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876A - 피팅된 주방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피팅된 주방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876A
KR20190046876A KR1020197007590A KR20197007590A KR20190046876A KR 20190046876 A KR20190046876 A KR 20190046876A KR 1020197007590 A KR1020197007590 A KR 1020197007590A KR 20197007590 A KR20197007590 A KR 20197007590A KR 20190046876 A KR20190046876 A KR 20190046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b
operating
kitchen appliance
built
central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483B1 (ko
Inventor
안톤 슈묄러
발터 쾨네커
Original Assignee
브루크바우어 빌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루크바우어 빌렘 filed Critical 브루크바우어 빌렘
Publication of KR20190046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touch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06Containing a capacitive switch or usable as su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팅된 주방기기(2, 4)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3)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중심 피스(14), 상기 중심 피스(1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소자(18), 상기 작동 소자(18)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센서(36) 및 적어도 하나의 터치 및/또는 압력-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팅된 주방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본 특허 출원은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6 217 724.9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빌트인 주방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특히 회전식 손잡이의 형태인 작동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작동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호브(hob)를 갖는 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작동 장치를 갖는 호브 추출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호브는 일반적으로 터치-감지 컨트롤(터치 존으로도 알려짐)에 의해서 또는 회전식 손잡이에 의해서 작동한다. 상응하는 호브 시스템은 예를 들어 DE 10 2009 025 038 A1 및 EP 1 944 553 B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손잡이는 DE 20 2009 009 727 U1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빌트인 주방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회전식 손잡이의 형태인 작동 소자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이것은 특히 작동 소자, 특히 소위 회전식 손잡이이다.
본 발명의 본질은 중심 피스, 중심 피스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소자, 작동 소자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터치-감지 및/또는 압력-감지 센서를 갖는 빌트인 주방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는 장치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특히 장치의 기능을 확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장치는 특히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또한 터치 기능을 가진다.
이 장치는 특히 작동될 빌트인 주방기기, 특히 호브 또는 추출기 팬에 접속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요소이다. 이 장치는 특히 별도의 빌트인 모듈로 설계되었으며, 특히 주방 유닛 전면이나 주방 조리대에 빌트인되기 위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작동될 빌트인 주방기기와 관련하여 배치가 유연성 있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이 장치는 가구 유닛의 앞에 배치되는 중심 피스를 포함한다. 중심 피스는 특히 설치 수용 공간을 갖는 장착 박스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외부 나사 마루 부분을 갖는다. 이는 가구 유닛 또는 주방 조리대의 정면에서 중심 피스의 특히 쉽고 유연한 배치를 만든다.
중심 피스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소정의 영역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특히 전기 절연 재료로 생산된다. 특히 치수상 안정적으로 설계되었다.
중심 피스는 가구 피스 내에 또는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가구 피스 상에 작동 장치를 배치하기 위한 관통 및/또는 고정 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주방의 조리대에 배치될 수 있다. 중심 피스는 호브 레벨을 관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심 피스는 호브 레벨을 넘어서 위로 돌출한다. 대안적으로, 중심 피스는 가구 유닛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심 피스는 가구 유닛의 전면을 관통한다. 특히, 중심 피스는 가구 유닛의 전면을 넘어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중심 피스는 작동 소자의 회전 가능한 장착을 위한 베어링 시트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시트는 호브 레벨 또는 가구 유닛의 정면 위로 상승하는 중심 피스의 영역 상에 배치된다. 작동 소자는 중심 피스의 베어링 시트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 소자가 중심 피스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 피스는 길이방향 축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심 피스는 길이방향 축에 대해 본질적으로 회전식으로 대칭인 것으로서 설계된다. 작동 소자는 오직 길이방향 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및/또는 길이방향 축을 따라 변위 가능하게 중심 피스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소자는 회전축에 대해 횡방향 변위에 대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중심 피스에 장착된다. 특히 회전축의 방향으로 최대 단일 병진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특히 회전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소자는 호브 레벨 및/또는 가구 유닛의 정면에 대해 비접촉으로 배치된다. 밀봉 소자는 호브 레벨 및/또는 가구 유닛의 정면과 작동 소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센서가 바람직하게는 중심 피스에 배치된다. 중심 피스는 바람직하게는 빌트인 주방기기에 고정식으로, 특히 회전의 관점에서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이는 신호 접속이 특히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중심 피스 내에 위치 센서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유리하게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센서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소자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데 사용되며, 특히 회전 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는 또한 손잡이 링으로도 지칭된다.
