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951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951B1
KR102617951B1 KR1020180140351A KR20180140351A KR102617951B1 KR 102617951 B1 KR102617951 B1 KR 102617951B1 KR 1020180140351 A KR1020180140351 A KR 1020180140351A KR 20180140351 A KR20180140351 A KR 20180140351A KR 102617951 B1 KR102617951 B1 KR 102617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isplay device
backlight
imag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551A (ko
Inventor
최우섭
김도영
정구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951B1/ko
Priority to PCT/KR2019/015345 priority patent/WO2020101324A1/en
Priority to US16/685,362 priority patent/US11095844B2/en
Publication of KR20200056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패널의 화면과는 반대 측에 마련되는 광센서; 및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패널의 상태와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패널의 제어 또는 패널의 상태와 연동하여 광센서의 감지값을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 신호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TV 등 디스플레이장치의 베젤이 갈수록 얇아지고 있다. 베젤이 얇을수록 디스플레이장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베젤이 얇아짐에 따라 종래 베젤에 위치하던 부품들의 배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조도 센서, 컬러 센서 등의 광센서가 디스플레이장치 내부로 이동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센서가 디스플레이장치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 내부의 광 신호는 물론,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 신호 또는 디스플레이장치 외부의 광 신호도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광센서가 장치 내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광센서가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광센서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 내부, 외부 또는 패널로부터의 광을 감지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패널의 화면과는 반대 측에 마련되는 광센서; 및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패널의 상태와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패널의 제어 또는 패널의 상태와 연동하여 광센서의 감지값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광을 출력하는 백라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백라이트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변동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하고, 상기 백라이트의 상태와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백라이트 제어 또는 백라이트의 상태와 연동하여 광센서의 감지값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널의 광 투과율이 변화되도록 상기 패널의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패널의 광 투과율에 따라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널이 제1상태에서 그보다 광 투과율이 높은 제2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의 광에 대한 감지값으로 판단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 및 상기 영상의 광에 대한 감지값으로 판단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지 않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와 내부 및 상기 영상의 광에 대한 감지값으로 판단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감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동안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2감지값을 보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 내/외부에 관한 광 정보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광센서는 적외선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널이 상기 제2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해 감지된 적외선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적외선센서(102)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적외선센서(10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 외부의 광을 감지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하는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고려하여 패널(111) 및/또는 백라이트(112)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적외선센서(102)로 적외선신호를 감지하므로, 사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상표시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적외선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 주기에 따라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적외선센서(102)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발신된 적외선신호를 계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널의 제1영역에 대해서는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패널의 제2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패널의 일부 영역만을 적외선 신호 감지를 위한 영역으로 설계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장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한 상기 적외신신호 감지 시 상기 소정 주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한 상기 적외신신호 감지 시 상기 소정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적외선 신호의 수신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적외선 센서(102)의 수신 감도가 향상되므로, 적외선 신호 감지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패널의 화면과는 반대 측에 마련되는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과 상기 패널의 상태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패널의 제어 또는 패널의 상태와 연동하여 광센서의 감지값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광을 출력하는 백라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백라이트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변동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하고, 상기 백라이트의 상태와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백라이트 제어 또는 백라이트의 상태와 연동하여 광센서의 감지값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패널의 광 투과율이 변화되도록 상기 패널의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패널의 광 투과율에 따라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패널이 상기 제2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의 광에 대한 감지값으로 판단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 및 상기 영상의 광에 대한 감지값으로 판단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지 않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와 내부 및 상기 영상의 광에 대한 감지값으로 판단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감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동안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2감지값을 보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 내/외부에 관한 광 정보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광센서는 