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837A - 유기 규소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경화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기 규소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경화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837A
KR20190045837A KR1020180121887A KR20180121887A KR20190045837A KR 20190045837 A KR20190045837 A KR 20190045837A KR 1020180121887 A KR1020180121887 A KR 1020180121887A KR 20180121887 A KR20180121887 A KR 20180121887A KR 20190045837 A KR20190045837 A KR 20190045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unsubstituted
carbon atoms
substituted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7307B1 (ko
Inventor
테츠로 야마다
무네나오 히로카미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5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7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7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6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485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7Polyethers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879Polyethers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5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nitrogen-containing seque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ether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과제)
고주파 기판 재료의 수지 개질제 등으로서 유효한 유기 규소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평균 구조식(1)으로 표시되는 유기 규소 화합물.
Figure pat00028

(X는 폴리페닐렌에터 구조를 가지는 n가 유기기를,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중합성 반응기를 함유하는 1가 탄화수소기를, A1은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2가의 연결기를, A2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20의 2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m은 1~3의 수, p는 1~10의 수, q는 1~10의 수, n=p+q, n은 2~20의 수이다.)

Description

유기 규소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경화성 조성물{ORGANOSILANE COMPOUND, MAKING METHOD THEREOF AND CURABLE COMPOSITION}
본 발명은 유기 규소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서술하면 분자 중에 폴리페닐렌에터 구조와 가수분해성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유기 규소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및 당해 유기 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실레인커플링제는 무기물에 대한 반응성을 가지는 부분(Si 원자에 결합한 가수분해성기)과, 유기물에 대한 반응성이나 용해성이 풍부한 부분을 1분자 내에 겸비하는 화합물이며, 무기물과 유기물의 계면의 접착 조제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복합 수지 개질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 폴리페닐렌에터 화합물은 고내열성이고 또한 유전율이나 유전정접과 같은 유전 특성이 우수하며, 특히 MHz대로부터 GHz대의 고주파수대(고주파 영역)에 있어서의 유전 특성, 즉 고주파 특성이 우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폴리페닐렌에터 화합물의 적용예로서 최근 고주파용 성형 재료로서의 이용이 적합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구체적인 용도로서는 고주파 영역의 전기 신호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에 구비되는 프린트 배선판의 기재(구리장 적층판)를 들 수 있고, 기판 재료를 구성하기 위한 하나의 성분으로서의 사용이 검토되고 있다.
고주파 영역에 대응 가능한 프린트 배선판의 기재(구리장 적층판)의 대표적인 조성으로서는 에폭시 수지와 사이아네이트에스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에 폴리페닐렌에터 화합물을 혼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주파 특성의 추가적인 향상이 요구되고 있어, (메타)아크릴기나 알케닐기 등의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폴리페닐렌에터 화합물을 주제로서 사용하고, 트라이알릴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와 같은 복수의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가교제로서 사용하여, 과산화물 등에 의한 열경화를 행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한 용도에 있어서는 고주파 영역의 전기 신호가 배선 회로에서 감쇠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전송 특성이 양호한 전자 회로 기판이 필수가 된다.
전송 특성이 좋은 전자 회로 기판을 얻기 위해서는 폴리페닐렌에터 화합물과 같이 유전정접이 작은 절연 수지 재료를 사용함과 동시에, 도체(구리박 등의 금속 배선)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저조도화, 저두께화에 의해 표피 저항을 작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종래의 구리장 적층판에서는 구리박 표면에 요철을 마련하여, 앵커 효과를 발현시킴으로써 수지 재료와 구리박과의 밀착성을 확보하고 있었기 때문에, 상기한 고주파 기판 재료와 같이 전송 특성을 얻기 위해서 구리박 표면을 평활하게 하면, 앵커 효과가 약해져 수지 재료와 구리박과의 밀착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밀착성 향상을 위해서 일반적인 실레인커플링제의 사용도 검토되고 있는데, 현 상황에서는 그 밀착성을 충분히 만족하고 있지 않다.
또 특허문헌 1에서는 이관능성 페닐렌에터 수지와 알콕시실레인 부분 축합물을 탈알코올 축합 반응시켜 얻어지는 알콕시실릴기 함유 실레인 변성 페닐렌에터 수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화합물에서는 그 제법상 가장 반응성이 높고 밀착성 향상에 기여하는 알콕시실릴기가 탈알코올 축합 반응으로 소비되어버리기 때문에, 수지 재료와 구리박과의 밀착성은 불충분했다.
일본 특개 2005-33032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주파 기판 재료의 수지 개질제 등으로서 유효한 유기 규소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및 당해 유기 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분자 중에 폴리페닐렌에터 구조와 가수분해성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소정의 유기 규소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찾아냄과 아울러, 이 유기 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양호한 구리박 밀착성 및 유전율이나 유전정접과 같은 유전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경화물을 부여하기 때문에, 고주파 기판 재료를 형성하는 경화성 조성물로서 적합한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1. 평균 구조식(1)으로 표시되는 유기 규소 화합물,
Figure pat00001
(식 중, X는 폴리페닐렌에터 구조를 가지는 n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중합성 반응기를 함유하는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A1은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A2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20의 2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m은 1~3의 수이며, p는 1~10의 수이며, q는 1~10의 수이며, n=p+q이며, n은 2~20의 수이다.)
