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852A - 스피커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스피커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852A
KR20190047852A KR1020170142174A KR20170142174A KR20190047852A KR 20190047852 A KR20190047852 A KR 20190047852A KR 1020170142174 A KR1020170142174 A KR 1020170142174A KR 20170142174 A KR20170142174 A KR 20170142174A KR 20190047852 A KR20190047852 A KR 20190047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osture
sound output
unit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386B1 (ko
Inventor
윤의한
강승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2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386B1/ko
Priority to PCT/KR2018/009438 priority patent/WO2019088420A1/en
Priority to CN201880067431.6A priority patent/CN111226443A/zh
Priority to EP18874828.9A priority patent/EP3659348A4/en
Priority to US16/115,760 priority patent/US10652651B2/en
Publication of KR2019004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92Mountings or supports for transducers
    • H04R1/2896Mountings or supports for transducer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1Transducers or their casings adapted for mounting in or to a wall or ce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7/00Details of public address [PA] systems covered by H04R27/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7/003Digital PA systems using, e.g. LAN or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스피커가 개시된다. 본 스피커는 일측에 사운드 방사홀을 가지는 음향 출력부, 음향 출력부 하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면이 돔 형상으로 형성된 음향 반사부 및 일단이 음향 반사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음향 출력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음향 출력부는 사운드 방사홀이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는 제1 자세 및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지 않는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및 그 동작 방법 { SPEAK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스피커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운드의 출력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스피커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스피커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스피커로부터 방사되는 사운드의 진행 방향을 다양화한 스피커가 개발되고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360도 방사 구조를 갖는 스피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60도 방사 구조를 갖는 스피커는 360도 사운드 반사판(Sound Reflector)을 포함하며, 방사된 사운드가 360도 사운드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사운드의 진행 방향이 전 방위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360도 방사 구조를 갖는 스피커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한 명이더라도 사운드가 전 방위로 방사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있을 수 있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면 방사 구조를 갖는 스피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면 방사 구조를 갖는 스피커는 사용자의 전면을 향해서 사운드가 방사되는 구조를 갖는다.
다만, 전면 방사 구조를 갖는 스피커를 이용하면 스피커의 후면에 위치한 사용자는 스피커의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보다 청취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전면 방사 구조를 갖는 스피커를 복수 개 마련하고, 각 스피커를 원형으로 배치하여 360도 방사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면 방사 또는 360도 방사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복수의 스피커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면 방사 또는 360도 방사를 위해 배치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의 노력이 필요한 문제도 있다.
그에 따라, 좀더 간단한 방법으로 사운드의 전면 방사 또는 360도 방사를 지원하는 스피커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운드의 출력 방향을 조절하여 일 방향으로 방사되는 것 뿐만 아니라 전 방위로도 방사 가능한 구조를 갖춘 스피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피커는 일측에 사운드 방사홀을 가지는 음향 출력부, 상기 음향 출력부 하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면이 돔 형상으로 형성된 음향 반사부 및 일단이 상기 음향 반사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음향 출력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사운드 방사홀이 상기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는 제1 자세 및 상기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지 않는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자세는 상기 사운드 방사홀이 상기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자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볼륨 및 주파수 별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수 이상이면,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1 자세로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수가 상기 기설정된 수 미만이면,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2 자세로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음향 출력부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출력부를 틸트시켜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음향 출력부가 수평 방향으로 스위블되도록 상기 제2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운드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2 자세로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자세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는 상기 음향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어 전 방위로 방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측에 사운드 방사홀을 가지는 음향 출력부, 상기 음향 출력부 하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면이 돔 형상으로 형성된 음향 반사부 및 일단이 상기 음향 반사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음향 출력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스피커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사운드 방사홀이 상기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는 제1 자세 및 상기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지 않는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로 포지셔닝되어 사운드를 방사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다른 하나로 포지셔닝되어 상기 사운드를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자세는 상기 사운드 방사홀이 상기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자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른 하나로 포지셔닝되어 상기 사운드를 방사하는 단계는 상기 음향 출력부의 자세가 변경되며, 상기 사운드의 볼륨 및 주파수 별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를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지셔닝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수 이상이면, 상기 음향 출력부를 상기 제1 자세로 포지셔닝하고,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수가 상기 기설정된 수 미만이면, 상기 음향 출력부를 상기 제2 자세로 포지셔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운드를 방사하는 단계는 상기 음향 출력부를 틸트시켜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하고,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2 자세인 경우, 상기 음향 출력부를 수평 방향으로 스위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운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를 상기 제2 자세로 포지셔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부를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자세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는 상기 음향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어 전 방위로 방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피커는 음향 출력부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음향 출력부가 특정 자세인 경우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가 반사부에 의해 전 방위로 방사되어, 사운드의 전면 방사 또는 360도 방사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360도 방사 구조를 갖는 스피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면 방사 구조를 갖는 스피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부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된 사용자에 기초한 포지셔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따른 스피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스피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스피커(100)는 음향 출력부(110), 음향 반사부(120) 및 지지대(130)를 포함한다.
