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357A -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357A
KR20190044357A KR1020170136688A KR20170136688A KR20190044357A KR 20190044357 A KR20190044357 A KR 20190044357A KR 1020170136688 A KR1020170136688 A KR 1020170136688A KR 20170136688 A KR20170136688 A KR 20170136688A KR 20190044357 A KR20190044357 A KR 20190044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rage containers
skid
skids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104B1 (ko
Inventor
박윤소
조동연
심점석
이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to KR1020170136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104B1/ko
Priority to CN201810325729.4A priority patent/CN109692412B/zh
Priority to SG10201804430RA priority patent/SG10201804430RA/en
Publication of KR2019004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warehouses, storage areas or other installations for storing goo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16Sk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에 소화약제가 저장되어 패키징된 복수의 저장용기를 조립하는 단계,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용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기를 조립하는 단계 및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를 상호 연결하여 출고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정위치에 저장용기와 제어기기가 조립된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를 선박 내외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소화시스템이 선박에 설치된 후 선상에서 소화시스템의 성능을 시험/검증하던 기존의 방식을 선박 설치 이전에 패키지화 설치 완료 및 성능 시험/검증을 완료함으로써, 선박 건조 공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선박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CONTAINER SKID TYPE FIRE FIGHT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선박의 소화장비들이 컨테이너 스키드에 대해 정위치로 위치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제조하여 선박의 내외로의 출입이 용이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저질유(Heavy Fuel Oil)/원유 저장용기, 저질유/윤활유의 열교환기(Heater), 난방 등을 목적으로 증기식(Steam) 보일러(Boiler)/절탄기(Economizer), 열매체유(Thermal oil) 보일러/절탄기, 전기식 보일러가 열원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때, 열원의 공급을 위해, 선박에는 증기식 보일러/절탄기가 마련될 수 있으나, 최근 해상 플랜트(offshore vessel)나 특수목적 선박이 북극, 남극 등 저온상황에 노출되어 작업하게 되므로 동파방지 및 상대적으로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열원시스템 구축을 위해 열매체유 보일러와 절탄기를 설치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열매체유 보일러와 절탄기의 경우, 내부 화재 발생시 장비 내부의 열매체유 관 파손으로 인해 유류가 화재 상황에 노출되어 더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선박에서 사용되는 열매체유 보일러/절탄기 내부 소화에는 청수를 이용한 물 분사 시스템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물 분사 소화시스템과 같은 냉각을 이용한 소화방법은 화재로 과열된 열매체유 관이 급냉으로 인해 파손 위험이 있으며, 이에 유류 화재로 전이될 수 있어 소화용재로 적합하지 않다. 또한, 절탄기 소화시 분사된 소화수가 배기관을 통해 엔진에 유입되어 엔진의 손상도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소화약제를 소화원으로 활용하여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는 방식의 소화시스템이 선박에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소화설비가 선박내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소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17-0028680호 국내공개특허 제2016-0057797호
본 발명은 선박내에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소화시스템을 컨테이너 스키드 내에 패키징하여 정위치에 조립함으로써 선박 내외로의 운반이 용이하면서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의 내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패키징되어 설치 가능하며, 내부에 소화약제가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용기 및, 소화동작 제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 가능한 제어기기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는 선박에 선적 가능한 국제 표준 기준에 적합한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컨테이너에 대응되며, 부식 방지를 위해 도장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에서 배출된 상기 소화약제는 매니폴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에 각각 마련된 상기 소화약제의 이동통로인 주배관으로 연결되어 방호구역으로 방출 가능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는 상부에 마련된 호스를 통해 상기 매니폴드와 연결되며, 상기 주배관은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의 상부에 설치 가능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일부에는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가 전영역에 조립되고,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나머지 다른 일부에는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제어기기가 상호 이웃하게 함께 조립되되,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는 상호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에 각각 독립적으로 패키징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는 상기 제어기기를 상호 공유하여 함께 제어 가능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의 외면에 밀착 가능한 가이더가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자세 지지하며, 상기 가이더는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제1가이더와,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 사이에 위치하며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재질로 형성되는 제2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는 상기 가이더를 사이에 두고 다열 및 다행으로 패키징되되, 상기 가이더를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볼팅(Bolting)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볼팅(Bolting) 결합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의 상부에는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어기기는 연기 감지 판넬(Smoke detection panel), 제어밸브가 내장되는 제어밸브 캐비넷, 연장판넬, 사용설명서, 릴리즈 컨트롤 캐비닛(Release control cabinet),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Main emergency power supply switch), 주밸브, 팬모터유닛 스키드, 시간지연유닛(Time delay unit), 화재감지판넬 신크로 조립체(Fire detection panel syncro ASM), 정션박스(Junction Box), 연기 감지 릴레이 박스(Smoke detection relay box), 소화약제 알람 릴레이 박스, 압력 스위치 및 압력 게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의 내부에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이웃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의 내부 일측에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가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 사이에 상기 압력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이웃하게 상기 소화약제 알람 릴레이 박스가 마련되며, 상기 소화약제 알람 릴레이 박스와 마주하도록 상기 압력 게이지가 마련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의 내측벽을 따라 상기 제어밸브 캐비닛이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압력 게이지와 마주하는 위치에 연기 감지 판넬이 마련되며, 상기 연기 감지 판넬의 양측에는 상기 연장판넬이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연기 감지 판넬과 연결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연기 감지 판넬과 이웃하여 마주하도록 상기 사용설명서, 상기 릴리즈 컨트롤 캐비닛, 상기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 상기 주밸브 및 상기 팬모터유닛 스키드가 마련되며, 