2. 평균 구조식(2)으로 표시되는 1의 유기 규소 화합물,
Figure pat00002
{식 중, R1, R2, R7, A1, A2 및 m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콕시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티오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콕시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티오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내고, b는 서로 독립적으로 1~100의 수이며, c는 0보다 크고 2 미만의 수이며, Z는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식 중, R4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L은 단결합, 또는 하기 식(4)~(11)으로부터 선택되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식 중,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는 1~12의 정수를 나타내고, j는 1~1,000의 수를 나타낸다.)〕}
3. 상기 A1-A2가 단결합, 식(12)으로 표시되는 연결기 또는 식(13)으로 표시되는 연결기인 1 또는 2의 유기 규소 화합물,
Figure pat00005
(식 중, a는 서로 독립적으로 1~20의 수이며, Y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이며, *는 X 또는 페닐렌기와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4. 상기 R7의 중합성 반응기가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스타이릴기, 바이닐기 또는 에폭시기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유기 규소 화합물,
5. 상기 R7의 중합성 반응기가 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릴로일옥시기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유기 규소 화합물,
6. 평균 구조식(14)
Figure pat00006
(식 중, R3, R4, b 및 Z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페닐렌에터 화합물과, 상기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화합물과, 식(15)
Figure pat00007
(식 중, R1, R2, A2 및 m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및 알콕시실릴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유기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7. 상기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식(16)
Figure pat00008
(식 중, R7 및 A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화합물인 6의 유기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8.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유기 규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
9. 8의 경화성 조성물이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물품
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 규소 화합물은 분자 중에 폴리페닐렌에터 구조와 고반응성의 가수분해성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고 있으며, 종래의 실레인커플링제에 비해 구리박 밀착성 및 유전율이나 유전정접과 같은 유전 특성이 우수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유기 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화성 조성물, 특히 고주파 기판 재료를 형성하는 경화성 조성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규소 화합물은 평균 구조식(1)으로 표시된다.
Figure pat00009
여기서 X는 폴리페닐렌에터 구조를 포함하는 n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중합성 반응기를 함유하는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A1은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A2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20의 2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m은 1~3의 수이며, p는 1~10의 수이며, q는 1~10의 수이며, n=p+q이며, n은 2~20의 수이다.
R1 및 R2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로서는 직쇄상, 환상, 분기상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그 구체예로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뷰틸, s-뷰틸, t-뷰틸, n-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n-노닐, n-데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상 알킬기;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뷰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옥틸기 등의 사이클로알킬기를 들 수 있다.
R1 및 R2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의 구체예로서는 페닐, α-나프틸, β-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각 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는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F, Cl, Br 등의 할로겐 원자, 사이아노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러한 기의 구체예로서는 3-클로로프로필, 3,3,3-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 2-사이아노에틸, 톨릴, 자일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R1으로서는 가수분해성의 관점에서 탄소 원자수 1~5의 직쇄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메틸, 에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메틸기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한편, R2로서는 직쇄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메틸, 에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메틸기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m은 1~3의 정수이며, 반응성의 관점에서 2~3이 바람직하고, 3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A1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2가의 연결기의 구체예로서는 에터 결합(-O-), 티오에터 결합(-S-), 아미노 결합(-NH-), 설포닐 결합(-S(=O)2-), 포스피닐 결합(-P(=O)OH-), 옥소 결합(-C(=O)-), 티오옥소 결합(-C(=S)-), 에스터 결합(-C(=O)O-), 티오에스터 결합(-C(=O)S-), 티오노에스터 결합(-C(=S)O-), 다이티오에스터 결합(-C(=S)S-), 탄산에스터 결합(-OC(=O)O-), 티오탄산에스터 결합(-OC(=S)O-), 아마이드 결합(-C(=O)NH-), 티오아마이드 결합(-C(=S)NH-), 유레테인 결합(-OC(=O)NH-), 티오유레테인 결합(-SC(=O)NH-), 티오노유레테인 결합(-OC(=S)NH-), 다이티오유레테인 결합(-SC(=S)NH-), 요소 결합(-NHC(=O)NH-), 티오요소 결합(-NHC(=S)NH-)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A1으로서는 단결합, 에터 결합(-O-), 또는 유레테인 결합(-OC(=O)NH-)이 바람직하다.
한편, A2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20의 2가 탄화수소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렌, 에틸렌, 트라이메틸렌, 프로필렌, 아이소프로필렌, 테트라메틸렌, 아이소뷰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옥타메틸렌, 노나메틸렌, 데카메틸렌, 운데카메틸렌, 도데카메틸렌, 트라이데카메틸렌, 테트라데카메틸렌, 펜타데카메틸렌, 헥사데카메틸렌, 헵타데카메틸렌, 옥타데카메틸렌, 노나데카메틸렌, 에이코사데실렌기 등의 알킬렌기; 사이클로펜틸렌, 사이클로헥실렌기 등의 사이클로알킬렌기; 페닐렌, α-, β-나프틸렌기 등의 아릴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단결합, 메틸렌, 에틸렌, 트라이메틸렌, 옥타메틸렌기가 바람직하고, 단결합, 메틸렌, 에틸렌, 트라이메틸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에틸렌, 트라이메틸렌기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상기 R7의 중합성 반응기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스타이릴기, 바이닐기, 탄소 원자수 3 이상의 알케닐기, 에폭시기, 말레이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스타이릴기, 바이닐기, 에폭시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1)에 있어서의 X는 폴리페닐렌에터 구조를 포함하는 n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그 안에 직쇄상 구조, 분기상 구조, 또는 가교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1분자당의 n의 평균은 2~20인데, 2~10이 바람직하고, 2~5가 보다 바람직하며, 2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n이 2미만이면 가수분해성기 및 중합성 반응기가 부족한 것에 의해 반응성에 떨어진다. 한편, n이 20을 넘으면 반응점이 지나치게 많아지기 때문에 화합물의 보존 안정성이 악화되거나 경화물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하는 일이 있다.
식(1)에 있어서의 p는 R7의 중합성 반응기를 함유하는 1가 탄화수소기의 수를 나타내고, q는 가수분해성기의 수를 나타내며, n=p+q이다.
1분자당의 p의 평균은 1~10인데, 1~5가 바람직하고, 1~2가 보다 바람직하며, 1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p가 1 미만이면 중합성 반응기가 부족한 것에 의해 반응성이 떨어진다. 한편, p가 10을 넘으면 반응점이 지나치게 많아지기 때문에 화합물의 보존 안정성이 악화하거나 경화물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하는 일이 있다.
또 1분자당의 q의 평균은 1~10인데, 1~5가 바람직하고, 1~2가 보다 바람직하며, 1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q가 1 미만이면 가수분해성기가 부족한 것에 의해 반응성이 떨어진다. 한편, q가 10을 넘으면 반응점이 지나치게 많아지기 때문에 화합물의 보존 안정성이 악화하거나 경화물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하는 일이 있다.
상기 X로서는 폴리페닐렌에터 구조를 포함하는 n가의 연결기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리박 밀착성 및 유전 특성을 높이는 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서는 특히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기가 적합하다.
