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953B1 - 음향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953B1
KR102206953B1 KR1020130152625A KR20130152625A KR102206953B1 KR 102206953 B1 KR102206953 B1 KR 102206953B1 KR 1020130152625 A KR1020130152625 A KR 1020130152625A KR 20130152625 A KR20130152625 A KR 20130152625A KR 102206953 B1 KR102206953 B1 KR 102206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sub
output device
output means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6950A (ko
Inventor
송진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2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953B1/ko
Priority to US15/102,390 priority patent/US9942660B2/en
Priority to PCT/KR2014/010922 priority patent/WO2015088149A1/ko
Publication of KR20150066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1Automatic calibr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e.g. with test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7/00Details of public address [PA] systems covered by H04R27/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7/003Digital PA systems using, e.g. LAN or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7Two-channel systems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서로 결합/분리 가능하며, 서로 전기적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중 하나에 탑재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결합 형태 및 배치 형태를 고려하여, 구현할 음향 채널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상기 결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을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 출력 장치{sound outputting device}
본 발명은 음향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결합/분리 가능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른 전자 기기와 연동되어 음향 출력을 담당하는, 음향 출력 장치(즉, 스피커)의 그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 그리고 다양한 크기를 가진다. 예를 들면, 저음을 출력을 담당하는 음향 출력 장치와 고음 출력을 담당하는 스피커는 그 형태, 구조, 크기 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최근 아웃 도어(out door) 열풍에 힘입어 포터블(portable)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입체적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결합/분리될 수 있는 복수의 하위 음향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음향 채널을 구현할 수 있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전자 기기와 연동되어 음향 관련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서로 결합/분리 가능하며, 서로 전기적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중 하나에 탑재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결합 형태 및 배치 형태를 고려하여, 구현할 음향 채널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상기 결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서로 결합된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각각의 지향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수단의 상기 결정된 음향 채널 내에서의 역할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거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와 연동 가능한 다른 음향 출력 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구현할 음향 채널의 유형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음향 채널에서의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및 상기 다른 음향 출력 장치의 역할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중 연결이 차단되는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구현될 음향 채널의 유형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을 재조정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지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탑재되며,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하여 설정된 음향 채널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음향 출력 수단의 상기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와 연동되는 다른 전자 기기를 통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하여 설정된 음향 채널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음향 출력 수단의 상기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서로 결합/분리 가능하며, 서로 전기적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기기와 연동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탑재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및 상기 무선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하며,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각각의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서 설정된 음향 채널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의 음향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지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결합 형태 및 배치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대응되는 추천 음향 채널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와 연동되어 음향 신호를 제공할 전자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입체적 음향 공간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사용자는 결합/분리될 수 있는 복수의 하위 음향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음향 채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와 연동되는 다른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의 음향 관련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일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우퍼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에서 서브 음향 출력 장치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에서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지향 방향 변경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에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에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우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가 다른 전자 기기와 연동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가 연동되는 다른 전자 기기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음향 출력 장치 구동 방법에 따라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이 결정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음향 장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음향 출력 장치 구동 방법에 따라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이 결정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경고음 발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한 지향 방향 변경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음향 출력 장치 구동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의 음향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GUI가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음향 출력 장치 구동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와 연동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의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을 설정하기 위한 GUI가 제공된 예를 나타낸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지향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GUI가, 연동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음장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GUI가, 연동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GUI가, 연동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을 이용한 추천 음향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GUI가, 연동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가 연동될 다른 전자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GUI가, 연동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는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sub-sound outputting device, 100A 내지 100F)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는 5.1 음향 채널용 스피커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장치(100)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은 서로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 각각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기 위한 독립적인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의 기술 기반의 통신 방식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 중 하나(100A)는 저음 대역의 음향 출력을 담당하는 유퍼(woofer, 100A)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우퍼(100A)에 제어부가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본다.