적외선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패널이 상기 제2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해 감지된 적외선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적외선센서(102)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적외선센서(10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 외부의 광을 감지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하는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고려하여 패널(111) 및/또는 백라이트(112)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적외선센서(102)로 적외선신호를 감지하므로, 사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상표시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적외선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소정 주기에 따라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적외선센서(102)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발신된 적외선신호를 계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패널의 제1영역에 대해서는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패널의 제2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패널의 일부 영역만을 적외선 신호 감지를 위한 영역으로 설계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장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한 상기 적외신신호 감지 시 상기 소정 주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한 상기 적외신신호 감지 시 상기 소정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적외선 신호의 수신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적외선 센서(102)의 수신 감도가 향상되므로, 적외선 신호 감지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되어 위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서버 내의 매체에 저장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센서가 장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광센서가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광센서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 내부, 외부 또는 패널로부터의 광을 감지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3)가 패널(111)을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3)가 백라이트(112)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3)가 패널(111) 및/또는 백라이트(112)를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3)가 패널(111) 및/또는 백라이트(112)를 제어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3)가 패널(111) 및/또는 백라이트(112)를 제어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3)가 패널(111), 백라이트(112) 및/또는 적외선센서(102)를 제어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작동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또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컨대, TV, 특히 베젤이 매우 얇게 마련된 TV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컨대, 비디오월, 전자액자, 디지털 광고판, LFD(Large Format Display), 디지털 싸이니지, 스마트폰, 태블릿, 모바일폰, 스마트워치,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터, 멀티미디어 재생기 등 컨텐츠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용자는, 리모컨(200)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리모컨(200)은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1), 적외선센서(102), 프로세서(103)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다른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배제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적외선센서(102)를 포함하는 구현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컬러센서, 조도센서, 휘도센서 등을 포함하는 광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적외선센서(102)를 포함한 구성을 전제로 먼저 설명하고 컬러센서나 조도센서 등을 포함하는 광센서를 구비한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은 후술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하의 설명에서 적외선센서(102)에 관련된 동작 및 설명내용은 광센서에 관련된 동작 및 설명내용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micro LED),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r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액정 방식인 경우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11)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112)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부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01)는, 백라이트 없이, 자발광 소자인 OLED 패널(111)로 구현될 수 있다.
적외선센서(102)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의 적외선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적외선센서(102)는 리모컨(200)에서 발신된 적외선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그 적외선 신호에 포함된 제어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는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03)에서 수행하는 영상처리는, 예를 들어, 입력되는 스트림을 영상, 음성, 부가데이터의 각 하위 스트림으로 구분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스트림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스트림을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스트림을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0) 이외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조 시에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프로세서(103)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서(103)가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의 편의상, 제어프로그램을 언급하지 않고, 프로세서(103)의 동작으로 설명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는, 예컨대,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01)에 제어할 수 있고,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도록 적외선센서(10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3)는 적외선센서(102)에서 감지한 적외선 신호에 포함된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하나의 프로세서(103)에서 처리와 제어를 함께 수행하는 구성으로 구현된 것을 나타내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처리부와 별도로 제어부를 추가 구비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신호 수신부(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신호수신부(104)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영상신호수신부(104)는 방송신호와 같은 형태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tuner)를 구비할 수 있다. 