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143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143A
KR20160120143A KR1020150049279A KR20150049279A KR20160120143A KR 20160120143 A KR20160120143 A KR 20160120143A KR 1020150049279 A KR1020150049279 A KR 1020150049279A KR 20150049279 A KR20150049279 A KR 20150049279A KR 20160120143 A KR20160120143 A KR 20160120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unit
mode
scree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윤
최경오
오추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9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0143A/ko
Priority to EP16162341.8A priority patent/EP3079050A3/en
Priority to CN201610213180.0A priority patent/CN106060631A/zh
Priority to US15/093,297 priority patent/US20160299683A1/en
Publication of KR20160120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60Rot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04N21/44027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for performing aspect ratio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viewing angle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09G2340/0471Vertical 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09G2340/0478Horizontal 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고, 제1영역의 컨텐츠에 내용적으로 연속된 컨텐츠가 제2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영역 및 제2영역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 가능한 정보량이 많아지면서 불필요한 스크롤 입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가 보다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TV), 모니터 등과 같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해상도, 대형화 및 와이드(wide) 스크린화 되어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뿐 아니라 웹브라우징, 전자책 리더, 문서 편집기, 알고리즘 코딩 툴, 윈도우 탐색기 등의 다양한 기능에 의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웹브라우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그런데, 가로 모드(landscape mode)로 동작하는 와이드 스크린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웹페이지와 같이 세로 즉, 버티컬(vertical) 방향으로 나열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 하단의 데이터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여러 번의 스크롤(scroll) 조작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한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양이 제한적이고 상단과 하단의 데이터를 동시에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고(思考)의 범위가 좁아질 수 있으며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고, 제1영역의 컨텐츠에 내용적으로 연속된 컨텐츠가 제2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영역 및 제2영역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정된 크기의 화면에서 기존의 2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며, 보다 많은 정보를 끊김없이 한 화면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스크롤 입력을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소정 방향의 스크롤 입력에 응답하여, 스크롤 입력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의 컨텐츠가 스크롤 입력의 반대 방향으로 스크롤링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영역을 스크롤하면, 다른 영역도 함께 스크롤되어 데이터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화면 분할 여부를 선택 가능하도록 편의를 제공한다.
사용자 입력부는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본체와 분리된 입력장치, 및 본체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핫키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이지 스크롤 모드를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보다 향상된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로부터 가로 모드로 변경되는 것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이 가능할 수 있다.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인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좌우 시야가 넓고 수평 방향의 안구 움직임이 보다 용이한 눈의 구조에 적합한 형태로 데이터를 표시하므로, 장시간 사용 시에도 눈의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해상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 변경에 응답하여 저장부로부터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를 읽어오고,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저장된 정보를 다시 읽어오는 간단한 과정으로도 화면 분할이 가능하다.
해상도 정보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커넥터에 인가되는 핫 플러그 디텍트(hot plug detect) 신호를 스위칭하여 EDID를 읽어올 수 있다. 이에, 영상공급원과의 접속이 일시적으로 해제되었다가 재연결되는 효과를 주어, 자동으로 필요한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90도 회전하고, 회전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기존의 해상도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이용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컨텐츠의 분할 및 연속적인 표시가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해상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의 해상도를 동시에 읽어오고,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 변경에 응답하여 미리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되게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새로운 EDID를 다운받는 단계가 생략되므로, 정보를 읽어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면의 깜빡임이 방지된다.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해상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중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화면 모드의 해상도 정보를 읽어오고,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하나의 화면 모드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연산하고,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 변경에 응답하여 연산된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되게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정보를 읽어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면의 깜빡임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적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고,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분리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영역 및 제2영역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나눠서 표시하는 방식으로, 한정된 크기의 화면에 기존의 2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스크롤 입력을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소정 방향의 스크롤 입력에 응답하여, 스크롤 입력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의 컨텐츠가 스크롤 입력의 반대 방향으로 스크롤링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영역을 스크롤하면, 다른 영역도 함께 스크롤되어 데이터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고, 제1영역의 컨텐츠에 내용적으로 연속된 컨텐츠를 제2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정된 크기의 화면에서 기존의 2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표시하며, 보다 많은 정보를 끊김없이 한 화면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소정 방향의 스크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스크롤 입력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의 컨텐츠를 스크롤 입력의 반대 방향으로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영역을 스크롤하면, 다른 영역도 함께 스크롤되어 데이터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지 스크롤 모드를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자가 화면 분할 여부를 선택 가능하도록 편의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로부터 가로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가로 모드로의 변경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이 가능할 수 있다.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 변경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해상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로부터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를 읽어오는 단계와;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저장된 정보를 다시 읽어오는 간단한 과정으로도 화면 분할이 가능하다.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커넥터에 인가되는 핫 플러그 디텍트(hot plug detect) 신호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해상도 정보를 읽어오는 단계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읽어올 수 있다. 이에, 영상공급원과의 접속이 일시적으로 해제되었다가 재연결되는 효과를 주어, 자동으로 필요한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90도 회전시키는 단계와; 회전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기존의 해상도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이용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컨텐츠의 분할 및 연속적인 표시가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해상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로부터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의 해상도 정보를 동시에 읽어오는 단계와;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 변경에 응답하여 미리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해상도가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되게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새로운 EDID를 다운받는 단계가 생략되므로, 정보를 읽어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면의 깜빡임이 방지된다.