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 각각은 독립적인 전력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 각각은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 각각이 담당하는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의 활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E)이 서로 분리되어 사용자(101) 주위에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E)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E)의 배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E)을 이용하여 특정 음향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E) 각각에 대하여 상기 형성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의 일예의 사시도이다.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는 8각 기둥 형태를 가진다.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는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 중 우퍼(100A)에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하드웨어가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우퍼(100A)는 저음 대역을 담당하는 스피커(100), 디스플레이부(120), 전원 버튼(130), 전원 커넥터(14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상기 우퍼(100A)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많은 구성 요소가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의 우퍼(100A)에 포함된 필수적인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이는 향후 살펴볼 다른 도면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스피커(100A)는 저음 대역의 주파수를 담당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동작 및 제어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버튼(130)은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 전력을 인가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버튼이다. 상기 전원 커넥터(140)는 외부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충전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우퍼(100A)를 제외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 내지 100F)에는 대응되는 스피커(110B 내지 110E)를 포함하고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110B 내지 100E)는 각각 대응되는 고유의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의 우퍼(100A)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우퍼(100A)는 스피커(110A), 디스플레이부(120), 공기 배출구(150), 외부 단자 연결 커넥터(160), 및 연결 커넥터(170A)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110A) 및 디스플레이부(12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미 살펴 보았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공기 배출구(150)는 상기 우퍼(100A)의 음향 출력 동작에 기초하여 공기가 출입되는 개구이다. 상기 외부 연결 커넥터(160)는 AUX 단자 등이 연결되는 커넥터이다. 상기 연결 커넥터(170A)는 다른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이 연결되는 커넥터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과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은 연결 커넥터들(170B 및 170C)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때의 연결은 전기적 연결 및 물리적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과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은 상기 연결 커넥터들(170B 및 170C)이 갖는 자성에 의하여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과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은 상기 연결 커넥터들(170B 및 170C)에 포함된 전기적 연결 수단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우퍼(100A)는 상기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 하단에 마련된 연결 커넥터(미도시)와 상기 우퍼(100A)에 마련된 연결 커넥터(170A)에 의하여 서로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음량 제어 버튼(180)은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다.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는 상기 음량 제어 버튼(180)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음량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고, 선택된 하위 음향 출력 수단의 볼륨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에서 서브 음향 출력 장치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에 포함된 연결 커넥터(170B)는 자성을 띤 숫 연결 파트(170B1)를 포함한다. 상기 숫 연결 파트(170B1)는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에 포함된 자성을 띤 암 연결 커넥터(170C1)에 결합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 및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이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연결 커넥터(170B)에 포함된 복수의 전기적 연결 수단(170B2 내지 171B5)은 상기 다른 연결 커넥터(170C)에 포함된 복수의 전기적 연결 수단(170C2 내지 170C5)에 연결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 및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 및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 사이에는 4개의 전기적 연결 루트가 형성되는데, 여기서 2개의 루트는 배터리 충전에 할당되어 있을 수 있고, 나머지 2개는 통신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커넥터들(170B 및 170C)의 연결 관계는 상기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 및 이의 연결관계는 상기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 및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의 회전에 의해서도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 및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의 연결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 및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의 지향 방향을 가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에서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지향 방향 변경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 및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 사이의 연결 커넥터들(170B 및 170C)에 의한 연결은 회전시에도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의 방향을 가변하더라도, 상기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 및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 사이의 전기적 및 물리적 연결관계는 유지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가 8각형 기둥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의 회전 각도는 360도를 8 등분한 각도인 45도 단위로 가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의 지향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의 지향 방향의 변경은 제어부의 제어하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에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8의 (a)는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에 포함되는 연결 커넥터의 전기적 연결 수단(170C2')의 일예를 나타낸다. 상기 전기적 연결 수단(170C2')은 8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과 다른 서브 음향 수단이 연결될 경우, 이러한 연결 관계에서 양자는 8개의 영역 단위로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과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이 연결될 경우, 상기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의 전기적 연결 수단이 제1 위치(position 1)에 위치하면 양자의 전기적 연결은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의 전기적 연결 수단이 제2 위치(position 2)에 위치하면 양자는 서로 연결된다.
도 8의 (b)에서는,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에 포함된 상기 전기적 연결 수단(170C2")이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과 다른 서브 음향 수단이 연결될 경우, 이러한 연결 관계에서 양자는 4개의 영역 단위로 회전될 수 있다. 양자의 연결 관계는 도 8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에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A 내지 100F)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이다.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에 포함된 연결 커넥터(170B')는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의 연결 커넥터(170C1') 방향으로 압력을 받고 있는 구형의 전기적 연결 수단(170B22')을 포함한다.
