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190A -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 - Google Patents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190A
KR20190044190A KR1020170136282A KR20170136282A KR20190044190A KR 20190044190 A KR20190044190 A KR 20190044190A KR 1020170136282 A KR1020170136282 A KR 1020170136282A KR 20170136282 A KR20170136282 A KR 20170136282A KR 20190044190 A KR20190044190 A KR 20190044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plate
inorganic
fix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0912B1 (ko
Inventor
김의현
이목우
유제정
Original Assignee
(주)한국록셀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록셀보드 filed Critical (주)한국록셀보드
Priority to KR1020170136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9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006Means for guiding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기발포판재의 상면 또는 상하면에 접합된 무기발포판재로 된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유용하게 적용 가능한 단열복합판재에 대하여, 양측의 측면 고정판이 유기발포판재의 양측에 고정됨과 아울, 양측의 기준면 플레이트가 유기발포판재의 양측에 인접한 전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커터 장착 모듈이 고정된 선형 운동 가이드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활주 운동시키는 것에 의해, 무기발포판재 잉여부를 공수 절감 하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높은 치수 정확도로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무기발포판재 잉여부의 폭 치수 또는 폭 치수 구배(gradient) 여부 등과 무관하게 유기발포판재의 측면을 기준으로 무기발포판재 잉여부를 상기한 유기발포판재의 측면에 정확히 일치하게 절단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CUTTING APPARATUS FOR EXCESS PART OF INORGANIC EXPANDED PANEL IN COMPOSITE INSULATION PANEL AND CUTTING METHOD FOR EXCESS PART OF INORGANIC EXPANDED PA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발포판재와 그 일 표면 또는 양 표면에 접합된 무기발포판재로 이루어진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를 공수 절감 하에 높은 치수 정확도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가 있는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효율적인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에 괸한 것이다.
신 기후 체제 출범에 따라 건물부분의 에너지 절약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하여 2017.01 시행된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은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해 제로에너지 실현 정도에 따라 5개 등급으로 구분 인증하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제로인증제)를 규정하고 있으며, 공공부문은 2020년부터, 그리고 민간부문은 2025년부터 모든 신축 건물에 대한 제로에너지 의무화 목표를 수립하고 있다.
제로에너지 건축물은 첨단 단열공법을 이용하여 열손실을 저감시킴으로써 겨울철 난방비는 75-95%, 여름철 난방비는 50% 이상 절약할 수 있는 저에너지 사용 건축물로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하여 화석연료의 사용을 절감할 수 있어, 일명 ‘그린 건축물’이라고도 일컬어지고 있다.
열교 차단을 통한 에너지 손실을 저감하기 위한 단열 시공법으로서는, 단독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공공건물과 같은 건축물의 외벽, 벽체 중간 및, 내벽의 어느 부분에 단열 시공을 하는가에 따라 외단열, 중단열 및, 내단열로 분류되며, 이 중에서 외단열은 건축물의 외피에 단열층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단열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외단열 공법의 전형적인 예로서는 소위 ‘드라이비트 공법’을 들 수 있으며, 이 공법은 콘크리트 벽체나 슬래브와 같은 무기 구조재 표면에 화학제를 첨가한 시멘트 모르타르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품명 ‘스티로폼’또는 ‘아이소핑크’와 같은 발포 비드법 폴리스티렌 패널을 붙인 다음, 그 위에 유리 섬유 메시를 붙이고, 다시 상기한 화학제를 첨가한 접착 모르타르를 도포한 다음, 다양한 화학적 마감재로 마감처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발포 폴리스티렌 패널은 유기계이므로 콘크리트 벽체나 슬래브와 같은 무기 구조재 표면에 대한 접착력이 취약하므로 다량의 유기 화학적 접착제를 사용할 수밖에 없고, 화학적 마감재를 이용하므로 화재에 매우 취약함과 아울러, 구조적 지지 강성이 약하여 다양한 종류의 파스너 혹은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부착력을 강화함이 통상적이며, 불량 시공의 경우 또는 태풍 등과 외력에 의해 외단열 구조체가 뜯겨 나갈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한국특허등록 제10-1211383호(2012.12.06. 등록)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유기(수지)발포판재; 상기한 유기발포판재의 표면상에 적층되는 탄산칼슘과 탈크,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무기 충진재 40~65중량% 및, 염화비닐수지 35~60중량%로 이루어지며 불연속 독립 셀(cell)의 평균 입경이 0.3~3.0mm인 무기발포판재; 및 상기한 유기발포판재와 무기발포판재 사이의 접착층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무기발포판재의 두께가 3~50mm이고, 무기발포판재:유기발포판재의 두께비가 1:1~20인 탄산칼슘계 단열복합판재를 제안한 바 있으며, 여기서 상기한 무기 충진재는 탄산칼슘 25~35중량%, 탈크 10~20중량%, 산화아연 5~10중량%로 구성되고, 상기한 유기발포판재는 폴리스티렌 발포체,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폴리에틸렌 발포체로 구성되는 상품명 ‘록셀보드’를 생산하여 상업적으로 판매하여 왔다.
