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147A -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147A
KR20190044147A KR1020170135699A KR20170135699A KR20190044147A KR 20190044147 A KR20190044147 A KR 20190044147A KR 1020170135699 A KR1020170135699 A KR 1020170135699A KR 20170135699 A KR20170135699 A KR 20170135699A KR 20190044147 A KR20190044147 A KR 20190044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handle
vertical
vise
vert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399B1 (ko
Inventor
이연석
Original Assignee
이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석 filed Critical 이연석
Priority to KR1020170135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3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01G17/16Devices for driving-in or pulling-out p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스부에 지주대를 손쉽게 안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굵기의 작물 지주대를 손상없이 빠르고 쉽게 뽑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에 편출부가 형성된 수직 장치대와, 편출부에 일측단이 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부와, 수직 장치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물 지주대를 위치시켜 파지하기 위한 바이스부 및, 핸들부와 연동되게 바이스부를 결속하여 핸들부를 들어올리면 작물 지주대가 뽑히도록 하는 링크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의 바이스부는 일측에 마련된 고정턱과, 일측단이 바이스부에 핀 결합되고 타측단이 링크부와 연동되게 핀 결합되어 회전하는 엘형 가압암과, 엘형 가압암에 회동 가능하게 탄지되어 엘형 가압암이 회전함에 따라 고정 턱에 대고 작물 지주대를 가압하여 파지하기 위한 가동 턱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Crop support recovery device}
본 발명은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굵기의 작물지주대를 손상없이 손쉽게 뽑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이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작물에 인접하여 지주대가 설치된다.
지주대는 작물 수확 후 뽑아내게 되는데, 양손으로 지주대를 잡고 힘을 주어 뽑거나 망치로 지주대 측면을 툭툭친 다음 뽑아내게 된다.
이 경우 땅이 다져진 상태에서는 쉽게 뽑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뽑는 과정에서 지주대가 찌그러지거나 휘게 되어 재사용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노동력을 절감하고 지주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작물 지주대 인발기가 제안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9781호 '작물 지주대 인발기'에는 바형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면에 수직으로 위치시키고, 지주대를 수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지주대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로 이루어져 있는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고, 일측면에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체 이동로, 다른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점 및 하부에 탄성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탄성체 고정부가 돌출 형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점과 결합되어 있는 바형의 인발 프레임; 상기 인발 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며, 회전에 따라 지주대를 고정시키는 의 형상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 및 상기 인발 프레임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고,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발판이 형성된 발판부를 포함하는 인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가 하부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체를 상부로 이동되고, 발판부가 상부도 이동하면, 회전체는 하부로 이동되는 지주대 인발기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구성에 따르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노동력을 절감하고 뽑는 과정에서 지주대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예측할 수 있으나 다양한 크기(굵기)의 지주대를 뽑는데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인발기가 하단에 설치되어 인발기 내에 지주대를 위치시키기가 곤란하여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이스부에 지주대를 손쉽게 안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굵기의 작물 지주대를 손상없이 빠르고 쉽게 뽑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단에 편출부가 형성된 수직 장치대와, 편출부에 일측단이 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부와, 수직 장치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물 지주대를 위치시켜 파지하기 위한 바이스부 및, 핸들부와 연동되게 바이스부를 결속하여 핸들부를 들어올리면 작물 지주대가 뽑히도록 하는 링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수직 장치대는 작업시 수직 장치대를 잡아주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수직 장치대는 작물 지주대에 나란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단에 작물 지주대 하단이 수용되는 안착 홈판이 형성되고, 안착 홈판 반대편으로 발로 밟아 수직 장치대를 잡아주기 위한 발판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바이스부는 일측에 마련된 고정턱과, 일측단이 바이스부에 핀 결합되고 타측단이 링크부와 연동되게 핀 결합되어 회전하는 엘형 가압암과, 엘형 가압암에 회동 가능하게 탄지되어 엘형 가압암이 회전함에 따라 고정 턱에 대고 작물 지주대를 가압하여 파지하기 위한 가동 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수직 장치대는 바이스부로 작물 지주대를 안내할 수 있도록 바이스부 하측에 브이자형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수직 장치대는 핸들부를 거치시켜 둘 수 있도록 걸이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스부에 지주대를 손쉽게 안착시킬 수 있고, 다양한 굵기의 작물 지주대를 손상없이 빠르고 쉽게 뽑아 회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물 지주대의 재사용으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는 상단에 편출부가 형성된 수직 장치대(10)와, 편출부에 일측단이 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부(20)와, 수직 장치대(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물 지주대(1)를 위치시켜 파지하기 위한 바이스부(30) 및, 핸들부(20)와 연동되게 바이스부(30)를 결속하여 핸들부(20)를 들어올리면 작물 지주대(1; 도 3 참조)가 뽑히도록 하는 링크부(40)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수직 장치대(10)를 작물 지주대(1)와 인접하게 나란하게 위치시키고 바이스부(30)를 통해 작물 지주대(1)를 파지한 상태에서 핸들부(20)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링크부(40)를 통해 결속된 바이스부(30)가 수직 장치대(10)를 따라 상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작물 지주대(1)를 지면으로부터 뽑아 올리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손쉽게 작물 지주대(1)를 뽑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수직 장치대(10)는 작업시 잡아주기 위한 손잡이(11)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작업자가 오른손 잡이인 경우 오른손으로 핸들부(20)를 잡고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때 수직 장치대(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왼손으로 수직 장치대(10)를 잡아주기 위한 손잡이(11)가 구비된다.
