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416B1 -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 - Google Patents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416B1
KR102244416B1 KR1020200144705A KR20200144705A KR102244416B1 KR 102244416 B1 KR102244416 B1 KR 102244416B1 KR 1020200144705 A KR1020200144705 A KR 1020200144705A KR 20200144705 A KR20200144705 A KR 20200144705A KR 102244416 B1 KR102244416 B1 KR 102244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support body
support
hand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순임
Original Assignee
손순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순임 filed Critical 손순임
Priority to KR1020200144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01G17/16Devices for driving-in or pulling-out p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지지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몸체의 하단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삽입관을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의 상측에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지지몸체 상단 배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고정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손잡이 하측의 지지몸체를 수용하여 회전가능하게 핀고정되도록 회전손잡이 중앙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지지몸체 양측으로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손잡이 일단부와 상기 지지몸체의 상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몸체의 일측단을 연결링크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이동몸체 하단 양측단에는 파지링크의 상단을 연결 형성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파지링크 하단이 한 쌍의 파지블럭의 외측단에 연결 형성하고 상기 파지블럭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도록 지지몸체의 상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파지몸체을 형성한 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A drawing device for a farm produce support}
본 발명은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물용 지주대가 땅속에 단단히 고정될수록 파지하는 힘이 강해져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이 용이하며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파지가 약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를 아래로 내리면서 작물용 지주대를 인발함으로써 몸체부를 고정한 상태로 인발을 할 수 있고 다양한 직경의 작물용 지주대를 파손 없이 인발을 할 수 있는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를 비롯한 각종 작물에 비, 바람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쓰러지는 것을 예방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원형 또는 육각이나 팔각형상의 파이프 또는 막대 형상의 작물 지주대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작물 지주대는 망치나 또는 타격기구 등을 이용하여 지면에 꽂아 고정하게 되며 작물을 수확한 뒤에는 지면에 꽂아 고정했던 작물 지주대를 모두 뽑아내게 된다.
이러한 지주대는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수개월 이상 유지되게 되고 또 비에 의해서 땅이 굳어지거나 작물을 가꾸거나 돌보기 위해 농민들이 수시로 지나치면서 지면이 다져지게 되어 지주대를 뽑을 때는 지면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상기의 지주대를 지면에서 뽑을 때는 통상 농민들이 양손으로 지주대를 잡고 힘을 주어 위로 올려 뽑게 되는데, 이때 지면이 견고하게 다져져 있게 되면 쉽게 빠지지 않아 힘을 많이 들게 되며, 이런 경우 대부분은 망치 등으로 지주대의 양측부분을 툭툭쳐서 박힌 부분의 구명을 약간 넓혀 주면서 잡아 뽑게 된다.
그러나 기존 사용되는 대부분의 작물지주대는 얇은 철판을 육각 또는 팔각형태로 말아 이음부분을 초음파,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시킨 것이기에 지면에 박힌 지주대를 빼내기 위해 지주대 몸통 양측으로 툭툭 치게 되면 지주대가 쉽게 찌그러지거나 휘게 되어 재사용을 할 수 없게 되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지주대를 빼내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기 때문에 지주대를 뺄 수 있는 기구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특허등록제 1807245호 작물 지주대 인발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인발기는 적은 힘으로도 지주대의 제거가 가능하고 작업의 편의성을 가지고 있으나 회전체(330)의 내부에 고정되는 지주대(400)의 양측이 수평선상으로 고정되지 않고 상호 어긋나게 고정된 상태로 인발을 하기 때문에 인발에 힘이 가해지면 지주대(400)가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고자 특허공개 2020-97955호 작물 지주대 인발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물 지주대 인발기 또한 파지홈(610)의 전면부(612)와 후면부(614)에 지주대(700)가 고정되어 인발됨으로써 승강부재(600)가 기울어지는 만큼의 각도로 어긋나게 파지홈(610)의 전면부(612)와 후면부(614)가 지주대(700)를 파지하여 이 또한 인발시 지주대(700)가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인발기들은 회전체(330)와 파지홈(610)의 크기가 정해져 있어 일정한 크기의 