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836A - 오존 발생기 유닛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존 발생기 유닛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836A
KR20190046836A KR1020197006504A KR20197006504A KR20190046836A KR 20190046836 A KR20190046836 A KR 20190046836A KR 1020197006504 A KR1020197006504 A KR 1020197006504A KR 20197006504 A KR20197006504 A KR 20197006504A KR 20190046836 A KR20190046836 A KR 20190046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generator
high voltage
dielectric
housing
voltag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2927B1 (ko
Inventor
얀 알르마크
Original Assignee
오존 인벤션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98594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4683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존 인벤션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오존 인벤션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4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 C01B13/115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al circuits producing the electrical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10Dischargers used for production of ozone
    • C01B2201/12Plate-type dischar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10Dischargers used for production of ozone
    • C01B2201/14Concentric/tubular dischar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0Electrodes used for obtaining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30Dielectrics used in the electrical dischargers
    • C01B2201/3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dielect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30Dielectrics used in the electrical dischargers
    • C01B2201/34Composition of the dielect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4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using several dischargers in s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70Cooling of the discharger; Means for making cooling unnecessary
    • C01B2201/72Cooling of the discharger; Means for making cooling unnecessary by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70Cooling of the discharger; Means for making cooling unnecessary
    • C01B2201/74Cooling of the discharger; Means for making cooling unnecessary by liquid
    • C01B2201/76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90Control of th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오존 발생기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또한 오존 발생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오존 발생기들의 냉각 및 압력 변화의 현존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마주하는 문제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하는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며, 가스 스트림의 균일한 유동 및 오존 발생기들에 대한 효율적인 냉각을 위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오존 발생기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오존 발생기 유닛은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제1 리세스(204)를 구비하는 제1 반부(104) 및 제2 리세스(206)를 구비하는 제2 반부(106)를 포함한다. 오존 발생기 유닛은 하우징 내의 유입구(202) 및 배출구(110), 제1 반부의 내부 표면(240)과 접촉하는 제1 리세스 내에 배열된 제1 유전체 디스크(210), 제2 반부의 내부 표면(242)과 접촉하는 제2 리세스 내에 배열된 제2 유전체 디스크(214), 및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 사이에 배열된, 가스 통로(220)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극(218)을 더 포함한다. 고전압 전극은 고전압 전극의 양측 상에 제1 가스 챔버(250) 및 제2 가스 챔버(252)를 구성하기 위해 제1 스페이서(230) 및 제2 스페이서(232)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로부터 이격된다.

Description

오존 발생기 유닛 및 시스템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오존의 발생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오존 발생기 유닛(ozone generator unit) 및 오존 발생기 시스템(ozone generator system)에 관한 것이다.
오존은 다양한 공기 정화, 수 처리, 악취 제거 등과 같은 다양한 산업 및 상업적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존은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과 같은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오존 발생기와 같은) 장치들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코로나 방전은 전기적으로 충전된 전도체 주위에 전기적 방전의 생성이다. 오존 발생기에서, 전기적으로 충전된 전도체는 전기적으로 충전된 전도체의 양측 상에 2개의 가스 챔버들을 정의하기 위해 2개의 유전체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산소 분자들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gas stream)은 오존 발생기를 통과한다. 코로나 방전은 가스 스트림 내의 산소 분자들 중 일부를 이온화한다. 그 후, 이온화된 산소는 오존을 생성하기 위해 가스 스트림 내의 산소 분자들과 재결합한다.
예를 들어, 유럽 특허 EP1165435 B1, "압력 보상 오존 발생기 및 오존의 발생을 위한 방법"은 유전체 위로 고전압을 갖는 고주파 교류에 산소를 노출시킴으로써 오존 발생기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장치는 유전체 물질의 적어도 2개의 플레이트에 의해 함께 결합되고 본 전극 사이에 고전압을 갖는 고주파 교류가 적용 가능한 압력 보상 허용 유닛(pressure compensation admitting unit); 및 상기 유닛의 대향 측들 상에 오존의 발생을 위한 2개의 밀폐 공간들을 포함한다. 유전체 물질의 상기 플레이트의 대향 측 상의 각각의 밀폐 공간은 접지되고 냉각된 전극에 의해 제한되며, 이를 통해 산소 가스 또는 산소가 풍부한 가스가 공간에 공급되고 오존은 공간 밖으로 전도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오존 발생기들은 그 안에서 압력 변화를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스트림은 전기적으로 충전된 전도체 주위에서 균등하지 않게 유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2개의 가스 챔버들 내에 균등하지 않은 (또는 불균일한) 가스 분배를 초래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가스 분배는 가스 챔버들 내에 불균일한 압력의 발전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오존 발생기 내의 2개의 유전체들 및/또는 전기적으로 충전된 전도체는 불균일한 응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오존의 생성은 오존 발생기 내에 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수냉은 이러한 열을 방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매체로써 물의 사용은 이러한 장치에 대한 고전압 전류의 존재로 인해 최적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논의에 비추어, 종래의 오존 발생기들과 관련된 전술한 결점들을 극복할 필요가 존재한다.
