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271A - 유리판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판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271A
KR20190044271A KR1020170136501A KR20170136501A KR20190044271A KR 20190044271 A KR20190044271 A KR 20190044271A KR 1020170136501 A KR1020170136501 A KR 1020170136501A KR 20170136501 A KR20170136501 A KR 20170136501A KR 20190044271 A KR20190044271 A KR 20190044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rotary shaft
coupled
hous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3506B1 (ko
Inventor
오두환
Original Assignee
오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두환 filed Critical 오두환
Priority to KR1020170136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5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7/2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for grinding or polishing glass
    • B24B7/24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for grinding or polishing glass for plate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 B24B55/03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designed as a complete equipment for feeding or clarifying coo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4Protective covers for the grind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판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모터의 회전축 중심에 분사공을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중공형으로 형성하고, 회전축 선단부에는 연마부재를 결합하면서 안내홀을 관통시켜 분사공에 연결하는 구조를 실현하여서, 연마액을 회전축의 분사공과 연마부재의 안내홀을 통해 글라스의 가공할 부분으로 직접 분사하여 연마하게 함으로써, 글라스에 대한 연마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연마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드(8) 상부에 설치되는 테이블(10); 상기 테이블(10)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안내봉(12); 상기 안내봉(12)을 따라 승,하강하는 이동부재(14); 상기 안내봉(12) 상단부에 고정판(22)으로 결합 되면서 로드(26) 선단부를 이동부재(14)의 상부에 결합하며 설치되는 실린더(24); 상기 이동부재(14)의 하부에 결합 되면서 하우징(28)을 테이블(10)에 수직으로 관통시키고, 회전축(34)은 글라스(2) 위로 배치하는 모터(20); 상기 회전축(34)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글라스(2)를 연마하는 연마부재(54); 상기 테이블(10)에 설치되면서 모터(20)가 상승할 때 하우징(28)의 외주면에 묻은 연마액을 닦아서 통과시키는 클리닝부재(62);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리판 연마장치{Polishing apparatus of glass plate}
본 발명은 유리판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회전축 중심에 분사공을 축 중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서 중공형으로 형성하고, 회전축 선단부에는 연마부재를 결합하면서 안내홀을 관통시켜 분사공에 연결하는 구조로 만들어서, 연마액을 회전축의 분사공과 연마부재의 안내홀을 통해 글라스의 가공할 부분으로 직접 분사하여 연마하게 함으로써, 글라스에 대한 연마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연마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또한, 모터의 상,하부커버 외측에 상,하부방호부재를 고정 설치 하면서 회전축을 관통시켜 결합하는 구조로 만들어서, 연마액이 분사 되면서 모터쪽으로 튀면 상,하부방호부재가 모터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함으로써, 회전축에 결합된 베어링과 씰을 연마액으로 부터 보호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또한, 연마부재를 구성하는 어댑터와 링매스에 자석을 설치하여 착,탈식으로 부착 및 분리하고, 링매스와 연마부에 고리벨크로와 후크벨크로를 각각 설치하여 부착 및 분리하는 구조로 만들어서, 사용된 연마부는 당겨서 링매스로부터 간단히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마부에 대한 교환작업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한 유리판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마장치는 연마액을 글라스로 공급하면서 연마패드로 연마작업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마장치는 연마액 분사노즐을 연마패드 외측에 배치하여 분사하게 됨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연마액에 의해 모터를 구성하는 회전축에 결합된 베어링과 씰이 쉽게 손상되며, 또한 회전축에 연마패드가 조립되어 있어서 교환작업할 때 불편함이 있는데, 따라서 최근에는 연마장치를 사용하기에 편리한 구조로 개선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KR 10-1490458 B1 2015.1.30. "모바일 기기의 곡면 윈도우 글라스 내경 및 평면 연마기"를 도 1 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마기의 테이블(112) 위에는 글라스를 고정하는 지그(111)에 진공흡입관(62)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그(111) 위에는 승,하강하는 모터(221)가 연마치구(211)를 수직으로 배치하면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마치구(211) 외측으로 연마액 분사노즐(3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지그(111)에 글라스를 올려 놓고 진공압으로 고정시킨 다음, 상기 모터(221)를 작동시켜 연마치구(211)를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글라스 전면으로 하강시키고, 동시에 상기 분사노즐은 연마액을 글라스 위로 분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마치구(211)는 연마액으로 글라스를 연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분사노즐을 연마치구(211) 외측으로 배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연마기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연마 패드의 이동과 분사노즐이 불일치하여 균일한 품질 실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연마액이 분사되면 연마과정에서 튀게 되어 일부가 모터(221) 내부로 유입 되는데, 이때 회전축에 결합된 베어링과 씰 등이 연마액에 의해 손상되게 된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연마치구(211)에는 연마패드가 조립되어 있어서 교환작업을 할 때 분리 및 조립에 불편함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490458호 (2015.01.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터의 회전축 중심에 분사공을 축 중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중공형으로 형성하고, 회전축 선단부에는 연마부재를 결합하면서 안내홀을 관통시켜 분사공에 연결하는 구조를 실현하여서, 연마액을 회전축의 분사공과 연마부재의 안내홀을 통해 글라스의 가공할 부분으로 직접 분사하여 연마하게 함으로써, 글라스에 대한 연마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연마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둘째, 모터의 상,하부커버 외측에 상,하부방호부재를 고정 설치 하면서 회전축을 관통시켜 결합하는 구조를 실현하여서, 연마액이 분사 되면서 모터쪽으로 튀면 상,하부방호부재가 모터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함으로써, 회전축에 결합된 베어링과 씰을 연마액으로 부터 보호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셋째, 연마부재를 구성하는 어댑터와 링매스에 자석을 설치하여 착,탈식으로 부착 및 분리하고, 링매스와 연마부에 고리벨크로와 후크벨크로를 각각 설치하여 부착 및 분리하는 구조를 실현하여서, 사용된 연마부는 당겨서 링매스로부터 간단히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마부에 대한 교환작업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첫째, 글라스(2) 고정용 지그(6)가 장착된 베드(8) 상부에 설치되는 테이블(10);