상기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는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의 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 가능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릴리즈 컨트롤 캐비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반대측에 상기 제어밸브 캐비닛, 상기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 상기 시간지연유닛, 상기 화재감지판넬 신크로 조립체, 상기 정션박스 및 상기 연기 감지 릴레이 박스가 마련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소화약제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에 소화약제가 저장되어 패키징된 복수의 저장용기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기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를 상호 연결하여 출고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는 선박에 선적 가능한 국제 표준 기준에 적합한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컨테이너에 대응되며, 부식 방지를 위해 도장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저장용기 조립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저장용기를 복수개 준비하여 상호 패키징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키징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를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내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일부에는 패키징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가 전영역에 조립되며,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나머지 다른 일부에는 상기 제어기기와 함께 조립되도록 일부 영역에만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가 조립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의 일측에는 상기 소화약제의 이동통로인 주배관이 장착되며, 상기 패키징된 복수의 저장용기는 매니폴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의 외면에 밀착 가능한 가이더가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자세 지지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가이더는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제1가이더와,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 사이에 위치하며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재질로 형성되는 제2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에 조립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부재가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어기기 조립단계는,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의 내부에 조립 가능한 연기 감지 판넬(Smoke detection panel), 제어밸브가 내장되는 제어밸브 캐비넷, 연장판넬, 사용설명서, 릴리즈 컨트롤 캐비닛(Release control cabinet),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Main emergency power supply switch), 주밸브, 팬모터유닛 스키드, 시간지연유닛(Time delay unit), 화재감지판넬 신크로 조립체(Fire detection panel syncro ASM), 정션박스(Junction Box), 연기 감지 릴레이 박스(Smoke detection relay box), 소화약제 알람 릴레이 박스, 압력 스위치 및 압력 게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출고 준비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조립된 상기 제어기기가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에 조립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에 소화약제가 저장된 복수의 저장용기 및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에 의한 소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패키징하여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를 상호 연결하여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포장 및 출고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는 선박에 선적 가능한 국제 표준 기준에 적합한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컨테이너에 대응되며, 부식 방지를 위해 도장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조립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일부에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를 패키징하여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나머지 일부에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제어기기를 각각 독립적으로 패키징하여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의 일측에는 상기 소화약제의 이동통로인 주배관이 장착되며, 상기 패키징된 복수의 저장용기는 매니폴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의 외면에 밀착 가능한 가이더가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자세 지지하며, 상기 가이더는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제1가이더와,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 사이에 위치하며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재질로 형성되는 제2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에 조립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부재가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어기기는 연기 감지 판넬(Smoke detection panel), 제어밸브가 내장되는 제어밸브 캐비넷, 연장판넬, 사용설명서, 릴리즈 컨트롤 캐비닛(Release control cabinet),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Main emergency power supply switch), 주밸브, 팬모터유닛 스키드, 시간지연유닛(Time delay unit), 화재감지판넬 신크로 조립체(Fire detection panel syncro ASM), 정션박스(Junction Box), 연기 감지 릴레이 박스(Smoke detection relay box), 소화약제 알람 릴레이 박스, 압력 스위치 및 압력 게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포장 및 출고 준비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나머지 일부에 조립된 상기 제어기기가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에 조립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선박의 내외로 운반이 용이한 컨테이너 스키드를 이용하여 소화시스템을 정위치에 조립하여 제공할 수 있어, 소화시스템의 설치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소화시스템의 조립 공정을 세분화 및 표준화할 수 있어,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의 분리 및 연결이 용이하여 다양한 선박 규격에 대응할 수 있는 소화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복수의 컨테이너 중 일부는 저장용기만을 조립하여, 나머지 일부에 마련된 제어기기로 함께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컴팩트한 설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소화시스템의 모든 구성품을 하나의 패키징화 및 모듈화 함으로써, 선박 장착 전 성능 시험 및 검증을 완료할 수 있으며, 선상에서의 성능 시험/검증 시간을 단축하여 선박 건조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어, 선박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모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모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모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모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모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영역을 확대하여 절단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Ⅶ-Ⅶ선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Ⅷ-Ⅷ선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저장용기 조립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저장용기 조립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저장용기 조립 배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좌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100)의 제조방법은 준비단계(1), 저장용기 조립단계(2), 소화배관 조립단계(3), 주요부품 조립단계(4), 제어기기 조립단계(5), 성능시험/검증 단계(6) 및 포장/출고 준비단계(7)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100)의 제조방법은 도 2와 같은 선박의 화재 발생시 소화약제를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100)의 제조를 위한 것이다.
