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576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576A
KR20160116576A KR1020150044472A KR20150044472A KR20160116576A KR 20160116576 A KR20160116576 A KR 20160116576A KR 1020150044472 A KR1020150044472 A KR 1020150044472A KR 20150044472 A KR20150044472 A KR 20150044472A KR 20160116576 A KR20160116576 A KR 20160116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evel
viewing fatigue
fatigue level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230B1 (ko
Inventor
권오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4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230B1/ko
Priority to US15/085,249 priority patent/US9953615B2/en
Publication of KR2016011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H04N9/73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olour palettes, e.g. look-up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1Multi-purpose receivers, e.g. for auxiliar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3Hue control means, e.g. flesh ton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20/062Adjustment of illumination source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영상신호의 일구간에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변화특성이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적합구간 동안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신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시청피로레벨을 감소하는데 있어 영상의 액티비티에 따른 적응적인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급격한 화질 변화에 의한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의 블루 라이트 저감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TV),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백라이트로서 LED와 같은 광원이 구비된다. LED 광원은 기존의 형광등이나 백열등, 할로겐 등에 비해 청색광 즉, 블루라이트(blue light)를 더 많이 배출하는 경향이 있다.
블루라이트는 오래 노출되면 눈의 피로, 안구 건조증 등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 눈 속의 망막이나 수정체에 손상을 가져오는 등 신체에 유해할 수 있다. 또한, 밤 늦게 디스플레이장치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블루 라이트로 인해 수면유도 호르몬 분비가 저하돼 수면을 방해하기도 한다.
이러한 블루라이트 방출량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블루라이트 신호 성분의 게인(gain)을 인위적으로 줄여주거나, 블루라이트 신호 성분의 투과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필터를 부착하는 방식 등이 사용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게인을 줄여주는 방식에서는 블루라이트 방출량을 감소시키는 과정에서 화질 특성이 급격하게 변경되어, 화면을 계속해서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컨텐츠가 매우 다양한데 반해 현재 표시되는 영상의 특징과 관계없이 획일적으로 화질이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작업 환경에 맞는 최적의 화질을 제공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입력 영상의 변경에 적응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물리적인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에도 영상의 특징과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필터에 의해 블루라이트가 차단되는 것에 불과하므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화질을 제공하기 어렵고, 입력 영상의 변경에도 적절하기 대처하기가 어렵게 된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영상신호의 일구간에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변화특성이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적합구간 동안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의 액티비티에 따른 적응적인 제어가 가능하므로, 시청피로레벨을 감소시키면서도 급격한 화질 변화를 피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적합구간 동안 표시되는 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정하여,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화질 변화에 대한 인지가 어려운 구간에서 속성값 조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시청피로레벨은 블루라이트 방출량을 포함하며, 영상의 속성은 영상의 명암비, 색온도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게 신체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블루라이트에 장시간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프로세서는 표시되는 영상의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의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시청피로레벨 감소에 따른 명암비의 변경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컨텐츠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화된 변경범위가 적용됨으로써,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영상의 카테고리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을 포함하며, 동영상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가 정지영상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영상이 변경 정도가 작은 정지영상에서 급격한 화질 변경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이 감소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표시되는 영상의 카테고리의 변경이 감지되면, 변경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명암비의 변경 범위 내에서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시시각각 변경되는 영상에 적응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저감기능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영상의 색온도 및 휘도의 설정값에 대한 룩업 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적합구간 동안 룩업 테이블로부터 저감기능의 동작 시간에 대응하는 색온도 및 휘도값을 호출하고, 호출된 색온도 및 휘도값이 표시되는 영상에 적용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최적화된 시점에 최적화된 속성값이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저감기능의 성능이 높아진다.
저장부에는 색온도 설정값에 대응하는 RGB 신호의 게인값이 저장된 색온도 테이블이 더 저장되며, 프로세서는 색온도 테이블로부터 호출된 색온도에 대응하는 RGB 신호의 게인값을 더 호출하고, 호출된 RGB 신호의 게인값을 이용하여 적합구간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색온도가 표시되는 영상에 적용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청색광 뿐 아니라, 적색 및 녹색광도 함께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영상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영상의 변화특성은 영상에 대한 휘도의 평균화상레벨의 변동폭을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일구간에서의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휘도의 평균화상레벨 및 평균화상레벨의 변동폭을 검출하고, 검출된 평균화상레벨의 변동폭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일구간을 적합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기준값 이상으로 영상이 변경되는 경우에만 블루라이트 저감 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의 변화를 인지하기 어렵게 된다.
영상의 변화특성은 표시되는 영상의 모션 벡터의 규칙성 여부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일구간에서의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수평/수직 모션 벡터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수평/수직 모션 벡터의 규칙성 여부에 대응하여 일구간을 적합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웹페이지와 같이 규칙적인 특성을 가지는 컨텐츠에서도 블루라이트 저감 기능이 적응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프로세서는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을 순간적으로 제1감소량 감소시키는 순간레벨감소를 수행하고, 순간레벨감소에 연속하여, 소정 시간구간 동안 시청피로레벨을 점진적으로 제2감소량 감소시키는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하며, 점진레벨감소는 영상의 변화특성에 따라 결정된 적합구간동안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기능 개시와 함께 일정량의 블루라이트 방출량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이 보다 높아진다.
프로세서는 저감기능 수행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의 속성값이 타겟값에 도달하거나, 기설정된 동작시간이 경과하면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의 동작을 중단하며, 타겟값은 표시되는 영상의 카테고리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특정 기능이 계속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의 부하를 줄이고, 화질이 지나치게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 입력부는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본체와 분리된 입력장치, 및 본체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핫키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다양한 선택에 의해 간편하게 블루라이트 저감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을, 순간적으로 제1감소량 감소시키는 순간레벨감소를 수행하고, 순간레벨감소에 연속하여, 소정 시간구간 동안 시청피로레벨을 제2감소량 감소시키는 점진레벨감소가 수행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능 개시와 함께 시청피로레벨을 일정량 감소시켜 동작의 효율을 높이면서도, 이후 점진적인 레벨 감소를 통해 사용자의 시각적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프로세서는 영상신호의 일구간에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변화특성이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적합구간 동안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영상의 액티비티에 따른 적응적인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영상신호의 일구간에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변화특성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변화특성에 기초하여 일구간이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적합구간 동안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의 액티비티에 따른 적응적인 제어가 가능하므로, 시청피로레벨을 감소시키면서도 급격한 화질 변화를 피할 수 있다.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는, 적합구간 동안 표시되는 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정하여,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화질 변화에 대한 인지가 어려운 구간에서 속성값 조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시청피로레벨은 블루라이트 방출량을 포함하며, 영상의 속성은 영상의 명암비, 색온도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게 신체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블루라이트에 장시간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표시되는 영상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결정된 영상의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시청피로레벨 감소에 따른 명암비의 변경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컨텐츠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화된 변경범위가 적용됨으로써,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영상의 카테고리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을 포함하며, 동영상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가 정지영상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영상이 변경 정도가 작은 정지영상에서 급격한 화질 변경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이 감소될 수 있다.