지주대만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제품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작물용 지주대가 땅속에 단단히 고정될수록 파지하는 힘이 강해져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이 용이하며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파지가 약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를 아래로 내리면서 작물용 지주대를 인발함으로써 몸체부를 고정한 상태로 인발을 할 수 있고 다양한 직경의 작물용 지주대를 파손 없이 인발을 할 수 있는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지지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몸체의 하단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삽입관을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의 상측에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지지몸체 상단 배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고정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손잡이 하측의 지지몸체를 수용하여 회전가능하게 핀고정되도록 회전손잡이 중앙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지지몸체 양측으로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손잡이 일단부와 상기 지지몸체의 상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몸체의 일측단을 연결링크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이동몸체 하단 양측단에는 파지링크의 상단을 연결 형성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파지링크 하단이 한 쌍의 파지블럭의 외측단에 연결 형성하고 상기 파지블럭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도록 지지몸체의 상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파지몸체을 형성한 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부의 삽입관에 상측으로 고정관을 형성하여 파지몸체의 하단 행정의 한계를 설정하도록 상기 지지몸체를 고정관에 삽입하여 상기 고정관을 관통하여 나선에 의해 지지몸체에 고정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핸들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몸체와 파지부의 파지몸체는 지지몸체의 전후방면에 면접촉하도록 전방편과 후방편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편과 후방편 사이의 상하 양측으로는 지지몸체의 양측에 구름접촉되도록 승하강로울러로 고정되며 상기 파지부의 파지블럭 내측단부는 원형으로 형성하고 단부에 인발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물용 지주대가 땅속에 단단히 고정될수록 파지하는 힘이 강해져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이 용이하며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파지가 약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를 아래로 내리면서 작물용 지주대를 인발함으로써 몸체부를 고정한 상태로 인발을 할 수 있고 다양한 직경의 작물용 지주대를 파손 없이 인발을 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의 파지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의 파지후 인발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는 지주대(1)를 뽑기 위하여 지면에 설치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되어 작동을 하는 손잡이부(20)와, 상기 손잡이부(20)의 작동에 의해 상하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부(30)와, 상기 이동부(30)의 이동에 의해 지지대(1)를 파지하여 이동하는 파지부(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10)는 사각파이프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지지몸체(11)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몸체(11)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관(12)을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몸체(11)를 지지하도록 형성한 지지판(13)의 상측에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0)의 지지판(13)은 정면으로 지지대(1)가 삽입되도록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부(10)의 삽입관(13) 상측으로는 고정관(14)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몸체(11)를 고정관(14)에 삽입하고 상기 고정관(14)을 관통하여 나선에 의해 지지몸체(11)에 고정관(14)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핸들(15)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몸체부(10)의 지지몸체(11)에는 손잡이부(20)를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지지몸체(11) 상단 배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고정손잡이(2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손잡이(21) 하측의 지지몸체(11)를 수용하여 회전가능하게 핀고정되도록 회전손잡이(23) 중앙에 수용홈(22)을 형성하여 지지몸체(11) 양측으로 회전손잡이(23)가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손잡이부(20)의 회전손잡이(23)에 의해서 몸체부(10)의 지지몸체(11)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부(30)를 형성한다.
상기 이동부(30)는 손잡이부(20)의 회전손잡이(23) 일단부와 상기 지지몸체(11)의 상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몸체(31)의 일측단을 연결링크(32)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이동몸체(31) 하단 양측단에는 파지링크(33)의 상단을 연결 형성한다.
이러한 이동부(30)의 파지링크(33)에 연결되어 지지대(1)를 파지하는 파지부(40)를 형성한다.