자기 센서, 특히 홀 센서(Hall sensor)는 특히 위치 센서로서 작용한다. 특히, 다수의 이러한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홀 센서와 상호작용하는 자석은 특히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소자에 배치된다. 실제 홀 센서는 특히 작동 장치의 중심 피스에 배치된다. 홀 센서들은 캡슐화된 및/또는 포팅된(potted)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들은 특히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작동 소자는 링의 형태로 설계된다. 링 형태로 설계된 작동 소자는 길이방향 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중심 피스의 전방 영역이 작동 소자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는 효과를 획득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터치-감지 및/또는 압력-감지 센서가 작동 소자에 의해 원주식으로 둘러싸인 작동 구역과 신호 접속된다. 간단한 터치-감지 또는 압력-감지 스위치가 작동 구역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구역은 터치 스크린(터치-감지 스크린), 특히 TFT 디스플레이가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설계된다. 이를 통해 보다 복잡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감지 및/또는 압력-감지 센서는 중심 피스에 배치되고 및/또는 회전 고정 방식으로 접속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영역은 또한 중심 피스에 배치되고 및/또는 회전 고정 방식으로 작동 영역에 접속된다. 이는 작동 영역에 대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감지 및/또는 압력-감지 센서에 대한 작동 소자의 회전이 보장되는 효과를 유리하게 달성한다.
터치-감지 센서는 특히 손가락으로 만져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영역을 작동하기 위한 스타일러스와 같은 특수 입력 소자를 제공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작동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부주의로 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원하지 않는 부주의한 작동으로부터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대체 또는 추가 조치가 유사하게 가능하다.
터치-감지 센서에 의해, 본질적으로 호브 및/또는 추출기 팬의 임의의 원하는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타이머, 조명, 라디오 또는 다른 제어 가능한 장치의 작동과 같은 다른 기능도 가능하다.
작동 소자는 중심 피스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소자는 중심 피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특히 공구 없이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작동 소자의 세척을 용이하게 한다. 작동 소자의 제거 가능성은 이것이 어린이에게 안전하게 하는 역할 또한 할 수 있다.
작동 소자가 중심 피스로부터 제거될 때, 작동 부재는 가구 피스 내에 남아있을 수 있다. 중심 피스는 특히 작동 소자를 향해 폐쇄된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설치 수용 공간은 중심 피스에 의해 감싸진다. 이는 특히 전기적, 특히 전자적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터치-감지 센서는 중심 피스, 특히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다.
제어 장치, 특히 제어 장치의 전자 부품,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수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은 교환 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작동 장치의 유연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다양한 빌트인 주방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표준화된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 제어 장치, 특히 인쇄 회로 기판은 작동될 빌트인 주방기기의 특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설치 수용 공간은 특히 외부로부터 액체-밀폐 방식으로 폐쇄될 수 있다. 그 결과, 수용 공간 내의 전자 부품이 특히 신뢰 가능하게 보호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 장치는 작동될 빌트인 주방기기로의 신호 전달을 위한, 특히 호브 및/또는 추출기 팬 장치로의 신호 전달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이들은 RJ 플러그-인 접속, 특히 RJ45 플러그-인 접속, 또는 하나 이상의 에지 카드 플러그-인 접속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작동 장치는 빌트인 주방기기를 작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파라미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히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및/또는 디스플레이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하나 이상의 7- 세그먼트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빌트인 주방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파라미터 및/또는 센서를 통해 감지된 작동 파라미터, 특히 예로서 오븐 플레이트의 현재 온도와 같은 작동 상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 타이머 또는 다른 정보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 또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브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호브를 갖는 호브 장치 및 전술한 설명에 따른 작동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 장점은 작동 장치의 장점을 따른다.
호브 및 작동 장치는 특히 별도의 구성요소로 설계된다. 작동될 호브는 특히 전술된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작동 장치와 신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호브 및 작동 장치는 특히 개별 모듈로서 설계될 수 있다.
작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호브들과 결합될 수 있다.