표시되는 영상의 카테고리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는, 변경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명암비의 변경 범위 내에서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시시각각 변경되는 영상에 적응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저감기능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영상의 색온도 및 휘도의 설정값에 대한 룩업 테이블이 저장되며,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는, 적합구간 동안 룩업 테이블로부터 저감기능의 동작 시간에 대응하는 색온도 및 휘도값을 호출하는 단계와, 호출된 색온도 및 휘도값을 표시되는 영상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최적화된 시점에 최적화된 속성값이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저감기능의 성능이 높아진다.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색온도 설정값에 대응하는 RGB 신호의 게인값이 저장된 색온도 테이블이 더 저장되며,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는, 색온도 테이블로부터 호출된 색온도에 대응하는 RGB 신호의 게인값을 호출하는 단계와, 호출된 RGB 신호의 게인값을 이용하여 적합구간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색온도를 표시되는 영상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청색광 뿐 아니라, 적색 및 녹색광도 함께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영상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영상의 변화특성은 영상에 대한 휘도의 평균화상레벨의 변동폭을 포함하며, 적합구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일구간에서의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휘도의 평균화상레벨 및 평균화상레벨의 변동폭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평균화상레벨의 변동폭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일구간을 적합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기준값 이상으로 영상이 변경되는 경우에만 블루라이트 저감 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의 변화를 인지하기 어렵게 된다.
영상의 변화특성은 표시되는 영상의 모션 벡터의 규칙성 여부를 더 포함하며, 적합구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일구간에서의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수평/수직 모션 벡터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수평/수직 모션 벡터의 규칙성 여부에 대응하여 일구간을 적합구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웹페이지와 같이 규칙적인 특성을 가지는 컨텐츠에서도 블루라이트 저감 기능이 적응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을 순간적으로 제1감소량 감소시키는 순간레벨감소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는, 순간레벨감소에 연속하여, 소정 시간구간 동안 시청피로레벨을 점진적으로 제2감소량 감소시키는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하여, 영상의 변화특성에 따라 결정된 적합구간동안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기능 개시와 함께 일정량의 블루라이트 방출량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이 보다 높아진다.
저감기능 수행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의 속성값이 타겟값에 도달하거나, 기설정된 동작시간이 경과하면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타겟값은 표시되는 영상의 카테고리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특정 기능이 계속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의 부하를 줄이고, 화질이 지나치게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 입력부는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본체와 분리된 입력장치, 및 본체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핫키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다양한 선택에 의해 간편하게 블루라이트 저감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을, 순간적으로 제1감소량 감소시키는 순간레벨감소를 수행하는 단계와; 순간레벨감소에 연속하여, 소정 시간구간 동안 시청피로레벨을 제2감소량 감소시키는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능 개시와 함께 시청피로레벨을 일정량 감소시켜 동작의 효율을 높이면서도, 이후 점진적인 레벨 감소를 통해 사용자의 시각적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하는 단계는, 영상신호의 일구간에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변화특성이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적합구간 동안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영상의 액티비티에 따른 적응적인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에 눈 보호 모드에 대응하는 핫키가 마련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체와 분리된 입력장치에 눈 보호 모드에 대응하는 핫키가 마련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OSD메뉴를 이용하여 눈 보호 모드를 선택/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눈 보호 모드의 동작에 따라 영상 제어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눈 보호 모드의 동작에 따라 영상 제어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들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은 외부의 영상공급원(도시되지 아니함)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입력신호)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으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컴퓨터(PC) 본체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모니터(monitor) 또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텔레비전(TV)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가 방송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도시되지 아니함)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이하, GUI(graphic user interface) 라고도 함)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LFD(large format display)와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스마트 TV 또는 IP TV(Internet Protocol TV)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TV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즉, 이하 설명할 실시예는 장치/시스템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인 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사항이 아님을 밝힌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110)와, 영상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와,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40)와,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15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60)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하며,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110)는 방송국(도시되지 아니함)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예컨대, 영상신호는 PC 본체, AV기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거나, 별도의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저장부(160)가 연결되는 연결부(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이러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다양한 칩셋, 메모리 등을 포함한 회로 구성으로 구현된 영상처리보드로 구현된 영상처리부(120)가 내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 처리란 입력된 영상 신호를 영상처리부(120) 또는 프로세서(170)를 통해 신호 처리하여 목적에 맞게 가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아날로그 신호 처리 및 디지털 신호 처리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영상 처리가 영상에 대한 디지털 영상 처리를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폭넓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영상 처리는 포인트 처리, 영역 처리, 기하학적 처리, 그리고 프레임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포인트 처리는 화소의 위치를 기반으로 화소 단위로 처리한다. 영역 처리는 화소의 원래 값과 이웃하는 화소의 값을 기반으로 하여 화소값을 변경할 수 있으며, 기하학적 처리는 화소들의 위치나 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프레임 처리는 두 개 이상의 영상들에 대한 연산을 기반으로 하여 화소 값들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영상 처리는 포인트 처리에 의한 영상처리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되는 영상은 소정 시청피로레벨에 해당하는 청색광 즉, 블루라이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가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131)과,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부(132)(이하, 백라이트 유닛 이라고도 한다)를 포함하는 경우를 일례로 하며, 광원부(132)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패널(131)/광원부(132)를 구동하는 구동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32)의 형태는 패널(131)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에 배치되는 에지형과, 패널(131)의 후면에 배치되는 직하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구동부(133)는 광원 구동 장치의 일례로서, 적어도 하나의 회로 소자가 마련되는 독립된 PCB(Printed Circuit Board)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광원부(131)와 구동부(133)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동부(133)는 광원부(132)으로부터 원하는 광량이 발광되도록 광원부(132)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30)가 LED 방식으로 구현되어, 패널(131), LED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광원부(132), LED 드라이버(driver)로 구현된 구동부(133)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광원부(132)가 LCD 백라이트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패널(131)이 OLED로 이루어진 발광셀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패널(131)이 OLED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 구동부(133)는 패널(131) 내의 발광셀로부터 원하는 광량이 발광되도록 각 발광셀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3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또는 OSD(on screen display)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보면서 리모컨(remote control),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과 같은 입력장치(400)를 조작하여, 사용자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 및/또는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의 사용자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에 마련된 숫자키, 메뉴키, 기능키 등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또는 입력 패널)를 포함하며, TV 또는 모니터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 설정된 커맨드(command)/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하는 마우스, 키보드, 리모컨 등의 본체와 이격 분리된 입력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감지부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자체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장치(4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이며,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RF 통신, 무선랜,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포함한다. 