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삽입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돌출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
  10.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와 체결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에 패브릭이 부착된 경우, 상기 부착된 패브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복수의 변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가 T자형 구조이고, 상기 체결부가 푸쉬된 경우, 상기 T자형 체결부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와 체결되기 위한 장착부;
    디스플레이;
    상기 장착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3 인터페이스;
    상기 장착부에 의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4 인터페이스; 및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체결된 경우, 상기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가 체결된 경우, 상기 제4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에 대응되는 G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와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가 상기 고정부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4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자석 커넥터와 연결되기 위한 자석 커넥터로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체결부가 상기 삽입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수직 방향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장치.
PCT/KR2018/011780 2017-10-31 2018-10-05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908847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27 2017-10-31
KR1020170143927A KR20190048742A (ko) 2017-10-31 2017-10-31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477A1 true WO2019088477A1 (ko) 2019-05-09

Family

ID=6633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1780 WO2019088477A1 (ko) 2017-10-31 2018-10-05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48742A (ko)
WO (1) WO2019088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446B1 (ko) 2019-08-02 202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오디오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630053B1 (ko) * 2022-12-07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크래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오디오 출력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4029A (ja) * 2004-09-22 2006-04-06 Yamaha Corp スピーカボックスおよびオーディオシステム
KR20070025156A (ko) * 2005-08-31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스피커를 통해서 스테레오 사운드를 출력하는휴대단말기
KR20080006303A (ko) * 2006-07-12 2008-01-16 네오피델리티 주식회사 착탈식 오디오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재생 장치
US20080080730A1 (en) * 2006-09-28 2008-04-03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and Speaker Control Method
KR20080095117A (ko) * 2007-04-23 2008-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브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4029A (ja) * 2004-09-22 2006-04-06 Yamaha Corp スピーカボックスおよびオーディオシステム
KR20070025156A (ko) * 2005-08-31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스피커를 통해서 스테레오 사운드를 출력하는휴대단말기
KR20080006303A (ko) * 2006-07-12 2008-01-16 네오피델리티 주식회사 착탈식 오디오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재생 장치
US20080080730A1 (en) * 2006-09-28 2008-04-03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and Speaker Control Method
KR20080095117A (ko) * 2007-04-23 2008-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브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742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8874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10502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WO2014092476A1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EP3304922A1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616750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the same
WO201701873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of display apparatus
WO2022010116A1 (ko) 디스플레이 화면 재생률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2030990A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17069551A1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9088477A1 (ko)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6052849A1 (en)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ui, and method for providing ui of display apparatus
WO2017135776A1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9059483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0080675A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035950A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004592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16024656A1 (ko) 이동 단말기
WO201708249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080867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147481A1 (ko) Nfc 장치, nfc 장치의 nfc 통신 방법 및 nfc 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매트
WO2022092652A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WO2021132868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87850A1 (ko) 멀티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9059492A1 (en) ELECTRONIC APPARATUS, ITS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22025343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27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27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