Figure pat00010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는 평균 구조식이 식(2)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양호한 구리박 밀착성 및 유전 특성이 발휘된다.
Figure pat00011
이들 식 중, R1, R2, R7, A1, A2 및 m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콕시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티오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콕시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티오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내고, b는 서로 독립적으로 1~100의 수이며, c는 0보다 크고 2 미만의 수이며, Z는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2
상기 R4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L은 단결합, 또는 하기 식(4)~(11)으로부터 선택되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3
상기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k는 1~12의 정수를 나타내고, j는 1~1,000의 수를 나타낸다.
R3 및 R4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로서는 직쇄상, 환상, 분기상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그 구체예로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뷰틸, s-뷰틸, t-뷰틸, n-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n-노닐, n-데실, n-운데실, n-도데실 등의 직쇄 또는 분기상 알킬기;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뷰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옥틸기 등의 사이클로알킬기를 들 수 있다.
R3 및 R4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콕시기로서는 직쇄상, 환상, 분기상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그 구체예로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i-프로폭시, n-뷰톡시, s-뷰톡시, t-뷰톡시, n-펜틸옥시, n-헥실옥시, n-헵틸옥시, n-옥틸옥시, n-노닐옥시, n-데실옥시, n-운데실옥시, n-도데실옥시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상 알콕시기; 사이클로펜틸옥시, 사이클로헥실옥시, 사이클로헵틸옥시, 사이클로옥틸옥시기 등의 사이클로알킬옥시기를 들 수 있다.
또 이들 각 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는 F, Cl, Br 등의 할로겐 원자, 머캅토기, 사이아노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러한 기의 구체예로서는 3-클로로프로필, 3,3,3-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 3-머캅토프로필, 2-사이아노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3 및 R4의 할로겐 원자로서는 F, Cl, Br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R3로서는 제조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메틸기, 메톡시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R4로서는 수소 원자, 메틸기, 메톡시기가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b는 서로 독립적으로 1~100의 수인데, 유기 규소 화합물의 구리박 밀착성 및 유전 특성의 관점에서 3~50이 바람직하고, 5~20이 보다 바람직하다. b가 1보다 작은 경우에는 양호한 구리박 밀착성 및 유전 특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b가 100보다 큰 경우에는 유기 규소 화합물의 유기 수지로의 상용성이 악화하는 일이 있다.
c는 0보다 크고 2 미만의 수인데, 유기 규소 화합물의 구리박 밀착성의 관점에서 0.1~1.9가 바람직하고, 0.5~1.5가 보다 바람직하며, 0.7~1.3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c가 0인 경우에는 중합성 반응기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유기 수지와 반응하지 않고, 양호한 구리박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c가 2인 경우에는 가수분해성기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구리박과 반응하지 않고, 양호한 구리박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A1-A2-기로서는 단결합, 식(12) 또는 식(13)으로 표시되는 기가 적합하며, 식(12)으로 표시되는 기가 특히 적합하다.
Figure pat00014
상기 a는 서로 독립적으로 1~20의 수를 나타내고, Y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는 식(1)의 X 또는 식(2)의 페닐렌기와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a는 서로 독립적으로 1~20의 수인데, 제조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1~10이 바람직하고, 1~5가 보다 바람직하다.
Y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인데, 제조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산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 규소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당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점도 등을 적절한 범위로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얻어지는 경화물에 충분한 구리박 밀착성 및 유전 특성을 부여하는 것을 고려하면, 중량 평균 분자량 500~5만이 바람직하고, 1,000~2만이 보다 바람직하며, 4,000~1만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폴리스타이렌 환산값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규소 화합물은 용제를 포함한 상태에서 사용해도 된다.
용제로서는 식(1)으로 표시되는 유기 규소 화합물의 용해능을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용해성 및 휘발성 등의 관점에서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계 용제;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에터계 용제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톨루엔, 자일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제의 첨가량은 식(1)으로 표시되는 유기 규소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20,00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200~10,00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식(1)으로 표시되는 유기 규소 화합물은 1분자 중에 복수의 수산기 및 폴리페닐렌에터 구조를 포함하는 기를 가지는 화합물과, 상기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화합물과,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및 알콕시실릴기를 가지는 화합물(이하, 아이소사이아네이트실레인이라고 함)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균 구조식(14)으로 표시되는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페닐렌에터 화합물의 수산기와, 상기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평균 구조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수산기가 남도록 하는 양으로 반응시키고, 이어서 잉여의 상기 수산기와, 식(15)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실레인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와의 사이에서 유레테인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을 행한다.
Figure pat00015
(식 중, R3, R4, b 및 Z는 상기와 동일하다.)
Figure pat00016
(식 중, R1, R2, A2 및 m은 상기와 동일하다.)
식(14)으로 표시되는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페닐렌에터 화합물로서는 시판품으로서 입수 가능하며, 그러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주)SABIC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제 PPO(상표) SA90-100, PPO(상표) 레진 파우더, noryl(상표) 640-111이나, 그들의 분배 재배열 처리에 의해 분배 재배열된 폴리페닐렌에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식(15)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실레인의 구체예로서는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다이메틸메톡시실레인,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메틸다이에톡시실레인,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다이메틸에톡시실레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가수분해성의 관점에서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이 바람직하고,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가지는 상기 관능기로서는 수산기와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관능기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카복실산, 카복실산에스터, 카복실산 무수물, 카복실산 할로겐화물, 할로겐 원자(염소 원자, 브로민 원자, 아이오딘 원자), 메테인설포네이트기, 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네이트기, p-톨루엔설포네이트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아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는데, 카복실산 할로겐화물, 할로겐 원자,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아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기가 바람직하고,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구체예로서는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뷰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 무수물, 메타크릴로일클로라이드 등의 메타크릴기 함유 화합물; 아크릴산,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뷰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 무수물, 아크릴로일클로라이드 등의 아크릴기 함유 화합물; p-클로로메틸스타이렌, m-클로로메틸스타이렌 등의 스타이릴기 함유 화합물; 염화알릴, 염화메탈릴, 염화뷰테닐, 염화펜테닐, 염화헥세닐, 염화헵테닐, 염화옥테닐, 염화노네닐 등의 염화알케닐 화합물; 브로민화알릴, 브로민화메탈릴, 브로민화뷰테닐, 브로민화펜테닐, 브로민화헥세닐, 브로민화헵테닐, 브로민화옥테닐, 브로민화노네닐 등의 브로민화알케닐 화합물; 아이오딘화알릴, 아이오딘화메탈릴, 아이오딘화뷰테닐, 아이오딘화펜테닐, 아이오딘화헥세닐, 아이오딘화헵테닐, 아이오딘화옥테닐, 아이오딘화노네닐 등의 아이오딘화알케닐 화합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등의 할로겐화알킬 및 에폭시기 함유 화합물; 하기 식(16)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화합물; 알릴아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 등의 아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17
(식 중, R7 및 A2는 상기와 동일하다.)