대안에 따르면, 작동 장치는 호브에 통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호브 장치는 조립체 유닛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브 추출기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이전의 설명에 따른 빌트인 주방기기 및 작동 장치를 구비한 호브 추출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빌트인 주방기기는 조리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호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기 장치를 포함한다. 추출기 장치는 하향식 추출기 팬, 즉 조리 연기를 아래방향으로 추출하기 위한 추출기 팬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출 장치는 하향식 추출기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호브 추출기 시스템은 모듈식 구조를 갖는다. 이것은 서로 다른 모듈들, 특히 서로 다른 호브들 및/또는 추출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작동 장치와 본질적으로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호브 및/또는 추출 장치는 작동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검출된다. 작동 장치는 특히 자동식으로 스스로를 구성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선택된 빌트인 주방기기를 후자에 따라 작동시키는 데에 필요한 제어 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작동 장치의 중심 피스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별도의 모듈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호브는 교환 가능하다. 이것은 특히 서로 다른 대안들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모든 고안가능한 대안이 호브에 고려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호브 추출기 시스템은 복수의 호브 및 조리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출 장치를 포함하며, 각각의 경우에 빌트인 조리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중 하나는 각각 호브 중 하나 및/또는 조리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기 장치와 신호 접속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 및 세부사항이 도면에 기초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이어진다:
도 1은 하향식 추출 팬의 형태인 추출 팬 장치 및 두개의호브를 갖는 호브 추출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주방 설비의 전면 패널 내의 도 1에 따른 호브 추출기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손잡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작동 손잡이를 통한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3으로부터의 영역 Ⅳ의 세부사항의 확대도.
아래에서, 먼저 호브 추출기 시스템(1)의 일반적인 구성요소가 설명된다. 호브 추출기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호브(2)를 포함한다. 도 1에 예시로서 나타내어진 호브 추출기 시스템(1)이 경우, 2개의 호브(2)가 제공된다.
호브(2)는 본질적으로 임의의 바람직한 조리 영역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인덕션 호브, 가스 호브, 테판야키 호브, 냄비용 호브, 전기 호브 또는 핫플레이트, 그릴 또는 기타 조리 영역일 수 있다.
도 1에 예시로서 나타내어진 대안의 경우, 호브(2)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손잡이(3)가 각각 제공된다. 특히 호브(2)에 통합될 수 있는 터치-감지 센서에 의한 작동이 유사하게 가능하다. 별도의 작동 모듈에 의한 작동도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호브(2)는 비자율적으로, 즉 그 자신의 제어 전자장치 없이 설계될 수 있다. 이는 호브(2)의 구성이 단순화되도록 한다. 특히 호브(2)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특히 10cm 이하, 특히 6cm 이하, 특히 5cm 이하, 특히 4cm 이하, 특히 3 cm 이하, 특히 2 cm 이하일 수 있다.
호브 추출기 시스템(1)은 또한 하향식 추출기 팬(4)을 포함한다. 하향식 추출기 팬(4)은 조리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를 형성한다.
도 2에 나타내어진 대안의 경우, 하향식 추출기 팬(4)은 두 개의 호브(2)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은 또한 호브(2)의 측면 또는 호브(2)의 후방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하향식 추출기 팬(4)은 조리 연기 유입 개구(5)를 갖는다. 나타내어진 대안의 경우에, 조리 연기 유입 개구(5)는 길게, 특히 직사각형으로 설계된다. 조리 연기 유입 개구(5)는 특히 적어도 2:1, 특히 적어도 3:1, 특히 적어도 5:1, 특히 적어도 10:1의 종횡비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조리 연기 유입 개구(5)의 종횡비는 최대 100:1, 특히 최대 50:1이다.
조리 연기 유입 개구(5)는 둥글게, 특히 원형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다수의 조리 연기 유입 개구(5)가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두 개 이상의 조리 연기 유입 개구(5), 특히 슬릿형 조리 연기 유입 개구(5)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은 특히 서로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조리 연기 유입 개구(5)는 특히 폐쇄 소자(6)에 의해 가역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다수의 조리 연기 유입 개구(5)의 경우에, 각각의 경우에 이들은 개별적으로, 즉 서로 독립적으로 폐쇄 소자(6)에 의해 가역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하향식 추출기 팬(4)을 작동시키기 위한 다른 작동 손잡이(3)가 제공된다. 터치-감지 센서에 의한 작동이 유사하게 가능하다.