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해상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로부터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중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화면 모드의 해상도 정보를 읽어오는 단계와;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하나의 화면 모드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 변경에 응답하여 연산된 해상도가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되게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정보를 읽어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면의 깜빡임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적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고,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분리하어 표시하는 단계와; 프로세서는,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나눠서 표시하는 방식으로, 한정된 크기의 화면에 기존의 2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소정 방향의 스크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스크롤 입력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의 컨텐츠를 스크롤 입력의 반대 방향으로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영역을 스크롤하면, 다른 영역도 함께 스크롤되어 데이터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통신부를 통해 영상신호가 수신되도록 구현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에 이지 스크롤 모드에 대응하는 핫키가 마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OSD 메뉴를 이용하여 이지 스크롤 모드를 선택/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화면이 변경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 및 도 12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3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은 외부의 영상공급원(도 2의 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입력신호)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영상으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컴퓨터(PC) 본체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모니터(monitor) 또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텔레비전(TV)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가 방송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도시되지 아니함)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 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이하, GUI(graphic user interface) 라고도 함)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스마트 TV 또는 IP TV(Internet Protocol TV)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TV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즉, 이하 설명할 실시예는 장치/시스템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인 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사항이 아님을 밝힌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10)와, 영상처리부(11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30)와,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14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50)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영상처리부(110)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1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20)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영상처리부(11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1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이러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다양한 칩셋, 메모리 등을 포함한 회로 구성으로 구현된 영상처리보드로 구현된 영상처리부(110)가 내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 처리란 입력된 영상 신호를 영상처리부(110) 또는 제어부(160) 즉, 프로세서를 통해 신호 처리하여 목적에 맞게 가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아날로그 신호 처리 및 디지털 신호 처리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영상 처리가 영상에 대한 디지털 영상 처리를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폭넓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영상 처리는 포인트 처리, 영역 처리, 기하학적 처리, 그리고 프레임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포인트 처리는 화소의 위치를 기반으로 화소 단위로 처리한다. 영역 처리는 화소의 원래 값과 이웃하는 화소의 값을 기반으로 하여 화소값을 변경할 수 있으며, 기하학적 처리는 화소들의 위치나 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프레임 처리는 두 개 이상의 영상들에 대한 연산을 기반으로 하여 화소 값들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영상 처리는 포인트 처리에 의한 영상처리를 의미한다.
영상처리부(110)는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는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는 방송국(도시되지 아니함)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예컨대, 영상신호는 PC 본체, AV기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거나, 별도의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저장부(150)가 연결되는 연결부(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처리부(11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2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디스플레이부(120)가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과,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부(이하, 백라이트 유닛 이라고도 한다)를 포함하는 경우를 일례로 하며, 광원부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패널/광원부를 구동하는 구동부(dir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예를 들어, 21:9, 16:9 등의 종횡비를 가지는 고해상도의 대형화된 와이드(wide) 스크린으로 구현된다.
광원부의 형태는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에 배치되는 에지형과,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직하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광원 구동 장치의 일례로서, 적어도 하나의 회로 소자가 마련되는 독립된 PCB(Printed Circuit Board)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광원부와 구동부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동부는 광원부으로부터 원하는 광량이 발광되도록 광원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20)가 LED 방식으로 구현되어, 패널, LED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광원부, LED 드라이버(driver)로 구현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광원부가 LCD 백라이트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패널이 OLED로 이루어진 발광셀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패널이 OLED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 구동부는 패널 내의 발광셀로부터 원하는 광량이 발광되도록 각 발광셀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2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또는 OSD(on screen display)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보면서 리모컨(remote control),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와 같은 입력장치(300)(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본체에 마련된 키패드를 조작하여, 사용자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영역에 내용적으로 연속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복수의 영역 모두에서 영상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의 표시 및 변경에 관하여는 이후의 실시예들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 및/또는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의 사용자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에 마련된 숫자키, 메뉴키, 기능키 등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또는 입력 패널)를 포함하며, TV 또는 모니터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 설정된 커맨드(command)/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하는 마우스, 키보드, 리모컨 등의 본체와 이격 분리된 입력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감지부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자체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장치(3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이며,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RF 통신, 무선랜,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포함한다. 입력장치(300)가 키보드 또는 마우스인 경우, 입력장치(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장치(3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기 설정된 커맨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키패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 측면, 및/또는 후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와, 디스플레이부(120) 내에 UI로서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 및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가능한 물리적인 키패드(예를 들어, 키보드)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 측면, 및/또는 후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동작되는 터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물리적인 키패드 또는 이를 구성하는 버튼들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추가 혹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 본체와 분리된 입력장치(300) 및 본체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며, 이지 스크롤 모드(easy scroll mode)에 대응하는 핫키(hotkey)(도 6의 607)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모니터인 경우, 모니터와 연결된 컴퓨터(PC)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입력장치(300)를 포함한 다양한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140)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또한, 통신부(140)는 제어부(160)로부터 전달받은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입력장치(300) 간의 통신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40)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커넥터(도시되지 아니함)에 착탈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통신부(140)를 통해 영상공급원(image source 또는 video source)(200)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공급원(200)는 DVD 플레이어, 컴퓨터, 셋톱박스 등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공급원(200)과 상호 정보교환이 가능한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통신부(140)를 통해 영상신호가 수신되도록 구현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통신부(140)를 통해 영상공급원(200)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영상공급원(200)이 호스트장치 즉, 컴퓨터(PC)이고,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모니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소정 영상공급원(200)에 연결된 통신부(140)가 접속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정보가 영상공급원(200)으로 전송된다. 영상공급원(200)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용자 환경에 부합되는 영상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영상공급원(200)이 영상신호를 주고받는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통신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커넥터(141)와, 후술하는 HPD 신호를 인가받는 스위칭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HDMI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라는 디지털 영상신호 전송 프로토콜을 적용한다.