식(16)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아크릴레이트,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알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반응성 및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메타크릴로일클로라이드, 아크릴로일클로라이드, p-클로로메틸스타이렌, m-클로로메틸스타이렌, 염화알릴, 염화옥테닐, 브로민화알릴, 에피클로로하이드린,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아크릴레이트,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알릴아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가 바람직하고,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아크릴레이트,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알릴아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며,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아크릴레이트,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평균 구조식(14)으로 표시되는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페닐렌에터 화합물의 수산기와, 상기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화합물과의 반응은 종래 공지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 메타크릴로일클로라이드 등의 카복실산할로겐화물과 탈염 반응하여 중합성 반응기를 도입하는 방법;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 p-클로로메틸스타이렌, 브로민화알릴,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등의 할로겐화 화합물과의 구핵 치환 반응에 의한 비대칭 에터의 합성법(윌리엄슨 합성, 윌리엄슨 에터 합성);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메타크릴라토, 알릴아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 등의 아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기 함유 화합물과의 (티오)유레테인화 반응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특히 윌리엄슨 합성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통상 윌리엄슨 합성법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수산기 이외와는 반응하지 않는 것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소듐, 금속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 금속 칼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수소화소듐, 수소화리튬, 수소화포타슘, 수소화세슘 등의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 수소화칼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수소화물; 수산화리튬, 수산화소듐, 수산화포타슘, 수산화세슘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및 그 수용액, 수산화바륨,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수산화물 및 그 수용액; 포타슘터셔리뷰톡사이드, 소듐터셔리뷰톡사이드 등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류 알콕사이드; 탄산포타슘, 탄산소듐, 탄산칼슘 등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류 금속 탄산염; 탄산수소소듐, 탄산수소포타슘 등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류 탄산수소염; 트라이에틸아민, 트라이뷰틸아민,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테트라메틸에틸렌다이아민, 피리딘, N,N-다이메틸-4-아미노피리딘 등의 3급 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반응 효율의 관점에서 수산화리튬, 수산화소듐, 수산화포타슘, 수산화세슘, 수산화바륨,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류 금속의 수산화물 또는 이들의 수용액이 바람직하고, 수산화소듐의 수용액이 보다 바람직하다.
염기성 화합물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터화 반응을 충분히 진행시켜 할로겐화 화합물의 잔존을 방지함과 아울러, 염기성 화합물의 과잉한 잔존을 방지하여 얻어지는 유기 규소 화합물의 보존 안정성이나 제특성을 높이는 것을 고려하면, 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수산기 1mol에 대하여 염기성 화합물은 0.5~20mol이 바람직하고, 1~10mol이 보다 바람직하며, 2~8mol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상기 에터화 반응에서는 사용하는 원료와 반응하지 않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체예로서는 물; 펜테인, 헥세인, 헵테인, 옥테인, 데케인, 사이클로헥세인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계 용매; 폼아마이드,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피롤리돈,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마이드계 용매; 다이에틸에터, 다이뷰틸에터, 사이클로펜틸메틸에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4-다이옥세인 등의 에터계 용매; 아세토나이트릴 등의 나이트릴계 용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반응 효율의 관점에서 물, 톨루엔, 자일렌, 다이메틸폼아마이드, 사이클로펜틸메틸에터,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이 바람직하고, 물과 톨루엔 혼합 용매, 물과 자일렌의 혼합 용매가 보다 바람직하다.
에터화 반응시의 반응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반응 속도를 적절하게 하면서 할로겐화 화합물의 휘산을 억제하는 것을 고려하면 25~90℃가 바람직하고, 40~80℃가 바람직하며, 50~70℃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에터화 반응은 통상 대기압하에서 행하는데, 상기 원료의 휘산 억제, 반응 속도 향상 등의 목적에서 가압하에서 행해도 된다.
반응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10분~24시간이다.
또한 상기 에터화 반응에서는 반응 속도 향상을 위해 촉매를 사용해도 된다.
촉매로서는 일반적으로 윌리엄슨 합성법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수산기 이외와는 반응하지 않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그 구체예로서는 12-크라운-4, 15-크라운-5, 18-크라운-6, 다이벤조-18-크라운-6 등의 크라운에터; 테트라뷰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뷰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뷰틸암모늄아이오다이드, 테트라뷰틸암모늄황산수소염 등의 4급 암모늄염; 아이오딘화포타슘, 아이오딘화소듐 등의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반응성 및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18-크라운-6, 테트라뷰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뷰틸암모늄아이오다이드, 테트라뷰틸암모늄황산수소염, 아이오딘화포타슘이 바람직하고, 테트라뷰틸암모늄아이오다이드, 테트라뷰틸암모늄황산수소염, 아이오딘화포타슘이 보다 바람직하고, 테트라뷰틸암모늄황산수소염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는 상간 이동 촉매로서 작용, 또는 할로겐화 화합물을 활성화하고, 반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촉매의 사용량은 촉매량이면 되는데, 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할로겐화 화합물의 합계에 대하여 0.001~10질량%가 바람직하고, 0.01~1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할로겐화 화합물과의 반응 비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수산기가 남도록 하는 양으로 반응시키고, 이어서 잉여의 상기 수산기와, 식(15)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실레인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와의 사이에서 유레테인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을 행하는 것을 고려하면, 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수산기 1mol에 대하여 할로겐화 화합물의 할로겐 원자가 0.1~0.9mol이 되는 비율이 바람직하고, 0.2~0.8mol이 되는 비율이 보다 바람직하며, 0.3~0.7mol이 되는 비율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수산기와 아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기 함유 화합물과의 (티오)유레테인화 반응을 행하는 경우, 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기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 비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수산기가 남도록 하는 양으로 반응시키고, 이어서 잉여의 상기 수산기와, 식(15)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실레인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와의 사이에서 유레테인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을 행하는 것을 고려하면, 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수산기 1mol에 대하여 아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기 함유 화합물의 아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기가 0.1~0.9mol이 되는 비율이 바람직하고, 0.2~0.8mol이 되는 비율이 보다 바람직하며, 0.3~0.7mol이 되는 비율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티오)유레테인화 반응에는 반응 속도 향상을 위해 촉매를 사용해도 된다.