본 개시는 오존 발생기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또한 오존 발생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오존 발생기들의 냉각 및 압력 변화의 현존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마주하는 문제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하는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며, 가스 스트림의 균일한 유동 및 오존 발생기들에 대한 효율적인 냉각을 위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 하우징;
- 하우징 내에 있고 메인 챔버로 연장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
- 제1 반부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제1 리세스 내에 배열된 제1 유전체 디스크;
- 제2 반부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제2 리세스 내에 배열된 제2 유전체 디스크; 및
- 메인 챔버 내에 및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 사이에 배열된, 가스 통로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극;
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 제1 리세스를 구비하는 제1 반부; 및
- 제2 리세스를 구비하는 제2 반부;
를 포함하며,
제1 반부는 제1 및 제2 리세스들이 하우징 내에 메인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2 반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제1 유전체 디스크는 가스 통로를 구비하며,
고전압 전극은 고전압 전극의 양측 상에 제1 가스 챔버 및 제2 가스 챔버를 구성하도록 제1 스페이서(spacer) 및 제2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로부터 이격되고,
고전압 전극의 가스 통로 및 제1 유전체 디스크의 가스 통로는 제1 및 제2 가스 챔버들을 유체적으로 결합하는, 오존 발생기 유닛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의 유입구에 부착된 제1 브래킷;
-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의 배출구에 부착된 제2 브래킷;
-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 및
-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의 외부 표면 앞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팬;
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은
- 하우징;
- 하우징 내에 있고 메인 챔버로 연장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
- 제1 반부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제1 리세스 내에 배열된 제1 유전체 디스크;
- 제2 반부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제2 리세스 내에 배열된 제2 유전체 디스크; 및
- 메인 챔버 내에 및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 사이에 배열된, 가스 통로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극;
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 제1 리세스를 구비하는 제1 반부; 및
- 제2 리세스를 구비하는 제2 반부;
를 포함하며,
제1 반부는 제1 및 제2 리세스가 하우징 내에 메인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2 반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제1 유전체 디스크는 가스 통로를 구비하며,
고전압 전극은 고전압 전극의 양측 상에 제1 가스 챔버 및 제2 가스 챔버를 구성하도록 제1 스페이서 및 제2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로부터 이격되고,
고전압 전극의 가스 통로 및 제1 유전체 디스크의 가스 통로는 제1 및 제2 가스 챔버들을 유체적으로 결합하는, 오존 발생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양태, 이점, 특징 및 목적들은 다음에 첨부된 청구 범위와 함께 해석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조합들로 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음.
상기 요약뿐만 아니라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읽었을 때 더 양호하게 이해된다. 본 개시를 예시할 목적으로, 개시의 예시적인 구조들이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기에 개시된 특정 방법 및 수단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당업자들은 도면들이 축척되어 있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가능한 모든 경우에, 같은 요소들은 동일한 번호로 표시되었다.
이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로써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오존 발생기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축 A-A'를 따른 도 1의 오존 발생기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오존 발생기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 및 이들이 구현될 수 있는 방법들을 도시한다. 본 개시를 수행하는 일부 모드들이 개시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개시를 수행하거나 실행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들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 하우징;
- 하우징 내에 있고 메인 챔버로 연장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
- 제1 반부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제1 리세스 내에 배열된 제1 유전체 디스크;
- 제2 리세스 내에 배열된 제2 유전체 디스크; 및
- 메인 챔버 내에 및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 사이에 배열된, 가스 통로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극;
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 제1 리세스를 구비하는 제1 반부; 및
- 제2 리세스를 구비하는 제2 반부;
를 포함하며,
제1 반부는 제1 및 제2 리세스들이 하우징 내에 메인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2 반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제1 유전체 디스크는 가스 통로를 구비하며,
고전압 전극은 고전압 전극의 양측 상에 제1 가스 챔버 및 제2 가스 챔버를 구성하도록 제1 스페이서 및 제2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로부터 이격되고,
고전압 전극의 가스 통로 및 제1 유전체 디스크의 가스 통로는 제1 및 제2 가스 챔버들을 유체적으로 결합하는, 오존 발생기 유닛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의 유입구에 부착된 제1 브래킷;
-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의 배출구에 부착된 제2 브래킷;
-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 및
-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의 외부 표면 앞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팬;
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은
- 하우징;
- 하우징 내에 있고 메인 챔버로 연장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
- 제1 반부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제1 리세스 내에 배열된 제1 유전체 디스크;
- 제2 반부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제2 리세스 내에 배열된 제2 유전체 디스크; 및
- 메인 챔버 내에 및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 사이에 배열된, 가스 통로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극;
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 제1 리세스를 구비하는 제1 반부; 및
- 제2 리세스를 구비하는 제2 반부;
를 포함하며,
제1 반부는 제1 및 제2 리세스가 하우징 내에 메인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2 반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제1 유전체 디스크는 가스 통로를 구비하며,
고전압 전극은 고전압 전극의 양측 상에 제1 가스 챔버 및 제2 가스 챔버를 구성하도록 제1 스페이서 및 제2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로부터 이격되고,
고전압 전극의 가스 통로 및 제1 유전체 디스크의 가스 통로는 제1 및 제2 가스 챔버들을 유체적으로 결합하는, 오존 발생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오전 발생기 유닛 및 오존 발생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오존 발생기 유닛은 고전압 전극 주위에 균일한 가스 유동 및 분배를 제공하여, 이에 따라 고전압 전극의 양측 상의 가스 챔버들 내에 균일한 가스 압력을 초래한다. 또한, 오존 발생기 유닛 및 시스템은 오존 발생 동안 발생된 열에 대한 효율적인 냉각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의 제1 및 제2 반부들 내에 유전체 디스크들의 배열, 유전체 디스크들 상에 금속 층의 코팅 및 복수의 냉각 핀들의 존재는 효율적인 냉각을 제공한다. 또한, 열은 공기 냉각에 의해 효율적으로 방산될 수 있으며, 이어서 오존 발생기 유닛 및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킨다. 선택적으로, 열은 수동 냉각, 수냉 등과 같은 기술들에 의해 방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오존 발생기 유닛"은 오존(또는 삼산소)의 발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를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오존 발생기 유닛은 가스 스트림에 코로나 방전(또는 고전압 전기장)을 가함으로써 오존을 발생시킨다. 실시예에서, 가스 스트림은 산소를 포함하는 가스, 예를 들어 공기 또는 이원자 산소 가스를 포함한다. 코로나 방전은 가스 스트림 내의 산소 분자를 이온화할 수 있다. 그 후, 가스 스트림 내의 이온화된 분자들은 오존을 형성하도록 재결합할 수 있다. 오존 발생기 유닛이 오존의 발생을 견디기에 적합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명백할 수 있다.