도 9의 (a) 상태에서 회전에 의하여 상기 구형의 전기적 연결 수단(170B2')이 상기 연결 커넥터(170C')의 전기적 연결 수단(170C2)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압력에 의하여 상기 구형의 전기적 연결 수단(170B2')과 상기 전기적 연결 수단(170C2) 사이의 전기적 연결 관계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과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 사이의 거리는 D1에서 D2로 가까워진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의 우퍼(100A)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우퍼(100A)는 스피커(110A), 디스플레이부(120), 공기 배출구(150), PCB(Printed Circuit Board, 190), 상기 PCB(190) 위에 탑재되는 재어부(200)와 와이파이 모듈(210)과 블루투스 모듈(220), 배터리 모듈(230), 복수의 와이파이 안테나(240), 버튼(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10A), 디스플레이부(120), 공기 배출구(150)에 대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20) 및 와이파이 모듈(210)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서브 음향 출력 수단들과의 무선 통신, 그리고 외부의 다른 전자 기기들과의 무선 통신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230)은 상기 우퍼(100A)에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 모듈(23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모듈과 연결 확인 단자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버튼(250)은 상기 우퍼(100A)의 특정 기능 또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 전체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데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우퍼(100A)에는 각각이 특정 기능에 할당된 복수의 다른 버튼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가 다른 전자 기기(300)와 연동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는 외부의 다른 전자 기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음향 출력 수단(100)은 서로 다른 지향 방향으로 조정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을 통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지향 방향을 갖는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은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특정 역할이 할당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는 상기 외부 전자 기기(3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동일한 하나의 지향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를 구성하는 서브 음향 출력 수단 각각에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특정 역할이 할당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가 연동되는 다른 전자 기기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빔 프로젝터, 및 캠코더와 서로 연동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는 상기 전자 기기들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들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동될 수도 있고 유선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음향 장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는 서로 결합/분리 가능하며, 서로 전기적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200)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결합 형태 및 배치 형태를 판단한다(S100). 상기 판단을 위한 정보는 전기적 연결 루트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수신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결정된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결합 형태 및 배치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를 통하여 구현할 음향 채널(sound channel)의 종류를 결정한다(S11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상기 결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을 결정한다(S120).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음향 출력 장치 구동 방법에 따라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이 결정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지향 방향이 특정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퍼(100A) 및 하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의 지향 방향은 전방을 향하고 있고, 두 개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 및 100D)의 지향 방향은 우측으로 향하고 있으며, 두 개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E 및 100F)의 지향 방향은 좌측을 향하고 있다.
이때,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200)는 상기 하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을 중앙 스피커로 설정하고, 상기 두 개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 및 100D)을 우측 스피커로 설정하고, 상기 두 개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E 및 100F)을 좌측 스피커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서 구현되는 음향 채널을 3.1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의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지향 방향이 고려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지향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는 포함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각각의 지향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수단의 상기 결정된 음향 채널 내에서의 역할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우퍼(100A)를 중심으로 결합된 두 개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 및 100C)이 좌측에 배치되고, 결합된 세 개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D, 100E 및 100F)이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200)는 상기 두 개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 및 100C)을 좌측 스피커로 설정하고, 상기 세 개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D, 100E 및 100F)을 우측 스피커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서 구현되는 음향 채널을 2.1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거실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퍼(100A)와 하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가 전방 좌측에 배치되고, 하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이 좌측에 배치되고, 하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D)이 전방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E)이 후방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하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F)가 후방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200)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배치에 따라서,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서 구현되는 음향 채널을 5.1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는 거실의 중앙 영역에 앉은 사용자에 적합한 5.1 음향 채널을 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배칭에 따라서 자동 구현한다.