HDMI 방식의 구현을 위해서는 TMDS 트랜스미터(TX)와 TMDS 리시버(RX)라는 영상신호 변환 모듈이 필요할 수 있다. 즉, 영상공급원(200) 측에는 트랜스미터(TX)가 장착되고 디스플레이장치(100) 측에는 리시버(RX)가 장착되어, 영상공급원(200)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디지털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HDMI 방식의 영상신호 전송방식에 있어서, 트랜스미터(TX)는 소정 전압(예를 들어, 5V)을 리시버(RX) 걸어 리시버(RX)가 핫 플러그 디텍트(Hot Plug Detect) 신호(이하, HPD 신호 라고도 한다)를 출력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영상공급원(200)의 접속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영상공급원(200)의 접속되면, 스위칭부(142)에 HPD 신호(HDMI_HPD)가 하이(high)에서 로(low)로 변경(스위칭)되어 인가될 수 있다.
HPD 신호가 인가되면, 트랜스미터(TX)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영상공급원(200)이 정상적으로 접속된 것으로 판단하고, DDC(Display Data Channel) 통신을 시작하여, 리시버(RX)가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해상도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에 기초하여 영상신호를 TMDS 라인을 통해 리시버(RX)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복수의 영상공급원과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단자 즉,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HDMI 커넥터(141)가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통신부(140)에는 복수의 HDMI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HDMI 뿐 아니라 DVI(Digital Video Interface) 등의 영상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출력포트(GPIO: General Purpose Input/Output)를 통해 복수의 접속단자와 연결되어 각 접속단자에 영상공급원(200) 측의 잭 접속유무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잭이 접속된 경우, 영상공급원(200)으로부터의 영상신호가 리시버(RX)로 전송되도록 하는 HPD 신호를 출력한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5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된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6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16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저장부(15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며, 해상도 정보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50)의 EDID 영역(151)에 저장될 수 있다. EDID 영역(151)은 소정 커넥터 예를 들어, HDMI 커넥터(141)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현될 수 있다. EEPROM에는 제조 공정 과정에서 EDID가 기록(writing)될 수 있다.
EDID 영역(151)에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모드로서 가로 모드(landscape mode)와 세로 모드(Portrait mode)에 대한 해상도 정보가 모두 저장된다. 예를 들어, FHD의 경우, 1920x1080@60Hz (Landscape)와 1080x1920@60Hz (Portrait) 해상도에 대한 EDID가 디스플레이부(120)의 지원 해상도 정보로서 모두 저장된다. 여기서,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의 해상도 정보는 각각 저장부(150)의 별도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영상공급원(200)은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지원하는 해상도, 수평주파수, 수직주파수 등의 정보 패키지를 EDID로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표시 가능한 최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EDID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해상도 정보로서 HDMI 커넥터(141)를 통해 영상공급원(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EDID의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protocol)로는 VESA에서 제정한 DDC(display data channel) 전송방식이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복수의 커넥터가 각기 접속되는 복수의 포트를 가지며, 각 포트에는 접속되는 커넥터에 대응하는 EDID가 저장된 EEPROM이 각 포트 별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EDID 영역(151)이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저장부(150)에는 복수의 EDID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포트 각각에 대응되는 커넥터가 접속된 후 커넥터로부터 EDID의 요청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포트 별로 마련된 EEPROM으로부터 EDID가 로드되어 커넥터를 통해 영상공급원(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20 내지 150)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영상처리부(11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입력장치(300)를 포함한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120 내지 15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롬(ROM)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한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휘발성 메모리인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으로부터 램으로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로드하여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마이컴(Micro Computer, MICOM)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예를 들어, 롬에 저장된 소정 알고리즘에 따라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램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도 2는 제어부(160)가 CPU(161)로 구혀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60)가 단일 프로세서 예를 들어 CPU(160)로 구현되는 경우, CPU(161)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수행 가능한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디코딩, 디모듈레이팅, 스케일링 등의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에 대한 제어, 입력장치(300)를 포함한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커맨드에 대한 대응, 통신부(140)를 통한 영상공급원(200)을 포함한 외부장치와의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의 제어 등을 실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CPU(161)는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에 의해 HDMI 커넥터(141)를 통한 영상공급원(200)과의 접속 유무를 감지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해상도 정보가 영상공급원(200)으로 전송되도록 HDMI 커넥터(14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및 슬립 모드(sleep mode, 예를 들어, 대기 전원만 공급되고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동작하지 않는)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롬 및 램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모니터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GPU(Graphic Processing Unit)(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디지털 TV,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가 GP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코어(core)와 GPU가 결합된 SoC(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지원되는 