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570B1 -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 - Google Patents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570B1
KR101308570B1 KR1020120040560A KR20120040560A KR101308570B1 KR 101308570 B1 KR101308570 B1 KR 101308570B1 KR 1020120040560 A KR1020120040560 A KR 1020120040560A KR 20120040560 A KR20120040560 A KR 20120040560A KR 101308570 B1 KR101308570 B1 KR 101308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ile
circular ring
agricultural work
suppor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동빈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0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01G17/16Devices for driving-in or pulling-out p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뚝(10)을 타격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하로 개방되고 손잡이(21)를 지닌 통형 구조의 본체(20);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타격추(30); 및 상기 본체(20)의 하단에 다수의 조절판(45)에 의한 유도경(D)을 가변하도록 설치되는 조절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말뚝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줄이면서 말뚝의 크기에 대응하여 정확한 방향과 자세로 타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Stake hammering device for agricultural work}
본 발명은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말뚝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줄이면서 말뚝의 크기에 대응하여 정확한 방향과 자세로 타격을 유도할 수 있는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를 비롯한 밭작물 재배에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말뚝이 사용되는 바, 작업자가 망치나 해머로 타격하는 것은 매우 힘이 들기도 하지만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특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47411호의 "지주 삽입기",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9637호의 "농작물 지지용 말뚝박기 타격봉" 등이 알려져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47411호는 위로부터 완충봉과 가이드 봉과 고정판과 다짐판이 순차적으로 용접되어 있고 완충봉은 파이프 형상이며 상부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완충봉 내부에 원판과 우레탄과 원판으로 구비된 가압부와 스프링이 순서대로 삽입된 후 마개가 나사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고정판과 다짐판은 원형의 철판으로서 안쪽에 지주삽입구멍이 각각 천공되어 있고, 연결봉에 의하여 용접되어 있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말뚝이나 지주의 머리부분을 정확하게 타격하되 스프링과 우레탄에 의하여 완충효과를 갖는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9637호는 지지용 말뚝을 삽입할 수 있도록 일 측면에 삽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타격판 중심으로 말뚝을 타격할 수 있도록 지지용 말뚝을 타격판의 중심으로 유도하는 유입구와, 상기 본체에 일체로 장착된 손잡이의 하부에는 지지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유입구로 유입하여 말뚝을 정확히 타격하고, 사용자에게 충격을 가중시키지 않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특허에 의하면 지주에 맞추어 다양한 크기의 지주 삽입기를 이용하거나 경사면의 유입구로 말뚝을 유도하는 것으로 기재하지만 실제로 열악한 농작업 현장에서 타격의 완충 기능을 기대하기 곤란한 것은 물론 말뚝의 크기에 맞추어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응하기에 한계성을 보인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말뚝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줄이면서 말뚝의 크기에 대응하여 정확한 방향과 자세로 타격을 유도할 수 있는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말뚝을 타격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하로 개방되고 손잡이를 지닌 통형 구조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타격추; 및 상기 본체의 하단에 다수의 조절판에 의한 유도경을 가변하도록 설치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타격추는 하단에서 인장스프링에 연결되고 상단에서 압축스프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절수단은 조절볼트를 개재하여 본체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되는 원형링을 구비하고, 조절판은 본체와 원형링에 각각 지지핀과 힌지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절판은 장홈을 개재하여 지지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조절볼트는 원형링의 대향하는 2지점에 설치되고, 손으로 작동하도록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말뚝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줄이면서 말뚝의 크기에 대응하여 정확한 방향과 자세로 타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기구를 부분확대와 함께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기구의 조절수단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말뚝(10)을 타격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말뚝(10)의 소재는 물론 크기에도 구애받지 않는 구성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타격 기구는 작물 재배를 위한 농작업용을 고려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분야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로 개방되고 손잡이(21)를 지닌 통형 구조의 본체(20)가 구비된다. 본체(20)는 금속제의 원통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무난하며, 상단 개구에는 분리 가능한 커버를 볼트로 고정한다. 손잡이(21)는 본체(20)의 외주면에서 2지점 또는 4지점에 균일한 간격으로 고정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20)의 타격추(30)가 내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타격추(30)는 말뚝(10)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금속제를 사용하여 본체(20) 상에 원활한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수용한다. 본체(20)의 내부에 걸림턱(25)을 형성하거나, 후술하는 스프링(32)(34)에 상단을 고정하여 타격추(30)의 하강 이탈을 구속하한다. 타격추(30)의 보수나 교체는 본체(20)의 상단에서 커버를 해제하여 수행한다.