상기의 파지부(40)는 상기 이동부(30)의 파지링크(33) 하단이 한 쌍의 파지블럭(41)의 외측단에 연결 형성하고 상기 파지블럭(41)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도록 지지몸체(11)의 상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파지몸체(42)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파지블럭(41)은 내측단부를 원형으로 형성하고 파지블럭(41) 내측단부에 인발톱니(43)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이동부(30)의 이동몸체(31)와 파지부(40)의 파지몸체(42)는 지지몸체(11)의 전후방면에 면접촉하도록 전방편과 후방편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편과 후방편 사이의 상하 양측으로는 지지몸체(11)의 양측에 구름 접촉되도록 승하강로울러(50)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발장치의 회전손잡이(23)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파지부(40)의 파지블럭(41) 내측단이 벌어진 상태에서 작물을 쓰러지지 않게 지지하는 지주대(1)를 상기 파지블럭(41)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주대(1)는 몸체부(10)의 지지몸체(11)의 정면에서 지지몸체(11)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지지몸체(11)의 정면에 위치한 지주대(1)를 뽑기 위해서는 손잡이부(20)의 고정손잡이(21)를 잡아 몸체부(10)를 흔들리지 않게 한 후 회전손잡이(23)의 좌측단을 하강시킨다.
상기와 같이 회전손잡이(23)의 좌측단을 하강시키면 회전손잡이(23)의 우측단이 상승하게 되면서 회전손잡이(23)의 우측단에 연결된 연결링크(32)를 상승시켜 연결링크(32) 하단이 연결된 이동몸체(31) 또한 상승시키게 된다.
이렇게 이동몸체(31)가 상승하게 되면 이동몸체(31) 하단 양측에 상단이 연결된 파지링크(33)도 상승하게 되며 상기 파지링크(33)의 상승으로 파지부(40)의 파지블럭(41) 외측단이 상승되면서 파지블럭(41) 내측단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지블럭(41)이 회전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된 파지블럭(41) 내측단이 회전하면서 파지블럭(41) 내측단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게 된다.
이렇게 파지블럭(41)의 내측단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파지블럭(41) 내측단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지주대(1)를 파지하게 된다.
이때 지주대(1)는 파지블럭(41) 내측 단부에 형성된 인발톱니(43)로 인하여 지주대(1)가 미끄러지지 않게 파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주대(1)를 파지블럭(41)이 파지한 후에도 회전손잡이(23)에 의해 이동몸체(31)가 계속 상승하게 되고 이동몸체(31)의 상승에 의해 파지몸체(42) 또한 상승하면서 파지블럭(41) 사이에 파지된 지주대(1)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지면에 고정되어 있던 지주대(1)를 뽑게 된다.
이때 지주대(1)가 지면에 강하게 고정되면 고정될수록 회전손잡이(23)의 회전에 의해 파지블럭(41)의 내측단부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려 하면서 지주대(1)를 더욱 강하게 파지하여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지주대(1)를 뽑은 상태에서 회전손잡이(23)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몸체(31)가 하강하게 되면서 파지블럭(41)은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파지블럭(41) 내측단부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지주대(1)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파지몸체(42) 또한 하강하게 되고 하강하는 파지몸체(42)는 고정관(14)의 상측단에 걸림되어 하강을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은 순서로 지면에 고정된 지지대(1)를 다시 파지하여 뽑게 되고 분리후 상술한 방법을 반복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
10 : 몸체부 11 : 지지몸체
12 : 삽입관 13 : 지지판
14 : 고정관 15 : 고정핸들
20 : 손잡이부 21 : 고정손잡이
22 : 수용홈 23 : 회전손잡이
30 : 이동부 31 : 이동몸체
32 : 연결링크 33 : 파지링크
40 : 파지부 41 : 파지블럭
42 : 파지몸체 43 : 인발톱니

Claims (4)

  1.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지지몸체(11)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몸체(11)의 하단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삽입관(12)을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판(13)의 상측에 형성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지지몸체(11) 상단 배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고정손잡이(2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손잡이(21) 하측의 지지몸체(11)를 수용하여 회전가능하게 핀고정되도록 회전손잡이(23) 중앙에 수용홈(22)이 형성되어 지지몸체(11) 양측으로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 손잡이부(20)와,