튜너는 복수의 채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영상신호수신부(104)는 카메라, 서버, USB저장장치, DVD,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영상신호수신부(104)는 외부장치와 통신하여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 장치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는 유선통신을 위한 접속부를 포함하며, 접속부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CF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복수의 서버들과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유선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는 Wi-Fi, WiFi Direct, 이더넷(Ethernet),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SPP(Serial Port Profile),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Radio Control, UWM(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1)는, 화면(111a)을 표시하는 패널(111)을 포함한다. 패널(111)의 구현 방식에 특별한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1)가 액정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패널(11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01)가 유기발광 다이오드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패널(111)은 OLED 패널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01)가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패널(111)은 micro LE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패널(111) 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1)가 액정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디스플레이(101)는 백라이트(112), 광학시트(113), 반사시트(114)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디스플레이(101)를 수용하는 하우징(1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적외선센서(102)는, 패널(111)의 화면(111a)과는 반대 측에 마련되어, 패널(111)을 통해 들어오는 적외선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센서(102)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01)의 화면(111a)을 향하여 리모컨(200)을 들고 버튼을 누른 경우, 리모컨(200)에서 발신되어 패널(111)을 통해 들어오는 적외선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위 적외선신호의 감지를 위해 적외선센서(102)는 하우징(105) 중 패널(111)과 마주보는 부분(또는 그 부근)에 위치하고 패널(111)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적외선센서(102)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패널(111)을 통해 들어오는 적외선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와 방향이라면 어디든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 또는 도 6과 같이, 적외선센서(102)는 하우징(105) 중 패널(111)의 측면에 있는 부분(또는 그 부근)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0)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1)가 백라이트(112)를 포함할 경우, 백라이트(112)의 위치와 방향에도 특별한 한정은 없다. 일 예로, 백라이트(112)는,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하우징(105) 중 패널(111)과 마주보는 부분의 소정 위치(예를 들어 중앙부)에 위치하고 패널(111)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백라이트(112)는,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하우징(105) 중 패널(111)의 측면에 있는 부분(또는 그 부근)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0)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백라이트(112)가 패널(11)의 측면측 하우징(105)(또는 그 부근)에 위치할 경우, 백라이트(112)는 도광판(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적외선센서(102)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적외선센서(10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 외부의 광을 감지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위 실시예의 경우, 디스플레이(101)의 패널(111)에 영상이 표시되는 중에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01) 패널(111)의 화면(111a)을 향하여 리모컨(200) 버튼을 누른 경우라면, 패널(111) 화면(111a)의 반대 측에 마련된 적외선센서(102)를 통한 리모컨(200) 적외선신호의 수신감도는 높지 않을 수 있다. 리모컨(200)에서 발신된 적외선신호의 경로가 영상이 표시 중인 패널(111)에 의해 방해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영상이 표시 중인 패널(111)의 광 투과율이 높지 않을 수 있다.
적외선신호의 수신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3)는 광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패널(111)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111)은 제1상태 및 제1상태보다 광 투과율이 높은 제2상태를 가지며, 프로세서(103)는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패널(111)을 제어하고, 패널(111)이 제2상태인 동안 적외선센서(102)에 의해 감지된 적외선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가 패널(111)을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101)가 액정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프로세서(103)는 패널(111)의 액정이 화면(111a)과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액정을 제어하는 신호(이하 'OPEN 신호'라고도 함)를 통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액정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패널(111)의 액정이 화면(111a)과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하나의 예일 뿐, 그와 다른 각도가 되도록 하여 패널(111)을 제2상태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액정은, 프로세서(103)가 아니라, 패널(111)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액정의 상태 또는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는 영상신호에 의한 픽셀값이 클수록 수평을 기준으로 액정의 기울기가 증가하도록 액정을 제어할 수 있고, 영상신호에 의한 픽셀값이 작을수록 수평을 기준으로 액정의 기울기가 감소하도록 액정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에로, 영상신호와는 무관하게,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직접 제어하여 액정의 상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에 의해 패널(111)의 액정이 제어되는 것을, 설명의 편의상, 프로세서(103)에 의해 패널(111)의 액정이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가 패널(111)을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101)가 유기발광 다이오드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프로세서(103)는 OLED 패널(111)이 투명 디스플레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101)가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프로세서(103)는 micro LED 패널(111)이 투명 디스플레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03)가 패널(111)을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인 아니고, 패널(111)의 광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방법이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101)가 액정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1)가 액정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에, 프로세서(103)가 패널(111)을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서(103)는 패널(111)의 액정(800)이 패널의 화면(111a)과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패널(111)의 액정(800)을 제어하는 신호인 OPEN 신호를 패널(111)로 전송함으로써, 패널(111)을 제1상태에서 그보다 광 투과율이 높은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PEN 신호에 따라 제어된 패널(111)의 경우, 도 8과 같이, 패널(111)의 액정(800)이 패널의 화면(111a)과 수직한 방향이 되므로, 패널(111)의 액정(800)이 패널의 화면(111a)과 수직하지 않은 경우 등과 비교하여, 적외선 신호가 패널(111)을 투과하기 용이한 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 패널의 화면(111a) 반대 측에 마련되는 적외선센서(102)에 도달하는 적외선 신호가 증가한다.