촉매로서는 일반적으로 (티오)유레테인화 반응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그 구체예로서는 다이뷰틸주석옥사이드, 다이옥틸주석옥사이드, 주석(II)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다이뷰틸주석다이라우레이트, 다이옥틸주석다이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촉매의 사용량은 촉매량이면 되는데, 통상 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기 함유 화합물의 합계에 대하여 0.001~1질량%이다.
또한 상기 (티오)유레테인화 반응에는 사용하는 원료와 반응하지 않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체예로서는 펜테인, 헥세인, 헵테인, 옥테인, 데케인, 사이클로헥세인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폼아마이드,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피롤리돈,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마이드계 용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뷰틸, γ-뷰티로락톤, 프로필렌글라이콜-1-모노메틸에터-2-아세타토 등의 에스터계 용매; 다이에틸에터, 다이뷰틸에터, 사이클로펜틸메틸에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4-다이옥세인 등의 에터계 용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티오)유레테인화 반응시의 반응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반응 속도를 적절하게 하면서 알로파네이트화 등의 부반응을 억제하는 것을 고려하면, 25~90℃가 바람직하고, 40~8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10분~24시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공정에 기초하여 식(14)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수산기가 남도록 중합성 반응기를 도입한 후, 잉여의 상기 수산기와, 식(15)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실레인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와의 사이에서 유레테인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을 행한다.
잉여의 상기 수산기와, 식(15)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실레인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와의 사이에서 유레테인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에 있어서는 상기 (티오)유레테인화 반응시의 촉매, 용매, 반응 온도, 반응 시간 등의 반응 조건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잉여의 상기 수산기와, 식(15)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실레인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와의 반응 비율은 유레테인화 반응시의 부생물을 억제함과 아울러, 얻어지는 유기 규소 화합물의 보존 안정성이나 특성을 높이는 것을 고려하면, 잉여의 상기 수산기 1mol에 대하여 식(15)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실레인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가 1~1.2mol이 되는 비율이 바람직하고, 1~1.1mol이 되는 비율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식(1)으로 표시되는 유기 규소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1)으로 표시되는 유기 규소 화합물은 당해 유기 규소 화합물의 구조에 유래하며, 종래의 유기 규소 화합물에 비해 이것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경화물의 구리박 밀착성 및 유전 특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유기 규소 화합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경화성 조성물 중에 0.1~10질량%정도가 바람직하고, 0.5~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규소 화합물이 용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함유량은 용제를 제외한 불휘발분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유기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구체예로서는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카보네이트류 및 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뷰타다이엔, 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 공중합체,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 공중합체, 폴리염화바이닐 수지, 폴리스타이렌 수지, 폴리페닐렌에터 수지, 중합성 반응기 함유 폴리페닐렌에터 수지, 폴리스타이렌과 폴리페닐렌에터와의 블렌드, 셀룰로스아세테이트뷰틸레이트, 폴리에틸렌 수지 등으로부터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되는데, 고주파 영역의 전기 신호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에 구비되는 프린트 배선판의 기판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에폭시 수지, 폴리페닐렌에터 수지, 중합성 반응기 함유 폴리페닐렌에터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뷰타다이엔, 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블렌드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하는 유기 수지에 따라 적절한 경화제를 배합해도 되고,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미다졸 화합물 등의 경화제나, 중합성 반응기 함유 폴리페닐렌에터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과산화물 등의 경화제를 배합할 수 있다.
또 가교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사이아네이트에스터 화합물 등을 적절히 배합해도 되고, 또한 사용 목적에 따라 접착성 개량제, 자외선 흡수제, 보존 안정성 개량제, 가소제, 충전제, 안료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 있어서 점도는 B형 회전 점도계에 의한 25℃에 있어서의 측정값이며, 분자량은 GPC(겔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프) 측정에 의해 구한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며, 불휘발분은 알루미늄 샤알레 상에서 105℃, 3시간 가열 건조 후의 가열 잔량법에 의한 측정값이다.
[1] 유기 규소 화합물의 합성
[실시예 1-1] 유기 규소 화합물 1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200mL 세퍼러블플라스크에 PPO(상표) SA90-100((주)SABIC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제) 16g, 톨루엔 80g, 다이옥틸주석다이라우레이트 0.02g 및 3,5-다이터셔리뷰틸-4-하이드록시톨루엔 0.02g을 도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중에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 1.7g을 적하 투입하고, 이어서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2.2g을 적하 투입하고, 80℃에서 2시간 가열 교반했다. IR 측정에 의해 원료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유래의 흡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되고, 대신에 유레테인 결합 유래의 흡수 피크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갈색 투명 액체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 4,900, 점도 4.9mm2/s, 불휘발분 23질량%였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중합성 반응기가 메타크릴옥시기, 가수분해성기가 트라이메톡시실릴기, 중합성 반응기:가수분해성기=50:50(몰비)에 상당한다.
[실시예 1-2] 유기 규소 화합물 2의 합성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양을 3.0g으로,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의 양을 0.4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합성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갈색 투명 액체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 5,000, 점도 5.5mm2/s, 불휘발분 22질량%였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중합성 반응기가 메타크릴옥시기, 가수분해성기가 트라이메톡시실릴기, 중합성 반응기:가수분해성기=90:10(몰비)에 상당한다.
[실시예 1-3] 유기 규소 화합물 3의 합성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양을 0.3g으로,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의 양을 4.0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합성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갈색 투명 액체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 5,300, 점도 6.2mm2/s, 불휘발분 25질량%였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중합성 반응기가 메타크릴옥시기, 가수분해성기가 트라이메톡시실릴기, 중합성 반응기:가수분해성기=10:90(몰비)에 상당한다.