상기 테이블(10)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안내봉(12);
상기 안내봉(12)을 따라 승,하강하는 이동부재(14);
상기 안내봉(12) 상단부에 고정판(22)으로 결합 되면서 로드(26) 선단부를 이동부재(14)의 상부에 결합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실린더(24);
상기 이동부재(14)의 하부에 결합 되면서 하우징(28)을 테이블(10)에 수직으로 관통시키고, 회전축(34)은 글라스(2) 위로 배치하는 모터(20);
상기 회전축(34)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글라스(2)를 연마하는 연마부재(54);
상기 테이블(10) 저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모터(20)가 상승할 때 하우징(28)의 외주면에 묻은 연마액을 닦아서 통과시키는 클리닝부재(62);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클리닝부재(62)에는 테이블(10) 저면에 고정나사로 결합 되면서 모터(20)의 하우징(28)을 관통 결합하는 링(88)이 구성되며, 상기 링(88)의 내주면 상부에는 턱면(90)이 형성되고, 상기 턱면(90)에는 클리너(92)가 결합되며, 상기 클리너(92)는 모터(20)의 하우징(28) 하부에 묻은 연마액을 닦아서 하우징(28)을 깨끗한 상태로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모터(20)의 회전축(34)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분사공(48)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분사공(48) 상단부에는 로터리조인트(50)가 연결 되면서 회전축(34)에 결합되며, 상기 로터리조인트(50)에는 연마액공급장치(52)가 연결되고, 상기 분사공(48)을 통하여 공급되는 연마액은 연마부재(54)에 형성한 안내홀(56)을 통하여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터(20)의 회전축(34) 중심에 분사공(48)을 축 중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중공형으로 형성하고, 회전축(34) 선단부에는 연마부재(54)를 결합하면서 안내홀(56)을 관통시켜서 분사공(48)에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따라서 연마액을 회전축(34)의 분사공(48)과 연마부재(54)의 안내홀(56)을 통해 글라스(2)의 가공 부분으로 직접 분사 하면서 연마하게 됨으로, 글라스(2)에 대한 연마 효율은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동시에 연마장치(4)의 구조가 단순화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모터(20)의 상,하부커버(30,32) 외측에 상,하부방호부재(58,60)가 고정 설치 되면서 회전축(34)을 관통시켜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관계로, 연마액이 모터(20)쪽으로 튀면 상,하부방호부재(58,60)가 모터(2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됨으로, 회전축(34)에 결합된 베어링(36)과 씰(38)은 연마액으로 부터 보호되어 손상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연마부재(54)를 구성하는 어댑터(94)와 링매스(122)에 자석(120)을 설치하여 착,탈식으로 부착 및 분리하고, 링매스(122)와 연마부(130)에 고리벨크로(126)와 후크벨크로(128)를 각각 설치하여 부착 및 분리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따라서 사용된 연마부(130)는 당겨서 링매스(122)로부터 간단히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게 됨으로, 연마부(130)의 교환작업 편리성은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인 연마장치가 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연마장치가 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모터의 단면도.
도 4a,4b,4c 는 도 3 의 "A" 부분을 나타낸 상부 방호부재의 상태도.
도 5a,5b,5c 는 도 3 의 "B" 부분을 나타낸 하부 방호부재의 상태도.
도 6a,6b,6c 는 도 2 의 "C" 부분을 나타낸 클리닝 부재의 상태도.
도 7a,7b,7c 는 도 3 의 "D" 부분을 나타낸 연마 부재의 상태도.
도 8a,8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연마부재의 상태도.
도 9a,9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모터의 상태도.
도 10a,10b,10c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벨로우즈가 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도.
본 발명은 모바일용 폴리싱(polishing)장치의 연마과정에서 글라스(2)를 연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그 구조를 도 2 내지 도 7 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마장치(4)(도2참조)에는 글라스(2) 고정용 지그(6)가 장착된 베드(8) 상부에 테이블(10)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10) 상부에는 다수개의 안내봉(12)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안내봉(12) 각각에는 승,하강하는 이동부재(14)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이동부재(14)에는 안내봉(12)을 따라 이동하는 무브슬리브(16)가 구성 되면서 각각 리니어베어링으로 결합되고, 상기 무브슬리브(16)의 상단부에는 이동판(18)이 나사로 결합 되면서 안내봉(12)을 관통 결합하며, 상기 무브슬리브(16) 하단부에는 모터(20)가 결합되어 함께 승,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봉(12)의 상단부에는 고정판(22)이 수평으로 배치 되면서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22)에는 실린더(24)가 수직으로 설치 되면서 로드(26) 선단부를 이동판(18)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실린더(24)의 로드(26)에 의해 이동부재(14)와 모터(20)가 함께 안내봉(12)을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모터(20)(도3참조)에는 상,하부를 개방한 원통형 하우징(28)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8)의 상,하부에는 상,하부커버(30,32)가 각각 결합 고정되며, 상기 상,하부커버(30,32) 각각의 중심에는 회전축(34)이 관통하면서 베어링(36)과 씰(seal)(38)을 결합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34)에는 영구자석(40)이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28)의 내주면에는 코일(42)이 고정 설치 되면서 영구자석(40)과는 간격을 두고 분리 설치되며, 상기 코일(42)에는 PCB(44)가 연결 되면서 하우징(28)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PCB(44)는 외부에 설치된 인버터(46)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4)의 중심에는 축 중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분사공(48)이 중공형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분사공(48)의 상단부에는 로터리조인트(50)가 연결 되면서 회전축(34)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로터리조인트(50)에는 연마액공급장치(52)가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34) 하단부에는 연마부재(54)가 결합 되면서 글라스(2) 위에 배치되고, 상기 연마부재(54)에는 분사공(48)에 연결되는 안내홀(56)이 중앙에 관통 형성된다.
