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820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820B1
KR102180820B1 KR1020160164591A KR20160164591A KR102180820B1 KR 102180820 B1 KR102180820 B1 KR 102180820B1 KR 1020160164591 A KR1020160164591 A KR 1020160164591A KR 20160164591 A KR20160164591 A KR 20160164591A KR 102180820 B1 KR102180820 B1 KR 102180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device
processor
displa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4069A (ko
Inventor
황세정
이브 베하
겐조 아서 데바이그
친 리
토니 글로리오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퓨즈프로젝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퓨즈프로젝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477,472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15372B2/en
Publication of KR20170124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069A/ko
Priority to US16/116,507 priority patent/US1041799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 광을 센싱하는 센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기기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일반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전 제품 중 하나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근 수년 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고, 정보를 습득하는 용도로 많이 이용되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커지고, 해상도가 향상되어 단순히 컨텐츠를 재생하는 용도 외에도 다양한 활용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심미적 기능을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 광을 센싱하는 센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 중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의 경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의 평균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크기의 변경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주변 광을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 중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의 경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평균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크기의 변경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감지 여부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림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의 세기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의 입사 방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에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에지 영역의 크기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휘도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림자 효과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서(110), 디스플레이(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컨텐츠를 표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로,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 태블릿(Tablet)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 액자,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키오스크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탠바이 모드, 프레임 모드 및 시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을 공급받으나, 아무런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최소한의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프레임 모드 또는 시청 모드인 경우의 동작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센서(110)는 주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으로 입사되는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110)는 광의 세기, 입사 방향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면에 구비되고, 각 센서(110)에서 입사되는 광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을 기초로 광의 입사 방향이 결정될 수도 있다.
센서(110)는 개별광 센서, 1차원 광센서, 2차원 광센서 및 복합광 센서일 수 있다. 센서(110)는 반도체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사용하는 파장의 범위를 중심으로 반도체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센서(110)는 자연의 빛을 센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인위적으로 빛을 발산하고, 반사되는 빛을 받아들일 수도 있다. 또는, 센서(110)는 카메라와 같이 이미지를 촬영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광의 세기, 입사 방향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센서(110)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으로 사용자가 진입하면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센서(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센서(1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110)는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후면, 옆면 등 각 면에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센서(110)가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방 뿐만 아니라 다른 측면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센서(110)는 다양한 감지 방법을 통해 사용자를 센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110)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30)는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고, 그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디스플레이(120)는 프레임 모드인 경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 테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의 영역은 제2 영역이고, 나머지 영역은 제1 영역으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설정된 거리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의 네 모서리마다 기설정된 거리가 다를 수도 있다.
제1 영역은 컨텐츠 제공 영역, 중심 영역 및 메인 영역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영역은 그림자 제공 영역, 주변 영역, 서브 영역, 테두리 영역, Mat 영역, 여백 영역 및 프레임 영역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칭한다.