[실시예 1-4] 유기 규소 화합물 4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200mL 세퍼러블플라스크에 PPO(상표) 레진 파우더((주)SABIC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제) 40g, 톨루엔 110g, 다이옥틸주석다이라우레이트 0.05g 및 3,5-다이터셔리뷰틸-4-하이드록시톨루엔 0.05g을 도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중에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 0.2g을 적하 투입하고, 이어서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0.25g을 적하 투입하고, 80℃에서 2시간 가열 교반했다. 그 후, IR 측정에 의해 원료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유래의 흡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되고, 대신에 유레테인 결합 유래의 흡수 피크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갈색 투명 액체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 102,000, 점도 1,200mm2/s, 불휘발분 27질량%였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중합성 반응기가 메타크릴옥시기, 가수분해성기가 트라이메톡시실릴기, 중합성 반응기:가수분해성기=50:50(몰비)에 상당한다.
[실시예 1-5] 유기 규소 화합물 5의 합성
일본 특개 2015-086329호 공보의 실시예 『PPE-3』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noryl640-111((주)SABIC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제)의 분배 재배열에 의해 분배 재배열된 폴리페닐렌에터를 얻었다.
교반기,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200mL 세퍼러블플라스크에 상기에서 얻어진 분배 재배열된 폴리페닐렌에터 40g, 톨루엔 110g, 다이옥틸주석다이라우레이트 0.05g 및 3,5-다이터셔리뷰틸-4-하이드록시톨루엔 0.05g을 도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중에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 10.6g을 적하 투입하고, 이어서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13.9g을 적하 투입하고, 80℃에서 2시간 가열 교반했다. 그 후, IR 측정에 의해 원료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유래의 흡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되고, 대신에 유레테인 결합 유래의 흡수 피크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갈색 투명 액체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 6,200, 점도 49mm2/s, 불휘발분 30질량%였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중합성 반응기가 메타크릴옥시기, 가수분해성기가 트라이메톡시실릴기, 중합성 반응기:가수분해성기=50:50(몰비)에 상당한다.
[실시예 1-6] 유기 규소 화합물 6의 합성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아크릴레이트 1.5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합성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갈색 투명 액체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 4,800, 점도 4.5mm2/s, 불휘발분 22질량%였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중합성 반응기가 아크릴옥시기, 가수분해성기가 트라이메톡시실릴기, 중합성 반응기:가수분해성기=50:50(몰비)에 상당한다.
[실시예 1-7] 유기 규소 화합물 7의 합성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아이소사이아네이트 2.6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합성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갈색 투명 액체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 5,500, 점도 6.2mm2/s, 불휘발분 20질량%였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중합성 반응기가 아크릴옥시기, 가수분해성기가 트라이메톡시실릴기, 중합성 반응기:가수분해성기=67:33(몰비)에 상당한다.
[실시예 1-8] 유기 규소 화합물 8의 합성
2-아이소사이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알릴아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 1.1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합성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갈색 투명 액체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 4,500, 점도 4.1mm2/s, 불휘발분 21질량%였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중합성 반응기가 바이닐기, 가수분해성기가 트라이메톡시실릴기, 중합성 반응기:가수분해성기=50:50(몰비)에 상당한다.
[실시예 1-9] 유기 규소 화합물 9의 합성
[제1 단계]
교반기,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300mL 세퍼러블플라스크에 PPO(상표) SA90-100((주)SABIC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제) 50g, 톨루엔 130g, 테트라뷰틸암모늄황산수소염 0.54g, 3,5-다이터셔리뷰틸-4-하이드록시톨루엔 0.06g 및 30% 수산화소듐 수용액 54.1g을 도입하고, 60℃로 가열했다. 그 중에 브로민화알릴 4.1g을 적하 투입하고, 60℃에서 6시간 가열 교반했다. 그 후, 정치하여 2층 분리된 수층을 분액하고, 중성이 될 때까지 유기층을 수세하고, 또한 유기층을 감압 농축(80℃, 5mmHg)하여 휘발 성분을 제거하고, 중합성 반응기로서 바이닐기가 도입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얻었다.
[제2 단계]
교반기,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200mL 세퍼러블플라스크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얻어진 바이닐기가 도입된 화합물 16g, 톨루엔 80g, 다이옥틸주석다이라우레이트 0.02g 및 3,5-다이터셔리뷰틸-4-하이드록시톨루엔 0.02g을 도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중에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2.2g을 적하 투입하고, 80℃에서 2시간 가열 교반했다. IR 측정에 의해 원료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유래의 흡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되고, 대신에 유레테인 결합 유래의 흡수 피크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갈색 투명 액체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 4,600, 점도 2.7mm2/s, 불휘발분 23질량%였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중합성 반응기가 바이닐기, 가수분해성기가 트라이메톡시실릴기, 중합성 반응기:가수분해성기=50:50(몰비)에 상당한다.
[실시예 1-10] 유기 규소 화합물 10의 합성
브로민화알릴을 p-클로로메틸스타이렌 5.2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합성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갈색 투명 액체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 5,700, 점도 3.8mm2/s, 불휘발분 21질량%였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중합성 반응기가 스타이릴기, 가수분해성기가 트라이메톡시실릴기, 중합성 반응기:가수분해성기=50:50(몰비)에 상당한다.
[실시예 1-11] 유기 규소 화합물 11의 합성
[제1 단계]
교반기,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300mL 세퍼러블플라스크에 PPO(상표) SA90-100((주)SABIC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제) 50g, 톨루엔 130g, 3,5-다이터셔리뷰틸-4-하이드록시톨루엔 0.06g 및 트라이에틸아민 3.8g을 도입하고, 60℃로 가열했다. 그 중에 메타크릴로일클로라이드 3.5g을 적하 투입하고, 60℃에서 6시간 가열 교반했다. 그 후, 물 150g을 투입하고 반응을 정지했다. 계속해서 정치하여 2층 분리된 수층을 분액하고, 중성이 될 때까지 유기층을 수세 하고, 또한 유기층을 감압 농축(80℃, 5mmHg)하여 휘발 성분을 제거하고, 중합성 반응기로서 메타크릴옥시기가 도입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얻었다.