계속하여, 상기 모터(20)의 하우징(28)에 결합된 상,하부커버(30,32)의 외측에는 분사된 연마액이 튀어서 회전축(34)을 따라 하우징(28)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상,하부방호부재(58,6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10) 저면에는 모터(20)가 상승할 때 하우징(28)의 외주면에 묻은 연마액을 닦아서 통과시키는 클리닝부재(62)(도2참조)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부방호부재(도4b참조)는 받침대(64)와 캡(66)으로 분리 구성 되는데, 상기 받침대(64)에는 상부커버(30)의 외측에 고정나사로 결합되는 플렌지(68)가 구성되고, 상기 플렌지(68)는 회전축(34)을 관통 결합하면서 캡(66)의 하단부를 상단면에 근접 배치하며, 상기 받침대(64)의 중앙에는 슬리브(70)가 상부로 돌출하여 형성 되면서 회전축(34)을 결합한다.
상기 캡(66)은 받침대(64)와 분리되어 있으면서 회전축(34)에 세트스크루우(72)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캡(66)의 내부에는 슬리브(70)가 상측까지 삽입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연마액이 분사 되어 튀면서 캡(66)의 하단부와 플렌지(68) 사이의 틈으로 일부가 유입 되더라도 슬리브(70)에 의해 차단되어 다시 밖으로 흘러 나가게 됨으로, 상기 상부방호부재(58)에 의해 회전축(34)과 베어링(36)과 씰(38)은 연마액으로 부터 보호되어 손상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방호부재(60)(도5b참조)에는 바디(74)와 캡(76)이 분리 구성 되는데, 상기 바디(74)에는 회전축(34)을 관통 결합하면서 하부커버(32)의 외측에 고정나사로 결합되는 블록(78)이 구성되고, 상기 블록(78)의 중앙에는 내부슬리브(80)가 형성되면서 회전축(34)을 결합하게 된다.
상기 내부슬리브(80)와 블록(78)의 내벽 사이에는 U자홈(82)이 형성되고, 상기 U자홈(82)의 바닥에는 오리피스(84)가 블록(78)의 외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U자홈(82)에는 캡(76)이 삽입 되면서 내부슬리브(80)를 내부의 상측까지 삽입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캡(76)은 회전축(34)에 세트스크루우(86)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연마액이 분사되어 튀면서 회전축(34)과 내부슬리브(80)의 틈 사이로 유입되면, 연마액은 대부분 다시 외부로 빠져 나가지만 일부 연마액은 내부슬리브(80)를 넘어서 U자홈(82)으로 이동한 후 오리피스(84)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됨으로, 상기 하부방호부재(60)에 의해 회전축(34)과 베어링(36)과 씰(38)은 연마액으로 부터 보호되어 손상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리닝부재(62)(도6a참조)에는 안내홀(11)을 관통 형성한 테이블(10)의 저면에 고정나사로 결합 되면서 모터(20)의 하우징(28)을 관통 결합하는 링(88)(도6b참조)이 구성되고, 상기 링(88)의 내주면에는 턱면(90)이 형성되며, 상기 턱면(90)에는 원형 모양으로 된 클리너(92)가 결합 되면서 하우징(28)의 외주면을 미끄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리너(92)는 테이블(10)의 안내홀(11)에 결합된 하우징(28)의 하부에 묻은 연마액을 닦아서 깨끗한 상태로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클리닝부재(62)의 외측에는 연마액이 모터(20)의 하우징(28)과 하부방호부재(60) 등에 묻지 않도록 한 커버(184)를 도 10a,10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설치할 수 있는데, 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커버(184)는 벨로우즈(bellows)(186)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벨로우즈(186)의 상단부는 클리닝부재(62) 외측에 위치한 테이블(10)의 저면에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벨로우즈(186)의 하단부는 하부방호부재(60)를 구성하는 블록(78)의 하단부에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벨로우즈(186)는 테이블(10)의 저면에서 부터 하부방호부재(60) 사이를 밀폐시키며 설치되어 있게 되고, 상기 벨로우즈(186) 외면에는 비산하면서 튀는 연마액이 묻게 되는데, 따라서 상기 클리닝부재(62)부재와 하부방호부재(60)와 모터(20)의 하우징(28) 등에는 연마액이 묻지 않게 된다.
상기와는 달리 도10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로우즈(186)의 하부에 배출공(188) 다수개를 관통시켜 형성함으로써, 상기 블록(78)의 오리피스(84)를 통하여 빠져 나온 연마액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계속하여, 상기 회전축(34)(도7a참조)의 하부에는 연마부재(54)를 구성하는 어댑터(94)가 결합 되는데, 상기 어댑터(94)를 형성한 블록(96)에는 회전축(34)의 분사공(48)에 연결되는 안내홀(98)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안내홀(98)의 상부에는 결합홈(102)이 형성되어 회전축(34)의 하부를 삽입하게 된다.
상기 결합홈(102)의 상부 타측에는 횡 방향으로 절취한 가로홈(104)이 블록(96)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로홈(104)의 상측 중간부에는 절개공(106)(도7b참조)이 형성되어서 좌,우측으로 유동편a,b(108,110)를 분리 형성하게 되며, 상기 유동편a(108)에는 고정나사(112)가 관통하여 결합 되면서 유동편b(110)에 체결된다.