상기한 단열복합판재는, 도 1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예컨대 두께 110mm의 발포폴리스티렌 판재가 2매 접합되고, 그 상면 및 저면에 각각 두께 약 5~15mm의 탄산칼슘계 무기발포판재가 접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발포폴리스티렌 판재는 상품명 ‘스티로폼’또는 ‘아이소핑크’와 같은 발포 비드법 폴리스티렌 패널로서, 그 치수는 통상적으로 110 x 900 x 1800mm의 치수로 생산된 것을 이용하며, 이들은 필요에 따라 1매, 또는 2~3매, 또는 그 이상을 접합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단열복합판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포폴리스티렌 판재의 상하면 또는 상하면과 중간에 상기한 탄산칼슘계 무기발포판재를 위치시킨 형태로서, 이들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프레스 접합된다.
여기서, 완벽한 열교 차단에 의한 열손실 저감으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제로에너지건축물에 있어서는 상기한 단열복합판재의 치수 정밀도 및 모서리각 정밀도가 매우 중요하며, 그 이유는 치수 및 모서리각 정밀도가 낮으면 인접한 단열복합판재 사이의 틈을 통하여 열교 현상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절단 가공성은 탄산칼슘계 무기발포판재가 발포폴리스티렌과 같은 유기발포판재에 비하여 훨씬 우수하므로 단열복합판재에서 탄산칼슘계 무기발포판재의 면적을 유기발포판재의 면적보다 약간 크게 접합하는 것이 후에 절단에 의한 정확한 치수 획득에 있어 중요하며, 따라서 접합할 탄산칼슘계 무기발포판재는 유기발포판재의 폭 치수 보다 약 5~30mm, 특정하게는 20mm 정도 잉여부가 남도록 여유 있게 절단한 다음 탄산칼슘계 무기발포판재의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하여 유기발포판재에 일치하도록 위치시키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프레스하여 접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복합판재의 상하면을 이루는 탄산칼슘계 무기발포판재는 유기발포판재와 일모서리를 이루는 두 변이 정확히 일치하고, 길이 방향을 이루는 한 변은 유기발포판재의 폭 치수 보다 약 5~30mm 정도 잉여부가 남도록 여유 있게 접합된 형태로 제조되며, 종래 이러한 잉여부는 자를 고정시킨 후 커터로 절단하거나 또는 자를 이용하여 펜으로 라인을 표시한 후 커터로 절단하는 수작업에 의하여 제거하여 왔으나, 작업 효율성이 열등하고 작업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정밀도에 차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211383호(2012.12.06.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유기발포판재의 상면 및/또는 상하면에 접합된 탄산칼슘계 무기발포판재로 구성되며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유용하게 적용 가능한 단열복합판재에 있어서 탄산칼슘계 무기발포판재 잉여부를 공수 절감 하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높은 치수 정확도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가 있는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단열복합판재에 있어서 탄산칼슘계 무기발포판재 잉여부의 폭 치수 변동에 무관하게 유기발포판재의 측면을 기준으로 탄산칼슘계 무기발포판재 잉여부를 상기한 유기발포판재의 측면에 정확히 일치하게 절단할 수가 있는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를 이용한 효율적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본체와; 상기한 알루미늄 프로파일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한 가이드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선형 운동(linear motion) 가이드와; 상기한 선형 운동 가이드에 고정되는 커터 장착 모듈과; 상기한 알루미늄 프로파일 본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그립과; 상기한 제1 그립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1 측면 고정판 및 상기한 제1 측면 고정판에 직각 방향으로 전면에 고정되는 제1 기준면 플레이트와; 상기한 제2 이송용 그립의 하부에 고정되는 탠덤(tandem) 에어실린더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2 측면 고정판 및 상기한 제2 측면 고정판에 직각 방향으로 전면에 고정되는 제2 기준면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유기발포판재의 상면 또는 상하면에 접합된 무기발포판재로 된 단열복합판재에 대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 측면 고정판이 상기한 유기발포판재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가 상기한 유기발포판재의 양측에 인접한 전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이 고정된 선형 운동 가이드의 가이드 레일을 따른 활주 운동에 의해 무기발포판재 잉여부가 절단되는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에 의해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은 커터 브래킷과 커터 고정판에 의해 커터를 대각선상으로 