오존 발생기 유닛은 하우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은 오존 발생기 유닛의 외부 커버 또는 케이싱일 수 있다. 하우징은 제1 리세스를 구비하는 제1 반부 및 제2 리세스를 구비하는 제2 반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오존 발생기 유닛의 제1 반부 및 제2 반부는 각각 제1 접지 전극 및 제2 접지 전극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접지 전극들은 공기와 같은 적합한 냉각 매체에 의해 오존 발생기의 냉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제1 및 제2 반부들 상의 복수의 위치들에 스크류들을 사용하여 제2 반부와 제1 반부를 부착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부들의 형상, 크기 및 배열은 하우징으로부터의 오존 및/또는 가스 스트림의 누출이 회피될 수 있는 것임이 명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공기 냉각을 받도록 작동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반부는 원통형 제1 리세스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원통형 제1 리세스는 그 내부에 오존 발생기 유닛을 구성 요소들을 수용하도록 제1 반부의 공동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반부는 원통형 제2 리세스(또는 공동)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리세스들은 정육면체형(cubical), 직육면체형(cuboidal), 반구형(hemispherical) 및 그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원통형 이외의 기하학적 형상 중 하나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리세스들의 기하학적 형상은 그 내부에 오존 발생기 유닛의 구성 요소들의 적합한 수용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반부는 제1 및 제2 리세스들이 하우징 내에 메인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2 반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메인 챔버"는 제1 및 제2 리세스들의 연속 배열(contiguous arrangement)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챔버는 그 내부에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하우징 내의 중공 공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반부 및 제2 반부는 직육면체 또는 원통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존 발생기 유닛은 편평한 직사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은 동일한 치수의 제1 및 제2 직육면체 반부들을 구비하는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반부들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강 또는 다른 유사한 금속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부들의 물질은 오존과 반응하지 않아야 하며, 이에 따라 오존의 오염을 회피하고, 오존 발생기 유닛의 사용 수명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명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반부들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냉각 핀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냉각 핀들은 제1 및/또는 제2 반부들의 외부 표면 상의 리지들(ridges)(또는 플랜지들 또는 융기된 에지들(raised edges))일 수 있다. 복수의 냉각 핀들의 존재는 제1 및 제2 반부들의 외부 표면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음이 명백할 수 있다. 따라서, 증가된 외부 표면적은 오존 발생기 유닛을 냉각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줄이도록 열의 방산을 위해 공기에 노출된다. 예시에서, 복수의 냉각 핀들은 삼각형 단면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복수의 냉각 핀들은 직사각형 단면과 같은 다각형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오존 발생기 유닛은 제1 반부의 내부 표면에 접촉하도록 제1 리세스 내에 배열된 제1 유전체 디스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유전체 디스크는 가스 통로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가스 통로는 메인 챔버 내에서 가스 스트림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1 유전체 디스크 상의 구멍일 수 있다. 또한, 가스 통로는 중심에 존재할 수 있거나 편심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스 통로는 제1 유전체 디스크 상에 존재할 수 있음이 명백할 수 있다. 제1 반부의 내부 표면과 제1 유전체 디스크의 접촉은 오존 발생기 유닛을 냉각하는데 요구되는 에너지의 감소를 초래한다. 구체적으로, 오존 발생 동안 메인 챔버 내에서 발생된 열은 전도에 의해 제1 반부(또는 제1 접지 전극)에 제1 유전체 디스크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그 후, 제1 반부의 외부 표면 주위의 공기 스트림은 오존 발생기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냉각 방식은 종래의 수냉 방식에 비해 에너지 효율적일 수 있다. 유사하게, 오존 발생기 유닛은 제2 반부의 내부 표면에 접촉하도록 제2 리세스 내에 배열된 제2 유전체 디스크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반부의 내부 표면과 제2 유전체 디스크의 접촉은 오존 발생기 유닛을 냉각하는데 요구되는 에너지의 감소를 초래한다. 적어도 제1 유전체 디스크는 가스 통로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은, 각각 메인 챔버 내에서 가스 스트림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가스 통로를 포함한다(여기서 나중에 더 상세하게 설명됨).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은 알루민산염(aluminate, AIO2), 석영 유리(quartz glass) 등과 같은 유전체 물질로 만들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은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은 형상이 원형일 수 있고 동일한 직경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은 형상이 다각형일 수 있고, 동일한 치수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은 제1 및 제2 반부들과 접촉하는,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의, 표면 상에 금속 층으로 코팅된다. 예시에서, 금(Au) 또는 은(Ag) 층은 제1 및 제2 반부들과 접촉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의 표면들 상에 코팅될 수 있다. 금속 코팅은 제1 및 제2 반부들과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의 금속 접촉을 형성함으로써 오존 발생기 유닛의 냉각 효율을 증가시킨다. 구체적으로, 금속 접촉은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로부터 제1 및 제2 반부들로의 열의 전도를 증가시킨다. 