한편, 도 17에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각각의 구체적인 지향 방향 및 각도가 설정되어 있다. 지향 방향 중 가로 방향은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이 세워진 8각 기둥 상태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세로 방향은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8각 기둥의 측면 중 하나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방향의 구체적인 각도는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스피커가 향하고 있는 방향, 즉, 상기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지향 방향을 나타낸다. 예컨대, 전방 좌측 바닥에 배치된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C)은 그 스피커의 지향 방향이 수평 방향보다 위로 45도 들려 있다. 그리고, 전방 우측 천장에 배치된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D)은 그 스피커의 지향 방향이 수형 방향보다 아래로 45도 방향으로 향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음향 장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200)는 다른 음향 출력 장치가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 연결되는 것을 인식한다(S200). 이때 상기 다른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와 전기적 연결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한 연결에 기초하여 연동 가능한 다른 음향 출력 장치이다. 여기서, 다른 전자 기기는 음향 출력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는 수동형 스피커 시스템일 수도 있고, 별도의 음향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독립적인 능동형 전자 기기일 수도 있다.
다른 음향 출력 장치의 연결이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를 통하여 구현할 음향 채널의 유형을 변경한다(S210).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변경된 음향 채널에서의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및 상기 다른 음향 출력 장치의 역할을 조정한다(S220).
도 19 내지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음향 출력 장치 구동 방법에 따라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이 결정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 연동 가능한 음향 출력 장치(300)가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200)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와 상기 다른 음향 출력 장치(300)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는 음향 채널이 7.1 채널임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및 다른 음향 출력 장치(3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310 및 320)의 결합 형태 및 배치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 및 상기 다른 음향 출력 장치(300)를 통하여 구현할 음향 채널을 결정하고, 그들에 포함된 서브 음향 출력 수단들의 결정된 음향 채널 내에서의 역할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0의 예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 TV(400)와 연동되는 예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0은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와 상기 TV(400)에 포함된 하위 음향 출력 수단의 역할 분담에 기초하여 5.1 음향 채널이 구현되는 예를 나타낸다.
상기 5.1 음향 채널에서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우퍼(100A)는 우퍼 역할을, 결합된 2개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 및 100C)은 좌측 후방 스피커의 역할을, 결합된 2개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D 및 100E)은 우측 후방 스피커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5.1 음향 채널에서 상기 TV(400)의 중앙에 배치된 서브 음향 출력 수단(430)은 중앙 스피커 역할을 좌측 서브 음향 출력 수단(410)은 좌측 스피커 역할을, 우측 서브 음향 출력 수단(420)은 전방 우측 스피커 역할을 수행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의 경고음 발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200)는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까지의 거리를 센싱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서브 음향 출력 수단까지의 거리가 일정 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경고음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 거리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이 서로 연동되는데 이용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의 유효 통신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우퍼(100A)에 제어부(200)가 탑재된 상태에서 하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가 일정 거리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서브 음향 출력 수단(100B)에서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중 연결이 차단되는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구현될 음향 채널의 유형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을 재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의 차단은 도 21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이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전력이 고갈되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의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한 지향 방향 변경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의 (a)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지향 방향이 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서 좌측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101)를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지향 방향을,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101)가 위치한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지향 방향의 변경 동작을 위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101)의 위치를 감지기 위한 센싱부,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지향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어(미도시)야 한다. 사용자(101)의 위치 감지는 적외선 센싱, 초음파를 이용한 위치 감지, 카메라를 통한 영상 촬영에 기초한 위치 감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일부에 대한 지향 방향만을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변경할 수도 있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의 정보 제공 방법의 예들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3은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와 연동되는 다른 전자 기기인 스마트폰(500)을 통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다른 전자 기기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동될 수 있다.
도 2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500)을 통해서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설정된 음향 채널,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 등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스마트폰(500)을 통한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 대한 다양한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3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우퍼(100A)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하여 설정된 음향 채널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음향 출력 수단의 상기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 정보가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한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 대한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음향 장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기기와 연동된다(S300). 그러면,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와 상기 다른 전자 기기는 서로 음향 관련 정보를 송/수신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200)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에 표시한다(S310).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음향 채널을 설정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각각의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을 설정한다(S320).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각각의 지향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수단의 상기 결정된 음향 채널 내에서의 역할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전자 기기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설정된 음향 채널 정보 제공,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위치 정보, 상기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역할 정보 제공 등 수동적인 정보 전달 역할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음향 출력 장치 구동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와 연동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음향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521)가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다.