입력장치(400)가 키보드 또는 마우스인 경우, 입력장치(4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장치(4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기 설정된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키패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101), 측면(102), 및/또는 후면(103)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와, 디스플레이부(130) 내에 UI로서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 및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가능한 물리적인 키패드(예를 들어, 키보드)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101), 측면(102), 및/또는 후면(103)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동작되는 터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물리적인 키패드 또는 이를 구성하는 버튼들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추가 혹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 본체와 분리된 입력장치(400) 및 본체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소정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즉, 블루라이트를 저감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핫키(hotkey)(203, 303, 403)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모니터인 경우, 모니터와 연결된 컴퓨터(PC)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은 장기간 사용 시 눈의 피로, 안구 건조증, 수면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소정 시청피로레벨인 청색광 즉, 블루라이트(blue light)의 방출량을 저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모드(mode)로서, 눈 보호 모드 또는 아이 세이버 모드(eye saver mode)를 지원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눈 보호 모드를 '동작'으로 설정하면, 파장이 400nm 정도인 청색광 즉, 블루라이트 레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면서 설정 시간(예를 들어, 약 1시간) 후에는 눈에 피로가 덜한 최적의 화질이 제공된다. 여기서, 제공되는 화질은 블루라이트 레벨이 설정값보다 낮아져 “Low Blue Light Content” 규격 요건을 준수하게 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에 눈 보호 모드에 대응하는 핫키(203, 303)가 마련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체와 분리된 입력장치(400)에 눈 보호 모드에 대응하는 핫키(403)가 마련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본체 측면(102)에 사용자 입력부(140)로서 키패드(142)가 마련될 수 있다. 측면 키패드(142)는 파워 버튼(201), 메뉴 버튼(202), 방향키(204, 205) 및 엔터 버튼(206)(또는 누름 버튼), 자동 조정 버튼(207)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눈 보호 모드에 대응하는 핫키(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핫키(203)를 누름(push) 조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눈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본체 후면(103)에 키패드(143)가 마련될 수 있다. 후면 키패드(143)는 상하좌우 방향 각각에 대응하여 선택이 가능한 조그(jog) 버튼(302) 및 엔터 버튼(301)을 포함하며, 엔터 버튼(301)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파워 오프 상태인 경우, 파워 버튼으로 동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후면 키패드(143)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눈 보호 모드를 실행 가능하도록 하는 핫키(303)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핫키(303)를 누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눈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와 도 3에서는 눈 보호 모드에 대응하는 별도의 버튼이 핫키로서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기존의 키패드 만으로 눈 보호 모드에 대한 단축 버튼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엔터 버튼(206, 301) 또는 다른 특정 버튼을 연속하여 2번 누르거나, 길게 누르면 눈 보호 모드가 실행되게 설정되는 경우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측면 키패드(142) 및 후면 키패드(143)는 어느 하나만 구비되며, 그 위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101)에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키패드가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입력장치(400)가 TV의 원격 조정장치 즉, 리모컨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사용자 입력부(140)로서 마련되는 입력장치(400)에는 파워 버튼(401), 채널 버튼(404), 볼륨 버튼(405)을 포함하는 키패드가 구비되고, 키패드는 눈 보호 모드에 대응하는 핫키(4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400)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40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장치(400)의 해당 핫키(430)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눈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해당 커맨드는 내부의 통신 모듈(예를 들어,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로 송신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101)에는 입력장치(400)로부터 광(예를 들어, 자외선,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광창(light window)(151)이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광창(151) 또는 다른 무선 통신모듈(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입력장치(400)로부터 눈 보호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커맨드를 수신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창(151)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장치(100) 내부에서부터 입력되는 광(예를 들어, 발광 소자로부터의 발광)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로 출력하여 이른바 전원 표시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는 TV 리모컨으로 구현된 입력장치(400)에 핫키(403)를 포함하는 키패드가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경우에 따라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에 눈 보호 모드에 대응하는 핫키가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눈 보호 모드에 대응하는 핫키가 별도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OSD 메뉴에서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눈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OSD메뉴를 이용하여 눈 보호 모드를 선택/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바로가기 버튼 화면을 이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는 바로가기 버튼 화면에서 눈 보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파워 온 상태에서 파워 버튼(201, 301)을 누르면 디스플레이부(130)에는 도 5와 같은 바로가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본체에 마련된 방향키(204, 205)나 조그 버튼(302), 또는 입력장치(400)를 이용하여 눈 보호 모드에 대응하는 항목(503)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눈 보호 모드 항목(503)은 해당 기능에 대한 가상의 바로가기 버튼(또는 단축키)로서 마련되는 것이다.
도 5에서는 바로가기 화면에 눈 보호 모드에 대응하는 별도의 항목(503)이 포함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바로가기 화면에 눈 보호 모드 항목(503)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기존의 메뉴 항목을 이용하여 눈 보호 모드가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기능 버튼 화면을 이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기능 버튼 화면은 눈 보호 모드에 대응하는 가상 버튼(60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본체에 마련된 메뉴 버튼(202)을 선택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파워 온 상태에서 조그 버튼(302) 누르는 경우, 또는 도 5의 같은 바로가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기능 메뉴 항목(501)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0)에는 도 6과 같은 기능 버튼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눈 보호 모드 항목(603)은 해당 기능에 대한 가상의 바로가기 버튼(또는 단축키)로서 마련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본체에 마련된 방향키(204, 205)나 조그 버튼(302), 또는 입력장치(400)를 이용하여 눈 보호 모드에 대응하는 항목(603)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눈 보호 모드를 동작/해제시키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또는 도 6에서 눈 보호 모드 항목(503, 603)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30)에는 도 7과 같은 눈 보호 모드 설정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본체에 마련된 메뉴 버튼(202)이나 조그 버튼(302), 또는 입력장치(400)를 이용하여 기능 메뉴 항목(501, 601)을 선택한 후 방향키(204, 205)나, 조그 버튼(302), 또는 입력장치(400)를 다시 조작하여 눈 보호 모드를 동작/해제 시키는 도 7의 설정 화면이 표시되도록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싱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눈 보호 모드에 대응하는 핫키(203, 303, 403)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도 7의 설정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선택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본체에 마련된 방향키(204, 205)나 조그 버튼(302), 또는 입력장치(400)에 구비된 버튼들(404, 405)이나 터치감지부(40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눈 보호 모드 설정 화면에서 눈 보호 모드의 메뉴 항목(701)을 선택하면, 도 7과 같이 해당 모드에 대한 해제 항목(702) 및 동작 항목(704)이 사용자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동작 항목(704)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선택된 항목(704)을 하이라이트 등의 효과에 의해 강조 표시한다. 강조 표시를 위한 효과는 깜빡임 등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과 같이 눈 보호 모드가 동작되도록 선택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70)가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특성을 감지하고, 감지된 특성에 대응하여 영상의 블루라이트 방출량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제어부(170)의 동작과 관련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서 눈 보호 모드를 동작/해제시키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다양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눈 보호 모드가 실행되도록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30)에는 도 8과 같은 눈 보호 모드 설정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의 눈 보호 모드 설정 화면은 도 7의 화면과 비교하여 눈 보호 모드가 서서히 동작하도록 선택하는 항목(803)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도 8의 눈 보호 모드 설정 화면에서 눈 보호 모드의 메뉴 항목(801)을 선택하면, 도 8과 같이 해당 모드에 대한 해제 항목(802), 즉시 동작 항목(803) 및 서서히 동작 항목(804)가 사용자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서서히 동작 항목(804)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선택된 항목(804)을 하이라이트 등의 효과에 의해 강조 표시한다. 