예시에서,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의 표면들 상에 은 코팅은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의 표면들 상에 은 코팅이 없는 오존 출력과 비교하여 오존 발생기 유닛의 오존 출력을 10%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의 표면들 상에 금 코팅은 열의 더 높은 전도로 인해, 은 코팅과 비교하여 더 높은 냉각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오존 발생기 유닛은 메인 챔버 내에, 및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 사이에 배열된, 가스 통로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극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고전압 전극은 오존의 발생을 위해 고전압 전류를 견딜 수 있는 금속 전도체일 수 있다. 예시에서, 고전압 전류(또는 고주파 교류)는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오존 발생기 유닛으로 연장되는 고전압 연결부를 통해 고전압 전극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전압 케이블은 (공동 또는 리세스와 같은) 벽 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로 연장될 수 있고 고전압 전류원에 결합된 일 단부 및 다른 단부에서 고전압 전극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전압 전극의 가스 통로 및 제1 유전체 디스크의 가스 통로는 제1 및 제2 가스 챔버들을 유체적으로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고전압 전극 및 제1 유전체 디스크의 가스 통로들은 메인 챔버 내에서 가스 스트림 및/또는 오존의 이동을 허용한다. 예시에서, 고전압 전극 및 제1 유전체 디스크의 가스 통로들은 그 중심에 있는 구멍이다. 이러한 예시에서, 고전압 전극의 중심 구멍은 제1 및 제2 가스 챔버들을 유체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제1 유전체 디스크의 중심 구멍과 동축으로 정렬된다.
실시예에서, 고전압 전극은 스테인리스 강 또는 텅스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전압 전극의 주변 에지는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홈은 고전압 전극의 주변 에지 상에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고전압 전극은 고전압 전극의 양측 상에 제1 가스 챔버 및 제2 가스 챔버를 구성하기 위해 제1 스페이서 및 제2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로부터 이격된다.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 및 제2 스페이서는 2개의 구성 요소들을 특정 거리만큼 떨어지게 장착하도록 구성된 요소들이다. 구체적으로, 제1 스페이서는 제1 유전체 디스크로부터 고전압 전극을 특정 거리만큼 이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스페이서는 제1 유전체 디스크로부터 고전압 전극을 특정 거리만큼 이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로부터 고전압 전극의 거리는 0.05mm 및 0.2mm 범위 내에 있다. 고전압 전극 및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 사이의 거리의 전술한 범위는 최적일 수 있지만, 오존 발생기 유닛의 작동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을 수 있음이 명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로부터 고전압 전극의 거리는 0.08mm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오존 발생기 유닛으로부터의 오존의 발생 및 양(또는 수율)은 최적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별 같은 형태(즉, 5개의 가지들)를 구비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스페이서는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로부터 고전압 전극을 이격시키는데 적합한 임의의 다른 형태(즉, 4개 또는 6개의 가지들)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가스 챔버들은 (스페이서들을 사용하여 이격된) 고전압 전극 및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 사이의 공간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스 챔버는 제1 유전체 디스크 및 고전압 전극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가스 챔버는 제2 유전체 디스크 및 고전압 전극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주변 에지 상의 복수의 홈들, 및 고전압 전극의 가스 통로는 메인 챔버의 제2 및 제2 가스 챔버들 내에서 가스 스트림의 유동을 허용함이 명백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스트림의 유동은 고전압 전극의 주변 에지 상의 복수의 홈들로 인해 균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가스 챔버들 내의 압력은 유사(또는 균일)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오존 발생기 유닛은 쉽게 조립될 수 있는 모듈의, 평판형 구성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오존 발생기 유닛은 고전압 전극, 제1 및 제2 스페이서들, 및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의 배열에 의해 샌드위치 같은 구성(또는 층형 구성)으로 조립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오존 발생기 유닛은 제1 및 제2 반부들의 내부 표면들, 및 고전압 전극의 주변부 및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 사이에 배열된 절연 링(insulating ring)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절연 링은 코로나 방전으로 인한 전류의 흐름에 저항하도록 테플론과 같은 절연 물질로 만들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절연 링의 내부 직경은 오존 발생기 유닛의 고정 조립을 위해, 고전압 전극 및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의 직경들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챔버 내로(특히, 제1 및 제2 가스 챔버들 내로) 가스 스트림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고전압 전극 및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의) 주변부 및 절연 링 사이에 간격이 있을 수 있음이 명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오존 발생기 유닛은 또한 절연 링 및 제1 및 제2 반부들의 내부 표면들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 링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밀봉 링은 오존 발생기 유닛으로부터 가스 스트림 및/또는 오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 챔버들 및/또는 메인 챔버를 밀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시에서, 적어도 하나의 밀봉 링은 O-링일 수 있다.