디스플레이(120)는 시청 모드인 경우, 전체 화면 영역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프레임 모드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다른 컨텐츠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가 커질수록 제2 영역의 크기를 크게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을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광의 세기가 커질수록 구분되는 영역의 개수를 늘릴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에지 영역은 제2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단위로, 기설정된 구분 방법에 따라 구분된 영역일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에지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구분된 영역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복수의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에지 영역 중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인 경우, 디스플레이(120)의 상측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디스플레이(120)의 하측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 및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에지 영역 뿐만 아니라 나머지 에지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에지 영역 및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에지 영역 중 하나의 에지 영역의 크기만을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에지 영역 중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 및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광의 세기가 커질수록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의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을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에지 영역의 개수를 결정하고,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에지 영역의 경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컨텐츠의 평균 휘도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크기의 변경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공하는 복수의 모드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센서(110)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프레임 모드로 동작하고, 프레임 모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2 컨텐츠를 전체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시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시청 모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레임 모드로 동작하고,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는 동일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시청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프레임 모드에서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중이던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제1 영역에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중이던 컨텐츠가 동영상이더라도, 동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만을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동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중 모드가 변경되는 시점의 프레임을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프레임 모드로 동작하고, 프레임 모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청 모드로 동작하고, 시청 모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 및 변경될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프레임 모드로 동작하고,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시청 모드로 동작하고, 시청 모드에서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 감지된 사용자의 수, 감지된 사용자의 신장 및 감지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의 등록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변경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둘 이상 감지된 경우에만 프레임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사용자의 신장이 170cm 이상인 경우에만 시청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시청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프레임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센싱되는 중이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던 컨텐츠를 축소시켜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던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여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즉, 화면 상의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및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상이한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상의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시청 중이던 컨텐츠이고,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기 설정된 컨텐츠일 수 있다. 기 설정된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사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일 수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컨텐츠의 색상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색상을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컨텐츠의 평균 색상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1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각 프레임의 평균 색상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색상을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휘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30초 이상 감지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휘도를 올릴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에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림자는 물체가 빛을 가려서 그 물체의 뒷면에 형성되는 검은 그늘을 의미하며, 그림자 효과는 그림자가 생긴 것과 같은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평면이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그림자가 제2 영역에 생성될 수는 없다. 다만, 제2 영역에 제1 영역의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입체감을 줄 수 있다.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이 돌출된 것과 같은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만이 돌출된 것과 같은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그림자 효과에서 제공되는 그림자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가 커질수록 그림자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이 변경되면 그림자 영역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림자 영역은 그림자로서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는 제2 영역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되나, 그림자 영역은 이미지의 일부일 수 있고, 이 경우 그림자 영역은 제2 영역의 일부에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에지 영역 중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그림자 영역으로 결정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인 경우, 디스플레이(120)의 하측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그림자 영역으로 결정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휘도를 변경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백라이트를 구비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낮보다 밤에 백라이트의 밝기가 작아지도록 백라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의 휘도의 변경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의 휘도의 변경 정도를 제2 영역의 휘도의 변경 정도보다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는 그림자 효과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스토리지에 저장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 시에 입력된 정보일 수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정보는 시간대별 설정 정보일 수 있다.
도 1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서(110), 디스플레이(120), 프로세서(130), 스토리지(140), 통신부(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마이크(182)를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140)에 액세스하여,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12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30)의 동작은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리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드 제공 모듈, 그림자 효과 제공 모듈 및 디스플레이 영역 구분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와이파이 칩(151), 블루투스 칩(152), 무선 통신 칩(153), NFC 칩(154)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51), 블루투스 칩(15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51)이나 블루투스 칩(15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53)은 IEEE,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5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한편, 통신부(150)는 외부 장치와 단방향 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50)는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50)는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외부 장치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카메라,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터치 기반의 전자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상술한 디스플레이(12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8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마이크(183)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본 구성과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a는 아무런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제1 영역(10)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20)에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림자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시청 모드에서 전체 화면 영역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에서는 프레임 모드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던 컨텐츠가 시청 모드의 전체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모드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던 컨텐츠와 시청 모드의 전체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뿐만 아니라 화면 설정 UI, 채널 설정 UI 등을 포함한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스탠바이 모드에서 시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버튼이 조작되면, 스탠바이 모드에서 시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전원 버튼이 다시 한번 조작되면 시청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시청 모드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제1 영역(10) 및 제2 영역(20)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10)는 사용자를 센싱할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화면 상의 전체 영역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도 2b의 도면과 같이, 컨텐츠의 크기를 제1 영역(10)에 대응되도록 축소시키고, 제2 영역(20)에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는 카메라일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가 검출되지 않거나 사용자가 검출되더라도 눈을 감고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프레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심미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결혼 사진, 풍경화 등으로 변경하여 액자를 걸어놓은 듯한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제1 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변경할 수도 있다. 