상기 GUI(521)을 통한 터치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음향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GUI(521)를 통하여 제공되는 후보 음향 채널들은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를 통하여 구현 가능한 복수의 음향 채널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음향 채널은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결합 상태 및 배치 상태를 고려하여 추천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각각의 지향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수단의 상기 결정된 음향 채널 내에서의 역할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음향 출력 장치 구동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와 연동된 스마트폰(500)을 통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을 설정하기 위한 GUI(522)가 제공된 예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상기 GUI(522)에 표시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에 대한 터치 앤 드래그 동작을 통하여 선택된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배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향후 선택된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이 배치될 위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선택된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서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을 상기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지향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GUI(523)가, 연동된 스마트폰(500)을 통하여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GUI(523)에 표시된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에 대한 터치 앤 드래그 동작을 통하여 선택된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지향 방향을 변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에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수단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러한 GUI(5230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각각의 지향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변경된 지향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음향 수단의 상기 결정된 음향 채널 내에서의 역할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음장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GUI(524)가, 연동된 스마트폰(500)을 통하여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8을 참조하면,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들 각각에 대한 음장 효과가 그 지향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GUI(524)를 통하여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도 27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지향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음장 효과가 변경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GUI(525)가, 연동된 스마트폰을 통하여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525)를 통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을 이용한 추천 음향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GUI(526)가, 연동된 스마트폰(500)을 통하여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3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GUI(526)을 통한 터치를 통하여 추천 음향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천 음향 채널은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결합 형태 및 배치 형태를 고려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200)는 상기 스마트폰(500)에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배치 정보를 제공하는 GUI(527)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가 연동될 다른 전자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GUI(528)가, 연동된 스마트폰(500)을 통하여 제공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3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GUI(528)를 통한 터치를 통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300)와 연동되는 다른 전자 기기들 중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를 통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기기를 선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른 전자 기기들은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관련 정보를, 상기 음향 출력 장치(100)와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 구동 방법들 각각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음향 출력 장치 101: 사용자
100A~100F: 서브 음향 출력 수단 110A~100F: 스피커
120: 디스플레이부 130: 전원 버튼
140: 전원 커넥터 150: 공기 배출구
160: 외부 커넥터 170A: 연결 커넥터
200: 제어부 210: 와이파이 모듈
220: 블루투스 모듈 230: 배터리 모듈
240: 와이파이 안테나 300: 다른 전자 기기
400: TV 500: 스마트폰

Claims (14)

  1. 서로 결합/분리 가능하며, 서로 전기적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중 하나에 탑재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결합 형태 및 배치 형태를 고려하여, 구현할 음향 채널(sound channel)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상기 결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은
    다면체 형상이고, 상기 다면체 중 어느 한 면의 중앙 영역에 자성 물질을 가지면서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연결 커넥터와 상기 제1 연결 커넥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기적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과
    자성 물질을 가지면서 상기 제1 연결 커넥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연결 커넥터와 상기 제2 연결 커넥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기적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커넥터와 상기 제2 연결 커넥터는,
    자성에 의하여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음향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각각의 지향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수단의 상기 결정된 음향 채널 내에서의 역할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거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와 연동 가능한 다른 음향 출력 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구현할 음향 채널의 유형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음향 채널에서의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및 상기 다른 음향 출력 장치의 역할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중 연결이 차단되는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구현할 음향 채널의 유형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을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지향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탑재되며,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하여 설정된 음향 채널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음향 출력 수단의 상기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와 연동되는 다른 전자 기기를 통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하여 설정된 음향 채널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음향 출력 수단의 상기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9. 서로 결합/분리 가능하며, 서로 전기적 또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기기와 연동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중 어느 하나에 탑재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및 상기 무선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하며,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의 음향 채널을 설정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 각각의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설정된 음향 채널에서의 역할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은