특정 기능, 예를 들어,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에 응답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전용 프로세서로서 마련되는 칩(chip) 예를 들어, IC(integrated circuit)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 예를 들어, 제1영역(401) 및 제2영역(402)으로 분할하고, 제1영역(401)의 컨텐츠에 내용적으로 연속된 컨텐츠가 제2영역(402)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21:9의 와이드 화면을 가지는 모니터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130)에 웹페이지와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웹페이지는 데이터 내용의 표시 방향(이하, 데이터 표시 방향 이라고도 한다)이 버티컬(vertical) 방향(또는, 세로 방향, 수직 방향, 혹은 길이 방향 이라고도 한다)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티컬 방향의 컨텐츠가 웹페이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책, 문서, 소정 프로그래밍 언어로 이루어진 코딩 데이터, 윈도우 탐색기의 파일/폴더 등의 수직 방향으로 나열 가능한 데이터는 모두 본 발명의 컨텐츠에 포함될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가로 모드(landscape mode)로 동작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은 도 3과 같이 가로 방향이 길게 형성된 하나의 영역(301)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웹페이지와 같이 데이터 표시 방향이 버티컬 방향으로 길게 나열되는 특성을 가지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과정에서, 화면의 좌우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공백 영역이 형성되므로, 화면 영역의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웹페이지 하단의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300)를 이용하여 아래 방향으로 여러 번 스크롤하는 사용자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 예를 들어, 제1영역(401) 및 제2영역(402)으로 분할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시각적 단절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2영역(402)에는 제1영역(401)의 컨텐츠에 내용적으로 연속된 컨텐츠가 표시된다.
즉, 제1영역(401)에 이어지는 하단의 이음새와 그에 이어지는 제2영역(402)의 상단의 이음새 부분이 상호 연속되며, 결과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502)에는 제1영역(501)의 가상의 하단 영역(503)에 위치되었던 컨텐츠가 그대로 표시된다.
따라서, 도 4에서 제1영역(401)과 제2영역(402)을 데이터 표시 방향(버티컬 방향)으로 순서대로 연결하면 전체 데이터 내용 화면이 끊김없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영상공급원(200)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제1영역(401)과 제2영역(402)에 분리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도 4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는 도 3과 비교하여 화면상에 보다 많은 내용의 컨텐츠를 표시하므로,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화면 모드가 가로 모드이므로, 제1영역(401)과 제2영역(420)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이지 스크롤(easy scroll) 모드의 실행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이 분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에 이지 스크롤 모드에 대응하는 핫키(607)가 마련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본체 측면(101)에 사용자 입력부(130)로서 키패드(131)가 마련될 수 있다. 측면 키패드(131)는 파워 버튼(601), 메뉴 버튼(602), 방향키(604, 605) 및 엔터 버튼(606)(또는 누름 버튼), 자동 조정 버튼(607)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지 스크롤 모드에 대응하는 핫키(6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핫키(603)를 누름(push) 조작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이지 스크롤 기능이 실행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핫키(603)를 포함하는 키패드(131)가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 측면(101)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키패드(131)는 정면/후면 등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서는 이지 스크롤 모드에 대응하는 별도의 버튼이 핫키로서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기존의 키패드 만으로 이지 스크롤 모드에 대한 단축 버튼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엔터 버튼(606) 또는 다른 특정 버튼을 연속하여 2번 누르거나, 길게 누르면 이지 스크롤 모드가 실행되게 설정되는 경우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키패드(131)가 전면, 측면 및 후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그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위치(우측면 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지 스크롤 모드에 대응하는 핫키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분리 이격된 입력장치(300) 예를 들어, 리모컨, 키보드, 마우스 또는 호스트장치(컴퓨터)에 마련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입력장치(300)가 리모컨인 경우, 입력장치(300)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장치(300)의 해당 핫키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이지 스크롤 모드가 실행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해당 커맨드는 내부의 통신 모듈(예를 들어,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로 송신된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이지 스크롤 모드에 대응하는 핫키가 별도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OSD 메뉴에서 해당하는 항목(도 7의 701)을 선택하여 이지 스크롤 모드가 실행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OSD 메뉴를 이용하여 이지 스크롤 모드를 선택/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지 스크롤 모드 설정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본체에 마련된 키패드의 버튼들 또는 입력장치(300)를 조작하여 이지 스크롤 모드가 동작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이지 스크롤 모드 설정 화면에서 이지 스크롤 모드의 메뉴 항목(701)을 선택하면, 도 7과 같이 해당 모드에 대한 해제 항목(702) 및 동작 항목(703)이 사용자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동작 항목(703)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120)는 선택된 항목(703)을 하이라이트 등의 효과에 의해 강조 표시한다. 강조 표시를 위한 효과는 깜빡임 등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이지 스크롤 모드가 동작되도록 선택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60)가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 예를 들어, 제1영역(401) 및 제2영역(402)으로 분할하고, 제1영역(401)의 컨텐츠에 내용적으로 연속된 컨텐츠가 제2영역(402)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어부(160)가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 모드의 변경을 감지하고, 이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401, 402)으로 분할하도록 구현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태블릿)와 같은 휴대장치인 경우,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예를 들어, 자세 변경)에 의해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내부에 마련된 자세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를 통해 화면 모드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센서를 통해 자세 변경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401, 402)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401, 402)에 내용적으로 연속된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 변경에 응답하여, HDMI 커넥터(141)에 인가되는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HDMI_HPD)를 스위칭하여 저장부(150)로부터 해상도 정보를 다시 읽어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핫키(603) 또는 OSD의 해당 메뉴(703)를 선택하여 이지 스크롤 기능을 활성화 시키면, CPU(161)는 도 2와 같이 스위칭부(142)에 인가되는 HPD 신호(HDMI_HPD)를 하이(high)로 스위칭하였다가 다시 로(low)가 되도록 스위칭한다. 