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430B1 -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 Google Patents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430B1
KR101594430B1 KR1020140005391A KR20140005391A KR101594430B1 KR 101594430 B1 KR101594430 B1 KR 101594430B1 KR 1020140005391 A KR1020140005391 A KR 1020140005391A KR 20140005391 A KR20140005391 A KR 20140005391A KR 101594430 B1 KR101594430 B1 KR 101594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striking
link
stru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589A (ko
Inventor
백정화
Original Assignee
백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화 filed Critical 백정화
Priority to KR1020140005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430B1/ko
Publication of KR20150085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43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힘들이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작물 지주대를 지면에 박아 고정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 손쉽게 작물 지주대를 뽑을 수 있는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작물 지주대 선단이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삽입관과, 삽입관 상단과 하단에 각 형성된 제1,2타격편과, 제2타격편을 타격하여 작물 지주대를 지면에 박을 수 있고 작물 지주대를 뽑을 시 제1타격편을 타격할 수 있도록 스프링을 매개로 제1타격편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어 삽입관을 따라 슬라이드 운동하는 망치 및, 제2타격편에 걸고리가 형성된 타격부와;
헤드에 작물 지주대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고정 턱이 형성된 제1손잡이와, 헤드에 힌지 고정되고 작물 지주대를 파지하기 위한 가동 턱이 회동 가능하게 탄지된 링크와, 링크에 힌지 고정되고 제1손잡이와 교차하는 제2손잡이 및, 작물 지주대를 뽑을 시 걸고리에 걸 수 있도록 제2손잡이 후단에 걸이공이 형성된 뽑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 pillar blow of the crop}
본 발명은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힘들이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작물 지주대를 지면에 박아 고정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 손쉽게 작물 지주대를 뽑을 수 있는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1226호(2013. 2. 25 공개)에는 고추작물 지주대를 비롯한 각종 농작물 지주대를 지면에 신속 간편하게 박아 세울 수 있게 한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가 개시된다.
동 공보의 청구의 범위를 참조하면, 종래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는 하단에 타격부를 가진 지지관체와, 상기 지지관체 외부에 삽입하여 손으로 잡고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지지관체 상단에 큰 충격을 줌으로서 지주대를 지면에 박을 수 있도록 하단에 해머가 내장 설치된 타격관체, 그리고 상기 지지관체와 타격관체 내부 중앙에 관통 설치됨과 동시에 스프링이 장착된 안내봉으로 이루어진 지주대 타격기구에 있어서, 상기 안내봉이 불필요하여 더욱 간단한 구성이 되도록, 지지관체는 상단에 타격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길게 형성하여 외주면 중앙 상측에 스프링 안착턱을, 그리고 하부에 손잡이부분과 보호턱을 구성하고, 지지관체 외부에 압축스프링을 삽입시키되, 상기 압축스프링이 스프링 안착턱에 안착되게 하며, 타격관체는 상단 내경에 해머를 장착함과 동시에 내경이 스프링 안착턱의 외경에 끼워져 승강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하여 지지관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단에 정지캡이 체결 또는 용접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는 타격관체를 잡아 내리칠 때 압축스프링이 압축됨에 따라 타격력의 약해지고, 그만큼 힘이 더 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는 타격관체가 지지관체 따라 슬라이드 운동을 하게 되는데, 타격작업시 양 부품 간의 마찰로 인하여 그만큼 힘이 더 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는 작물 지주대를 지면에 박기 위한 기술구성만이 개시되어 있어 작물 지주대를 손쉽게 뽑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힘들이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작물 지주대를 지면에 박아 고정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 손쉽게 작물 지주대를 뽑을 수 있는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물 지주대 선단이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삽입관과, 삽입관 상단과 하단에 각 형성된 제1,2타격편과, 제2타격편을 타격하여 작물 지주대를 지면에 박을 수 있고 작물 지주대를 뽑을 시 제1타격편을 타격할 수 있도록 스프링을 매개로 제1타격편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어 삽입관을 따라 슬라이드 운동하는 망치 및, 제2타격편에 걸고리가 형성된 타격부와;