준비단계(1)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100)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을 준비한다. 이를 위해, 준비단계(1)는 고압의 저장용기(20)를 제조하는 단계(1a), 컨테이너 스키드(10)를 준비하는 단계(1b), 소화 부품을 준비하는 단계(1c) 및 주요부품을 준비하는 단계(1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압의 저장용기(20) 준비단계(1a)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100)의 제조에 있어 핵심부품인 저장용기(20)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소화시스템(100)의 저장 규모 및 저장소의 크기에 따라 내용적 68리터 또는 80리터 등과 같이 복수의 특정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저장용기(20) 내용적의 용량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가변 가능함은 당연하다.
컨테이너 스키드(10) 준비단계(1b)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100)의 제조에 있어 저장용기(20)를 장착하여 조립하는 기본 구조의 틀이다. 이러한 컨테이너 스키드(10)는 전문 제작자로부터 규정화된 규격으로 제작된 것으로 구매하거나, 자체 제작에 의해 준비될 수 있다.
소화 부품을 준비하는 단계(1c)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수 또는 복수의 부품들을 구매 조달하는 단계로써, 각각의 부품은 규정된 제작 규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주요 부품 준비단계(1d)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100)의 주요 핵심 부품의 제공을 위한 것으로서, 도 2의 도시와 같이, 화재 발생시 소화 약제 방출을 제어하는 주밸브(37), 약제를 방호 구호를 이송하는 주배관(11), 저장용기(20)에 저장된 소화 약제를 고압의 유연한 호스를 통하여 매니폴드(13)(도 10 참고) 및 주배관(11)으로 이송되도록 개방해주는 용기 밸브 등으로 구성된다.
저장용기 조립단계(2)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가지도록 준비된 컨테이너 스키드(10)의 내부에 소화약제가 저장된 저장용기(20)를 패키징하여 조립한다. 한편, 컨테이너 스키드(10)는 도 2의 도시에서는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동일 규격으로 복수개 마련된다.
이러한 저장용기 조립단계(2)는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10)와 저장용기(20)를 마련한 후, 저장용기(20)를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10)내에 조립한다. 이때, 저장용기(20)는 복수개가 패키징된 상태로, 컨테이너 스키드(10)내에 조립된다.
컨테이너 스키드(10)는 선박에 선적 가능한 국제 표준 기준에 적합한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컨테이너에 대응되며, 도 2의 도시는 20피트(ft) 사이즈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한다. 아울러,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10)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 도장 처리된 강제(Steel)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컨테이너 스키드(10)의 내부 전 영역에 복수의 저장용기(20)가 패키징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즉, 도 2와 같이 후술할 제어기기(30)와 함께 컨테이너 스키드(10)의 내부에 함께 조립되거나, 저장용기(20)만이 조립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 스키드(10)는 복수개 마련되고, 복수개 중 일부에는 저장용기(20)만이 조립되며, 나머지 일부에는 제어기기(30)도 함께 조립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하는 저장용기(20)는 소화약제인 이산화탄소가 대략 55kg 저장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저장용기(20)는 컨테이너 스키드(10)에 대한 조립 이전에, 성능이 검사된 상태로 준비된다. 패키징된 저장용기(20)들은 크레인(미도시)과 같은 운송수단에 의해 컨테이너 스키드(10)의 정위치에 배치되어, 컨테이너 스키드(10)의 내부에 볼팅(Bolting)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도시와 같이, 볼트(B)가 컨테이너 스키드(10)를 관통하여 복수의 저장용기(20)들 사이에 컨테이너 스키드(10)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위치하는 가이더(23)에 밀착된다. 이때, 볼트(B)의 일단은 복수의 저장용기(20)들 사이의 가이더(23)에 밀착된 상태로 연장되어 이웃하는 가이더(23)를 관통하고 타단은 컨테이너 스키드(10)를 관통하여 너트(N)와 결합된다. 이렇게 볼트(B)가 가이더(23)를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컨테이너 스키드(10)에 볼팅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저장용기(20)들이 컨테이너 스키드(10)에 대해 견고히 자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복수의 저장용기(20)는 상호 다열 및 다행으로 패키징되며, 복수의 저장용기(20) 사이에는 가이더(23)가 마련된다. 가이더(23)는 저장용기(20)의 외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저장용기(20)가 유동됨으로써 상호 물리적으로 충돌됨을 방지한다. 즉, 가이더(23)는 복수의 저장용기(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저장용기(20)가 유동되지 않도록 자세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더(23)는 컨테이너 스키드(10)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제1가이더(23a)와, 복수의 저장용기(20) 사이에 마련되는 제2가이더(23b)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더(23a)는 컨테이너 스키드(10)와 동일한 강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가이더(23)는 고무 또는 우레탄과 같은 탄성재질 즉, 완충재질로 형성되어 저장용기(20)로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더(23)는 꼭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가이더(23a) 또한, 완충 재질로 형성되는 것과 같은 변형예도 가능하다.