오존 발생기 유닛은 하우징 내에 유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고 메인 챔버로 연장된다. 실시예에서, 유입구 및 배출구는 하우징 상에 반경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 및 배출구 중 하나는 반경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입구 및 배출구는 하우징 상에 중심으로 또는 주변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 및 배출구는 하우징 내에 반경 방향으로 및 하우징의 중심 영역 내에 축 방향으로 각각 배열될 수 있고, 메인 챔버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유입구는 하우징 내로의 가스 스트림의 (유입의) 출입의 중심 지점일 수 있고, 배출구는 하우징으로부터의 오존의 출구(또는 유출)의 주변 지점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오존 발생기 유닛은 제1 및 제2 가스 챔버들 사이에서 가스 스트림의 균일한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유입구 및 배출구는 알루미늄과 같은, 하우징의 제1 및 제2 반부들과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유입구 및 배출구는 오존 저항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적합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작동에서, 오존 발생기 유닛은 가스 스트림에 코로나 방전을 가함으로써 오존의 발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존의 발생을 위한 가스 스트림의 이온화는 오존 발생기 유닛 내에 열을 발생시킨다. 오존 발생기 유닛의 냉각은 그 적절한 기능을 위해 중요함이 명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은 공기 냉각을 받도록 작동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고전압 전극, 제1 및 제2 스페이서들, 및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의 전술한 배열은 오존 발생기 유닛의 냉각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은 제1 및 제2 반부들의 내부 표면들에 접촉하고 (전도에 의해) 그에 발생된 열을 전달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반부들의 외부 표면들 주위의 공기는 오존 발생기 유닛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냉각은 제1 및 제2 반부들과 접촉하는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의 표면들 상에 금속 층을 코팅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냉각은 제1 및/또는 제2 반부들의 외부 표면 상의 복수의 냉각 핀들에 의해 강화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고전압 전극으로의 고전압 전류의 적용은 스퍼터링 공정(sputtering process)을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전압 전극으로부터의 철 입자(또는 이온)는 메인 챔버 내의 산소와 반응할 수 있고 이어서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 상에 증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은 그 위에 산화철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철 층의 증착은 오존 발생기 유닛의 오존 출력을 증가시킨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을 구비하는 오존 발생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오존 발생기 시스템은 오존 발생기 유닛과 비교하여 더 많은 양의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은 오존 발생기 시스템을 정의하도록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오존 발생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의 유입구에 부착된 제1 브래킷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브래킷은 채널을 구비하거나 그 안에 튜브(또는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연신된 구조체일 수 있다. 채널/튜브는 오존 발생기 유닛들 내로 가스 스트림의 균일한 유입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의 유입구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래킷은 오존 발생기 유닛들의 병렬 배열을 위한 견고한 지지체로써 작용할 수 있다.
오존 발생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의 배출구에 부착된 제2 브래킷을 더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브래킷은 그 안에 튜브(또는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널을 구비하는 연신된 구조체일 수 있다. 튜브는 오존 발생기 유닛들로부터 오존의 균일한 유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의 배출구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래킷은 오존 발생기 유닛들의 병렬 배열 및 연결을 위한 견고한 지지체로써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오존 발생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전기적, 기계적 및 컴퓨팅 유닛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들의 구성 요소들은 고전압 전류를 견디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음이 명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판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오존 발생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의 외부 표면 앞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팬을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팬은 그 외부 표면 위로 공기를 지향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팬은 복수의 냉각 핀을 포함하는 (오존 발생기 유닛들의) 외부 표면들 앞에 배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오존 발생기 유닛(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오존 발생기 유닛(100)은 제1 반부(104) 및 제2 반부(106)를 구비하는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또한, 오존 발생기 유닛(100)은 유입구(미 도시) 및 배출구(110)를 포함한다. 또한, 오존 발생기 유닛(100)은 하우징(102)에 수용된 유전체 디스크들(미 도시), 고전압 전극(미 도시), 및 스페이서들(미 도시)과 같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오존 발생기 유닛(100)은 제1 및 제2 반부들(104, 106)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냉각 핀들(1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냉각 핀들(120)은 각각 제1 반부(104) 및 제2 반부(106)의 측 벽들(130, 132)로부터 연장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축 A-A'를 따른 도 1의 오존 발생기 유닛(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부(104)는 제2 반부(106) 상에 위치되므로, 제1 리세스(204) 및 제2 리세스(206)는 함께 하우징(102) 내에 메인 챔버(208)를 형성한다. 오존 발생기 유닛(100)은 제1 및 제2 반부들(104, 106)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냉각 핀들(120)(도 1에도 도시됨)을 포함한다. 또한, 배출구(110)는 하우징(102) 내에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어 도시되고 유입구(202)는 하우징(102)의 제1 반부(104) 상의 중심 영역에서 하우징 내로 반경 방향으로 및 메인 챔버 내로 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1 유전체 디스크(210)는 제1 반부(104)의 내부 표면(240)과 접촉하는 제1 리세스(204) 내에 배열된다. 유사하게, 제2 유전체 디스크(214)는 제2 반부(106)의 내부 표면(242)과 접촉하는 제2 리세스(206) 내에 배열된다. 또한, 고전압 전극(218)은 제1 유전체 디스크(210) 및 제2 유전체 디스크(214) 사이에 배열되며, 특히 고전압 전극(218)은 제1 스페이서(230) 및 제2 스페이서(232)를 사용하여 각각 제1 유전체 디스크(210) 및 제2 유전체 디스크(214)로부터 이격된다. 이는 고전압 전극(218)의 양측 상에 제1 가스 챔버(250) 및 제2 가스 챔버(252)를 구성한다.