제1 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제조사에 의해 기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변경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별도의 모드 변경 버튼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모드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모드 변경 버튼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모드 변경 버튼은 하나의 버튼으로 구비되어 두 모드를 토글(toggle)할 수도 있고, 두 모드를 각각 나타내는 두 개의 모드 버튼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보다 작고,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특히 프레임 모드에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림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10) 및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20)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10)에 기설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20)에 제1 영역(10)의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는 제1 영역(10)을 제외한 제2 영역(20)에 대응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림자 효과에서 제공되는 그림자 영역(310)은 이미지의 일부에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20)의 우측 및 하측에 그림자 영역(310)을 제공하여 어둡게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인 좌측 및 상측은 밝게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20)의 우측 및 하측의 일부 영역에만 그림자 영역(310)을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그림자 영역(310)을 균일하게 어둡게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그림자 영역(310)을 불균일하게 어둡게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그림자 영역(310)에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법을 적용하여 어둡게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그림자 영역(310)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영역 각각의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기저장된 알고리즘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기설정된 알고리즘은 후술하는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을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토리지(140)는 다양한 경우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140)는 256 종류의 그림자 효과의 색상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스토리지(140)는 그림자 효과의 크기를 픽셀 단위로 변경한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40)는 그림자 효과의 색상 및 크기 뿐만 아니라 그림자 효과의 채도, 명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평균 색상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를 제2 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제2 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를 제2 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영역(20) 및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의 색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20)은 검은 색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붉은 색의 그림자 영역(310)을 갖는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제2 영역(20)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림자 영역(310)은 붉은 색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영역(20) 중 그림자 영역(310)이 아닌 영역은 검은 색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제1 영역(10)에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10)에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의 세기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그림자 효과에서 제공되는 그림자 영역(410)의 크기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광을 나타내는 화살표(30)가 도시되어 있으며, 화살표(30)의 두께는 광의 세기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보다 광의 세기가 강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의 화살표(30)는 도 3보다 두껍다. 프로세서(130)는 도 3의 경우보다 도 4의 경우에 그림자 영역(410)의 크기를 더 확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의 입사 방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그림자 효과에서 제공되는 그림자 영역(510)의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우측 상단으로부터 광이 입사되고,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20)의 좌측 및 하측을 그림자 영역(510)으로 결정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 모두를 고려하여 그림자 효과에서 제공되는 그림자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20)을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a에 도시된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구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 시 제조사에 의해 구분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20)을 구성하는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 중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그림자 영역(610)으로 결정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우측 상단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경우, 하측 에지 영역(20-3) 및 좌측 에지 영역(20-4)을 그림자 영역(610)으로 결정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에서는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그림자 영역(610)으로 결정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의 영역에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 모두에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나, 각 에지 영역의 일부만이 그림자 영역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0) 및 광의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그림자 영역(620)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10)이 돌출된 것으로 가정하고, 광의 입사 방향에 따라 제1 영역(10)에 의해 형성되는 그림자를 그림자 영역(620)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의 크기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20)을 구성하는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 중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좌측 상단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제2 영역(20)을 구성하는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 중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상측 에지 영역(20-1) 및 좌측 에지 영역(20-4)의 크기를 축소하고,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우측 에지 영역(20-2) 및 하측 에지 영역(20-3)의 크기를 확대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좌측 상단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측 에지 영역(20-1) 및 좌측 에지 영역(20-4)의 축소될 크기, 우측 에지 영역(20-2) 및 하측 에지 영역(20-3)의 확대될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영역(10) 및 제2 영역(20)의 휘도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영역(10) 및 제2 영역(20)의 휘도를 변경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8의 첫 번째 도면과 같이, 제1 영역(10)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20)에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도 8의 두 번째 도면과 같이 주변이 어두워지면, 제1 영역(10) 및 제2 영역(20)의 휘도를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백라이트를 구비한 경우, 백라이트의 휘도를 낮출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백라이트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각 픽셀의 명도 값을 낮출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면, 제1 영역(10) 및 제2 영역(20)의 휘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면, 제1 영역(10) 및 제2 영역(20)의 휘도를 올릴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림자 효과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그림자 효과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림자 효과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 화면은 그림자 영역의 색상, 그림자 각도 및 레이아웃 등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림자 효과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 화면은 시간대별 태양의 위치에 따른 그림자 방향을 결정하는 설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토리지는 그림자 효과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스토리지에 저장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와 무관하게,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을 센싱하여 동작하는 제1 프레임 모드와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2 프레임 모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1 프레임 모드 및 제2 프레임 모드 중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한다(S1010). 그리고, 주변 광을 센싱한다(S1020). 그리고,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한다(S1030).