이에 따라, HDMI 커넥터(141)를 통한 영상공급원(200)과의 접속이 일시적으로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영상공급원(200)을 재인증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의 별도 영역 즉, EDID 영역(151)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120)의 세로 모드(portrait mode)에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를 읽어온다. 즉, 제어부(160)는 저장부(150)로부터 세로 모드에 대응하는 해상도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해상도가 디스플레이부(120)에 적용되도록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지 스크롤 모드에서 우선순위를 가지는 EDID 프라임 모드(prime mode)가 세로 모드가 되도록 정의하여, 그에 대응하는 해상도 정보가 EDID 프라임부로 갱신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GPU(162)는 읽어온 세로 모드의 해상도 정보에 대응하도록 영상에 대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160)는 디스플레이부(120)가 실제로는 가로 모드(landscape mode)이지만, 세로 모드인 것처럼 동작된다.
제어부(160)는 GPU(162)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90도 회전하여 제1영역(401)과 제2영역(402)에 각각 표시하도록 영상처리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즉, HDMI 커넥터(141)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는 해상도 변경 및 90도 회전에 의해 제1영역(401) 및 제2영역(402)에 버티컬 방향으로 표시되도록 가공되어 스케일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3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패널 라인 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제1영역(401) 및 제2영역(402)에 내용적으로 연속되는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지 스크롤 모드에서는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가 가로 모드임에도 불구하고, 좌우 화면의 영역(401, 402)으로 분할된 픽쳐 바이 픽쳐(Picture-by-Picture) 모드로 동시에 표시된다. 그리고, 좌측 분할 화면인 제1영역(401)에는 상부 분할 화면이 90도 회전되어 표시되고, 우측 분할 화면인 제2영역(402)에는 하부 분할 화면이 90도 회전되어 표시된다.
그러므로, 도 3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스크롤 조작을 하지 않아도 웹페이지의 더 많은 정보를 시각적인 단절없이 한 번에 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의 변경 시점에, 제어부(150)가 HPD 신호 등을 이용하여 대응되는 새로운 해상도(예를 들어, 세로 모드의 해상도) 정보를 EDID 영역(151)으로부터 다운로드 즉, 읽어오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2가지 화면 모드 즉,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의 해상도 정보를 EDID 영역(151)으로부터 동시에 다운로드 즉, 읽어오고, 이지 스크롤 모드를 실행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미리 다운로드된 해상도 정보 중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30)에 적용되게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전원 오프 상태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원 온 명령이 수신되면, 저장부(150)의 EDID 영역(151)으로부터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EDID를 모두 읽어오고, 그 중 현재의 화면 모드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가로 모드)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적용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이지 스크롤 모드를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미리 읽어온 세로 모드의 EDID에 대응하는 해상도가 디스플레이부(120)에 적용되게 하며,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각 영역(401, 402)에 영상을 90도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지 스크롤 모드 실행 시점 또는 화면 모드의 변경 시점에서 새로운 EDID를 다운받는 즉, 읽어오는 단계가 생략되며, 그에 따라 정보를 읽어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20)의 깜빡임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적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어느 하나의 해상도 정보를 EDID 영역(151)으로부터 다운로드 즉, 읽어오고, 다운로드된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하나의 해상도를 계산하여, 이지 스크롤 모드를 실행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계산된 해상도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20)에 적용되게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전원 오프 상태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원 온 명령이 수신되면, 저장부(150)의 EDID 영역(151)으로부터 현재의 화면 모드인 세로 모드에 대응하는 EDID를 읽어오고, 해당 EDID(세로 모드)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읽어 온 세로 모드의 해상도 정보를 바탕으로 가로 모드에 적합한 해상도를 연산(또는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세로 모드로부터 가로 모드로의 화면 모드의 변경이 감지되면, 제어부(160)는 미리 연산된 가로 모드의 EDID에 대응하는 해상도가 디스플레이부(120)에 적용되게 하며,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서도, 이지 스크롤 모드 실행 시점 또는 화면 모드의 변경 시점에서 새로운 EDID를 읽어오는 단계가 생략되며, 그에 따라 정보를 읽어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20)의 깜빡임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화면 모드의 변경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이 복수의 영역(401, 402)로 분할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복수의 영역 즉, 제1영역(401) 및 제2영역(402)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영역(401) 및 제2영역(402)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화면이 변경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제1영역(801) 및 제2영역(802) 중 어느 하나의 영역(801)에 대한 소정 방향의 스크롤 입력(811)에 응답하여, 스크롤 입력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802)의 컨텐츠가 스크롤 입력의 반대 방향으로 스크롤링(812)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스크롤 입력에 대응되는 영역(801)의 컨텐츠 또한 스크롤 입력에 대응하여 변경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복수의 영역(801, 802)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영역 즉, 제1영역(801)에 대한 아래 방향으로의 스크롤 입력(811)이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아래 방향으로의 스크롤 입력(811)은 입력장치(300) 즉, 마우스를 이용한 아래방향으로의 스크롤 조작(813)에 대응된다.