이때, 상기 타격추(30)는 하단에서 인장스프링(32)에 연결되고 상단에서 압축스프링(34)에 지지된다. 타격추(30)의 하단과 본체(20)의 하단을 인장스프링(32)으로 연결하여 말뚝(10)의 타격에 의하여 타격추(30)의 상승시 탄성에너지를 저장한다. 이와 동시에 본체(20)의 상단에 압축스프링(34)을 설치하여 타격추(30)의 상승시 탄성에너지를 저장한다. 인장스프링(32)과 압축스프링(34)은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다시 타격추(30)에 전달하기도 하지만 손잡이(21)를 통하여 작업자에 전해지는 충격력을 감소하여 오랜 작업에도 피로감을 줄여준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20)의 하단에 다수의 조절판(45)에 의한 유도경(D)을 가변하도록 조절수단(40)이 설치된다. 말뚝(10)의 크기가 작은 경우 본체(20)로 타격할 때 미끄럼이 발생하여 자세가 흐트러지므로 불편을 초래하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따른다. 조절수단(40)은 다수의 조절판(45)을 동시에 작동시켜 하단의 유도경(D)을 말뚝(10)의 크기에 맞춘다.
세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40)은 조절볼트(42)를 개재하여 본체(20)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되는 원형링(41)을 구비하고, 조절판(45)은 본체(20)와 원형링(41)에 각각 지지핀(43)과 힌지(46)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원형링(41)은 본체(20)에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결합되고 조절볼트(42)에 의하여 임의의 지점에 신속하게 결합된다. 본체(20)의 하단에 조절판(45)과 동일한 수량의 절개홈(23)을 형성하고, 각각의 절개홈(23) 상에 지지핀(43)을 고정한다. 조절판(45)은 상단에서 절개홈(23)에 헐겁게 출입되는 크기이고 하단에서 주걱 형태로 넓어지는 구조이다. 조절판(45)은 상단에서 원형링(41)에 힌지(46)로 결합되는 동시에 중간지점에서 지지핀(43)에 연결되어 회동 운동을 수행한다. 지지핀(43)은 본체(20)의 외면에 고정할 수도 있고 홈을 형성하여 수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조절판(45)은 장홈(45a)을 개재하여 지지핀(4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20) 상에 원형링(41)의 위치를 가변하면 힌지(46)의 상하운동이 유발되고 조절판(45)은 지지핀(43)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때, 지지핀(43)이 조절판(45)의 장홈(45a)을 이동하므로 간편한 기구적 구성으로 조절판(45)의 경사운동을 구현한다. 원형링(41)의 위치가 하향할수록 조절판(45)의 경사각이 증가하여 말뚝(10)을 안내하는 하단의 유도경(D)이 축소된다.
한편, 상기 조절볼트(42)는 원형링(41)의 대향하는 2지점에 설치되고, 손으로 작동하도록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절볼트(42)를 반대측의 2지점에 설치하면 양손으로 쥐고 동시에 잠금 또는 해제하여 원형링(41)을 원하는 위치로 고정하기 편리하다. 조절볼트(42)의 손잡이는 수지제를 사용하여 휠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작동에 있어서, 작업자가 한 명인 경우 본체(20)를 지면에 놓고 말뚝(10)을 밀어 넣은 후 조절볼트(42)를 돌려 원형링(41)을 이동하면서 조절판(45)의 회동에 의한 유도경(D)을 맞춘다. 도 2에 비하여 도 3의 경우 원형링(41)이 하향하면서 유도경(D′)이 축소된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본체(20)의 손잡이(21)를 손을 쥐고 말뚝(1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타격하면 말뚝(10)이 조절판(45)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말뚝작업의 편리성과 안전성이 확보된다. 작업자가 2인인 경우에는 4개의 손잡이(21)를 이용하여 말뚝작업을 협동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타격추(30)의 충격격이 인장스프링(32)과 압축스프링(34)에 저장되므로 장시간 말뚝작업에도 피로도를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말뚝 D, D′: 유도경
20: 본체 21: 손잡이
23: 절개홈 25: 걸림턱
30: 타격추 32: 인장스프링
34: 압축스프링 40: 조절수단
41: 환형링 42: 조절볼트
43: 지지핀 45: 조절판
45a: 장홈 46: 힌지

Claims (5)

  1. 상하로 개방되고 손잡이(21)를 지닌 통형 구조의 본체(20);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타격추(30); 및
    상기 본체(20)의 하단에 다수의 조절판(45)에 의한 유도경(D)을 가변하도록 설치되는 조절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수단(40)은 조절볼트(42)를 개재하여 본체(20)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되는 원형링(41)을 구비하고, 조절판(45)은 본체(20)와 원형링(41)에 각각 지지핀(43)과 힌지(46)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추(30)는 하단에서 인장스프링(32)에 연결되고 상단에서 압축스프링(34)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45)은 장홈(45a)을 개재하여 지지핀(4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42)는 원형링(41)의 대향하는 2지점에 설치되고, 손으로 작동하도록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
