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68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681A
KR20190043681A KR1020170135563A KR20170135563A KR20190043681A KR 20190043681 A KR20190043681 A KR 20190043681A KR 1020170135563 A KR1020170135563 A KR 1020170135563A KR 20170135563 A KR20170135563 A KR 20170135563A KR 20190043681 A KR20190043681 A KR 20190043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se
contact portion
stopper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1838B1 (ko
Inventor
김동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5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8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는, 제1 대상물의 기 설정된 결합영역에 삽입되며, 내부에 통공을 포함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통공 내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 대상물(안테나 모듈)과 접촉하고, 타단이 제2 대상물과 접촉하는 컨텍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텍트부는 상기 케이스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대상물과 접촉하도록 휘어진 상부접촉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대상물과 접촉하도록 휘어진 하부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본 출원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대상물 내에 삽입되어 대상물과 다른 대상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다. 예컨데, 커넥터는 휴대폰, 디스플레이장치,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기판, 배터리 등의 부품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종래에는 기판상에 실장된 커넥터들에 다른 대상물을 연결하였으나, 이 경우 각각의 커넥터를 기판상에 실장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커넥터의 변경에 따른 호환성 등이 문제가 되었다.
본 출원은, 하나의 대상물 내에 삽입되어 대상물과 다른 대상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모듈 등의 대상물에 삽입되어, 상부방향 및 하부방향에 접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탄성부를 가지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대상물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유격에 의한 좌우 흔들림이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외력에 의한 컨텍트부의 변형이나 들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접촉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는, 제1 대상물의 기 설정된 결합영역에 삽입되며, 내부에 통공을 포함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통공 내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 대상물과 접촉하고, 타단이 제2 대상물과 접촉하는 컨텍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텍트부는 상기 케이스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대상물과 접촉하도록 휘어진 상부접촉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대상물과 접촉하도록 휘어진 하부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는, 직육면체형상의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상기 하부케이스보다 기 설정된 값만큼 폭이 좁은 직육면체형상의 상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공은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면에 돌출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락킹부는, 일측이 기 설정된 전단경사를 가지고, 타측은 기 설정된 후단경사를 가지며, 상기 후단경사는 상기 전단경사에 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전단경사는 20도 이상 60도 미만이고, 상기 후단경사는 90도 이상 120도 미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락킹부의 뒤에 오목하게 들어간 안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안착홈의 뒤에 기 설정된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텍트부는, 하나의 금속 스트립의 양쪽 끝을 각각 상하로 휘어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텍트부는,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부접촉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하부접촉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텍트부는, 상기 상부접촉부는 기 설정된 상부접촉각도로 휘어지고, 상기 하부 접촉부는 기 설정된 하부 접촉각도로 휘어지며, 상기 상부접촉각도가 상기 하부접촉각도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접촉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상부 케이스 방향으로 180도 휘어지며,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한 제1 평행영역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 방향으로 기 설정된 제1 높이만큼 돌출되는 제1 굴절부를 포함하는 제1 접촉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접촉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한 제1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접촉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하부 케이스 방향으로 180도 휘어지며,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한 제2 평행영역을 포함하는 제2 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2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 방향으로 기 설정된 제2 높이만큼 돌출되는 제2 굴절부를 포함하는 제2 접촉부; 및 일단이 상기 제2 접촉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한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평행영역은 상기 제2 평행영역의 길이보다 기 설정된 값만큼 더 길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의 너비는 상기 제1 접촉부의 너비보다 넓고, 상기 제1 연결부의 너비는 상기 평행영역에서 상기 제1 접촉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너비는 상기 제1 접촉부의 너비와 비교할 때, 5:3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접촉부 및 하부 접촉부의 가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상기 제1 단부의 상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보다 위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 상기 제2 단부의 하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보다 아래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는 각각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의 전체 면적 중 절반 이상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스토퍼 주위에 간격을 형성하는 도피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컨텍트부 상에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 의하면, 하나의 대상물 내에 삽입되어 대상물과 다른 대상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 의하면, 모듈 등의 대상물에 삽입되어, 상부방향 및 하부방향에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가 대상물 내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유격에 의한 좌우 흔들림이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 의하면, 외력에 의한 컨텍트부의 변형이나 들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접촉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락킹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컨텍트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의 스토퍼 및 도피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는 휴대폰, 디스플레이장치,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커넥터는 전자기기 내에서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커넥터는 휴대폰의 안테나 모듈 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커넥터의 일단은 안테나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커넥터의 타단에 메탈 패턴 등으로 구현된 안테나가 연결될 수 있으며, 커넥터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안테나와 안테나 모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1 대상물, 제2 대상물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등의 기판이나 메탈 패턴 형식으로 구현된 안테나 등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는 케이스부(100) 및 컨텍트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를 설명한다.