음향 출력부(110)는 전기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판을 진동시켜 사운드를 방사할 수 있다. 특히, 음향 출력부(110)는 일측에 사운드 방사홀을 가지며, 사운드 방사홀을 통해 사운드를 방사할 수 있다. 즉, 음향 출력부(110)는 사운드를 하나의 진행 방향으로만 방사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110)가 사운드를 하나의 진행 방향으로만 방사한다면, 음향 출력부(110)의 형태, 종류 등은 무방하다.
사운드 방사홀은 평면의 메쉬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사운드 방사홀은 곡면의 메쉬 형태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운드 방사홀은 특정한 형태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10)의 일측은 오목하게 파인 형태이며, 음향 출력부(110)는 오목하게 파인 영역의 내부에 구비된 진동판을 통해 사운드를 방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운드 방사홀은 오목하게 파인 영역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음향 반사부(120)는 음향 출력부(110) 하측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향 출력부(110)의 형태 및 자세에 따라 음향 반사부(120)의 상면과 음향 출력부(110)의 일면이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반사부(120)의 상면은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음향 출력부(110)로부터 방사되는 사운드를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반사부(120)의 상면은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음향 출력부(110)로부터 하측으로 방사된 사운드를 반사시킬 수 있다. 즉, 음향 출력부(110)의 사운드 방사홀이 음향 반사부(120)의 상면을 향하는 상태에서, 음향 반사부(120)의 상면은 음향 출력부(110)로부터 하측으로 방사된 사운드를 반사시킬 수 있다.
또는, 음향 반사부(120)의 상면은 볼록한 형태, 피라미드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향 반사부(120)의 상면은 음향 반사부(120)의 상부로부터 음향 출력부(110)에 의해 방사된 사운드가 전 방위로 방사되도록 반사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음향 반사부(120)는 사운드를 흡수하지 않고, 반사시킬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반사부(120)는 매끄러운 표면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향 반사부(120)는 매끄러운 표면의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음향을 반사하기에 적합한 부재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지지대(130)는 일단이 음향 반사부(1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음향 출력부(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30)는 두 개의 지지 기둥을 포함하며, 두 개의 지지 기둥 각각은 일단이 음향 반사부(120)에 대향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지지 기둥 각각은 타단이 음향 출력부(110)에 대향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대(130)는 음향 출력부(110) 및 음향 반사부(120)를 연결하며, 음향 출력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지지대(130)는 하나의 지지 기둥만으로 음향 출력부(110) 및 음향 반사부(120)를 연결하며, 음향 출력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부(110)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음향 출력부(110)는 사운드 방사홀이 음향 반사부(120)의 상면을 향하는 제1 자세 및 음향 반사부(120)의 상면을 향하지 않는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향 출력부(110)를 회전시켜 제1 자세 또는 제2 자세로 포지셔닝할 수 있다.
도 3a는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인 상태를 나타내며, 도 3a의 좌측은 스피커(100)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의 우측은 스피커(100)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음향 출력부(110)로부터 방사되는 사운드는 하측의 진행 방향을 가질 수 있다. 하측의 진행 방향을 갖는 사운드는 음향 반사부(120)에 의해 반사되어 전 방위로 방사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세는 특히 사운드 방사홀이 음향 반사부(120)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자세일 수도 있다.