KR1020120040560A 2012-04-18 2012-04-18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 KR101308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560A KR101308570B1 (ko) 2012-04-18 2012-04-18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560A KR101308570B1 (ko) 2012-04-18 2012-04-18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570B1 true KR101308570B1 (ko) 2013-09-13

Family

ID=4945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560A KR101308570B1 (ko) 2012-04-18 2012-04-18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57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4543A (en) * 2014-03-26 2015-09-30 Daryl Sharp A tool for assisting with pole driving
KR101564050B1 (ko) 2015-08-12 2015-10-29 (주) 이원시스템 중력과 탄성력을 이용한 농업용 지주 파일링 장치
CN107806089A (zh) * 2017-09-09 2018-03-16 国网山东省电力公司昌乐县供电公司 便携式快速定桩器
KR102029091B1 (ko) * 2018-06-27 2019-10-07 김형수 작물 지주대 타격기
WO2021159716A1 (zh) * 2020-02-13 2021-08-19 滨州学院 一种分类多层式耐盐碱树种育苗装置
KR200496620Y1 (ko) * 2021-12-24 2023-03-1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볼 베어링 내장 표지판 지지대 타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411Y1 (ko) 2001-03-19 2001-10-08 김혜숙 지주 삽입기
JP2004132149A (ja) * 2002-10-10 2004-04-30 Kazuo Oshiyama 杭打ち機
KR200405002Y1 (ko) 2005-08-12 2006-01-11 이규동 지주대 망치
KR20100012645U (ko) * 2010-11-29 2010-12-21 추화엽 고추나무지지대 타격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411Y1 (ko) 2001-03-19 2001-10-08 김혜숙 지주 삽입기
JP2004132149A (ja) * 2002-10-10 2004-04-30 Kazuo Oshiyama 杭打ち機
KR200405002Y1 (ko) 2005-08-12 2006-01-11 이규동 지주대 망치
KR20100012645U (ko) * 2010-11-29 2010-12-21 추화엽 고추나무지지대 타격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4543A (en) * 2014-03-26 2015-09-30 Daryl Sharp A tool for assisting with pole driving
KR101564050B1 (ko) 2015-08-12 2015-10-29 (주) 이원시스템 중력과 탄성력을 이용한 농업용 지주 파일링 장치
CN107806089A (zh) * 2017-09-09 2018-03-16 国网山东省电力公司昌乐县供电公司 便携式快速定桩器
KR102029091B1 (ko) * 2018-06-27 2019-10-07 김형수 작물 지주대 타격기
WO2021159716A1 (zh) * 2020-02-13 2021-08-19 滨州学院 一种分类多层式耐盐碱树种育苗装置
KR200496620Y1 (ko) * 2021-12-24 2023-03-1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볼 베어링 내장 표지판 지지대 타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570B1 (ko) 농작업용 말뚝의 타격기구
US3792739A (en) Jack hammer
US20190001521A1 (en) Wood splitting device and wood splitting method
KR20110029964A (ko) 고추지주대 항타기
KR102029091B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
KR101291823B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JP3154759U (ja) キャップ付きガードレール支柱打込機
KR101594430B1 (ko) 작물 지주대 타격 및 뽑기 장치
CN105382766A (zh) 助钉器及其使用方法
KR200467616Y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0466446Y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102186396B1 (ko) 농작물지주대 설치기구
JP6313111B2 (ja) 支柱打ち込み器
CN213836614U (zh) 一种建筑施工用减震冲击夯
KR200467614Y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EP2484495A1 (en) Stake driving device
KR101732683B1 (ko) 농작물 지주용 설치 및 철거장치
KR101427411B1 (ko) 지주 타설장치
KR200467307Y1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KR20120008257U (ko) 작물 지주대 타격기구
CN220494785U (zh) 一种用于地毯撑直的装置
JP2003247234A (ja) 杭打ち機
JP3235822U (ja) 杭打ち装置
JP3062629U (ja) 園芸用支柱打込具
KR20230002443U (ko) 농작물 지주대용 망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