상기 유동편a,b(108,110)는 고정나사(112)에 의해 절개공(106)쪽으로 오므라지면서 조임역할을 하게 됨으로, 상기 결합홈(102)에 삽입된 회전축(34)은 유동편a,b(108,110)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102)(도7a참조)의 하부에는 유입된 연마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인 오리피스(114)가 블록 외측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114)에는 세트스크루우(116)가 풀림 가능하게 체결 되는데, 이때 상기 오리피스(114)의 사용 여,부에 따라 세트스크루우(116)를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블록(96)의 저면에는 결합홈(118)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8) 양측으로는 자석(120)이 고정나사로 결합 되면서 매립되어 설치된다.
상기 블록(96)의 하부에는 착,탈되는 링매스(122)가 설치 되면서 결합홈(118)에 삽입되는 돌출부(124)를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링매스(122) 중앙에는 안내홀(56)을 관통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124) 양측으로는 자석(120)을 고정나사로 결합 하면서 매립하여 설치 하는데, 이때 상기 링매스(122)의 돌출부(124)가 블록(96)의 결합홈(118)에 삽입되면 자석(120)은 서로 자력의 작용력에 의해 부착되게 되고, 상기 링매스(122)는 블록(96)의 하부에 부착 되면서 고정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링매스(122)의 저면에는 고리벨크로(126)가 고정나사로 결합 되면서 중앙에 안내홀(56)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고리벨크로(126)의 하부에는 후크벨크로(128)를 상부에 설치한 연마부(130)가 부착되게 된다.
상기 연마부(130)는 후크벨크로(128)와 스폰지(132)와 연마패드(134)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 되면서 중앙에 안내홀(56)을 관통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연마패드(134)는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어 사용되는 것을 적용하지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계속하여, 상기 회전축(34) 하부에 결합되는 연마부재(54)의 다른 실시예를 도 8a 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마부재(54)를 구성하는 어댑터(94)와 링매스(1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고, 다만 상기 링매스(122)에는 풍선 모양의 고무(136) 외측면에 연마패드(138)를 부착한 팽창연마부(140)의 상측이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팽창연마부(140)의 상측은 링매스(122) 상단면에 고정나사로 결합되는 고정판(142)에 의해 밀폐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34)에는 로터리조인트(50)와 밸브(143)와 에어탱크(144)와 컴프레서(146)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에어탱크(144)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연마부(140)는 풍선 모양으로 팽창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4) 하부에 결합되는 연마부재(5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8b 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마부재(54)를 구성하는 어댑터(9)와 링매스(1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고, 다만 상기 링매스(122)에는 풍선 모양의 고무(148) 외측면에 연마패드(150)를 부착한 진공연마부(152)의 상측이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진공연마부(152)의 상측은 링매스(122)의 상단면에 고정나사로 결합되는 고정판(142)에 의해 밀폐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34)에는 로터리조인트(50)와 밸브(153)와 진공탱크(154)와 진공펌프(156)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진공탱크(154)로부터 전달되는 진공압에 의해 진공연마부(152)는 링매스(122)의 저면에 밀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모터(20)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 9a, 9b 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모터(20)를 구성하는 상,하부커버(30,32)와 하우징(28)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물관(158), 공기관(160), 진공흡입관(162) 등이 각각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물관(158)에는 밸브(164)와 펌프(166)와 물탱크(168)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공기관(160)에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밸브(170)와 에어탱크(172)와 컴프레서(174)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진공흡입관(162)에는 밸브(176)와 진공탱크(178)와 진공펌프(180)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물관(158)과 공기관(160)과 진공흡입관(162) 선단부에는 노즐(182)이 각각 결합 되는데, 상기 노즐(182)을 통하여 제공되는 압축공기와 진공 흡입력과 물 등은 연마작업으로 발생된 슬러지를 청소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되지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그(6)(도2참조)에 고정된 글라스(2)에 대해 연마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실린더(24)를 작동시키면, 상기 로드(26)가 전진하면서 이동판(18)을 밀어서 무브슬리브(16)가 안내봉(12)을 따라 하강하게 하는데, 이때 상기 무브슬리브(16)는 하단부에 결합된 모터(20)와 함께 하강하게 되고, 상기 모터(20)의 하우징(28)은 테이블(10)의 안내홀(11)을 통하여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터(2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회전축(34)의 선단부에 결합된 연마부재(54)가 글라스(2) 위로 하강함으로써 연마작업 준비 상태를 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모터(20)의 하우징(28) 일부가 클리닝부재(62)(도6b참조)의 링(88)에 결합된 클리너(92)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이후로, 인버터(46)(도3참조)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에 따라 모터(20)가 작동하면서 회전축(34)을 연마부재(54)와 함께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축(34)은 상부방호부재(58)의 캡(66)과 하부방호부재(60)의 캡(76)을 셋트스크루우(72,86)로 결합하고 있는 관계로 함께 회전하고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터(2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인버터(46)로 모터(20)의 회전속도를 1200rpm∼2400rpm 으로 조절하게 되지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동시에 상기 연마액공급장치(52)로 부터 공급되는 연마액은 로터리조인트(50)를 통과하여 회전축(34)의 분사공(48)을 따라 이동한 후 연마부재(54)의 안내홀(56)을 통하여 글라스(2) 위로 분사 되는데, 이때 상기 연마패드(134)는 연마액으로 글라스(2)를 연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마패드(134)가 글라스(2)를 연마하는 과정에서 분사된 연마액은 사방으로 비산하면서 테이블(10)의 상,하부로 튀게 되는데, 이때 비산한 연마액의 일부는 상,하부방호부재(58,60)와 모터(20)의 하우징(28)쪽으로 튀면서 묻게 된다.
상기 상부방호부재(58)쪽으로 튀는 연마액의 일부는 캡(66)의 외주 벽면에 부딪치면서 아래로 이동한 후, 상기 연마액은 플렌지(68)의 상부와 모터(20)의 상부커버(30)를 따라 순차적으로 흘러서 아래로 낙하하게 된다.