헤드에 작물 지주대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고정 턱이 형성된 제1손잡이와, 헤드에 힌지 고정되고 작물 지주대를 파지하기 위한 가동 턱이 회동 가능하게 탄지된 링크와, 링크에 힌지 고정되고 제1손잡이와 교차하는 제2손잡이 및, 작물 지주대를 뽑을 시 걸고리에 걸 수 있도록 제2손잡이 후단에 걸이공이 형성된 뽑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삽입관은 망치로 제1타격편을 타격할 수 있도록 스프링의 압축길이보다 긴 충격전달관이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제1손잡이와 제2손잡이를 손으로 쥐고 악력을 가한 후 놓았을 때 고정 턱과 가동 턱이 벌어지도록 제1손잡이에 링크를 밀어내기 위한 탄성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삽입관을 따라 망치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작물 지주대를 타격하거나 뽑을 수 있으므로 망치의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망치가 스프링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어 타격 작업시 스프링에 의해 망치가 위로 당겨짐으로써 적은 힘으로 연속되게 타격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격부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뽑기부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격부와 뽑기부의 사용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크게 작물 지주대를 지면에 박기 위한 타격부(100)와 지면에 박힌 작물 지주대를 뽑기 위한 뽑기부(2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타격부(100)는 작물 지주대(10) 선단이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삽입관(20)과, 삽입관(20) 상단과 하단에 각 형성된 제1,2타격편(21,22)과, 제2타격편(22)을 타격하여 작물 지주대(10)를 지면에 박을 수 있고 작물 지주대(10)를 뽑을 시 제1타격편(21)을 타격할 수 있도록 스프링(30)을 매개로 제1타격편(21)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어 삽입관(20)을 따라 슬라이드 운동하는 망치(40) 및, 제2타격편(22)에 걸고리(23)가 형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망치(40)는 스프링(30)을 매개로 제1타격편(21)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어 망치(40)를 쥐고 제2타격편(22)을 내리칠 때 스프링(30)이 늘어나고, 힘을 빼면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망치(40)가 위로 당겨져 적은 힘으로 연속되게 타격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망치(40)로 제2타격편(22)을 내리친 힘은 삽입관(20)을 통해 작물 지주대(10)로 전달되어 작물 지주대(10)를 지면에 박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뽑기부(200)는 헤드(211)에 작물 지주대(10)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고정 턱(212)이 형성된 제1손잡이(210)와, 헤드(211)에 힌지 고정되고 작물 지주대(10)를 파지하기 위한 가동 턱(221)이 회동 가능하게 탄지된 링크(220)와, 링크(220)에 힌지 고정되고 제1손잡이(210)와 교차하는 제2손잡이(230) 및, 작물 지주대(10)를 뽑을 시 걸고리(23)에 걸 수 있도록 제2손잡이(230) 후방에 걸이공(231)이 형성된다.
뽑기부(200)는 지면에 박힌 작물 지주대(10)를 뽑을 때 타격부(100)에 걸어 사용한다.
즉, 걸이공(231)을 걸고리(23)에 걸어 뽑기부(200)를 타격부(100)에 설치한 다음 헤드(211)의 고정 턱(212)과 가동 턱(221) 사이에 작물 지주대(10)를 위치시키고 제1손잡이(210)와 제2손잡이(230)를 손으로 쥐고 악력을 가하면 링크(220)에 회동 가능하게 탄지된 가동 턱(221)에 의해 작물 지주대(10)가 물려 견고히 파지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망치로 제1타격편(21)을 올려치면 그 힘이 뽑기부(200)로 전달되어 작물 지주대(10)를 지면으로부터 뽑을 수 있게 된다.
다음, 삽입관(20)은 망치(40)로 제1타격편(21)을 타격할 수 있도록 스프링(30)의 압축길이보다 긴 충격전달관(50)이 삽입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망치(40)로 제1타격편(21)을 올려 칠 경우, 망치(40)와 제1타격편(21) 사이에 스프링(30)이 압축상태로 위치하여 제1타격편(21)에 가해지는 충격이 약화된다.
따라서 삽입관(20)에 스프링(30)의 압축길이보다 긴 충격전달관(50)을 삽입 설치하여, 망치(40)로 올려칠 때 그 충격이 충격전달관(50)을 통해 제1타격편(21)에 전달되도록 하여 뽑기부(200)를 통해 작물 지주대(10)를 손쉽게 뽑을 수 있게 된다.
다음, 제1손잡이(210)와 제2손잡이(230)를 손으로 쥐고 악력을 가한 후 놓았을 때 고정 턱(212)과 가동 턱(221)이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손잡이(210)에 링크(220)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240)이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링크(220)는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일측단이 제1손잡이의 헤드(211)와 힌지 고정되고 타측단이 제2손잡이(230)와 힌지 고정되며 그 절곡부에 가동 턱(221)이 회동 가능하게 탄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교차한 제1손잡이(210)와 제2손잡이(230)를 손으로 쥐고 악력을 가하면, 링크(220)가 회전하여 가동 턱(221)이 고정 턱(212)과의 사이에 설치된 작물 지주대(10)를 가압한다. 반대로 손을 놓으면 링크(2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턱(221)에 의해 링크(220)가 회전하여 작물 지주대(10)의 가압상태가 풀리고, 탄성스프링(240)에 의해 링크(220)와 제1손잡이(230) 간의 간격이 유지되어 가동 턱(221)이 원위치되게 된다.