제어부(160)는 제1영역(801)에 대한 아래 방향으로의 스크롤 입력(811)에 응답하여 제2영역(802)의 화면이 위로 스크롤링(812)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제1영역(801) 및 제2영역(802) 모두 화면이 위로 스크롤링되며, 그에 따라 양 영역(801, 802)에는 내용적으로 연속된 컨텐츠가 계속해서 표시된다. 결과적으로, 변경된 화면에서도 제1영역(801)에 이어지는 하단의 이음새와 그에 이어지는 제2영역(802)의 상단의 이음새 부분이 상호 연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끊김 없는 스크롤(seamless scroll) 또는 끊김 없는 디스플레이 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패널 라인 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1영역(801) 및 제2영역(802)에 내용적으로 연속되는 컨텐츠가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상기와 같은 끊김 없는 스크롤/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영역에 관계없이 적용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제2영역(902)에 대한 아래 방향으로의 스크롤 입력(921)이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아래 방향으로의 스크롤 입력(921)은 입력장치(300) 즉, 마우스를 이용한 아래 방향으로의 스크롤 조작(923)에 대응된다.
제어부(160)는 제2영역(902)에 대한 위 방향으로의 스크롤 입력(921)에 응답하여 제1영역(901)의 화면이 아래로 스크롤링(922)되도록 제어한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사용자 입력이 스크롤 입력(813, 923)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입력은 스크롤 뿐 아니라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입력, 영역 크기 조절 입력, 화면 회전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화면의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제1영역(1001) 및 제2영역(1002)이 변경되어 표시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복수의 영역(1001, 1002)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영역 예를 들어, 제1영역(1001)에 대한 화면 확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키보드의 컨트롤 키(Ctrl)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를 이용한 위 방향으로의 스크롤 조작에 의해 화면 확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영역(1001)에 대한 화면 확대 입력에 응답하여 도 10과 같이 제1영역(1001) 및 제2영역(1002)의 화면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도 10의 실시예에서도 복수의 영역(1001, 1002)에 대한 끊김 없는 스크롤/디스플레이가 적용되므로,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패널 라인 별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제1영역(1001) 및 제2영역(1002)에 내용적으로 연속되는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을 3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이 3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화면 모드의 변경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을 복수의 영역 즉, 제1영역(1101), 제2영역(1102), 제3영역(1103)으로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OSD 메뉴를 통해 분할 화면의 개수를 지정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지정된 분할 화면의 개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분할된 각 영역(1101, 1102, 1103)에는 내용적으로 연속되는 컨텐츠가 표시되며, 예를 들어 제1영역(1101)의 컨텐츠가 제2영역(1102)와 연속되고, 제2영역(1102)의 컨텐츠가 제3영역(1103)에 연속될 수 있다. 즉, 제1영역(1101)에 이어지는 하단의 이음새와 그에 이어지는 제2영역(1102)의 상단의 이음새 부분이 상호 연속되고, 제2영역(1102)에 이어지는 하단의 이음새와 그에 이어지는 제3영역(1103)의 상단의 이음새 부분이 상호 연속된다.
도 11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을 3개 영역으로 분할하는 경우, 2개 영역으로 분할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이 제1 내지 제3영역(1201, 1202, 1203)로 분할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복수의 영역 즉, 제1영역(1201), 제2영역(1202) 및 제3영역(1203) 중 어느 하나의 영역, 예를 들어 제2영역(1202)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2영역(1202) 뿐 아니라, 제1영역(1201) 및 제3영역(1203)도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즉, 도 12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제2영역(1202)에 대한 아래 방향으로의 스크롤 입력(1231)이 수신될 수 있으며, 아래 방향으로의 스크롤 입력(1231)은 입력장치(300) 즉, 마우스를 이용한 아래방향으로의 스크롤 조작(1234)에 대응된다.