강조 표시를 위한 효과는 깜빡임 등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눈 보호 모드가 서서히 동작되도록 선택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70)가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특성을 감지하고, 감지된 특성에 대응하여 영상의 블루라이트 방출량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눈 보호 모드가 즉시 동작되도록 선택되면(항목 803 선택), 제어부(170)는 블루라이트 방출량이 설정된 레벨에 대응하게 한번에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제어부(170)의 동작과 관련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눈 보호 모드의 동작/종료와 관련하여 사용자에 의한 옵션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가 눈 보호 모드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 보호 모드 설정 화면에서 사용자가 눈 보호 모드의 메뉴 항목(901)을 선택하면, 해당 모드에 대한 해제 항목(902), 즉시 동작 항목(904)가 사용자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동작 옵션 항목(905)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작 옵션 항목(905)를 선택하면, 선택 가능한 옵션들로서 1시간 후 동작 항목(906)과 2시간 후 동작 항목(907)이 표시되며,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옵션 예를 들어, 2시간 후 동작 항목(907)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선택된 항목(905, 907)을 하이라이트 등의 효과에 의해 강조 표시한다. 강조 표시를 위한 효과는 깜빡임 등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눈 보호 모드가 2시간 후 동작하도록 선택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 설정이 입력된 시간으로부터 1시간이 경과되면, 블루라이트 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특성을 감지하고, 감지된 특성에 대응하여 영상의 블루라이트 방출량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9와 같이 눈 보호 모드의 동작 옵션을 미리 설정하여 두고, 추후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고 소정 시간(예를 들어, 1시간)이 경과되면, 눈 보호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블루라이트 저감기능의 동작 시간을 미리 설정하고,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100) 사용(또는 시청) 시간이 설정된 시간에 도달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블루라이트 저감기능이 동작되도록 구현된다. 즉, 블루라이트는 주로 장시간 노출 시 눈의 피로와 같은 신체적 문제를 유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용자가 특별하게 해당 모드를 동작시키지 않아도 오랜 시간 사용 시 자동으로 블루라이트 노출량이 감소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사용자가 눈 보호 모드의 동작이 종료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 보호 모드 설정 화면에서 사용자가 눈 보호 모드의 메뉴 항목(1001)을 선택하면, 해당 모드에 대한 해제 항목(1002), 즉시 동작 항목(1004), 동작 옵션 항목(1005)이 사용자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료 옵션 항목(1006)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종료 옵션 항목(1006)을 선택하면, 선택 가능한 옵션들로서 30분 후 종료 항목(1007), 1시간 후 종료 항목(1008), 2시간 후 종료 항목(1009)이 표시되며,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옵션 예를 들어, 1시간 후 종료 항목(1008)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선택된 항목(1006, 1008)을 하이라이트 등의 효과에 의해 강조 표시한다. 강조 표시를 위한 효과는 깜빡임 등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눈 보호 모드가 수행 개시로부터 1시간 후 자동으로 종료되도록 선택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입력 중 어느 하나의 수신에 응답하여 블루라이트를 저감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특성을 감지하고, 감지된 특성에 대응하여 영상의 블루라이트 방출량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눈 보호 모드의 실행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1시간이 경과되면, 블루라이트 저감을 위한 제어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블루라이트 저감 기능의 동작이 종료되는 시점을 미리 설정 가능하도록 하여, 블루라이트 방출량이 어느 정도의 감소된 이후에도 불필요하게 해당 기능을 계속 수행하여, 장치의 부하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거나 화질이 지나치게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통신부(150)는 입력장치(400)를 포함한 다양한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150)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또한, 통신부(150)는 제어부(170)로부터 전달받은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400) 간의 통신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50)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커넥터(도시되지 아니함)에 착탈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된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7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17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저장부(160)에는 시청피로레벨 즉, 블루라이트 방출량을 감소시키는 영상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룩업테이블(161)(LUT: lookup table)(161)이 더 저장될 수 있다. 룩업테이블(161)에는 입력영상의 컨텐츠 포맷에 대응하는 명암비(CR: contrast ratio, 이하 콘트라스트 비 라고도 한다), 저감기능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영상의 색온도 및 휘도의 설정값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룩업테이블(161)에는 색온도 설정값에 대응하는 RGB 신호들의 게인값이 더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특성을 감지하고, 감지된 특성에 따라 룩업테이블(161)로부터 대응되는 정보를 호출하여 대응되는 속성값을 영상에 적용하는 영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20 내지 160)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영상처리부(12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입력장치(400)를 포함한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아니함)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120 내지 16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롬(ROM)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한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휘발성 메모리인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으로부터 램으로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로드하여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마이컴(Micro Computer, MICOM)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예를 들어, 롬에 저장된 소정 알고리즘에 따라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램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70)가 단일 프로세서 예를 들어 CPU로 구현되는 경우, CPU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수행 가능한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디코딩, 디모듈레이팅, 스케일링 등의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에 대한 제어, 입력장치(400)를 포함한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커맨드에 대한 대응, 통신부(150)를 통한 외부장치와의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의 제어 등을 실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및 슬립 모드(sleep mode, 예를 들어, 대기 전원만 공급되고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동작하지 않는)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롬 및 램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모니터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GPU(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디지털 TV,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가 GP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코어(core)와 GPU가 결합된 SoC(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지원되는 특정 기능, 예를 들어, 눈 보호 모드의 실행에 응답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전용 프로세서로서 마련되는 칩(chip) 예를 들어, IC(integrated circuit)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70)는 눈 보호 모드의 활성화 즉,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응답하여 영상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눈 보호 모드는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사용자 선택 중 어느 하나의 수신에 의해 활성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 또는 입력장치(400)에 마련된 핫키(203, 303, 403)에 대한 사용자 조작 또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OSD 메뉴에서의 해당 항목(503, 603, 704, 804)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눈 보호 모드가 활성화된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눈 보호 모드의 실행 시간을 미리 설정하고, 이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용(또는, 전원 공급)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해당 실행 시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눈 보호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눈 보호 모드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제어부(170)가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정하여 시청피로레벨 즉, 블루라이트 방출량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영상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조정 대상인 영상의 속성은 색온도(color temperature) 및 휘도(brightness)를 포함하며, 상기의 속성값 조절에 따라 영상의 명암비가 제어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눈 보호 모드의 동작에 따라 영상 제어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눈 보호 모드가 실행 즉, 활성화되어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의 수행이 개시된다.
제어부(170)는 저감기능 수행의 개시에 응답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행 개시 시점인 t0에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을 순간적으로 제1감소량 감소시키는 순간레벨감소를 수행한다. 여기서, 순간레벨감소는 영상의 명암비가 기설정된 디폴트값에 대응하도록 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 즉, 명암비, 색온도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키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눈 보호 모드의 동작 전 영상의 색온도값이 6500K이고 휘도값이 100인 경우, 순간레벨감소가 수행되는 순간감소구간에서 영상의 색온도값은 6000K로 휘도값은 70으로 감소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색온도와 휘도 모두를 감소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색온도와 휘도 중 어느 하나의 값이 변경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눈 보호 모드의 동작 전 후의 명암비(CR)를 조정하여 순간레벨감소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영상의 명암비가 5% 감소(a에서 b로 감소)되도록 순간레벨감소를 수행할 수 있다.
순간레벨감소에 대응하는 디폴트값(b) 즉, 명암비 또는 색온도값 및/또는 휘도값은 일시에 조정되어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불편함을 인지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되어 룩업테이블(161)의 형태로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순간레벨감소의 디폴트값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의 카테고리 즉,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에 각각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움직임이 별로 없는 정지영상의 경우 디폴트값이 지나치게 낮게 설정되어 있으면, 순간레벨감소에 따른 영상의 변화를 사용자가 불편함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 12과 같이 정지영상의 경우 그 설정값(b1)이 동영상의 설정값(b2)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간레벨감소에 따른 정지영상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L1)는 동영상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L2) 보다 작아진다.