즉, 제1 자세 및 제2 자세는 음향 출력부(110)의 기울기의 범위일 수 있다. 특히, 제1 자세 및 제2 자세는 음향 출력부(110)로부터 방사되는 사운드의 진행 방향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측을 향하며 지면에 수직인 기준 방향을 0도라고 가정하면, 제1 자세는 사운드의 진행 방향이 기준 방향을 기준으로 0 ~ 10도인 경우이고, 제2 자세는 그 밖의 각도 범위일 수 있다. 여기서, 각도 범위는 음향 반사부(120)의 넓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스피커(100)는 제1 자세 및 제2 자세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볼륨 및 주파수 별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조정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1 자세 및 제2 자세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볼륨 및 주파수 별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조정하도록 음향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제1 자세인 경우에 제2 자세인 경우보다 사운드의 볼륨을 크게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제1 자세인 경우 및 제2 자세인 경우에서 주파수에 따른 신호의 세기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는 음향 출력부(110)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사운드의 볼륨 및 주파수 별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음향 출력부(110)는 자세가 변경되더라도 출력되는 사운드의 볼륨 및 주파수 별 세기를 변경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향 출력부(11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스피커(100)가 음향 출력부(110)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100)는 음향 출력부(110), 제어부(140), 구동부(150), 센서(160), 통신부(17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00)는 음향 반사부(120) 및 지지대(130)를 더 포함하나, 음향 반사부(120) 및 지지대(130)는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이 아니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한편, 음향 출력부(110)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제어부(140)는 스피커(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전기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판을 진동시켜 사운드를 방사하도록 음향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50)는 음향 출력부(110)를 회전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50)는 음향 출력부(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센서(16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160)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이미지 센서, 온도 센서, 키넥트, 뎁스 카메라 및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60)는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카메라는 스피커(100)의 전 방위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는 화각이 넓은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카메라 및 카메라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수 및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센서(16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를 분석하여 음색을 구분하고, 구분된 음색의 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센서(160)는 복수의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각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의 위상 차에 기초하여 사운드가 입력된 방향을 추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수 및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무방하다.
제어부(140)는 감지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수 이상이면,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로 포지셔닝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수 미만이면, 음향 출력부(110)가 제2 자세로 포지셔닝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감지된 사용자의 수가 5명 이상이면,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로 포지셔닝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수가 5명 미만이면, 음향 출력부(110)가 제2 자세로 포지셔닝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더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감지된 사용자의 수가 5명 이상이더라도, 감지된 사용자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내이면, 음향 출력부(110)가 제2 자세로 포지셔닝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전 방위를 기설정된 각도의 복수의 부채꼴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부채꼴 영역에 사용자가 위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부(110)의 자세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전 방위를 90도의 4개의 부채꼴 영역으로 구분하고, 4개의 부채꼴 영역 중 3개 이상의 부채꼴 영역에 사용자가 위치한 경우에만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로 포지셔닝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만을 고려하여 음향 출력부(110)의 자세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사용자 두 명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감지되면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로 포지셔닝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구동부(150)는 음향 출력부(110)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포함하며,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를 틸트시켜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되도록 제1 모터를 제어하며, 제2 자세에서 음향 출력부(110)가 수평 방향으로 스위블되도록 제2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가 제2 자세인 경우에 감지된 사용자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위블될 수 있다.