고정하는 커터 홀더를 가지며, 상기한 커터 고정판의 조임 및 풀림에 의해 상기한 커터의 날 길이 조절 및 교체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은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횡 방향 및 종 방향의 파지용 개구가 형성되는 커터 이동 핸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1 및 제2 그립에는 파지용 개구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장치의 이송에 편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2 그립에 인접한 알루미늄 프로파일 본체 상에는 에어 레귤레이터 및 핸드밸브를 지지하는 베이스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가 각각 제1 및 제2 측면 고정판에 횡 방향 슬롯에 고정되는 볼트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에 의해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A) 제1항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의 커터 날이 유기발포판재의 측면에 정확히 일치하도록 제1 및 제2 측면 고정판에 각각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를 위치시키고 고정하는 사전 준비 단계; (B) 단열복합판재의 잉여부가 형성된 상면 일측에 상기한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를 제1 및 제2 그립을 이용하여 올려놓고, 제1 측면 고정판과 제1 기준면 플레이트를 상기한 유기발포판재의 일 측면과 그에 인접한 전면에 각각 접촉시키는 가고정 단계; (C) 제2 측면 고정판과 제2 기준면 플레이트를 상기한 유기발포판재의 타 측면과 그에 인접한 전면에 각각 접촉시키는 정위치 고정 단계; (D)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을 제1 그립 위치로부터 제2 그립 위치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선형 운동 가이드를 이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 활주 운동시키는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 단계; 및 (E)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을 제2 그립 위치로부터 제1 그립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한 단계 (A) 내지 (D)를 반복하는 반복 단계로 구성되는, 유기발포판재의 상면 또는 상하면에 접합된 무기발포판재로 된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에 의해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정위치 고정 단계에서는, 제2 측면 고정판과 제2 기준면 플레이트의 유기발포판재에 대한 접촉 및 접촉 해제가 탠덤 에어실린더의 작동 또는 핸드밸브의 공압 해제 후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에 대한 커터의 고정은 커터 브래킷에 커터를 대각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커터 고정판을 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커터의 날 길이 조절 및 교체가 상기한 커터 고정판의 조임 및 풀림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제1 및 제2 측면 고정판의 하부에는 각각 복수의 횡 방향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의 지지 단부에는 복수의 고정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한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가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볼트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에 따르면, 유기발포판재의 상면 및/또는 상하면에 접합된 무기발포판재로 구성되며 제로에너지 건축물에 유용하게 적용 가능한 단열복합판재에 있어서 무기발포판재 잉여부를 공수 절감 하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높은 치수 정확도로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무기발포판재 잉여부의 폭 치수 또는 폭 치수 구배(gradient) 여부 등과 무관하게 유기발포판재의 측면을 기준으로 무기발포판재 잉여부를 상기한 유기발포판재의 측면에 정확히 일치하게 절단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의 적용 대상인 단열복합판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의 제1 그립 인접 부분과 커터 장착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의 제2 그립 인접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를 이용한 상측 무기발포판재의 잉여부 절단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의 적용 대상인 단열복합판재(10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3매의 단열복합판재(100)가 나타나 있으며, 각각의 단열복합판재(100)는 상품명 ‘스티로폼’또는 ‘아이소핑크’와 같은 발포 비드법 폴리스티렌 패널(치수 110 x 900 x 1800mm)로 된 2매의 유기발포판재와 그 상면 및 