이에 의하면, 패널(111)을 통하여 감지되는 적외선신호 감지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1)가 액정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되어 액정 패널(111) 및 백라이트(112)를 구비한 경우, 백라이트(112)는 패널(111)의 후면을 향해 광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므로, 본 발명의 적외선센서(102)와 마찬가지로 패널의 화면(111a)과는 반대 측에 마련된다. 그 경우, 백라이트(112)에서 출력된 광으로 인해 적외선센서(102)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백라이트(112)에서 출력된 광이 적외선센서(102)에 대해 노이즈로 작동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 적외선센서(102)의 감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프로세서(103)는 출력되는 광의 세기 또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백라이트(11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광의 세기에 관해서만 언급하나, 이는 광량에 관한 설명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1)가 액정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되어 액정 패널(111) 및 백라이트(112)를 구비한 경우에, 프로세서(103)가 출력되는 광의 세기가 저감되도록 백라이트(112)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적외선센서(102)가 패널(111)을 통해 들어오는 적외선신호를 감지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3)는, 패널(111)에 대해 OPEN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패널(111)을 광 투과율이 높은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또는 이와 독립적으로, 백라이트(112)에서 출력되는 광의 세기가 저감되도록 백라이트(112)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방법의 일 예로서 프로세서(103)는, 백라이트(112)에 대한 전원 공급을 중단하도록 명령하는 신호(이하 'OFF 신호'라고도 함)를 백라이트(112)에 전송할 수 있다. 그 경우, 백라이트(112)에서는 광이 출력되지 않게 되므로, 적외선센서(102)는 백라이트(112)에서 출력된 광에 의한 노이즈 없이 적외선신호를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출력되는 광의 세기가 저감되도록 백라이트(112)를 제어하는 방법이 위와 같이 백라이트(112)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전면 중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예로, 백라이트(112)에 공급되는 전압을 줄이는 등 출력되는 광의 세기를 일정 정도만 줄이는 방법 등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패널(111)을 통하여 감지되는 적외선신호 감지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프로세서(103)가 패널(111)이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패널(111)을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로서, 패널(111)에 대해 OPEN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패널(111)이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패널(111)을 제어하는 경우, 패널(111)의 화면에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서(103)가 패널(111)에 대해 OPEN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패널(111)이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시간이 길어질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이 표시되는 중간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순간이 있음을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는 등,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표시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3)가 패널(111) 및/또는 백라이트(112)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3)가 패널(111)에 대해 OPEN 신호 등을 전송함으로써 패널(111)이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패널(111)을 제어하거나, 또는 프로세서(103)가 백라이트(112)에 대해 OFF 신호 등을 전송함으로써 광의 세기가 저감되도록 백라이트(112)를 제어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03)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하는 소정 시간동안 해당 제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널(111)과 백라이트(112)에 대한 위 제어를 각각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라고 하고,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가 동시에 수행되는 실시예를 전제로 설명한다. 다만,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는 서로 독립적인 제어로서 두 제어가 항상 동시에 수행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둘 중 하나만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1과 같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60 frame/s인 경우, 즉 1초당 60개의 영상 프레임이 처리되고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하나의 영상 프레임이 화면에 표시되는 시간은 대략 16ms 정도이다. 이 경우 프로세서(103)는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가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하는 소정 시간동안,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해당하는 16ms보다 짧은 시간인 5ms동안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는, 1초에 표시할 영상 프레임이 모두 화면에 표시되고 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59번째 프레임과 60번째 프레임의 처리 및 표시가 끝난 이후에, 프로세서(103)는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의 타이밍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예로, 도 12와 같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24 frame/s인 경우, 즉 1초당 24개의 영상 프레임이 처리되고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하나의 영상 프레임이 화면에 표시되는 시간은 대략 40ms 정도이다. 