다만,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인 경우에는 제2 모터를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센서(160)가 카메라 등으로 구현된 경우, 센서(160)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을 더 감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감지된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음향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가 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방사되는 사운드가 전 방위로 방사되어 어린이의 청력을 보호하도록 스피커(100)가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출력되는 사운드의 종류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부(110)의 자세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출력되는 사운드가 락 음악이면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가 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출력되는 사운드가 클래식 음악이면 음향 출력부(110)가 제2 자세가 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출력되는 사운드의 원본 데이터의 태그 정보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출력되는 사운드의 평균 크기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통신부(170)를 통해 사운드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가 출력되도록 음향 출력부(110)를 제어하고,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부(110)가 제2 자세로 포지셔닝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된 스피커(100)로 음악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음악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폰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부(110)가 제2 자세로 포지셔닝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50)가 제2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를 제2 자세로 포지셔닝한 후,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음향 출력부(110)가 스위블되도록 제2 모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운드를 포함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어떠한 방법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스피커(100)는 두 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며, 위상차 및 파장 등에 기초하여 안테나에 대한 신호의 입사각을 산출하고,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7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7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한편, 통신부(170)는 외부 전자 장치와 단방향 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7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7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외부 전자 장치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는 스피커(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는 스피커(100)에 구비된 버튼,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카메라 등일 수 있다. 또는, 스피커(100)가 터치 기반의 전자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가 버튼으로 구현되면, 사용자는 버튼을 토글(toggle)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버튼의 토글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부(110)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스피커(100)는 스피커(1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는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음향 출력부(110)의 자세 변경 명령을 입력한 경우, 원격 제어 장치는 스피커(1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제어부(14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부(110)의 자세를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제1 자세 및 제2 자세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볼륨 및 주파수 별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이상에서 설명한 주변 상황에 따라 음향 출력부(110)의 자세를 변경하며, 출력되는 사운드의 볼륨 및 주파수 별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가 제2 자세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수 이상 감지되어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가 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동시에 사운드의 볼륨을 증가시키도록 음향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 및 감지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외부 서버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 및 감지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에 기초한 제어 명령을 스피커(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혼자 있을 경우 스피커(100)를 제2 자세인 상태로 이용하고, 다른 사람이 더 있는 경우 스피커(100)를 제1 자세인 상태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100)의 자세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센서(160)를 통해 사용자의 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수에 따른 스피커(100)의 자세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스피커(100)가 동작하지 않는 상황에서, 제어부(140)는 복수의 사용자가 감지되면 감지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는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스피커(100)의 자세를 제1 자세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스피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스피커(100)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40)는 외부 서버 없이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스피커(100)의 자세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40)는 직접 사용 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100)는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스피커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 명령을 인공 지능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인공 지능 서버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 명령을 인공 지능 스피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공 지능 서버는 사용자 명령 및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 지능 서버는 사용자 명령의 입력 시간, 장소, 입력 방법 등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하여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인공 지능 서버는 인공 지능 스피커로부터 감지된 정보 또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학습된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수신된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인공 지능 스피커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등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가령, 제어부(14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가 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에게 “제1 자세로 자세를 변경할까요?”와 같은 문의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인공 지능 스피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문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되거나, 음향 출력부(110)를 통해 문의 메시지를 사운드로 방사할 수도 있다.
한편, 인공 지능 서버는 인공 지능 스피커와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인공 지능 스피커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 및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학습을 수행하며, 학습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피커(100)는 제어부(140)를 구비하고, 제어부(140)에 의해 자동으로 음향 출력부(110)의 자세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된 사용자에 기초한 포지셔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센서(160)를 통해 좌측의 사용자 한 명을 감지하고, 음향 출력부(110)가 제2 자세가 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별도의 제어가 있으면,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가 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센서(160)를 통해 우측의 사용자 한 명을 더 감지하면,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가 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도 5a와 같은 상황에서 좌측의 사용자가 한 명 더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의 자세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얼굴이 인식된 사용자만을 유효한 사용자로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서 우측 사용자가 스피커(100) 방향이 아닌 우측 방향을 주시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좌측 사용자 만을 유효한 사용자가 판단하고, 음향 출력부(110)의 자세를 변경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음향 출력부(100)로부터 방사되는 사운드를 청취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만 해당 사용자를 유효한 사용자로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유효한 사용자로 감지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b와 같은 상황에서 좌측 사용자가 잠들어 버린 경우와 같이 움직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40)는 좌측 사용자를 유효한 사용자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가 제2 자세가 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의 사운드 방사홀이 우측 사용자를 향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스피커(100)는 등록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스토리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등록된 사용자 정보 중 감지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의 유무에 기초하여 감지된 사용자가 유효한 사용자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리지는 메모리 등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스토리지에는 등록된 사용자 간의 우선 순위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부(110)의 자세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순위가 높은 사용자는 높은 가중치를 부여받고, 우선 순위가 낮은 사용자는 낮은 가중치를 부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감지된 사용자의 가중치를 합산하여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가 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서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센서(160)는 사물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센서(160)를 통해 벽과 같은 물체를 감지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140)는 스피커(100)의 일면이 벽이므로 음향 출력부(110)가 제2 자세가 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의 사운드 방사홀이 벽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따른 스피커(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스피커(100)의 구동부(150)는 음향 출력부(110)를 수평 방향으로 스위블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한다.