참고로, 제1 및 제2가이더(23a)(23b)를 포함하는 가이더(23)는 이웃하는 저장용기(20)의 유무에 따라 도 5와 같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저장용기(20)에 밀착되는 면은 저장용기(20)의 외면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형성됨이 좋다.
컨테이너 스키드(10)내에 저장용기(20)가 조립되면, 도 3의 도시와 같이, 컨테이너 스키드(10)의 소화약제의 이동을 위한 이동통로인 주배관(11)과 복수의 저장용기(20) 각각을 호스(21)를 통해 연결시킨다. 여기서, 복수의 저장용기(20)의 상부에 호스(21)가 연결되고, 주배관(11)은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컨테이너 스키드(1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때, 주배관(11)은 보조관(12)과 매니폴드(13)에 의해 복수의 저장용기(20)의 호스(21)와 연결되어, 소화약제인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주배관(11)과 보조관(12)은 컨테이너 스키드(10)의 내부 상부측에 대해 U자형 고정 볼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자세 고정될 수 있으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저장용기(20)에 저장된 소화약제의 용량을 확인하기 위해, 복수의 저장용기(20)는 무게측정부재(22)와 연결된다. 무게측정부재(22)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컨테이너 스키드(10)의 상부에 보조관(12)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저장용기(20)의 밸브 체결부분에 특정 무게측정기구의 걸쇠를 걸어 작동함으로써, 저장용기(2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무게측정부재(22)는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다열 및 다행으로 상호 나란하게 패키징된 복수의 저장용기(20)들의 각 열에 대응되도록 마련됨이 좋다.
소화배관 조립단계(3)는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10)에 조립되며, 저장용기(20)의 가스를 주배관(11)으로 이송하는 각 매니폴드(13)를 용기 상부에 설치하여 플렉시블한 호스(21)와 연결하며, 매니폴드(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배관(1)은 복수의 매니폴드(13)와 연결된다.
주요부품 조립단계(4)는 저장용기(20)에 저장된 소화약제를 호스(21)를 통해 매니폴드(13) 및 주배관(11)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용기 밸브(미도시) 및 주배관(11)까지 도달한 소화약제를 방호구역으로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주밸브(37)(도 7 참고)를 도 2와 같이 일부에 장착한다. 단, 용기 밸브의 경우, 저장용기(10)의 제조단계(1a)에서 저장용기(1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기기 조립단계(5)는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용기(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기(30)가 조립된다. 이러한 제어기기(30)는 소화 동작 제어를 위한 것으로써,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10)들 중에서 일부에만 조립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컨테이너 스키드(10)와 같이 일측엔 저장용기(20)가 패키징되어 조립되고, 타측에 제어기기(30)들이 조립되어 저장용기(20)와 연결된다.