제어부(160)는 제2영역(1202)에 대한 아래 방향으로의 스크롤 입력(1231)에 응답하여 제1영역(1201) 및 제3영역(1203)의 화면이 위로 스크롤링(1232, 1233)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영역(1201, 1202, 1203) 모두 화면이 위로 스크롤링되며, 이에 모든 영역(1201, 1202, 1203)에는 내용적으로 연속된 컨텐츠가 계속해서 표시되는 끊김 없는 스크롤/디스플레이(seamless scroll/display)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9와 같은 와이드 모니터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이지 스크롤 모드를 실행하도록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1301). 여기서, 이지 스크롤 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본체, 그와 이격된 입력장치(300) 및 호스트장치(컴퓨터)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핫키(603) 또는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에 대응하는 OSD 메뉴 항목(703)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단계 S1301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이지 스크롤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60)는 이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301)을 복수의 영역(401, 402)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들(401, 402)에서 컨텐츠가 내용적으로 연속되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S1302). 여기서, 제어부(160)는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에 응답하여 HDMI 커넥터(141)에 인가되는 HPD 신호를 스위칭하여 EDID 영역(151)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120)의 가로 모드의 해상도 정보를 다시 읽어올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읽어온 가로 모드의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60)는 다시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영상공급원(200)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90도 회전하여 복수의 영역(401, 402)에 내용적으로 연속되게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1302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이 복수의 영역(801, 802)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어느 하나의 영역(801)에 대한 사용자 조작으로서 마우스,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300)를 이용한 소정 방향으로의 스크롤 입력(811)을 감지할 수 있다(S1303).
그리고, 제어부(160)는 모든 영역 즉, 복수의 영역(801, 802)이 단계 S1303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게 변경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S1304). 즉,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지 않은 영역(802)이 단계 S1303의 스크롤 입력(811)의 반대 방향(812)으로 스크롤링되고, 이에 따라 제1영역(801)과 제2영역(801)에서 계속해서 내용적으로 연속된 컨텐츠가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일 해상도/사이즈의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사용하여 표시 가능한 정보량이 두 배로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두 배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함으로써, 버티컬 방향의 나열된 정보 형태를 갖는 컨텐츠인 웹 페이지, 소프트웨어 코딩 프로그램의 창(window), 윈도위 탐색기 등에서 기존에는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았던 정보까지 표시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았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이 필요했던 것과 비교하여, 불필요한 스크롤 입력을 없애거나 줄임으로써 작업 효율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보다 많은 데이터가 한 화면 상에서 제공되고, 상단과 하단의 데이터를 동시에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사고(思考)의 범위가 넓어지고 창의성/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눈의 구조는 좌우 시야가 넓고 근육의 움직임 속성이 수직 방향보다는 수평 방향의 이동이 용이한 특징이 있으므로, 좌측 및 우측 분할 화면을 이용한 끊김없는 스크롤/디스플레이를 제공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눈이 편안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로 방향으로 긴 와이드 화면의 좌우 공백 영역을 데이터 표시에 활용함으로써, 추가적인 비용의 부담 없이 자원에 대한 활용도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전송매체 및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 가능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전송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이 상호 결합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서, 제어부(160)는 소프트웨어인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비휘발성메모리와, 비휘발성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 로딩되는 RAM과, RAM에 로딩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메모리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플래쉬메모리, ROM, CD-ROMs, 자기테이프(magnetic tapes), 플로피 디스크, 광기억 장치(optical storage),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휘발성메모리는 본 발명의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의 일례이다.