[제2 단계]
교반기,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200mL 세퍼러블플라스크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얻어진 메타크릴옥시기가 도입된 화합물 16g, 톨루엔 80g, 다이옥틸주석다이라우레이트 0.02g 및 3,5-다이터셔리뷰틸-4-하이드록시톨루엔 0.02g을 도입하고, 80℃로 가열했다. 그 중에 3-아이소사이아네이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2.2g을 적하 투입하고, 80℃에서 2시간 가열 교반했다. IR 측정에 의해 원료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유래의 흡수 피크가 완전히 소실되고, 대신에 유레테인 결합 유래의 흡수 피크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고 반응 종료로 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갈색 투명 액체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 5,000, 점도 3.0mm2/s, 불휘발분 20질량%였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중합성 반응기가 메타크릴옥시기, 가수분해성기가 트라이메톡시실릴기, 중합성 반응기:가수분해성기=50:50(몰비)에 상당한다.
[실시예 1-12] 유기 규소 화합물 12의 합성
브로민화알릴을 에피클로로하이드린 3.1g으로 변경하고, 제1 단계, 제2 단계에 있어서의 3,5-다이터셔리뷰틸-4-하이드록시톨루엔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합성했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갈색 투명 액체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 5,200, 점도 2.9mm2/s, 불휘발분 20질량%였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중합성 반응기가 에폭시기, 가수분해성기가 트라이메톡시실릴기, 중합성 반응기:가수분해성기=50:50(몰비)에 상당한다.
[비교예 1-1] 유기 규소 화합물 13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반응 장치에 이관능성 페닐렌에터 수지(미츠비시가스카가쿠(주)제, OPE-1000) 500g, 폴리테트라메톡시실레인(다마카가쿠(주)제, M 실리케이트 51) 447g을 도입하고, 90℃로 가열하여 융해 혼합하고 균일 용액으로 했다. 그 중에 촉매로서 다이뷰틸주석다이라우레이트 0.22g을 가하고, 90℃에서 15시간 탈메탄올 반응함으로써 대응하는 유기 규소 화합물을 얻었다.
[비교예 1-2] 유기 규소 화합물 14의 합성
교반기,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반응 장치에 이관능성 페닐렌에터 수지(미츠비시가스카가쿠(주)제, OPE-1000) 71.8g, 폴리메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다마카가쿠코교(주)제, MTMS-A) 45.3g을 도입하고, 90℃로 가열하여 융해 혼합하고 균일 용액으로 했다. 그 중에 촉매로서 다이뷰틸주석다이라우레이트 0.02g을 가하고, 90℃에서 15시간 탈메탄올 반응함으로써 대응하는 유기 규소 화합물을 얻었다.
[2] 경화성 조성물 및 그 경화 물품의 조제
경화성 조성물 및 그 경화 물품을 조제할 때 사용하는 각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PPE]
·(주)SABIC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제 PPO(상표) SA9000(중합성 반응기로서 메타크릴옥시기를 함유하는 폴리페닐렌에터 수지)
[가교제]
·가교제 1 : 신나카무라카가쿠코교(주)제 DCP(트라이사이클로데케인다이메탄올다이메타크릴레이트)
·가교제 2 : 니혼카세이(주)제 TAIC(상표)(트라이알릴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유기 수지]
·유기 수지 1 : Cray Valley제 Ricon 156(폴리뷰타다이엔)
·유기 수지 2 : Cray Valley제 Ricon 100(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공중합체)
[충전제]
·(주)아드마텍스제 SC2300-SVJ(바이닐실레인으로 표면 처리된 구형상 실리카)
[경화제]
·니치유(주)제 퍼뷰틸 P(1,3-비스(뷰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벤젠, 과산화물)
[유기 규소 화합물]
·유기 규소 화합물 : 상기 실시예 1-1~1-12, 비교예 1-1, 1-2에서 얻어진 유기 규소 화합물
[실시예 2-1]
PPE 및 톨루엔을 질량비로 1:1이 되도록 혼합한 후, 혼합 용액을 80℃에서 1시간 가열 교반하여 PPE를 톨루엔에 완전히 용해시키고, 그 후 25℃까지 냉각시킴으로써 PPE의 50질량% 톨루엔 용액을 얻었다.
계속해서 표 1에 기재된 배합 비율(질량부, 단 유기 규소 화합물은 불휘발분 환산값)에 따라, PPE의 50질량% 톨루엔 용액(불휘발분 환산값), 가교제, 유기 수지, 충전제, 경화제 및 상기 실시예 1-1에서 얻어진 유기 규소 화합물 1을 혼합하고, 30분간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켜, 바니시상의 경화성 조성물(수지 바니시)을 얻었다.
계속해서 얻어진 수지 바니시를 유리 클로스(닛토보세키(주)제, #1078 타입, WEA1078)에 함침 후, 120℃에서 3분간 가열 건조시켜 프리프레그를 얻었다. 이 때, 경화 후의 두께가 60μm정도가 되도록 조정했다.
얻어진 프리프레그 1장의 양면을 구리박(후루카와덴키코교(주)제 GT-MP, 두께 12μm)에 끼워 적층하고, 진공 조건하 220℃에서 90분, 압력 40kgf/cm2의 조건으로 가열 가압함으로써 경화 물품인 평가 기판 1을 얻었다.
또 상기에서 얻어진 프리프레그를 12장 겹치고,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가열 가압함으로써 경화 물품인 평가 기판 2를 얻었다.
[실시예 2-2~2-12 및 비교예 2-1, 2-2]
표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규소 화합물 1을 실시예 1-2~1-12 및 비교예 1-1~1-2에서 얻어진 유기 규소 화합물 2~14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마찬가지로 하여 경화성 조성물 및 그 경화 물품을 제작했다.
[비교예 2-3, 2-4]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규소 화합물 1을 비교예 2-3으로서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KBM-403,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비교예 2-4로서 페닐트라이메톡시실레인(KBM-103,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으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마찬가지로 하여 경화성 조성물 및 그 경화 물품을 제작했다.
[비교예 2-5]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규소 화합물 1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마찬가지로 하여 경화성 조성물 및 그 경화 물품을 제작했다.