저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탄산칼슘계의 무기발포판재(102)가 접착제로 프레스 접합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한 유기발포판재(101)의 매수는 본 발명에 있어 선택적이며, 또한 상기한 무기발포판재(102)는 상기한 유기발포판재(101)의 상하면 또는 상면 또는 저면에 접합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유기발포판재(101)의 상하면과 중간에 무기발포판재(102)를 위치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단열복합판재(100)의 상하면을 이루는 무기발포판재(101)는 유기발포판재(101)와 일모서리를 이루는 두 변이 정확히 일치하고, 길이 방향을 이루는 한 변은 유기발포판재의 폭 치수 보다 약 5~30mm 정도 잉여부(도 2 및 도 3에서의 도면부호 103 및 도 5에서의 도면부호 103 참조)가 남도록 여유 있게 접합된 형태로 제조되며, 이러한 잉여부(103)는 유기발포판재(1001)의 측면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절단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1)의 제1 그립(40) 인접 부분과 커터 장착 모듈(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제2 그립(41) 인접 부분을 나타내는 좌측 방향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우측 방향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1)를 이용한 상측 무기발포판재(102)의 잉여부(103) 절단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1)의 이송 및 절단 구조에 대하여 우선 언급하면, 그 이송 및 절단 구조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본체(10)와, 상기한 알루미늄 프로파일 본체(10)의 전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20)과, 상기한 가이드 레일(20)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선형 운동(linear motion: LM) 가이드(21)와, 상기한 선형 운동 가이드(21)에 고정되는 커터 장착 모듈(30)로 구성된다.
상기한 선형 운동 가이드(21)의 가이드 레일(20) 상에서의 직선 활주 운동은 마찰계수가 작고 로스트모션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위치결정정도가 매우 높으며, 머시닝 센터에서의 CNC 선반, 로봇, 반도체 LCD 제조설비, 의료기기, 면진 등의 분야에 있어 공지공용이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부연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선형 운동 가이드(21)에 장착되는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30)은 커터 브래킷(31)과 커터 고정판(32)에 의해 커터(33)를 대각선상으로 고정하는 커터 홀더(도면부호 미부여)를 포함하며, 상기한 커터 고정판(30)에 대한 고정수단(34)을 조이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커터(33)가 고정되며, 커터(33)의 날이 닳은 경우 또는 커터(33)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상기한 커터 고정판(30)에 대한 고정수단(34)을 풀어 커터(33)를 하방으로 일정 길이 내리거나 또는 커터(33)를 교체한 후 고정수단(34)을 다시 조이는 것에 의하여 커터(33)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선형 운동 가이드(21)는 가이드 레일(20) 상에서 ‘ㄷ’자 형상으로 체결되며 복수의 선형 운동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선형 활주하게 되며,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30)은 상기한 선형 운동 가이드(21)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장착된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30)을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 및/또는 종 방향의 파지용 개구(35,36)을 형성한 가 형성되는 커터 이동 핸들(도면부호 미부여)의 형태로 로 구성할 수 있으며,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동으로 작동시킬 경우에는 이러한 커터 이동 핸들의 형태 대신 서보모터와 감속기를 이용하여 코그 벨트(cogged belt) 또는 피니온 및 랙 구조 등을 채택하는 것에 의하여 자동으로 선형 운동 가이드(21)가 가이드 레일(20) 상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1)의 정위치 선정 고정 구조에 대하여 언급하면, 상기한 정위치 선정 고정 구조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본체(10)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그립(40,41)과, 상기한 제1 그립(40)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1 측면 고정판(50) 및 상기한 제1 측면 고정판(50)에 직각 방향으로 전면에 고정되는 제1 기준면 플레이트(60)와, 상기한 제2 그립(41)의 하부에 고정되는 탠덤(tandem) 에어실린더(70)의 피스톤로드(71) 단부에 고정되는 제2 측면 고정판(51) 및 상기한 제2 측면 고정판(51)에 직각 방향으로 전면에 고정되는 제2 기준면 플레이트(61)로 구성된다.
