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703A -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703A
KR20190045703A KR1020170138575A KR20170138575A KR20190045703A KR 20190045703 A KR20190045703 A KR 20190045703A KR 1020170138575 A KR1020170138575 A KR 1020170138575A KR 20170138575 A KR20170138575 A KR 20170138575A KR 20190045703 A KR20190045703 A KR 20190045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ter
suga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진
Original Assignee
조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진 filed Critical 조영진
Priority to KR1020170138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5703A/ko
Publication of KR20190045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물 1500 중량부, 설탕 400 중량부, 천일염 4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물, 설탕, 천일염의 혼합물에 유인균 제제 4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발효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 설탕, 천일염, 유인균 제제의 혼합물을 38℃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상기 물, 설탕, 천일염, 유인균 제제의 혼합물을 용기에 병입하고 밀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기를 소정의 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여 저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인균 제제는 Bacillus subtilis BSS09, Bacillus subtilis BSS11, Saccharomyces cerevisiae BSS01, Lactobacillus brevis BSS04, Lactobacillus casei BSS05, Lactobacillus plantarum HS729, Lactobacillus sakei MG521, Lactobacillus salivarius SW709, Leuconostoc citreum BSS07, Leuconostoc mesenteroides SY1118, Streptococcus thermophilus BSS08, Weissella koreensis BSS10, Enterococcus faecalis BSS03, 및 Enterococcus faecium BSS02의 14종의 유인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FUNCTIONAL HUMAN MICROBIOME FERMENTED COMPOSITION}
본 발명은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세컨드 게놈(Second genome)이라고도 부르며, 인체 내에서 함께 공존하고 있는 미생물의 유전 정보 전체를 일컫는다. 반면, 게놈(genome)은 인체 자체의 유전정보 모두, 즉 유전자 집합체를 일컫는다. 최근 인체 내에 서식하는 미생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것이 연구결과 밝혀짐으로써 세컨드 게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인체 내의 각종 미생물은 생체대사 조절 및 소화능력이나 각종 질병에 영향을 미치고, 환경변화에 따른 유전자 변형 및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과정 등 인체의 모든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알레르기나 비염, 아토피, 비만과 관련된 각종 대사, 면역질환, 장염, 심장병 등이 이러한 마이크로바이옴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9263호, 2015.04.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근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물 1500 중량부, 설탕 400 중량부, 천일염 4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물, 설탕, 천일염의 혼합물에 유인균 제제 4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발효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 설탕, 천일염, 유인균 제제의 혼합물을 38℃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상기 물, 설탕, 천일염, 유인균 제제의 혼합물을 용기에 병입하고 밀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기를 소정의 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여 저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인균 제제는 Bacillus subtilis BSS09, Bacillus subtilis BSS11, Saccharomyces cerevisiae BSS01, Lactobacillus brevis BSS04, Lactobacillus casei BSS05, Lactobacillus plantarum HS729, Lactobacillus sakei MG521, Lactobacillus salivarius SW709, Leuconostoc citreum BSS07, Leuconostoc mesenteroides SY1118, Streptococcus thermophilus BSS08, Weissella koreensis BSS10, Enterococcus faecalis BSS03, 및 Enterococcus faecium BSS02의 14종의 유인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물 5000 중량부에 한약재 분말 4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증유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 한약재 분말의 혼합물을 정제하여 한방 증유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한방 증유수 1500 중량부, 설탕 400 중량부, 천일염 4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한방 증유수, 설탕, 천일염의 혼합물에 유인균 제제 4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발효기를 이용하여 상기 한방 증유수, 설탕, 천일염, 유인균 제제의 혼합물을 38℃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상기 한방 증유수, 설탕, 천일염, 유인균 제제의 혼합물을 용기에 병입하고 밀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기를 소정의 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여 저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인균은 Bacillus subtilis BSS09, Bacillus subtilis BSS11, Saccharomyces cerevisiae BSS01, Lactobacillus brevis BSS04, Lactobacillus casei BSS05, Lactobacillus plantarum HS729, Lactobacillus sakei MG521, Lactobacillus salivarius SW709, Leuconostoc citreum BSS07, Leuconostoc mesenteroides SY1118, Streptococcus thermophilus BSS08, Weissella koreensis BSS10, Enterococcus faecalis BSS03, 및 Enterococcus faecium BSS02의 14종의 유인균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한약재 분말은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및 숙지황의 5종의 한약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14종의 유인균을 종균으로 하면서 설탕과 천일염을 이용하여 발효 후 증대시키는 제조 방식을 이용함으써, 접근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을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유인균”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으로서 인체 내에서 공존하면서 유익하게 작용하는 임의의 균을 총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인균은 자연 환경 내에서 유익균이 우점하도록 유인(attract)하는 역할을 하는 임의의 균을 총칭한다. 유익균은 유해균의 반대어로서 인체에 유해를 주지 않는 임의의 균을 총칭한다. 유인균은 중간균을 유익균으로 유도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유인균은 유산균,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물 설탕, 천일염 혼합 단계(S110), 유인균 제제 혼합 단계(S120), 발효 단계(S130), 병입 단계(S140), 및 저온 숙성 단계(S150)를 포함한다.