다음, 상기의 수직 장치대(10)는 작물 지주대(1)에 나란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단에 작물 지주대(1) 하단이 수용되는 안착 홈판(12)이 형성되고, 안착 홈판(12) 반대편으로 발로 밟아 수직 장치대(10)를 잡아주기 위한 발판(13)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안착 홈판(12)을 작물 지주대(1) 하단에 밀착시키는 것만으로 수직 장치대(10)를 작물 지주대(1)와 나란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작물 지주대(1)가 견고하게 박힌 경우 발로 발판(13)을 밟아 수직 장치대(10)를 잡아 준 상태에서 핸들부(20)를 두손으로 잡고 작물 지주대(1)를 뽑아낼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이스부(30)는 일측에 마련된 고정턱(31)과, 일측단이 바이스부(30)에 핀 결합되고 타측단이 링크부(40)와 연동되게 핀 결합되어 회전하는 엘형 가압암(32)과, 엘형 가압암(32)에 회동 가능하게 탄지되어 엘형 가압암(32)이 회전함에 따라 고정 턱(31)에 대고 작물 지주대(1)를 가압하여 파지하기 위한 가동 턱(33)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바이스부(30)는 수직 장치대(10)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고정 턱(31)과 가동 턱(33)을 통해 작물 지주대(1)를 파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바이스부(30) 일측에 고정턱(31)이 마련되고, 핸들부(20)를 들어올리면 가동 턱(33)이 작물 지주대(1)를 가압할 수 있도록 엘형 가압암(32)이 마련된다.
엘형 가압암(32)은 일측단이 바이스부(30)에 핀 결합되고 타측단이 링크부(40)와 연동되게 핀 결합되어 핸들부(20)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엘형으로 절곡되어 절곡부분이 고정 턱(31)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엘형 가압암(32) 절곡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 턱(33)이 고정 턱(31)에 대고 작물 지주대(1)를 가압하여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가동 턱(33)은 엘형 가압암(32)에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상태이므로 가동 턱(33)의 가압면을 작물 지주대(1)와 수평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작물 지주대(1)의 굵기가 다르더라도 엘형 가압암(32)의 회전 정도에 따라 가동 턱(33)이 작물 지주대(1)를 가압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작물 지주대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미설명부호 34는 적정 범위 내에서 링크부(40)가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편으로, 바이스부(3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내측 홈을 타고 링크부(40)가 이동하도록 잡아준다.