상기한 알루미늄 프로파일 본체(10)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그립(40,41)에는 파지용 개구(42)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외향 연장부(43)를 형성함으로써, 두 사람이 양측에서 각각 제1 및 제2 그립(40,41)을 들어 옮기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1)를 쉽게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한 제1 및 제2 측면 고정판(50,51)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연장 단부(52)를 가지며, 상기한 연장 단부(52)에는 횡 방향 슬롯(53)(도 3 참조)이 형성된다. 한편,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60,61)는 각각 고정공(미도시)이 형성된 절곡 단부(62)가 형성되며, 상기한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60,61) 절곡 단부(62)는 상기한 제1 및 제2 측면 고정판(50,51)의 연장 단부(52)에 고정 볼트(63)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상기한 제1 및 제2 측면 고정판(50,51)은 유기발포판재(101)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60,61)는 유기발포판재(101)의 양측에 인접한 전면에 각각 정위치 고정되며,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30)이 고정된 선형 운동 가이드(21)가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선형 활주 운동하는 것에 의해 무기발포판재(102)의 잉여부(103)는 간단하고 용이하게 깔끔히 효율적으로 절단된다.
한편, 상기한 제2 그립(41)에 인접한 알루미늄 프로파일 본체(10) 상에는 공압 조절을 위한 에어 레귤레이터(74) 및 공기 유로 차단 및 해제를 위한 핸드밸브(73)를 지지하는 베이스(72)가 설치된다.
부연하면, 상기한 에어 레귤레이터(74)는 압력 게이지(74a)를 포함하며 일단은 에어호스(75)에 의해 에어콤프레셔(미도시)와 연결되고 타단은 핸드밸브(73)에 연결되며, 핸들(73a)을 가지는 핸드밸브(73)는 에어호스(75a)에 의하여 탠덤 에어실린더(70)와 연결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1)를 이용한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100)의 무기발포판재(102)의 잉여부(103) 절단방법은 하기의 단계로 구성된다.
(A) 사전 준비 단계: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1)의 커터(33) 날이 유기발포판재(101)의 측면에 정확히 일치하도록 제1 및 제2 측면 고정판(50,51)에 각각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60,61)를 위치시키고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제1 및 제2 측면 고정판(50,51) 하부의 전방으로 돌출된 연장 단부(52)에 형성된 횡 방향 슬롯(53)에 대하여,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60,61)의 절곡 단부(62)의 고정공(미도시)을 맞추고 고정 볼트(63)로 가고정한 다음, 상기한 제1 및 제2 측면 고정판(50,51)이 단열복합판재(100)의 유기발포판재(101)의 양측면에 각각 접촉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60,61)가 상기한 유기발포판재(101)의 양측면에 인접한 전면에 각각 접촉시킨 상태에서, 커터 장착 모듈(30)의 커터(33) 날이 정확히 상기한 유기발포판재(101)의 전면과 일치하도록 하는 위치를 잡은 다음, 상기한 고정 볼트(63)를 조여 정위치 고정시킨다.
(B) 가고정 단계:
잉여부(103)가 형성된 단열복합판재(100)의 잉여부(103)가 형성된 상면 일측에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1)를 제1 및 제2 그립(40,41)을 이용하여 올려놓은 다음, 제1 그립(40) 쪽의 제1 측면 고정판(50)과 제1 기준면 플레이트(60)를 상기한 단열복합판재(100)의 유기발포판재(101)의 일 측면과 그에 인접한 전면에 각각 밀착시킨다.
(C) 정위치 고정 단계:
이어서, 제2 그립(41) 쪽의 제2 측면 고정판(51)과 제2 기준면 플레이트(52)를 상기한 유기발포판재의 타 측면과 그에 인접한 전면에 각각 및가시켜,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1)를 정위치 고정시킨다.
상기한 제2 측면 고정판(51)과 제2 기준면 플레이트(52)의 유기발포판재(101)에 대한 접촉 및 접촉 해제동작은 핸드밸브(73)의 공압 연통 하에 탠덤 에어실린더(73)의 작동에 의해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핸드밸브(73)의 공압 해제 후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경우라도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1) 자중과 무기발포판재(102) 표면의 큰 마찰계수로 인하여 안정한 상태로 정위치 고정될 수 있다.
(D) 잉여부 절단 단계:
커터 장착 모듈(30)을 제1 그립(40) 위치로부터 제2 그립(41) 위치로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선형 운동 가이드(21)를 이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 활주 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커터(33)에 의하여 무기발포판재(102)의 잉여부(103)는 정확하고 말끔하게 절단되어 낙하한다(도 5에서의 좌측의 도면부호 103 참조).