    다면체 형상이고, 상기 다면체 중 어느 한 면의 중앙 영역에 자성 물질을 가지면서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연결 커넥터와 상기 제1 연결 커넥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기적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제1 서브 음향 출력 수단;과
    자성 물질을 가지면서 상기 제1 연결 커넥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연결 커넥터와 상기 제2 연결 커넥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전기적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제2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커넥터와 상기 제2 연결 커넥터는,
    자성에 의하여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음향 출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서 설정된 음향 채널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지향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음향 출력 수단의 결합 형태 및 배치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대응되는 추천 음향 채널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출력 장치와 연동되어 음향 신호를 제공할 전자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다른 전자 기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KR1020130152625A 2013-12-09 2013-12-09 음향 출력 장치 KR102206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625A KR102206953B1 (ko) 2013-12-09 2013-12-09 음향 출력 장치
US15/102,390 US9942660B2 (en) 2013-12-09 2014-11-13 Sound output device
PCT/KR2014/010922 WO2015088149A1 (ko) 2013-12-09 2014-11-13 음향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625A KR102206953B1 (ko) 2013-12-09 2013-12-09 음향 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950A KR20150066950A (ko) 2015-06-17
KR102206953B1 true KR102206953B1 (ko) 2021-01-25

Family

ID=5337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625A KR102206953B1 (ko) 2013-12-09 2013-12-09 음향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42660B2 (ko)
KR (1) KR102206953B1 (ko)
WO (1) WO2015088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324039B2 (en) 2015-09-16 2021-09-30 Magic Leap, Inc. Head pose mixing of audio files
JP7013808B2 (ja) * 2017-11-15 2022-02-0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106902A (ko) * 2019-08-29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운드 분석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3077A (ja) * 2004-07-12 2006-02-02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
JP2006166362A (ja) * 2004-12-10 2006-06-22 Sony Corp 音響装置
JP2010118838A (ja) * 2008-11-12 2010-05-27 Nec Electronics Corp 音響システム及びそのスピーカ配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7544A (en) * 1986-12-15 1988-07-12 Steven P. Surgnier Multi-directional speaker system
CN1647582B (zh) 2002-04-17 2013-03-2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带有gps接收器的扬声器
JP4669340B2 (ja) * 2005-07-28 2011-04-1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080187155A1 (en) * 2007-02-01 2008-08-07 Jason Hou Surround sound system in a tower enclosure
JP5119723B2 (ja) 2007-04-26 2013-01-16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無線機及び制御方法
JP6090334B2 (ja) * 2012-01-17 2017-03-08 ギブソン イノベーションズ ベルジャム エヌヴイ マルチチャンネルオーディオレンダリン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3077A (ja) * 2004-07-12 2006-02-02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
JP2006166362A (ja) * 2004-12-10 2006-06-22 Sony Corp 音響装置
JP2010118838A (ja) * 2008-11-12 2010-05-27 Nec Electronics Corp 音響システム及びそのスピーカ配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8149A1 (ko) 2015-06-18
US9942660B2 (en) 2018-04-10
US20170019735A1 (en) 2017-01-19
KR20150066950A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1906B2 (en) Wireless audio player and speaker system
US9143861B2 (en) Wireless audio player and speaker system
US10219100B2 (en) Determining proximity for devices interacting with media devices
KR102212212B1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위치 정보 제어방법
CN104581543A (zh) 音频系统、输出音频的方法以及扬声器设备
US20120070021A1 (en) Apparatus for reproducting wave field using loudspeaker array and the method thereof
KR102206953B1 (ko) 음향 출력 장치
JP2017532898A (ja) 設定可能なゾーンを有するオーディオシステム
US9706278B2 (en) Wireless modular speaker
US20220164159A1 (en) Method for playing audio,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17138182A1 (ja) ワイヤレスオーディオ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ワイヤレススピーカ、および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
CN107046664B (zh) 可自动配置的扬声器系统
CN110401898B (zh) 输出音频数据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2381989B1 (ko) 기기 간 무선 연결 방법 및 그 디바이스
CN108595139B (zh) 智能多媒体设备及其显示方法
CN103414992A (zh) 一种音讯调整系统
US20210321194A1 (en) Modular speakers
JP480282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002961A1 (en) Mount for media content presentation device
WO2022233194A1 (zh) 一种虚拟现实设备和一种虚拟现实系统
US20140348330A1 (en) Multi lobe stereo loudspeaker in one cabinet
WO2022042009A1 (zh) 音频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音箱系统
CN109151659A (zh) 一种音频设备定向发声方法、装置和音频设备
KR10169240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오디오 장치 네트워크 설정방법
CN206894871U (zh) 一种外接声频定向扬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