하향식 추출기 팬(4)은 특히 호브 레벨(8)의 영역에 배치된다. 이것은 호브 레벨(8) 위의 영역으로부터 호브 레벨(8) 아래의 영역으로 조리 연기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하향식(downdraft) 시스템(아랫방향 추출)으로도 지칭된다.
조리 연기 유입 개구(5)는 바람직하게는 호브 레벨(8)과 관련하여 제자리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대안에 따르면, 조리 연기 유입 개구(5)를 갖는 하향식 추출기 팬(4)의 영역은 호브 레벨(8)에 수직인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이론적으로, 호브 추출기 시스템(1)은 연기 추출 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호브 시스템(1)은 조립체 유닛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하향식 추출기 팬(4)을 갖는 하나 이상의 호브(2)가 단일 시스템에 통합된다. 이들은 특히 공통의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조립을 위해, 이것은 단지 조리대(9)의 간격 내에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호브 시스템(1) 아래의 영역에서, 컴파트먼트, 특히 주방 베이스 유닛(11)의 서랍(10)은 기본적으로 어떠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호브 시스템(1)은 모듈식으로 설계된다. 이 경우, 본질적으로 자유롭게 선택 가능한 호브(2)는 하나 이상의 하향식 추출기 팬(4)과 유연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특히 모든 호브(2)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는 작동 손잡이(3)를 이용하여 작동, 즉 제어될 수 있다. 하향식 추출기 팬 또는 팬(4) 또한 여기에서 작동 손잡이(3)로 작동, 즉 제어될 수 있다.
작동 손잡이(3)도 마찬가지로 모듈식 설계를 가진다. 이들은 각각의 경우에 인터페이스(12)를 통해서 호브(2) 및/또는 하향식 추출기 팬(4) 중 하나에 접속된다. 이들은 특히 호브(2) 및/또는 하향식 추출기 팬(4) 중 하나 이상과 신호 접속 된다.
작동 손잡이(3)는 특히 표준화된 설계이다. 이것은 동일한 작동 손잡이(3)가 상이한 호브(2) 및/또는 하향식 추출기 팬(4)을 작동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작동 손잡이(3)는 자가-구성으로 설계된다. 이것은 호브(2) 및/또는 하향식 추출기 팬(4) 중 하나가 접속될 때, 어느 빌트인 주방기기가 관련되며 해당 기능이 상응하게 적응되는지를 자동으로 검출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작동 손잡이(3)의 이러한 균일하고 표준화된 구성은 이들의 생산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작동 손잡이(3)의 용이한 교환가능성을 가능하게 한다. 결국, 호브 추출기 시스템(1)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아래에서는, 작동 손잡이(3)의 외부 구조의 일부 측면 및 주방 베이스 유닛(11)의 가구 유닛(13)의 정면에서의 그 배치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동 손잡이(3)는 중심 피스(14) 및 중심 피스(14) 상에 배치된 작동 소자를 포함한다. 작동 소자는 중심 피스(1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중심 길이방향 축(1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 소자는 특히 손잡이 링(18)으로도 지칭되는 작동 링으로 설계된다.
작동 소자는 중심 피스(14)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중심 피스(14) 상의 작동 소자의 플레이-프리(play-free) 배치를 위해, 하나 이상의 추력 피스(16)가 제공된다. 이들은 특히 탄성적 추력 피스(16)이다. 길이방향 축(15)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중심 피스(14)의 외부 윤곽(17)을 약간 넘어서 돌출한다. 외부 윤곽(17)은 약간 원추형으로 설계된다. 그것은 또한 원형 실린더의 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추력 피스(16)는 특히 손잡이 링(18)의 소정의 록-인 위치를 사전정의하기 위해 제공된다.
중심 피스(14)의 원주 상에 고르게 분포된 적어도 3개의 추력 피스(16)를 배치함으로써, 중심 피스(14)로부터 손잡이 링(18)을 제거하기 위한 정의된 견인력이 획득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손잡이 링(18)의 설계는 제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손잡이 링(18)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또한 구조화된 표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마킹(marking)(19)이 제공될 수도 있다.
중심 피스(14)는 수용 공간(20)을 둘러싼다. 특히 반경 방향으로, 즉 길이방향 축(15)에 수직인 방향으로 수용 공간(20)을 둘러싼다.