이 경우 프로세서(103)는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가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하는 소정 시간동안,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해당하는 시간인 40ms와 같은 시간동안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는, 1초에 표시할 영상 프레임이 모두 화면에 표시되고 난 이후에, 즉, 도 12와 같이 23번째 프레임과 24번째 프레임의 처리 및 표시가 끝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가 수행되는 시간 동안에는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가 수행되는 시간이 길어지면 사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표시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도 11과 도 12를 비교하면, 도 12의 경우 도 11에 비해 초당 처리되는 프레임의 수, 즉 프레임 레이트는 감소한 반면,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가 수행되는 시간은 증가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1 및 도 12 모두,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가 수행되는 시간이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보다 짧은 시간 또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와 같은 시간 동안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를 수행하므로, 사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표시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고려하여 패널(111) 및/또는 백라이트(112)를 제어하고 그에 따라 적외선센서(102)로 적외선신호를 감지하므로, 사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상표시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적외선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리모컨(200) 입력 등에 따른 적외선 신호를 계속적으로 감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실시예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3)가 패널(111) 및/또는 백라이트(112)를 제어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서(103)는 소정 주기에 따라,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패널(111)을 제어하거나, 출력되는 광의 세기가 저감되도록 백라이트(112)를 제어한다. 일 예로, 프로세서(103)는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를 소정 주기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프로세서(103)가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를 1초의 주기로 수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에 의하면, 적외선센서(102)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발신된 적외선신호를 계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는 패널(111)을 통과하는 적외선신호의 투과율이 낮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외선센서(102)에 의한 적외선신호의 감지가 부정확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센서(102)가 항상 동작하도록 하는 대신, 패널(111)이 광 투과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인 경우에만 적외선센서(102)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적외선신호의 실질적인 감지율은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력 소비는 줄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3)가 패널(111) 및/또는 백라이트(112)를 제어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의하면, 적외선센서(102)에 대한 전원이 패널(111)에 대한 제어 신호와 무관하게 항상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패널(111)이 상대적으로 광 투과율이 높은 상태에 있는 경우, 예를 들어 OPEN 신호에 따른 패널 제어가 수행되는 시간 동안에만 적외선센서(102)에 대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프로세서(103)는 적외선센서(102)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OPEN 신호에 따른 패널 제어와 OFF 신호에 따른 백라이트 제어가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에는, 적외선센서(102)에 대한 전원 공급 제어도 위 두 제어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적외선센서(102)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발신된 적외선신호를 감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패널(111) 또는 백라이트(112)에 대한 제어(예를 들어 OPEN 신호에 따른 패널 제어 또는 OFF 신호에 따른 백라이트 제어)는 패널(111)의 화면 전체에 걸쳐 이뤄질 수도 있고 화면 일부에 대해서만 이뤄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널(111)를 제어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03)는 패널의 제1영역에 대해서는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패널의 제2영역에 대해서는 OPEN 신호에 따른 패널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제2영역을 통해 적외선 센서(102)가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영역은 패널(111)의 화면 중 일부에 해당하는 영역이라면 어떤 형태라도 가능하다. 또한, 적외선 센서(102)는 제2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적외선 센서(102)는 제1영역에 대응하는 제1적외선 센서 및 제2영역에 대응하는 제2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03)는, 위와 같이 패널(111)의 화면 일부에 대해서만 OPEN 신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백라이트(112) 또한 화면 일부에 대응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3)가 패널의 제1영역에 대해서는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패널의 제2영역에 대해서는 OPEN 신호에 따른 패널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03)는 이와 동시에, 패널의 제1영역에 대응하는 백라이트(112) 영역에 대해서는 전원을 공급하고 패널의 제2영역에 대응하는 백라이트(112) 영역에 대해서는 OFF 신호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이른바 백라이트 로컬 디밍). 