케이스부(100)는 제1 대상물(미도시)의 기 설정된 결합영역에 삽입되도록, 결합영역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00)는 내부에 컨텍트부(200)가 위치하도록 통공(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대상물은 휴대폰등의 안테나 모듈일 수 있으며, 케이스부(100)는 안테나 모듈의 결합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현되어, 안테나 모듈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케이스부(100)는 도1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도,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부(100)는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대상물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부(100)는 직육면체 형상의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부 케이스(110)는 하부케이스(120)보다 y축 방향의 폭이 기 설정된 값만큼 좁을 수 있다. 따라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 또는 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케이스부(100)는 "凸"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부(100)는 제1 대상물의 결합영역의 형상에 대응하는 것으로, 케이스부(100)는 형상은 제1 대상물의 결합영역 내로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공(A)은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공(A)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커넥터에 결합되는 제1 대상물 또는 제2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케이스부(100)의 측면에는 락킹부(111)가 포함될 수 있다. 락킹부(111)는 y축 방향으로 상부 케이스(110)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될 수 있으며, 락킹부(111)는 삼각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락킹부(111)는 커넥터가 제1 대상물 내에 삽입되는 경우, 커넥터를 제1 대상물 내에서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킹부(111)는 커넥터의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앞부분은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뒷부분은 급격한 경사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방향을 따라 락킹부(11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나,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급격한 경사를 가지는 뒷부분에 의하여 지지되어 커넥터가 제1 대상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킹부(111)의 일측에는 전단경사(α), 타측에 후단경사(β)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후단경사(β)가 전단경사(α)보다 더 큰 값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경사(β)는 90도로 설정할 수 있으나, 도5(b)와 같이 후단경사(β)를 90도 이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단경사(α)는 20도 이상 60도 미만으로 설정하고, 후단경사(β)는 90도 이상 120도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대상물에는 락킹부(111)가 반대방향으로 분리되지 못하도록 락킹부(111)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부 케이스(110)에 안착홈(11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홈(112)은 락킹부(111)의 뒤에 형성될 수 있으며, y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홈(112)는 제1 대상물의 결합영역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영역에 포함된 지지부가 안착홈(11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안착홈(112) 내에 위치하는 지지부에 의하여, 커넥터는 제1 대상물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결합영역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부 케이스(110)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고정부(113)는 안착홈(112)의 뒤에 형성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대상물 내에 커넥터가 삽입되는 경우, 안착홈(112) 내에 제1 대상물의 지지부가 위치할 수 있으며, 고정부(113)의 구조를 통하여 제1 대상물이 안착홈(112)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들어, 고정부(113)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대상물과 케이스(10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케이스부(100)가 좌우로 비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부 케이스(110)에 고정부(113)를 더 포함하여 내부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커넥터(100)가 제1 대상물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100)는 스토퍼(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0)는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에 각각 형성되어, 컨텍트부(200)의 가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스토퍼(130)는 컨텍트부(200)가 케이스부(100) 밖으로 벗어나는 등의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30)는 이후 도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컨텍트부(200)는 통공(A)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일단이 제1 대상물과 접촉하고, 타단이 제2 대상물과 접촉할 수 있다. 