도 6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좌측의 사용자 한 명을 감지하고, 음향 출력부(110)가 제2 자세가 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도 6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되면, 변경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음향 출력부(110)를 스위블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사용자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부(110)의 자세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10)가 제1 자세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피커(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상 멀어지면,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가 제2 자세가 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멀어짐에 따라 전면 방사를 통해 사용자의 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스피커(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40)는 사운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부(110)의 자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사운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우측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부(110)가 제2 자세가 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의 사운드 방사홀이 우측을 향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100)의 음향 반사부(120)는 천장에 부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음향 반사부(120)의 돔 형상으로 된 제1 면은 하측을 향하게 되며, 음향 출력부(110)로부터 상측으로 방사된 사운드를 전 방위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음향 반사부(120)의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천장과 접할 수 있다. 또는, 제2 면은 바닥과 접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음향 반사부(120)의 제2 면을 천장 및 바닥 중 어느 하나에 접하도록 스피커(100)를 배치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에 따르면, 스피커(100)는 제1 음향 출력부(110-1), 제2 음향 출력부(110-2), 제1 음향 반사부(120-1), 제2 음향 반사부(120-2) 및 지지대(130)를 포함한다.
도 9a에 따르면, 제1 음향 출력부(110-1) 및 제1 음향 반사부(120-1) 각각은 제2 음향 출력부(110-2) 및 제2 음향 반사부(120-2) 각각에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음향 출력부(110-2)로부터 방사되는 사운드는 제2 음향 반사부(120-2)에 의해 전 방위로 반사될 수 있다.
또는, 도 9b와 같이, 제어부(140)는 제1 음향 출력부(110-1) 및 제2 음향 출력부(110-2)를 제2 자세가 되도록 구동부(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 출력부(110-1) 및 제2 음향 출력부(110-2)는 방사되는 사운드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제1 음향 출력부(110-1) 및 제2 음향 출력부(110-2)가 제2 자세인 경우, 제1 음향 출력부(110-1) 및 제2 음향 출력부(110-2) 중 하나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제1 음향 출력부(110-1) 및 제2 음향 출력부(110-2)가 제2 자세인 경우,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음향 출력부(110-1) 및 제2 음향 출력부(110-2) 중 하나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측에 사운드 방사홀을 가지는 음향 출력부, 음향 출력부 하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면이 돔 형상으로 형성된 음향 반사부 및 일단이 음향 반사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음향 출력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스피커의 동작 방법은 먼저, 음향 출력부가 사운드 방사홀이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는 제1 자세 및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지 않는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로 포지셔닝되어 사운드를 방사한다(S1010).
그리고,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음향 출력부가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다른 하나로 포지셔닝되어 사운드를 방사한다(S1020).
여기서, 제2 자세는 사운드 방사홀이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자세일 수 있다.
한편, 다른 하나로 포지셔닝되어 사운드를 방사하는 단계(S1020)는 음향 출력부의 자세가 변경되며, 사운드의 볼륨 및 주파수 별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사용자의 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부를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지셔닝하는 단계는 감지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수 이상이면, 음향 출력부를 제1 자세로 포지셔닝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수 미만이면, 음향 출력부를 제2 자세로 포지셔닝할 수 있다.