(E) 반복 단계:
이어서, 커터 장착 모듈(30)을 제2 그립 위치(41)로부터 제1 그립(40)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단열복합판재(100)의 저면 쪽 무기발포판재(102)의 잉여부(도 5에서의 우측의 도면부호 103 참조) 절단을 위하여 단열복합판재(100)를 뒤집은 다음, 상기한 단계 (A) 내지 (D)를 반복한다.
새로운 단열복합판재(100)의 무기발포판재(102)의 잉여부 절단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한 단계 (A) 내지 (D)를 반복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커터(33)가 좌향 경사 고정되어 제1 그립(40) 쪽으로부터 제2 그립(41) 쪽으로 이동하면서 절단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커터(33)가 우향 경사 고정되는 경우에는 제2 그립(41) 쪽으로부터 제1 그립(40) 쪽으로 이동하면서 절단되게 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10: 알루미늄 프로파일 본체
20: 가이드 레일 21: 선형 운동 가이드
30: 커터 장착 모듈
31: 커터 브래킷 32: 커터 고정판
33: 커터 34: 고정수단
35: 횡방향 파지용 개구 36: 종방향 파지용 개구
40: 제1 그립(grip) 41: 제2 그립
42: 파지용 개구 43: 외향 연장부
50: 제1 측면 고정판 51: 제2 측면 고정판
52: 연장 단부 53: 슬롯
60: 제1 기준면 플레이트 61: 제2 기준면 플레이트
62: 절곡 단부 63: 고정 볼트
70: 탠덤 에어실린더 71: 피스톤로드
72: 베이스 73: 핸드밸브
73a: 핸들 74: 에어 레귤레이터
74a: 압력게이지 75,75a: 에어호스
76: 스토퍼
100: 단열복합판재
101: 유기발포판재 102: 무기발포판재
103: 잉여부

Claims (10)

  1. 알루미늄 프로파일 본체와;
    상기한 알루미늄 프로파일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한 가이드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선형 운동(linear motion) 가이드와;
    상기한 선형 운동 가이드에 고정되는 커터 장착 모듈과;
    상기한 알루미늄 프로파일 본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그립과;
    상기한 제1 그립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1 측면 고정판 및 상기한 제1 측면 고정판에 직각 방향으로 전면에 고정되는 제1 기준면 플레이트와;
    상기한 제2 이송용 그립의 하부에 고정되는 탠덤(tandem) 에어실린더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2 측면 고정판 및 상기한 제2 측면 고정판에 직각 방향으로 전면에 고정되는 제2 기준면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유기발포판재의 상면 또는 상하면에 접합된 무기발포판재로 된 단열복합판재에 대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 측면 고정판이 상기한 유기발포판재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가 상기한 유기발포판재의 양측에 인접한 전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이 고정된 선형 운동 가이드의 가이드 레일을 따른 활주 운동에 의해 무기발포판재 잉여부가 절단되는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이 커터 브래킷과 커터 고정판에 의해 커터를 대각선상으로 고정하는 커터 홀더를 가지며, 상기한 커터 고정판의 조임 및 풀림에 의해 상기한 커터의 날 길이 조절 및 교체가 가능한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파지용 개구를 가지는 커터 이동 핸들로 구성되는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가 각각 제1 및 제2 측면 고정판에 횡 방향 슬롯에 고정되는 볼트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 그립이 파지용 개구를 가지며 상단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그립에 인접한 알루미늄 프로파일 본체 상에 상기한 탠덤 에어실린더와 연결되는 에어 레귤레이터 및 핸드밸브를 지지하는 베이스가 설치되어 있는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7.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유기발포판재의 상면 또는 상하면에 접합된 무기발포판재로 된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
    (A) 제1항에 따른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의 커터 날이 유기발포판재의 측면에 정확히 일치하도록 제1 및 제2 측면 고정판에 각각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를 위치시키고 고정하는 사전 준비 단계;
    (B) 단열복합판재의 잉여부가 형성된 상면 일측에 상기한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를 제1 및 제2 그립을 이용하여 올려놓고, 제1 측면 고정판과 제1 기준면 플레이트를 상기한 유기발포판재의 일 측면과 그에 인접한 전면에 각각 접촉시키는 가고정 단계;
    (C) 제2 측면 고정판과 제2 기준면 플레이트를 상기한 유기발포판재의 타 측면과 그에 인접한 전면에 각각 접촉시키는 정위치 고정 단계;
    (D)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을 제1 그립 위치로부터 제2 그립 위치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선형 운동 가이드를 이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 활주 운동시키는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 단계; 및