중심 피스(14)은 특히 플라스틱, 예를 들어 PC-ABS로 제조된다.
손잡이 링(18)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특히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다. 특히 재료 번호 1.4301 또는 1.4305를 갖는 스테인리스 강일 수 있다. 다른 재료도 유사하게 가능하다. 손잡이 링(18)은 특히 전기적 절연 재료로도 제조될 수 있다.
중심 피스(14)는 다중부분 설계이다. 이것은 특히 전방부(29) 및 후방부(30)를 갖는다.
작동 손잡이(3)의 설치 상태에서, 전방부(29)는 가구 유닛(13)의 정면을 넘어 앞으로 돌출한다.
작동 손잡이(3)의 설치 상태에서, 후방부(30)는 가구 유닛(13) 앞의 간격(24)에 배치된다. 후방부(30)는 길이방향 축(15)의 방향으로 가구 유닛(13)의 정면을 넘어 뒤로 돌출한다 .
중심 피스(14)의 후방부(30)는 개방될 수 있고, 특히 활짝 개방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필름 힌지(31)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하프-쉘을 포함한다.
중심 피스(14)의 후방부(30)를 활짝 개방되게 만드는 것은 수용 공간(20)에 전기 및/또는 전자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중심 피스(14)는 가구 유닛(13)의 앞에 작동 손잡이(3)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 박스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중심 피스(14)의 외측에 외부-나사산 부분(21)이 제공된다. 외부-나사산 부분(21)은 적응 거리(sa)에 걸쳐 길이방향 축(15)의 방향으로 연장한다. 적응 거리(sa)는 특히 길이방향 축(15)의 방향으로 10mm 내지 60mm의 범위의 길이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외부-나사산 부분(21)이 원주상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중심 피스(14)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함께 외부 스레드를 형성한다.
외부 나사산을 보완하기 위해, 내부 나사산 리지 부분(22)을 갖는 내부 나사산이 유니온 너트(23)로서 설계된 고정 수단 내에 배치된다. 유니온 너트(23)는 결과적으로 중심 피스(14)의 외부 나사에 나사로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중심 피스(14)는 가구 유닛(13)의 앞에 있는 간격(24)에서 용이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적응 거리(sa)로 인해 중심 피스(14) 및 결과적으로 작동 손잡이(3)는 서로 다른 두께 d를 가지고 가구 유닛(13) 앞에 매우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구 유닛(13) 앞의 정면 측의 영역에서, 공간 또는 밀봉 링(25)이 또한 중심 피스(14)와 가구 유닛(13)의 정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을 생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외부-나사 마루 부분(21)의 마루는 각각의 경우에 편평부(26)를 갖는다. 편평부(26)는 중심 피스(14)의 후방부(30)가 활짝 개방될 수 있게 한다.
편평부(27)는 접촉 링(28)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접촉 링(28)은 지지 돌출부로서의 역할을 하며, 이에 의해 중심 피스(14)가 가구 유닛(13)의 앞에서 지지된다. 접촉 링(28)은 하나 이상의 편평부(27)를 포함한다. 편평부(27)는 특히 스피릿 레벨(spirit leve)을 배치하기 위한 접촉 에지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는 작동 손잡이(3)가 가구 유닛(13)의 앞에서 정확하게 정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바람직한 대안에 따르면, 접촉 링(28)은 육각형 또는 팔각형 설계일 수 있다.
아래에서, 작동 손잡이(3)의 더욱 상세한 설명이 도 3 및 4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수용 공간(20) 내에는 인쇄 회로 기판(32)이 배치된다. 인쇄 회로 기판(32)은 호브(2) 및/또는 하향식 추출기 팬(4)을 제어 및 작동하기 위한 제어 장치의 제어 전자장치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기판(32)은 특히 수용 공간(20) 내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그것의 후단부에서, 인터페이스(12)를 가지거나 신호 전송 방식으로 인터페이스(12)에 접속된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케이블(34)은 플러그(33)에 의해 인터페이스(12)에 연결된다.