이 경우에도 적외선 센서(102)는 패널의 제2영역에 대응하는 백라이트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됨으로써, 패널의 제1영역에 대응하는 백라이트가 켜짐에 따라 적외선 센서(102)에 노이즈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제1영역에 대응하는 제1적외선 센서 및 제2영역에 대응하는 제2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패널의 일부 영역만을 적외선 신호 감지를 위한 영역으로 설계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장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패널(111)과 백라이트(112)에 대한 제어(예를 들어 OPEN 신호에 따른 패널 제어와 OFF 신호에 따른 백라이트 제어)가 소정 시간 동안 또는 소정 주기로 수행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111)과 백라이트(112)에 대한 제어가 수행되는 소정 시간 또는 소정 주기는,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3)가 패널(111), 백라이트(112) 및/또는 적외선센서(102)를 제어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3)는,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한편(S1501), 소정 주기로, 제1상태보다 광 투과율이 높은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패널(111)을 제어하고, 출력되는 광의 세기가 저감되도록 백라이트(112)를 제어하면서(S1502), 패널을 통해 들어오는 적외선신호 감지한다(S1503).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3)는, 적외선센서(102)가 패널의 화면과는 반대 측에 마련되더라도, 패널의 화면을 향해 발송된 리모컨(200)의 적외선 신호 등을 높은 신뢰도로, 그리고 계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03)는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S1504). 적외선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03)는 감지된 적외선신호에 포함된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한편(S1505), 패널 제어와 백라이트 제어가 수행되는 소정 주기를 감소시킨다(S1506). 반면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03)는 기존의 주기에 따라 패널 제어 및 백라이트 제어를 수행하며 적외선 신호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적외선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식별된 경우 패널 제어와 백라이트 제어가 수행되는 소정 주기를 감소시키는 이유는, 사용자가 한번 리모컨(200)을 사용하면 이후 연속적으로 버튼을 누르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후의 적외선 신호에 대한 수신감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즉, 적외선 신호가 일단 수신되면, 이후로 또 다른 적외선 신호가 수신될 것이 예상되므로, 이후의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102)의 감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이에 의하면, 적외선 신호의 수신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적외선 센서(102)의 수신 감도가 향상되므로, 적외선 신호 감지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적외선 센서(102)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패널 제어와 백라이트 제어가 수행되는 '소정 주기'를 감소하는 방법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예로, 적외선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03)는, 패널 제어와 백라이트 제어가 수행되는 '시간'을 기존의 시간보다 늘림으로써 적외선 센서(102)의 수신 감도가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적외선 센서(102)가 높은 신뢰도로 적외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시간의 절대량을 늘림으로써 적외선 센서(102)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에 의하더라도, 적외선 신호의 수신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적외선 센서(102)의 수신 감도가 향상되므로, 적외선 신호 감지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패널(111)과 백라이트(112)에 대한 제어가 수행되는 소정 시간 또는 소정 주기가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정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널(111)과 백라이트(112)에 대한 제어가 수행되는 소정 시간 또는 소정 주기는 사용자의 입력 등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적외선센서(102)가 패널(111)의 화면과는 반대 측에 마련되어, 패널을 통해 감지되는 적외선신호에 포함된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포함할 수 있는 센서가 적외선센서(10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이외의 다른 종류의 광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컬러센서 또는 조도센서 등의 광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의 컬러 변화 또는 밝기 변화에 대응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적외선신호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102)에 대하여 설명한 이상의 각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의 광 신호를 감지하는 컬러센서 또는 조도센서 등의 광센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다시 말해, 광센서가 패널의 화면과는 반대 측에 마련되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패널(111)을 통해 감지되는 광 신호에 따른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광센서를 포함할 경우, 프로세서(103)는 패널(111)의 상태와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패널(111)의 상태와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한다는 것은,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해석하거나 처리함에 있어서 패널(111)의 상태를 고려하여 해석 및/또는 처리하고 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3)는 패널(111)의 광 투과율이 변화되도록 패널(111)의 상태를 제어하고, 패널(111)의 광 투과율에 따라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보정하고, 보정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광센서를 포함할 경우, 프로세서(103)는 백라이트(112)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변동되도록 백라이트(112)를 제어하고, 백라이트(112)의 상태와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도 백라이트(112)의 상태와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한다는 것은,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해석하거나 처리함에 있어서 백라이트(112)의 상태를 고려하여 해석 및/또는 처리하고 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광센서를 포함할 경우, 광센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 즉 하우징(105) 외부의 색상, 색온도, 조도뿐만 아니라, 패널(111)의 색상, 색온도, 조도, 나아가 디스플레이장치(100) 내부의 색상, 색온도, 조도 등을 감지하는 다양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를 들어 외부감지모드(1601), 영상감지모드(1602), 혼합감지모드(1603)로 동작할 수 있다.
