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288A - 와이어 커팅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288A
KR20190047288A KR1020170140993A KR20170140993A KR20190047288A KR 20190047288 A KR20190047288 A KR 20190047288A KR 1020170140993 A KR1020170140993 A KR 1020170140993A KR 20170140993 A KR20170140993 A KR 20170140993A KR 20190047288 A KR20190047288 A KR 20190047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upled
wire guide
cutting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232B1 (ko
Inventor
고왕식
최경창
Original Assignee
(주)제일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제일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70140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2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팅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와이어를 이송하는 와이어 이송 장치; 상기 와이어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와이어 절단 장치; 상기 와이어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와이어가 구부러지면서 통과하게 하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 상기 본체에 결합된 결합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 승강 장치; 상기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통과한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중간 부분을 클램프하고 상기 와이어의 공급 길이를 조절하는 와이어 공급 장치; 및 상기 와이어 공급 장치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공급 장치 승강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커팅 장치{Apparatus for cutting wire}
본 발명은 와이어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긴 길이로 절단되는 경우에도 와이어가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선기(伸線機)(wire drawing machine)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다양한 직경을 가진 와이어(wire를 신선(drawing)하는 장치로서, 봉재, 선재, 관재 등을 인발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신선기에 의해 제조되는 와이어는 그 직경에 따라 극세선(0.1mm 이하), 중세선(0.5~2.5mm), 태선(2.5mm 이상)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는 나노산업, 바이오산업, 반도체산업 및 신약사업 등의 발전과 더불어 와이어 시장의 확대 및 부가가치 향상 등을 통해 와이어 제조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신선기에 의해 제조된 와이어는 권취기에 의해 복수의 와이어가 다발형태로 묶임 처리되어 와이어 다발이 되고, 이러한 와이어 다발은 일정 길이로 절단된 후에 포장되어 수요자에게 공급된다.
한편, 이러한 와이어의 절단작업은 그라인더방식, 유압방식, 레이저방식 등의 커팅 장치에 의해 이루어져 왔었다.
그라인더 방식의 커팅 장치는 와이어 다발을 절단하는 도중에 와이어들이 서로 밀리면서 엉키거나 그 절단과정에서 온도가 상승하여 절단된 와이어들의 단부들이 서로 눌러 붙는 소결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그라인더 방식의 커팅 장치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그라인더와 와이어들 사이의 마찰에 의해 와이어들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며, 와이어들의 절단된 단부들에 버(burr)가 발생하여 직진도 및 정밀도가 저하됨으로써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레이저 방식의 커팅 장치는 그라인더 방식의 커팅 장치나 유압식의 커팅 장치 등에 비해 와이어들의 직진도 내지 정밀도가 높으나, 그 절단 시에는 그라인더 방식과 유사하게 소결현상이 발생하고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0559호에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컨트롤부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이동수단이 형성되는 본체,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이송 공급하는 롤러 공급부, 롤러 공급부 후단에서 와이어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커팅프레스, 커팅 프레스의 후단에서 절단된 와이어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공간이 구비되도록 한 제품수납부 및 제품수납부를 이송시켜 복수의 수납공간에 균등 수납되도록 하는 수납부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팅 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상기 공보에서 제안된 와이어 커팅 장치는 롤러 공급부와 커팅 프레스가 각각 독립적으로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상기 공보에서 제안된 와이어 커팅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15964호에서 리드 와이어를 일정 길이로 연속적으로 자동 절단가능하면서도 절단 공차를 최소화하고,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작동이 가능한 리드 와이어 커팅 장치가 제안되었다.