컴퓨터프로그램은 CPU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로서, 도 13에 도시된 단계 S13014 내지 단계 S1304와 같은 제어부(16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구비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영상처리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통신부 141 : HDMI 커넥터
142 : 스위칭부 150 : 저장부
151 : EDID 영역 160 : 제어부
161 : CPU 162 : GPU
200 : 영상공급원 300: 입력장치

Claims (24)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영역의 컨텐츠에 내용적으로 연속된 컨텐츠가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스크롤 입력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소정 방향의 스크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롤 입력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의 컨텐츠가 상기 스크롤 입력의 반대 방향으로 스크롤링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상기 본체와 분리된 입력장치, 및 상기 본체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핫키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로부터 가로 모드로 변경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모드가 상기 가로 모드인 경우,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해상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를 읽어오고, 상기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도 정보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커넥터에 인가되는 핫 플러그 디텍트(hot plug detect) 신호를 스위칭하여 상기 EDID를 읽어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90도 회전하고, 상기 회전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해상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의 해상도를 동시에 읽어오고,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미리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해상도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해상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중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화면 모드의 해상도 정보를 읽어오고, 상기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하나의 화면 모드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연산하고,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연산된 해상도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분리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스크롤 입력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소정 방향의 스크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롤 입력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의 컨텐츠가 상기 스크롤 입력의 반대 방향으로 스크롤링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영역의 컨텐츠에 내용적으로 연속된 컨텐츠를 상기 제2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소정 방향의 스크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 입력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의 컨텐츠를 상기 스크롤 입력의 반대 방향으로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이지 스크롤 모드를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가 세로 모드로부터 가로 모드로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가로 모드로의 변경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해상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로부터 대응되는 해상도 정보를 읽어오는 단계와;
    상기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커넥터에 인가되는 핫 플러그 디텍트(hot plug detect) 신호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상도 정보를 읽어오는 단계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읽어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90도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전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1.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해상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로부터 상기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의 해상도 정보를 동시에 읽어오는 단계와;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미리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해상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2.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해상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로부터 상기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중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화면 모드의 해상도 정보를 읽어오는 단계와;
    상기 읽어온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하나의 화면 모드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이지 스크롤 모드의 실행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 변경에 응답하여 상기 연산된 해상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적용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3.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분리하어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소정 방향의 스크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롤 입력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의 컨텐츠를 상기 스크롤 입력의 반대 방향으로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049279A 2015-04-07 2015-04-0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20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279A KR20160120143A (ko) 2015-04-07 2015-04-0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6162341.8A EP3079050A3 (en) 2015-04-07 2016-03-24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610213180.0A CN106060631A (zh) 2015-04-07 2016-04-07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15/093,297 US20160299683A1 (en) 2015-04-07 2016-04-0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279A KR20160120143A (ko) 2015-04-07 2015-04-0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143A true KR20160120143A (ko) 2016-10-17

Family

ID=5563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279A KR20160120143A (ko) 2015-04-07 2015-04-0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299683A1 (ko)
EP (1) EP3079050A3 (ko)
KR (1) KR20160120143A (ko)
CN (1) CN10606063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2850B2 (en) 2017-01-10 2020-09-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796642B2 (en) 2017-01-11 2020-10-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847088B2 (en) 2016-12-07 2020-11-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22019413A1 (ko) * 2020-07-24 2022-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7152B2 (en) * 2016-01-08 2021-06-15 Kevin E. Davenport Enhanced security credit card system
WO2019209331A1 (en) 2018-04-27 2019-10-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ull-screen displays
KR102574120B1 (ko) * 2018-07-11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596554B (zh) * 2021-03-31 2023-03-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显示设备
CN117280701A (zh) 2021-08-03 2023-12-22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及其图像处理方法
CN114578898A (zh) * 2022-02-18 2022-06-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0105B1 (en) * 1998-12-01 2008-01-15 Intel Corporation Data display using multicolumn scrolling
US7412647B2 (en) * 2005-03-04 2008-08-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aying out paginated content for viewing
TWI322569B (en) * 2006-09-26 2010-03-21 Optoma Corp Reset circuit and method for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9176620B2 (en) * 2008-07-22 2015-11-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list thereof
TWI383315B (zh) * 2009-03-27 2013-01-21 Wistron Corp 電腦螢幕畫面顯示方法、具有直立顯示裝置的電腦、內儲基本輸入輸出系統的紀錄媒體及電腦程式產品
US20120225693A1 (en) * 2010-10-01 2012-09-06 Sanjiv Sirpal Windows position control for phone applications
KR101286358B1 (ko) * 2011-08-11 2013-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방법 및 장치
KR101789626B1 (ko) * 2011-10-10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4829B1 (ko) * 2012-09-25 2019-1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US20140215308A1 (en) * 2013-01-31 2014-07-31 Adobe Systems Incorporated Web Page Reflowed Text
JP2015049604A (ja) *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東芝 電子文書を表示するための電子機器および方法
WO2015038151A1 (en) * 2013-09-13 2015-03-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reen orient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7088B2 (en) 2016-12-07 2020-11-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762850B2 (en) 2017-01-10 2020-09-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796642B2 (en) 2017-01-11 2020-10-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2019413A1 (ko) * 2020-07-24 2022-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9050A3 (en) 2017-01-11
CN106060631A (zh) 2016-10-26
EP3079050A2 (en) 2016-10-12
US20160299683A1 (en)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014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45078B1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236623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437378B2 (en)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receives an input to an input area of the input apparatus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using the input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ensor
KR102262051B1 (ko) 디스플레이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4286138B (zh) 显示设备、外接设备及多视角比例显示方法
US20070008338A1 (en)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video source and display apparatus
KR102198783B1 (ko)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US9342168B2 (en)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KR20130080891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80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40292694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11557098B (zh) 电子装置及其显示方法
EP268829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40035816A1 (en) Portable apparatus
EP3889952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196121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icture in picture function
CN111259639B (zh) 一种表格的自适应调节方法及显示设备
KR10256399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번인 방지 방법
TW202038080A (zh) 電腦系統、顯示裝置及螢幕上顯示介面的操作方法
WO2014103356A1 (ja) 情報処理装置、ユーザ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MX2014015378A (es) Aparato de entrada, aparato de despliegue, metodo de control de los mismos y sistema de despliegue.
CN114913796A (zh) 显示设备和显示亮度调整方法
KR20180119022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