고전압 전극(218)의 가스 통로(220)는 제1 및 제2 가스 챔버들(250, 252)을 유체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제1 유전체 디스크(210)의 가스 통로(212)와 동축으로 정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전극(218)의 주변 에지는 제1 및 제2 가스 챔버들(250, 252) 사이에 가스 스트림의 균일한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복수의 홈들(22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210, 214)은 금속 층들(260, 262)로 코팅되고 제1 및 제2 반부들(104, 106)의 내부 표면들(240, 242)에 각각 접촉하도록 허용된다. 오존 발생기 유닛(100)은 제1 및 제2 반부들(104, 106)의 내부 표면들(240, 242), 및 고전압 전극(218)의 주변부 및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210, 214) 사이에 배열된 절연 링(270)을 포함한다. 또한 오존 발생기 유닛(100)은 절연 링(270) 및 제1 및 제2 반부들(104, 106)의 내부 표면들(240, 242) 사이에 배열된 밀봉 링들(272)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오존 발생기 시스템(3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오존 발생기 시스템(300)은 (도 1에 도시된, 오존 발생기 유닛(100)과 같은) 복수의 오존 발생기 유닛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존 발생기 시스템(300)은 3개의 오존 발생기 유닛들(302, 304, 306)을 포함한다. 오존 발생기 시스템(300)은 오존 발생기 유닛들(302, 304, 306) 각각의 유입구들(미 도시)에 부착된 제1 브래킷(310)을 포함한다. 오존 발생기 시스템(300)은 오존 발생기 유닛들(302, 304, 306) 각각의 배출구들(미 도시)에 부착된 제2 브래킷(312)을 더 포함한다. 또한 오존 발생기 시스템(300)은 각각 오존 발생기 유닛들(302, 304, 306) 각각과 연관된 회로들(320, 322, 324)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각각의 회로들(320, 322, 324)은 그 위에 장착된 330과 같은 전자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오존 발생기 시스템(300)은 팬들(340, 342, 344)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들(302, 304, 305) 각각의 외부 표면 앞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팬들(340, 342, 344)은 각각 오존 발생기 유닛들(302, 304, 305)의 냉각 핀들(350, 352, 354)을 향해 지향된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변형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 본 개시를 설명하고 청구하는 데 사용된 "포함", "함유", "통합", "구비", "~는~이다"와 같은 표현들은 비 배타적인 방식, 즉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항목, 구성 요소 또는 요소들 또한 존재하는 것을 허용하여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6)

  1. - 하우징(102);
    - 상기 하우징 내에 있고 메인 챔버로 연장되는 유입구(202) 및 배출구(110);
    - 제1 반부(104)의 내부 표면(240)과 접촉하는 제1 리세스(204) 내에 배열된 제1 유전체 디스크(210);
    - 제2 반부(106)의 내부 표면(242)과 접촉하는 제2 리세스(206) 내에 배열된 제2 유전체 디스크(214); 및
    - 메인 챔버(208) 내에 및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 사이에 배열된, 가스 통로(220)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극(218);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2)은,
    - 제1 리세스(204)를 구비하는 제1 반부(104); 및
    - 제2 리세스(206)를 구비하는 제2 반부(106);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반부는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들이 상기 하우징 내에 메인 챔버(208)를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2 반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제1 유전체 디스크는 가스 통로(212)를 구비하며,
    상기 고전압 전극은 상기 고전압 전극의 양측 상에 제1 가스 챔버(250) 및 제2 가스 챔버(252)를 구성하도록 제1 스페이서(230) 및 제2 스페이서(232)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고전압 전극의 상기 가스 통로 및 상기 제1 유전체 디스크의 상기 가스 통로는 상기 제1 및 제2 가스 챔버들을 유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기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2)은 공기 냉각을 받도록 작동 가능한, 오존 발생기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부들(104, 106)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냉각 핀들(120)을 포함하는, 오존 발생기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부들(104, 106)의 내부 표면들, 및 상기 고전압 전극(218)의 주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210, 214) 사이에 배열된 절연 링(270)을 더 포함하는, 오존 발생기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링(270) 및 상기 제1 및 제2 반부들(104, 106)의 내부 표면들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 링(272)을 더 포함하는, 오존 발생기 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전극(218)의 주변 에지는 복수의 홈들(222)을 포함하는, 오존 발생기 유닛.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반부들(104, 106)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는, 오존 발생기 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210, 214)은 알루민산염 또는 석영 유리 중 하나로 만들어지는, 오존 발생기 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210, 214)은 상기 제1 및 제2 반부들(104, 106)과 접촉하는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의 표면 상에 금속 층으로 코팅되는, 오존 발생기 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로부터의 상기 고전압 전극(218)의 거리는 0.05mm 및 0.2mm의 범위 내에 있는, 오존 발생기 유닛.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세스(204) 및 상기 제2 리세스(206) 각각은 원통형, 정육면체형, 직육면체형, 반구형 및 그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기하학적 형상 중 하나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오존 발생기 유닛.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202) 및 상기 배출구(110)는 상기 하우징(102) 상에 반경 방향으로 또는 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오존 발생기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202) 및 상기 배출구(110)는 상기 하우징(102) 상에 중심으로 또는 주변으로 배열되는, 오존 발생기 유닛.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202)는 상기 하우징(102)의 중심 영역 내에 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배출구(110)는 상기 하우징(102) 내에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오존 발생기 유닛.