한편, 상기 공보들에서 제안된 와이어 절단 장치는 와이어를 일단만을 클램프한 뒤 와이어를 절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가 긴 길이로 절단되는 경우에는 와이어가 엉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0559호(공개일: 2013.06.1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15964호(등록일: 20114.06.14.)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어가 긴 길이로 절단되는 경우에는 와이어가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팅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와이어를 이송하는 와이어 이송 장치; 상기 와이어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와이어 절단 장치; 상기 와이어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와이어가 구부러지면서 통과하게 하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 상기 본체에 결합된 결합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 승강 장치; 상기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통과한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중간 부분을 클램프하고 상기 와이어의 공급 길이를 조절하는 와이어 공급 장치; 및 상기 와이어 공급 장치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공급 장치 승강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이송 장치는,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복수의 이송 롤러; 및
상기 와이어 이송 장치의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와이어 이송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 공급 장치로 안내하는 가이드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절단 장치는, 상기 와이어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하부 칼날이 결합된 하부 커팅 부재; 상기 와이어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상부 칼날이 결합된 상부 커팅 부재; 및 상기 하부 커팅 부재와 상기 상부 커팅 부재를 닫히게 하거나 열리게 하는 커팅 부재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 “∪”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일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닫히거나 열리는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 “∪”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일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닫히거나 열리며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 상기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와 상기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 부재;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를 닫히게 하거나 열리게 하는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 구동 부재;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어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를 닫히게 하거나 열리게 하는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급 플레이트; 상기 공급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 가이드 장치로 공급하는 공급 롤러; 상기 공급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통과하는 상기 와이어를 클램핑하기 위한 출구 측 클램프; 상기 공급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가이드 장치로 진입하는 상기 와이어를 클램핑하기 위한 입구 측 클램프; 및 상기 출구 측 클램프와 상기 입구 측 클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클램프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구 측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그립하는 좌우 출구 측 클램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 측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그립하는 좌우 입구 측 클램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팅 장치에 의하면, 와이어가 긴 길이로 절단되는 경우에는 와이어가 엉키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커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커팅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한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커팅 장치에 대한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일부 도면에는 구성요소의 일부의 도시가 생략되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커팅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커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커팅 장치(100)는 본체(110), 본체(110)에 결합되어 본체(110)의 후방에서 본체(110)의 전방으로 와이어(W)를 이송하는 와이어 이송 장치(120), 와이어 이송 장치(120)에 의해 이송된 와이어(W)를 절단하는 와이어 절단 장치(130), 와이어 이송 장치(120)에 의해 이송된 와이어(W)가 구부러지면서 통과하게 하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140), 본체(110)에 결합된 결합 부재(111)에 결합되어 와이어 가이드 장치(140)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 승강 장치(150), 와이어 가이드 장치(140)를 통과한 와이어(W)의 단부와 중간 부분을 클램핑하고 와이어(W)의 공급 길이를 조절하는 와이어 공급 장치(160) 및 와이어 공급 장치(160)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공급 장치 승강 장치(170)를 포함한다.
와이어 이송 장치(120)는 와이어(W)를 안내하는 복수의 이송 롤러(R)와 와이어 이송 장치(120)의 전방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후퇴하여 와이어(W)를 와이어 공급 장치(160)로 안내하는 가이드 파이프(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송 롤러(R)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0559에 개시된 롤러 공급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 파이프(121)는 와이어 이송 장치(120)가 와이어(W)를 이송하는 경우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와이어(W)를 이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방으로 후퇴한다.
와이어 절단 장치(130)는 와이어(W)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하부 칼날(132)이 결합된 하부 커팅 부재(131), 와이어(W)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상부 칼날(134)이 결합된 상부 커팅 부재(133) 및 하부 커팅 부재(131)와 상부 커팅 부재(133)를 닫히게 하거나 열리게 하는 커팅 부재 구동 장치(135)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팅 부재 구동 장치(135)는 상부 커팅 부재(133)에 결합된 상부 너트, 하부 커팅 부재(131)에 결합된 하부 너트, 상부 너트와 하부 너트에 끼워진 스크류 및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커팅 부재 구동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팅 부재 구동 모터의 정 또는 역 회전에 의해 상부 너트와 하부 너트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게 됨으로써, 상부 커팅 부재(133)와 상부 커팅 부재(133)이 닫히거나 열리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 절단 장치(130)는 상부 커팅 부재(131)와 하부 커팅 부재(133)가 닫히게 하여 상부 커팅 부재(131)와 하부 커팅 부재(133)의 사이에 있는 와이어(W)를 절단시킨다.
와이어 가이드 장치(140)는 지지 플레이트(141), “∪”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일단이 지지 플레이트(141)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닫히거나 열리는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2,143), “∪”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일단이 지지 플레이트(141)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닫히거나 열리며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2,143)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4,145),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2,143)와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4,145)의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 부재(미도시), 지지 플레이트(141)의 상면에 결합되어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2,143)를 닫히게 하거나 열리게 하는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 구동 부재(146) 및 지지 플레이트(141)의 상면에 결합되어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4,145)를 닫히게 하거나 열리게 하는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 구동 부재(14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2,143)의 내측 면과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4,145)의 외측면에는 와이어(W)가 지나는 안내 홈(148, 148`)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 구동 부재(146)는 양단이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2,143) 각각에 결합되는 유압 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압 실린더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짐으로써,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2,143)가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 구동 부재(147)는 양단이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4,145) 각각에 결합되는 유압 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압 실린더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짐으로써,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4,145)가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 가이드 장치(140)는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2,143)가 닫히고,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4,145)가 열리면 와이어는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2,143)에 형성된 안내 홈(148, 148`)과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4,145)에 형성된 안내 홈(148, 148`)이 격벽 부재(미도시)에 의해 폐쇄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는 안내 홈(148, 148`)을 따라 이동할 수밖에 없게 된다. 반면에,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2,143)가 열리고,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4,145)가 닫히면 와이어는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2,143)에 형성된 안내 홈(148, 148`)과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4,145)에 형성된 안내 홈(148, 148`)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는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2,143)에 형성된 안내 홈과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4,145)에 형성된 안내 홈(148, 148`) 밖으로 이탈할 수 있게 된다.