동시에 일부 연마액은 캡(66)과 플렌지(68)의 틈 사이를 통하여 상부방호부재(58)의 내부로 유입 되지만, 상기 연마액은 캡(66) 내부에서 상부측 까지 삽입된 슬리브(70)의 외주 벽면에 부딪친 후 다시 캡(66)과 플렌지(68) 사이의 틈으로 빠져나와 흘러 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비산하면서 튀는 연마액은 모터(20)의 회전축(34)을 따라 하우징(28) 내부로 진입할 수 없게 됨으로, 상기 상부방호부재(58)에 의해 회전축(34)과 베어링(36)과 씰(38)은 연마액으로 부터 보호되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방호부재(60)(도5b참조)쪽으로 튀는 연마액의 일부는 바디(74)의 블록(78) 외벽에 부딪치면서 아래로 흘러 낙하하게 되고, 동시에 일부 연마액은 블록(78)과 회전축(34)의 틈 사이를 통하여 하부방호부재(60) 내부로 유입 되는데, 이때 상기 연마액은 대부분 다시 외부로 빠져나가지만 일부는 내부슬리브(80)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한 다음, 상기 내부슬리브(8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여 U자홈(82)의 바닥면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이후로 연마액은 U자홈(82)에서 오리피스(84)를 통하여 블록(78)의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아래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비산하면서 튀는 연마액은 모터(20)의 회전축(34)을 따라 블록(78) 내부로 진입할 수 없게 됨으로, 상기 하부방호부재(60)에 의해 회전축(34)과 베어링(36)과 씰(38)은 연마액으로 부터 보호되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리닝부재(62)(도6a참조)쪽으로 튀는 연마액의 일부는 테이블(10) 아래로 노출된 모터(20)의 하우징(28) 외주면에 묻게 되는데, 이러한 연마액은 실린더(24)의 작용으로 모터(20)가 상향하는 과정에서 하우징(28)의 외주면에 묻은 연마액은 클리닝부재(62)에 설치된 클리너(92)에 의해 닦여지면서 테이블(10) 위로 상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리너(92) 아래에 위치한 모터(20)의 하우징(28)은 연마액이 여전히 묻어 있게 되고, 상기 테이블(10) 위에 위치한 하우징(28)은 연마액이 닦여져 있게 된다.
상기와는 달리 도 10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구성된 벨로우즈(186) 쪽으로 연마액이 튀게 되면, 상기 벨로우즈(186) 외면에 연마액이 묻게 되고, 상기 벨로우즈(186)의 내부에 위치한 클리닝부재(62)와 모터(20)의 하우징(28)과 하부방호부재(60) 등에는 연마액이 묻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20)가 승,하강하면 벨로우즈(186)는 도 10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도 10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로우즈(186)가 펼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마액이 튀는 과정에서 일부는 회전축(34)을 따라 하부방호부재(60)를 구성하는 블록(78)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블록(78)의 오리피스(84)를 통하여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때 도 10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벨로우즈(186)의 하부에 위치한 배출공(188)을 통하여 연마액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부재(54)(도7a참조)로 글라스(2)를 연마하는 과정에서 연마액의 일부는 어댑터(94)쪽으로 튀게 되는데, 이러한 연마액은 어댑터(94)를 구성하는 블록(96)의 가로홈(104) 또는 회전축(34)이 결합된 블록(96)의 틈 사이를 통하여 결합홈(102) 내부로 유입되고, 이후로 연마액은 오리피스(114)를 통하여 블록(96)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홈(102)으로 유입된 연마액은 회전축(34)과 함께 회전하는 어댑터(94)의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됨으로, 상기 연마액은 어댑터(94)로부터 신속히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상기 연마부재(54)로 다량의 글라스(2)를 연마하면 연마패드(134)의 기능이 저하 됨으로 교환을 하게 되는데, 상기 연마부재(54)의 교환작업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연마부재(54)를 구성하는 링매스(122)를 당겨서 어댑터(94)로 부터 분리하면, 상기 링매스(122)에 설치된 자석(120)과 어댑터(94)에 설치된 자석(120)은 서로 분리되고, 동시에 상기 링매스(122)의 돌출부(124)가 어댑터(94)의 결합홈(102)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상기 이후로, 연마부(130)를 링매스(122)로 부터 분리하기 위해 당기면, 상기 연마부(130)의 후크벨크로(128)가 링매스(122)에 설치된 고리벨크로(126)부터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된 연마부(130)를 분리한 다음 새로운 연마부(130)를 구성하는 후크벨크로(128)를 고리벨크로(126)에 부착하면, 상기 링매스(122)에 연마부(130)가 부착 고정되게 된다.
상기 이후로, 링매스(122)의 돌출부(124)를 어댑터(94)의 결합홈(118)에 삽입하면, 상기 링매스(122)의 자석(120)은 어댑터(94)의 자석(120)에 자력으로 부착 되면서 고정 되는데, 따라서 새로운 연마부(130)의 교환작업은 종료된다.
한편, 상기와는 달리 도 8a 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연마부재(54)가 어댑터(94)에 장착되어 사용되면, 상기 에어탱크(144)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밸브(143)와 로터리조인트(50)를 지나 회전축(34)의 분사공(48)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압축공기는 링매스(122)의 안내홀(56)을 통하여 팽창연마부(140) 내부로 유입 되는데, 이때 고무(136)로 된 팽창연마부(140)에 적정 압력의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풍선처럼 부풀어지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20)를 작동시키면 연마부재(54)가 회전하면서 연마패드(138)가 글라스(2)를 전술한 바와 같이 연마하게 된다.