제어기기(30)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 판넬(Smoke detection panel)(31), 제어밸브가 내장되는 제어밸브 캐비넷(32) 그리고, 연장판넬(33)이 컨테이너 스키드(10)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도시와 같이, 제어기기(30)는 사용설명서(34), 릴리즈 컨트롤 캐비닛(Release control cabinet)(35),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Main emergency power supply switch)(36), 주밸브(37), 감지된 연기를 외기로 배출시키기 위한 팬모터유닛 스키드(38), 시간지연유닛(Time delay unit)(39), 화재감지판넬 신크로 조립체(Fire detection panel syncro ASM)(40), 정션박스(Junction Box)(41) 및 연기 감지 릴레이 박스(Smoke detection relay box)(42)를 포함하여, 컨테이너 스키드(10)의 타측에 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의 도시와 같이, 제어기기(30)는 이산화탄소 알람 릴레이 박스(43), 압력 스위치(44) 및 압력 게이지(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기(30)들은 도시된 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도시와 같이, 컨테이너 스키드(10)의 내부 일측에 복수의 저장용기(20)가 패키징되어 조립되고, 복수의 저장용기(20)와 이웃하게 이산화탄소 알람 릴레이 박스(43)가 배치된다. 이산화탄소 알람 릴레이 박스(43)와 나란하여 마주하도록 압력 게이지(45)가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저장용기(20)이 사이에는 압력 스위치(44)가 마련되어 저장용기(20)의 압력을 감지하여 시스템 작동 유무와 이산화탄소 가스와 같은 소화약제의 누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도시와 같이, 컨테이너 스키드(10)의 내측벽을 따라 제어밸브 캐비넷(32)이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압력 게이지(45)와 마주하는 위치에 연기 감지 판넬(31)이 마련된다. 연기 감지 판넬(31)의 양측에는 연장판넬(33)이 복수개 마련되어 연기 감지 판넬(31)과 연결된다.
아울러, 도 7의 도시와 같이, 컨테이너 스키드(10)의 타측 내부 즉, 연기 감지 판넬(31)과 이웃한 위치에는 사용설명서(34), 릴리즈 컨트롤 캐비닛(35),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36), 주밸브(37) 및 팬모터유닛 스키드(38)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36)는 컨테이너 스키드(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작업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다.
또한, 도 8의 도시와 같이, 릴리즈 컨트롤 캐비닛(35)을 사이에 두고 저장용기(20)와 반대측에 제어밸브 캐비넷(32),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36), 시간지연유닛(39), 화재감지판넬 신크로 조립체(40), 정션박스(41) 및 연기 감지 릴레이 박스(42)이 배치된다.
이상과 같은 제어기기(30)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저장용기(20)와 이웃하게 컨테이너 스키드(10)에 패키징되어 조립되어 저장용기(20)의 소화 제어를 위해 연결된다. 이때, 제어기기(30)는 제어기기(30)가 조립되지 않은 다른 컨테이너 스키드(10)에 조립된 저장용기(20)와도 연결 가능하다.
참고로,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어기기(30)들의 배치 위치는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컨테이너 스키드(10)에 대해 저장용기(20)와 제어기기(30)가 각각 조립되면(1)(2),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10)를 상호 연결하여 포장 및 출고를 준비한다(3).
성능시험/검증 단계(6)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100)의 조립이 완성되면, 소화시스템(100)의 선박에서 화재발생시의 작동이 신속 및 원활하게 되는지를 검증하는 것으로써, 선박에서 소화시스템(100)의 성능의 완전함을 실증 시험한다.
이를 위해, 릴리즈 컨트롤 캐비닛(35)을 개방하고, 릴리즈 컨트롤 캐비닛(35)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소형의 기동용기(미도시)를 작동한다. 이 기동용기를 작동함과 동시에 가동용기내의 기동가스가 저장용기(20)의 용기 밸브(미도시)를 개방하며, 동시에 주밸브(37)가 자동으로 개방된다. 주밸브(37)의 자동개방 여부는 주밸브(37)의 핸들이 자동 회전함으로써, 자동개방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주밸브(37)의 개방과 동시에 저장용기(20)에서 방출된 소화약제는 플렉시블한 호스(21), 매니폴드(13), 주배관(11), 주밸브(37)를 통과하여, 배관 토출부(미도시)를 통해 방출된다. 선박내에서의 성능 시험은, 주밸브(37)의 후단에 일정한 사이즈 및 길이의 배관(미도시)을 설치하고 배관의 단부에 방사 노즐(미도시)를 장착하여, 성능시험으로 인한 소화약제를 대기 중으로 방출할 수 있다.
포장 및 출고 준비단계(7)는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10)를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저장용기(20)가 조립된 컨테이너 스키드(10)와 저장용기(20)와 제어기기(30)가 함께 조립된 컨테이너 스키드(10)가 함께 동작 제어되도록 연결됨이 좋다. 그로 인해,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10)들은 하나의 제어기기(30)를 상호 공유하여 소화 동작이 제어 가능한 것이다.