  15. -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302, 304, 306);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302, 304, 306) 각각의 유입구(202)에 부착된 제1 브래킷(310);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의 배출구(110)에 부착된 제2 브래킷(312);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회로(320, 322, 324); 및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 각각의 외부 표면 앞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팬(340, 342, 344);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은,
    - 하우징(102);
    - 상기 하우징 내에 있고 메인 챔버로 연장되는 유입구(202) 및 배출구(110);
    - 제1 반부(104)의 내부 표면(240)과 접촉하는 제1 리세스(204) 내에 배열된 제1 유전체 디스크(210);
    - 제2 반부(106)의 내부 표면(242)과 접촉하는 제2 리세스(206) 내에 배열된 제2 유전체 디스크(214); 및
    - 메인 챔버(208) 내에 및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 사이에 배열된, 가스 통로(220)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극(218);
    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 제1 리세스(204)를 구비하는 제1 반부(104); 및
    - 제2 리세스(206)를 구비하는 제2 반부(106);
    -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반부는 상기 제1 및 제2 리세스가 상기 하우징 내에 메인 챔버(208)를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2 반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제1 유전체 디스크는 가스 통로(212)를 구비하며,
    상기 고전압 전극은 상기 고전압 전극의 양측 상에 제1 가스 챔버(250) 및 제2 가스 챔버(252)를 구성하도록 제1 스페이서(230) 및 제2 스페이서(232)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 디스크들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고전압 전극의 상기 가스 통로 및 상기 제1 유전체 디스크의 상기 가스 통로는 상기 제1 및 제2 가스 챔버들을 유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발생기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존 발생기 유닛(302, 304, 306) 각각의 외부 표면은 복수의 냉각 핀들(350, 352, 354)을 포함하는, 오존 발생기 시스템.
KR1020197006504A 2016-08-05 2017-07-28 오존 발생기 유닛 및 시스템 KR102472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630183-0 2016-08-05
SE1630183A SE540004C2 (en) 2016-08-05 2016-08-05 OZONE GENERATOR UNIT AND SYSTEM
PCT/IB2017/054595 WO2018025133A1 (en) 2016-08-05 2017-07-28 Ozone generator unit an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836A true KR20190046836A (ko) 2019-05-07
KR102472927B1 KR102472927B1 (ko) 2022-12-01

Family

ID=5985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504A KR102472927B1 (ko) 2016-08-05 2017-07-28 오존 발생기 유닛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336612B2 (ko)
EP (2) EP3862315A3 (ko)
JP (1) JP2019527671A (ko)
KR (1) KR102472927B1 (ko)
CN (1) CN109715553A (ko)
AU (1) AU2017307365B2 (ko)
CA (1) CA3032782A1 (ko)
ES (1) ES2878028T3 (ko)
RU (1) RU2741394C2 (ko)
SE (1) SE540004C2 (ko)
WO (1) WO2018025133A1 (ko)
ZA (1) ZA2019012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80586B1 (en) 2019-02-25 2021-09-22 Water Aps An ozone generator for generating ozone, a method for generating ozone from an oxygen rich gas and use of the generator.