여기서, 변경하는 단계(S1030)는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을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변경하는 단계(S1030)는 복수의 에지 영역 중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여기서, 변경하는 단계(S10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변경하는 단계(S1030)는 제1 영역의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한편, 변경하는 단계(S1030)는 센싱된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을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변경하는 단계(S10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에지 영역의 개수를 결정하고,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에지 영역의 경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변경하는 단계(S1030)는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변경하는 단계(S1030)는 컨텐츠의 평균 휘도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크기의 변경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감지 여부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그림자 영역이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고려하여 그림자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영역이 직사각형 형태의 영역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은 원형, 사다리꼴 등의 형태일 수도 있다. 제1 영역의 형태에 따라 제2 영역의 형태도 달라지고, 제2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에지 영역의 형태도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래밍되어 각종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매체를 실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제1 영역 20 : 제2 영역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센서
120 : 디스플레이 130 : 프로세서
140 : 스토리지 150 : 통신부
155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60 : 오디오 처리부
170 : 비디오 처리부 180 : 스피커
181 : 버튼 182 : 마이크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센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모드로 동작할지를 식별하며,
    상기 제1 모드로 식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모드로 식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동안,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된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의 일부 영역에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과 반대쪽에 위치한 영역을 상기 일부 영역으로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에 비례하여 상기 일부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일부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 각각의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일부 영역에,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법을 적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크기는 축소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크기는 확대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상기 일부 영역으로서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일부 영역에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일부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대한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휘도를 변경하여 상기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광의 세기 또는 상기 입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사용자를 센싱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센싱되지 않으면, 상기 제2 모드로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에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제1 컨텐츠와는 다른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사용자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모드로 동작할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로 식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영역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광을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로 식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영역에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주변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의 일부 영역에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과 반대쪽에 위치한 영역을 상기 일부 영역으로 식별하는,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에 비례하여 상기 일부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크기는 축소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크기는 확대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상기 일부 영역으로서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영역에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에 대한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센싱되지 않으면, 상기 제2 모드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영역에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제1 컨텐츠와는 다른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20.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센서로부터 사용자를 나타내는 제1 센싱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모드로 동작할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로 식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영역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2 센서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광의 제2 센싱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로 식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영역에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주변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의 일부 영역에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60164591A 2016-04-29 2016-12-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0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77,472 US10115372B2 (en) 2016-04-29 2017-04-0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6/116,507 US10417997B2 (en) 2016-04-29 2018-08-29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29481P 2016-04-29 2016-04-29
US62/329,481 2016-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069A KR20170124069A (ko) 2017-11-09
KR102180820B1 true KR102180820B1 (ko) 2020-11-20

Family

ID=6038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591A KR102180820B1 (ko) 2016-04-29 2016-12-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8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951B1 (ko) * 2018-11-15 2023-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7928A1 (en) * 2006-05-04 2007-11-08 Richard Marks Bandwidth Management Through Lighting Control of a User Environment via a Display Device
US20100079426A1 (en) * 2008-09-26 2010-04-01 Apple Inc. Spatial ambient light profil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915A (ko) * 2014-07-30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7928A1 (en) * 2006-05-04 2007-11-08 Richard Marks Bandwidth Management Through Lighting Control of a User Environment via a Display Device
US20100079426A1 (en) * 2008-09-26 2010-04-01 Apple Inc. Spatial ambient light pro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069A (ko)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799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42319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s
US10209513B2 (en)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510929B (zh) 一种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179958B1 (ko) LFD(large format display)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972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04082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26641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ting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EP3859724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US9236003B2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display method, data receiving method and data transmitting method
US9799251B2 (en)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quality matching method thereof
KR102140134B1 (ko)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US97061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determining imaging modes
KR102046569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08201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24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293146A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US2019001212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10219303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3081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082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27139B1 (ko)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KR10219492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4779B1 (ko)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CN111727423B (zh)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