이로써, 뽑기부(200)로 작물 지주대(10)를 견고히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작물 지주대
20: 삽입관
21,22: 제1,2타격편
23: 걸고리
30: 스프링
40: 망치
50: 충격전달관
100: 타격부
210: 제1손잡이
211: 헤드
212: 고정 턱
220: 링크
221: 가동 턱
230: 제2손잡이
231: 걸이공
240: 탄성스프링

Claims (3)

  1. 작물 지주대 선단이 일정 깊이로 삽입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 상단과 하단에 각 형성된 제1,2타격편과, 상기 제2타격편을 타격하여 상기 작물 지주대를 지면에 박을 수 있고 상기 작물 지주대를 뽑을 시 상기 제1타격편을 타격할 수 있도록 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제1타격편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삽입관을 따라 슬라이드 운동하는 망치 및, 상기 제2타격편에 걸고리가 형성된 타격부와;
    헤드에 상기 작물 지주대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고정 턱이 형성된 제1손잡이와, 상기 헤드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작물 지주대를 파지하기 위한 가동 턱이 회동 가능하게 탄지된 링크와, 상기 링크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제1손잡이와 교차하는 제2손잡이 및, 상기 작물 지주대를 뽑을 시 상기 걸고리에 걸 수 있도록 상기 제2손잡이 후단에 걸이공이 형성된 뽑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은 상기 망치로 상기 제1타격편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의 압축길이보다 긴 충격전달관이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를 손으로 쥐고 악력을 가한 후 놓았을 때 상기 고정 턱과 상기 가동 턱이 벌어지도록 상기 제1손잡이에 상기 링크를 밀어내기 위한 탄성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KR1020140005391A 2014-01-16 2014-01-16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KR101594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391A KR101594430B1 (ko) 2014-01-16 2014-01-16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391A KR101594430B1 (ko) 2014-01-16 2014-01-16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589A KR20150085589A (ko) 2015-07-24
KR101594430B1 true KR101594430B1 (ko) 2016-02-16

Family

ID=5387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391A KR101594430B1 (ko) 2014-01-16 2014-01-16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4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256A (ko) 2017-07-31 2019-02-12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용 지주 설치용 지주 설치홈 형성장치
KR20230000772U (ko) 2021-10-13 2023-04-20 정경식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KR20230001320U (ko) 2021-12-21 2023-06-28 정경식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272Y1 (ko) * 2013-01-16 2013-04-05 이상걸 작물 지주대 인발기
KR20130001413U (ko) * 2013-01-16 2013-03-05 이상걸 작물 지주대 인발기
KR20130001821U (ko) * 2013-02-04 2013-03-15 김민성 고추 지지대 망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256A (ko) 2017-07-31 2019-02-12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용 지주 설치용 지주 설치홈 형성장치
KR20230000772U (ko) 2021-10-13 2023-04-20 정경식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KR20230001320U (ko) 2021-12-21 2023-06-28 정경식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589A (ko) 201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8306B1 (en) Rod holding apparatus
KR101594430B1 (ko)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KR101958972B1 (ko) 농업용 지주의 삽입 취출구
KR101308570B1 (ko)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
CN206832124U (zh) 防逃脱自动抱合抓捕器
KR200466272Y1 (ko) 작물 지주대 인발기
CN203575112U (zh) 水果采摘器
KR20130001413U (ko) 작물 지주대 인발기
KR101291823B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102018809B1 (ko) 고추지지대 취출장치
KR102029091B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
KR20120006667U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0467616Y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CN203266582U (zh) 一种实用的起钉器
KR200467454Y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CN209914509U (zh) 高空果实手动安全采摘装置
EP2163508A1 (en) Champagne bottle opener
KR20120007715U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130000640U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US20110030182A1 (en) Broken tee extractor
CN210037133U (zh) 安全帽用的质量检测装置
CN213616181U (zh) 一种带有调节扣的老虎钳
US1640505A (en) Can-puncturing device
CN203761868U (zh) 一种肩挂式摘果器
JP3115168U (ja) 制圧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