와이어 가이드 장치 승강 장치(150)와 와이어 공급 장치 승강 장치(170)는 정밀 기계 분야에서 이용되는 일반적인 승강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와이어 공급 장치(160)는 본체(1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급 플레이트(161), 공급 플레이트(161)의 하부에 결합되며 와이어(W)의 양측에 배치되어 와이어(W)를 와이어 가이드 장치(140)로 공급하는 공급 롤러(162,163), 공급 플레이트(161)의 하부에 결합되어 와이어 가이드 장치(140)를 통과하는 와이어(W)를 클램핑(clamping)하기 위한 출구 측 클램프(164), 공급 플레이트(161)의 하부에 결합되어 와이어 가이드 장치(140)로 진입하는 와이어(W)를 클램핑(clamping)하기 위한 입구 측 클램프(165) 및 출구 측 클램프(164)와 입구 측 클램프(165)를 구동하기 위한 클램프 구동 장치(166)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롤러(162,163)는 와이어(W)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출구 측 클램프(164)는 와이어(W)를 사이에 두고 그립(grip)하는 좌우 출구 측 클램프 부재(164-1,164-2)를 포함하고, 입구 측 클램프(165)는 와이어(W)를 사이에 두고 그립(grip)하는 좌우 입구 측 클램프 롤러(165-1,165-2)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 구동 장치(166)는 좌우 출구 측 클램프 부재(164-1,164-2)들 사이 거리와 좌우 입구 측 클램프 롤러(165-1,165-2)들 사이 거리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하는 유압 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공급 장치(160)는 클램프 구동 장치(166)가 좌우 출구 측 클램프 부재(164-1,164-2)들 사이 거리와 좌우 입구 측 클램프 롤러(165-1,165-2)들 사이 거리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함으로써, 와이어(W)를 클램핑하거나 클램핑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커팅 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커팅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커팅 장치(100)가 작동을 하면,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승강 장치(150)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140)를 초기 위치로 상승시키고, 와이어 공급 장치 승강 장치(170)는 와이어 공급 장치(160)를 초기 위치로 상승시킨다.
그 다음,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승강 장치(150)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140)를 하강시키고 와이어 이송 장치(120)는 가이드 파이프(121)를 전방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와이어 공급 장치(160)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140)로 와이어(W)를 1차 공급한다.
그 다음,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140)는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2,143)와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144,145)가 열리게 하고, 와이어 가이드 장치 승강 장치(140)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140)를 상승시킨다.
그 다음, 와이어 공급 장치(160)는 와이어(W)를 2차 공급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W)는 아래쪽으로 늘어트려지게 된다.
그 다음,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 공급 장치(160)의 출구 측 클램프(164)와 입구 측 클램프(165)가 닫히게 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W)와 단부와 중간 부분이 클램핑된다.
그 다음,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 이송 장치(120)는 가이드 파이프(121)를 후방으로 후퇴시킨다.
그 다음,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 절단 장치(130)는 상부 커팅 부재(131)와 하부 커팅 부재(133)가 닫히게 하여 상부 커팅 부재(131)와 하부 커팅 부재(133)의 사이에 있는 와이어(W)를 절단한다.
그 다음,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 공급 장치 승강 장치(170)는 와이어 공급 장치(160)를 하강시킨다.
그 다음,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 공급 장치(160)의 출구 측 클램프(164)와 입구 측 클램프(165)가 열리게 한다.