일 대안에 따라, 작동 손잡이(3)로부터 하나 이상의 호브(2)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하향식 추출기 팬(4)으로의 신호, 특히 제어 신호를 무선 전송하기 위한 전송 장치가 추가로 또는 인터페이스(12)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전송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중심 피스(14)의 후방 부분에 배치된다. 대응하는 전송 장치에 의해, 작동 손잡이(3)의 배치는 더욱 유연하다. 또한, 그 결과로서 호브(2) 중 하나 및/또는 하향식 추출기 팬(4) 중 하나에 대한 작동 손잡이(3)의 접속이 더욱 단순화된다.
인쇄 회로 기판(32)은 특히 에지 카드 인터페이스의 형태인 추가 인터페이스(35)를 통해 소위 프론트 보드에 접속된다. 이 보드에는 센서 및 조명 수단, 특히 LED가 배치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손잡이 링(18)은 길이방향 축(1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손잡이 링(18)의 회전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홀 센서(36)는 특히 위치 센서(36)로서 작용할 수 있다. 홀 센서(36)는 중심 피스(14)의 수용 공간(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중심 피스(14)의 전방부(29) 내의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석(37)은 홀 센서(36)와 상호 작용하도록 손잡이 링(18)에 배치된다. 자석(37)의 개수는 특히 3개 이상, 특히 5개 이상, 특히 8개 이상, 특히 12개 이상이다. 다른 개수의 자석(37)이 유사하게 가능하다. 홀 센서(36)의 개수는 특히 3개 이상, 특히 5개 이상, 특히 8개 이상, 특히 12개 이상이다. 특히 최대 30개, 특히 최대 20개, 특히 최대 15개이다. 다른 개수의 홀 센서(36)가 유사하게 가능하다. 홀 센서(36)는 특히 본질적으로 중심 피스(14)의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중심 피스(14)의 전방부(29)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광 출사 개구(38)를 포함한다. 광은 튜브형 공동(39) 또는 광 가이드에 의해 광 출사 개구(38)에 인가될 수 있으며, 이 광은 특히 LED(40)의 형태인 방사 소스에 의해 방출된다.
광 출사 개구(38)는 중심 피스(40)의 전방 커버(41)에 있는 미세구멍, 특히 레이저 보어로서 제조될 수 있다. 전방 커버(41)는 또한 오버레이로도 지칭된다. 전방 커버(41)는 특히 손잡이 링(18)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코팅이 제공된다. 특히 코팅의 역할은 락커, 특히 지문을 방지하기 위한 락커이다.
광 출사 개구(38)는 자신의 전방 측면, 즉 정면에서 볼 수 있는 영역에 10㎛ 내지 100㎛ 범위, 특히 20㎛ 내지 50㎛, 특히 30㎛ 미만의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은 수용 공간(20)에 대면하는 자신의 후방 측면에 10㎛ 내지 1mm의 범위, 특히 30㎛ 내지 200㎛의 범위, 특히 적어도 50㎛의 지름을 가질 수 있다.
광 출사 개구(38)는 투명 포팅 재료에 의해 밀봉, 즉 폐쇄될 수 있다. 이는 광 출사 개구(38)를 통해 수용 공간(20) 내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 출사 개구(38) 및/또는 공동(39)은 비스듬히 위쪽으로 이어지도록 배향될 수 있다. 이것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비스듬히 위에서 볼 수 있는 반면, 정면에서는 보이지 않거나 적어도 본질적으로 보이지는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 출사 개구를 갖는 오버레이에는 또한 - 특히 전체 표면 영역에 걸쳐 - LED로부터의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매우 얇은 금속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LED에 의해 방출된 방사에 대해, 코팅은 30% 이상, 특히 50% 이상, 특히 70% 이상, 특히 80% 이상의 투과율을 갖는다. 이러한 코팅 하에서, 광 출사 개구(38) 및/또는 공동(39)은 보이지 않는다. 이 코팅은 금속 산화물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단방향 거울을 형성할 수 있다.
전방 커버(41)는 터치-감지 센서 장치에 연결된 작동 구역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작동 손잡이(3)는 터치 기능으로 알려진 기능을 갖는다. 전방 커버(41)는 특히 소위 터치 스크린(터치-감지 스크린)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광 출사 개구(38)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 스크린을 위한 제어 전자장치는 인쇄 회로 기판(4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43)은 에지 카드 인터페이스(35)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32)에 접속된다. 인쇄 회로 기판(43)은 특히 수용 공간(20) 내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전방 커버(41)를 터치함으로써, 호브(2) 및/또는 하향식 추출기 팬(4)의 특정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저항성, 용량성 또는 유도성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손잡이 링(18)은 전방 커버(41)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특히, 손잡이 링(18)과 전방 커버(41) 사이에는 간격(42)이 제공된다. 간격(42)은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수분이 전방 커버(41)와 손잡이 링(18) 사이의 전기 접속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 대안에 따르면, 작동 손잡이(3)의 경우에, 전방 커버(41) 뒤의 중심 영역에 특히 압전 센서 또는 용량성 센서의 형태인 터치 감지 또는 압력 감지 센서가 배치된다.