    상기 손잡이부(20)의 회전손잡이(23) 일단부와 상기 지지몸체(11)의 상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몸체(31)의 일측단을 연결링크(32)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이동몸체(31) 하단 양측단에는 파지링크(33)의 상단을 연결 형성한 이동부(30)와,
    상기 이동부(30)의 파지링크(33) 하단이 한 쌍의 파지블럭(41)의 외측단에 연결 형성하고 상기 파지블럭(41)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도록 지지몸체(11)의 상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파지몸체(42)을 형성한 파지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삽입관(13)에 상측으로 고정관(14)을 형성하여 파지몸체(42)의 하단 행정의 한계를 설정하도록 상기 지지몸체(11)를 고정관(14)에 삽입하여 상기 고정관(14)을 관통하여 나선에 의해 지지몸체(11)에 고정관(14)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핸들(15)을 형성한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30)의 이동몸체(31)와 파지부(40)의 파지몸체(42)는 지지몸체(11)의 전후방면에 면접촉하도록 전방편과 후방편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편과 후방편 사이의 상하 양측으로는 지지몸체(11)의 양측에 구름접촉되도록 승하강로울러(50)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40)의 파지블럭(41) 내측단부는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파지블럭 내측단부에 인발톱니(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
KR1020200144705A 2020-11-02 2020-11-02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 KR102244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705A KR102244416B1 (ko) 2020-11-02 2020-11-02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705A KR102244416B1 (ko) 2020-11-02 2020-11-02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416B1 true KR102244416B1 (ko) 2021-04-26

Family

ID=7573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705A KR102244416B1 (ko) 2020-11-02 2020-11-02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4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325B1 (ko) * 2015-04-27 2016-01-04 정다운 비닐하우스 철거장치
KR20180130211A (ko) * 2017-05-29 2018-12-07 주식회사 나라환경 경작지의 지주목을 용이하게 철거하기 위한 지주철거장치.
KR20190044147A (ko) * 2017-10-19 2019-04-30 이연석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
KR20190096068A (ko) * 2018-02-08 2019-08-19 (주)아성엔터프라이즈 농사용 지주 해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325B1 (ko) * 2015-04-27 2016-01-04 정다운 비닐하우스 철거장치
KR20180130211A (ko) * 2017-05-29 2018-12-07 주식회사 나라환경 경작지의 지주목을 용이하게 철거하기 위한 지주철거장치.
KR20190044147A (ko) * 2017-10-19 2019-04-30 이연석 작물 지주대 회수 장치
KR20190096068A (ko) * 2018-02-08 2019-08-19 (주)아성엔터프라이즈 농사용 지주 해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7245B1 (ko) 작물 지주대 인발기
CA21243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removing posts
KR101582325B1 (ko) 비닐하우스 철거장치
EP2949541A1 (en) Rolling platform ladder
KR102244416B1 (ko) 작물용 지주대의 인발장치
US5794918A (en) Fence post puller apparatus
KR20110029964A (ko) 고추지주대 항타기
CN103946144B (zh) 用于处理下水道井盖的工具
KR20150115162A (ko) 비닐하우스용 철재파이프 분리기
KR20130001413U (ko) 작물 지주대 인발기
CN209299713U (zh) 一种草莓苗定植工具
KR102431385B1 (ko) 작물지주 뽑는 기구
US6138589A (en) Bulb planting device
RU55246U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из грунта, подъема или перемещения длинномерных предметов
KR20180000958A (ko) 말뚝 취출장치
KR101246882B1 (ko) 보강토블록 이송장치
CN208439278U (zh) 一种手车式开关柜安全转运装置
US3161432A (en) Ground anchor upsetting and retrieving device
CN220472999U (zh) 土壤取样用拔杆装置
CN111802209B (zh) 一种用于植树的枯死树桩拔除装置
KR200439038Y1 (ko) 파일을 박거나 뽑아내는 공구
KR101270051B1 (ko)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CN219876873U (zh) 一种人工棉花拔杆装置
CN210685837U (zh) 一种多功能园林梯
CN220999173U (zh) 一种蔬菜大棚桩柱撬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