제어부(170)는 영상처리부(120)에서 디코딩되는 영상의 포맷(format)(예를 들어, 현재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의 포맷)을 감지하여 그 카테고리 즉, 동영상인지 정지영상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순간레벨감소에 연속하여, 소정 시간구간(t1-tmax 구간) 동안 시청피로레벨을 제2감소량 감소시키는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영상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일구간(예를 들어, 도 11의 t1-t2 구간)에서의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변화특성이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렇게 결정된 적합구간 동안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 즉, 블루라이트 방출량이 감소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하게 된다. 도 11은 t1-t2, t2-t3, t4-t5 구간은 적합구간으로, t4-t5 구간은 적합구간이 아닌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제어부(170)는 적합구간 동안 표시되는 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정하여,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적합구간 동안 영상의 명암비, 색온도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소정 주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변화특성 즉, 액티비티(activity)를 실시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의 변화특성은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휘도의 평균화상레벨(APL: average picture level)의 변동폭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영상신호의 일구간(예를 들어, t1-t2 구간)에서의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휘도의 평균화상레벨 즉, 화면의 밝기 변화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영상신호의 일구간에서의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 즉, 컨텐츠의 APL을 이용하여 영상의 평균휘도변화를 실시간 감지하고, 감지된 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APL threshold)와 비교한다. 그리고, 감지된 APL값이 일정 시간 동안 기준값(threshold)를 넘는 경우, 시청피로레벨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으로 결정하여 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정하는 제어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일구간에 대응하는 일정시간 동안 감지된 APL 값이 기준값(threshold)보다 큰 경우의 빈도를 체크하고, 체크된 빈도가 소정횟수 이상인 경우 해당 구간이 시청피로레벨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의 변화특성은 표시되는 영상의 모션 벡터(motion vector)의 규칙성 여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170)는 영상신호의 일구간에서의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수평/수직(horizontal/vertical, 이하 H/V 라고도 한다) 모션 벡터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수평/수직 모션 벡터의 규칙성 여부에 대응하여 해당되는 일구간을 적합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 즉, 컨텐츠가 모션 벡터 기반 화면에 대응되는 경우 H/V 모션벡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화면이 문서, 웹페이지, 프로그램의 코딩창 등의 스크롤(scroll) 제어에 의해 변경되는 화면인 경우 모션 벡터 기반 화면으로 결정된다. 제어부(170)는 표시 화면의 스크롤/정지 여부에 대응하여 H/V 모션벡터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검출 결과에 따라 수평 모션벡터와 수직 모션벡터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규칙성을 가지는 경우,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일정한 스크롤이 수행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제어부(170)는 H/V 모션벡터가 규칙성을 가지게 되면 해당 구간을 적합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H/V 모션벡터 정보와 APL 정보를 조합하여 영상신호의 일구간이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L 변동폭이 기준값 이상인 빈도가 소정 횟수 이상이거나, H/V 모션벡터가 규칙성을 가지는 경우, 즉,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구간이 적합구간으로 결정되도록 구현 가능하다.
그리고, 영상신호의 해당 구간이 적합구간으로 결정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그 적합구간 동안 표시되는 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정하는 제어 신호(control signal)를 생성 및 제공한다. 이 제어신호는 영상처리부(120)와 디스플레이부(130)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되어, 영상의 명암비, 색온도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H/V 모션벡터값과 APL값과의 조합을 통해 색온도/휘도/CR에 대한 제어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감지된 H/V 모션벡터값 및 APL값의 조합에 의해 적합구간인지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적합구간인 경우 조정된 속성값이 즉시 적용되도록 결정된다. 그 예로서, 아래의 표 1과 같이 컨텐츠 카테고리 / APL값 및 변동폭 / 모션벡터 규칙성을 조합하고, 그에 기반하여 적용시점이 즉시적용 또는 비적용으로 산출되게 된다.
카테고리 APL값 APL변동폭 Motion Vector(H/V) 규칙성 적용시점
동영상 유 / 무 즉시 or 비적용
작음 유 / 무 즉시 or 비적용
작음 유 / 무 즉시 or 비적용
작음 유 / 무 즉시 or 비적용
정지영상 유 / 무 즉시 or 비적용
작음 유 / 무 즉시 or 비적용
작음 유 / 무 즉시 or 비적용
작음 유 / 무 즉시 or 비적용
제어부(170)는 위와 같은 영상의 변화특성들을 조합하여 즉시적용으로 결정된 경우, 즉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으로 판단된 경우, 영상신호의 해당 구간에서 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정하는 제어 신호(control signal)를 생성하게 된다.
제어부(170)는 상기와 같은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저장부(160)의 룩업테이블(161)(161)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호출(또는 로드(load))할 수 있다.
즉, 룩업테이블(161)에는 순간레벨감소 저감기능이 동작하는 점진감소구간에 대하여 저감기능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영상의 색온도 및 휘도의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적합구간 동안 룩업테이블(161)로부터 저감기능의 동작 시간에 대응하는 색온도 및 휘도값을 호출하고, 호출된 색온도 및 휘도값이 표시되는 영상에 적용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60)에는 룩업테이블(161)의 색온도 설정값에 대응하는 RGB 신호(Red 신호, Green 신호 및 Blue 신호)의 게인값이 저장된 또 다른 룩업테이블(161)로서 색온도 테이블이 더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호출된 색온도에 대응하는 RGB 신호의 게인값을 색온도 테이블로부터 호출하고, 호출된 RGB 신호의 게인값을 이용하여 적합구간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색온도가 표시되는 영상에 적용되도록 영상처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색온도 테이블의 값들은 미리 산출되어 저장부(160)에 저장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값들의 산출 시 파장의 변동폭(예를 들어, △uv값)을 미리 정의된 스펙(specification) 내로 맞추기 위해 청색(blue)뿐 아니라 적색/녹색(Red/Green)의 값을 함께 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색온도 테이블을 포함하는 룩업테이블(161)은 사전에 색온도/휘도별 해당 R/G/B 게인(Gain) 및 휘도(Brightness)값을 검토하여 미리 저장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캐리브레이션 제어 시 색온도/휘도값과 최종 타겟(Target)값을 기초(Seed)로 하여 시뮬레이션(Simulation)하여 그 값들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점진레벨감소가 수행되는 구간(t0-tmax)에서는 도 11와 같이 색온도 및/또는 휘도가 선형적(linear)으로 감소되는 형태로 도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순간레벨감소가 수행된 영상의 색온도값이 6000K이고 휘도값이 70인 경우, 점진레벨감소가 수행되는 점진감소구간에서 영상의 색온도값은 4600K로 휘도값은 17로 서서히 감소된다. 도 11에서는 색온도와 휘도 모두를 감소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색온도와 휘도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t1-t2, t2-t3, t1-t5)에서 동작 전 후의 명암비(CR)를 조정하여 점진레벨감소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으로 결정되면, 이전과 비교하여 영상의 명암비가 0.01% 감소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점진레벨감소에 대응하는 타겟값(c) 즉, 명암비 또는 색온도값 및/또는 휘도값은 시청피로레벨 즉, 블루라이트 방출량이 미미하여 신체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는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되어 룩업테이블(161)의 형태로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점진레벨감소의 타겟값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의 카테고리 즉,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에 각각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움직임이 별로 없는 정지영상의 경우 타겟값이 지나치게 낮게 설정되어 있으면, 점진레벨감소의 과정에서 영상의 변화를 사용자가 불편함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 12과 같이 정지영상의 타겟값(c1)이 동영상의 타겟값(c2)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간레벨감소 및 점진레벨감소가 순차적으로 수행된 정지영상(1201)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L3)는 동영상(1202)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L4) 보다 작아진다. 