이때, 연마액은 미 도시된 다른 분사노즐을 통하여 글라스(2) 위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는 달리 도 8b 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의 연마부재(54)가 어댑터(94)에 장착되어 사용되면, 상기 진공탱크(154)에 저장된 진공압 공기는 밸브(153)와 로터리조인트(50)를 지나 회전축(34)의 분사공(48)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진공압 공기는 링매스(122)의 안내홀(56)을 통하여 진공연마부(152) 내부로 전달 되는데, 이때 고무(148)로 된 진공연마부(152)로 적정 압력의 진공압이 전달되면, 상기 진공연마부(152)는 링매스(122)의 저면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20)를 작동시키면 연마부재(54)가 회전하면서 연마패드(150)가 글라스(2)를 전술한 바와 같이 연마하게 된다.
이때, 연마액은 미 도시된 다른 분사노즐을 통하여 글라스(2) 위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는 다른 모터(20)(도9a참조)가 실린더(24)의 로드(26)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과정에서, 연마부재(54)로 글라스(2)를 연마할 때 발생된 다량의 슬러지를 청소하게 되는데, 그 작업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글라스(2) 주변으로 비산된 슬러지를 압축공기로 청소하기 위해 밸브(170)(도9b참조)를 개방하면, 상기 에어탱크(172)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공기관(160)을 따라 이동하여 노즐(182)을 통해 글라스(2) 위로 분사 되는데, 따라서 상기 글라스(2) 주변으로 비산되어 있는 슬러지는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청소되게 된다.
상기와는 달리 비산된 슬러지를 물로 청소하기 위해 펌프(166)를 작동시키면서 밸브(164)를 개방하면, 상기 물탱크(168)에 저장된 물은 물관(158)을 따라 이동하여 노즐(182)을 통해 글라스(2) 위로 분사 되는데, 따라서 상기 글라스(2) 주변으로 비산되어 있는 슬러지는 분사되는 물에 의해 청소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는 달리 비산된 슬러지를 진공압으로 청소하기 위해 밸브(176)를 개방하면, 상기 진공탱크(178)에 저장된 진공압이 진공흡입관(162)을 따라 이동하여 노즐(182)을 통해 작용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글라스(2) 주변으로 비산되어 있는 슬러지는 노즐(182)을 통하여 흡입 되면서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되는데, 따라서 상기 글라스(2) 주변으로 비산된 슬러지는 진공압에 의해 청소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2:글라스 4:연마장치
6:지그 8:베드
10:테이블 12:안내봉
14:이동부재 16:무브슬리브
18:이동판 20:모터
22:고정판 24:실린더
26:로드 28:하우징
30:상부커버 32:하부커버
34:회전축 36:베어링
38:씰 40:영구자석
42:코일 44:PCB
46:인버터 48:분사공
50:로터리조인트 52:연마액공급장치
54:연마부재 56,98:안내홀
58:상부방호부재 60:하부방호부재
62:클리닝부재 64:받침대
66,76:캡 68:플렌지
70:슬리브 72,86,116:세트스크루우
74:바디 78,96:블록
80:내부슬리브 82:U자홈
84,114:오리피스 88:링
90:턱면 92:클리너
94:어댑터 102,118:결합홈
104:가로홈 106:절개공
108:유동편a 110:유동편b
112:고정나사 120:자석
122:링매스 124:돌출부
126:고리벨크로 128:후크벨크로
130:연마부 132:스폰지
134.138,150:연마패드 136,148:고무
140:팽창연마부 142:고정판
144:에어탱크 146,174:컴프레서
152:진공연마부 154,178:진공탱크
156,180:진공펌프 158:물관
160:공기관 162:진공흡입관
164,170,176:밸브 166:펌프
168:물탱크 172:에어탱크
182:노즐

Claims (25)

  1. 글라스(2) 고정용 지그(6)가 장착된 베드(8) 상부에 설치되는 테이블(10);
    상기 테이블(10)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안내봉(12);
    상기 안내봉(12)을 따라 승,하강하는 이동부재(14);
    상기 안내봉(12) 상단부에 고정판(22)으로 결합 되면서 로드(26) 선단부를 이동부재(14)의 상부에 결합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실린더(24);
    상기 이동부재(14)의 하부에 결합 되면서 하우징(28)을 테이블(10)에 수직으로 관통시키고, 회전축(34)은 글라스(2) 위로 배치하는 모터(20);
    상기 회전축(34)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글라스(2)를 연마하는 연마부재(54);
    상기 테이블(10) 저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모터(20)가 상승할 때 하우징(28)의 외주면에 묻은 연마액을 닦아서 통과시키는 클리닝부재(62);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62)에는
    테이블(10) 저면에 고정나사로 결합 되면서 모터(20)의 하우징(28)을 관통 결합하는 링(88)이 구성되며,
    상기 링(88)의 내주면 상부에는 턱면(90)이 형성되고,
    상기 턱면(90)에는 클리너(92)가 결합되며, 상기 클리너(92)는 모터(20)의 하우징(28) 하부에 묻은 연마액을 닦아서 하우징(28)을 깨끗한 상태로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모터(20)의 회전축(34)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분사공(48)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분사공(48) 상단부에는 로터리조인트(50)가 연결 되면서 회전축(34)에 결합되며,
    상기 로터리조인트(50)에는 연마액공급장치(52)가 연결되고,
    상기 분사공(48)을 통하여 공급되는 연마액은 연마부재(54)에 형성한 안내홀(56)을 통하여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4. 청구항 1 또는 3 에 있어서,
    상기 모터(20)의 하우징(28)에 결합된 상,하부커버(30,32)의 외측에는 상,하부방호부재(58,6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방호부재(58,60)는 분사되어 비산하는 연마액이 튀어서 회전축(34)을 따라 하우징(28)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상부방호부재(58)에는 회전축(34)을 관통 결합하면서 상부커버(30)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64)가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64)의 상부에는 캡(66)이 분리되어 위치하면서 회전축(34)에 세트스크루우(72)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기 캡(66)은 비산하여 튀는 연마액이 회전축(34)을 따라 하우징(28)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64)에는 상부커버(30)에 고정나사로 결합되는 플렌지(68)가 구성되고,
    상기 플렌지(68)는 회전축(34)을 관통 결합하면서 캡(66)의 하단부를 상단면에 근접 배치하고,
    상기 받침대(64) 중앙에는 슬리브(70)가 상부로 돌출 형성 되면서 회전축(34)을 결합하며,
    상기 슬리브(70)는 캡(66)의 내부에 상측까지 삽입하고,