앞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커팅 장치(100)에 의해, 와이어(W)가 긴 길이로 절단된 후에도 와이어(W)의 양 단부가 와이어 똬리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W)가 긴 길이로 절단된 후에도 엉키지 않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와이어 커팅 장치
110: 본체
120: 와이어 이송 장치
130: 와이어 절단 장치
140: 와이어 가이드 장치
150: 와이어 가이드 장치 승강 장치
160: 와이어 공급 장치
170: 와이어 공급 장치 승강 장치

Claims (10)

  1.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와이어를 이송하는 와이어 이송 장치;
    상기 와이어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와이어 절단 장치;
    상기 와이어 이송 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와이어가 구부러지면서 통과하게 하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
    상기 본체에 결합된 결합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가이드 장치 승강 장치;
    상기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통과한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중간 부분을 클램프하고 상기 와이어의 공급 길이를 조절하는 와이어 공급 장치; 및
    상기 와이어 공급 장치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공급 장치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와이어 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이송 장치는,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복수의 이송 롤러; 및
    상기 와이어 이송 장치의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와이어 이송 장치의 후방으로 후퇴하여 상기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 공급 장치로 안내하는 가이드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절단 장치는,
    상기 와이어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하부 칼날이 결합된 하부 커팅 부재;
    상기 와이어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상부 칼날이 결합된 상부 커팅 부재; 및
    상기 하부 커팅 부재와 상기 상부 커팅 부재를 닫히게 하거나 열리게 하는 커팅 부재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
    각각의 일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닫히거나 열리는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
    각각의 일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닫히거나 열리며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를 닫히게 하거나 열리게 하는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 구동 부재;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어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를 닫히게 하거나 열리게 하는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팅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의 내측 면과 상기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의 외측면에는 와이어가 지나가도록 안내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와 상기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 사이에는 상기 외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가 닫히고 상기 내측 와이어 가이드 부재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안내 홈의 측부가 폐쇄되도록 격벽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급 플레이트;
    상기 공급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 가이드 장치로 공급하는 공급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공급 장치는,
    상기 공급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통과하는 상기 와이어를 클램핑하기 위한 출구 측 클램프;
    상기 공급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가이드 장치로 진입하는 상기 와이어를 클램핑하기 위한 입구 측 클램프; 및
    상기 출구 측 클램프와 상기 입구 측 클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클램프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측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그립하는 좌우 출구 측 클램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 측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그립하는 좌우 입구 측 클램프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팅 장치.
KR1020170140993A 2017-10-27 2017-10-27 와이어 커팅 장치 KR101984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993A KR101984232B1 (ko) 2017-10-27 2017-10-27 와이어 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993A KR101984232B1 (ko) 2017-10-27 2017-10-27 와이어 커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288A true KR20190047288A (ko) 2019-05-08
KR101984232B1 KR101984232B1 (ko) 2019-05-30

Family

ID=6658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993A KR101984232B1 (ko) 2017-10-27 2017-10-27 와이어 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9989A (zh) * 2020-01-18 2020-06-05 宁夏苏锡铜业科技有限公司 电磁线切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118B1 (ko) 2020-07-25 2020-10-26 (주)로봇월드 와이어 커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559A (ko) 2011-11-30 2013-06-10 함승호 와이어 커팅장치
KR101415964B1 (ko) 2014-02-12 2014-07-04 전명서 리드 와이어 절단 장치
KR101471017B1 (ko) * 2014-07-16 2014-12-10 승리전력기술(주) 케이블 멀티 풀링장치
JP2015104274A (ja) * 2013-11-27 2015-06-04 株式会社シーアールティ 電線加工品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559A (ko) 2011-11-30 2013-06-10 함승호 와이어 커팅장치
JP2015104274A (ja) * 2013-11-27 2015-06-04 株式会社シーアールティ 電線加工品の製造装置
KR101415964B1 (ko) 2014-02-12 2014-07-04 전명서 리드 와이어 절단 장치
KR101471017B1 (ko) * 2014-07-16 2014-12-10 승리전력기술(주) 케이블 멀티 풀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9989A (zh) * 2020-01-18 2020-06-05 宁夏苏锡铜业科技有限公司 电磁线切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232B1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232B1 (ko) 와이어 커팅 장치
TWI293264B (ko)
US6948675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winding cable-like material
CN110661156B (zh) 端子压接装置、端子压接电线制造装置及制造方法
CN111014805B (zh) 一种自动切管机
CN111746048A (zh) 卷焊一体机、无胶绝缘套管的制作方法
CN109665134B (zh) 自动连续裹膜设备
CN117244954A (zh) 一种多模热拉丝机
KR102315372B1 (ko) 냉매 관 절단장치
NO311334B1 (no) Innretning for åpning og flatlegging av et langstrakt rör
CN110803496A (zh) 圆管定向选料机构
CN107470454B (zh) 一种材料加工装置
KR20050110421A (ko) 수축튜브 자동 절단기
CN210586929U (zh) 导电嘴棒料全自动缩孔系统
KR102101516B1 (ko) 니플 자동 가공장치
CN209815215U (zh) 一种滚筒供料装置
KR102356195B1 (ko) 와이어 트위스팅 장치
JP7429328B1 (ja) 電線切断皮剥き装置、端処理電線製造装置、及び、端処理電線の製造方法
TWM561584U (zh) 雙頭車床結構改良
CN210824841U (zh) 一种焊丝分卷自动送盒装置
CN114179145B (zh) 汽车配件波纹管接插件自动生产机构
CN220880817U (zh) 一种长管材两端倒角设备
KR20030035574A (ko) 업 커트 쉬어에서의 코일 불량부 처리장치
CN219393995U (zh) 一种线束剥线机
CN110142360B (zh) 导电嘴棒料全自动缩孔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