출고 준비된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10)는 설치면적이 최소화된 상태로 선박의 내부로 진입되어 설치 가능하다. 즉, 소화시스템(100)의 설치를 위한 선박내 별도의 컨테이너의 필요 없이, 컨테이너 스키드(10)에 패키징된 소화시스템(100) 그대로 크레인(미도시)과 같은 운송수단에 의해 선박으로 운반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100)의 운반이 용이함과 아울러, ISO 컨테이너에 대한 선적이 자유로워져 물류 및 팩킹(Packing)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컨테이너 스키드(10)는 20피트(ft) 사이즈인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컨테이너 스키드(10)는 선박의 사이즈 또는 소화시스템(100)의 소화 용량 등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표준화가 가능하며, 그로 인해 소화시스템(100)의 각종 장비들을 패키징 유닛화하여 조립 생산이 가능하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200)이 도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200)은 도 9 내지 도 11의 도시와 같이, 30피트(ft) 사이즈를 가지는 컨테이너 스키드(210)의 내에 복수의 저장용기(220)가 패키징되어 조립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저장용기(20)와 제어기기(30)가 컨테이너 스키드(10)에 함께 조립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100)과 달리, 컨테이너 스키드(210)의 내부에 복수의 저장용기(220)만이 조립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9 내지 도 11의 도시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210) 또한, ISO 컨테이너 규격에 대응되며 부식 방지를 위한 도장 처리된다. 아울러, 내부에는 복수의 저장용기(220)가 상호 패키징되어 조립되며, 주배관(211)과 연결된 보조관(212) 및 매니폴드(213)가 마련되어 호스(221)를 통해 저장용기(220)와 연결된다.
또한, 도 9의 도시와 같이, 복수의 저장용기(220)들의 사이에 가이더(223)가 마련되어 유동됨이 방지되며, 도 10의 도시와 같이 무게측정부재(222)에 의해 컨테이너 스키드(210)에 설치된 저장용기(220)의 소화약제 양이 측정된다.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210) 또한, 복수개 마련된다. 아울러,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210) 중 일부에는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저장용기(220)만이 조립되며, 나머지 일부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제어기기(30)와 함께 조립될 수 있다. 저장용기(220)와 제어기기(30)가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210)에 조립되면, 상술한 성능시험/검증 단계(6)를 거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또한, 성능을 시험하여 검증된다.
이러한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210)는 상호 연결되어 출고 준비되도록 시운전 가능하다. 출고 준비된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210)는 선박의 내외로 운반되어 설치된다.
한편,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일 및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10)(210)의 연결 개수는 선박의 사이즈 및 소화시스템(100)(200)의 용량에 따라 가변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100)(200)이 설치된 선박이 폐선되더라도, 선박으로부터 컨테이너 스키드(10)(210)를 분리함으로써, 새로운 선박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며, 다양한 선박 조건에 따라 연결되는 개수는 조절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10, 210: 컨테이너 스키드 11, 211: 주배관
12, 212: 보조관 13, 213: 매니폴드
20, 220: 저장용기 21, 221: 호스
22, 222: 무게측정부재 23, 223: 가이더
30: 제어기기

Claims (32)

  1.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의 내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패키징되어 설치 가능하며, 내부에 소화약제가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용기; 및
    소화동작 제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 가능한 제어기기;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는 선박에 선적 가능한 국제 표준 기준에 적합한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컨테이너에 대응되며, 부식 방지를 위해 도장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에서 배출된 상기 소화약제는 매니폴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에 각각 마련된 상기 소화약제의 이동통로인 주배관으로 연결되어 방호구역으로 방출 가능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는 상부에 마련된 호스를 통해 상기 매니폴드와 연결되며,
    상기 주배관은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의 상부에 설치 가능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일부에는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가 전영역에 조립되고,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나머지 다른 일부에는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제어기기가 상호 이웃하게 함께 조립되되,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는 상호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에 각각 독립적으로 패키징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는 상기 제어기기를 상호 공유하여 함께 제어 가능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의 외면에 밀착 가능한 가이더가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자세 지지하며,
    상기 가이더는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제1가이더와,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 사이에 위치하며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재질로 형성되는 제2가이더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는 상기 가이더를 사이에 두고 다열 및 다행으로 패키징되되, 상기 가이더를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볼팅(Bolting) 결합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의 상부에는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부재가 마련되어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는 연기 감지 판넬(Smoke detection panel), 제어밸브가 내장되는 제어밸브 캐비넷, 연장판넬, 사용설명서, 릴리즈 컨트롤 캐비닛(Release control cabinet),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Main emergency power supply switch), 주밸브, 팬모터유닛 스키드, 시간지연유닛(Time delay unit), 화재감지판넬 신크로 조립체(Fire detection panel syncro ASM), 정션박스(Junction Box), 연기 감지 릴레이 박스(Smoke detection relay box), 소화약제 알람 릴레이 박스, 압력 스위치, 압력 게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의 내부에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이웃하도록 설치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의 내부 일측에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가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 사이에 상기 압력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이웃하게 상기 소화약제 알람 릴레이 박스가 마련되며,
    상기 소화약제 알람 릴레이 박스와 마주하도록 상기 압력 게이지가 마련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의 내측벽을 따라 상기 제어밸브 캐비닛이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압력 게이지와 마주하는 위치에 연기 감지 판넬이 마련되며,