    상기 캡(66)의 하단부와 플렌지(68) 사이로 유입되는 일부 연마액은 슬리브(70)에 의해 차단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7.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하부방호부재(60)에는 회전축(34)을 관통 결합하면서 하부커버(32)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바디(74)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74)의 내부에는 캡(76)이 분리되어 위치하면서 회전축(34)에 세트스크루우(86)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기 바디(74)는 비산하여 튀는 연마액을 1차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바디(74)를 통과하여 회전축(34)을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일부 연마액은 캡(76)이 2차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바디(74)에는 하부커버(32)에 고정나사로 결합되는 블록(78)이 구성되고,
    상기 블록(78)은 내부슬리브(80)를 형성하여 회전축(34)을 결합하면서 블록(78)의 내벽 사이에서 U자홈(82)을 형성하며,
    상기 U자홈(82)에는 캡(76)을 삽입시키면서 내부슬리브(80)를 캡(76)의 내부 상측까지 삽입되게 하고,
    상기 회전축(34)과 내부슬리브(80) 사이로 유입되는 일부 연마액은 캡(76)과 내부슬리브(80) 사이에서 차단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연마장치.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U자홈(82)에 오리피스(84)를 블록(78) 외측으로 관통시켜 형성하고,
    상기 U자홈(82)으로 유입된 연마액은 오리피스(84)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10.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54)에는 회전축(34) 하부에 결합 되면서 분사공(48)에 연결되는 안내홀(98)을 중앙에 관통 형성한 어댑터(94)가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94) 하부에는 고리벨크로(126)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리벨크로(126)에는 연마부(130)가 후크벨크로(128)를 상부에 설치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고리벨크로(126)와 후크벨크로(128)를 상부에 설치한 연마부(130)에는 분사공(48)에 연결되는 안내홀(56)이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130)는 후크벨크로(128)와 스폰지(132)와 연마패드(134)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연마장치.
  12.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94)를 구성하는 블록(96)의 안내홀(98) 상부에는 회전축(34)이 삽입되는 결합홈(102)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02)의 상부 타측에는 횡 방향으로 절취한 가로홈(104)을 블록(96)의 일부에 형성하며,
    상기 가로홈(104)의 상측으로 절개공(106)을 형성하여 블록(96) 상부에 유동편a,b(108,110)를 양측으로 분리 형성하고,
    상기 유동편a(108)에 고정나사(112)를 관통시켜서 유동편b(110)에 체결하면, 결합홈(102)에 삽입된 회전축(34)은 조임역할을 하는 유동편a,b(108,11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13. 청구항 12 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02)의 하부에는 블록(96) 외측으로 관통된 오리피스(114)가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114)는 가로홈(104) 또는 결합홈(102)을 통하여 유입된 연마액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14. 청구항 13 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114)에는 세트스크루우(116)가 풀림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15. 청구항 12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94)의 하부에 링매스(122)가 착,탈식으로 부착되고, 상기 링매스(122)의 저면에는 고리벨크로(126)가 고정나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16. 청구항 15 에 있어서,
    상기 블록(96)의 저면과 링매스(122)의 상단면에는 자석(120)이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자석(120)은 서로 착,탈됨으로써 링매스(122)가 블록(96)에 부착 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17. 청구항 16 에 있어서,
    상기 블록(96)의 저면에 결합홈(118)을 형성하고,
    상기 링매스(122)의 상단면에는 돌출부(124)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124)가 결합홈(118)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18.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62)의 외측에 위치한 테이블(10)의 저면에서 부터 하부방호부재(60)의 블록(78) 하단부까지 커버(184)가 밀폐되어 설치되고, 상기 커버(184)는 연마액이 클리닝부재(62)와 모터(20)의 하우징(28)과 하부방호부재(60) 등에 묻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19. 청구항 18 에 있어서,
    상기 커버(184)는 벨로우즈(186)로 구성되며,
    상기 벨로우즈(186)의 상단부는 테이블(10)의 저면에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벨로우즈(186)의 하단부는 하부방호부재(60)의 블록(78) 하단부에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벨로우즈(186)는 모터(20)의 하우징(28)이 승,하강할 때 접혀지고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20. 청구항 19 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186)의 하부에 배출공(188) 다수개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21. 상,하부를 개방한 원통형 하우징(28);
    상기 하우징(28)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하부커버(30,32)
    상기 상,하부커버(30,32)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베어링(36)과 씰(38)을 각각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4);
    상기 회전축(34)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는 영구자석(40);
    상기 하우징(28) 내부에 고정 설치 되면서 영구자석(40)과는 분리되어 배치되는 코일(42);
    상기 코일(42)에 연결되어 하우징(28) 내부에 고정 설치 되면서 인버터(46)에 연결되는 PCB(44);로 모터(20)를 구성하는 유리판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4)의 중심에 길이 방향을 따라 분사공(48)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분사공(48)의 상단부에는 로터리조인트(50)가 연결 되면서 회전축(34)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34) 하단부에는 글라스(2)를 연마하는 연마부재(54)가 결합 되면서 분사공(48)에 연결되는 안내홀(56)을 중앙에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연마장치.