컨텍트부(200)는 금속 등의 전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컨텍트부(200)의 양단에는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이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텍트부(200)는 양단에 접촉하는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부(200)는 하나의 금속 스트렙의 양 끝을 각각 상하로 굽힘(Bending)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컨텍트부(200)는 베이스부(210), 상부접촉부(220) 및 하부접촉부(230)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베이스부(210)는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의 사이에 삽입되어 컨텍트부(200)를 케이스부(100)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텍트부(200) 주위에 사출성형기법을 이용하여 케이스부(10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베이스부(210)가 케이스부(100) 내에 삽입되도록 사출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210)는 케이스부(10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210)에 의하여 컨텍트부(200)는 케이스부(1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210)에는 상부접촉부(220)와 하부접촉부(23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부접촉부(220) 및 하부접촉부(230)는 각각 베이스부(210)에서 연장되며, 상부접촉부(220)는 제2 대상물과 접촉하도록 상부 케이스(110) 방향으로 휘어지고, 하부접촉부(230)는 제1 대상물과 접촉하도록 하부 케이스(120)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접촉부(220)는 상부접촉각도(P)로 휘어지고, 하부접촉부(230)는 하부접촉각도(Q)로 휘어질 수 있다.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접촉각도(Q)는 상부접촉각도(P)는 보다 낮은 각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커넥터를 제1 대상물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커넥터는 제1 대상물에 슬라이딩 형식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하부접촉부(230)가 제1 대상물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제1 대상물에 결합할 때, 커넥터가 제1 대상물 내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부접촉각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반면에, 제2 대상물의 경우, 슬라이딩 형식이 아니라, 상부케이스에 수직방향으로 꽂히는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상부접촉각도가 높을 수 있다.
한편, 상부접촉부(220)는 제1 연결부(221), 제1 접촉부(222) 및 제1 단부(223)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21)는 일단이 베이스부(210)와 연결되고, 상부 케이스(110)방향으로 180도 휘어지며, 베이스부(210)와 평행한 제1 평행영역(D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221)는 180도 휘어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부접촉부(220)에 상, 하방향의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21)의 타단에는 제1 접촉부(22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접촉부(222)는 일단이 제1 연결부(221)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부 케이스(110) 방향으로 기 설정된 제1 높이(h1)만큼 돌출되는 제1 굴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굴절부는 제2 대상물과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 제2 대상물과 접촉하는 경우 아래 방향으로 눌려지게 된다. 여기서, 제1 접촉부(222)가 제2 대상물과 접촉을 쉽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굴절부는 적어도 제1 높이(h1)만큼 상부케이스(110) 위로 돌출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굴절부가 제1 높이(h1)만큼 돌출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돌출되는 제1 높이를 약 0.4mm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부(223)는 일단이 제1 접촉부(22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210)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대상물이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단부(223)가 스토퍼(1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으며, 제1 단부(223)는 스토퍼(130)와 함께 상부접촉부(220)가 예정된 가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접촉부(220)는 제2 연결부(231), 제2 접촉부(232) 및 제2 단부(233)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231)는 일단이 베이스부(210)와 연결되고, 하부 케이스방향(120)으로 180도 휘어지며, 베이스부(210)와 평행한 제2 평행영역(D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부(231)는 180도 휘어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하부접촉부(230)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31)의 타단에는 제2 접촉부(23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접촉부(232)는 일단이 제2 연결부(231)의 타단과 연결되고, 하부 케이스(120) 방향으로 기 설정된 제2 높이(h2)만큼 돌출되는 제2 굴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굴절부는 제1 대상물과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 제1 대상물과 접촉하는 경우 위로 눌려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접촉부(232)가 제1 대상물과 접촉을 쉽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굴절부는 적어도 제2 높이(h2)만큼은 하부케이스(120)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높이(h2)는 약 0.3mm일 수 있다.
또한, 제2 단부(233)는 일단이 제2 접촉부(23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210)와는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단부(233)는 스토퍼(1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으며, 제2 단부(233)는 하부접촉부(230)가 예정된 가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21)와 제1 접촉부(222)의 너비가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접촉부(222)의 너비(C1)가 제1 연결부(221)의 너비(C2) 보다 좁을 수 있으며, 제1 연결부(221)의 너비(C2)는 제1 접촉부(222)로 갈수록 점차 좁아져 제1 접촉부(222)의 너비(C1)와 같아질 수 있다. 제1 연결부(221)는 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휘어진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응력의 분산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운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연결부(221)의 너비와 제1 접촉부(222)의 너비(C2)의 비율는 5:3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연결부(231)와 제2 접촉부(232)도 마찬가지로 너비가 상이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231)의 너비와 제2 접촉부(232)의 너비 비율은 5:3일 수 있다.