단계 S110에서, 물 1500 중량부, 설탕 400 중량부, 천일염 4 중량부를 혼합한다. 설탕과 천일염을 완전하게 녹이기 위해서 소정의 온도의 온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단계 S120에서, 상기 물, 설탕, 천일염의 혼합물 1904 중량부에 유인균 제제 4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한다.
상기 유인균 제제는 Bacillus subtilis BSS09, Bacillus subtilis BSS11, Saccharomyces cerevisiae BSS01, Lactobacillus brevis BSS04, Lactobacillus casei BSS05, Lactobacillus plantarum HS729, Lactobacillus sakei MG521, Lactobacillus salivarius SW709, Leuconostoc citreum BSS07, Leuconostoc mesenteroides SY1118, Streptococcus thermophilus BSS08, Weissella koreensis BSS10, Enterococcus faecalis BSS03, 및 Enterococcus faecium BSS02의 14종의 유인균을 포함한다.
Bacillus subtilis BSS09는 김치에서 분리된 고초균이고, Bacillus subtilis BSS11은 낫토에서 분리된 낫토균이다. 상기 균들은 식품의 발효에 이용되는 유익한 균이며, 발효 과정에서 발암 물질인 아프라톡신의 생성을 억제한다. 상기 균들은 소화 촉진과 정장 효과에 우수한 효능을 보인다.
Saccharomyces cerevisiae BSS01는 고추장에서 분리된 효모균이다. 상기 효모는 비타민, 소화 효소, 미네랄, 미지성장인자(UGF)를 함유한다. 상기 효모는 Nucleotidies, glutamic acid를 방출하여 기호성을 증진시키며, 대사물질을 방출한다.
다음의 균들은 유산균이다. Lactobacillus brevis BSS04는 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이다. Lactobacillus casei BSS05는 청국장에서 분리된 유산균이다. Lactobacillus plantarum HS729는 렌팅콜에서 분리된 유산균이다. Lactobacillus sakei MG521는 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이다. Lactobacillus salivarius SW709는 청국장에서 분리된 유산균이다. Leuconostoc citreum BSS07은 된장에서 분리도니 유산균이다. Leuconostoc mesenteroides SY1118은 신생아의 장에서 분리된 유산균이다. Streptococcus thermophilus BSS08은 된장에서 분리된 유산균이다. Weissella koreensis BSS10는 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이다. 유산균은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면서 식품이나 숙주의 장 내에서 해로운 물질인 Indole, skatole, phenol, amine 및 NH3 등을 생성하지 않고 부패를 방지하는 등의 유익 작용을 한다.
Enterococcus faecalis BSS03은 청국장에서 분리된 유산균이다. Enterococcus faecium BSS02는 렌틸콩에서 분리된 유산균이다. 상기 유산균들은 인간의 체내에 원래부터 존재하는 유산균이다. Enterococcus faecalis BSS03은 높은 단백질 분해율을 가지고, 장내정착성이 강하다. 그리고, Enterococcus faecalis BSS03은 유해균 억제능력 및 중금속 제거 효과를 갖는다. 한편, Enterococcus faecium BSS02도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 제거 효과를 갖는다.
이어서, 단계 S130에서, 발효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 설탕, 천일염, 유인균 제제의 혼합물을 38℃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발효시킨다.
이어서, 단계 S140에서, 발효된 상기 물, 설탕, 천일염, 유인균 제제의 혼합물을 용기에 병입하고 밀폐시킨다.
이어서, 단계 S150에서, 상기 용기를 소정의 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여 저온 숙성시킨다. 이로써,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가 완료된다.