즉, 동영상(1202)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L4)가 정지영상(1201)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L3) 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3에서도 동영상(1302)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L6)가 정지영상(1201)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L5) 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순간레벨감소의 디폴트값(b)이 영상의 카테고리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제어부(170)는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의 수행 도중에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카테고리가 변경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진레벨감소가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웹서핑을 하고, 순차적으로 미디어 플레이어를 실행시켜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변경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명암비의 변경 범위 내에서 점진레벨감소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즉,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의 개시 시점에서는 타겟값이 c3지만, 최종적으로 기능 완료 시점에서는 c4 에 도달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수행에 따라 영상의 속성값이 타겟값에 도달하거나, 기설정된 동작시간이 경과하면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시간은 도 10의 종료 옵션(1006)에서 선택된 항목(1008)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도 10은 동작시간을 1시간으로 설정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의 동작시간을 사용자 선택에 의해 설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동작시간이 제품의 출시 시에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렇게 동작시간이 미리 설정되는 경우, 해당 정보는 룩업테이블(161)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70)는 저장부(150)의 룩업테이블(161)을 참조하여 영상처리부(120)의 스케일러 내의 RGB 오프셋(offset)값을 조정하여 화면의 명암비(CR)를 줄여주는 방식으로 적합구간에서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의 속성값이 타겟값에 도달하거나, 기설정된 동작시간이 경과하면,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의 동작이 종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디플레이장치(100)는 저감기능의 수행 동안 주변 환경에 대응하여 영상의 속성값이 조정되도록 구현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외광의 밝기(조도)에 따라 타겟값 즉, 변경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외광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휘도는 외광의 조도에 따른 반사율의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영상의 색온도 주위의 광원의 고유 색 온도에 따라 사용자가 체감하는 영상 특성이 상이해 질 수 있다. 또한, 주위 광 조도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룩업테이블(161)에는 다양한 외광 조건에서 눈 보호 모드의 속성값 조정에 따라 화질이 급격하게 변경되지 않도록 그 값들이 산출되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며, 예를 들어, 밝은 곳 보다는 어두운 곳에서 휘도가 더 낮아지도록 값들이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눈 보호 모드의 실행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의 옵션이 순간레벨감소와 점진레벨감소가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하나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시청피로레벨 저감기능의 옵션이 복수 마련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된 옵션에 대응하여 저감기능이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8과 같은 눈 보호 모드 설정 화면에서 눈 보호 모드의 메뉴 항목(801)을 선택하면, 즉시 동작 항목(803) 및 서서히 동작 항목(804)이 사용자의 선택 가능한 옵션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서서히 동작 항목(804)을 선택하면,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가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t0시점에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을 순간적으로 제1감소량 감소시키는 순간레벨감소를 수행하고, 상기의 순간레벨감소에 연속하여, 소정 시간구간(t0-tmax) 동안 시청피로레벨을 제2감소량 감소시키는 점진레벨감소가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순간레벨감소가 수행되는 구간(t0-tmax)에서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특성을 감지하고, 감지된 특성에 대응하여 영상의 블루라이트 방출량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눈 보호 모드의 동작에 따라 영상 제어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8의 눈 보호 모드 설정 화면에서 즉시 동작 항목(803)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일시적인 영상의 변화(휘도 변화)로 인한 시각적인 불편을 감수하고 블루라이트 방출량이 빠른 시간 내에 규정 레벨 이하가 되도록 선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즉시 동작 항목(803)을 선택하면, 제어부(170)는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0시점에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이 타겟값에 대응하여 일시에 소정량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에서 c로 한번에 감소).
여기서, 타겟값(c) 즉, 명암비 또는 색온도값 및/또는 휘도값은 시청피로레벨 즉, 블루라이트 방출량이 미미하여 신체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는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되어 룩업테이블(161)의 형태로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c에 대응하는 타겟값은 도 1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색온도 4600K, 휘도값 17이 될 수 있다.
아울러, 타겟값은 영상의 카테고리 즉,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에 각각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영상의 타겟값이 동영상의 타겟값보다 크게 설정되어, 동영상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가 정지영상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도 14의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의 수행이 완료된 이후에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카테고리가 변경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웹서핑을 하는 t0 시점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 사용자는 미디어 플레이어를 실행시켜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변경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명암비의 변경 범위의 타겟값으로 영상을 속성값을 더 조정할 수 있다. 즉, 영상의 카테고리가 변경되면 그에 대응하여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의 타겟값도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소정 시청피로레벨 즉, 블루라이트를 저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눈 보호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S1501). 여기서, 눈 보호 모드는 도 2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된 사용자 입력부(140)를 이용한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활성화되거나, 도 9와 관련하여 설명된 미리 설정된 동작 개시 시간에 도달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501에서의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을 순간적으로 제1감소량 감소시키는 순간레벨감소를 수행한다(S1502). 여기서, 제어부(170)는 룩업테이블(151)에 저장된 디폴트값에 대응하여 순간레벨감소를 수행할 수 있다. 룩업테이블(151)에는 순간레벨감소에 대응한 영상의 속성값으로 영상의 명암비, 색온도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의 디폴트값이 저장되며, 이러한 디폴트값은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카테고리에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단계 S1502의 순간레벨감소에 연속하여, 소정 시간구간 동안 시청피로레벨을 점진적으로 제2감소량 감소시키는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영상신호의 일구간에서의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변화특성을 실시간으로 감지한다(S1506). 여기서, 영상의 변화특성은 영상에 대한 휘도의 평균화상레벨(APL)의 변동폭, 모션 벡터의 규칙성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단계 S1503에서 감지된 영상의 변화특성에 기초하여, 해당되는 영상신호의 일구간이 적합구간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1504). 즉, 제어부(170)는 일구간에서의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휘도의 평균화상레벨 및 상기 평균화상레벨의 변동폭을 검출하고, 검출된 평균화상레벨의 변동폭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영상신호의 일구간을 적합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신호의 일구간에서의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수평/수직 모션 벡터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수평/수직 모션 벡터의 규칙성 여부에 대응하여 일구간을 적합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APL의 변동폭, 모션벡터의 규칙성 등의 정보들을 조합하여 최종적으로 영상신호의 해당 구간에 대한 적합구간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S1505에서 영상신호의 일구간이 적합구간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속성값, 즉 명암비, 색온도,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S1505). 여기서, 제어부(170)는 적합구간 동안 룩업 테이블(161)로부터 저감기능의 동작 시간에 대응하는 색온도(또는 색언도에 대응하는 RGB 신호의 게인값)와 휘도값을 호출하고, 호출된 색온도 및 휘도값이 표시되는 영상에 적용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60)에는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하는 저감기능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영상의 색온도 및 휘도의 설정값, 색온도 설정값에 대응하는 RGB 신호의 게인값 등에 대한 룩업 테이블(161)이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하는 동안 단계 S1503 및 S1504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즉, 시간의 경과에 따라 영상신호의 각 구간별로 적합구간여부를 결정하여, 속성값 조정이 즉시적용 또는 비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시청피로레벨이 서시히 감소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제어부(170)는 단계 S1503 및 S1504의 점진레벨감소의 반복적 수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속성값이 타겟값에 도달하거나, 기설정된 동작시간이 경과하면 단계 S1501에서 개시된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의 동작을 중단한다(S1507).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의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에 따르면, 동작 완료 시 블루라이트의 약 70% 이상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장시간 시청 시에도 사용자에게 눈을 포함한 신체적 피로가 줄어들게 될 수 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시청피로레벨의 저감 기능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들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6에서 (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모니터와 같은 표시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모니터뿐 아니라, 텔레비전,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LFD(large format display)와 같은 대형화 장치 또는 고정 장치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외부 전원이 공급되므로 안정적인 공급 전원 하에서 보다 고화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엘리먼트들이 설계될 수 있다.