다음, 상기의 수직 장치대(10)는 바이스부(30)로 작물 지주대(1)를 안내할 수 있도록 바이스부(30) 하측에 외측으로 펼쳐진 브이자형 가이드부재(14)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수직 장치대의 안착 홈판(12)을 작물 지주대(1) 하단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수직 장치대(10)를 작물 지주대(1) 측으로 밀어 붙이면 브이자형 가이드부재(14)에 의해 안내되어 바이스부의 고정 턱(31)과 가동 턱(33) 사이에 작물 지주대(1)를 쉽게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수직 장치대(10)는 핸들부(20)를 거치시켜 둘 수 있도록 걸이부재(15;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은 수직 장치대(10)의 편출부에 일측단이 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부(20)가 지면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핸들부(20)가 수직 장치대(10)에 소정 각도로 거치됨으로써 작업자가 핸들부(20)를 놓더라도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작업시 보다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작물 지주대
10: 수직 장치대
11: 손잡이
12: 안착 홈판
13: 발판
14: 브이자형 가이드부재
15: 걸이부재
20: 핸들부
30: 바이스부
31: 고정 턱
32: 엘형 가압암
33: 가동 턱
34: 가이드편
40: 링크부

Claims (6)

  1. 상단에 편출부가 형성된 수직 장치대와,
    상기 편출부에 일측단이 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부와,
    상기 수직 장치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물 지주대를 위치시켜 파지하기 위한 바이스부 및,
    상기 핸들부와 연동되게 상기 바이스부를 결속하여 상기 핸들부를 들어올리면 상기 작물 지주대가 뽑히도록 하는 링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장치대는 작업시 상기 수직 장치대를 잡아주기 위한 손잡이가 상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장치대는 상기 작물 지주대에 나란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단에 상기 작물 지주대 하단이 수용되는 안착 홈판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 홈판 반대편으로 발로 밟아 상기 수직 장치대를 잡아주기 위한 발판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부는 일측에 마련된 고정턱과, 일측단이 상기 바이스부에 핀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링크부와 연동되게 핀 결합되어 회전하는 엘형 가압암과, 상기 엘형 가압암에 회동 가능하게 탄지되어 상기 엘형 가압암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 턱에 대고 상기 작물 지주대를 가압하여 파지하기 위한 가동 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장치대는 상기 바이스부로 상기 작물 지주대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바이스부 하측에 브이자형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장치대는 상기 핸들부를 거치시켜 둘 수 있도록 걸이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
KR1020170135699A 2017-10-19 2017-10-19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 KR101984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699A KR101984399B1 (ko) 2017-10-19 2017-10-19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699A KR101984399B1 (ko) 2017-10-19 2017-10-19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147A true KR20190044147A (ko) 2019-04-30
KR101984399B1 KR101984399B1 (ko) 2019-05-31

Family

ID=6628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699A KR101984399B1 (ko) 2017-10-19 2017-10-19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3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416B1 (ko) * 2020-11-02 2021-04-26 손순임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
CN115517111A (zh) * 2022-10-11 2022-12-27 王博海 一种智能温室大棚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620U (ja) * 1996-09-10 1997-03-28 農林水産省 野菜・茶業試験場長 棒状物引抜き具
JP2003158924A (ja) * 2001-11-22 2003-06-0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支柱抜き具
KR101582325B1 (ko) * 2015-04-27 2016-01-04 정다운 비닐하우스 철거장치
KR20170049781A (ko) * 2015-10-28 2017-05-11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작물 지주대 인발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620B2 (ja) 1995-08-30 2000-04-24 ヒエン電工株式会社 ケ−ブル吊り下げ用螺旋状支持具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620U (ja) * 1996-09-10 1997-03-28 農林水産省 野菜・茶業試験場長 棒状物引抜き具
JP2003158924A (ja) * 2001-11-22 2003-06-0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支柱抜き具
KR101582325B1 (ko) * 2015-04-27 2016-01-04 정다운 비닐하우스 철거장치
KR20170049781A (ko) * 2015-10-28 2017-05-11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작물 지주대 인발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416B1 (ko) * 2020-11-02 2021-04-26 손순임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
CN115517111A (zh) * 2022-10-11 2022-12-27 王博海 一种智能温室大棚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399B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399B1 (ko)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
JP6041609B2 (ja) カップリングの抜取装置
CN115165550B (zh) 一种金属灯杆焊接后强度检测装置
US4188754A (en) Portable cutter
CN219460274U (zh) 一种开椰器辅助夹持装置及开椰器
KR101594430B1 (ko)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CN210571482U (zh) 一种纺织面料辅助取样设备
KR102018809B1 (ko) 고추지지대 취출장치
US2341106A (en) Post puller and the like
CN207639751U (zh) 拉伸钳帮器
CN210458230U (zh) 一种皮革加工切割装置
CN216388694U (zh) 一种数据分析对比装置
KR20180116846A (ko) 파이프 박음장치
CN106002846B (zh) 一种自动夹设的钉子固定器
US1640732A (en) Weed puller
GB2613501A (en) Oyster shucking clamp apparatus and method
CN217044090U (zh) 一种框式零件整平治具
CN217192759U (zh) 一种手工开孔机械
CN220739387U (zh) 一种铆接装置
CN111516077A (zh) 一种蒲扇制作用截圆设备
CN217059308U (zh) 一种键盘按键拉拔力检测机构
CN219436345U (zh) 一种接地地桩起拔器
CN220782324U (zh) 一种台钻用压板
CN219027690U (zh) 一种泡沫成品定位切割机构
CN219235513U (zh) 一种pe管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