전술된 대안의 개별적인 세부사항, 특히 중심 피스(14) 상의 손잡이 링(18)의 배치의 세부사항, 터치 감지 센서의 세부사항, 압력 감지 센서의 세부사항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사항은 본질적으로 서로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3)

  1. 빌트인 주방기기(2, 4)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3)로서,
    1.1 중심 피스(14),
    1.2 중심 피스(1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소자(18),
    1.3 작동 소자(18)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센서(36), 및
    1.4 적어도 하나의 터치-감지 및/또는 압력-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소자(18)는 링 형태로 설계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감지 및/또는 압력-감지 센서는, 상기 작동 소자(18)에 의해 원주식으로 둘러싸인 작동 구역과 신호 접속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피스(14)는 가구 형태로의 상기 장치(3)의 배치를 위한 관통 및/또는 고정 수단을 형성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소자(18)는 상기 중심 피스(14)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감지 센서는 상기 중심 피스(14)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호브(hob)(2) 및/또는 추출기 팬 장치(4)로의 신호 전달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12)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빌트인 주방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작동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장치.
  9. 호브 장치로서,
    9.1 적어도 하나의 호브(2), 및
    9.2 적어도 하나의 호브(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3)를 포함하는, 호브 장치.
  10. 호브 추출기 시스템(1)으로서,
    10.1 적어도 하나의 호브(2) 및/또는 조리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출 장치(4)를 갖는 빌트인 주방기기, 및
    10.2 빌트인 주방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장치(3)를 포함하는, 호브 추출기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모듈식 구조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호브 추출기 시스템.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브(2)가 교환 가능한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호브 추출기 시스템.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호브(2) 및/또는 조리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출 장치(4)를 가지며, 각각의 경우에서 상기 빌트인 주방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3) 중 하나는 호브(2) 중 하나 및/또는 조리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출 장치(4)와 각각 신호 접속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호브 추출기 시스템.
KR1020197007590A 2016-09-16 2017-09-07 피팅된 주방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KR102356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7724.9 2016-09-16
DE102016217724.9A DE102016217724A1 (de) 2016-09-16 2016-09-16 Vorrichtung zur Bedienung eines Kücheneinbaugerätes
PCT/EP2017/072478 WO2018050542A1 (de) 2016-09-16 2017-09-07 Vorrichtung zur bedienung eines kücheneinbaugerä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876A true KR20190046876A (ko) 2019-05-07
KR102356483B1 KR102356483B1 (ko) 2022-01-26

Family

ID=5979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590A KR102356483B1 (ko) 2016-09-16 2017-09-07 피팅된 주방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713884B2 (ko)
EP (1) EP3513124B1 (ko)
JP (1) JP7002540B2 (ko)
KR (1) KR102356483B1 (ko)
CN (1) CN109716028B (ko)
AU (1) AU2017326323B2 (ko)
CA (1) CA3036948A1 (ko)
DE (1) DE102016217724A1 (ko)
WO (1) WO20180505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2000A1 (de) * 2018-07-18 2020-01-23 BSH Hausgeräte GmbH Bedienvorrichtung und Haushaltsgerät mit derselben
JP7178587B2 (ja) * 2019-01-31 2022-1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EP3736985A1 (en) * 2019-05-10 2020-11-11 Captron Electronic GmbH Illuminated switch
DE102020207162A1 (de) 2020-06-08 2021-12-09 Wilhelm Bruckbauer Vorrichtung zur Bedienung eines Kücheneinbaugerät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2671A (ja) * 2009-02-03 2010-08-19 Ego Elektro Geraete Blanc & Fischer 電化製品用の操作装置、および操作方法