외부감지모드(1601)의 경우, 프로세서(103)는 패널(111)이 제1상태에서 그보다 광 투과율이 높은 제2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백라이트(112)를 제어한 것에 기초하여,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의 광에 대한 감지값으로 판단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OPEN 신호를 통한 패널 제어와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가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가 외부감지모드(1601)에 해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외부감지모드(1601)로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한 광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정보는 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로부터의 광에 의한 광 정보이다. 외부감지모드(1601)에서는 백라이트(112)와 패널 영상의 영향 없이 디스플레이장치(100) 내부의 조도 및/또는 컬러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 가능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0) 외부로부터의 적외선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가 향상되어 원거리 수신과 성공율이 향상된다.
영상감지모드(1602)의 경우, 프로세서(103)는 패널(111)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백라이트(112)를 제어한 것에 기초하여,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 및 패널(111)에 표시되는 영상의 광에 대한 감지값으로 판단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F 신호를 통한 백라이트 제어만 수행되고 패널(111)에는 영상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가 영상감지모드(1602)에 해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영상감지모드(1602)로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한 광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정보는 주로 패널(111)에 표시되는 영상 자체에 의한 광 정보이다.
혼합감지모드(1603)의 경우, 프로세서(103)는 패널(111)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지 않도록 백라이트(112)를 제어한 것에 기초하여,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와 내부 및 패널(111)에 표시되는 영상의 광에 대한 감지값으로 판단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패널(111)에는 영상 신호가 전송되고 백라이트(112)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가 혼합감지모드(1603)에 해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혼합감지모드(1603)로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한 광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외부의 광 정보와 디스플레이장치(100) 내부 및/또는 패널(111) 영상의 광 정보가 혼합된 광 정보이다.
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 외부의 광 정보 외에도, 디스플레이장치(100) 내부 및/또는 패널(111) 영상의 광 정보도 획득하여 이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광센서가 패널(111)의 화면과 반대 측에 마련된 실시예의 경우, 광센서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곽 하단 등에 설치된 경우와 비교하여, 외부 물체에 의한 방해를 적게 받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와 외부가 동시에 감지되도록 설치되었을 경우에도 내부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외부 감지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03)는, 외부감지모드(1601)와 영상감지모드(1602), 그리고 혼합감지모드(1603)의 세 모드 중 하나의 모드에서 감지한 감지값에 기초하여 다른 감지모드에서 감지한 감지값을 보정하는 방법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외부의 광에 대한 감지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3)는 패널(111)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감지값에 기초하여 패널(111)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동안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2감지값을 보정할 수 있다.