    (E)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을 제2 그립 위치로부터 제1 그립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한 단계 (A) 내지 (D)를 반복하는 반복 단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정위치 고정 단계에서 제2 측면 고정판과 제2 기준면 플레이트의 유기발포판재에 대한 접촉 및 접촉 해제가 탠덤 에어실린더의 작동 또는 핸드밸브의 공압 해제 후 수동으로 수행되는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터 장착 모듈에 대한 커터의 고정이 커터 브래킷에 커터를 대각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커터 고정판을 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커터의 날 길이 조절 및 교체가 상기한 커터 고정판의 조임 및 풀림에 의해 이루어지는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 측면 고정판의 하부에는 각각 복수의 횡 방향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의 지지 단부에는 복수의 고정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한 제1 및 제2 기준면 플레이트가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볼트 고정되는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
KR1020170136282A 2017-10-20 2017-10-20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 KR101990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282A KR101990912B1 (ko) 2017-10-20 2017-10-20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282A KR101990912B1 (ko) 2017-10-20 2017-10-20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190A true KR20190044190A (ko) 2019-04-30
KR101990912B1 KR101990912B1 (ko) 2019-06-19

Family

ID=6628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282A KR101990912B1 (ko) 2017-10-20 2017-10-20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9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989A (ja) * 1994-07-04 1996-01-23 Sekisui Chem Co Ltd 積層帯材における余剰端縁の切断処理装置
KR101211383B1 (ko) 2010-06-22 2012-12-13 (주)한국록셀보드 단열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KR101711878B1 (ko) * 2016-09-28 2017-03-07 주식회사 코엠에스 연속 작업이 가능한 단열재 자동 커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989A (ja) * 1994-07-04 1996-01-23 Sekisui Chem Co Ltd 積層帯材における余剰端縁の切断処理装置
KR101211383B1 (ko) 2010-06-22 2012-12-13 (주)한국록셀보드 단열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KR101711878B1 (ko) * 2016-09-28 2017-03-07 주식회사 코엠에스 연속 작업이 가능한 단열재 자동 커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912B1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9894B (fi) Skiva av isolermaterial isynnerhet mineralfibrer
GB2441951A (en) Exterior insulation and finish system and method and tool for installing same
KR101970669B1 (ko) 단열복합판재 재단기 및 이를 이용한 단열복합판재 재단방법
CN205704615U (zh) 门窗框组合内模板及预制构件模板
AU2003300592A1 (en) System for transferring loads between cast-in-place slabs
KR101990912B1 (ko) 단열복합판재의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기 및 이를 이용한 무기발포판재 잉여부 절단방법
DK1408168T3 (da) Varmeisoleringskompositsystem såvel som hermed udrustet bygning
CN210713294U (zh) 一种建筑外墙保温层施工装置
KR20090055805A (ko) 건물외장 석공사 화강석 단열판석 “파넬” 부착 공법
CN216442409U (zh) 一种弧形蜂窝板的生产设备
CN113733707B (zh) 一种为曲线沟槽保温板铺设铝箔的设备使用方法
EP3404167A1 (en) Insulating wall structure
CN210194959U (zh) 室内用组装式可裁剪轻质分隔墙
CN211396130U (zh) 侧封边件及隔墙系统
CN214383997U (zh) 一种建筑保温幕墙
CN212169455U (zh) 一种用于在空中焊接钢结构的辅助工装
CN113696594B (zh) 一种为曲线沟槽保温板铺设铝箔的设备
CN112814220B (zh) 一种具有方管风道的装配式墙体结构及安装方法
CN212123943U (zh) 一种瓷砖壁板的发泡工装夹具
JP2009215798A (ja) パネル取付用治具および耐火被覆構造の形成方法
CN117759810A (zh) 一种无机纤维制品复合真空绝热板内保温板及其制备工艺
JP2022064213A (ja) 梁材の耐火被覆構造
JP2022166392A (ja) 断熱材設置方法
AU2019250176A1 (en) Building sheet positioner
CN115199052A (zh) 一种防开裂的alc墙板固定安装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