WO2020173865A1 (en) * 2019-02-25 2020-09-03 Primozone Production Ab A low frequency ozone generator
CN112374468A (zh) * 2021-01-06 2021-02-19 浙江金大万翔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板式空气源臭氧发生器
SE545161C2 (en) * 2021-09-28 2023-04-25 Arrow Lake Ab Plate-type ozone generator and system for generating ozon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608A (ja) * 1994-05-16 1995-11-28 Shunan Chiiki Jiba Sangyo Shinko Center オゾン発生装置
JP2000219503A (ja) * 1999-01-29 2000-08-08 Toshiba Corp 沿面放電オゾン発生装置
US20010046459A1 (en) * 1999-09-21 2001-11-29 St. Onge Benedict B. High efficiency ozone generator
WO2002020398A1 (en) * 2000-09-06 2002-03-14 Ozonator Limited Electrode unit for use in ozone generator and ozone generator
JP2004503457A (ja) * 2000-06-15 2004-02-05 オゾネイター・プロダクション・アクチボラグ モジュール式オゾン発生器システム
JP2005035855A (ja) * 2003-07-18 2005-02-10 High Serve:Kk オゾン発生方法および装置
JP2005247647A (ja) * 2004-03-05 2005-09-15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オゾン化ガスの分解を抑制したオゾン発生装置
JP2009102177A (ja) * 2007-10-19 2009-05-14 Metawater Co Ltd オゾン発生電極及びオゾン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9971A (en) 1976-02-19 1979-07-03 Arthur Gneupel Ozone generator
JPS55162408A (en) 1979-06-01 1980-12-17 Mitsubishi Electric Corp Ozonizer
US4504446A (en) 1981-11-25 1985-03-12 Opt Systems Ozone generator
JPS61151003A (ja) 1984-12-24 1986-07-09 Fuji Electric Co Ltd オゾン発生管の製造方法
JP2983153B2 (ja) * 1994-04-28 1999-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オゾン発生装置
US5529760A (en) * 1994-12-13 1996-06-25 Burris; William A. Ozone generator
SE9502339D0 (sv) 1995-06-28 1995-06-28 Jan Arlemark Anordning för generering av ozon i gasfas
US5525310A (en) * 1995-08-02 1996-06-11 Decker; R. Scott Continuous corona discharge ozone generation device
SE514694C2 (sv) * 1999-03-05 2001-04-02 Ozonator Ltd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generering av ozon där tryckförändringar utjämnas
RU15472U1 (ru) * 2000-06-08 2000-10-20 АОЗТ Медицинские и экологические приборы Озонатор
JP3513134B2 (ja) * 2001-11-22 2004-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オゾン発生器
CN100335404C (zh) * 2005-09-20 2007-09-05 江苏大学 一种发生臭氧的放电管元件
US20070154365A1 (en) * 2005-11-29 2007-07-05 Sumitomo Precision Products Co., Ltd. Discharge cell for ozonizer
CN101112972A (zh) * 2006-07-28 2008-01-30 刘辉堂 臭氧发生器
US9067788B1 (en) * 2012-11-01 2015-06-30 Rick B. Spielman Apparatus for highly efficient cold-plasma ozone productio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608A (ja) * 1994-05-16 1995-11-28 Shunan Chiiki Jiba Sangyo Shinko Center オゾン発生装置
JP2000219503A (ja) * 1999-01-29 2000-08-08 Toshiba Corp 沿面放電オゾン発生装置
US20010046459A1 (en) * 1999-09-21 2001-11-29 St. Onge Benedict B. High efficiency ozone generator
JP2004503457A (ja) * 2000-06-15 2004-02-05 オゾネイター・プロダクション・アクチボラグ モジュール式オゾン発生器システム
WO2002020398A1 (en) * 2000-09-06 2002-03-14 Ozonator Limited Electrode unit for use in ozone generator and ozone generator
JP2005035855A (ja) * 2003-07-18 2005-02-10 High Serve:Kk オゾン発生方法および装置
JP2005247647A (ja) * 2004-03-05 2005-09-15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オゾン化ガスの分解を抑制したオゾン発生装置
JP2009102177A (ja) * 2007-10-19 2009-05-14 Metawater Co Ltd オゾン発生電極及びオゾン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62315A3 (en) 2021-08-25
SE540004C2 (en) 2018-02-20
RU2019105790A3 (ko) 2020-09-07
US20190071310A1 (en) 2019-03-07
EP3494084B1 (en) 2021-06-09
CN109715553A (zh) 2019-05-03
CA3032782A1 (en) 2018-02-08
EP3862315A2 (en) 2021-08-11
JP2019527671A (ja) 2019-10-03
AU2017307365A1 (en) 2019-03-21
ZA201901280B (en) 2020-10-28
EP3494084A1 (en) 2019-06-12
SE1630183A1 (en) 2018-02-06
US10336612B2 (en) 2019-07-02
RU2019105790A (ru) 2020-09-07
AU2017307365B2 (en) 2021-11-18
ES2878028T3 (es) 2021-11-18
KR102472927B1 (ko) 2022-12-01
RU2741394C2 (ru) 2021-01-25
WO2018025133A1 (en)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6612B2 (en) Ozone generator unit and system
US5211919A (en) Flat plate corona cell for generating ozone
CA2763643C (en) Ozone generating apparatus
HU228019B1 (en) Ozone generating device
US202200097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ozone
KR101582315B1 (ko) 오존 발생기
JP2000252098A (ja) 非平衡プラズマ発生装置
JPH07187609A (ja) オゾン発生装置
JP5981323B2 (ja) オゾン発生装置
CN113646260A (zh) 臭氧产生装置以及臭氧产生装置机组
JP2006143522A (ja) オゾン発生器
RU223959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озона
JPH0781904A (ja) 多重円筒型オゾン発生装置
WO2023052986A1 (en) Plate-type ozone generator and system for generating ozone
RU2152351C1 (ru) Генератор озона
SE2330116A1 (en) Plate-type ozone generator and system for generating ozone
RU154043U1 (ru) Генератор озона с применением импульсного скользящего разряда
RU2089488C1 (ru) Генератор озона
KR20030021664A (ko) 고농도 오존 발생장치
KR100480130B1 (ko) 전기가스압축기
CN115151012A (zh) 一种等离子发生器
US20050214183A1 (en) Heat sink and ozone generator arrangement
JPH08133704A (ja) プレ−ト型オゾン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