  22. 청구항 21 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조인트(50)에 연마액공급장치(52)를 연결하여서, 연마액이 로터리조인트(50)와 회전축(34)의 분사공(48)과 연마부재(54)의 안내홀(56)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분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23. 청구항 21 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54)에는 회전축(34)에 결합되는 어댑터(94)가 저면에 자석(120)을 결합하면서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94) 하부에는 링매스(122)가 상단부에 자석(120)을 결합하여 착,탈식으로 부착 되면서 중앙에 안내홀(56)을 관통 형성하며,
    상기 링매스(122)에는 풍선 모양의 고무(136) 외측면에 연마패드(138)를 부착한 팽창연마부(140)의 상측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팽창연마부(140)의 상측은 링매스(122) 상단면에 설치되는 고정판(142)에 의해 밀폐 고정되며,
    상기 팽창연마부(140)는 회전축(34)의 분사공(48)을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함으로써 글라스(2)를 연마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24. 청구항 21 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54)에는 회전축(34)에 결합되는 어댑터(94)가 저면에 자석(120)을 결합하면서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94) 하부에는 링매스(122)가 상단부에 자석(120)을 결합하여 착,탈식으로 부착되면서 중앙에 안내홀(56)을 관통 형성하며,
    상기 링매스(122)에는 풍선 모양의 고무(148) 외측면에 연마패드(150)를 부착한 진공연마부(152)의 상측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진공연마부(152)의 상측은 링매스(122) 상단면에 설치되는 고정판(142)에 의해 밀폐 고정되며,
    상기 진공연마부(152)는 회전축(34)의 분사공(48)을 통하여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고무(148)와 연마패드(150)가 링매스(122)의 저면에 밀착함으로써 글라스(2)를 연마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리판 연마장치.
  25. 청구항 21 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커버(30,32)와 하우징(28)에 길이 방향을 따라 물관(158), 공기관(160), 진공흡입관(162)을 각각 관통 형성하고,
    상기 물관(158)에는 물탱크(168)에 연결된 펌프(166)를 연결하며,
    상기 공기관(160)에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탱크(172)를 연결하고,
    상기 진공흡입관(162)에는 진공탱크(178)를 연결하며,
    상기 물관(158), 공기관(160), 진공흡입관(162)의 선단부에는 노즐(182)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연마장치.







KR1020170136501A 2017-10-20 2017-10-20 유리판 연마장치 KR102043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501A KR102043506B1 (ko) 2017-10-20 2017-10-20 유리판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501A KR102043506B1 (ko) 2017-10-20 2017-10-20 유리판 연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184A Division KR101994606B1 (ko) 2019-04-12 2019-04-12 유리판 연마장치
KR1020190118228A Division KR102134105B1 (ko) 2019-09-25 2019-09-25 연마장치용 모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271A true KR20190044271A (ko) 2019-04-30
KR102043506B1 KR102043506B1 (ko) 2019-11-11

Family

ID=66285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501A KR102043506B1 (ko) 2017-10-20 2017-10-20 유리판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5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9913A (zh) * 2020-09-25 2020-12-29 安徽普蓝滤清器设备有限公司 一种滤清器加工用的侧壁打磨装置
CN115094495A (zh) * 2022-07-26 2022-09-23 重庆臻宝实业有限公司 一种cvd腔室工件的微弧氧化再生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6540A (ja) * 2006-06-29 2008-01-17 Disco Abrasive Syst Ltd 研磨加工方法
WO2011066213A1 (en) * 2009-11-30 2011-06-03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ormable polishing
KR101490458B1 (ko) 2014-02-20 2015-02-06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모바일 기기의 곡면 윈도우 글라스 내경 및 평면 연마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6540A (ja) * 2006-06-29 2008-01-17 Disco Abrasive Syst Ltd 研磨加工方法
WO2011066213A1 (en) * 2009-11-30 2011-06-03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ormable polishing
KR101490458B1 (ko) 2014-02-20 2015-02-06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모바일 기기의 곡면 윈도우 글라스 내경 및 평면 연마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9913A (zh) * 2020-09-25 2020-12-29 安徽普蓝滤清器设备有限公司 一种滤清器加工用的侧壁打磨装置
CN115094495A (zh) * 2022-07-26 2022-09-23 重庆臻宝实业有限公司 一种cvd腔室工件的微弧氧化再生制备方法
CN115094495B (zh) * 2022-07-26 2023-10-03 重庆臻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cvd腔室工件的微弧氧化再生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506B1 (ko)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606B1 (ko) 유리판 연마장치
CN111014132B (zh) 紧固件清洗干燥一体装置
KR101581871B1 (ko) 휴대형 사이클론 집진 연마장치
KR20190044271A (ko) 유리판 연마장치
JP3366061B2 (ja) 両面研磨機定盤の洗浄装置
US11712780B2 (en) Dust collecting treatment apparatus
JP6722054B2 (ja) 床面洗浄機
CN110281137B (zh) 提高浮法玻璃平整度的抛光设备及抛光方法
CN219293491U (zh) 一种减少扬尘的装修墙面打磨装置
CN217194763U (zh) 一种全自动喷砂机
KR101994608B1 (ko) 폴리싱 장치용 교환형 연마부재
KR102134105B1 (ko) 연마장치용 모터 구조
CN208451218U (zh) 一种推插式声测管生产加工用打磨装置
CN112295973A (zh) 一种板表面自动清洗打磨一体设备及打磨方法
JPH09239337A (ja) 給水槽内洗浄装置
CN205703774U (zh) 一种具有清洁装置的碳化硅抛光机
KR20210054278A (ko) 승압기 로터 세척장치
CN114714180B (zh) 天花板打磨机器人
CN219337417U (zh) 一种高效喷砂打磨机
CN215240229U (zh) 一种用于平面磨床的防护挡板机构
CN218776399U (zh) 一种砂光机的除尘机构
CN211734757U (zh) 家居面料的三面抛光机
CN220094279U (zh) 工件定点旋转喷砂、喷丸机
CN210790377U (zh) 一种机械加工用打磨装置
CN217211778U (zh) 一种磨料纯度检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