또한,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접촉부(210)의 제1 평행영역(D1)은 하부접촉부(220)의 제2 평행영역(D2)과 비교할 때, 기 설정된 값만큼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접촉부(210)의 상부접촉각도가 하부접촉부(220)의 하부접촉각도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대상물과의 접촉시 상부접촉부(210)에 인가되는 응력이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접촉부(210)에 인가되는 응력의 분산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제1 평행영역(D1)의 길이가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평행영역(D1)과 제2 평행영역(D2)의 길이는 각각의 인가되는 응력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접촉각도나 하부접촉각도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제1 평행영역(D1)과 제2 평행영역(D2)의 길이도 각각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는 스토퍼(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30)는 케이스부(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컨텍트부(200)가 기 설정된 가동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케이스부(100) 내에 스토퍼(130)가 없는 경우에는, 커넥터의 상부접촉부(220), 하부접촉부(230)가 기 설정된 가동범위를 벗어나서 동작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들어, 상부접촉부(220)의 말단인 제1 단부(223)가 상부 케이스(110) 위로 올라오거나, 하부첩촉부(220)의 말단인 제2 단부(233)가 하부 케이스(120) 아래로 내려오는 경우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상물과의 안정적인 접촉이 어려울 수 있으며, 커넥터를 제1 대상물에 삽입하는 등의 공정에서 작업자 등의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30)는 상부케이스(110) 상에 제1 단부(223)의 상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부(223)는 아래로는 이동가능하지만 위로는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스토퍼(130)는 하부케이스(120) 상에, 제2 단부(233)의 하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부(233)의 하부면이 스토퍼(13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하부접촉부(120)는 위로는 이동가능하지만, 아래로는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단부(223) 및 제2 단부(233)가 전체 면적의 절반이상이 스토퍼(130)와 접촉하도록 하여, 제1 단부(223) 및 제2 단부(233)가 스토퍼(130)에 의하여 보다 확실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는, 스토퍼(130)의 주위에 도피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피부(140)는 스토퍼(130)의 주위에 형성되는 빈공간으로, 제1 단부(223) 및 제2 단부(224)를 스토퍼(130)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키기 위하여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컨텍트부(200)에 사출성형을 적용하여 케이스부(10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토퍼(130)가 제1 단부(223) 및 제2 단부(233)에 접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사출성형에 사용되는 수지 등의 경우에는 접착력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접촉하는 면적이 넓을수록 탈착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30) 주위에 도피부(140)를 형성하여, 제1 단부(223) 및 제2 단부(233)의 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부분만이 스토퍼(130)와 접촉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부(223) 및 제2 단부(233)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일부만이 스토퍼(130)와 접촉하고, 나머지는 도피부(140)에 의하여 접촉하지 않으므로 이후 제1 단부(223) 및 제2 단부(233)를 스토퍼(1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케이스부 110: 상부케이스
111: 락킹부 112: 안착홈
113: 고정부 120: 하부케이스
130: 스토퍼 200: 컨텍트부
210: 베이스부 220: 상부접촉부
221: 제1 연결부 222: 제1 접촉부
223: 제1 단부 230: 하부접촉부
231: 제2 연결부 232: 제2 접촉부
233: 제2 단부

Claims (20)

  1. 제1 대상물의 기 설정된 결합영역에 삽입되며, 내부에 통공을 포함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통공 내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1 대상물과 접촉하고, 타단이 제2 대상물과 접촉하는 컨텍트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컨텍트부는
    상기 케이스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대상물과 접촉하도록 휘어진 상부접촉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대상물과 접촉하도록 휘어진 하부접촉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직육면체형상의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상기 하부케이스보다 기 설정된 값만큼 폭이 좁은 직육면체형상의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통공은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측면에 돌출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일측이 기 설정된 전단경사를 가지고, 타측은 기 설정된 후단경사를 가지며, 상기 후단경사는 상기 전단경사에 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전단경사는 20도 이상 60도 미만이고, 상기 후단경사는 90도 이상 12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락킹부의 뒤에 오목하게 들어간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안착홈의 뒤에 기 설정된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부는
    하나의 금속 스트립의 양쪽 끝을 각각 상하로 휘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부는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부접촉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 방향으로 휘어지며, 상기 하부접촉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 방향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부는