냉장 보관한 상기 용기를 실온 상태에 두면, 그로부터 3 내지 7일 사이에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유인균이 증식하여 탄산맛이 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물, 한약재 분말 혼합 단계(S210), 한방 증유수 형성 단계(S220), 한방 증유수, 설탕, 천일염 혼합 단계(S230), 유인균 제제 혼합 단계(S240), 발효 단계(S250), 병입 단계(S260), 및 저온 숙성 단계(S270)를 포함한다.
단계 S210에서, 물 5000 중량부에 한약재 분말 40 중량부를 혼합한다.
상기 한약재 분말은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및 숙지황의 5종의 한약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한약재 분말은 상기 5종의 한약재를 동일한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감초는 약리작용,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능이 있다. 또한, 감초는 진해, 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궤양을 억제한다.
당귀는 보혈작용, 활혈작용,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 등에 효능이 있다. 또한, 당귀는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완성하게 한다.
백작약은 진정작용, 진통작용, 진경작용, 해열작용, 소염작용, 항궤양작용, 혈압강하작용, 관상혈관확장작용, 지혈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 또한, 백작약은 항균작용도 나타낸다.
천궁은 진정작용, 혈압강하작용, 자궁수축작용, 항균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
숙지황은 보혈작용, 어지럼증 등을 치료하고 머리를 검게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숙지황은, 내열, 인후건조, 갈증 등의 증상에도 효능이 있다.
이어서, 단계 S220에서, 증유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 한약재 분말의 혼합물을 정제하여 한방 증유수를 형성한다.
이어서, 단계 S230에서, 상기 한방 증유수 1500 중량부, 설탕 400 중량부, 천일염 4 중량부를 혼합한다. 설탕과 천일염을 완전하게 녹이기 위해서 소정의 온도의 한방 증유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단계 S240에서, 상기 한방 증유수, 설탕, 천일염의 혼합물 1904 중량부에 유인균 제제 4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인균 제제는 Bacillus subtilis BSS09, Bacillus subtilis BSS11, Saccharomyces cerevisiae BSS01, Lactobacillus brevis BSS04, Lactobacillus casei BSS05, Lactobacillus plantarum HS729, Lactobacillus sakei MG521, Lactobacillus salivarius SW709, Leuconostoc citreum BSS07, Leuconostoc mesenteroides SY1118, Streptococcus thermophilus BSS08, Weissella koreensis BSS10, Enterococcus faecalis BSS03, 및 Enterococcus faecium BSS02의 14종의 유인균을 포함한다.
이어서, 단계 S250에서, 발효기를 이용하여 상기 한방 증유수, 설탕, 천일염, 유인균 제제의 혼합물을 38℃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발효시킨다.
이어서, 단계 S260에서, 발효된 상기 한방 증유수, 설탕, 천일염, 유인균 제제의 혼합물을 용기에 병입하고 밀폐시킨다.
이어서, 단계 S270에서, 상기 용기를 소정의 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여 저온 숙성시킨다. 이로써,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가 완료된다.
냉장 보관한 상기 용기를 실온 상태에 두면, 그로부터 3 내지 7일 사이에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유인균이 증식하여 탄산맛이 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물이 아닌 한방 증유수를 사용한다. 상기 한방 증유수는 상술한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의 5종의 한방 성분을 포함한다. 유인균이 상기 한방 성분을 미세화하여 상기 한방 성분의 인체 흡수율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14종의 유인균을 종균으로 하면서 설탕과 천일염을 이용하여 발효 후 증대시키는 제조 방식을 이용함으써, 접근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을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은 유효 성분의 하나로서 식품 조성물(예를 들어, 음료, 차, 기능성 음료, 건강기능식품 등) 또는 화장료 조성물(샴푸, 린스, 토닉, 컨디셔너, 에센스, 바디샤워, 바디로션, 세안제, 미스트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식품 조성물은 상기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을 1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을 5 내지 1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중량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물 1500 중량부, 설탕 400 중량부, 천일염 4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물, 설탕, 천일염의 혼합물에 유인균 제제 4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발효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 설탕, 천일염, 유인균 제제의 혼합물을 38℃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상기 물, 설탕, 천일염, 유인균 제제의 혼합물을 용기에 병입하고 밀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기를 소정의 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여 저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인균 제제는 Bacillus subtilis BSS09, Bacillus subtilis BSS11, Saccharomyces cerevisiae BSS01, Lactobacillus brevis BSS04, Lactobacillus casei BSS05, Lactobacillus plantarum HS729, Lactobacillus sakei MG521, Lactobacillus salivarius SW709, Leuconostoc citreum BSS07, Leuconostoc mesenteroides SY1118, Streptococcus thermophilus BSS08, Weissella koreensis BSS10, Enterococcus faecalis BSS03, 및 Enterococcus faecium BSS02의 14종의 유인균을 포함하는,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물 