도 16에서 (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모바일 디바이스인 경우를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핸드폰, PDA 등과 같은 소형화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소형화 장치에 설치되는 경우,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자체 배터리를 사용하게 되므로, 한정된 배터리 용량에 알맞도록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엘리먼트들이 설계되고, 눈 보호 모드가 별도의 저전력 서브 화면 모드에 대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전력에 보다 민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특성 상 눈 보호 모드에서 소비전력의 절감을 최대화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용자 입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이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부(130) 상에 형성 가능하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핸드 헬드 (hand-held) 디바이스인바, 외부에서 많은 사용이 되므로, 눈 보호 모드에서의 조정되는 속성값들이 외광에 보다 민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환경이 실외 환경인지 실내 환경인지를 보다 명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 보다 정밀하게 속성값이 조정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외광에 민감하여 급격한 시인성 악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30) 상의 터치 입력이 아닌 외부 입력부 예를 들어, 핫키를 통해 눈 보호 모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6에서 (c)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태블릿과 같은 스마트 패드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스마트 패드는 모바일 디바이스 보다 멀티미디어와 같은 동영상 정보나 높은 해상도를 이용한 다양한 문서 편집, 이미지 편집, 이미지 드로잉 작업 등이 가능하므로, 각 작업에 맞도록 눈 보호 모드가 실행되고, 눈 보호 모드의 설정값들이 각종 환경 요소에 대응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눈 보호 모드에서 최대의 전력 절감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6에서 (d)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노트북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노트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펑션키 (function key), OSD 등의 사용자 입력부(140)를 이용하여 눈 보호 모드를 실행하도록 선택하고 영상의 변화특성에 응답하여 속성값들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노트북에서는 제조사에 의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다양한 눈 보호 모드를 동작시킬 수 수 있다. 제조사에 의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출고 시에 설치되어 있어 별도의 설치가 필요 없을 수 있다. 제조사에 의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등에 대한 자체 구동 드라이버를 포함하므로, 보다 세부적인 화질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에서 (e)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유연성에 기인하는 영상 특성을 최대화하거나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플랙시블 장치에 의해 굽은 표면에 의해 스트래칭되는 화소의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속성값이 조정될 수 있으며, 굽은 부분이 부각되도록 속성값이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환경 요소로서 굽은 부분의 곡률을 측정하고 곡률에 따라 속성값들이 조정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플랙시블 장치는 플랙시블의 한계를 설정하기 위한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필름, 보호막, 보호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랙시블 장치는 화면 상에 사용자의 선택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6에서 (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이북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이북장치를 이용하여 장시간 동안 집중하여 활자를 읽을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눈이 피로하지 않도록 하는 본 발명의 눈 보호 모드를 적용할 필요성이 높다. 이북 장치는 페이지를 넘기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서 (g)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디지털 카메라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디지털 카메라는 사용자가 촬영된 이미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의 눈 피로를 줄이기 위해, 눈 보호 모드를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6에서 (h)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차량의 내비게이션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내비게이션 디바이스는 대체로 외광 하에서 구동되므로 태양광에 의해 시인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눈 보호 모드에서의 속성값들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시청피로레벨인 블루라이트를 서서히 저감시킴으로써, 화질의 급격한 변화 및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표시되는 영상의 변화 특성 즉, 액티비티 분석에 따라 최적의 시점에 명암비/색온도/휘도와 같은 속성값 조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화질 변화를 인지하기 어렵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줄여 편안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의 카테고리에 따라 최적화된 명암비의 변경 범위를 적용하여, 기능의 효율 및 사용자의 편의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청피로레벨 저감 기능의 수행에 따라 화면의 휘도가 낮아져, 소비전력의 감소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전송매체 및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 가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전송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이 상호 결합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서, 제어부(170)는 소프트웨어인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휘발성메모리와, 비휘발성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 로딩되는 RAM과, RAM에 로딩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메모리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플래쉬메모리, ROM, CD-ROMs, 자기테이프(magnetic tapes), 플로피 디스크, 광기억 장치(optical storage),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휘발성메모리는 본 발명의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의 일례이다.
컴퓨터프로그램은 CPU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로서, 도 15에 도시된 단계 S1501 내지 단계 S1507과 같은 제어부(17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구비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영상수신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31 : 패널 132 : 광원부
133 : 구동부 140 : 사용자 입력부
150 : 통신부 160 : 저장부
161 : 룩업테이블 170: 제어부

Claims (3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일구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변화특성이 상기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합구간 동안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합구간 동안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정하여, 상기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피로레벨은 블루라이트 방출량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의 속성은 영상의 명암비, 색온도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영상의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상기 시청피로레벨 감소에 따른 명암비의 변경 범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카테고리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동영상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가 상기 정지영상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카테고리의 변경이 감지되면, 상기 변경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명암비의 변경 범위 내에서 상기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기능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영상의 색온도 및 휘도의 설정값에 대한 룩업 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합구간 동안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저감기능의 동작 시간에 대응하는 색온도 및 휘도값을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색온도 및 휘도값이 상기 표시되는 영상에 적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색온도 설정값에 대응하는 RGB 신호의 게인값이 저장된 색온도 테이블이 더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색온도 테이블로부터 상기 호출된 색온도에 대응하는 RGB 신호의 게인값을 더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RGB 신호의 게인값을 이용하여 상기 적합구간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색온도가 상기 표시되는 영상에 적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변화특성은 상기 영상에 대한 휘도의 평균화상레벨의 변동폭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일구간에서의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휘도의 평균화상레벨 및 상기 평균화상레벨의 변동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평균화상레벨의 변동폭을 기준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일구간을 상기 적합구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변화특성은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모션 벡터의 규칙성 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일구간에서의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수평/수직 모션 벡터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평/수직 모션 벡터의 규칙성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일구간을 상기 적합구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을 순간적으로 제1감소량 감소시키는 순간레벨감소를 수행하고, 상기 순간레벨감소에 연속하여, 소정 시간구간 동안 상기 시청피로레벨을 점진적으로 제2감소량 감소시키는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하며,
    상기 점진레벨감소는 상기 영상의 변화특성에 따라 상기 결정된 적합구간동안 상기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감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속성값이 타겟값에 도달하거나, 기설정된 동작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의 동작을 중단하며,
    상기 타겟값은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상기 본체와 분리된 입력장치, 및 상기 본체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핫키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을, 순간적으로 제1감소량 감소시키는 순간레벨감소를 수행하고, 상기 순간레벨감소에 연속하여, 소정 시간구간 동안 상기 시청피로레벨을 제2감소량 감소시키는 점진레벨감소가 수행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신호의 일구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변화특성이 상기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합구간 동안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상기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영상신호의 일구간에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변화특성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변화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일구간이 상기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적합구간 동안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상기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적합구간 동안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값을 조정하여, 상기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피로레벨은 블루라이트 방출량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의 속성은 영상의 명암비, 색온도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된 영상의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상기 시청피로레벨 감소에 따른 명암비의 변경 범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카테고리는 동영상과 정지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동영상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가 상기 정지영상의 명암비의 변경 범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카테고리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명암비의 변경 범위 내에서 상기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상기 저감기능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영상의 색온도 및 휘도의 설정값에 대한 룩업 테이블이 저장되며,
    상기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적합구간 동안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저감기능의 동작 시간에 대응하는 색온도 및 휘도값을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된 색온도 및 휘도값을 상기 표시되는 영상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상기 색온도 설정값에 대응하는 RGB 신호의 게인값이 저장된 색온도 테이블이 더 저장되며,
    상기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색온도 테이블로부터 상기 호출된 색온도에 대응하는 RGB 신호의 게인값을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된 RGB 신호의 게인값을 이용하여 상기 적합구간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색온도를 상기 표시되는 영상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변화특성은 상기 영상에 대한 휘도의 평균화상레벨의 변동폭을 포함하며,