CN205505101U (zh) * 2016-04-05 2016-08-24 浙江爱瑞卡普田电器有限公司 一种集成灶的烟灶联动控制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4653Y2 (ja) * 1993-11-09 1998-11-05 チェン リウ ワン 調理用の直立式煙吸装置
DE19548659C1 (de) * 1995-12-18 1997-05-28 Brose Fahrzeugteile Schalt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fremdkraftbetätigten Verstellantriebs eines Kraftfahrzeugs
DE10304985B3 (de) * 2003-02-07 2004-07-15 MENTOR GmbH & Co Präzisions-Bauteile Schaltgerät
DE202005019978U1 (de) * 2005-10-12 2006-04-20 E.G.O. Elektro-Gerätebau GmbH Bedienvor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DE202007000610U1 (de) 2007-01-10 2007-04-12 Bruckbauer Wilhelm Vorrichtung zum Abzug von Kochdünsten
DE102009022339A1 (de) 2009-05-14 2010-11-18 E.G.O. Elektro-Gerätebau GmbH Bedienvor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DE102009025038B4 (de) 2009-06-10 2020-07-16 Wilhelm Bruckbauer Kochdunst-Eintrittsvorrichtung mit abnehmbarer deckelförmiger Verschließeinrichtung
US20100319479A1 (en) * 2009-06-19 2010-12-23 Elkhart Brass Manufacturing Company, Inc. Surface mount rotary control
DE202009009727U1 (de) 2009-07-15 2009-10-08 Bruckbauer, Wilhelm Drehknebel
DE102009048494A1 (de) 2009-09-25 2011-04-07 E.G.O. Elektro-Geräte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dienung eines Elektrogerätes
CN201688474U (zh) * 2009-11-20 2010-12-29 东莞市精诚电能设备有限公司 电磁炉无触点火力调节装置
JP5359928B2 (ja) * 2010-02-24 2013-12-04 住友電装株式会社 回転操作装置
DE102010039560A1 (de) 2010-08-20 2012-02-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vorrichtung für ein Hausgerät mit einer Energieversorgungseinrichtung sowie Hausgerät zum Zubereiten von Lebensmitteln mit einer derartigen Bedienvorrichtung
JP6073111B2 (ja) 2012-11-12 2017-02-01 大阪瓦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TWI546501B (zh) * 2015-04-28 2016-08-21 太琦科技股份有限公司 發光旋鈕組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2671A (ja) * 2009-02-03 2010-08-19 Ego Elektro Geraete Blanc & Fischer 電化製品用の操作装置、および操作方法
CN205505101U (zh) * 2016-04-05 2016-08-24 浙江爱瑞卡普田电器有限公司 一种集成灶的烟灶联动控制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26323B2 (en) 2023-04-13
EP3513124B1 (de) 2022-05-04
US20190257525A1 (en) 2019-08-22
US11713884B2 (en) 2023-08-01
JP2019534438A (ja) 2019-11-28
CN109716028A (zh) 2019-05-03
WO2018050542A1 (de) 2018-03-22
AU2017326323A1 (en) 2019-04-04
EP3513124A1 (de) 2019-07-24
DE102016217724A1 (de) 2018-03-22
CA3036948A1 (en) 2018-03-22
JP7002540B2 (ja) 2022-01-20
CN109716028B (zh) 2020-11-20
KR102356483B1 (ko)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6876A (ko) 피팅된 주방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US20220074597A1 (en) Control device for a modular hob system
US9941078B2 (en) Touch and/or proximity-sensitive actuation element and domestic appliance having an actuation element
CA271431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ical appliance
EP3596827B1 (en) Capacitive sensor switch with display
CN107110511B (zh) 借助于能够取下的操作元件对家用器具的操作
US10936125B2 (en) Capacitive touch sensors and methods of operating capacitive touch sensors
EP1742144B1 (en) Household appliance with virtual data interface
US20220236937A1 (en) Appliance handle with automatic shutoff of input interface elements
US6297482B1 (en) Ceramic-based downdraft cooktop having angled front face portion
US11520445B1 (en) Appliance with modular user interface
CN106489185B (zh) 具有屏蔽装置的电子的用户接口
JP521862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218623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3130858B1 (en) Cooking hob
EP3560398B1 (en) Domestic countertop appliances
DE102020207162A1 (de) Vorrichtung zur Bedienung eines Kücheneinbaugerätes
JP2012054243A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