    상기 연기 감지 판넬의 양측에는 상기 연장판넬이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연기 감지 판넬과 연결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감지 판넬과 이웃하여 마주하도록 상기 사용설명서, 상기 릴리즈 컨트롤 캐비닛, 상기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 상기 주밸브 및 상기 팬모터유닛 스키드가 마련되며,
    상기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는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의 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 가능한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컨트롤 캐비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반대측에 상기 제어밸브 캐비닛, 상기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 상기 시간지연유닛, 상기 화재감지판넬 신크로 조립체, 상기 정션박스 및 상기 연기 감지 릴레이 박스가 마련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약제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15.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에 소화약제가 저장되어 패키징된 복수의 저장용기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기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를 상호 연결하여 포장 및 출고를 준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는 선박에 선적 가능한 국제 표준 기준에 적합한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컨테이너에 대응되며, 부식 방지를 위해 도장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 조립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저장용기를 복수개 준비하여 상호 패키징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키징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를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내에 조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일부에는 패키징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가 전영역에 조립되며,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나머지 다른 일부에는 상기 제어기기와 함께 조립되도록 일부 영역에만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가 조립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의 일측에는 상기 소화약제의 이동통로인 주배관이 장착되며, 상기 패키징된 복수의 저장용기는 매니폴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배관과 연결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의 외면에 밀착 가능한 가이더가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자세 지지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는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제1가이더와,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 사이에 위치하며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재질로 형성되는 제2가이더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에 조립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부재가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연결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 조립단계는,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의 내부에 조립 가능한 연기 감지 판넬(Smoke detection panel), 제어밸브가 내장되는 제어밸브 캐비넷, 연장판넬, 사용설명서, 릴리즈 컨트롤 캐비닛(Release control cabinet),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Main emergency power supply switch), 주밸브, 팬모터유닛 스키드, 시간지연유닛(Time delay unit), 화재감지판넬 신크로 조립체(Fire detection panel syncro ASM), 정션박스(Junction Box), 연기 감지 릴레이 박스(Smoke detection relay box), 알람 릴레이 박스, 압력 스위치 및 압력 게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및 출고 준비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조립된 상기 제어기기가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에 조립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시키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25.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에 소화약제가 저장된 복수의 저장용기 및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에 의한 소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패키징하여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를 상호 연결하여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포장 및 출고를 준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는 선박에 선적 가능한 국제 표준 기준에 적합한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컨테이너에 대응되며, 부식 방지를 위해 도장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일부에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를 패키징하여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나머지 일부에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제어기기를 각각 독립적으로 패키징하여 조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의 일측에는 상기 소화약제의 이동통로인 주배관이 장착되며, 상기 패키징된 복수의 저장용기는 매니폴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주배관과 연결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의 외면에 밀착 가능한 가이더가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자세 지지하며,
    상기 가이더는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제1가이더와,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 사이에 위치하며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재질로 형성되는 제2가이더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스키드에 조립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부재가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와 연결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는 연기 감지 판넬(Smoke detection panel), 제어밸브가 내장되는 제어밸브 캐비넷, 연장판넬, 사용설명서, 릴리즈 컨트롤 캐비닛(Release control cabinet), 메인 비상 전원 공급스위치(Main emergency power supply switch), 주밸브, 팬모터유닛 스키드, 시간지연유닛(Time delay unit), 화재감지판넬 신크로 조립체(Fire detection panel syncro ASM), 정션박스(Junction Box), 연기 감지 릴레이 박스(Smoke detection relay box), 알람 릴레이 박스, 압력 스위치 및 압력 게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및 출고 준비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 중 나머지 일부에 조립된 상기 제어기기가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스키드에 조립된 상기 복수의 저장용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시키는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의 제조방법.