한편, 사운드를 방사하는 단계(S1010, S1020)는 음향 출력부를 틸트시켜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하고, 음향 출력부가 제2 자세인 경우, 음향 출력부를 수평 방향으로 스위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음향 출력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음향 출력부를 제2 자세로 포지셔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음향 출력부를 제1 자세 및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세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는 음향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어 전 방위로 방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피커는 음향 출력부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음향 출력부가 특정 자세인 경우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가 반사부에 의해 전 방위로 방사되어, 사운드의 전면 방사 또는 360도 방사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음향 출력부가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는 사운드 방사홀을 통해 방사되는 사운드의 진행 방향이 지면과 평행하도록 고정되고, 음향 출력부를 중심으로 한 원호를 이동할 수 있는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 방위 방사 모드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반사부가 사운드 방사홀 전면에 위치하여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도록 사운드를 반사할 수 있다. 전면 방사 모드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반사부를 사운드 방사홀 전면으로부터 제거하여 사운드가 반사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스피커 110 : 음향 출력부
120 : 음향 반사부 130 : 지지대
140 : 제어부 150 : 구동부
160 : 센서 170 : 통신부
18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Claims (19)

  1. 일측에 사운드 방사홀을 가지는 음향 출력부;
    상기 음향 출력부 하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면이 돔 형상으로 형성된 음향 반사부; 및
    일단이 상기 음향 반사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음향 출력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사운드 방사홀이 상기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는 제1 자세 및 상기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지 않는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되는,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세는,
    상기 사운드 방사홀이 상기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자세인, 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볼륨 및 주파수 별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5. 제4항에 있어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스피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수 이상이면,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1 자세로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수가 상기 기설정된 수 미만이면,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2 자세로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스피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음향 출력부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출력부를 틸트시켜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제1 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음향 출력부가 수평 방향으로 스위블되도록 상기 제2 모터를 제어하는, 스피커.
  8. 제4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운드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2 자세로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스피커.
  9.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스피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세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는,
    상기 음향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어 전 방위로 방사되는, 스피커.
  11. 일측에 사운드 방사홀을 가지는 음향 출력부, 상기 음향 출력부 하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면이 돔 형상으로 형성된 음향 반사부 및 일단이 상기 음향 반사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음향 출력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스피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사운드 방사홀이 상기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는 제1 자세 및 상기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지 않는 제2 자세 중 어느 하나로 포지셔닝되어 사운드를 방사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다른 하나로 포지셔닝되어 상기 사운드를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세는,
    상기 사운드 방사홀이 상기 음향 반사부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는 자세인,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하나로 포지셔닝되어 상기 사운드를 방사하는 단계는,
    상기 음향 출력부의 자세가 변경되며, 상기 사운드의 볼륨 및 주파수 별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를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수가 기설정된 수 이상이면, 상기 음향 출력부를 상기 제1 자세로 포지셔닝하고,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수가 상기 기설정된 수 미만이면, 상기 음향 출력부를 상기 제2 자세로 포지셔닝하는, 동작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를 방사하는 단계는,
    상기 음향 출력부를 틸트시켜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하고,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제2 자세인 경우, 상기 음향 출력부를 수평 방향으로 스위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를 상기 제2 자세로 포지셔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부를 상기 제1 자세 및 상기 제2 자세 중 하나로 포지셔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세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는,
    상기 음향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어 전 방위로 방사되는, 동작 방법.
KR1020170142174A 2017-10-30 2017-10-30 스피커 및 그 동작 방법 KR102367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174A KR102367386B1 (ko) 2017-10-30 2017-10-30 스피커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18/009438 WO2019088420A1 (en) 2017-10-30 2018-08-17 Speak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201880067431.6A CN111226443A (zh) 2017-10-30 2018-08-17 扬声器及其操作方法
EP18874828.9A EP3659348A4 (en) 2017-10-30 2018-08-17 SPEAKER AND OPERATING PROCEDURE FOR THIS