상기한 순서로 조제된 각 평가 기판 1 또는 2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평가를 했다.
[유전 특성]
애질런트·테크놀로지(주)제의 「N5230A」를 사용하고, 공동 공진기 섭동법으로 10GHz에 있어서의 구리장 적층판의 비유전율 및 유전정접을 측정했다. 구리장 적층판으로서는 상기에서 제작한 평가 기판 2로부터 구리박을 제거한 것을 사용했다. 결과를 하기 표 1, 2에 아울러 나타낸다.
[구리박 밀착 강도]
구리장 적층판 표면의 구리박의 벗겨짐 강도(구리박 밀착 강도)를 JIS C 6481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이 때, 폭 20mm, 길이 100mm의 시험편 상에 폭 10mm, 길이 100mm의 패턴을 형성하고,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50mm/분의 속도로 구리박을 벗겨내어, 그 때의 벗겨짐 강도(kN/m)를 구리박 밀착 강도로서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 표 1, 2에 아울러 나타낸다.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표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1-12에서 얻어진 유기 규소 화합물은 비교예 1-1, 1-2에서 얻어진 유기 규소 화합물,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및 페닐트라이메톡시실레인에 비해 구리박 밀착성 및 비유전율이나 유전정접과 같은 유전 특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부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평균 구조식(1)으로 표시되는 유기 규소 화합물.
    Figure pat00020

    (식 중, X는 폴리페닐렌에터 구조를 가지는 n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중합성 반응기를 함유하는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A1은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2가의 연결기를 나타내고, A2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20의 2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m은 1~3의 수이며, p는 1~10의 수이며, q는 1~10의 수이며, n=p+q이며, n은 2~20의 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평균 구조식(2)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규소 화합물.
    Figure pat00021

    {식 중, R1, R2, R7, A1, A2 및 m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콕시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티오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콕시기,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티오기, 또는 비치환 혹은 치환의 탄소 원자수 1~12의 할로알콕시기를 나타내고, b는 서로 독립적으로 1~100의 수이며, c는 0보다 크고 2 미만의 수이며, Z는 하기 식(3)으로 표시되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22

    〔(식 중, R4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L은 단결합, 또는 하기 식(4)~(11)으로부터 선택되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23

    (식 중,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12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k는 1~12의 정수를 나타내고, j는 1~1,000의 수를 나타낸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1-A2가 단결합, 식(12)으로 표시되는 연결기 또는 식(13)으로 표시되는 연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규소 화합물.
    Figure pat00024

    (식 중, a는 서로 독립적으로 1~20의 수이며, Y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이며, *는 X 또는 페닐렌기와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7의 중합성 반응기가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스타이릴기, 바이닐기 또는 에폭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규소 화합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7의 중합성 반응기가 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릴로일옥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규소 화합물.
  6. 평균 구조식(14)
    Figure pat00025

    (식 중, R3, R4, b 및 Z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페닐렌에터 화합물과, 상기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화합물과, 식(15)
    Figure pat00026

    (식 중, R1, R2, A2 및 m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및 알콕시실릴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식(16)
    Figure pat00027

    (식 중, R7 및 A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및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규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
  9. 제 8 항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이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물품.
KR1020180121887A 2017-10-24 2018-10-12 유기 규소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경화성 조성물 KR102707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04946A JP6907877B2 (ja) 2017-10-24 2017-10-24 有機ケイ素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硬化性組成物
JPJP-P-2017-204946 2017-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837A true KR20190045837A (ko) 2019-05-03
KR102707307B1 KR102707307B1 (ko) 2024-09-20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0324A (ja) 2004-05-18 2005-12-02 Arakawa Chem Ind Co Ltd アルコキシシリル基含有シラン変性フェニレンエーテル樹脂の製造方法、アルコキシシリル基含有シラン変性フェニレンエーテル樹脂、アルコキシシリル基含有シラン変性フェニレンエー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フェニレンエーテル樹脂−シリカハイブリッド硬化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0324A (ja) 2004-05-18 2005-12-02 Arakawa Chem Ind Co Ltd アルコキシシリル基含有シラン変性フェニレンエーテル樹脂の製造方法、アルコキシシリル基含有シラン変性フェニレンエーテル樹脂、アルコキシシリル基含有シラン変性フェニレンエー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フェニレンエーテル樹脂−シリカハイブリッド硬化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07877B2 (ja) 2021-07-21
TWI787352B (zh) 2022-12-21
JP2019077761A (ja) 2019-05-23
CN109694474A (zh) 2019-04-30
CN109694474B (zh) 2023-09-22
TW201922859A (zh) 201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94474B (zh) 有机硅化合物、其制造方法和固化性组合物
CN104774476B (zh) 含磷阻燃组合物以及使用它的含磷聚苯醚树脂组合物、预浸料和层压板
CN107663273B (zh) 有机硅化合物及其制造方法以及固化性组合物
EP0186191B1 (en) Curable resinous composition comprising epoxy resin and silicon-containing elastomeric polymer
US4721764A (en)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US6323277B1 (en) Bridged silicone oligomers and curable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7153899B2 (en) Silicone-acrylate impact modifier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JP2001335703A (ja) 難燃剤、及び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物、及び電子部品
CN109415494B (zh) 二液型环氧树脂组合物
JP2013060589A (ja) 常温湿気硬化性接着剤組成物
DE69403708T2 (de) Organopolysiloxan-Zusammensetzungen
TW201500411A (zh) 含有有機官能基之聚醚改質烷氧基矽氧烷及其製造方法
TW202132404A (zh) 硬化性組成物
KR101840839B1 (ko)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변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적층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707307B1 (ko) 유기 규소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경화성 조성물
JP5110957B2 (ja) 硬化性組成物
JP4457783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
JP4967485B2 (ja) 接着剤組成物および透明積層体
TWI748642B (zh) 矽烷改質二烯丙基雙酚化合物及其製備方法
TW201433590A (zh) 含不飽和基聚苯醚樹脂及其組成物、熱固化樹脂組成物
KR20220141152A (ko) 폴리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JPS6223004B2 (ko)
JPH0443087B2 (ko)
US10323048B2 (en) Organosilicon compound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WO2011147965A1 (en) Two-component curable silicon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