5000 중량부에 한약재 분말 4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증유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 한약재 분말의 혼합물을 정제하여 한방 증유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한방 증유수 1500 중량부, 설탕 400 중량부, 천일염 4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한방 증유수, 설탕, 천일염의 혼합물에 유인균 제제 4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발효기를 이용하여 상기 한방 증유수, 설탕, 천일염, 유인균 제제의 혼합물을 38℃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상기 한방 증유수, 설탕, 천일염, 유인균 제제의 혼합물을 용기에 병입하고 밀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용기를 소정의 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여 저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인균은 Bacillus subtilis BSS09, Bacillus subtilis BSS11, Saccharomyces cerevisiae BSS01, Lactobacillus brevis BSS04, Lactobacillus casei BSS05, Lactobacillus plantarum HS729, Lactobacillus sakei MG521, Lactobacillus salivarius SW709, Leuconostoc citreum BSS07, Leuconostoc mesenteroides SY1118, Streptococcus thermophilus BSS08, Weissella koreensis BSS10, Enterococcus faecalis BSS03, 및 Enterococcus faecium BSS02의 14종의 유인균을 포함하는,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분말은 감초, 당귀, 백작약, 천궁, 및 숙지황의 5종의 한약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38575A 2017-10-24 2017-10-24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190045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575A KR20190045703A (ko) 2017-10-24 2017-10-24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575A KR20190045703A (ko) 2017-10-24 2017-10-24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703A true KR20190045703A (ko) 2019-05-03

Family

ID=6658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575A KR20190045703A (ko) 2017-10-24 2017-10-24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57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406B1 (ko) * 2021-01-22 2021-09-07 주식회사 커스토젠 피부상재 미생물 조절용 조성물
KR20220076950A (ko) * 2020-12-01 2022-06-08 윤여민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발효 콤부차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93287A (ko) * 2020-12-27 2022-07-05 윤여민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발효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263A (ko) 2013-10-01 2015-04-10 김명화 천연 식물 발효 추출물 및 해양 유래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263A (ko) 2013-10-01 2015-04-10 김명화 천연 식물 발효 추출물 및 해양 유래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950A (ko) * 2020-12-01 2022-06-08 윤여민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발효 콤부차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93287A (ko) * 2020-12-27 2022-07-05 윤여민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발효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97406B1 (ko) * 2021-01-22 2021-09-07 주식회사 커스토젠 피부상재 미생물 조절용 조성물
WO2022158656A1 (ko) * 2021-01-22 2022-07-28 주식회사 커스토젠 피부상재 미생물 조절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894B1 (ko)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80071B1 (ko)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01760478B (zh) 一种葛根红曲的制造方法
CN105053866B (zh) 一种润肠通便的复合胚芽粉及其制备方法
CN105249100B (zh) 发酵果蔬汁与甜酒酿复合功能饮料的生产方法
KR101370386B1 (ko) 유익균을 이용한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CN101560523B (zh) 基于五株益生菌混合发酵培养物的营养组合物
CN103478439A (zh) 虾饲料添加剂组合物及其制造方法
CN108244432A (zh) 一种发酵蛹虫草益生菌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522358A (zh) 一种提高断奶仔猪重量的中草药微生态制剂及其制备方法
KR20160058389A (ko) 항산화 물질이 증가된 유산균 배양 생성물의 제조 공법 및 이를 조성으로하는 의약품 및 의약외품,화장품 및 식음료 조성물
KR20190045703A (ko) 기능성 유인균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5231164A (zh) 玫瑰酵素及其制备方法
CN111329055B (zh) 一种簕菜酵素的制备方法
KR102549413B1 (ko) 탈모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6071046A (zh) 一种复合型中草药微生态制剂的制备方法和应用
CN104522750A (zh) 一种藻类保健食品
CN109329926A (zh) 一种救心菜酵素及其制备方法
CN101613652A (zh) 茯苓保健白酒及其制作方法
KR101790548B1 (ko) 지방 분해능을 갖는 균주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5962375A (zh) 一种猴头菇活性乳酸菌制剂及其制备方法
CN108159291A (zh) 植物提取物与益生菌复配制品及其制备方法
KR20130107940A (ko) 발효 홍삼 제조방법
JP5502449B2 (ja) 腸内フローラバランス改善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107019A (zh) 一种黄花蒿固态发酵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