US16/115,760 US10652651B2 (en) 2017-10-30 2018-08-29 Speak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174A KR102367386B1 (ko) 2017-10-30 2017-10-30 스피커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852A true KR20190047852A (ko) 2019-05-09
KR102367386B1 KR102367386B1 (ko) 2022-02-25

Family

ID=6624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174A KR102367386B1 (ko) 2017-10-30 2017-10-30 스피커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52651B2 (ko)
EP (1) EP3659348A4 (ko)
KR (1) KR102367386B1 (ko)
CN (1) CN111226443A (ko)
WO (1) WO201908842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5300A (ja) * 2004-07-09 2006-01-26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及びそのスピーカ装置試聴システム
US20130083537A1 (en) * 2011-10-04 2013-04-04 Ronald Paul Harwood Acoustically transparent luminaire lens for media assemblies
JP2013077872A (ja) * 2011-09-29 2013-04-25 Audio Technica Corp ホーン型スピー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7365B1 (en) * 1996-08-30 2001-07-10 Mediaphile Av Technologies, Inc. Cone reflector/coupler speaker system and method
US6314191B1 (en) * 2000-07-20 2001-11-06 Mignon J. Smith Fireplace accessory
US20030181127A1 (en) * 2002-03-22 2003-09-25 Chain Fong Toys Co.,Ltd. Motion toy
JP2004072140A (ja) * 2002-08-01 2004-03-04 Hiroshi China 全指向性バックロードホーン型スピーカー
GB0426448D0 (en) * 2004-12-02 2005-01-0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osition sensing using loudspeakers as microphones
US8406439B1 (en) * 2007-04-04 2013-03-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systems for synthetic audio placement
JP2009213102A (ja) 2008-03-03 2009-09-17 Kimio Hachiro 音響機器
JP4924597B2 (ja) 2008-12-18 2012-04-25 ヤマハ株式会社 音波拡散装置
CA2655585C (en) * 2009-02-26 2015-02-24 Stegmeier, Robert Audio speakers
US20110316768A1 (en) * 2010-06-28 2011-12-29 Viz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peaker configuration
US20120027226A1 (en) * 2010-07-30 2012-02-02 Milford Desenber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cused directional sound in an audio system
KR101681780B1 (ko) 2010-08-12 201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시스템
TWI471017B (zh) * 2012-09-06 2015-01-21 Wistron Corp 喇叭模組及其相關電子裝置
CN104661159B (zh) * 2013-11-19 2017-12-15 中山市云创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扬声器
KR102211341B1 (ko) 2014-07-09 2021-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838789B2 (en) 2014-09-27 2017-12-05 Robert Merz Honeycomb speaker system
US20160117962A1 (en) * 2014-10-22 2016-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9544681B2 (en) * 2015-01-31 2017-01-10 Bose Corporation Acoustic deflector for omni-directional speaker system
KR101718044B1 (ko) 2015-09-03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출력장치
JP3203919U (ja) 2015-10-22 2016-04-28 中島 孝嗣 2ウェイ全指向性バックロードホーンスピーカー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5300A (ja) * 2004-07-09 2006-01-26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及びそのスピーカ装置試聴システム
JP2013077872A (ja) * 2011-09-29 2013-04-25 Audio Technica Corp ホーン型スピーカ
US20130083537A1 (en) * 2011-10-04 2013-04-04 Ronald Paul Harwood Acoustically transparent luminaire lens for media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420A1 (en) 2019-05-09
US20190132671A1 (en) 2019-05-02
EP3659348A1 (en) 2020-06-03
US10652651B2 (en) 2020-05-12
KR102367386B1 (ko) 2022-02-25
CN111226443A (zh) 2020-06-02
EP3659348A4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03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onal sound
US8471868B1 (en) Projector and ultrasonic gesture-controlled communicator
US200402083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lized delivery of audio sound for enhanced privacy
KR1023678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5306850A (zh) 显示装置
KR20210058908A (ko) 오디오 재생 및 수집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US20220038883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Intuitive Sharing Capabilities
US1012284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resence and motion
CN110597477B (zh) 定向声音修改
US20230379615A1 (en) Portable audio device
US11425490B2 (en) Enhancing a listening experience by adjusting physical attributes of an audio playback system based on detected environmental attributes of the system's environment
JP5983332B2 (ja) 音声情報報知装置、音声情報報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67386B1 (ko) 스피커 및 그 동작 방법
TWI725668B (zh) 注意力集中輔助系統
US20230251345A1 (en) Location information adjustment method and system, and device
KR102206953B1 (ko) 음향 출력 장치
JP2006109004A (ja) 携帯型装置、携帯型装置の制御方法、携帯型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416044B2 (ja) 局所再生システム
JP2021173767A (ja) サウンドマスキング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サウンドマスキング方法
CN109769181B (zh) 一种扬声器出音孔、终端及扬声器出音孔控制方法
KR101635021B1 (ko) 리시버 모듈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220063576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206894871U (zh) 一种外接声频定向扬声器
EP3462751A1 (en) Speaker assembly
US1121623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plicating content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o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