이하 감지값 보정에 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외부감지모드(1601)에서 감지되는 광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외부의 광 정보이다. 영상감지모드(1602)에서 감지되는 광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외부의 광 정보에, 패널(111)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따른 광 정보가 합해진 정보이다. 혼합감지모드(1603)에서 감지되는 광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외부의 광 정보에, 패널(111)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따른 광 정보 및 백라이트(112)에 의해 출력되는 광 정보가 모두 합해진 정보이다. 따라서 외부감지모드(1601)에서 감지한 감지값에 기초하여 영상감지모드(1602)에서 감지한 감지값을 보정할 경우, 예를 들어 영상감지모드(1602)에서 감지한 감지값에서 외부감지모드(1601)에서 감지한 감지값을 빼면, 오직 패널(111)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의한 광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혼합감지모드(1603)에서 감지한 감지값에서 영상감지모드(1602)에서 감지한 감지값을 빼면, 오직 백라이트(112)에 의해 출력되는 광에 관한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혼합감지모드(1603)에서 감지한 감지값에서 외부감지모드(1601)에서 감지한 감지값을 빼면, 패널(111)에서 표시되는 영상에 의한 광 정보와 백라이트(112)에 의해 출력되는 광에 의한 광 정보의 합, 즉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구성인 패널(111)과 백라이트(112)에 의한 광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외부에 관한 광 정보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01: 디스플레이
102: 적외선센서
103: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화면을 표시하는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패널의 화면과는 반대 측에 마련되는 광센서; 및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패널의 상태와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감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동안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2감지값을 보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광을 출력하는 백라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백라이트에서 출력되는 광량이 변동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하고, 상기 백라이트의 상태와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널의 광 투과율이 변화되도록 상기 패널의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패널의 광 투과율에 따라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감지값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널이 제1상태에서 그보다 광 투과율이 높은 제2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의 광에 대한 감지값으로 판단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 및 상기 영상의 광에 대한 감지값으로 판단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지 않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와 내부 및 상기 영상의 광에 대한 감지값으로 판단하고 그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적외선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널이 상기 제2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해 감지된 적외선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하는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제2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광량이 저감되도록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패널의 화면과는 반대 측에 마련되는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과 상기 패널의 상태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감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패널의 화면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동안 상기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2감지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되어 제14항의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80140351A 2018-11-15 2018-11-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17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351A KR102617951B1 (ko) 2018-11-15 2018-11-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9/015345 WO2020101324A1 (en) 2018-11-15 2019-11-12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6/685,362 US11095844B2 (en) 2018-11-15 2019-11-15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351A KR102617951B1 (ko) 2018-11-15 2018-11-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551A KR20200056551A (ko) 2020-05-25
KR102617951B1 true KR102617951B1 (ko) 2023-12-26

Family

ID=7072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351A KR102617951B1 (ko) 2018-11-15 2018-11-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95844B2 (ko)
KR (1) KR102617951B1 (ko)
WO (1) WO20201013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7577B (zh) * 2020-08-31 2023-10-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显示校准方法及装置
CN114120832B (zh) * 2021-11-23 2023-03-2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2741A1 (en) * 2006-03-22 2007-09-27 Nec Lcd Technologi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backlight unit used i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20090033676A1 (en) * 2007-07-30 2009-02-05 Motorol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isplay color compensation
US20120146973A1 (en) * 2009-08-27 2012-06-14 Eiichi Kaji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4955A (ja) * 2000-02-22 2002-03-29 Philips Japan Ltd 画像表示撮像装置
JP2009092724A (ja) * 2007-10-04 200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
KR20100008845A (ko) * 2008-07-17 2010-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25044B1 (ko) * 2010-05-27 201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JP5653239B2 (ja) 2011-02-04 2015-01-1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793281B1 (ko) * 2011-04-11 2017-1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US20150116507A1 (en) 2013-10-25 2015-04-30 Ciil Technologies, Llc Monitoring system for an outdoor display
KR20150106232A (ko) * 2014-03-11 2015-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인식장치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2180820B1 (ko) * 2016-04-29 2020-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2741A1 (en) * 2006-03-22 2007-09-27 Nec Lcd Technologi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backlight unit used i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20090033676A1 (en) * 2007-07-30 2009-02-05 Motorol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isplay color compensation
US20120146973A1 (en) * 2009-08-27 2012-06-14 Eiichi Kaji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95844B2 (en) 2021-08-17
US20200162694A1 (en) 2020-05-21
WO2020101324A1 (en) 2020-05-22
KR20200056551A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6886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CN111226272B (zh) 图像显示装置
KR2016011657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186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983610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395605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KR10261795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2031945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045337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8964123B2 (en) AV device with backlight brightness control
EP367171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JP5644385B2 (ja) 表示装置
US1107487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292686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KR102642615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3691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77656B1 (ko) 영상표시기기
US10757771B2 (en) Pointing element, image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inting element
KR10252193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514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93491A (ko) 영상출력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201110942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120094802A (ko) 무선 rf 방식을 이용하는 헤드 셋과 키보드의 연결이 가능한 리모컨
KR202100295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19022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