    상기 상부접촉부는 기 설정된 상부접촉각도로 휘어지고, 상기 하부 접촉부는 기 설정된 하부 접촉각도로 휘어지며, 상기 상부접촉각도가 상기 하부접촉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촉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상부 케이스 방향으로 180도 휘어지며,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한 제1 평행영역을 포함하는 제1 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 방향으로 기 설정된 제1 높이만큼 돌출되는 제1 굴절부를 포함하는 제1 접촉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접촉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한 제1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촉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하부 케이스 방향으로 180도 휘어지며,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한 제2 평행영역을 포함하는 제2 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2 연결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 방향으로 기 설정된 제2 높이만큼 돌출되는 제2 굴절부를 포함하는 제2 접촉부; 및
    일단이 상기 제2 접촉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한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행영역은 상기 제2 평행영역의 길이보다 기 설정된 값만큼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너비는 상기 제1 접촉부의 너비보다 넓으며, 상기 제1 연결부의 너비는 상기 평행영역에서 상기 제1 접촉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너비는 상기 제1 접촉부의 너비와 비교할 때, 5:3의 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접촉부 및 하부 접촉부의 가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상기 제1 단부의 상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보다 위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 상기 제2 단부의 하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보다 아래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는 각각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의 전체 면적 중 절반 이상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스토퍼 주위에 간격을 형성하는 도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컨텍트부 상에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70135563A 2017-10-19 2017-10-19 커넥터 KR102341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563A KR102341838B1 (ko) 2017-10-19 2017-10-19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563A KR102341838B1 (ko) 2017-10-19 2017-10-19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681A true KR20190043681A (ko) 2019-04-29
KR102341838B1 KR102341838B1 (ko) 2021-12-22

Family

ID=6628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563A KR102341838B1 (ko) 2017-10-19 2017-10-19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8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5797A (ja) * 1995-07-20 1997-02-07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いたずら防止構造を備えた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2003163045A (ja) * 2001-11-28 2003-06-06 Nippon Tanshi Kk 電気接触子
WO2005036701A1 (en) * 2003-09-30 2005-04-21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JP2010056069A (ja) * 2008-07-31 2010-03-11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用いたic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5797A (ja) * 1995-07-20 1997-02-07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いたずら防止構造を備えた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2003163045A (ja) * 2001-11-28 2003-06-06 Nippon Tanshi Kk 電気接触子
WO2005036701A1 (en) * 2003-09-30 2005-04-21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JP2010056069A (ja) * 2008-07-31 2010-03-11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用いたic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838B1 (ko)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7379B2 (en) Connector
KR101603493B1 (ko) 커넥터
US7654829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CN100385744C (zh) 柔性板连接器以及电路板和柔性板之间的连接结构
CN100373702C (zh) 柔性板连接器及电路板和柔性板之间的连接结构
US9502797B2 (en) Contact
JP2011100887A (ja) 表面実装クリップ
US9979122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KR102398557B1 (ko) 카드 커넥터
CN213482605U (zh) 测试治具
KR20150001574A (ko) 커넥터
JP4558562B2 (ja) コネクタ
US7988490B2 (en) Retaining clip for connector
KR20190043681A (ko) 커넥터
US8371864B2 (en) Grounding unit for high-frequency connector and high-frequency connector module having the same
KR100578673B1 (ko) 접촉력이 장기간 유지되는 커넥터
KR102504222B1 (ko) Imt와 smt가 겸용 가능한 커넥터
US10122104B2 (en)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KR102420029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US10677276B2 (en) Fixing structure and fixing method
US9819104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40147646A (ko) 커넥터
US20240088596A1 (en) Electric connector
KR101402999B1 (ko) 심카드 커넥터용 컨택트 단자
JP2013101799A (ja) 電子部品の基板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