KR1020170136688A 2017-10-20 2017-10-20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3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688A KR102023104B1 (ko) 2017-10-20 2017-10-20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810325729.4A CN109692412B (zh) 2017-10-20 2018-04-12 集装箱撬装型灭火系统及其制作方法
SG10201804430RA SG10201804430RA (en) 2017-10-20 2018-05-24 Container Skid Type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688A KR102023104B1 (ko) 2017-10-20 2017-10-20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357A true KR20190044357A (ko) 2019-04-30
KR102023104B1 KR102023104B1 (ko) 2019-11-04

Family

ID=6623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688A KR102023104B1 (ko) 2017-10-20 2017-10-20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23104B1 (ko)
CN (1) CN109692412B (ko)
SG (1) SG10201804430R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257B1 (ko) * 2019-07-03 2020-03-16 (주)에스지솔루션 배전반용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70369A (zh) * 2022-11-25 2023-03-10 交通运输部广州打捞局 可移动模块化船用消防系统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562U (ja) * 1991-11-10 1993-06-08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の容器収納装置
JP2008168913A (ja) * 2007-01-09 2008-07-24 Chugoku Marine Paints Ltd 海上輸送用コ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に使用する被覆材料
KR20110048628A (ko) * 2009-11-03 2011-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집약적 배치구조를 갖는 이너젠 시스템
CN202892719U (zh) * 2012-11-29 2013-04-24 浙江求真消防设备有限公司 船用灭火钢瓶架
CN203408395U (zh) * 2013-09-03 2014-01-29 浙江求真消防设备有限公司 船用二氧化碳灭火系统
KR200476887Y1 (ko) * 2010-09-28 2015-04-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이산화탄소 제어 매니폴드 어셈블리
KR20160057797A (ko) 2014-11-14 2016-05-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선박의 내부 소화시스템
KR20170028680A (ko) 2015-09-04 2017-03-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화재 방재시스템 및 방법
KR101738608B1 (ko) * 2015-10-13 2017-05-22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4199A (en) * 1985-12-26 1987-05-12 Kid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s in flammable liquid filled storage vessels
CN201862176U (zh) * 2010-11-22 2011-06-15 连云港扬子江船舶研究所有限公司 船用固定式二氧化碳灭火系统施放装置
CN103877685B (zh) * 2014-03-17 2016-07-13 浙江亚宁消防设备有限公司 船用七氟丙烷灭火装置及其灭火方法
CN106267660A (zh) * 2016-08-29 2017-01-04 南通中远川崎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集成有灭火装置的集装箱及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562U (ja) * 1991-11-10 1993-06-08 株式会社コーアツ ガス系消火設備の容器収納装置
JP2008168913A (ja) * 2007-01-09 2008-07-24 Chugoku Marine Paints Ltd 海上輸送用コ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に使用する被覆材料
KR20110048628A (ko) * 2009-11-03 2011-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집약적 배치구조를 갖는 이너젠 시스템
KR200476887Y1 (ko) * 2010-09-28 2015-04-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이산화탄소 제어 매니폴드 어셈블리
CN202892719U (zh) * 2012-11-29 2013-04-24 浙江求真消防设备有限公司 船用灭火钢瓶架
CN203408395U (zh) * 2013-09-03 2014-01-29 浙江求真消防设备有限公司 船用二氧化碳灭火系统
KR20160057797A (ko) 2014-11-14 2016-05-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선박의 내부 소화시스템
KR20170028680A (ko) 2015-09-04 2017-03-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화재 방재시스템 및 방법
KR101738608B1 (ko) * 2015-10-13 2017-05-22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257B1 (ko) * 2019-07-03 2020-03-16 (주)에스지솔루션 배전반용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92412A (zh) 2019-04-30
KR102023104B1 (ko) 2019-11-04
CN109692412B (zh) 2021-08-27
SG10201804430RA (en)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6577B2 (en) Engine generator
US8207621B2 (en) Modular panels for enclosures
EP3938697B1 (en) A fuel tank arrangement in a marine vessel and a method of relieving hydrogen from a liquid hydrogen fuel tank arrangement
KR101919924B1 (ko) 가스 배관 시스템 및 이를 탑재한 선박
KR102250483B1 (ko) 연료공급시스템
KR20210128527A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90044357A (ko)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02789A (ko) 액화 가스 배출 시스템, 액화 가스 저장용 탱크, 액화 가스 탱크를 개조하는 방법, 및 액화 가스 탱크를 구축하는 방법
KR102327408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077877B1 (ko) 컨테이너선
KR20160021596A (ko) 컨테이너 선박 및 그 배치 구조
KR102595978B1 (ko) 벙커링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박
JP7343541B2 (ja) 車両、及び船舶
KR101738229B1 (ko) 컨테이너선
KR101752959B1 (ko) 컨테이너선
JP6750100B2 (ja) 船舶におけるガス燃料の使用
KR102327406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2089116B1 (ko) 컨테이너선
KR102312884B1 (ko) 연료가스 파이프의 노출형 배관 설비를 갖춘 선박
US11715963B1 (en) Battery storage container and wellness system
KR102670761B1 (ko) 컨테이너 선박의 lfs 시스템 배치구조
KR20160098549A (ko) 컨테이너선
KR101785775B1 (ko) 컨테이너선
KR20240025313A (ko) 가스연료 추진선박의 배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