    상기 적합구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구간에서의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휘도의 평균화상레벨 및 상기 평균화상레벨의 변동폭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평균화상레벨의 변동폭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일구간을 상기 적합구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변화특성은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모션 벡터의 규칙성 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합구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구간에서의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수평/수직 모션 벡터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수평/수직 모션 벡터의 규칙성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일구간을 상기 적합구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6. 제16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을 순간적으로 제1감소량 감소시키는 순간레벨감소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순간레벨감소에 연속하여, 소정 시간구간 동안 상기 시청피로레벨을 점진적으로 제2감소량 감소시키는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하여, 상기 영상의 변화특성에 따라 상기 결정된 적합구간동안 상기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7. 제16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기능 수행에 따라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속성값이 타겟값에 도달하거나, 기설정된 동작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의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겟값은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8. 제16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상기 본체와 분리된 입력장치, 및 상기 본체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핫키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9.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청피로레벨의 저감기능 수행 개시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을, 순간적으로 제1감소량 감소시키는 순간레벨감소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순간레벨감소에 연속하여, 소정 시간구간 동안 상기 시청피로레벨을 제2감소량 감소시키는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신호의 일구간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변화특성이 상기 저감기능 수행의 적합구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적합구간 동안 상기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피로레벨이 감소되도록 상기 점진레벨감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044472A 2015-03-30 2015-03-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66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472A KR102366230B1 (ko) 2015-03-30 2015-03-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5/085,249 US9953615B2 (en) 2015-03-30 2016-03-30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472A KR102366230B1 (ko) 2015-03-30 2015-03-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576A true KR20160116576A (ko) 2016-10-10
KR102366230B1 KR102366230B1 (ko) 2022-02-23

Family

ID=5701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472A KR102366230B1 (ko) 2015-03-30 2015-03-30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53615B2 (ko)
KR (1) KR10236623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4620B2 (en) 2017-05-12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screen on the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KR20190090998A (ko) * 2018-01-26 2019-08-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눈의 피로 감소방법 및 시스템
US10401301B2 (en) 2017-10-12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test system and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by using the optical test system and method
WO2022149748A1 (ko) * 2021-01-05 2022-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4010199A1 (ko) * 2022-07-07 2024-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면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4072007A1 (ko) * 2022-09-30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2063346B2 (en) 2021-01-05 2024-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5988B2 (en) * 2013-05-07 2018-05-08 Bally Gaming,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a video presentation based upon age
KR20160055555A (ko) * 2014-11-10 2016-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72788B1 (ko) 2015-04-30 202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콘텐트 화면 변경방법
CN104869242B (zh) * 2015-05-05 2018-10-2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调整屏幕亮度的方法及系统
KR102399571B1 (ko) * 2015-09-09 2022-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729740B2 (en) * 2015-09-21 2017-08-0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device
US10600213B2 (en) * 2016-02-27 2020-03-24 Focal Shar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preserving spectrum reshape
US20190377113A1 (en) * 2016-11-29 2019-12-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Pictur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6710569A (zh) * 2016-12-22 2017-05-24 明基电通有限公司 画面显示方法及应用其的显示装置
CN107154247A (zh) * 2017-06-19 2017-09-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rgb光谱能量重构的色温调节方法、装置及其设备
CN107342066B (zh) * 2017-06-19 2019-07-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亮度调节方法、装置及其设备
CN107221305B (zh) * 2017-06-19 2019-09-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屏幕亮度的色温调节方法、装置及其设备
KR102515265B1 (ko) * 2018-02-19 202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US10803787B2 (en) * 2018-08-08 2020-10-13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blue light management via a variable light emitting diode input
JP6838026B2 (ja) * 2018-10-26 2021-03-03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電子機器
CN111508450B (zh) * 2019-01-30 2021-08-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颜色转换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9995942B (zh) * 2019-03-28 2021-03-30 中国医学科学院生物医学工程研究所 一种智能终端的护眼方法及系统
US10803778B1 (en) * 2019-08-30 2020-10-13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light emissions of electronic devices
US10665204B1 (en) * 2019-10-08 2020-05-26 Capital One Services, Llc Automatically adjusting screen brightness based on screen content
CN113553127B (zh) * 2020-04-23 2023-04-11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阅读内容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240060332A1 (en) * 2021-02-26 2024-02-22 Tesla, Inc. Managing shape memory alloy actuators
CN113035125A (zh) * 2021-03-09 2021-06-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15119035B (zh) * 2021-03-23 2023-08-01 青岛海信商用显示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图像处理方法及装置
KR102542768B1 (ko) * 2021-05-21 202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4120894B (zh) * 2021-11-05 2023-05-02 惠州视维新技术有限公司 出光控制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40111068A (ko) * 2023-01-09 2024-07-16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6222A1 (en) * 2001-06-07 2002-12-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of ensuring adequate contrast of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s
JP2013257457A (ja) * 2012-06-13 2013-12-26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0674B2 (en) * 2007-10-10 2013-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atigue resulting from viewing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ata stream of low visual fatigue three-dimensional image
KR101430455B1 (ko) * 2007-11-05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디스플레이의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14160170A (ja) 2013-02-20 2014-09-04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表示制御装置とその制御方法、情報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53618B1 (ko) 2013-04-11 2019-1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6222A1 (en) * 2001-06-07 2002-12-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of ensuring adequate contrast of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s
JP2013257457A (ja) * 2012-06-13 2013-12-26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4620B2 (en) 2017-05-12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screen on the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10867585B2 (en) 2017-05-12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screen on the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10401301B2 (en) 2017-10-12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test system and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by using the optical test system and method
KR20190090998A (ko) * 2018-01-26 2019-08-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눈의 피로 감소방법 및 시스템
WO2022149748A1 (ko) * 2021-01-05 2022-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2063346B2 (en) 2021-01-05 2024-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24010199A1 (ko) * 2022-07-07 2024-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면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4072007A1 (ko) * 2022-09-30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230B1 (ko) 2022-02-23
US9953615B2 (en) 2018-04-24
US20160293139A1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23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58870B1 (ko)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26311B1 (ko) Hdr 디스플레이 장치, hdr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미지 밝기를 감쇠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6251800B (zh) 用于增强可见度的显示系统及其方法
US7525514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US8872753B2 (en) Adjusting brightness of a display image in a display having an adjustable intensity light source
EP1892698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20100120471A1 (en) Mobile phone terminal,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program thereof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US1132211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thereof
US20190340983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JP200626203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20100039566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display mode
KR2016012014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00050005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50109346A1 (en)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elevision receiver, and recording medium
EP3889952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89392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screen dimming thereof
US9300905B2 (en) Projector, projector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jector control program
WO2022166567A1 (zh) 显示设备、显示参数调整方法
US7535453B2 (en) Brightnes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video display appliance
CN115641824A (zh) 画面调整设备、显示设备及画面调整方法
JP4616671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10134381A (ja) 表示方法、表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74242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6798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